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520B1 - 지보공 - Google Patents

지보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520B1
KR100203520B1 KR1019960029234A KR19960029234A KR100203520B1 KR 100203520 B1 KR100203520 B1 KR 100203520B1 KR 1019960029234 A KR1019960029234 A KR 1019960029234A KR 19960029234 A KR19960029234 A KR 19960029234A KR 100203520 B1 KR100203520 B1 KR 10020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freely
pai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679A (ko
Inventor
다츠오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츠오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츠오 오노 filed Critical 다츠오 오노
Publication of KR97000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5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iden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종방향,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서 하중에 대해서도 내구성이 있고, 또한, 여분의 작업을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절첩되는 지보공이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0)과, 각 고정프레임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된 절첩가능한 한 쌍의 보강프레임(11)과, 각 고정프레임 내측 중간 사이에 각각 기단을 추착한 상판(12)으로 이루어지는 지보공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상단부 사이에 기단이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13)와, 각 고정프레임의 상하단에 기단이 추착되는 한편, 각각 내측 중간을 향해서 경사지게 늘어나는 네 개의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14)와 각 프레스의 선단을 추착하는 플랜지(16)와 당해 플랜지의 배면에 마련한 가이드 통(17)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15)와 상기 난간지주의 중간에 기단이 고정되는 한편, 하단이 상기 가이드통내에 고정 또는 슬라이드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지지간(18)과 상기 지지간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판의 선단을 회전 자유로이 결합되는 브라켓트(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보공(支保工, support)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형태로서 지보공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일부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고정프레임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보강프레임의 우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고정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상판의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지보공을 절첩한 상태의 우측면도.
제9도는 프레임의 일부 절단 정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지보공의 개략도.
제11도는 제1도의 지보공의 절첩 상태를 가리키는 개략도.
제12도는 제1도의 지보공을 절첩한 개략도.
제13도는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서 지보공에 있어서의 보강프레임의 우측면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서 지보공에 있어서의 보강프레임의 우측면도.
제15도는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서 지보공의 고정프레임의 정면도.
제16도는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서 지보공의 사시도.
제17도는 종래의 지보공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교량공사, 각종건축, 토목공사에 있어서, 예를들면 교랑보, 큰 트라스 등의 중량물을 가설할 경우에, 이들 교랑보, 큰 트라스 등의 블록을 지탱하기 위한 지보공(支保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교량공사에 있어서 교량보를 교각상에 가설하는 경우, 미리 공장에서 임의의 크기로 제작된 교량보 블록을 가설 현장까지 수송하여, 바로 이 블록을 크레인으로 매어달면서 지보공상에 받아 이 지보공상에서 임시로 받은 블록은 다시 다른 블록과 접합시킨 후에 교각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 교량보가 교각상에 설치된 후에는 지보공은 해체 또는 철거된다.
그러나, 지보공을 공사현장에서 조립, 해체하는 것은 작업능률이 나쁘고, 경제성에도 뒤떨어진다. 이 경우, 예컨데, 실개평7-8416호 공보에서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자유롭게 절첩하는 지보공이 개발되어 수송 중에는 간편하게 절첩(折疊)하고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는 입방체상으로 전개시켜, 하나하나 조립, 해체할 것 없이, 현장의 형편에 따라 전용(轉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지보공은 제1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대향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 1, 1과 각 고정프레임의 좌우양단부에 추착(樞着)되어 절첩 가능한 한쌍의 보강프레임 (2), (2)과, 고정프레임 (1), (1)의 내측중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기단을 추착한 상판(狀板)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보강프레임(2)은 고정프레임(1)을 구성하는 지주(3)의 상단 사이에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4)와, 지주(1), (1)의 중간에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수평부재(5)와, 지주(1), (1)의 상단과 수평부재(5)의 중간에 추착된 프레스(6),(6)와 난간지주(4)와 수평부재(5)의 각 중간에 가설된 수직부재(7)로 구성되어, 사용 중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입방체상으로 전개되지만,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예컨대 수송 중에는 프레스(6), (6)의 하단을 수평부재(5)로부터 빼고, 전후 방향에서 자중에 의해 압축하면 보강프레임(2)가 절첩되어 전체가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지보공은 보강프레임(2)이 절첩되는 구조인 것과, 프레스(6)가 윗쪽으로 2개 있는 것 뿐인 수평부재(5)에서 아래쪽으로는 보강재가 존재하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화살표, A, B에서 가리키는 종방향, 좌우방향에서의 하중에 대하여는 고정프레임1의 존재에 의해 내구성이 있고 또한 강도가 있어 변형되는 걱정은 없지만, 진동등에 따라 화살표C에서 가리키는 전후 방향에서의 하중에 대하여서는 약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방향으로 변형할 우려가 있다.
더욱이 간편하게 절첩 할 때에는, 하나하나 프레스(6)의 하단을 수평부재(5)의 추착점에서 떼어낼 필요가 있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하는 불합리함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방향,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서의 하중에 대해서도 내구성이 있고, 또한 다른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절첩될 수 있는 지보공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구성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프레임과 각 고정프레임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된 절첩 가능한 한쌍의 보강프레임과 각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각각 기단을 추착한 상판(床板)으로 이루어진 지보공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사이에 기단이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와, 각 고정프레임의 상하단에 기단이 추착되는 한편 각각 내측 중간을 향해서 경사지게 늘어난 네 개의 신측자재한 프레스와, 각 프레스 선단을 추착한 플랜지와 해당 플랜지의 배면에 마련한 가이드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난간지주의 중간에 기단이 고정되는 한편 하단이 상기 가이드 통내에 고정 또는 슬라이드가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하단에 마련된 상기 상판의 선단을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고정프레임은 좌우 한쌍의 중공인 파이프지주와, 파이프지주의 상하단에 각각 임의의 간격이 있게 마련한 상하2장을 일조로 이루어지는 플랜지와, 각 파이프지주의 상단 사이 및 하단 사이에 상기 프랜지를 개재시켜 가설한 상하 두 개의 난간지주와, 각 파이프지주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기 하측의 플랜지를 개재시켜 기단이 결합되게 하는 한편 선단이 내측 중간을 향하여 경사지게 늘어난 네 개의 프레스와, 각 프레스의 선단을 결합하는 지지판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가 아웃튜브와, 이 아웃튜브 안에 슬라이드가 자유로이 삽입한 인너로드와, 아웃튜브의 상부의 직경 방향에 천설한 핀삽입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가 전후 한쌍의 지주와, 각 지주의 선단을 추착시킨 브라켓트로 이루어지고, 지지간의 상단을 상기 브라켓트로부터 수평으로 장출한 지지편에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종방향으로 긴 한쌍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절첩 가능한 보강프레임과, 상판이 개입되어 장착 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지보공이 상하 방향에 착탈 자유로이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절첩 자재한 난간지주의 기단과, 네 개의 신축이 자유로운프레스의 기단이 파이프 지주에 마련된 상하 2장이 일조로 이루어진 플랜지 중 한쪽의 플랜지에 각각 추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형태인 지보공을 가리킨다.
이 지보공에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전후 한쌍의 고정프레임10, (10)과 각 고정프레임(10), (10)의 좌우 양단부 사이에 개재된 절첩 가능한 좌우 한쌍의 보강프레임(11), (11)과 각 고정프레임(10), (10)의 내측 중간에 각각 기단을 추착한 전후 한쌍의 상판(12), (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11)은 고정프레임(10)의 상단부 사이에 기단이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13)와, 각 고정프레임(10)의 상하단에 기단이 추착되고, 또한, 각각 내측 중간을 향하여 경사지게 늘어난 네 개의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14)와, 각 프레스(14)의 선단을 추착하는 플랜지(16)와 당해 플랜지(16)의 배면에 마련된 가이드통(17)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15)와, 상기 난간지주(13)의 중간에 기단이 고정되는 한편 하단이 상기 가이드통(17)내에 고정 또는 슬라이드가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삽입된 지지간(18)와 상기 지지간(18)의 하단에 마련된 상기 상판(12)의 선단을 회전이 자유로이 결합한 브래킷(19)으로 되어있다.
각 고정프레임10은 좌우 한쌍의 중공인 파이프지주(20), (20)와 파이프지주(20)의 상하단에 각각 임의의 간격이 있게 마련한 상하 두장 일조로 이루어지는 플랜지(21), (22)와, 각 파이프지주(20)의 상단사이 및 하단사이의 한쪽에 플랜지(22)를 끼워 가설한 상하 두 개의 난간지주(23), (24)와, 각 파이프지주(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기 한쪽의 플랜지(22)를 끼워 기단이 결합되게 하고 또한, 선단이 내측 중간을 향하여 경사지게 늘어난 네 개의 프레스(25)와 각 프레스(25)의 선단을 결합하는 지지판(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신축이 자유로운프레스(14)는 아웃튜브(14a)와, 이 아웃튜브(14a)내에 슬라이드 자유로이 삽입되는 인너로드(14b)와 아웃튜브(14a)의 상부에 직경 방향으로 천설된 삽입공(1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13)는 전후 한쌍의 지주(13a), (13a)와 각 지주 (13a), (13a)의 선단을 추착한 브라켓트(27)로 되고, 지지간(18)의 상단을 상기 브라켓트(27)로부터 수평으로 장출(張出)한 지지편(28)에 결합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지주(20)의 상하단에 마련된 플랜지(21), (22)는 한쪽의 플랜지(21)의 쪽이 다른쪽 플랜지(22)보다 폭이 넓고, 각각의 플랜지(21), (22)에는 볼트 취부공(30)이 형성되고, 또한 한쪽의 플랜지(21)에는 다른쪽의 플랜지(22)의 취부공(30)에 대향되는 큰 직경인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지주(20)의 상단에 있어서는 폭이 넓은 플랜지(21)가 상방에 배치되고, 파이프지주(20)의 하단에서는 이 광폭의 플랜지(21)는 하방으로 배치되어 각각 다른 지보공을 상하로 연설할 때 각 상하의 플랜지(21), (21)를 당접하고, 취부공(29)에 삽통한 볼트로 양자를 체결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21)에는 중앙에 파이프지주(20)의 구멍에 대향하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상방에 연설한 지보공에 있어서의 파이프지주(20)의 하단 취부구가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쪽 플렌치(22)는 한쪽의 플랜지(21)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가지면서 파이프지주(20)에 결합되고 이 플랜지(21)에는 난간지주(13), (23), (24)와 프레스(14)가 취부 브라켓트(33)를 끼워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는 것이다.
취부 브라켓트(33)는 수평인 두쌍의 협지편(34), (35)과 협지편(34), (35)의 등쪽에 결합한 두 개의 취부편(36), (37)과, 협지편(34), (35)의 종방향에 향하여 마련된 볼트공(38)과, 취부편(36), (37)에 가로방향으로 향하여 마련된 볼트공(39)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22)의 코너에는 두 개의 브라켓트(33), (33)의 협지편(34), (35)이 끼워진 후에 볼트(40)로 체결되고, 한쪽의 브라켓트(33)의 취부편(36), (36)에는 고정프레임(10)을 구성하는 난간지주(23)와 보강프레임(11)을 구성하는 프레스(14)의 기단이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며 다른쪽의 브래킷(33)의 취부편(36), (36)에는 각각 보강프레임(11)을 구성하는 난간지주(13)와 프레스(14)의 기단이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어 있다.
광폭의 플랜지(21)에 형성된 직경이 큰 구멍(31)으로부터는 볼트(40)가 삽입되어, 이것이 협지편(34), (35)의 볼트공(38)내에 떨어져 들어가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두 개의 플랜지 (21), (22)간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이 간격의 횡방향에서 볼트(40)를 삽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3도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11)측의 중간에 마련하고 있는 지지부재(15)는 임의의 간격을 중간에 마련한 두장의 플랜지(16), (16)와, 한쪽의 플랜지(16)의 배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장출한 중공 가이드통(17)으로 구성하고, 두장의 플랜지(16), (16)의 간격내에서는 각 네 개의 프레스(14)의 선단이 들어가 핀(42)을 끼워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어 있다.
난간지주(13)의 선단에 추착된 브라켓트(27)는 두 개의 협지편(27a), (27a)을 가지고, 한쪽의 지지편(27a)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편(28)이 일체로 마련되고, 이 지지편(28)의 하단에 지지간(18)의 상단이 결합되어 있다. 지지간(18)은 가이드(17)에 상하 슬라이드 자유로이 삽입되어, 그 하단은 가이드 통(17)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가이드통(16)과 지지간(18)에는 서로 마주보는 볼트공(43)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볼트공(43)에는 볼트(44)가 착탈이 자유로이 삽입되어 지지간(18)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보공 자체를 입방체상, 장방체상의 상자체로 조립된 때에는 볼트(44)에 의해 지지간(18)과 가이드통(16)은 결합되어, 지보공을 절첩할 때는 이 볼트(44)를 뽑아 내어, 가이드통(16)에 따라 지지간(18)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게 되고 있다. 더욱 지지간(18)의 하단 배면에는 브라켓트(19)가 결합되어, 이 브라켓트(19)에 형성된 두 개의 볼트공(45), (45)에는 각각 상판(12), (12)의 선단측부에 볼트(46), (46)를 끼워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어 있다.
각 상판(12), (12)의 기단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지주(20)의 거의 중간에 마련한 암(47)에 핀을 끼워 회전이 자유로이 추착되고 이것에 의해 통상 각 상판(12), (12)은 암(47)과 상기 브라컷트(19) 사이에 가설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절첩할 때에는 기단이 암(47)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측이 지지간(18)과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각 상판(12)의 외단에는 힌지(48)를 사이에 끼워 장출판(張出板)(48)이 절첩 자유로이 결합되고, 상판(12)의 측부에서의 간격을 막는 것처럼 되어 있다. 단 이 장출판에 대신하여 상방에 세운 일체의 건목(巾木)을 마련해도 좋다.
제1도,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상판(12)에는 개구부(50)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50)는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체(51)로 개폐되게 되어 있다.
또, 개구부(50)의 외측에는 상하방향에 따라 사닥다리가(52)가 삽입되어 이 사닥다리(52)의 상하단은 브라켓트를 사이에 두고 고정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하의 난간지주(23), (24)에 착탈 자유로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상에서 이 사닥다리(52)와 개구부(50)을 개재하여 상판(12)상에 작업자가 승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프레스(14)는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웃튜브(14a)와 아웃튜브(14a)내에 부쉬(53)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자유로이 삽입한 인너롯드(14b)와 아웃튜브(14a)의 직경 방향에 천설한 핀 삽입공(14c)과로 구성되어 있다.
아웃튜브(14a)는 튜브본체a와 튜브본체(a)의 상단에 나합한 통체(b)와 통체(b)의 상단에 나착한 부쉬(53)와 튜브본체(a)의 하부에 감합한 보강용의 슬리브(c)와, 같은 튜브본체(a) 상부와 통체(b)의 외주에 감합한 보강용 슬리브(d)로 구성되고, 슬리브(d)에는 핀삽입공(14c)에 대향하는 핀삽입공이 형성되어, 이 핀 삽입공(14c)에는 스톱퍼용의 핀이 삽입되게 되어 있다.
더욱 인너롯드(14b)는 롯드본체와, 롯드본체의 하단에 취부된 스톱퍼(f)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14)를 신장할 때에는 스톱퍼(f)가 부쉬(53)의 하단에 당접한 빠짐 방지를 행하게하며, 압축방향의 움직임은 핀 삽입공(14c)에 삽입된 핀으로 규제되게 되어 있다.
압축시에는 우선 핀을 삽입공(14c)에서 빼어내고, 핀에 간섭하지 않고 압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인너롯드(14b)와 아웃튜브(14a)는 다수의 부품을 취부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은, 강도의 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도금이나 도부용접을 확실히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따라 지보공은 단독으로도 사용되지만 복수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지상과 피지지용의 중량물, 예컨대 교량보와의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포개는 수를 선택할 수 도 있다.
제1도의 지보공은 우선 공장등에서 제작하여 공사현장에는 간편하게 절첩해서 수송된다. 공사현장에서는 예컨대 제1도의 좌측이 되는 앞쪽의 고정프래임(10)을 크레인에 결합하여 달아메어올린 뒤 후측의 고정프레임(10)으로 부터의 자중에 의해서 각 프레스(14)와 난간지주(13)와 지지간(18)이 자동적으로 신장하여, 입방체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간(18)의 하단은 볼트(44)를 개재하여 가이드에 결합된다.
상자형에 형성된 지보공은 각 파이프지주(20)의 하단을 개재하여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상에서 세워, 윗쪽으로 부터의 중량물의 하중은 고정프레임(10)과 보강프레임(11)이 담당한다. 더욱이 진동등에 의한 전후 방향의 하중은 네 개의 프레스(14)와 난간지주(13)에 의한 보강프레임(11)이 주로 담당하여 지보공의 상자형형상이 변형하지 않게 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 후 간편하게 절첩할 경우에는, 다시 앞쪽의 고정프레임(10)을 크레인에 메달아 제1도의 상태로 90°로 변형하면서 후측의 고정프레임(10)을 지상에 놓아둔다. 즉,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앞쪽의 고정프레임(10)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어, 이어서 뒤쪽 고정프레임(10)을 지상(G)에 놓아두고 앞쪽 고정프레임(10)으로 부터의 자중으로 절첩한다. 이 경우에는, 미리, 각 프레스(14)의 핀 삽입공(14c)에 집어 넣어 핀을 빼고, 지지간(18)으로부터 취부된 볼트(44)를 빼어둔다. 이 상태로 앞쪽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의 중량이 지상방향에 작용하면, 각 프레스(14)가 압축하는 한편 각 파이프지주(10)에 따르는 방향으로 기단의 추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같은 상태로 난간지주(13)도 기단을 중심으로 하여 각 파이프지주(10)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동시에 중앙의 브라켓트(27)를 개입하여 절곡되어 진다. 이 때, 지지간(18)은 가이드통(17)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하여, 지보공의 압축을 스무스하게 안내한다. 더욱 각 상판(12)은 기단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선단측은 지지간(18)과 일체로 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각각 파이프지주(10)에 따른 상태로 절첩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은 각 파이프지주(20)의 하단에 가이드간(60)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간(60)을 하방의 지보공에 있어서의 파이프지주(20)의 상단에 끼워, 가이드간(60)에 형성된 핀공(61)을 개재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아래쪽의 플랜지(21a)는 제1도의 실시의 형태와 달리, 한 장의 판체로부터 구성되어, 이 플랜지(21a)에 각 프레스(14)의 하단이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은 긴 파이프지주(20)에 의해서 전후의 고정프레임(10)을 형성하고, 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상하 두 개의 보강프레임(11), (11)을 설치한 것이다. 또, 파이프지주(20)의 하단에는 가이드간(60)과 플랜지(21a)가 마련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효과는 제1도의 실시의 형태와 같다.
마찬가지로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을 지보공을 종방향으로 복수개 조립할 때의 높이 조정용 지보공이고, 기본 형태는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와 같지만, 파이프지주(2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절첩 구조로는 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6도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따른 지보공을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조립한 사용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의 상하 방향의 파이프지주(20), (20)는 플랜지(21)를 개재해서 결합하고, 혹은 플랜지(21)의 구멍에 가이드간을 삽입하여 행하고 있다. 하지만, 하측의 지보공과 상측의 지보공은 전후 역으로 하여 조립한다. 이것에 의해 상판(12)에 형성된 개구부(50)는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작업자가 지그재그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원래부터, 개구부(50)의 위치는 상하 동일 위치에 설정하더라도 좋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설정해도 좋고, 상방으로부터 지상까지 공구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혹은 작업자가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보공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보강프레임이 수평 방향의 난간지주와, 크로스방향의 네 개의 프레스와, 각 프레스의 선단을 결합하는 지지부재와, 난간지주와 지지부재에 결합된 지지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하 방향, 전후 방향에서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크고, 강도가 강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에서의 중량물에 의한 하중, 전후 방향에서의 진동등에 의한 압축력이 작용하여도 지보공 자체는 변형되지 않는다.
(2) 각 프레스는 파이프지주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채로의 상태로 신장 또는 압축하기 때문에 절첩할 때 일부러 그 결합을 해체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7)

  1. 서로대향 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각 고정프레임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된 절첩가능한 한 쌍의 보강프레임과, 각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간에 각각 기단을 추착(樞着)한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지보공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상단부 사이에 기단이 추착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와, 각 고정프레임의 상하단에 기단이 추착되는 한편, 각각 내측 중간을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는 네 개의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와, 각 프레스 선단을 추착하는 플랜지와 당해 프렌지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난간지주의 중간에 기단이 고정되는 한편 하단이 상기 가이드통내에 고정 또는 슬라이드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삽입된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상판의 선단을 회전이 자유로이 결합하는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중공인 파이프지주와 파이프지주의 상하단에 각각 임의의 간격을 가지게 마련한 상하 두장 일조로 되는 플랜지와, 각 파이프지주의 상단 사이 및 하단 사이에 플랜지를 개재하여 가설한 상하 두 개의 난간지주와, 각 파이프지주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기 플랜지를 개재하여 기단이 결합되는 한편, 선단이 내측 중간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연장된 네 개의 프레스와 각 프레스의 선단을 결합하는 지지판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보공.
  3. 제1항에 있어서,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가 아웃튜브와, 이 아웃튜브 안에 슬라이드 자유로이 삽입된 인더로드와, 아웃튜브의 상부에 직경 방향으로 천설한 핀삽입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4. 제1항에 있어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가 전후 한 쌍의 지주와, 각 지주의 선단을 추착한 브라켓트으로 이루어지고, 지지간의 상단을 상기 브라켓트으로부터 수평으로 장출(張出)한 지지편에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5.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에 긴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절첩 가능한 보강프레임과, 상판이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보공이 상하방향에 착탈이 자유로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7. 제1항에 있어서, 절첩이 자유로운 난간지주의 기단과, 네 개의 신축이 자유로운 프레스의 기단이 파이프지주에 마련된 상하 두장일조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중, 한쪽의 플랜지에 각각 추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
KR1019960029234A 1995-07-20 1996-07-19 지보공 KR100203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206477A JP3131896B2 (ja) 1995-07-20 1995-07-20 支保工
JP95-206477 1995-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679A KR970006679A (ko) 1997-02-21
KR100203520B1 true KR100203520B1 (ko) 1999-06-15

Family

ID=1652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234A KR100203520B1 (ko) 1995-07-20 1996-07-19 지보공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65248A (ko)
EP (1) EP0754819B1 (ko)
JP (1) JP3131896B2 (ko)
KR (1) KR100203520B1 (ko)
CN (1) CN1229559C (ko)
AT (1) ATE198091T1 (ko)
CA (1) CA2181404C (ko)
DE (1) DE69611209T2 (ko)
TW (1) TW3002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56B1 (ko) 2007-07-23 2007-10-23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0769552B1 (ko) 2005-12-09 2007-10-23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360B2 (ja) * 1997-12-26 2007-05-09 辰雄 小野 支保工
US6073894A (en) * 1998-03-18 2000-06-13 Chen; Kao-San Foldable leg assembly
US6920724B1 (en) 2001-01-04 2005-07-26 Epic Metals Corporation Bracket for a structural panel and a structural panel made with such a bracket
US20040049994A1 (en) * 2002-07-02 2004-03-18 Hazenstab Robert E. Brace boot
US20040084581A1 (en) * 2002-11-04 2004-05-06 Lee-Cheng Chang Collapsible support for workbenches
FR2851636B1 (fr) * 2003-02-21 2005-06-03 Alstom Support articule a debattement lateral pour materiel electrique a haute ou moyenne tension
US7779599B2 (en) * 2004-03-31 2010-08-24 Safway Services, Llc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102004034436A1 (de) * 2004-07-16 2006-02-02 General Dynamics Santa Barbara Sistemas Gmbh Träger für verlegbare militärische Brücken
JP4594826B2 (ja) * 2005-08-17 2010-12-0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ブレース
CA2535970C (en) * 2006-02-10 2008-08-19 Porfirio Simoes Scaffold support bracket and assembly
US7503266B2 (en) * 2006-05-31 2009-03-17 Carter Mark C Modular folding table
DE202006014789U1 (de) * 2006-09-26 2008-02-07 Daas, Kamal Gittertragwerk
DE202008001272U1 (de) * 2008-01-29 2009-06-04 Daas, Kamal Gittertragwerk
DE202008007109U1 (de) * 2008-05-27 2009-10-08 Daas, Kamal Gittertragwerk
DE202008009283U1 (de) * 2008-07-10 2009-11-12 Daas, Kamal Gittertragwerk
DE202008009282U1 (de) * 2008-07-10 2009-11-12 Daas, Kamal Gittertragwerk mit Evakuierungsmitteln
DE102009020338B4 (de) * 2009-05-07 2011-07-21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Sas Teleskopkran mit selbstmontierbarer Abspanneinrichtung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Abspanneinrichtung
CN201507130U (zh) * 2009-08-20 2010-06-16 张华平 一种移动式舞台支架
CA2687404C (en) * 2009-12-11 2011-03-01 Alpa Lumber Inc. Adjustable baluster assembly
EP2539521B1 (en) * 2010-02-25 2023-06-07 John Clement Preston Scaffolding
DE202010011131U1 (de) * 2010-08-06 2011-11-23 Liebherr-Werk Ehingen Gmbh Gitterstück und Kran
CN201818096U (zh) 2010-10-19 2011-05-04 林德工程(杭州)有限公司 空分装置精馏塔与氩塔底座专用支架
CN102094515B (zh) * 2010-12-24 2012-09-05 浙江中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脚手架
CN102605859A (zh) * 2011-01-05 2012-07-25 上海市机械施工有限公司 一种可释放水平力的斜向布置主弦杆的空间桁架及安装方法
EP2686507B1 (en) 2011-03-15 2017-05-03 Lock-Block Ltd. A formwork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arched structur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rched structures
US20120273140A1 (en) * 2011-04-27 2012-11-01 Morales Ruben 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a window
WO2013154609A2 (en) * 2011-12-01 2013-10-17 U.S. Army Corps Of Engineers Transportable modular system for covered isolation of assets
NO337541B1 (no) * 2012-04-19 2016-05-02 Soerlandsstigen As Utfellbar redningsstige.
US8733031B2 (en) * 2012-05-29 2014-05-27 United Construction Products, Inc. Attachment member and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tructural building component
JP5406335B2 (ja) * 2012-06-14 2014-02-05 三井造船鉄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パイプベント構造
CN102817484B (zh) * 2012-09-07 2015-06-24 朱洪武 一种重型多功能组合支撑架
DE102012109860A1 (de) * 2012-10-16 2014-04-17 Max Bögl Wind AG Versorgungsgerüst für einen Turm,Turm mit einem Versorgungsgerüst sowie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Versorgungsgerüsts im Inneren eines Turms
TWM454435U (zh) * 2012-11-23 2013-06-01 Yukio Yamane 施工架
CN103243933A (zh) * 2013-04-28 2013-08-14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施工用的可拆卸组合式支撑装置
CN104164889B (zh) * 2013-05-16 2017-02-08 江苏省苏中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可拆卸式塔吊基础
WO2014186906A1 (en) 2013-05-23 2014-11-27 Les Enceintes Acoustiques Unisson Inc. Foldable structural truss
CN103306444A (zh) * 2013-06-20 2013-09-18 宜兴市华龙塑木新材料有限公司 斜档连接件
AU2016265031A1 (en) * 2015-05-21 2017-12-14 Salita Ip Pty Ltd Scaffold unit
WO2017024286A1 (en) * 2015-08-06 2017-02-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Light-weight bridge support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5332388A (zh) * 2015-11-27 2016-02-1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拼装钢管混凝土柱帽式塔吊基础结构及施工方法
CN105290688B (zh) * 2015-12-04 2017-04-19 四川有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社区服务的储物柜的模块化组装固定装置
CN105386223A (zh) * 2015-12-28 2016-03-09 江苏国茂纺织科技有限公司 钣金机架
CN105672695A (zh) * 2016-01-27 2016-06-15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地铁车站快速施工的钢结构支架系统
CN105649357A (zh) * 2016-02-25 2016-06-08 成都迅德科技有限公司 工程用支架结构
CN106284956B (zh) * 2016-08-31 2019-05-17 杭州构家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升降的脚手架及其施工方法
CN106351429B (zh) * 2016-09-20 2018-07-03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重型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US11111115B2 (en) 2017-03-02 2021-09-07 Maniitowoc Crane Companies, LLC Wear pad with insert for telescoping boom assembly
CN108843007B (zh) * 2018-06-15 2020-05-08 永嘉县中飞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工程和房建的搭载架
CN109024561A (zh) * 2018-10-07 2018-12-18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钢管桩顶部与工字钢横梁的法兰式连接结构
CN109505424B (zh) * 2018-10-30 2020-07-17 重庆大学 一种可精确调节的大跨度钢管桁架卸载托架及其使用方法
CN109577625A (zh) * 2018-11-14 2019-04-05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一种折叠支撑架
US10920442B2 (en) * 2019-03-07 2021-02-16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xpedient retrofit for existing buildings
US11686111B2 (en) * 2019-05-06 2023-06-27 Ccs Contractor Equipment & Supply, Llc Modular pipe brace assembly
CN110205946B (zh) * 2019-07-03 2021-02-23 中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转体施工的转体球铰钢骨架
WO2021024037A1 (en) * 2019-08-07 2021-02-11 Prescape Towers, Ltd. Prefabricated retrofit stackable and attachable escape tower having stairs
CN110593099B (zh) * 2019-08-12 2021-10-29 中铁十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CN111411588B (zh) * 2020-04-09 2021-10-15 郑海涛 一种桥梁转体施工用防倾覆系统设备
CN112065012A (zh) * 2020-08-31 2020-12-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医院建筑施工架及其使用方法
CN112360186A (zh) * 2020-10-13 2021-02-12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建筑的钢结构支撑固定桁架装置
CN112746734B (zh) * 2020-12-12 2022-12-30 重庆新久融工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折叠式脚手架
FR3124813B1 (fr) * 2021-07-05 2024-04-05 Matthieu Humbersot Tour d’échafaudage et échafaudage et utilisation de la tour et de l’échafaudage
EP4367344A1 (fr) * 2021-07-05 2024-05-15 Pilion Tour d'échafaudage et échafaudage et utilisation de la tour et de l'échafaudage
CN114250708A (zh) * 2021-12-29 2022-03-29 浙江钜桥实业有限公司 一种桥梁钢结构支撑架
CN114961292B (zh) * 2022-05-31 2023-09-26 南京海骏绿建科技有限公司 用于重型钢梁施工的装置、重型钢梁及装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7236C (de) * C. H. wunderlich in Gohlis - Leipzig, Marienstrafse 11 I Standgerüst für Tapezierer und Maler
FR329615A (fr) * 1903-01-20 1903-08-04 Adolphe Desire Armand Deconinc Nouvel échafaudage pliant à plancher réglable en hauteur pour peintres, plafonneurs, etc.
US3212605A (en) * 1964-08-26 1965-10-19 Robert L Dickerson Portable scaffold
DE2131320A1 (de) * 1971-06-24 1973-01-11 Jonny Janus Geruest fuer allgemeine bau-putzer-malerarbeiten
US4015303A (en) * 1975-05-12 1977-04-05 Firma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upport element for a bridge
IT7923322V0 (it) * 1979-12-04 1979-12-04 Savatarelli Pietro Assolari Eu Ponteggio tubolare metallico pieghevole.
JPH078416A (ja) * 1993-06-25 1995-01-13 Aisin Seiki Co Ltd トイレ用冷風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52B1 (ko) 2005-12-09 2007-10-23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0769556B1 (ko) 2007-07-23 2007-10-23 (주) 대산개발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31923A (ja) 1997-02-04
CA2181404A1 (en) 1997-01-21
EP0754819B1 (en) 2000-12-13
TW300269B (ko) 1997-03-11
JP3131896B2 (ja) 2001-02-05
EP0754819A1 (en) 1997-01-22
DE69611209D1 (de) 2001-01-18
CA2181404C (en) 2001-03-20
KR970006679A (ko) 1997-02-21
CN1153854A (zh) 1997-07-09
ATE198091T1 (de) 2000-12-15
CN1229559C (zh) 2005-11-30
US5765248A (en) 1998-06-16
DE69611209T2 (de) 200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520B1 (ko) 지보공
JPH11241499A (ja) 支保工
US2478088A (en) Scaffolding
JP3700952B2 (ja) 支保工
US4450971A (en) Folding rack
US4909000A (en) Folding grandstand
JP2006291473A (ja) 先行手摺枠及び緊結式枠組足場
CN108350697B (zh) 脚手架系统
JPH0547704B2 (ko)
JP2002201792A (ja) 枠組足場
JP6200632B2 (ja) テントの骨組構造
JPH05505Y2 (ko)
CN220644587U (zh) 一种环保型建筑钢结构
KR200169292Y1 (ko)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CN215760604U (zh) 脚手架临时出入口
US2879110A (en) Scaffolding
JP2003321951A (ja) 折り畳みテント
AU738540B2 (en) Improved base to side panel connections for collapsible containers
JPH0736002Y2 (ja) 足場装置
JPH09184309A (ja) 支保工
JPH0736003Y2 (ja) コーナー用足場装置
JPH0740591Y2 (ja) 仮設足場用ブレース手摺枠
JPS5914472Y2 (ja) 長尺荷台を備えた昇降機の荷台手摺り
JPH0354265Y2 (ko)
KR20240000742U (ko) 모터 분해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