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556B1 -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556B1
KR100769556B1 KR1020070073362A KR20070073362A KR100769556B1 KR 100769556 B1 KR100769556 B1 KR 100769556B1 KR 1020070073362 A KR1020070073362 A KR 1020070073362A KR 20070073362 A KR20070073362 A KR 20070073362A KR 100769556 B1 KR100769556 B1 KR 10076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vertical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086A (ko
Inventor
강근배
Original Assignee
(주) 대산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산개발 filed Critical (주) 대산개발
Priority to KR102007007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5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교량 벤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가설교량의 설치 시 거더를 받치는 벤트를 기초부에 시공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직재, 수평재, 대각재,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블록화된 수직프레임 제작단계,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하로 각각 위치시키고 그 사이 양측으로 현장에서 조립되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대각부재를 조립하는 기본벤트 조립단계 상기 기본벤트를 목적 높이만큼 조립하여 벤트 조립단계 및 상기 벤트를 상기 기초부에 위치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프레임, 벤트, 기본벤트, 시공공법

Description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METHOD OF BENT CONSTRUCTION FOR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거더를 지지하는 벤트를 시공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교량의 거더를 양쪽과 중간부위에서 지지하기 위해 기초로부터 목적하는 높이까지 벤트를 조립 설치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111)를 조성하는 기초 조성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앵커볼트(도시 생략)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와 상기 앵커볼트에 벤트(130)가 직접 연결되는 벤트연결부(114)를 설치하는 벤트연결부 설치단계;와 수직부재(122)를 벤트연결부 상부에 연결하고, 수직부재와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부재(123) 및 대각부재(124)를 수평 및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부재 조립단계;와 상기 수직부재 상부에 다른 수직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수직부재 사이에 다른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를 수평 및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목적하는 높이까 지 반복 조립하는 부재 반복조립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으로 시공된 벤트의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은 부재의 층을 쌓을수록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중 추락 등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작업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으며, 부재의 조립에 대한 소요시간이 많이 걸려 공기가 길고 공사비가 그만큼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작업 중 추락 등의 위험성이 없어지고 작업이 용이하며, 부재의 조립에 대한 소요시간이 많이 감소하여 공기가 단축되면서 공사비가 그만큼 감소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설치 시 거더를 받치는 벤트를 기초부에 시공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직재, 수평재, 대각재,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블록화된 수직프레임 제작단계,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하로 각각 위치시키고 그 사이 양측으로 현장에서 조립되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대각부재를 조립하는 기본벤트 조립단계 상기 기본벤트를 목적 높이만큼 조립하여 벤트 조립단계 및 상기 벤트를 상기 기초부에 위치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상기 기초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조성하는 기초 조성단계, 상기 기초 위에 먹메김을 한 후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 및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벤트가 직접 연결되는 벤트연결부를 설치하는 벤트연결부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벤트연결부는, 스크류 잭으 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벤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벤트 조립단계는, 각각의 상기 기본벤트 수직프레임면과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면이 번갈아 가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은 블록화 된 구조로, 외측과 상하양단에 상기 연결판이 부착된 상기 수직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의 상하부에 상기 수평재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재와 수평재 단부에 대각재가 크로스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은 수직으로 설치위치에서 시공하던 벤트를 미리 수평으로 조립하여 설치위치에 이동 후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중 추락 등의 위험성이 없어지고 작업이 용이하며, 부재의 조립에 대한 소요시간이 많이 감소하여 공기가 단축되면서 공사비가 그만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벤트를 구성하는 1개 층의 한 면인 수직프레임을 블록화시킴으로써, 벤트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블록화된 수직프레임과 현장 조립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면을 벤트의 일면에서 번갈아 가며 설치함으로써, 벤트의 조립상 발생될 수 있는 공차를 줄이고 벤트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거더의 하중을 균일하게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의 공정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은 가설교량의 설치시 거더를 받치는 벤트를 시공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으로, 수평으로 미리 벤트를 조립하여 조립된 벤트를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공법이다.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은 기초부 형성단계, 벤트 조립단계 및 벤트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기초부 형성단계는 벤트(30)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기초부(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기초부 형성단계는 기초 조성단계, 앵커볼트 설치단계 및 벤트연결부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기초 조성단계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벤트가 설치될 위치에 철근을 배근한 후 버림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11)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초는 벤트를 지면에서 받치는 구조이다.
앵커볼트 설치단계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 위에 먹메김(12)을 한 후 앵커볼트(13)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먹메김은 벤트를 설치하기 위한 벤트의 설 치위치를 표시하는 공정이다.
벤트연결부 설치단계는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에 벤트가 직접 연결되는 벤트연결부(14)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벤트연결부(14)는 스크류 잭으로 이루어져 스크류레버(14a)를 회전시킴으로써 미세한 벤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벤트 조립단계는 기초부 위에 설치될 벤트를 수평으로 미리 조립하는 단계이다. 벤트 조립단계는 기본벤트 조립단계와 수직프레임 연결 및 반복 조립단계로 이루어진다.
기본벤트 조립단계는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1)을 상하에 위치시키고 그 사이의 양측에 수평부재(26)를 수직프레임과 직각으로 연결한다. 수직프레임의 수직재와 수평부재의 각각의 연결부위 사이에 대각부재(27)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기본벤트(2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다.
수직프레임(21)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화 된 구조로, 수직재, 수평재 및 대각재로 이루어진다. 외측과 상하양단에 연결판(25)이 부착된 수직재가 구비된다. 수직재(22)와 수직재 사이의 상하부에 수평재(23)가 각각 연결된다. 수평재와 수평재 단부에 대각재(24)가 크로스로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수직재는 원형강으로 이루어져 하중을 균일하게 받는다. 이때 연결은 통상적으로 용접에 의한 연결이나, 수직프레임을 블록화시켜 각 부재간의 고정수단이라면 다른 연결수단도 무방하다. 연결판은 통상적으로 수직재의 외측 상하부와 중간에 형성되고, 연결판 에는 볼트너트결합이 용이하도록 연결공이 관통된다.
수직재는 원형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위가 없어 벤트의 원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자중의 감소에 따른 기초 침하의 감소 및 기초의 보존력이 우수하다. 수직프레임이 블록화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소작업이 적어 공기가 단축되고 작업이 용이하며 시공자의 추락위험이 적어진다.
수직프레임을 겹쳐서 눕힌 상태에서 상측의 수직프레임을 들어올린다. 수평재의 길이만큼 들어 올린다. 그 다음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직프레임의 수직재와 직각이 되도록 수평부재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은 연결판의 연결공을 통해 볼트너트에 의해 연결된다. 대각부재도 수평부재가 설치된 연결판의 연결공을 통해 연결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수직재,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로 이루어진 벤트의 일측면 상태를 나타낸다.
수직프레임 연결 및 반복 조립단계는 도 2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벤트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다른 수직프레임,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를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목적높이만큼 벤트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조립된 기본벤트의 수직프레임에 다른 수직프레임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은 수직재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판을 맞대어 볼트너트에 의해 연결한다. 기본벤트의 수직프레임이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다른 수직프레임은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연결한다. 또 다른 수직프레임을 기본벤트의 다른 수직프레임에 연결하고 새로 연결한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전과 동일한 공법으로 수평부재와 대각부재를 연결한다. 이러한 조립은 벤트의 목적길이만큼 조립한다.
벤트 조립단계에서 기본벤트 다음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은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가 연결된 면에 연결되어 벤트에서 수직프레임과,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가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이는 벤트의 4면이 수직프레임을 기준으로 수직프레임과 동일한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직프레임이 적층될 수 록 발생되는 차이(공차)를 줄이고, 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벤트가 받는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벤트 설치단계는 기초부에 벤트(3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벤트 설치단계는 벤트 이동단계와 벤트 고정단계로 이루어진다.
벤트 이동단계는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부의 위치로 조립된 벤트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벤트의 이동은 크레인과 같은 인양기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벤트 고정단계는 도 2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벤트를 수직으로 세워 벤트연결부 상부에 안치시킨 후 벤트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벤트를 벤트연결부에 고정시킬 때는 벤트 하부의 연결판에 의해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으로 시공된 벤트의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수직재,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로 이루어진 벤트의 일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연결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초부 14. 벤트연결부
20. 기본벤트 21. 수직프레임
30. 벤트

Claims (5)

  1. 가설교량의 설치 시 거더를 받치는 벤트를 기초부에 시공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직재, 수평재, 대각재,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블록화된 수직프레임 제작단계;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하로 각각 위치시키고 그 사이 양측으로 현장에서 조립되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대각부재를 조립하는 기본벤트 조립단계;
    상기 기본벤트를 목적 높이만큼 조립하여 벤트 조립단계; 및
    상기 벤트를 상기 기초부에 위치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조성하는 기초 조성단계;
    상기 기초 위에 먹메김을 한 후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 및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벤트가 직접 연결되는 벤트연결부를 설치하는 벤트연결부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연결부는,
    스크류 잭으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벤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조립단계는,
    각각의 상기 기본벤트 수직프레임면과 수평부재 및 대각부재면이 번갈아 가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은 블록화 된 구조로, 외측과 상하양단에 상기 연결판이 부착된 상기 수직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의 상하부에 상기 수평재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재와 수평재 단부에 대각재가 크로스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방법.
KR1020070073362A 2007-07-23 2007-07-23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076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62A KR100769556B1 (ko) 2007-07-23 2007-07-23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62A KR100769556B1 (ko) 2007-07-23 2007-07-23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305A Division KR100769552B1 (ko) 2005-12-09 2005-12-09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086A KR20070079086A (ko) 2007-08-03
KR100769556B1 true KR100769556B1 (ko) 2007-10-23

Family

ID=3859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362A KR100769556B1 (ko) 2007-07-23 2007-07-23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90B1 (ko) * 2006-12-22 2008-04-25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대반력 지지가 가능한 가설벤트 구조체
CN102864746A (zh) * 2012-09-18 2013-01-09 浙江国盛钢结构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承重架
KR101428750B1 (ko) * 2013-03-06 2014-08-08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형강을 사용하는 조립식 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530A (ja) * 1996-01-22 1997-07-29 Tatsuo Ono 支保工
KR100203520B1 (ko) 1995-07-20 1999-06-15 다츠오 오노 지보공
KR20020046264A (ko) * 2002-05-22 2002-06-20 박덕흠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20030012013A (ko) * 2001-07-30 2003-02-12 이형훈 교량하중재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하중재분배공법
KR20050121387A (ko) * 2004-06-22 2005-12-27 보성건설 주식회사 레일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교량상판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520B1 (ko) 1995-07-20 1999-06-15 다츠오 오노 지보공
JPH09195530A (ja) * 1996-01-22 1997-07-29 Tatsuo Ono 支保工
KR20030012013A (ko) * 2001-07-30 2003-02-12 이형훈 교량하중재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하중재분배공법
KR20020046264A (ko) * 2002-05-22 2002-06-20 박덕흠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20050121387A (ko) * 2004-06-22 2005-12-27 보성건설 주식회사 레일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교량상판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086A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0067002U (zh) 一种免支撑装配式框架结构体系
JP2790986B2 (ja) 橋脚の構築方法及び施工方法
JP4252177B2 (ja) 鋼材・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橋脚の施工方法
KR100769556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0769552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US6416258B1 (en) Ground advance shoring system
CN114382170B (zh) 一种上层预制竖向构件施工方法
JP5003253B2 (ja) Rc大梁の施工方法
CN113293790A (zh) 一种预找平的塔基基础及其找平施工方法
KR20130022656A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4504747B2 (ja) タワークレーン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JP2011017353A (ja) 免震装置の固定構造、及び免震装置の水平方向変位差を修正する方法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0932120A (ja) 構造物の構築工法
JP2670968B2 (ja) 架構構造物の仮組用治具および架構構造物の仮組方法
JP4785013B2 (ja) タワークレーン及びフロア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KR20170022547A (ko)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JP2006104832A (ja) 構造物の構築方法、構造物および昇降装置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JP2023118297A (ja) 施工方法
JP7288390B2 (ja) 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
JP200329350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