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214B1 - 달대비계 - Google Patents

달대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214B1
KR100804214B1 KR1020070024276A KR20070024276A KR100804214B1 KR 100804214 B1 KR100804214 B1 KR 100804214B1 KR 1020070024276 A KR1020070024276 A KR 1020070024276A KR 20070024276 A KR20070024276 A KR 20070024276A KR 100804214 B1 KR100804214 B1 KR 100804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story
work platform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경
Original Assignee
이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경 filed Critical 이혜경
Priority to KR102007002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에서부터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하층으로 연장하는 달대비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계는 저층의 작업을 먼저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층건축물의 구조체에 작업발판을 매달아 사용하는 달대비계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의 하측에 삽입되며 축공(15)을 갖는 지지대(14)가 형성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조체(1)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브래킷(10)과 결합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작업발판(2)이 결합되며 상기 축공(15)과 대응하는 축공(31)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 수직바(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대비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층에서부터 작업발판(2)을 설치하여 하층으로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층건축물의 상측과 하측에서의 동시작업이 가능해져 작업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발판(2)이 결합되는 수직바(30)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조립과 분해가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계, 달비계, 달대비계, 작업발판, 고층, 안전

Description

달대비계{Hanging scaffo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달대비계가 적용된 건축물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 표시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달대비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 표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래킷 11,21 : 날개부
12,22 : 체결공 13,23 : 패킹부재
14 : 지지대 15,31 : 축공
16 : 안내홀 20 : 고정부재
30 : 수직바 32 : 회전공
본 발명은 고층건축물에서 안전한 작업을 하기 위해 설치하는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에서부터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하층으로 연장하는 달 대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란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 고층건축물의 외부에 지상으로부터 수직파이프를 세우고, 이 수직파이프에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수평파이프들을 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계는 지상에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수직 및 수평파이프들을 일일이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작업기간이 연장되며, 항상 저층의 작업을 먼저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작업발판을 주체인 철골에 매달아서 비계를 만들거나, 작업발판이 안내레일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하여 고층건물의 작업할 수 있게 한 달대비계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층에서 부터 작업발판을 하층으로 연장 설치하여 상층 및 하층에서의 동시작업이 가능한 달대비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조립과 분 해가 용이한 달대비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달대비계는 고층건축물의 구조체에 작업발판을 매달아 사용하는 달대비계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하측에 삽입되며 축공을 갖는 지지대가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구조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작업발판이 결합되며 상기 축공과 대응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 수직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달대비계가 적용된 건축물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표시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달대비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 표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달대비계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층건축물의 상층에 설치된 구조체(1)에 작업발판(2)을 설치하여 작업을 하고, 상기 작업발판(2)을 하층으로 연장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하층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달대비계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나란히 결합되어 작업발판(2)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달대비계는 구조체(1)의 하측에 삽입되는 브래킷(10)과, 상기 구조체(1)의 상측에 안착되어 브래킷(10)에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브래킷(10)의 하측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결합되며 작업발판(2)이 고정되는 수직바(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1)의 하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절곡하여 형성된 양측의 날개부(11)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13)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10)의 하측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14)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대(14)의 중앙부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축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15)을 중심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주로 이루어진 안내홀(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0)과 결합되어 구조체(1)의 상측에 안착되는 고정부재(20)는 상기 브래킷(10)과 반대의 형상으로 절곡되는데,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1)에는 상기 브래킷(10)의 체결공(12)과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면에는 패킹부재(23)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10)의 지지대(14) 일측면에는 하측에 작업발판(2)이 고정되는 수직바(3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수직바(30)의 선단은 상기 지지대(14)와 밀착할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되며, 이 선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대(14)의 축공(15)과 대응하는 축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31)의 하측에는 상기 안내홀(16)과 대응하도록 회전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달대비계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1)에 결합되어 상측에서부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대(14)의 축공(15)과 수직바(30)의 축공(31)에는 볼트(B)가 삽입되고, 이 볼트(B)를 중심으로 수직바(30)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바(30)의 회전공(32)에 삽입된 볼트(B)는 안내홀(16)에 삽입되고, 이 볼트(B)는 안내홀(16)을 따라 수직바(30)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체(1)에서 본 발명의 달대비계를 설치하더라도 작업발판(2)이 고정된 수직바(30)는 항상 수직을 유지하게 되어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경사진 구조체(1)를 따라 함께 경사지게 결합된 브래킷(10)과 고정부재(20)에 수직바(30)가 축공(15)(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상태를 이룬 후, 지 지대(14)의 배면 측에서 너트(N)를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달대비계에 의하면, 상층에서부터 작업발판(2)을 설치하여 하층으로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층건축물의 상측과 하측에서의 동시작업이 가능해져 작업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발판(2)이 결합되는 수직바(30)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체(1)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조립과 분해가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고층건축물의 구조체에 작업발판을 매달아 사용하는 달대비계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의 하측에 삽입되며 축공(15)을 갖는 지지대(14)가 형성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조체(1)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브래킷(10)과 결합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작업발판(2)이 결합되며 상기 축공(15)과 대응하는 축공(31)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 수직바(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대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에는 상기 축공(15)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주로 이루어진 안내홀(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30)에는 상기 안내홀(16)과 대응하는 회전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대비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과 고정부재(20)의 내측면에는 패킹부재(13)(2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대비계.
KR1020070024276A 2007-03-13 2007-03-13 달대비계 KR100804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276A KR100804214B1 (ko) 2007-03-13 2007-03-13 달대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276A KR100804214B1 (ko) 2007-03-13 2007-03-13 달대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214B1 true KR100804214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276A KR100804214B1 (ko) 2007-03-13 2007-03-13 달대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13B1 (ko) 2008-10-07 2011-04-29 김송강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CN112627491A (zh) * 2020-12-31 2021-04-09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轨道行走式单双层吊篮悬挑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4646A (ja) * 1988-08-31 1990-03-05 Toshiba Corp レジストパターンの現像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現像装置
JPH08120914A (ja) * 1994-10-25 1996-05-14 Japan Steels Internatl Kk 作業ステージ取付け金具と作業ステージ
JPH09235872A (ja) * 1996-03-04 1997-09-09 Nikko Co Ltd 仮設用足場板
KR200169292Y1 (ko) 1997-07-25 2000-02-01 사재효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JP2000320134A (ja) 1999-05-13 2000-11-21 Hashima Kk 屋根用足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4646A (ja) * 1988-08-31 1990-03-05 Toshiba Corp レジストパターンの現像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現像装置
JPH08120914A (ja) * 1994-10-25 1996-05-14 Japan Steels Internatl Kk 作業ステージ取付け金具と作業ステージ
JPH09235872A (ja) * 1996-03-04 1997-09-09 Nikko Co Ltd 仮設用足場板
KR200169292Y1 (ko) 1997-07-25 2000-02-01 사재효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JP2000320134A (ja) 1999-05-13 2000-11-21 Hashima Kk 屋根用足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13B1 (ko) 2008-10-07 2011-04-29 김송강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CN112627491A (zh) * 2020-12-31 2021-04-09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轨道行走式单双层吊篮悬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804214B1 (ko) 달대비계
CN105484485A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5685710B2 (ja) 手摺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JP6339856B2 (ja) 階段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JP6850665B2 (ja) 階段構造及び鋼製階段の製造方法
JP5809955B2 (ja) 仮設足場
AU2018232939A1 (en) Walkway
KR200438908Y1 (ko)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CN211201184U (zh) 一种装配式钢结构体系
JP2011080276A (ja) 吊り階段の設置方法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JP2008127927A (ja) 建物及びその建築方法
JP6914023B2 (ja) 吊り天井補強構造及び吊り天井補強構造の施工方法
JP2016204983A5 (ko)
KR20070010089A (ko)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JP6755102B2 (ja) 外壁パネルの地組架台および外壁面材の施工方法
JP2020041311A (ja) 階段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5159333B2 (ja) 階段
JP2006307506A (ja) 足場
CN215564317U (zh) 一种装配式建筑用新型外挂架
JP5970306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