KR100208926B1 -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926B1
KR100208926B1 KR1019970001353A KR19970001353A KR100208926B1 KR 100208926 B1 KR100208926 B1 KR 100208926B1 KR 1019970001353 A KR1019970001353 A KR 1019970001353A KR 19970001353 A KR19970001353 A KR 19970001353A KR 100208926 B1 KR100208926 B1 KR 10020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ecording medium
printer
journal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934A (ko
Inventor
가츠유키 엔도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7005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8Multiple web-feeding apparatus
    • B41J15/22Multiple web-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webs in separate paths during pri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퍼스널 컴퓨터, 드로워(drawer), 디스플레이등과 같이 POS 스테이션을 효율 좋게 구성할 수 있는 콤팩트로 또한 리시트(reseat) 인쇄와 저널(journal) 인쇄의 2개의 인쇄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프린터(5)의 앞쪽(6a)에서 차례로 리시트 인쇄부(10),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11)의 수납부(17), 저널 인쇄부(20),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21)의 수납부(27) 및 저널 인쇄종료의 용지를 권취 릴(22)의 수납부(29)를 일렬로 배치하고, 인쇄후의 저널 종이의 반송경로의 일부가 프린터의 외부에서 시각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각부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프린터(5)의 내부에 쓸데 없는 스페이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늘게 콤팩트로 정리한 프린터로 하는 동시에, 저널 인쇄결과의 시각에 의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고 신뢰성이 높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부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유지성 및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본 발명은, 리시트 인쇄와 저널 인쇄등의 서로 다른 인쇄처리를 각각 행하고, 복수의 인쇄기구를 갖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인쇄장치는, POS 등의 정보처리 스테이션을 구축하는데 특히 적당한 인쇄장치이다.
퍼스널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드로워, 프린터, 체크리더등의 기기를 조합하여, 매장이나 점포의 규모, 혹은 카운터의 배치등의 설치환경에 맞추어 자유롭게 구축가능한 POS 스테이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OS 스테이션에 매우 적당한 프린터의 하나로서, 고객에게 건네 주는 리시트를 인쇄하는 리시트 인쇄기능과, 점포의 저널을 인쇄하는 저널 인쇄기능의 2개를 겸비한 다기능형의 프린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7도에, 리시트 인쇄 및 저널 인쇄가 가능한 프린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예의 프린터 (1)는, 리시트 인쇄를 행하는 리시트 인쇄부(10)와, 저널 인쇄를 행하는 저널 인쇄부(20)가 프린터(1)의 가로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시트 인쇄부(10)의 후방에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11)가 수납되어 있고, 롤링 종이(11)로부터 리시트 용지가 리시트 인쇄부(10)에 공급되어 리시트 인쇄되어 배출구(2)로부터 프린터(1)의 외측에 배출된다. 한편, 저널 인쇄부(20)의 후방에는,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21)가 수납되어 있고, 흔히, 그 후방에, 저널 인쇄된 용지를 회수하는 권취 릴(22)이 수납되어 있다. 롤링 종이(21)로부터 저널용지가 저널 인쇄부(20)에 공급되어 인쇄된 후, 다시 프린터(1)의 후방으로 안내되어 권취 릴(22)에 감긴다.
근년, POS 스테이션은 소규모의 점포라든지 스페이스가 좁은 매장에도 도입되어, POS 스테이션을 위해 나눌 수 있는 면적은 매우 한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POS 스테이션을 구축하는 각 기기를 소형화하고, 또한 복수의 기기를 낭비 없이 조합할 필요가 있다. 그 한편으로, POS 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기기는 오퍼레이터가 조작하기 쉽고, 오류 조작이 발생하지 않은 기기인 것이 필요한다. 그리고, 고장난 경우라도 수리가 용이하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7도에 나타낸 POS 스테이션의 프린터(1)는, 리시트 인쇄 및 저널 인쇄를 겸비한 다기능형의 프린터이고, POS 스테이션을 구축하는 기기의 수량을 줄이게 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을 축소하는 면에서의 효과는 크다. 그러나, 또한 좁은 스페이스에 POS 스테이션을 구축하는 것을 고려하면, 공간이용 효율이 좋은 형상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즉, 제7도에 나타낸 프린터(1)는, 리시트 인쇄부(10)와 저널 인쇄부(20)가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가 정방형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드로워상에 퍼스널 컴퓨터라든지 디스플레이등이 서로 가로방향에 인접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고, POS 스테이션을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쓸대없이 스페이스가 생기기 쉽다. 흔히, 프린터(1)의 내부에 있어서도, 저널 인쇄부(20)의 후방에는 롤링 종이(21)와 권취 릴(22)이 나란한데, 대해 리시트 인쇄부(10)의 후방에는 롤링 종이(11)가 나란할 뿐이며, 권취 릴(22)에 상당한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이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와 같이 롤링 종이(11 및 21)가 가로방향으로 병렬된 구조의 프린터부(1)에서는, 프린터자체의 폭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종이폭을 단축할 필요가 생긴다. 이것에 의해 인쇄가 가능한 자릿수도 감소하고, 예를들면, 영수증의 발행, 가게명, 로고타이프, 서비스 등의 표시, 품명, 금액등의 상세를 리시트상에 표현하는 것이 제한되는 단점도 있고, 이른바, 인쇄의 표현력이라는 점에서도 불리하다.
한편,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2863/93호에 있어서는, 상기의 레지스트 인쇄부와 저널 인쇄부를 상호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프린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프리터에 의하면, 저널 인쇄부가 리시트용 롤링 종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저널 종이의 반송경로가 사용자로부터 시각할 수 있는 위치를 통과하지 않은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저널 종이의 인쇄결과를 인쇄직후에 시각에 의해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저널 인쇄결과가 부정함에도 불구하고 다음 고객의 데이터의 인쇄처리를 개시해 버리는, 점포의 대기용으로서 보관한다고 하는 저널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시트 인쇄 및 저널 인쇄라고 한 2개의 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를 또한 소형화하고, 좁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POS 스테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인쇄장치이면서, 확실한 저널 인쇄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성, 유지성을 구비하면서, 생략 설치스페이스를 실현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인쇄부 및 그것들로 공급하는 인쇄용지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전후방향으로 거의 직선상으로 배치하여, 세로로 길게 인쇄장치를 실현하고, 또한 보존하여야 할 인쇄결과를 보존전에 확인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인쇄장치를 드로워상에 퍼스널 컴퓨터등과 조합하여 설치하기도 하고, 혹은 POS 용 영역이 남은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에 각각 인쇄를 행하는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로서 서로 종렬배치된 인쇄지구와, 제1의 인쇄기구로 인쇄된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매체수납부와, 상기 기록매체에 의해서 정의되는 경로로서 제1의 인쇄기구와 매체수납부를 연결하는 기록매체경로를 갖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경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매체를 시각가능하게 노출하는 기록매체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의 적어도 하나가 롤링 종이인 경우에는, 그 롤링 종이의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의 사이에, 이들과 거의 직선을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락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인쇄기구로부터 출력되는 기록매체의 상기의 기록매체경로를 용이하게 상기의 기록매체노출부로 이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제1의 인쇄기구는,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사이에 세운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플라텐과, 인쇄헤드와 플라텐을 상호 개폐가능한 인쇄부개폐기구를 가지며,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의 사이의 롤링 종이가 제거된 경우에는, 인쇄부개폐기구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인쇄헤드와 플라텐의 사이에 있는 기록매체의 파지(종이조각)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의 기록매체가 롤링 종이인 경우에는, 기록매체, 제1의 인쇄기구 및 매체수납부는 거의 직선을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의 기록매체도 롤링 종이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의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 및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는 거의 직선을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인쇄기구로부터 출력되는 기록매체의 상기의 기록매체경로를 용이하게 상기의 기록매체 노출부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덧붙여, 기록매체, 인쇄기구, 매체수납 및 기록매체경로를 적어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열림상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기록매체, 인쇄기구, 매체수납부 및 기록매체경로를 노출시키는 제1의 덮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의 덮개를 개방함으로써, 인쇄장치의 보수의 필요한 구성요소를 모두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기록매체노출부는, 제1의 덮개에 설치된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노출부의 시인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제2의 기록매체가 롤링 종이인 경우에는,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절단기구와, 하우징의 앞 부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열림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구를 노출시키는 제2의 덮개를 또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절단기구에 끼운 기록매체의 파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롤링 종이는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의 사이에, 이들과 거의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단기구는 제2의 덮개가 열림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절단기구가 열림상태인 경우는, 제2의 인쇄기구가 노출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인쇄장치의 앞 부분에서, 제2의 인쇄기구의 보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의 인쇄기구는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통해 상기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플라텐과, 인쇄헤드와 플라텐을 상호 개폐 가능한 인쇄부개폐 기구를 가지며, 제2의 인쇄기구가 노출된 경우에는, 인쇄부개폐기구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인쇄헤드와 플라텐의 사이에 끼우고 있는 기록매체의 파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인쇄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덧붙여,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는, 적어도,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통해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것 같이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플라텐과,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쇄헤드를 경유하여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가지며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는, 베이스 프레임이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인쇄장치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인쇄기구를 콤팩트로 장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장치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인쇄기구를 제2의 인쇄기구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제1의 인쇄기구로부터 출력되는 기록매체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기록매체노출부의 시인성이 또한 향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및 제2의 인쇄기구는 호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이나 보수의 방법이 공통으로 되어, 구성부품도 공통으로 되기 때문에, 실용상의 이점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계되는 프린터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프린터의 상부하우징을 개방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프린터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프린터를 저면 방향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프린터의 앞부분 하우징을 개방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프린터에 롤링 종이를 세트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종래의 리시트 인쇄부와 저널 인쇄부가 가로로 나열한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 프린터 10 : 리시트 인쇄부
11 : 리시트 인쇄용 롤링 종이 12 : 리시트 용지
17 : 리시트용의 롤링 종이수납부 19 : 자동 절단기
20 : 저널인쇄부 21 : 저널 인쇄용 롤링 종이
22 : 권취 릴 23 : 저널용지
25 : 릴받이 26 : 릴구동용 모터
33 : 앞부분 하우징 34 : 모니터창문
35 : 리시트 배출구 36 : 조작부
37 : 파워스위치 38 : 새시
50 : 인쇄기구 51 : 플라텐 롤러
52 : 서멀헤드기판 53 : 가이드롤러
54 : 가이드판 55 : 지지기판
56 : 플라텐 롤러 구동용모터 57 : 서멀헤드기판 착탈용의 레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또한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계되는 프린터(5)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도에 프린터(5)의 상부하우징(32)을 개방한 상태를 타나내고 있고, 또한, 제3도에 프린터(5)의 개략구조를 단면도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프린터(5)는, 앞쪽(6a)에서 후방(6c)을 향하여 길게 거의 직방체를 형성하고 있고, 전체가 플라스틱제의 하우징(30)에 의해서 덮히고 있다. 상기 하우징(30)은, 프린터(5)의 각 기구를 수납한 하부하우징(31)과, 상기 하부하우징(31)에 대해 상방(6b)을 향하여 개폐가능한 상부하우징(32)과, 앞쪽(5a)을 향하여 개폐가능한 앞부분 하우징(3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32)의 거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저널 인쇄의 결과를 확인하고, 또는 수정을 하기 위한 모니터창문(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 하우징(33)을 하부하우징(31)에 대하여 닫으면, 앞부분 하우징(33)의 상부 앞쪽에 리시트 인쇄된 롤링 종이가 배출되는 배출구(35)가, 앞 부분 및 하부하우징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32)의 우측의 일부는 절결되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하우징(31)에 설치된 조작패널(36)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하우징(31)의 앞쪽(6a)에 설치된 파워스위치(37)와, 상기의 조작패널(36)에 의해서 본 예의 프린터(5)의 매뉴얼조작을 할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프린터(5)는, 앞쪽(6a)에서 크게 2개의 구획으로 분리되고 있다. 앞쪽의 구획은 리시트 인쇄를 행하는 구획이고, 앞쪽(6a)에서 인쇄후의 리시트를 자동적으로 커트하는 자동 절단기(19), 리시트 인쇄를 행하는 리시트 인쇄부(10), 또한,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11)를 수납하는 롤링 종이수납부(17)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후방의 구획은 저널 인쇄를 행하는 구획이고, 앞쪽(6a)의 측에서 저널 인쇄를 하는 저널 인쇄부(20),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21)를 수납하는 롤링 종일수납부(27) 및 저널 인쇄된 용지를 감아 보존하는 권취 릴(22)을 수납하는 권취 릴 수납부(29)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의 프린터(5)의 리시트 인쇄부(10) 및 저널 인쇄부(20)에는, 같은 구성의 인쇄기구(50)가 채용되어 있다. 상기 인쇄기구(50)는, 플라텐 롤러(51)와, 상기 플라텐 롤로(51)에 대하여 인쇄용의 감열(感熱)용지를 꽉 누르면서 인쇄를 하는 서멀헤드기판(52)과, 플라텐 롤러(51)에 롤링 종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3)와, 도시하지 않은 윤(輪)열을 통해 플라텐 롤러(51)와 접속되어, 플라텐 롤러(51)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구동하는 모터(56)와, 이 들을 지지하는 지지기판(55)이 편평한 유닛으로서 구성되며, 지지기판(55)은 하부하우징(31)내의 새시(38)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라텐 롤러(51)의 앞쪽 (6a)에서 보아 우측, 즉 조작패널(36)이 마련되어 있는 측에는 플라텐 롤러(5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노브(58)와, 상기 노브(58)를 사용하여 플라텐 롤러(15)를 음직일 때 모터(56)와의 접속을 끊어 부하를 감소하기 위한 레버(59)가 설치되어 있다. 즉, 프린터에 대하여 행하는 수동조작을 위한 조작수단은 전부 프린터 한쪽의 측, 그 중에서도 우측으로 집중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라텐 롤러(51)의 상방으로는, 인쇄된 롤링 종이를 후방으로 안내할 경우에 이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판(5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멸헤드기판(52)의, 플라텐 롤러(51)와 접촉하는 측과 반대의 끝(52a)에는 인쇄부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57)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레버(57)를 선회시킴으로써, 서멀헤드기판(52)이 플라텐 롤러(51)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인쇄기구(50) 내부의 종이경로가 크게 외부에 개방된다. 인쇄기구(50)의 내부에 종이 걸림이 생길 때에는, 레버(57)를 선회시켜 종이경로를 개방하면, 가득찬 종이 조각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리시트 인쇄부(10)에 설치된 상기 인쇄기구(50)에는, 리시트 인쇄부(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롤링 종이수납부(17)에 수납된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11)로부터 리시트 용지(12)가 가이드롤러(53)에 안내된다. 또한, 리시트 용지(12)는 플라텐 롤러(51)에 안내되어, 플라텐 롤러(51)의 회전에 따라 서멀 헤드기판(52)의 인쇄부(52b)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리시트 인쇄된다. 그리고, 리시트 인쇄부(10)의 앞쪽에 위치하는 자동 절단기(19)로부터 플라텐 룰러(51)를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벤(guide; 19a)을 따라 리시트 용지(12)는 자동절단기(19)의 커팅부(19b)에 안내된다. 또한, 리시트 용지(12)는 커팅부(19b)를 거쳐서, 그 앞쪽에 위치하는 하우징(30)의 배출구(35)로부터 프린터(5)의 외부에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리시트 용지(12)는, 리시트 인쇄부(10)로 인쇄되고, 이것이 종료하면, 프린터(5)로부터 배출되어, 또한, 자동 절단기(19)의 커팅부(19b)에서 자동적으로 절단되고, 인쇄종료의 리시트로서 고객에게 건네줄 수 있다.
한편, 저널 인쇄부(20)로서 설치된 인쇄기구(50)에는, 그 후방에 배치된 저널 인쇄용의 롤링종이수납(27)의 롤링 종이(21)로부터 저널용지(23)가 가이드롤러(53)를 사이에 세워 플라텐 롤러(51)에 공급된다. 저널용지(23)는, 플라텐 롤러(51)의 회전에 의해서 서멀헤드기판(52)의 인쇄부(52b)를 통해 저널 인쇄되고, 또한, 가이드판(54)의 상방을 통해 저널용의 인쇄기구(50)의 후방에 안내된다. 그리고, 롤링종이수납부(27)의 후방의 권취 릴 수납부(29)에 설치된 권취 릴(22)에 인쇄종료의 저널용지(23)가 감긴다. 권취 릴 수납부(29)에는, 권취 릴(22)을 회전구동하여 인쇄종료의 저널용지(23)를 감지 위해서 권취 릴(22)의 샤프트(22a)를 지지하는 릴받이 (25)와, 권취 릴(22)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26) 및 전달용의 윤열(2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널용지(23)의 인쇄결과를 시각에 의해서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창(34)이, 인쇄기구(50)의 가이드판(54)의 거의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니터(34)를 통해 저널 인쇄의 결과를 오퍼레이터가 모니터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판(54)을 깔개로서 저널용지에 메모라든지 사인, 수정기록 등을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의 저널 인쇄부(20)에 배치된 인쇄기구(50)는, 리시트 인쇄부(10)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저널용지(23)를 될 수 있는 한 모니터창문(34)에 가까이 하여, 모니터하기 쉽고, 또한, 메모등을 붙이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프린터(5)는, 리시트, 인쇄부(10) 및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17)의 하방의 스페이스(61)에 프린터제어용의 기판(62) 및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63)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63)는, 모두, 프린터(5)의 뒤측(6c)에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27)의 하방은, 프린터(5)의 양측벽만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케이블의 설치스페이스(65)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케이블설치 스페이스(65)를 사용하여 인쇄용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66 및 67)을 커넥터(63a 및 63b)에 접속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린터(5)의 후방에 케이블의 플러그(66a) 등이 돌출하는 것이, 본 예의 프린터(5)를 벽면이나 다른 기기에 밀착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의 접속부분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또한, 설치스페이스(65)에 있어서는 케이블이 극단적으로 구부려 부설되는 것이 아니므로,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벗어나기도 하고, 혹은 단선하는 것 같은 트러블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트린터(5)의 측면을 연장한 부분에는 노치(31a)가 설치되어 있고, 프린터의 배치에 따라 상기의 인터페이스케이블을 상기 노치(31a)에서 횡측으로 취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프린터(5)는, 리시트 인쇄부(10),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17), 저널 인쇄부(20),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27) 및 저널 인쇄후의 용지를 권취 릴의 수납부(29)를 앞쪽(6a)에서 후방(6c)을 향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시트 인쇄 및 저널 인쇄의 2개의 기능을 겸비한 프린터(5)를 각각의 용지폭을 확보한 후에, 가늘고, 좁은 폭에,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권취 릴의 수납부(29)를 저널 인쇄부(20)의 후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창문(36)을 사이에 세운 인쇄결과를 시각하기도 하고, 혹은, 덧붙여 쓰기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예와 같은 좁은 폭의 프린터는, POS 스테이션을 구축할 때에 드로워상 등에 퍼스널 컴퓨터라든지 디스플레이와 나란히 배치하기 쉽다. 또한, 가늘고 긴 형상은 POS의 설치영역의 끝부분에 따른 스페이스 등으로 설치하기 쉬운 형상이기 때문에, 본 예의 프린터는 POS를 구성하는 다른 기기의 조합이 용이하고, 좁은 영역에 다기능의 POS를 효율 좋게 구성하는데 매우 적당한 프린터이다. 또한, 오퍼레이터가항상 손으로 손님에게 건네줄 필요가 있는 리시트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부분을 앞쪽(6a)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성도 좋다.
또한, 상부하우징(33)의 거의 중앙에는, 저널용의 인쇄기구의 상부에 모니터창문(34)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널용의 인쇄기구는 리시트용의 인쇄기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 저널 인쇄의 확인이 용이하게 하고, 저널 인쇄종료의 용지에 메모를 부가하는 등의 처리도 행하기 쉽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프린터는 소형으로 POS 스테이션을 구성하기 쉽고, 또한 쓰기 쉬운 프린터이다.
또한, 본 예의 프린터는, 리시트 인쇄부(10), 리시트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17), 저널 인쇄부(20),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의 수납부(27) 및 저널 인쇄후의 용지를 권취 릴의 수납부(27)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하우징(32)을 열면 모든 부분이 평면적으로 나타나 접근하기 쉽다. 따라서, 유지성도 매우 좋다. 또한 본 예의 프린터(5)는, 앞부분 하우징(33)이 앞쪽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 걸림을 일으킨 경우에도 리시트 인쇄부(10)의 주변의 유지성이 더 한층 향상되고 있다.
제5도에 종이 걸림등의 트러블이 발생하였을 때에, 프린터(5)의 각부에 접근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부하우징(32)을 상방으로 열면, 프린터(5)가 주요한 각 부분을 일람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 하우징(33)을 앞쪽으로 열면 자동 절단기(19)가 나타나, 상기 부분에 종이 걸림이 있으면 곧 제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절단기(19)는 앞쪽으로 선회가능하게 프린터(5)의 새시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화살표(A)와 같이 앞쪽으로 선회시키면 도시한 것처럼 리시트 인쇄부(10)로서 설치되어 인쇄기구(50)의 거의 전체 내용이 나타난다. 다음에, 서멀헤드기판(52)의 선회용의 레버(57)를 화살표(B)와 같이 앞으로 돌리면 서멀헤드기판(52)이 앞으로 쓰러져 종이경로가 개방되고, 플라텐 롤러(51)의 사이에 가득찬 종이 조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플라텐 롤러(51) 우측의 레버(59)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플라텐 롤러(51)와 모터와의 결함이 빠지고, 우측의 노브(58)에 의해서 간단히 플라텐 롤러(51)를 돌릴 수 있다. 따라서, 플라텐 룰러(51)의 부근에서 종이 걸림이 있을 때라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본 예의 프린터(5)에 있어서는, 리시트 인쇄부(10)와 저널 인쇄부(20)에 같은 인쇄기구(50)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일 걸림 해소의 방법은 완전히 같다. 그리고, 수동으로 조작하는 레버나 노브도 같은 측, 가령, 예를 들면, 본 예라면 앞(6a)에서 우측으로 가지런히 배치하고 있다. 이렇게, 본 예의 프린터는, 종이 걸림이 있을 때라도, 누구에게나 간단히 그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고, 고객을 기다리게 하지 않고 써비스를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이조각이 생겼을 때라도, 간단히 롤링 종이를 각각의 인쇄부(10 및 20)에 세트할 수 있다. 제6도에 그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상부하우징(32)을 열고, 각각의 롤링 종이(11 혹은 21)를 롤링 종이수납부(17 혹은 27)에 세트한다. 그리고, 인쇄기구(50) 우측의 레버(59)를 앞에 쓰러뜨려 플라텐 롤러(51)를 모터에서 프리로 한다. 그리고, 노브(58)를 사용하여 플라텐 룰러(5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상술한 경로에서 롤링 종이(11 혹은 21)로부터 리시트 용지(12) 혹은 저널용지(23)를 세트한다. 상기 용지를 세트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본 예의 프린터(5)는 리시트 용지(12) 및 저널용지(23)의 어느것도 조작순서는 동일하며, 같은 방향에 있는 레버(59) 및 노브(58)를 조작하면 좋다.
또한, 본 예의 프린터(5)는, 리시트 인쇄부(10) 및 저널 인쇄부(20)를 평면적으로 배치하고 프린터를 소형화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성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것들의 인쇄부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프린터와 비교하여, 어느 한쪽의 인쇄부에서 발생한 종이가루등에 의해서 다른쪽의 인쇄부에 트러블이 발생할 것 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프린터는, 리시트 인쇄부(10) 및 저널 인쇄부(20)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인쇄부에서 행하여진 인쇄결과도 프린터의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프린터(5)의 높이를 감소할 수 있도록 저널 인쇄용의 롤링 종이수납부(27)와 권취 릴의 수납부(29)도 평면적으로 일렬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수납부(27 및 29)에 수납되는 롤링 종이(21) 및 릴(22)은, 동시에 교환되기 때문에, 2개의 수납부를 입체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프린터(5)의 높이가 약간 높게 되는 것을 제외하면, 프린터(5)의 유지성 혹은 조작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늘고, 또한 짧은 프린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POS 용의 프린터로서 리시트 인쇄와 저널 인쇄의 2개의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의 프린터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POS 용의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서멀 프린터와 도트 프린터등이 다른 기구의 2개의 인쇄부를 구비한 기록장치에 있어서도, 이것들의 2개의 인쇄부 및 각각의 인쇄용지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유지성이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기록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롤링 종이대신에 단표(單票)용지를 사용하는 프린터라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가늘게 콤팩트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POS 용의 인쇄전용의 프린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드로워나 퍼스널 컴퓨터 혹은 디스플레이등과 프린터로서의 기능이 일체가 된 복합장치라도 같으며, 리시트 및 저널의 인쇄부 및 각각의 롤링 종이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복합장치가 한정된 스페이스에, 유지성이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인쇄기능을 콤팩트로 통합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인쇄장치는, 리시트 인쇄 및 저널 인쇄라고 하는 다른 기능을 구비한 제1의 인쇄부 및 그 인쇄용지의 수납부와, 제2의 인쇄부 및 그 인쇄용지의 수납부를 상기 차례로 거의 일렬로 배치하고 있고, 2개의 인쇄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를 가늘고 길게 콤팩트로 통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의 인쇄부, 그 인쇄용지의 수납부, 제2의 인쇄부 및 그 인쇄용지의 수납부를 거의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적으로 콤팩트로 배치되고, 각부에 대한 높은 유지성 및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가늘고 콤팩트한 인쇄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드로워 혹은 디스플레이 등과 조합하여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인쇄장치이고, 소형으로 다기능POS 스테이션을 구축하는데 매우 적당한 인쇄장치이다.

Claims (14)

  1. 상호 종렬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에 각각 인쇄를 행하는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과, 상기 제1의 인쇄수단으로 인쇄된 상기 제1의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매체수납수단과, 상기 제1의 기록매체에 의해서 정의되는 상기 제1의 인쇄 수단과 상기 매체수납수단을 연결하는 기록매체경로를 갖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경로위에 설치되고, 제1의 기록매체를 시각기능하게 노출하는 수단을 부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의 하나 이상은 롤링 종이이고, 상기 롤링 종이의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의 사이에서 거의 직선으로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쇄수단은,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통해 상기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플라텐과, 상기 인쇄헤드와 상기 플라텐을 상호 개폐가능한 인쇄부 개폐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롤링 종이가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인쇄부 개폐기구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록매체는 롤링 종이이고, 상기 제1의 기록매체와, 상기 제1의 인쇄수단 및 상기 매채수납수단은 거의 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록매체는 롤링 종이이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의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 및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은 거의 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 상기 매체수납수단 및 상기 기록매체경로를 적어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열림상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매체,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 상기 매체수납수단 및 상기 기록매체경로를 노출시키는 제1의 덮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록매체를 시각가능하게 노출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제1의 덮개에 설치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록매체는 롤링 종이이고,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의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앞 부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열림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을 노출시키는 제2의 덮개를 부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록매체는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의 사이에 거의 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제2의 덮개가 열림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단수단이 열림상태인 경우는, 상기 제2의 인쇄수단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인쇄수단은,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사이에 세운 상기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플라텐과, 상기 인쇄헤드와 상기 플라텐을 서로 개폐가능한 인쇄부 개폐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인쇄수단이 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인쇄부개폐기구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인쇄헤드와, 기록매체를 통해 상기 인쇄헤드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플라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인쇄헤드를 경유하여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쇄수단은 상기 제2의 인쇄수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인쇄수단은 호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19970001353A 1996-01-19 1997-01-18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KR100208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212 1996-01-19
JP721296 1996-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934A KR970058934A (ko) 1997-08-12
KR100208926B1 true KR100208926B1 (ko) 1999-07-15

Family

ID=1165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53A KR100208926B1 (ko) 1996-01-19 1997-01-18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82567A (ko)
EP (1) EP0785080B1 (ko)
KR (1) KR100208926B1 (ko)
CN (1) CN1091692C (ko)
DE (1) DE69708465T2 (ko)
HK (1) HK1008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767A (ja) * 1998-09-25 2000-04-0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US6607316B1 (en) 1999-10-15 2003-08-19 Zih Corp. Portable label printer
US7292369B2 (en) * 2000-12-28 2007-11-06 Seiko Epson Corporation Logo data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US7280258B2 (en) * 2001-01-05 2007-10-09 Seiko Epson Corporation Logo data generating system, logo data generating method, and data storage medium
JP3846259B2 (ja) * 2001-10-26 2006-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6575090B1 (en) 2001-12-26 2003-06-10 Daniel Vienneau Ticket printer for gaming machines
KR100415222B1 (ko) * 2002-02-05 2004-01-16 주식회사 네오테크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DE10207332A1 (de) * 2002-02-21 2003-09-04 Mettler Toledo Albstadt Gmbh Druckerbaugruppe zum Einbau in eine Ladenwaage
CN1286657C (zh) * 2003-04-15 2006-11-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
US20060072953A1 (en) * 2004-10-04 2006-04-06 Daniel Vienneau Ticket presenter for use with a ticket printer having a tear bar therein
US7275881B2 (en) * 2004-10-15 2007-10-02 Sanford, L.P. Control of dual printing mechanisms
JP4694871B2 (ja) * 2005-03-30 2011-06-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101925464B (zh) * 2008-01-28 2012-10-03 惠普开发有限公司 用于喷墨打印头的共基极横向双极结型晶体管电路
JP2012206497A (ja) * 2011-03-15 2012-10-25 Seiko Epson Corp 複合型印刷装置
JP2013056491A (ja) 2011-09-09 2013-03-28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
CN102862394B (zh) * 2012-09-29 2015-01-14 深圳邦健生物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机结构及医疗设备
CN102991151B (zh) * 2012-12-12 2015-06-10 厦门菲斯科电子有限公司 双打印机芯的纸槽结构
JP2016162147A (ja) * 2015-02-27 2016-09-0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ドロワ一体型装置およびposシステム
JP6265162B2 (ja) 2015-03-31 2018-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287931B2 (ja) * 2015-03-31 2018-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6240171A (zh) * 2016-09-24 2016-12-21 上海普览智能科技有限公司 高度集成的双打印开票一体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372A (en) * 1974-07-22 1975-08-26 Teletype Corp Protective cover with viewing window for printers
JPS5266010A (en) * 1975-11-29 1977-06-01 Citizen Watch Co Ltd Printer
US4142235A (en) * 1976-05-24 1979-02-27 Tok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cash register
JPS58142663A (ja) * 1982-02-17 1983-08-24 Toshiba Corp 記録装置
JPS6012466A (ja) * 1983-06-30 1985-01-22 Toshiba Corp 連続紙の裂断装置
US4614949A (en) * 1983-10-20 1986-09-30 Ricoh Company, Ltd. Transfer-type thermal printer
JPH0450125Y2 (ko) * 1985-12-27 1992-11-26
JP2791892B2 (ja) * 1988-09-16 1998-08-27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リンタの記録媒体搬送ガイド
JPH085575B2 (ja) * 1988-10-03 1996-01-24 富士通株式会社 ロール紙の給紙機構
JPH02299869A (ja) * 1989-05-15 1990-12-12 Omron Corp 伝票処理装置
JP2736338B2 (ja) * 1989-12-15 1998-04-02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連続用紙の自動巻取装置
JPH0512863A (ja) 1991-07-05 1993-01-22 Fujitsu Ltd 画像デユアルポートメモリのリフレツシユ方法
JPH05124278A (ja) 1991-10-31 1993-05-21 Tokyo Electric Co Ltd レシート・ジヤーナルプリンタ
JPH05250564A (ja) * 1992-03-09 1993-09-28 Fujitsu Ltd 金銭登録装置及び金銭登録装置における印字方法
US5302037A (en) * 1992-04-10 1994-04-12 Hecon Corporation Web handling and feeding system for printers
JPH06312524A (ja) * 1993-04-30 1994-11-08 Sharp Corp サーマルヘッドを用いる印字装置
JPH06336060A (ja) * 1993-05-27 1994-12-06 Tokyo Electric Co Ltd レシートジャーナルプリンタ
JPH08153143A (ja) * 1994-11-29 1996-06-11 Fujitsu Ltd 媒体発行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JP3329174B2 (ja) * 1996-02-29 2002-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多機能型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8465D1 (de) 2002-01-10
EP0785080B1 (en) 2001-11-28
HK1008196A1 (en) 1999-05-07
EP0785080A3 (en) 1998-07-08
EP0785080A2 (en) 1997-07-23
CN1091692C (zh) 2002-10-02
DE69708465T2 (de) 2002-05-23
US5782567A (en) 1998-07-21
KR970058934A (ko) 1997-08-12
CN1170667A (zh) 199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926B1 (ko)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JP3329174B2 (ja) 多機能型印刷装置
US534540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er used for the same
JPH03187770A (ja) プリンター製造方法
US5354134A (en) Device for registering the operations of a thermal transfer printer
JP4126506B2 (ja) 複数の印刷手段を備えた印刷装置
JP2001229421A (ja) 組込み可能な扁平なケーシングを備えたタコグラフ
JP3334704B2 (ja) プリンタ
US20210229477A1 (en) Printing device having receiv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ceiving one of first cassette and second cassette
US11084303B2 (en) Printing device configured to accommodate cassette with portion of the cassette protruding out of housing
JP5277003B2 (ja) 車載用情報機器
EP1403073B1 (en) Thermal printer and portable-type terminal equipment
JP200620537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019208A (ja) プリンタ装置
JP3742555B2 (ja) カセット式プリンタ
JP2023105928A (ja) 印刷装置
JPH06155385A (ja) 切断装置
JP200610109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23177A (ja) 処理端末
JPH10138584A (ja) プリンタ
JPH01307356A (ja) ポータブルファクシミリ
JP2002127532A (ja) カセット式プリンタ
JPH0577519A (ja) 印字装置
JPH0811376A (ja) 印刷装置
JPH1067159A (ja) 複合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取付台及びプリンタ取付台に取付可能な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