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47A -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47A
KR20170022547A KR1020150117673A KR20150117673A KR20170022547A KR 20170022547 A KR20170022547 A KR 20170022547A KR 1020150117673 A KR1020150117673 A KR 1020150117673A KR 20150117673 A KR20150117673 A KR 20150117673A KR 20170022547 A KR20170022547 A KR 2017002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eel
unit
beams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범
Original Assignee
신창산업(주)
조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산업(주), 조준범 filed Critical 신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1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547A/ko
Publication of KR2017002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철판과 철재 베이스빔을 이용하여 지면에 베이스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육면체 형상의 조립식 벤트유닛을 적층하며, 적절한 개소에 목재빔이나 잭을 삽입하여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교량에 적응이 가능한 방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The reinforce build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량의 당초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량물 이동시에 해당 교량의 임계하중을 임시적으로 증가시켜 주기 위한 지보 설치시에 시공이 용이하며 다량의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하며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하부지보 혹은 지보 설치공사는 교량의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량물 이동시에 해당 교량의 임계하중을 임시적으로 증가시켜 주기 위한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며, 노후화된 교량을 개선하거나 하자가 발생된 부분을 보강할 때에도 실시하는 공사이다.
지보의 구조는 보통 양측 교각 사이의 슬라브(slab)를 보강하기 위하여 시설물로 밑에서 받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공사를 위한 기초는 일반 지면이 아닌 보강된 견고한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한 후에 H빔(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보를 설치하여 슬라브(slab)를 받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터파기 후 거푸집을 시공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기초를 형성하였으나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하천이 오염되고, 거푸집을 시공하고 해체하는 과정에서 작업이 복잡하며 또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하여 28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지보는 임시적인 시설물로 반드시 해체하여 원상복구를 해야하나 해체하는 과정에서도 콘크리트를 깬 후 이를 덤프트럭이 진입하여 운반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소음발생과 분진에 의한 추가적인 환경오염 그리고 덤프트럭이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의 확보 및 폐기물의 처리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많은 불편함과 이에 따른 공사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141551-0000호 (1998년03월2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88078-0000호 (2003년06월04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67647-0000호 (2005년01월1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66890-0000호 (2010년06월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기가 길어지고 오염의 원인이 되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 없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높이를 갖는 교량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양한 블록형태의 벤트유닛을 이용하여 교량의 지보를 설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벤트유닛을 현장이나 공장에서 조립가능하도록 하여 부피가 큰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다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교량의 지보를 설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보수, 보강을 위한 교량지보의 설치 시스템으로서, 보수 또는 보강이 필요한 교량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판과, 상기 철판의 상면을 지나가도록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평행한 복수 개의 철재 베이스 빔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교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철재 베이스 빔에 고정되고, 상기 교량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 적층되어 상기 교량의 하중을 떠받치도록 복수 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복수 개의 벤트유닛과;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철재빔과; 상기 철재 베이스 빔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적층된 상기 벤트유닛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지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철판을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단에 철재빔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이 철재빔상에 육면체 형상의 벤트유닛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교량의 하단을 떠 받치도록 하되, 미세한 높이의 조절은 목재빔 또는 잭을 이용하여 지보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짝수개의 상기 철재빔은 상기 최상단에 배치된 벤트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상부철재빔과 제2 상부철재빔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철재빔과 제2 상부철재빔 사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인접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들 사이에는 목재빔이 교량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철재 베이스 빔들을 수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연결 빔과, 상기 철재 베이스 빔들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브레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유닛은 수직으로 입설되는 평행한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파이프와, 상기 마주보는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대각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교량의 보강을 위한 교량지보의 설치방법은 교량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철판을 복수 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상면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복수 개의 철재 베이스 빔을 설치하는 단계; 복수 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벤트유닛의 하단을 상기 철재 베이스 빔에 고정시키고, 상기 벤트유닛을 상기 교량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 적층하는 단계;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철재빔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철재 베이스 빔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입설된 상기 벤트유닛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철판을 앵커볼트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하여 기초를 형성하도록 하고 규격화된 벤트유닛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과 해체에 의한 환경 오염과 소음 및 분진을 줄이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기간이 없으며 규격화된 유닛의 현장 조립방법에 의하여 설치와 해체에 소모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가 다양한 블록형태의 벤트유닛을 이용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교량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벤트유닛을 현장이나 공장에서 조립가능하도록 하여 부피가 큰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다른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빔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트유닛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교량(100)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판(111)과, 상기 철판(111)의 상면을 지나가도록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평행한 복수 개의 철재 베이스 빔(113)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1)는 종래 콘크리트로 타설된 베이스를 대체하는 것으로, 평탄화된 지면에 사각형태의 철판(111)을 베이스부(11)의 네 모퉁이에 앵커볼트(112)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들은 수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연결 빔(114)에 의해 볼트 체결되고, 브레싱(115)에 의해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들은 대각선으로 볼트 체결된다.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연결 빔(114)은 측방향으로 천공된 홀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된다.(도 6 참조).
도 1 내지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교량(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고정되고, 상기 교량(100)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 적층되어 상기 교량(100)의 하중을 떠받치도록 복수 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복수 개의 벤트유닛(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벤트유닛(12)은 그 높이가 예를 들면, 2.0M와 1.5M로 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교량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벤트유닛(12)은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현장에서 고정된다. 벤트유닛(12)은 복수개의 사각기둥 형태의 수직파이프(121)가 수직으로 등간격 복수개 입설되어 있고 이들 수직파이프(121)들을 수형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용접 및 볼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벤트유닛(12)은 수직방향으로 2개이상 적층되며, 벤트유닛(12) 사이는 상기 수직파이프(121)의 상하단에 형성된 고정판(122)을 볼팅에 의해 고정연결하게된다(도 1 참조). 그러나, 벤트유닛(12) 사이는 후술하는 목재빔(144) 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잭(142)이 개재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12)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철재빔(141, 14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최상단에 배치된 벤트유닛(12)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상부철재빔(141)과 제2 상부철재빔(143)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철재빔(141)과 제2 상부철재빔(143) 사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잭(142)을 통해 슬라브(110)의 하단부까지 상기 제2 상부철재빔(143)을 맞 닿도록 하여 지보의 설치를 완료하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12)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적층된 상기 벤트유닛(12)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12)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144)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 일예를 도 4에 도시하였는 데, 2개로 적층된 벤트유닛(12)들의 사이에 목재빔(144)이 개재되어 있다. 목재빔(144)은 사각기둥의 형태로서 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벤트유닛(12)들의 수직파이프(12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하층의 벤트유닛(12)과 상기 베이스부(11)의 철재 베이스 빔(113)의 사이에 잭(142)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단 및 하단부에 잭(142)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높이를 증감시켜 교량의 지보(1)시스템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지면에서 교량의 하부까지의 높이는 모든 현장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으로 철재빔을 설치한 후 잭(142)에 의하여 상승할 수 있는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 높이까지는 벤트유닛(12)를 적층시켜 도달하도록 하고 나머지 거리는 목재빔(144) 및/또는 잭(142)에 의하여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지면의 평탄화작업을 하고 시공하였을 때 상황에 따라 압력에 의한 철판(111)의 침하는 교량지보(1)의 안정성에 커다란 작용을 하게 되나 상기 높이조절용 잭(142)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원발명은 보수 보강을 위한 교량지보(100)의 설치 시스템으로 교량지보(100)가 설치될 상기 교량(100)의 하부 지면에 기초가 형성될 부분을 평탄화하고 기초가 되는 철판(111)을 설치한 후 철재 베이스 빔(113)에 의하여 베이스부(11)를 형성하여 교량지보(1)를 지지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고, 벤트유닛(12)을 조립 적층하여 일정 높이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부 빔과 잭(142)에 의하여 교량(100)의 슬라브(110) 저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벤트유닛(12)은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으로 이송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는 고정판(122)이 고정된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121)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파이프(123)와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 대각연결부재(124)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여 2차원의 단위 사각틀을 형성하고, 이 단위 사각틀 여러 개를 현장으로 옮겨와, 현장에서 조립할 수도 있다.(후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수, 보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철판(111)을 앵커볼트(112)를 이용하여 베이스부(11)의 네 모퉁이에 설치한다. 이후 상기 철판(111)의 상면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베이스부(11)를 설치한다. 베이스부(11)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벤트유닛(12)을 상기 베이스부(11)의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고정시키고 교량의 높이에 맞게 적층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상기 벤트유닛(12)사이에 목재빔이나 잭이 개재될 수도 있다. 벤트유닛(12)들 사이의 고정은 고정판(122)을 볼트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12)의 위쪽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철재빔을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12)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입설된 상기 벤트유닛(12)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12)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144)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다.
도 7 내지 10를 참조하여 벤트유닛(12)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벤트유닛(12)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판(122)이 형성된 수직파이프(121)를 수직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수평파이프(123)로 각각 수평으로 용접 연결한다. 또한 상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파이프(121)를 제1 대각연결부재(124)로 대각선으로 용접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 사각틀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단위 사각틀 복수개를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등간격으로 고정하여 이격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사각틀의 상기 수직파이프(121)의 상단 및 하단을 수평연결부재(131)에 의하여 볼트(미도시)로 수평연결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사각틀의 상기 수직파이프(121)의 상단 및 하단을 제2 대각연결부재(132)에 의하여 볼트(미도시)로 대각선으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단위 사각틀만을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으로 이송하고 이 사각틀을 현장에서 서로 조립하여 육면체 형상의 벤트유닛(12)을 완성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벤트유닛(12)과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의 연결은 볼트(도면 1 참조)에 의해 고정하고, 상하로 적층된 벤트유닛(12)의 고정은 고정판(122)끼리 서로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트유닛(12)의 조립은 현장적용이 용이하고 해체작업 후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1 : 교량지보
11 : 베이스부
111 : 철판 112 : 앵커볼트
113 : 철재 베이스 빔 114 : 연결 빔
115 : 브레싱
12 : 벤트유닛
121 : 사각파이프 122 : 고정판
123 : 수평파이프 124 : 제1 대각연결부재
131 : 수평연결부재 132 : 제3 브레싱
141 : 제1 상부철재빔 142 : 잭
143 : 제2 상부철재빔 144 : 목재빔
100 : 교량
110 : 슬라브

Claims (7)

  1. 교량(100)의 보강을 위한 교량지보(1)의 설치 시스템으로서;
    보수, 보강이 필요한 교량(100)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판(111)과, 상기 철판(111)의 상면을 지나가도록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평행한 복수 개의 철재 베이스 빔(113)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와;
    상기 교량(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고정되고, 상기 교량(100)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 적층되어 상기 교량(100)의 하중을 떠받치도록 복수 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복수 개의 벤트유닛(12)과;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12)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철재빔과;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12)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적층된 상기 벤트유닛(12)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12)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144)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12)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철재빔은 상기 최상단에 배치된 벤트유닛(12)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상부철재빔(141)과 제2 상부철재빔(143)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철재빔(141)과 제2 상부철재빔(143) 사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이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벤트유닛(12)들 사이에는 목재빔(144)이 교량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는 평탄화된 지면에 앵커볼트(112)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 개의 상기 철판(111)과, 상기 철판(111)의 상면을 지나가도록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평행한 한 쌍의 철재 베이스 빔(113)을 포함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들을 수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연결 빔(114)과,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들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브레싱(11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유닛(12)은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는 고정판(122)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평행한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121)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파이프(123)와, 상기 마주보는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대각연결부재(1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 시스템.
  6. 교량의 보수 보강을 위한 교량지보의 설치방법으로서,
    보수, 보강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 평탄화된 지면에 철판(111)을 복수 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판(111)의 상면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의 철재 베이스 빔(113)을 설치하는 단계;
    복수 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벤트유닛(12)의 하단을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고정시키고, 상기 벤트유닛(12)을 상기 교량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적층하는 단계;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벤트유닛(12)의 위쪽에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 개의 철재빔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과 최하단 상기 벤트유닛(12)과의 사이에 또는 수직 적층된 상기 벤트유닛(12)들의 사이에 또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벤트유닛(12)과 상기 철재빔과의 사이에 목재빔(144)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잭(14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파이프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에 복수 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유닛(12)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판(122)이 형성된 수직파이프(121)를 수직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파이프(121)의 상단과 하단을 수평파이프(123)로 각각 수평으로 연결하고, 상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파이프(121)를 제1 대각연결부재(124)로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하여 이 사각틀을 복수개 상기 철재 베이스 빔(113)에 등간격으로 고정하여 이격배치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사각틀의 상기 수직파이프(121)의 상단 및 하단을 수평연결부재(131)에 의하여 수평연결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사각틀의 상기 수직파이프(121)의 상단 및 하단을 제2 대각연결부재(132)에 의하여 대각선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육면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KR1020150117673A 2015-08-21 2015-08-21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KR20170022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73A KR20170022547A (ko) 2015-08-21 2015-08-21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73A KR20170022547A (ko) 2015-08-21 2015-08-21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47A true KR20170022547A (ko) 2017-03-02

Family

ID=5842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73A KR20170022547A (ko) 2015-08-21 2015-08-21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5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828A (zh) * 2016-12-02 2017-05-31 腾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固定式非对称桥梁悬臂拼装设备的应用方法
CN113463516A (zh) * 2021-05-19 2021-10-01 赵启林 一种大跨度纤维增强复合材料抢修梁架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551B1 (ko) 1994-07-15 1999-02-18 박재만 교량 빔의 보수방법 및 보수장치
KR100388078B1 (ko) 1999-12-29 2003-06-25 신특수건설 주식회사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0467647B1 (ko) 2004-01-09 2005-01-27 주식회사 기해테크 교량의 성능개선 및 보수 보강 공법
KR100966890B1 (ko) 2008-02-28 2010-06-30 김승규 기존 교량의 보수, 보강시 지반에 설치되는 강재말뚝의압입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551B1 (ko) 1994-07-15 1999-02-18 박재만 교량 빔의 보수방법 및 보수장치
KR100388078B1 (ko) 1999-12-29 2003-06-25 신특수건설 주식회사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0467647B1 (ko) 2004-01-09 2005-01-27 주식회사 기해테크 교량의 성능개선 및 보수 보강 공법
KR100966890B1 (ko) 2008-02-28 2010-06-30 김승규 기존 교량의 보수, 보강시 지반에 설치되는 강재말뚝의압입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828A (zh) * 2016-12-02 2017-05-31 腾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固定式非对称桥梁悬臂拼装设备的应用方法
CN113463516A (zh) * 2021-05-19 2021-10-01 赵启林 一种大跨度纤维增强复合材料抢修梁架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57720A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20170022547A (ko) 조립식 벤트유닛을 이용한 교량지보 설치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0529517B1 (ko) 변위측정장치가 설치된 교량상부구조물 하중분산지지인상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상부구조물 균등인상방법
KR20100073881A (ko) 모래를 이용한 가설받침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구조 지지방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0769556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2060692B1 (ko) 도로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시공장치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0599059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895858B1 (ko) 높이와 폭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박스타입 가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벤트 시공방법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KR100769552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KR101258841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방법
KR101150585B1 (ko) 슈퍼블록 자동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탈착 방법
KR20210007502A (ko) 개보수 현장의 철골격자보 상부 장비기초 건식화 시공방법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JP7171052B2 (ja) セントルの組立て方法
CN219909302U (zh) 一种后浇带支撑体系
CN114045710B (zh) 一种轨道板梁的施工方法
KR100278767B1 (ko) 보 성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系统
JP2000297541A (ja) 免震装置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用装置
CN220621217U (zh) 一种隔震支座更换用的立柱机构及其装置
CN212452315U (zh) 拼装模块及模块化施工平台
CN216838994U (zh) 钢箱梁桥用格构柱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