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292Y1 -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Google Patents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9292Y1 KR200169292Y1 KR2019970019791U KR19970019791U KR200169292Y1 KR 200169292 Y1 KR200169292 Y1 KR 200169292Y1 KR 2019970019791 U KR2019970019791 U KR 2019970019791U KR 19970019791 U KR19970019791 U KR 19970019791U KR 200169292 Y1 KR200169292 Y1 KR 2001692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support plate
- support
- drop
- fal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하물 받침틀을 상,하측받침판으로 분리한 뒤 서로를 힌지에 의해 절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낙하물 받침틀의 보관상, 운반상, 조립상의 편리함 등을 얻을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공사장에서 공사도중 낙하되는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받침판과 하측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과, 상기 상, 하측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을 운반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상,하측받침판을 적은부피로 절첩하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의 절첩수단과, 상기 낙하물 받침틀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의 연결 수단과, 상기 상,하측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을 비계에 현가시킬수 있는 낙하물 받침틀의 현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사장에서 공사도중 낙하되는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낙하물 받침틀을 상, 하측 받침판으로 분리한 뒤 서로를 힌지에 의해 절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낙하물 받침틀의 보관, 운반, 조립상의 편리함 등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사장에 설치되는 낙하물 받침틀의 구성을 도1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은 하측비계(6)에 브라켓(3)으로 끝단부를 고정시킨 낙하물 받침틀(1)과, 상기 낙하물 받침틀(1)의 내부로 결합되어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판(2)과, 상기 낙하물 받침틀(1)을 소정의 각도로 현가시키기 위하여 낙하물 받침틀(1)의 외측 끝단부와 상측비계(5)를 연결하는 림(4)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사장에 설치된 하측비계(6)에 낙하물 받침틀(1)의 브라켓(3)을 결합한 뒤 낙하물 받침틀(1)을 도2의 가상선과 같이 세워서 다수개의 받침판(2)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1) 끝단부에 림(4)의 일단부를 보울트로 고정시키고 상기 림(4)의 타단부는 상측비계(5)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의 림(4)은 힌지부에 의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낙하물 받침틀(1)이 세워진 상태에서 낙하물 받침틀(1)을 서서히 밀어서 도2의 실선 위치까지 내려놓으면 낙하물 받침틀(1)의 설치 작업이 완료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1)이 세워진 상태에서 낙하물 받침틀(1)을 서서히 밀어서 도2의 실선 위치가지 내려놓으면 낙하물 받침틀(1)의 설치 작업이 완료 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하물 받침틀(1)은 현장에서 직접 조립을 하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은 약 3m가 넘는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1)에 여러개의 받침판(2)들을 끼우기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동시에 많은 작업시간을 소요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받침판(2)들을 낙하물 받침틀(1)에 끼울 때에도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게 되므로 안전에 상당한 신경을 기울여야 했다.
또한,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1)의 해체 시에도 상당한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받침틀(1)은 개별적으로 한 개씩 설치가 되어 지는 바, 중량이 큰 낙하물이 떨어지면 한 개의 낙하물 받침틀(1)에 집중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낙하물 받침틀(1)이 휘어지면서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도록 허용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지상으로 떨어지는 낙하물에 의한 대형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낙하물 받침틀을 지상에서 사전에 조립을 한 뒤 절첩을 하여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절첩된 낙하물 받침대를 펴서 비계에 결합시키면 되는 것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튼튼한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한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낙하물 받침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낙하물 받침틀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3은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의 조립 초기상태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의 조립 진행상태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의 조립 완료상태의 측면도
도7은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의 연결 설치상태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낙하물 받침틀 102 : 상측받침판
103 : 하측받침판 104 : 힌지
105 : 결합축 106 : 결합관
107 : 연결편 108 : 지지편
109 : 제1림 110 : 브라켓
111 : 제2림 112 : 통공
114 : 리벳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공사장에서 공사도중 낙하되는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받침판(102)과 하측받침판(103)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101)과, 상기 상, 하측 받침판(102, 103)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101)을 운반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작은 부피로 절첩하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의 절첩수단과, 상기 낙하물 받침틀(101)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의 연결 수단과, 상기 상, 하측받침판(102, 103)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101)을 비계(117, 118)에 현가시킬 수 있는 낙하물 받침틀의 현가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절첩수단은, 상측받침판(102)과 하측받침판(103)의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힌지(104)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연결수단은, 낙하물 받침틀(101)의 하측받침판(103)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축(105)과, 상기 결합축(105)이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받침대(103)의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판(106)과, 상기 하측받침판(103)에 연결되어 있는 상측받침판(102)이 펴지면서 옆쪽 낙하물 받침틀(102)의 상측받침대(102)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받침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108)으로 구성 하였다.
그리고,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현가수단은, 하측받침판(103) 일측에 형성된 결합축(105)에 삽입되어 하측받침판(103)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비계(117)의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제2림(111)과, 상기 하측받침판(103)과 연결된 상측받침판(102)의 연결편(107)에 결합되어 상측받침판(10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비계(117)의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제1림(109)으로 구성 하였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3a는 하측받침판을 하측비계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고, 114는 림을 절곡 시킬 수 있는 리벳이고, 115와 116은 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보울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사장에 설치된 비계중 상측비계(117)에는 제1림(109)과 제2림(111)을 브라켓(110)에 가 고정을 시킨다.
그리고, 힌지(104)에 의해 상측받침판(102)과 하측받침판(103)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낙하물 받침틀(101)을 운반하여 하측받침판(103)에 형성된 브라켓(103a)을 하측비계(118)에 도4와 같이 가 고정을 시킨다.
상기의 하측비계(118)에 브라켓(103a)이 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받침판(103)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축(105)에 , 상측비계(117)에 가 고정된 제2림(111)의 끝단부를 끼워서 결합시킨 뒤 하측받침판(103)을 도5와 같이 편다.
그리고, 상기의 하측받침판(103)을 펴면 리벳(114)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있던 제2림(111)도 도5와 같이 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림(111)이 펴진 상태에서 고정보울트(115)를 체결시키면 견고하게 제2림(111)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하측받침판(103)을 편 상태에서 가 고정되어 있는 하측받침판(103)의 브라켓(103a)과 제2림(111)의 브라켓(113)에 체결된 보울트를 완전히 죄어 고정을 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하측받침판(103)을 편 상태에서 하측받침판(103)에 절첩되어 있는 상측받침판(102)을 펴서 세운 뒤, 상측받침판(102)의 상측에 형성된 연결편(107)에 제1림(109)의 끝단부를 고정 보울트(116)에 의해 고정시켜서 상측받침판(102)을 도6과 같이 완전히 펴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상측받침판(102)이 완전히 펴지면서 상측받침판(102)에 형성된 지지편(108)이 이미 설치된 상측받침판(102)의 일측 상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측받침판(102)을 펴면 리벳(114)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있던 제1림(109)도 도6과 같이 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림(109)이 펴진 상태에서 고정보울트(115)를 체결시키면 견고하게 제1림(109)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 하측비계(117)(118)에 최초로 설치되는 낙하물 받침틀(101)은 제1림(109)2개와 제2림(111) 2개가 설치되어지고, 그 다음번의 낙하물 받침틀(101)부터는 한 개씩의 제1림(109)과 제2림(111)만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최초의 낙하물 받침틀(101)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1림(109)과 제2림(111)은 상측받침판(102) 일측의 연결편(107)과 하측받침판(103) 일측의 결합축(105)에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최초의 낙하물 받침틀(101)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1림(109)과 제2림(111)은 상측받침대(102) 타측의 연결편(107)과 하측받침대(103) 타측의 결합관(106)에 고정보울트(116)들에 의해 도3과 같이 고정되어지게 되므로, 최초의 낙하물 받침틀(101)은 4개소가 지지되는 것이어서 매우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두 번째 부터 결합되어지는 낙하물 받침틀(101)은 결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관(106)과 결합축(105) 그리고 지지편(108)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한개씩의 제1림(109)과 제2림(111)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보다 간편하게 낙하물 받침틀(101)들을 연속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낙하물 받침틀(101)의 하측받침대(103)를 먼저 설치를 한뒤 그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상측받침대(102)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낙하물 받침틀(101)은 종래와 같이 단독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축과(105)과 결합관(106)에 의해 도7과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중량이 큰 낙하물이 한 개소의 낙하물 받침틀(101)에 떨어지더라도 하중 분산효과가 매우 크게 되므로 낙하물 받침틀(101)이 개별적으로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낙하물들이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토록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게 되므로 낙하물에 의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하측받침판(103)의 측면을 지지하고 있는 제2림(111)이 받침틀(101)의 중간부를 한 번 더 받쳐주기 때문에 낙하물이 떨어져도 낙하물 받침틀(101)의 중간부가 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림(111)과 제1림(109)은 밴드형 금속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벼운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설치시의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가벼운 장점에 의해 작은 구조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원자재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의 제1림(109)과 제2림(111)은 경량화된 상태에서도 강도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구조적 안정성에 의해 낙하물을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 하측받침대(102)(103)에는 공사장의 여건에 따라 철망(119) 또는 유공판 그리고 합성수지 그물망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낙하물 받침틀을 이루고 있는 상, 하측받침판을 힌지에 의해 절첩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과 운반 그리고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해진다.
그리고, 상기의 상, 하측받침판은 사전에 조립을 하여 공사장의 비계에 결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종래 현장에서 직접 조립함으로서 나타났던 번거로움과 까다로움 그리고 위험성 등을 일소하였다.
또한, 본 고안 낙하물 받침틀은 내부가 빈 금속재의 사각관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게 되므로 운반시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고, 절첩으로 인해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설치시의 작업성도 매우 탁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 하측받침판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하중분산 효과가 크게 되므로 향상된 강도에 의해 확실하게 낙하물을 받아낼 수 있게 되고, 아울러 튼튼한 낙하물 받침틀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 공사장에서 공사도중 낙하되는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받침판과 하측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과, 상기 상, 하측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을 운반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작은 부피로 절첩하기 위한 낙하물 받침틀의 절첩수단과, 상기 낙하물 받침틀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받침틀의 연결 수단과, 상기 상, 하측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받침틀을 비계에 현가시킬 수 있는 낙하물 받침틀의 현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절첩수단은, 상측받침판과 하측받침판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힌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연결수단은, 낙하물 받침틀의 하측받침판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이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받침대의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관과, 상기 하측받침판에 연결되어 있는 상측받침판이 펴지면서 옆쪽 낙하물 받침틀의 상측받침대와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 받침틀의 현가수단은, 하측받침판 일측에 형성된 결합축에 삽입되어 하측받침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비계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림과, 상기 하측받침판과 연결된 상측받침판의 연결편에 결합되어 상측받침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비계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림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9791U KR200169292Y1 (ko) | 1997-07-25 | 1997-07-25 |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9791U KR200169292Y1 (ko) | 1997-07-25 | 1997-07-25 |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6333U KR19990006333U (ko) | 1999-02-25 |
KR200169292Y1 true KR200169292Y1 (ko) | 2000-02-01 |
Family
ID=1950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9791U KR200169292Y1 (ko) | 1997-07-25 | 1997-07-25 |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929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214B1 (ko) | 2007-03-13 | 2008-02-18 | 이혜경 | 달대비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3767A (ko) * | 2001-01-30 | 2002-08-05 | 주식회사 성민산업 | 낙하물 방호선반 |
KR100797554B1 (ko) * | 2007-01-29 | 2008-01-24 | 권택철 | 안전망 구조물 |
AU2021386876A1 (en) * | 2020-11-27 | 2023-06-22 | Form 700 Pty Ltd | A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
-
1997
- 1997-07-25 KR KR2019970019791U patent/KR2001692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214B1 (ko) | 2007-03-13 | 2008-02-18 | 이혜경 | 달대비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6333U (ko) | 1999-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99654A (en) | Safety net support system | |
US6443262B1 (en) | Tubular frame scaffolding | |
AU2019284413B2 (en) | Individual scaffolding post | |
CA1323393C (en) | Moment-arm connecting joint for use in a modular scaffolding system | |
US6422339B1 (en) | Wall jack | |
US5638914A (en) | Portable platform system | |
AU2006201721B1 (en) | Hook-On-Scaffold | |
KR200169292Y1 (ko) |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 |
EP0606948B1 (en) | Universal supporting construction | |
US6006862A (en) | Temporary guard rail assembly for scaffolding | |
WO2012064204A2 (en) | A scaffold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ame | |
KR100529398B1 (ko) |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 |
EP1215354A2 (en) | Protection device for people working on roofs of buildings or the like, and for supporting workers during works on the cornices of the roofs | |
US10526802B2 (en) | Scaffold extensions | |
JPH05163833A (ja) | 安全ネット付き建枠 | |
KR200398851Y1 (ko) |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 |
GB2070120A (en) | Collapsible builders' stage for use on steps | |
JP2602190Y2 (ja) | 簡易足場屋根 | |
AU2002100860B4 (en) | A scaffolding system | |
JP7421784B1 (ja) | 立入り防止柵の乗越え梯子及び設置方法 | |
US20240344339A1 (en) | Folding rail assembly, combination of folding rail assembly and standard, scaffolding system, and method | |
KR200206162Y1 (ko) |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 |
JP2807858B2 (ja) | 取付け可能な作業用ステージ | |
WO1996032553A1 (en) | Working platform assembly | |
JPH08260573A (ja) | 物置・ペット小屋・下小屋・テント簡単組み立てパネルと骨組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