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57B1 -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57B1
KR100194157B1 KR1019960003118A KR19960003118A KR100194157B1 KR 100194157 B1 KR100194157 B1 KR 100194157B1 KR 1019960003118 A KR1019960003118 A KR 1019960003118A KR 19960003118 A KR19960003118 A KR 19960003118A KR 100194157 B1 KR100194157 B1 KR 10019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ar
lead
flat cable
housing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811A (ko
Inventor
유미꼬 사또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6003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의 도체와 조인트바와의 접속작업이 간단한 회전 터넥터 를 제공한다.
리드블록(12)의 수지체(18) 내부에 압압판(19a)을 가지는 조인트바(19)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압압판(19a)을 수지체(18)의 측면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이 리드볼록(12)에 플랫케이블(14)을 접속할 때에, 압압판(19a)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플랫케이블(14)의 노치(15b)에 걸어 멈춤함으로써, 미리 플랫케이블(14)의 단부를 양 압압판(19a)에 의하여 리드블록(12)상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플랫케이블(14)의 각 도체(16)와 조인트바(19)의 겁쳐지는 부분을 스폿용접 혹은 초음파 용접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커넥터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그 회전커넥터의 저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제4도는 그 회전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 및 리드선과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접속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6도는 제4도에 나타낸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과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하우징 2 : 제2하우징
4 : 천정판 4a : 돌출부
5 : 내통체 6 : 커버
7, 12 : 리드볼록 8, 13 : 리드선
10 : 바닥판 10a, 11a : 돌출부
11 : 외통체 14 : 플랫케이블
15 : 도체 15b : 노치
16 : 절연필름 18 : 수지체
18c : 홈 19 : 조인트바
19a : 압압판 20 : 제1창구멍
21 : 제2창구멍 22 : 수납 오목부
22a : 가이드돌기
본 발명을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되어 들어가고, 로터측의 핸들과 스테이터측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전커넥터는,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 권회된 가요성케이블인 플랫케이블로 개략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랫케이블의 양단은 양 하우징에 각각 고정된 후,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한쪽의 하우징은 가동체, 다른쪽의 하우징은 고정체로서 사용되고, 가동체측의 하우징을 시계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랫케이블이 공간내에서 조여감기거나 혹은 되돌려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고정 체측의 하우징을 스티어링장치의 스티어링· 컬럼에, 가동체측의 하우징을 핸들에 고정함과 동시에 플랫케이블의 양단을 스티어링· 컬럼이나 핸들측의 전기부품에 접속함으로써, 에어백시스템이나 폰회로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그 때,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리드선을 접속하고, 이 리드선을 개재하여 플랫케이블을 스티어링·컬럼이나 핸들측의 전기부품에 접속하는 경우가 있는 하기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회전커넥터는, 미리 복수의 조인트바를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의 피치에 맞추어 절연지지체에 의하여 연결하고, 각 조인트바의 양단에 플랫케이블의 도체와 리드선을 접속한 후, 이들 접속부분을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의 단부와 절연지지체 및 리드선의 절연층을 수지성분 보호체로 피복하고, 그런 다음 이 수지성형 보호체를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랫케이블의 도체와 리드선을 조인트바를 개재하여 도통하면,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조인트바의 평탄면에 점치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얇고 가벼운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절단하지 않고 초음파 용접등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또, 조인트바에 의한 도체와 리드선과의 상호 접속부분이 수지성형 보호체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케이블이나 리드선에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 도체의 파단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각 조인트바를 용접할 때에, 플랫케이블과 절연지지체를 위치결정·지지하기 위한 특수한 치구가 필요해져 접속작업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각 조인트바와의 접속부분은 인장력에 대하여 약하기 때문에, 조인트바의 양단에 플랫케이블의 도체와 리드선을 접속한 후, 이들 접속부분을 수지성형 보호체로 피복하는 성형공정이 필요해지고, 이 점으로부터도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플랫케이블의 도체와 조인트바와의 접속작업이 간단한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고, 다른 목적은 접속후의 인장 강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높일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 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플랫케이블과, 그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접속된 조인트바를 가지고, 그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수지체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리드블록과, 그 리드블록의 각 조인트바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도출되는 리드선을 구비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에 상기 수지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금속제의 압압판을 설치하고, 그 압압판에 의하여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리드볼록에 지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측면에 상기 압압판과 걸어 멈춰지는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를 조인트바에 접속할 때, 수지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압압판을 절곡하고, 미리 압압판에 의하여 리드블록상에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지지하여 놓으면, 특별한 치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조인트바를 간단히 용접할 수 있다. 그 때 조인트바의 일부를 수지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이것을 압압판으로서 이용하면, 극히 간단하게 리드블록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플랫케이블의 측면에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에 압압판을 걸어 멈춰지게한 경우,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에 작용하는 인장이 이들 노치와 압압판과의 걸어멈춰짐부분에 흡수되기 때문에, 성형이 번거로운 수지성형 보호체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조인트바와의 접속부분의 파단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제2도는 그 회전커넥터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그 회전커넥터 에 구비되는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 및 리드선과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접속부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4도에 나타낸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과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제1하우징, 부호 2는 제2하우징을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하우징(1)을 가동체로서 사용하고, 제2하우징(2)을 고정체로서 사용하고 있다. 제1하우징(1)은 중앙에 센터구멍(3)을 가지는 원판상의 천정판(4)과, 센터구멍(3)의 주변둘레로부터 직하되는 내통체(5)로 구성되어 있고, 내통체(5)의 하부에는 센터구멍(3)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5a)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통체(5)의 하단에는 스냅 포올(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천정판(4)에는 돌출부(4a)가 일체로 성형됨과 동시에, 이 돌출부(4a)의 일 측면에 커버(6)가 피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4a)와 커버(6)의 내부에 리드블록(7)이 수납 ·고정되어 있다. 이 리드블록(7)에는 복수의 리드선(8)이 접속되어 있고, 각 리드선(8)은 제1하우징(1)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고, 그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하우징(2)은 중앙에 가이드구멍(9)을 가지는 바닥판(10)과, 이 바닥판(10)의 외주둘레로부터 기립하는 외통체(11)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바닥판(17)과 외통체(11)는 열코킹 등의 수단으로 접합·일체화되어 있다. 또, 바닥판(10)과 외통체(11)의 일부에는 돌출부(10a), (1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10a), (11a)의 내부에 리드블록(12)이 수납·고정되어 있다. 이 리드블록(12)에는 복수의 리드선(13)이 접속되어 있고, 각 리드선(13)은 제2하우징(2)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고, 그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통체(5)의 스냅포올(5b)은 바닥판(10)의 가이드구멍(9)에 스냅인되어 있고, 천정판(4)의 외주둘레가 외통체(11)의 상단을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내통체(5)의 하단이 가이드구멍(9)내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1하우징(1)과 제2하우징(2)은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 양 하우징(1), (2)사이에는 링상의 공간을 획성되어 있고, 이 공간내에는 플랫케이블(14)이 예클들면 소용돌이 모양으로 권회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플랫케이블(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돌출부(4a)와 커버(7)의 내부 및 양 돌출부(10a), (11a)의 내부에서 리드블록(7), (12)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되어 넣어져 사용되는데, 그 때 제2하우징(2)은 스티어링 컬럼등의 스테이터 부재에 설치되고, 제2하우징(2)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된 리드선(13)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커넥터를 개재하여 차체측에 배설된 에어백 회로 등에 접속된다. 또, 제1하우징(1)은 핸들에 설치되고, 제1하우징(1)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된 리드선(8)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커넥터를 개재하여 핸들측에 장착된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등에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에 즈음하여, 핸들에 연동하여 제1하우징(1)이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케이블(14)이 내통체(5)의 외주면에 조여 감겨지고, 이것과는 역으로 핸들에 연동하여 제1하우징(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케이블(14)이 외통체(11)의 내주면에 되돌려 감겨진다.
다음에 플랫케이블(14)의 양단과 리드블록(7), (12) 및 리드선(8), (13)의 접속구조를, 플랫케이블(14)의 외단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랫케이블(14)은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도체(15)를 한쌍의 절연필름(16)으로 래미네이트한 띠상체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3개의 도체(15)를 매설한 3회로용의 플랫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플랫케이블(14)의 외단부에 있어서, 각 도체(15)는 절연필름(16)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되어 있는데, 그 선단은 절연필름(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당해 개소가 연결부(17)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17)에 있어서의 절연필름(16)에는 한쌍의 위치결정 구멍(15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연결부(17)의 근방에 위치하는 절연필름(16)양 측면에는 노치(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드선(13)은 둥근선의 케이블이라도 불리우는 것으로, 원통상의 절연튜브(13a)에 의하여 도체인 트위스트와이어(13b)이 피복되어 있다.
또, 상기 리드블록(12)은 절연성의 수지체(18)와, 이 수지체(18)의 내부에 지지된 복수의 조인트바(19)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플랫케이블(14) 도체(16)의 수에 대응하여 3개의 조인트바(19)가 사용되고 있다. 각 조인트바(19)는 도전성에 뛰어난 구리재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형상은 장방형이고, 표리 양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체(18)에는 제1창구멍(20)과 제2창구멍(21)이 개설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창구멍(20), (21)사이에 위치하는 돌기(18a)가 입설되어 있고, 각 조인트바(19)는 제1 및 제2창구멍(20), (2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1창구멍(20)은 연속하는 하나의 구멍인데, 제2창구멍(21)은 수지체(18)에 의하여 서로 격리되어 있고, 각 제2창구멍(21)으로부터 수지체(18)의 일단면에 걸쳐 오목홈(18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조인트바(19)의 간격은 플랫케이블(14)의 도체(16)와 대략 같은 피치로 설정되어 있고, 이들 중 중앙을 제외한 양단의 조인트바(19)에는 각각 압압판(19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압압판(19a)은 수지체(18)의 측면으로부터 거의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드볼록(12)에 대하여 플랫케이블(14)과 리드선(13)을 접속하는 경우, 먼저 플랫케이블(14)을 리드블록(12)상에 겹치게 하고, 연결부(17)의 위치결정 구멍(15a)을 수지체(18)의 돌기(18a)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플랫케이블(14)은 리드볼록(12)에 대하여 위치결정되고, 각 도체(16)가 제1창구멍(20)내에서 각 조인트바(19)의 평탄면상에 서로 겹쳐짐과 동시에, 양 노치(15b)가 양 압압판(19a)의 맨 위에 서로 겹쳐지게 된다. 그런 다음, 양 압압판(19a)을 내측으로 절곡하고, 그 밑을 노치(15b)에 걸어 멈춰지게 하면,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케이블(14)의 단부가 양 압압판(19a)에 의하여 리드블록(12)에 지지되고, 이후 플랫케이블(14)과 리드블록(12)은 일체물로서 취급된다. 다음에 각 리드선(13)의 절연튜브(13a)을 리드블록(12)의 오목홈(18b)에 끼워넣고, 트위스트 와이어(13b)의 선단을 제2창구멍(21)내에서 각 조인트바(19)의 평탄면상에 서로 겹쳐지게 한 후, 그 상태에서 제1창구멍(20)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용접용 치구를 각 도체(16)와 조인트바(19)의 겹치는 부분에 당접시켜 이들 도체(16)와 조인트바(19)를 스폿용접 흑은 초음파 용접한다. 이 때 플랫케이블(14)과 리드블록(12)은 압압판(19a)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용 치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도체(16)와 조인트바(19)를 간단하게 용접할 수가 있다. 또, 이것에 전후하여 제2창구멍(21)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알은 용접용 치구를 각 리드선(13)의 트위스트 와이어(13b)와 조인트바(19)의 겹치는 부분에 당접시켜 이들 트위스트 와이어(13b)와 조인트바(19)를 스폿용접 혹은 초음파 용접한다.
이와 같이 리드블록(12)에 대하여 플랫케이블(14)과 리드선(13)을 접속한 후,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블록(12)을 외통체(11)의 돌출부(11a)에 설치한 수납오목부(22)내에 삽입한다. 수납오목부(22)는 리드블록을 하우징에 계지부로 되어 있고, 수납오목부 주위의 벽은 리드블록을 보호하는 보호부로 되어 있다. 그 때, 수납오목부(22)의 내벽에는 가이드돌기(22a)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지체(18)의 이면에 연장 설치한 홈(18c)을 이 가이드 돌기(22a)에 따라 압압하여 넣음으로써, 리드블록(12)을 수납오목부(22)내의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외통체(11)의 하면에 바닥판(10)을 입히고, 바닥판(10)으로부터 리드선(13)을 도출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외통체(11)를 열로킹등으로 접합·일체화하면, 리드블록(12)을 제2하우징(2)의 돌출부(10a), (11a)내에 수납·고정된다. 또 플랫케이블(14)의 내단측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는데, 리드볼록(7)의 수납위치에 돌출부(4a)와 커버(6)사이에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외단측의 접속구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랫케이블(14)과 리드블록(12)이 수지체(18)의 양 측면에 돌출하는 한쌍의 압압판(19a)에 의하여 일체화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케이블(14)의 각 도체(16)를 리드블록(12)의 조인트바(19)에 용접할 때, 특별한 위치결정 치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고 또 확실하게 용접할 수가 있다. 또, 압압판(19a)은 조인트바(19)의 일부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수지체(18)를 성형할 때 에, 압압판(19a)을 조인트바(19)의 위치결정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대단히 간단하게 리드블록(12)을 성형할 수가 있다 또한, 플랫케이블(14)의 절연필름(16) 양측면에 노치(15b)를 형성하고, 이들 노치(15b)에 각 압압판(19a)을 걸어 멈져지게 하였기 때문에, 플랫케이블(14)과 리드블록(12)에 작용하는 인장을, 이들 노치(15b)와 압압판(19a)의 걸어멈춤부분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이 번거로운 수지성형 보호체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플랫케이블(14)의 각 도체(16)와 조인트바(19)와의 접속부분의 파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랫케이블의 양단에 리드블록을 개재하여 리드선이 접속된 회전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을 플랫케이블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리드블록을 개재하여 리드선에 접속되어 있으면 좋은데, 예를들면 어느 한쪽의 하우징에 커넥터하우징을 일체로 성형하고, 이 커넥터하우징내에 설치한 커넥터 단자에 플랫케이블의 일단을 접속한 편측을 다이렉트 커넥로 한 회전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압판을 조인트바에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압압판과 조인트바는 별체이어도 좋고, 예를들면 조인트바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를 각 조인트바와 함께 수지체에 지지하고, 이 금속재의 일부를 수지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압압판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를 조인트바에 접속할 때에, 리드블록에 설치된 압압판에 의하여 그 리드블록상에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위치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용 치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조인트바를 간단하게 용접할 수 있다.
또, 플랫케이블의 측면에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에 압압판을 걸어 멈추어지게 하면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에 작용하는 인장이, 이들 노치와 압압판과의 계지부분에서 홈수되기 때문에, 성형이 번거로운 수지형성 보호체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조인트바와의 접속부분의 파단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가요성케이블인 플랫케이블과,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각 도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접속된 조인트바와, 상기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수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리드블록과, 상기 리드볼록의 각 조인트바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도출한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블록에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도체를 상기 조인트바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수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을 지지하는 압압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이 상기 조인트바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수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의 노치와 걸어 맞춰지는 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노치는 구멍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도체를 상기 조인트바에 대하여 접속하기 위한 창구멍을 상기 리드볼록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볼록을 절연피복없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가요성케이블인 플랫케이블과,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각 도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접속된 조인트바와 상기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수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리드블록과, 상기 리드블록의 각 조인트바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도출한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블록에 상기 리드선을 상기 조인트바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동심상으로 또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가요성케이블인 플랫케이블과, 상기 가요성케이블의 각 도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접속된 조인트바와 상기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수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걸어 멈춤부에 걸려 멈져지는 동시에 하우징에 설치된 보호부에 의하여 보호된 리드블록과, 상기 리드블록의 각 조인트바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도출한 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볼록은 상기 하우징의 걸어멈춤부인 수납오목부의 내벽에 설치된 가이드부에 가이드되는 위치결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터넥터.
KR1019960003118A 1995-02-10 1996-02-09 회전커넥터 KR100194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22915 1995-02-10
JP02291595A JP3373966B2 (ja) 1995-02-10 1995-02-10 回転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11A KR960032811A (ko) 1996-09-17
KR100194157B1 true KR100194157B1 (ko) 1999-06-15

Family

ID=1209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118A KR100194157B1 (ko) 1995-02-10 1996-02-09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83259A (ko)
JP (1) JP3373966B2 (ko)
KR (1) KR100194157B1 (ko)
DE (1) DE1960479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541A (ja) * 1996-09-13 1998-04-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JP3253541B2 (ja) * 1996-10-25 2002-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と端子の接続構造
JP3269977B2 (ja) * 1996-11-13 2002-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この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DE19724336A1 (de) * 1997-06-10 1998-12-17 Mannesmann Vdo Ag Steckverbindung
JP3378194B2 (ja) * 1998-05-12 2003-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コネクタ
DE19825692A1 (de) 1998-06-09 1999-12-16 Alcatel Sa Drehverbinder mit Flachbandleitung und Rundleiter
ES2152868B1 (es) * 1998-12-18 2001-09-01 Mecanismos Aux Es Ind S L Metodo para la interconexion ultrasonica multidireccional de cables planos.
JP3561435B2 (ja) * 1999-05-14 2004-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3693859B2 (ja) * 1999-07-15 2005-09-14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US6232556B1 (en) * 2000-02-23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Flat wire to round wire connection system
JP3787055B2 (ja) * 2000-06-22 2006-06-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撓性ケーブルとリードブロックとの接続方法
DE60200061T2 (de) * 2001-01-18 2004-07-08 Alps Electric Co., Ltd. Drehverbinder
DE10116295A1 (de) * 2001-03-31 2002-10-10 Nexans France S A Vorrichtung zur Strom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US6733300B2 (en) * 2001-07-05 2004-05-11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equipped with versatile lead block
JP2003032870A (ja) * 2001-07-16 200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4063402A (ja) * 2002-07-31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TW586686U (en) * 2003-03-17 2004-05-01 Delta Electronics Inc Flat flexible cable with connector
US20060014598A1 (en) * 2004-06-17 2006-01-19 John C. Martin Game and target shot marker
US7410387B2 (en) * 2006-10-04 2008-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ain relief for a flat flexible cable
JP2010110197A (ja) * 2008-09-30 2010-05-13 Yamaha Motor Co Ltd 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船舶用推進機
US8308505B2 (en) * 2009-12-09 2012-11-13 Scott Hatton Guarded coaxial cable assembly
TWM421617U (en) * 2011-06-09 2012-01-21 Bing Xu Prec Co Ltd Cable connector
JP5886148B2 (ja) * 2012-06-21 2016-03-1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4081595B (zh) * 2012-07-26 2016-08-24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DE102013019562A1 (de) * 2013-11-22 2015-05-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ignalen an und/oder von einem drehbaren Bauteil eines Kraftfahrzeugs, Lenksäulenmodul und Kraftfahrzeug
DE102014105187A1 (de) 2014-04-11 2015-10-1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Flachbandkabel
JP6447240B2 (ja) * 2015-02-27 2019-01-09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WO2017208521A1 (ja) * 2016-05-31 2017-1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696840B2 (ja) * 2016-06-21 2020-05-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GB201719522D0 (en) 2017-11-24 2018-01-10 Pilkington Group Ltd Electrical connector glazing havingthe same and method of fitting the glazing
JPWO2021045047A1 (ko) * 2019-09-05 2021-03-11
DE102021001962A1 (de) * 2021-04-14 2022-10-20 Kostal Automobil Elektrik Gmbh & Co. Kg Wickelfederk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763A (en) * 1986-04-15 1988-05-17 Furukawa Electric Co., Ltd. Connector device for a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two relatively rotating members
DE3640385A1 (de) * 1986-11-26 1988-06-09 Triumph Adler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leitungen miteinander an einem geraeteteil
JPH0719626B2 (ja) * 1987-02-20 1995-03-0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遮蔽型フラツトケ−ブルのコネクタ−構造
JPH0454714Y2 (ko) * 1988-05-23 1992-12-22
JPH02197207A (ja) * 1989-01-26 1990-08-0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ード線と平型電線との接続方法
JPH079342Y2 (ja) * 1989-04-12 1995-03-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ラツトケーブルとリード線の接続コネクタ
ES2063842T3 (es) * 1990-01-13 1995-01-16 Petri Ag Elemento de union para establecer una conexion electrica entre dos piezas que giran entre si.
DE9011815U1 (ko) * 1990-08-14 1990-10-18 Siemens Ag, 8000 Muenchen, De
US5067650A (en) * 1990-11-07 1991-11-26 Jones Mark G Mailbox protector
US5230713A (en) * 1990-11-17 1993-07-27 Kabelmetal Electro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current between two end points
DE4329117C2 (de) * 1993-08-30 2002-02-07 Takata Petri Ag Stromverbinder für eine mehrpolige in einem Gehäuse geführte Leitung ####
JP3123325B2 (ja) * 1993-12-16 2001-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US5429517A (en) * 1994-02-14 1995-07-04 Methode Electronics, Inc.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JP3113491B2 (ja) * 1994-03-18 2000-11-27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3114914B2 (ja) * 1994-07-01 2000-12-04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04797A1 (de) 1996-08-14
KR960032811A (ko) 1996-09-17
DE19604797C2 (de) 2003-06-18
JPH08222337A (ja) 1996-08-30
JP3373966B2 (ja) 2003-02-04
MX9600552A (es) 1997-07-31
US5683259A (en) 1997-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57B1 (ko) 회전커넥터
US6247977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292769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導通接続部の保護方法及びその保護構造。
US20180233893A1 (en) Structure of Inter-Conducting Path Connecting Portion and Wire Harness
JPH08330003A (ja) 電線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5698523B2 (ja) シールド構造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5561266A (en) Cable connector
JPH03155321A (ja) 二つの終端位置間で送電を行うための装置
JP3520220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2042924A (ja) 電気接続構造
KR0152593B1 (ko) 회전 커넥터
JP3787055B2 (ja) 可撓性ケーブルとリードブロックとの接続方法
JP2013187150A (ja) 回転コネクタ
JP3427027B2 (ja) 回転コネクタ
JP5394456B2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3299852B2 (ja) ケーブルとコネクタの接続構造
WO2023112455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3170189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JP2999604B2 (ja) ケーブルリール
US6257909B1 (en) Rotary joint with flat conductor and circular conductor
JPH0424630Y2 (ko)
JPH1026145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1258142A (ja) 電線群の端末集中溶接部分の保護構造
JPH09167648A (ja) 接続構造
JPH08195263A (ja) 成形ケーブルおよび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