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222B1 -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 Google Patents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222B1
KR100415222B1 KR10-2002-0006515A KR20020006515A KR100415222B1 KR 100415222 B1 KR100415222 B1 KR 100415222B1 KR 20020006515 A KR20020006515 A KR 20020006515A KR 100415222 B1 KR100415222 B1 KR 10041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achine
cutter
print head
kiosk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184A (ko
Inventor
강정석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02-000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2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G07B5/02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for cutting-off or separating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지로울로부터 급지된 용지에 인쇄가 이루어진 다음 절단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프린터 헤드를 구성하는 구성부재에 대한 유지 보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프린터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는 커터 및 인자기를 포함한 프린터헤드의 구조적인 특성상 공간확보의 어려움으로 유지보수작업이 크게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급지로울로부터 프린터헤드에 이르는 용지의 급지경로상 별도의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동상 에러의 발생이나 원활한 작동에 저해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급지로울로부터 프린터헤드에 이르는 경로, 인자기, 커터 및 배출부를 포함한 프린터헤드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급지경로에서 용지의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에러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프린터헤드의 유지보수에 편리성을 확보하여 각종 키오스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Printer Head Structure for a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지로울로부터 급지된 용지에 인쇄가 이루어진 다음 절단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프린터 헤드를 구성하는 구성부재에 대한 유지 보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프린터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 입출금기, 자동발권기 등을 포함한 각종 키오스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프린터의 경우, 중간의 급지경로부, 인자기와 커터를 포함한 프린터헤드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 중간의 급지경로는 급지로울로부터 프린터헤드에 이르는 용지의 급지경로상 별도의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동상 에러의 발생이나 원활한 작동에 저해요소로 작용되고 있으며, 인자기와 커터를 포함한 프린터헤드부는 구조적인 특성상 공간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유지보수작업이 크게 불편하고, 심지어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급지로울로부터 프린터헤드에 이르는 급지경로부, 인자기 및 커터부재를 포함한 프린터헤드부 및 배출부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급지경로부에서 용지의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에러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프린터헤드부의 유지 보수에 편리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금 입출금기나 자동발권기와 같은 각종 키오스크의 프린터에서 범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프린터 헤드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배출부를 중심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도4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5는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대, 3:급지경로부, 4:프린터헤드부, 5:배출부,
7:고정프레임, 8:인자기, 9:커터부재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급지로울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프린터헤드부에서 인쇄를 행한 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을 행하고 인쇄물을 배출시키는 일련을 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키오스크용 프린터에 있어서, 기대상 일측에 양측 고정프레임에 급지경로부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기 급지경로부와 인접되게 인자기와 커터를 포함하는 프린터헤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기 프린터헤드부와 인접되게 배출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급지경로부엔 급지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방향변환부재와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린터헤드부엔 고정된 인자기와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는 양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수평이동 및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키오스크용 프린터는 급지경로부(3)를 거쳐 급지로울(20)로부터 공급되는 용지(21)에 프린터헤드부(4)에서 인쇄를 행한 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을 행하고 인쇄물을 배출시키는 일련을 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키오스크용 프린터에 있어서, 기대(1)상에 세워 고정 설치되는 양측 고정프레임(7)에 급지경로부(3)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상기 급지경로부(3)와 인접되게 인자기(8)와 커터부재(9)를 포함하는 프린터헤드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상기 프린터헤드부(4)와 인접되게 배출부(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급지경로부(3)엔 급지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방향변환부재(30)와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2)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린터헤드부(4)엔 고정된 인자기(8)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9)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5)는 양측 제1 및 제2 돌출핀(51,52)을 중심으로 수평이동 및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급지경로부(3)는 급지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방향변환부재(30)와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2)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부재(30)는 고정프레임(7,7)의 선단 설치부(70,70) 사이에 설치되고 그 형태는 로울 형태나 아니면 봉 형태나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32)는 프린터헤드부(4)의 인자기(8)측에 형성된 입구부(80)에 끼워 설치되어지고 내측엔 용지가 급송될 수 있도록 높이가 낮은 공간부(34)가 마련되고 상부 중앙엔 개방요부(36)를 형성하고 이 개방요부(36)와 선단부는 상향 절곡부(38,38)를 각각 마련하여 용지(21)의 급송시 안내가 이루어지면서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방향전환부재(30)는 그 표면 상부의 설치높이가 전술한 가이드부재(32)의 공간부(34) 및 상기 입구부(8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지(21)의 급송시 방향전환부재(30)를 경유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 인자기(8)내부로 급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중간에 거치게 되는 가이드부재(32)의 공간부(34) 내측이나 인자기(8)의 입구부(80) 내측에서 간섭을 받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프린터헤드부(4)엔 고정된 인자기(8)와 힌지부(40)를 중심으로각도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9)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자기(8)는 입구부(80)가 마련된 인자기고정프레임(82)에 싸여진 상태에서 인자기고정프레임(82)이 제2고정프레임(7,7) 사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터부재(9)는 일측에 배출부(90)가 마련된 커터고정부재(92)에 싸여진 상태에서 커터고정부재(92)의 일부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 내측으로 끼워 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양측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과 커터고정부재(92) 상호간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 상부 중앙에 로크기구(84)를 설치하고, 상기 로크기구(84)의 대향측으로서 커터부재(9)의 커터고정부재(92)엔 후크부(94)를 마련하여 상기 로크기구(84)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크기구(84)가 상기 후크부(94)를 로크시키거나 로크해제를 시킬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과 커터부재(9)의 커터고정부재(92)사이나 상기 커터고정부재(92)와 절곡프레임(50)사이에 댐퍼(46)를 설치하여 상기 로크기구(84)의 로크 해제시 커터부재(9)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회전하면서 갑작스럽게 낙하하는것을 방지하고자 활용하여도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때 상기 댐퍼(46)의 경우 도1 및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자기고정프레임(82)측엔 돌기를 형성하고 커터고정부재(92)의 대응되는 위치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커터고정부재(92)와 절곡프레임(50)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다.
다음, 상기 배출부(5)는 상기 커터부재(9)의 배출부(90)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양측 제1 및 제2돌출핀(51,52)을 중심으로 수평이동 및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데, 절곡프레임(50)의 상부에 가이더(54)를 설치하고, 절곡프레임(50)의 내측엔 용지(21)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55)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더(54)는 상,하부 가이드판(56,57)이 미세한 간극을 갖도록 이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이들 상,하부 가이드판(56,57)은 일측에 센서(55)의 감지용인 개공(56a,57a)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며, 그 중 상부 가이드판(56)은 일측에 상향 절곡부(56b)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부 가이드판(57)은 대향측에 하향 절곡부(57b)를 형성하여 인쇄된 용지(21)의 배출시에 가이드가 되면서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곡프레임(50)은 제2고정프레임(7)을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씌워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곡프레임(50)의 양 측면부재(58)엔 상호 대칭형으로 직선호형홈(58a), 직선홈(58b) 및 요홈(58c)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7)의 외측으로서 이들 홈(58a,58b,58c)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내지 제3 돌출핀(51,52,53)을 각각 설치하여 그 중 제1 및 제2돌출핀(51,52)은 상기 직선호형홈(58a) 및 직선홈(58b)에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제3돌출핀(53)은 요홈(58c)에 끼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배출부(5)의 절곡프레임(50)이 상부에 가이더(54)가 장착된수평 거치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요홈(58c)은 제3 돌출핀(53)으로부터 분리 이탈되고, 직선호형홈(58a)의 직선부와 직선홈(58b)이 제1 및 제2돌출핀(51,52)을 타고 수평 전진하고, 연속하여 제2돌출핀(52)은 직선홈(58b)의 끝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를 중심으로 직선호형홈(58a)의 호형홈은 제1돌출핀(51)에 가이드 되면서 절곡프레임(50)은 하향 각도회전이 이루어지고 전술한 프린터헤드부(4)의 커터부재(9)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한 각도 회전이 가능한 전면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39는 급지경로부(3)에서 용지(21)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 48은 용지(21)의 급송과 인자를 위하여 프린터헤드부(4)의 내측에 설치되는 급송로울을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프린터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프린터 헤드구조의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면, 인자기(8)에 의하여 용지(21)에 인쇄가 이루어지고 인쇄가 완료되면 급송로울러(48)가 작동하여 용지를 전진시키고 용지(21)의 소정 길이만큼 전진 완료후 정지한 상태에서 커터부재(9)의 작동에 의하여 인쇄된 용지(21)의 절단이 이루어지고, 이때, 인쇄된 용지(21)의 선단부는 배출부(5)의 가이더(54)를 통과하여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상태의 인쇄된 용지(21)는 미도시된 키오스크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엔 관계가 없으나, 프린터헤드부(4)의 인자기(8), 커터부재(9) 또는 급송로울러(48) 부위에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아니면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우선 커터부재(9)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 회전이 가능한 전면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배출부(5)의 절곡프레임(50)이 상부에 가이더(54)가 장착된 수평 거치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요홈(58c)은 제3 돌출핀(53)으로부터 분리 이탈되고, 직선호형홈(58a)의 직선부와 직선홈(58b)이 제1 및 제2돌출핀(51,52)을 타고 수평 전진하고, 연속하여 제2돌출핀(52)은 직선홈(58b)의 끝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를 중심으로 직선호형홈(58a)의 호형홈은 제1돌출핀(51)에 가이드 되면서 절곡프레임(50)은 하향 각도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의 확보를 행한다.
다음, 로크기구(84)를 로크 해제시켜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 내측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 있던 커터부재(9)를 상기 인자기(8)로부터 상부를 분리시키고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커터부재(9)를 하향 각도 회전시켜 제껴 놓으면 된다.
이와 같이, 인자기(8)로부터 커터부재(9)를 제껴놓게 되면 프린터헤드부(4)의 상부가 개방되어 필요한 부위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린터의 경우, 급지로울(20)로부터 프린터헤드부(4)에 이르는 급지경로부(3), 인자기(8) 및 커터부재(9)를 포함한 프린터헤드부(4) 및 배출부(5)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급지경로부(4)에서용지(21)의 급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에러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프린터헤드부(4)는 배출부(5)를 수평 및 하향의 각도회전을 시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인자기(8)를 제껴 놓을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라 개방된 상부 공간을 이용하여 내부 구성부재의 유지보수에 편리성을 확보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기술구성은 현금 입출금기나 자동발권기와 같은 각종 키오스크에서 범용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급지로울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프린터헤드부에서 인쇄를 행한 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을 행하고 인쇄물을 배출시키는 일련을 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키오스크용 프린터에 있어서,
    기대(1)상에 세워 고정 설치되는 양측 고정프레임(7)에 급지경로부(3)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상기 급지경로부(3)와 인접되게 인자기(8)와 커터부재(9)를 포함하는 프린터헤드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상기 프린터헤드부(4)와 인접되게 배출부(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린터헤드부(4)엔 고정된 인자기(8)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9)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5)는 양측 제1 및 제2 돌출핀(51,52)을 중심으로 수평이동 및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경로부(3)는 급지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방향변환부재(30)와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2)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부재(30)는 고정프레임(7,7)의 선단 설치부(70,7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2)는 프린터헤드부(4)의 인자기(8)측에 형성된 입구부(80)에 끼워 설치되어지고 내측엔 용지가 급송될 수 있도록 높이가 낮은 공간부(34)가 마련되고 상부 중앙엔 개방요부(36)를 형성하고 이 개방요부(36)와 선단부는 상향 절곡부(38,3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30)는 그 표면 상부의 설치높이가 상기 가이드부재(32)의 공간부(34) 및 상기 입구부(8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헤드부(4)엔 고정된 인자기(8)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9)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자기(8)는 입구부(80)가 마련된 인자기고정프레임(82)에 싸여진 상태에서 인자기고정프레임(82)이 제2고정프레임(7,7)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커터부재(9)는 일측에 배출부(90)가 마련된 커터고정부재(92)에 싸여진 상태에서 커터고정부재(92)의 일부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 내측으로 끼워 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양측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과 커터고정부재(92)상호간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 상부 중앙에 로크기구(84)를 설치하고, 상기 로크기구(84)의 대향측으로서 커터부재(9)의 커터고정부재(92)엔 후크부(94)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기(8)의 인자기고정프레임(82)과 커터부재(9)의 커터고정부재(92)사이나 상기 커터고정부재(92)와 절곡프레임(50)사이에 댐퍼(4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5)는 절곡프레임(50)의 상부에 가이더(54)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더(54)는 상,하부 가이드판(56,57)이 미세한 간극을 갖도록 이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중 상부 가이드판(56)은 일측에 상향 절곡부(56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프레임(50)은 제2고정프레임(7)을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씌워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곡프레임(50)의 양 측면부재(58)엔 상호 대칭형으로 직선호형홈(58a), 직선홈(58b) 및 요홈(58c)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7)의 외측으로서 이들 홈(58a,58b,58c)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내지제3 돌출핀(51,52,53)을 각각 설치하여 그 중 제1 및 제2돌출핀(51,52)은 상기 직선호형홈(58a) 및 직선홈(58b)에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제3돌출핀(53)은 요홈(58c)에 끼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용 프린터 헤드구조.
KR10-2002-0006515A 2002-02-05 2002-02-05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KR10041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15A KR100415222B1 (ko) 2002-02-05 2002-02-05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15A KR100415222B1 (ko) 2002-02-05 2002-02-05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84A KR20030066184A (ko) 2003-08-09
KR100415222B1 true KR100415222B1 (ko) 2004-01-16

Family

ID=3222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15A KR100415222B1 (ko) 2002-02-05 2002-02-05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2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883A (ja) * 1990-10-04 1992-05-18 Nec Data Terminal Ltd 発券プリンタ
KR970058934A (ko) * 1996-01-19 1997-08-12 야스카와 히데아키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KR19990004998U (ko) * 1997-07-10 1999-02-05 윤종용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용지절단기 장착장치
KR19990024365A (ko)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통행권 확인기의 프린터 헤드 위치 조절장치
KR20020040472A (ko) * 2000-11-24 2002-05-30 홍사혁 문서자동발급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883A (ja) * 1990-10-04 1992-05-18 Nec Data Terminal Ltd 発券プリンタ
KR970058934A (ko) * 1996-01-19 1997-08-12 야스카와 히데아키 복수의 인쇄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KR19990004998U (ko) * 1997-07-10 1999-02-05 윤종용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용지절단기 장착장치
KR19990024365A (ko)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통행권 확인기의 프린터 헤드 위치 조절장치
KR20020040472A (ko) * 2000-11-24 2002-05-30 홍사혁 문서자동발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84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7651B1 (en) Printer with tray for recording media of different shapes
AU2005278940B2 (en) Cassette locking and ejecting arrangement
EP1108556B1 (en) Printer
US6621997B2 (en) Multi-function actuator of duplex printer
CN105150699A (zh) 带盒
CN102046387A (zh) 包括可定位打印单元的打印机
JP4374873B2 (ja) プリンタ
KR100297762B1 (ko) 인쇄기기의 용지카세트
US10384479B2 (en) Printer with tensioning guide unit
ITTO960328A1 (it) Gruppo di albero di guida per stampante.
KR100415222B1 (ko) 키오스크용 프린터 헤드 구조
US64129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with a plurality of impact surfaces
KR200276895Y1 (ko) 키오스크용 프린터
KR100415221B1 (ko) 키오스크용 프린터
US8393810B2 (en) Label roll and guiding system
JP424725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58478B2 (ja) ロール紙用プリンタ
DE60011333T2 (de) Streifendruckgerät, Streifenkassette und Streifendruckgerät mit dieser Streifenkassette, und Streifenschneidgerät
EP0250199B1 (en) Continuous sheet guide mechanism for a printer
EP2871061B1 (en) Printer
KR20230033434A (ko) 잠금기능을 갖는 호퍼 장착구조
US5580179A (en) Printer with ribbon mask opening mechanism
JP201714467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該サーマルプリンタを備える自動取引装置
JP3904199B2 (ja) シート送り出し装置
JP2011088372A (ja) プリンターのプラテン支持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