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240B1 -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240B1
KR100188240B1 KR1019950072165A KR19950072165A KR100188240B1 KR 100188240 B1 KR100188240 B1 KR 100188240B1 KR 1019950072165 A KR1019950072165 A KR 1019950072165A KR 19950072165 A KR19950072165 A KR 19950072165A KR 100188240 B1 KR100188240 B1 KR 10018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er
laminated sheet
cut
flexi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420A (ko
Inventor
노리유키 가미조
겐지 와따나베
다카노부 가메다
지에코 아이다
도모유키 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야모토 아키라
킹 짐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앱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모토 아키라, 킹 짐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앱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모토 아키라
Publication of KR96002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26D7/02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acting upon plana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0Making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62Rounding off the end of self adhesive labels on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8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on a desk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1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8Active means to control depth of s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605Cut advances across work surfa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커터의 절삭 깊이에 높은 정도를 요구하는 일 없이, 적층 시트의 안정한 하프커트를 가능하게 하는 적층 시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재시트(11)와 박리 시트(12)로 구성된 적층 시트(10)를 박리시트(12)를 남기고 기재시트(11)만을 소정의 평면 형상으로 절단하는 적층 시트(100의 하프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23)를 받는 것으로 하여, 적층 시트(100)를 그 박리 시트(12)측을 유연재(23)측을 향해 유연재(23)에 부동으로 밀접하게 두고, 칼날의 선단(32a)을 갖는 커터(32)를 칼날의 선단(32a)의 선단부가 유연재(23)에 달하는 절삭 깊이로, 적층 시트(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절단 이동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테이프 인쇄 장치에 실시한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과 종래예의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확대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 테이프의 하프 커트(halfcut)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박리 작업의 공정을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장치의 커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6도의 상태에서 캐리지가 점착 테이프의 좌단 근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7도의 상태로부터 캐리지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8도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도의 부분 측면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7도의 상태의 부분 측면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커터와 유연재, 및 점착 테이프의 높이 방향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측면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커터 작동시에 있어서의 유연재의 상황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부분 측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점착시이트와 유연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유연재의 다른 구성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유연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축 검출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부분 측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폭 검출구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로서 커팅 플로터(plotter)에 실시한 개요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24도는 커트의 절삭 깊이와 하프 커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의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인쇄 장치 5 : 하프 커트 장치
10 : 점착 테이프 11 : 기재 테이프
12 : 박리지 20 : 위치 결정부
23 : 유연재 24 : 가압판
26 : 캐리지 구동 모터 26a : 출력축
27 : 피니언 28 : 캐리지
29 : 랙 30 : 레일
31 : 커터홀더 32 : 커터
36 : 제어 장치 37 : 홀더 구동 모터
38 : 웜 39 : 편심축부
40 : 유연재 지지 베이스 42 : 마찰차
43 : 돌기아암 45 : 판 스프링
46a : 가압단부 47 : 위치 결정벽
49 : 검출 스위치 50 : 가압 스프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재(基材) 테이프에 박리 테이프를 점착한 점착 테이프등의 적층 시이트에 있어서, 그 기재 테이프만을 커트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테이프 등의 시이트 형상 부재에 소망하는 문자 등을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에 사용되는 테이프는 기재에 점착재를 도포한 기재 테이프에 박리지를 점착한 소위 점착 테이프이며, 기재 테이프의 표면에 인쇄를 한 후 소망의 칫수로 재단하여 라벨 모양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할 때에 점착 테이프에서 박리지를 잡아뜯어서 소망하는 점착 대상물에 점착한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가 얇어서 박리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로 부터 점착 테이프의 끝부분을 하프 커트(halfcut : 박리지를 남기고 기재 테이프만을 절단)하여, 박리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커트 방법 및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7-9883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하프 커트의 방법 및 장치는 점착 테이프에 커터를 수직으로 내리 베는 프레스 절단 형식의 것이며, 점착 테이프는 경질의 프레임 위에 지지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트 방식으로는, 박리지를 절단하지 않고, 기재 테이프(및 점착제)만을 절단할 필요가 있고, 커트의 절입 깊이를 수미크론에서 수십미크론 단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나 제어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과 동시에, 하프 커트의 안정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치를 정밀도 좋게 구성할 수가 있어도, 점착 테이프 자체, 동일 종류의 테이프라도, 그 두께의 불균형이나 재질의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하프 커트는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커터의 절입 깊이에서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일없이, 적층 시이트의 안정된 하프 커트를 가능케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은, 기재 시이트와 박리 시이트로 구성된 적층 시이트를 박리 시이트를 남기고 기재 시이트만을 소정의 평면형상으로 절단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를 수용하고, 적층 시이트를 그 박리 시이트 유연재측으로 향하여 유연재에 움직이지 않게 밀접 하게두고, 비스듬한 칼날의 날끝은 갖는 커터를 날끝을 선단부가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에서, 적층 시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단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를 수용하여 이것에 움직이지 않게 밀접한 적층 시이트를, 비스듬한 칼날의 날끝을 갖는 커터를 사용하며, 날끝의 선단부가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로 절단 이동시키면, 적층 시이트는 커터의 날끝에서 절입됨과 동시에, 날끝으로부터 받는 분력으로 유연재측에 눌려진다. 상기 누름에 의하여, 유연재가 휨과 동시에 이것에 밀접한 적층 시이트도 휘게 하고, 결국 커터측에 위치하는 기재 시이트는 절단되지만, 유연재측에 위치하는 박리시이트는 유연재측으로 피하여서 절단되는 일이 없다. 상기 경우에, 커터의 절입 깊이와 유연재의 유연성(경도)은 협력하여서 하프 커트가 되기 때문에, 하프 커트를 위한 커터의 절입 깊이의 허용 범위가 충분히 넓어진다. 그리고, 커터의 절단이동은, 커터측을 고정하고 유연재 측을 이동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하프 커트를 위한 허용 범위를 넘은 커터의 절입 깊이로 하면, 적층 시이트의 풀 커트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기재 시이트의 강성은 박리 시이트의 강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터의 날끝에서 받는 분력에 의하여, 기재 시이트는 작게 휘고, 박리 시이트는 크게 휘기 때문에, 기재 시이트는 보다 절단되기 쉬어지며 동시에, 박리 시이트는 기재 시이트에서 박리하도록 하여 유연재 측에 크게 도피되어 보다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의 표면은 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 또는 흡착성은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에 밀접되어 있는 적층 시이트 보다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층 시이트를 비교적 약한 힘으로 눌러두어도 적층 시이트를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여 둘 수 있고, 커터의 절단 이동(절단 저항)에 대하여, 적층 시이트는 바른 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 한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의 경도가 JIS의 HS 경도계로 5∼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터의 날끝으로 부터 받는 분력에 의하여 유연재를 알맞은 정도로 휠 수가 있고, 기재 시이트가 절단되고 또한 박리 시이트가 유연재측으로 도피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할 수가 있다. 즉, 하프 커트를 위한 커터의 절입 깊이의 허용 범위를 보다 넓게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를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는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를 적당한 정도의 부드러움을 갖음과 동시에 절단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가 있고, 또한 적당한 정도의 점착성을 갖는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유연재는 적층 시이트의 세트 위치를 넘어서 넓게 연장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연 완료 위치와, 절입 도중 위치와의 사이에서, 커터의 날끝의 분력(가압력)에 대하여, 유연재의 휨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연재의 끝변과 적층 시이트의 끝변이 일치하고 있으면, 커터를 절입할 때에 유연재는 그 절입점에 대하여 180도의 영역에서 상기의 분력을 받는 것이 되지만, 유연재는 적층 시이트의 세트 위치를 넘어서 넓게 연장되어 있으면, 절입 점에 대하여 360도의 영역에서 분력을 받는 것이 되며, 절입 도중의 부분과 동일한 조건으로 휘게 된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위치에 대응하는 유연재의 부위가 절입 도중 위치에 대응하는 유연재의 부위보다 경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의 각 부의 경도가 다르게 됨으로써, 상기의 절입 개시위치 및 절입 완료위치와, 절입 도중 위치와를 동일한 피절단 조건으로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절단 저항이 크게 되는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있어서의 유연재의 반력을 절입 도중 위치에서의 유연재의 반력 보다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커터의 절단 궤적위에서, 유연재 휨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보다 더 안정적인 하프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에 대한 커터의 상대적인 절입 깊이를,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깊게 되고, 절입 도중 위치에서는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정적인 하프 커트를 커터의 절입 깊이의 얕음에 의하면 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절입 깊이의 변화는 커터측의 이동 및 유연재측의 이동의 어느 것이라도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터 방법에 있어서, 적층 시이트는 점착재 및 기재로 구성되는 기재 테이프에 박리 테이프를 점착한 점착 테이프이며, 소정의 평면형상은 점착 테이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측 면부를 R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양쪽 R형상을 직선으로 연결한 다음 면이 잘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박리 테이프를 용이하게 박리 시키기 위한 손붙일 곳을 만들도록 하는 점착 테이프의 하프 커트와, 점착 테이프의 정형 절단(다듬어짐)을 동시에 또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는, 기재 시이트와 박리 시이트로 구성된 적층 시이트를, 박리 시이트를, 남기고 기재 시이트만을 소정의 평면형상으로 절단하는 적층 시이트의 하프 커트 장치에 있어서, 비스듬한 칼날의 날끝을 갖는 커터와, 적층 시이트를 수용하는 유연재와, 유연재에 적층 시이트를 그 박리 시이트를 유연재측으로 돌린 상태로 밀접하게 되는 유지수단과, 날끝의 선단부가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가 되도록 커터를 유지함과 동시에, 커터를 소정의 평면형상에 따라서 적층 시이트 및 유연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절단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지수단에 의해 유연재에 움직이지 않게 밀접한 적층 시이트에 대하여, 비스듬한 칼날의 날끝을 갖는 커터를, 이동 수단에 의해 날끝의 선단부가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로 절단이동시키면, 적층 시이트는 커터의 날끝으로 절입됨과 동시에 날끝에서 받는 분력으로 유연재측에 가압된다. 상기 가압에 의하여, 유연재는 휨과 동시에 이것에 밀접한 적층 시이트도 휘게 되고, 결국 커터측에 위치하는 기재 시이트는 절단되지만, 유연재측에 위치한 박리 시이트는 유연재측으로 도피하여 절단되는 일이 없다. 이 경우, 커터의 절입 깊이와 유연재의 유연성(경도)은 협력하여 하프 커트가 행해지기 때문에, 하프 커트를 위한 커터의 절입 깊이의 허용 범위는 충분히 넓어진다. 한편, 하프 커트를 위한 허용범위를 넘은 커터의 절입 깊이로 하면, 적층 시이트의 풀 커트도 가능하여진다. 이럴 경우에는, 커터를 유연재로 받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 동작에 있어서 소음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커터의 파손이나 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커터의 절단 이동은, 커터측을 고정하여 유연재를 이동시키는 것이라도 충분 하다.
청구범위 제11항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기재 시이트의 강성은 박리 시이트의 강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터의 날끝에서 받는 분력에 의해 기재 시이트는 작게 휘고, 박리 시이트는 크게 휘기 때문에, 기재 시이트는 보다 절단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박리 시이트는 기재 시이트에서 박리하도록 하여 유연재측에 크게 도피하여, 보다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즉 하프 커트는 양호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1항 또는 제12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의 표면이 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 또는 흡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에 밀접되어 있는 적층 시이트가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지 수단에 의하여 적층 시이트를 비교적 약한 힘으로 눌러두어도 적층 시이트를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여 둘 수 있고, 커터의 절단 이동(절단 저항)에 대하여, 적층 시이트가 위치 벗어남이 없다. 따라서, 유지 수단의 유지 기능을 보전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의 경도는, JIS의 HS 경도계로 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터의 날끝에서 받은 분력에 의하여 유연재를 적당한 정도로 휘게 할 수가 있고, 기재 시이트는 절단되고 또한 박리 시이트는 유연재측으로 도피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는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를 적당한 정도로 부드러움을 갖음과 동시에 절단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가 있고, 또한 적당한 정도인 점착성을 갖는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유연재가 적층 시이트를 넘어서 넓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연재의 각 부의 경도가 다름에 따라, 상기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와, 절입 도중 위치와를 동일한 피절단 조건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 저항이 크게 되는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있어서의 유연재의 휘는 힘보다 크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커터의 절단 궤적위에 있어서의 유연재의 휨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가 있고, 보다 더 안정적인 하프 커트 및 풀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에 대한 커터의 상대적인 절입의 깊이를 조정하는 절입 깊이 조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절입 깊이 조정 수단과, 절단 이동에 따라서 절입의 깊이를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깊게 되고, 절입 도중 위치에서는 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안정적으로 하프 커트 및 풀 커트를 절입 깊이 조정 수단에 의한 커터의 절입의 깊이의 깊고 얕음의 조정 수단에 의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9항에 기재된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는 전체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있으며, 깊이 절입 깊이 조정수단은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깊이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커터측에 담아서 형성한 유연재 지지 베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조상과 가동 부분을 만들지 않고, 커터의 절입 깊이의 깊고 얕음 조정을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연재에 도달하는 커터의 선단부에는, 날붙음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층 시이트의 기재 시이트를 절단하고, 박리 시이트를 절단하지 않는 하프 커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적층 시이트를 유연재에 누르는 누름판을 갖고, 누름판에는 커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서 창이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층 시이트의 절단되는 부위의 주변이 누름판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커터의 절단 이동에 즈음하여 적층 시이트의 무용한 비뜰어짐이나 틀어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청구범위 제22항의 적층 시이트 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는 누름판을 적층 시이트에 대하여 누르고 누름 해제시키는 누름판 작동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누름판 작동 기구는 이동 수단의 작동에 연동하여, 커터의 절단 이동때에 누름판은 누름 동작시킴과 동시에 절단 이동의 전후에 누름판을 누름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층 시이트의 유지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적층 시이트의 세트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23항중의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장치에 있어서, 이동 수단은 날끝을 이동 방향으로 돌려서 커터를 유지하는 커터 홀더와, 커터 홀더를 회전 운동시키는 홀더 구동 장치와, 커터 홀더 및 홀더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직선 운동시키는 캐리지 구동 장치와, 홀더 구동 장치 및 캐리지 구동 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 장치에 의해, 홀더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서 커터 홀더를 회전 운동시키면, 원 또는 원호 형상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고, 캐리지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서 캐리지를 직선 운동시키면, 직선적인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 시이트에 대해 원호와 직선을 짜맞춘 임의의 형상의 하프 커트 및 풀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지 구동 장치는, 캐리지를 X축 방향뿐 아니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도 양호하다.
청구범위 제24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커트는 커터 홀더에 대하여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 조절 가능케 장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경이 다른원 또는 원호형상의 절단을, 적절하게 행할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4항 또는 제25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홀더 구동 장치는 홀더 구동 모터와 홀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워엄을 갖고, 커터 홀더는 외주부에 워엄 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홀더 구동 장치의 홀더 구동 모터에서 커터 홀더에, 워엄 톱니바퀴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통상의 톱니바퀴가 갖는 바크라 슈의 영향이 없고, 즉 커터의 이동 방향에 커터가 생기는 일이 없고, 커터 홀더에 부착된 커터를 정확하게 전달 이동시킬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4항, 제25항, 제26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커터 홀더를 유연재측으로 부세하는 용수철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수철에 의하여 커터 홀더를 통하여 커터를 유연재측에 가압하는 것으로 되고, 커터 홀더가 갖는 슬러스트방향의 무늬 찍음은 해소할 수가 있고, 또한 커터의 절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4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캐리지 구동 장치는 캐리지 구동 모터와 캐리지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캐리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캐리지에는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리지 구동 모터에서 캐리지에 래크·피니언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캐리지 구동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8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는 커터를 걸쳐서 상호 평행으로 설치한 둥근막대 형상의 한쌍의 레일로 구성되어 있고, 한쌍의 레일의 적어도 한쪽은 편심축부를 갖고, 한쪽의 레일은 편심축부에서 지지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레일은 편심축부에서 지지 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에 대하여 레일 자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편심량의 2배의 양의 레일의 위치를 이동 조정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레일을 통하여 캐리지의 유연재에 대한 이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즉 커터의 절입 깊이를 미세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한쌍의 레일은 커터를 걸쳐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의 레일만의 이동 조절에 있어서는, 그 이동량의 수분의 1의 양이 커터의 절입 깊이에 반영되는 것이 된다.
청구범위 제24항 내지 제29항의 어느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적층 시이트는 점착제 및 기재로 구성되는 기재 테이프에 박리 테이프를 점착한 점착 테이프이며, 또한 점착 테이프는, 그 길이 방향이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도록 세트되고, 제어 수단은 점착 테이프의 폭방향에 대하여, 홀더 구동 장치를 통하여 커트를 한쪽의 측면에서 1/4원을 그리도록 절단 이동시킨 후, 캐리지 구동 장치를 통하여 커터를 점착 테이프의 단변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절단 이동시켜, 최후에 홀더 구동 장치를 통하여 1/4원을 그리도록 다른 쪽의 측면까지 절단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의 절단 형상은,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변부를 R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양쪽 R형상을 직선으로 연결한 다듬어진 형상으로 되며, 박리 테이프를 용이하게 박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점착 테이프의 하프 커트와, 점착 테이프의 정형 절단 (다듬어짐)과를 동시에 그리고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물론, 다듬어진 형상의 풀 커트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30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1/4원의 절단 이동개시 위치 및 1/4원의 절단 완료 위치에 있어서, 커터는 점착 테이프의 측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에 커터가 절입될 때, 커터가 그리는 원호의 접선과 점착 테이프의 측면이 예각으로 교차되게 되어, 완전한 R형상의 절단으로 안되지만, 커터의 날끝이 점착 테이프의 측면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절단 이동 개시위치 및 절단 이동 완료위치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세트 위치의 벗어남등에 의한 커터의 날끝과 점착 테이프와의 간섭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0항 또는 제31항에서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긴변 방향의 세트 위치를 규제하는 끝변 규제 부재를 부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끝변 규제 부재와 커터의 이동 궤적 사이의 칫수가 박리 테이프를 용이하게 박리시키기 위한 점착 테이프의 손잡이 칫수로 되기 때문에, 손잡이 칫수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0항, 제31항 또는 제32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도입된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을 검출하는 테이프폭 검출 장치를 부가로 갖고, 제어 장치는 테이프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캐리지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의 테이프폭에 대응하여, 박리 테이프를 용이하게 박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만드는 하프 커트와, 점착 테이프의 정형절단(다듬기)과를 동시에, 그리고 정확하게 할 수가 있고, 각종 폭이 다른 점착 테이프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3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폭 검출 장치는 점착 테이프의 한쪽의 측변이 접하는 측변 규제 부재와, 점착 테이프의 다른 쪽의 측변을 눌러서 이것을 측변 규제부재에 맞히는 누름 기구와, 누름 기구의 작동에 근거하여, 누름 기구의 누름 끝과 측변 규제부재와의 사이에 거리를 계측하는 엔코더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기구에 의하여, 점착 테이프의 다른 쪽의 측변을 눌러서 측변 규제부재에 맞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폭 검출 장치에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을 겸하게 할 수가 있고, 장치 구성을 단순화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4항에 기재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누름 기구는 캐리지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더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4항 또는 제35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절단 이동에 앞서, 커터는 캐리지 구동 모터에 의하여,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누름기구는 커터의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위치까지의 이동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터가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점착 테이프의 테이프폭 검출과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기 때문에, 커터의 절단 이동 동작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일련의 동작을 신속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36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누름기구는, 일단에 누름판이 설치되어 점착 테이프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부딪치는 아암과, 피니언과 동축위에 캐리지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부딪치는 아암에 접촉하는 마찰차를 가지며, 마찰차는 피니언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원을 공용하여도 누름기구에 의하여 점착 테이프를 측변 규제 부재에 돌출하여 맞추는 이동 동작이, 커터의 이동 동작 보다도 빨라지기 때문에, 특별한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커터가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점착 테이프의 테이프 폭 검출과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누름 기구의 돌출되어 맞아 들어가는 아암에는, 마찰차를 통하여 캐리지 구동 모터에서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누름기구가 점착 테이프를 측변 규제부재에 돌출되어 맞춘 후에는, 마찰차가 미끄러져 회전한다. 이 때문에, 캐리지 구동 모터의 구동이 저지되는 일 없이, 점착 테이프의 위치 결정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커터의 원래 위치로의 복귀에 연동하여, 누름 기구의 원위치로의 복귀도 원활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37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누름 기구는 부딪치는 아암을 마찰차쪽으로 가압하는 용수철을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딪치는 아암을 마찰차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37항 또는 제38항의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엔코더는 부딪치는 아암에 형성된 요철부와, 부딪치는 아암의 이동에 따라서, 요철부에 접촉하여 온-오프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스위치와,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누름 기구의 누름 끝과 측변 규제부재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카운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각종의 규격폭의 점착 테이프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커트 장치를 적용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것처럼, 테이프 인쇄 장치(1)에는, 앞부에 다수의 키(2a)를 갖는 키 보드(2)가 설치되고, 후부에 개폐 두껑(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두껑(3)을 개방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내부에는, 테이프 카트리지, 인쇄 기구등(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측면에는, 인쇄후의 점착 테이프(적층 시이트)(10)가 배출되는 테이프 배출구(4)가 설치되고, 정면에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내장된 하프 커트 장치(5)에 이어지는 테이프 삽입구(6)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소망의 폭의 생(生)점착 테이프(10)가 감겨진 테이프 카트리지를 개폐 두껑(3)을 개방하여 세트한 후, 필요한 문자를 키보드(2) 위의 2a를 조작하여 입력하고, 일정한 속도로 보내어지는 상기의 점착 테이프(10)에 열전사 인쇄등에 의하여 인쇄를 한다. 인쇄가 완료되면, 점착 테이프의 이송이 정지된다. 이때, 점착 테이프(10)의 인쇄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4)로부터 토출되며, 사용자는 수동 조작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하여 그림 밖으로의 커터를 작동시켜서, 점착 테이프(10)의 토출된 부분을 커트한다.
상기 커트된 점착 테이프(10)는 박리지 붙은 점착 테이프(10)이며, 이하 이 점착 테이프(10)의 단부를 박리하기 위하여 하프 커트하는 하프 커트 방법 및 하프 커트 장치(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선 박리지 붙임 점착 테이프(10)의 구조와, 그 하프 커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의 평면도 및 제3도의 확대 측면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적층 시이트인 점착 테이프(10)는, 기재(11a)에 점착제(11b)를 도포한 기재 테이프(기재 시이트)(11)와, 이 점착제(11b)에 의하여 기재 테이프(11)에 점착된 박리지(박리 시이트)(12)로 구성되어 있다. 기재(11a)는 공지된 염화 비닐 수지나 폴리에스텔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박리지(12)는, 보통 종이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재(11a)의 표면에는 상기 인쇄가 되어 있으며, 점착 테이프(10)에서 박리지(12)를 벗긴 후의 기재 테이프(11)가 소망의 점착 대상물에 점착된다. 따라서, 박리지(12)는 점착 테이프(기재 테이프(11))(10)의 사용때 까지 점착제(11b)에 먼지 등이 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며, 기재 테이프(11)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벗겨지도록 되어 있다. 즉, 박리지(12)에는 실리콘 처리등이 되어 있으며, 접착제(11b)가 박리지(12)에 미치는 점착력은, 기재(11a)에 미치는 점착력 보다도 매우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점착 테이프(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박리지(12)를 벗기는 계기를 만들게 되므로 번잡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하프 커트 장치(5)에서는, 제4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점착 테이프(10)의 단부를 양단의 R형상과 양쪽 R형상을 직선으로 연결한 형상에 하프 커트하고, 점착 테이프(10)에서 박리지(12)를 벗기기 위한 손잡이 부(제5도 참조)(10a)를 만들도록 하고 있다. 즉, 점착 테이프(10)의 단부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0)의 박리지(12)를 남기고 기재 테이프(11)만을 절단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 손잡이부(10a)를 손잡이로하여, 꾸부리면서 박리지(12)를 간단하게 벗겨내도록 하고 있다(제5도 참조). 또한, 이 절단 형상에서는, 단지 직선형상으로 하지 않고, 양단은 R형상으로 하여, 소위 점착 테이프(10)의 트리밍(정형절단)을 겸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를 그 기재(11a)측을 위로 하고, 제1도에 나타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테이프 삽입구(6)에 삽입하면 도면 바깥의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삽입이 검출되어서 하프 커트 장치(5)가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점착 테이프(10)의 단부가 트리밍 형상으로 하프 커트된다. 사용자는, 점착 테이프(10)의 긴변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테이프 삽입구(6)에 삽입하여 하프 커트를 한후, 박리지(12)를 벗기어 이것을 점착 대상물에 점착한다.
다음은, 하프 커트 장치(5)에 대하여, 그 동작과 함께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 테이프(10)를 테이프 삽입구(6)에 삽입하면, 점착 테이프(10)는, 테이프 삽입구(6)에 연결되는 안내로(21)를 거쳐서 하프 커트 장치(5)의 내부로 안내된다(제10도 참조). 이 때, 점착 테이프(10)의 선단은 프레임(20)의 위치 결정벽(단변 규제 부재)(22)에 접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제6도 및 제11도 참조).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로(21)의 선단에는, 삽입된 점착 테이프(10)를 유연재(23)측에 누르는 누름판(24)이 설치되어 있고, 누름판(24)은 지축(25)을 통하여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이 경우, 누름판(24)은 도면 바깥의 용수철에 의하여 누름을 해제하는 방향(상부방향)에 부세되고 있으며, 평상시는 누름 해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0)는 저항도 적고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0)는 프레임(20)의 위치 결정벽(22)에 접할때까지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의 삽입이 검출되어 캐리지 구동모터(26)가 회전을 개시한다.
제6도에 있어서,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회전하면, 캐리지 구동 모터(26)의 출력축(26a)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27)은 회전한다. 이 피니언(27)은 캐리지(28)의 측면에 형성된 래크(29)와 맞물려 있으며, 캐리지 구동 모터(26)의 회전에 의하여, 캐리지(28)의 한쌍의 레일(30)에 안내되어서 제6도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캐리지(28)의 윗면에는 톱니바퀴 형상의 커터 홀더(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커터 홀더(31)에는 비스듬한 칼날의 날끝(32a)을 갖는 커터(32)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28)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커터(32)는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절단 이동 개시 위치에 있어서 커터(32)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의 좌측변에 대하여 P로 나타내는 약간의 틈새를 두고 정지한다.
이 P에서 나타내는 양(격리 칫수)은 캐리지(28)의 직선 이동의 이동량의 흩어짐, 또는 점착 테이프(10)의 삽입시의 폭 방향의 위치의 흩어짐 등이 존재하여도, 커터(32)가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 접촉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절단 이동 개시 위치에 이동해온 커터(32)는 점착 테이프(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점착 테이프(10)의 위치 벗어남이 방지됨과 동시에, 커터(32)의 절입이 예각으로 된다. 그리고, 이 P의 양은 커터 홀더(31)의 중심축(31a)을 기준으로 하는 커터(32)의 회전 반경보다도 작은양 인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캐리지(28)가 직선 이동하기 전에, 즉 커터(32)가 원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6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누름판(24)의 윗면에 설치된 돌기(33)와 캐리지(28)의 뒷면에 있는 경사면부(34)의 경사면(도면 14에 가상선으로 표시함)과가 비결합 상태에 있고, 누름판(24)은 누름해제 상태로 있다. 한편, 캐리지(28)가 직선 이동하여 커터(32)가 절단 이동개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누름판(24)의 돌기(33)와 캐리지(28)의 경사면부(34)와 결합 상태로 있고, 누름판(24)은 누름 상태로 되어, 점착 테이프(10)를 상기의 유연재(23)에 밀어붙인다.
상기 누름판(24)의 중앙부에는, 제6도,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터(32)의 이동 궤적에 따라서 창(35)이 형성되어 있고, 커터(32)의 절단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터(32)가 상기의 적선 이동때에 통과하는 누름판(24)의 부위는, 제14a도로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형상으로 패어져 형성되고 있으며, 이 부위에서도 커터(32)가 누름판(24)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의 돌기(33)와 누름판(24)과의 사이에 용수철은 개재시켜, 누름판(24)이 누름 상태에 있을 때에, 일정한 탄력으로 점착 테이프(10)를 유연재(23)에 밀어붙이게 구성하여도 충분하다.
유연재(23)는 공지의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의 JIS HS-A 경도계에 의한 20 전후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점착 고무로서 알려져 있고, 그 표면은 점착성을 갖고 있다. 점착 고무의 점착성은, 점착 고무의 경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누름판 24에서 눌려진 점착 테이프(10)는, 그 이면에 위치하는 박리지(12)가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연재(23)에 점착한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를 누르는 누름판(24)의 누르는 힘을 너무 크게 할 필요가 없고, 후술하는 커터(32)의 절단 저항에 이겨낼만한 누르는 힘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0)의 표면이 수지,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면, 누름판(24)은 점착 테이프(10)와의 사이의 마찰이 커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유지 동작이 완료하고, 이어서 점착 테이프(10)의 절단 동작(하프 커트)이 이행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 구동 모터(26) 및 후술하는 홀더 구동 모터(37)는, 제6도에 나타내는 제어 장치(36)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어 회전한다.
커터(32)가 절단 이동 개시 위치에 도달한 제7도의 상태에서, 캐리지(28)는 일단 정지하고, 이어서 홀더 구동 모터(37)는 회전을 개시한다. 홀더 구동 모터(37)의 출력축(37a)에는 워엄(38)이 고정되어 있고, 워엄(38)에는 커터 홀더(31)의 외주부에 형성된 워엄 휠(31b)이 맞물려 있다. 따라서, 홀더 구동 모터(37)가 회전하면, 이 워엄(38)과 워엄 휠(31b)로 되는 워엄 톱니 바퀴를 통하여, 커터 홀더(31)가 회전한다. 커터 홀더(31)의 회전은 거의 90도에 설정되어 있고, 커터 홀더(31)에 고정된 커터(32)가 점착 테이프(10)의 폭 방향의 한쪽의 측변부를 R형상으로 절단한다.
제7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32)는 커터 홀더(31)에 대하여, 날끝(32a)을 이동 방향(접선 방향)에 향하여 고정되고, 또한 제12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날끝(32a)의 선단부가 유연재(23)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커터(32)의 절입 깊이는 점착 테이프(10)의 아랫면(유연재(23)의 표면)에서 다시 S에 상당하는 칫수만큼의 깊이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터(32)의 절입 깊이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0)는 그 두께의 전체 부분이 커트(풀커트)되도록 추측되지만,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점착 테이프(10)의 아래에는 유연재(2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재(23)의 이하의 작용에 의해, 점착 테이프(10)는 박리지(12)를 제거하고 기재(11a) 및 점착제(11b)만이 절단된다.
즉, 커터 홀더(31)의 회전으로 커터(32)의 날끝(32a)은, 먼저 유연재(23)의 단부와 접촉한다(제7도 및 제12도 참조). 이때, 유연재(23)는 커터(32)의 접촉 저항 및 절단 이동에 따른 분력에 의해, 제13도의 상성선 L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한다. 이 때, 유연재(23)가 절단되는 일 없이 변형하는 것은, 경도가 20전후로 충분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이고, 또한 유연재(23)가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이고, 극히 변형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유연재(23)의 재질은 상기 에테르계 우레탄고무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실리콘 고무, 합성 고무라도 무방하다.
또한, 커터 홀더(31)가 회전하여 커터(32)가 전진하면, 커터(32)의 날끝(32a)이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 접촉한다. 이 때, 커터(32)는 고속도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커터(32)에 의한 절단력이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 충격적으로 가해진다. 이 절단력으로 유연재(23)는 제13도이 상상선 L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지만, 커터(32)는 절단 저항에 대항하면서 점착 테이프(10)를 커트하기 시작한다.
한편, 점착 테이프(10)는 수지로 구성된 기재(11a)를 갖는 기재 테이프(11)의 쪽이, 종이로 구성된 박리지(12)보다 강성이 높다. 따라서, 커터(32)가 점착 테이프(10)에 절입 되어가면, 기재 테이프(11)는 약간 휘어질 뿐이지만, 박리지(22)는 유연재(23)를 따라 크게 휘어진다. 이 때문에, 기재 테이프(11)는 절단되지만, 박리지(12)는 유연재(23)측에 기재 테이프(11)로부터 박리하도록 하여 피하고, 절단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접착 테이프(10)는 소위 하프 커트된다.
이렇게 하여, 커터(32)와 유연재(23)가 협동하여 하프 커트를 행하기 위해, 커터(32)의 날끝(32a)의 절입깊이를 유연재(23)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깊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점으로부터 상기의 S량은, 유연재(23)위에 점착 테이프(10)가 놓여진 상태로, 커터(32)로 부터 받은힘에 의해, 유연재(23)가 탄성변형하고 박리지(12)가 날끝(32a)으로부터 피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따라서, 유연재(23)의 경도가 낮고, 즉 유연재(23)가 부드러운 재질의 것인만큼 S의 허용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하프 커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커터(32)의 날끝(32a)의 박리지(12)에 접촉하는 선단부분을 칼날을 붙히지 않는 구조로 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이상의 절단작용을 제24도에 도시한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험에서는, 기재(11a)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P), 박리지(12)가 보통 종이의 점착 테이프(10)에 있어서, 그 두께가 0.15mm(기재 11a : 0.05mm, 점착제 11b : 0.025mm, 박리지 12 : 0.075mm)의 것을 이용했다. 또한, 커터(32)에는 그 날끝(32a)이 수평에 대해 35도로 경사한(경사진 날) 것을 이용했다. 또한, 유연재(23)에는 에테르계의 우레탄 고무를 이용하고, 그 경도를 10∼60까지 변화시키고, 그 때의 하프커트 가능한 커터(32)의 유연재(23)로의 절삭깊이 S의 허용범위를 구한다.
제24도의 실험결과로부터 고찰된 바와 같이, 유연재(23)의 경도가 낮으면 절입깊이 S의 허용 범위는 넓어지고(0.5mm 정도), 경도가 높으면 절삭깊이 S의 허용범위는 좁아진다(0.3mm 정도), 또한, 유연재(23)의 경도가 높은 경우보다도 낮은 경우의 쪽이 절삭깊이 S를 크게 가질 필요가 있다. 유연재(23)의 경년 변화를 고려하면, 절삭깊이 S의 허용 범위가 넓은 쪽이 양호하고, 또한 그 점착력을 고려하면, 유연재(23)의 경도는 낮은 쪽이 양호하다. 따라서, 유연재(23)의 경도는 5∼40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경도 40을 초과하는 유연재(23)에 있어서도, 양호한 하프 커트는 충분히 가능하다. 왜냐하면, 그 절입깊이 S의 허용범위는 0.1mm(100μm) 정도이고, 종래 기술의 수μm에서 수십 μm의 허용 범위에 비교하면, 극히 큰 허용범위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절입깊이 S를 2mm정도로 하면, 점착 테이프(10)의 폴커트도 가능하게 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 구동 모터(37)의 회전에 의해 커터(32)가 거의 90도 회전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측변부가 R형상으로 절단되면, 홀더 구동 모터(37)가 정지하고, 커터(32)는 제7도의 상상선의 위치 b에서 일단정지한다. 상기 R형상의 절단시에 커터(32)의 날끝(32a)은 자기의 원형의 이동 궤적에 대해 접선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방향을 제어 하지 않아도 항상 이동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R형상의 절단이 종료한 상태에서는, 커터(32)의 날끝(32a)은 그 뒤의 직선 절단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R형상의 절단으로부터 직선 절단으로 이행할 때에, 커터(32)의 날끝(32a)이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홀더 구동 모터(37)에 유지 전류를 인가해 놓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캐리지 구동 모터(26)를 구동하여 캐리지(2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즉 커터(32)를 우측방향(단변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고, 상기 R형상에 연속시켜 직선형상으로 점착 테이프(10)를 절단한다. 상기 직선형상의 절단 종점의 위치는 이미 한쪽의 R형상의 절단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고, 상기 종점위치에 있어서도, 커터(32)의 날끝은 계속 R형상의 절단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후, 다시 홀더 구동 모터가 회전하고, 제9도에 도시한 점착 테이프(5)의 우측의 측변을 향해 R형상의 절단이 행해진다. 이 경우도, R형상의 절단의 종단 C에 있어서, 커터(32)는 P에 상당하는 양, 점착 테이프(10)의 우측변으로부터 오버런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것은 상술과 마찬가지로, 점착 테이프(10)의 삽입시의 위치 결정 오차, 테이프폭의 불균일, 커터(32)의 원래 위치 등의 불균일이 있어도, 점착 테이프(10)가 확실히 절단 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 테이프(10)의 좌측 P의 량과 우측의 P량이 동일한 것이 절단된 점착 테이프(10)의 외관상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여 커터(32)의 절단 동작(절단 이동)이 행해 지지만, 상기 절단 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가압판(24)의 돌기(33)가 캐리지(28)의 경사면부(34)와 제9도,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는 가압판(24)에 부동으로 가압되고, 커트(32)의 절단 저항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없이, 안정된 절단이 행해진다.
그후, 재차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회전하여, 커터(32)가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서 도면의 우측으로 더욱 멀어진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28)의 경사면부(34)의 우측 경사면이 d위치(제8도에 도시한 e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러므로, 캐리지(28)의 경사면부(34)와 가압판(24)의 돌기(33)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가압판(24)이 가압해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부가 하프 커트된 점착 테이프(10)를 테이프 삽입구(6)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제2실시형태).
다음으로, 제15도를 참조하여,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쌍의 레일(30a,30b)중, 테이프 삽입구측의 레일(30b)이 편심상태로 지지부재(도시 생략)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레일(30b)의 양쪽 외단부는 각각 편심축부(39)로 되어 있고, 레일(30b)은 이 양쪽 편심축부(39)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축부(39)를 축회전시키면, 제15도에 있어서의 캐리지(28)의 우측을 편심축부(39)의 편심량의 2배의 양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캐리지(28)를 거쳐서, 커터 홀더(31)에 고정된 커터(32)의 선단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커터(32)의 절입깊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편심축부(39)를 축회전시켰을 때, 캐리지(28)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재측의 축구멍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편심량의 2배에 상당하는 길이) 긴구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32)의 상하의 미소 이동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레일(30a)의 중심으로부터 커터(32)의 날끝(선단(32a)까지의 거리를 R)으로 하고, 상기 레일(30a)의 중심으로부터 다른쪽의 레일(30b)의 중심까지를 R2로 했을 때에, 편심량이 약(R1/R2)배의 양으로 된다. 이 경우, 양쪽 레일(30a,30b)은 커터(32)를 넘어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R1/R2)의 값이 1이하로 되고, 장치를 조립한 후에 있어서, 대량 생산시의 유연재(23)의 두께의 불균일, 레일(30a,30b)의 진직도, 커터(32)의 조립 높이의 불균일, 또는 유연재(23)의 경도의 불균일 등이 생기더라도, 커터(32)의 절입 깊이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있어서도, 커터(32)의 교환시의 미세한 조정이나, 온도 및 습도등의 외부 환경 변화등에 대한 미세한 조정, 또한 취급하는 점착 테이프(10)의 사양 변경에 대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프 커트에 대한 절입 깊이의 허용범위가 넓은 것과 맞추어, 장치의 취급이 극히 용이해지고, 또한 장치의 신뢰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지(28)의 안쪽 부위에는 랙(2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앞쪽에 위치하는 레일(30b)을 미세 조정용으로 함으로써, 상기 미세조정이, 랙(29)과 피니언(27)과의 결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양쪽 레일(30a,30b)을 동시에 미세조정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3실시형태]
다음으로, 제7도, 제9도 및 제16도를 참조하여, 제3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 및 제9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0)는 유연재(23)위에 세트되어 있지만, 이 경우, 점착 테이프(10)의 절단부분의 주변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재가 L3, L4, L5에 상당하는 여유를 갖고 있다. 즉, 유연재(23)는 점착 테이프(10)에 비해 충분히 넓은 폭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프 커트 장치(5)에서는, 커터(32)와 유연재(23)가 협동하여 하프 커트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연재(23)는 박리지(12)가 절단되지 않도록 이것을 풀어주는 작용과, 기재 테이프(11)가 절단되도록 이것을 크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한편으로, 점착 테이프(10)는 절압개시 부분이나 절입완료 부분에서는, 절입 도중부분에 비해 강성이 낮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서는 커터로부터 받은 힘(절단력의 분력)으로, 보다 휘어지기 쉽다. 그래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연재에 L3, L4, L5의 여유를 설치하고, 커터(32)로 부터 받은 분력을 항상 일정하게 넓은 면적(동일 체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절입 개시부분(측단부) 및 절삭 완료부분(측단부)이 크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특히 점착 테이프(10)의 절입 개시부분에서는, 커터(32)의 두께에 의한 부재를 찢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 저항이 크고 또한 절단되기 어렵다. 따라서, 안정된 하프 커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유연재(23)의 여유에 부가하여, 점착 테이프(10)의 절입개시 부분이나 절입완료 부분이 깊게 절입 되도록한 구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을 실현한 것으로서, 제17도에 도시된 구조가 제안 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유연재(23)가 경질부(23a)와 연질부(23b)로 구성되고, 적어도 점착 테이프(10)로의 절입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은 경질부(23a)로 구성되고 절입 도중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은 연질부(23b)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점착 테이프(10)를 안정하게 하프 커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개시 위치측의 경질부(23a)를, 절입 완료 위치측의 경질부(23b)보다 경도를 높게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구조를 실현하는 다른 변형예를 제18도에 도시한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유연재(23)를 받는 프레임(20)의 유연재 지지 베이스(40)를 점착 테이프(10)의 양측변부가 쌓아올려지도록 계단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유연재 지지 베이스(40)는 유연재(23)의 평면 형상에 맞추어 프레임(20)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양단부에 형성된 계단부(41)에 의해, 설치된 유연재(23)의 양단부가 커터(32)측으로 솟아오르고, 이에 따라 점착 테이프(10)가 세트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의 절입개시 부분 및 절입 완료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깊게 절입되고, 안정된 하프 커트가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0)의 측변부를 절단 할 때의 분력으로 유연재(23)가 크게 변형하여도, 점착 테이프(10)의 변형량을 미리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측변부만이 완전히 하프 커트 되지 않는 등의 절단 실수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구조를 실현하는 다른 방법으로써, 커터(32)측 또는 유연재(23)측을 적절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취급하는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폭이 복수 종류인 경우에는, 테이프폭에 대응시켜 복수 개소에 계단부(볼록부)(4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양단의 계단부(41)를 제외한 볼록부의 부위에서는, 박리지(12)까지 절단되는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박리지(12)를 박리하는 데는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역으로, 이것을 응용하면, 미싱바늘 구멍형의 하프 커트나 미싱바늘 구멍형의 완전 절단(풀 커트)도 가능해진다.
[제4실시형태]
다음으로, 제19도 및 제20도, 제21도에 의거하여, 점착 테이프(10)의 폭검출 구조를 가미한 제4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을 행하는 부품은 같은 번호를 붙여 기록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 삽입구(6)로의 삽입이 검출되면,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회전하여, 캐리지(28)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커터(32)가 원래 위치로부터 절단 이동개시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리지 구동 모터(26)의 출력축(26a)에, 상기 피니언(27)과 동축위에 마찰차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마찰차(42)에는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폭을 검출하는 부딪치는 아암(43)이 마찰 접촉하고 있다(제19도 및 제20도 참조). 따라서,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회전하면, 상기 부딪치는 아암(43)이 도시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부딪치는 아암(43)은 U자형으로 형성되고, 프레임(20)에 전후 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부딪치는 아암(43)의 한쪽의 아암부(44)는 내측의 면에서 마찰차(42)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외측면에 맞닿은 판스프링(45)에 의해, 마찰차(12)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차(42)와 부딪치는 아암(43)의 접촉이 항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딪치는 아암(43)의 다른쪽의 아암부(46)의 선단은 가압판(46a)으로 되어 있고, 부딪치는 아암(43)이 전진하면, 상기 가압단(46a)이 점착 테이프(10)의 한쪽의(우측의) 측변에 맞부딪친다.
이러한 구조때문에,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회전하여 캐리지(28)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부딪치는 아암(43)이 캐리지(28)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7)이 외경보다도 마찰차(42)의 외경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딪치는 아암(43)쪽이 캐리지(28)보다도 고속으로 이동한다. 즉, 점착 테이프(10)의 폭의 넓고 좁음에 관계없이, 커터(32)가 원래 위치로부터 절단 이동개시로 부터 원래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부딪치는 아암(43)의 가압단(46a)이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 돌출되어 맞아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점착 테이프(10)가 테이프 삽입구(6)에 삽입되고나서, 부딪치는 아암(43)을 전진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폭의 점착 테이프(10)가 삽입되어도 점착 테이프(10)와 부딪치는 아암(43)의 가압판(46a)이 간섭하는 일이 없고, 점착 테이프(10)는 원활하게 위치 결정벽(22)까지 삽입된다.
부딪치는 아암(43)의 가압단(46a)이 점착 테이프(10)의 측변에 부딪치게 되어도, 캐리지 구동 모터(26)는 회전을 계속 행하고 있기 때문에, 부딪치는 아암(43)은 점착 테이프(10)를 가압한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0)는 그 좌측의 측변이 위치 결정벽(47,47)에 부딪치게 된다. 여기서, 부딪치는 아암(43)은 전진을 저지하지만, 캐리지 구동 모터(26)는 회전을 계속 행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차(42)가 미끄러져 부딪치는 아암(43)의 부딪친 상태가 유지된다. 커터(32)가 절단 이동개시 위치에 도달하면,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정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폭이 검출되는 동시에, 점착 테이프(10)가 세트 위치로 적절히 위치 결정된다.
상기 마찰차(42)의 미끄러짐 동작은, 부딪치는 아암(43)의 가압단(46a)의 초기 위치의 어긋남, 점착 테이프(10)의 불균일, 마찰차(42)의 외부직경의 불균일 등이 있어도, 점착 테이프(10)를 세트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많은 종류의 테이프폭의 점착 테이프(10)를 처리 가능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점착 테이프(10)에 문자를 인가후, 그것을 첨부하는 장소가 여러개이고, 크게 표시 하고 싶을 때에는 폭이 넓은 점착 테이프(10)에 큰 글씨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좁은 장소에 첨부하는 경우에는, 작은 표시로 폭이 좁은 점착 테이프(10)를 사용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많은 종류의 점착 테이프(10)가 자유로이 사용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된 점착 테이프(10)가 최대폭의 점착 테이프(10)인 경우, 돌기 아암(43)의 이동하는 거리는 가장 작아진다. 이 경우에도, 부닺치는 아암(43)과 마찰차(42)사이에서는 미끄러짐이 생기기 때문에 구성 부재가 손상하도록 한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위치 결정된 점착 테이프(10)는 두께 방향을 가압판(24)에 의해 가압되고, 폭방향을 부딪치는 아암(43)으로 가압됨으로써, 그 유지가 완료한다.
또한, 부딪치는 아암(43)과 마찰차(4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이 부분을 제21도와 같은 접촉 구조를 하여도 무방하다. 이 변형예에서는, 부딪치는 아암(43)의 한쪽의 아암부(44)와 판스프링(45)에 의해, 마찰차(42)를 상하로 삽입하는 접촉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딪치는 아암(43)과 마찰차(4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딪치는 아암(43)을 안정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촉 구조에서는 캐리지 구동 모터(26)의 출력축(26a)에 판스프링(45)에 의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캐리지 구동 모터(26)를 원활히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5실시형태]
상술한 부딪치는 아암(43)은 삽입되는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폭을 검출한다고 하는, 이미 한개의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0)가 삽입될 때에는, 부딪치는 아암(43)은 도시의 위치(도면의 가장 우측의 초기 위치)에 있고, 이 상태로 부터, 부딪치는 아암(43)은 점착 테이프(10)를 위치 결정벽(47,47)에 맞부딪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부딪치는 아암(43)의 다른쪽의 아암부(46)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복수의 요철부(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부(48)에 폭검출 스위치(49)의 스위치단(49a)이 맞닿아 있다. 폭 검출 스위치(49)의 스위치단(49a)은 요철부(48)측에 가압되어 있고, 폭 검출 스위치(49)는 오목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와 볼록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로 온-오프 한다.
따라서, 부딪치는 아암(43)이 초기 위치로부터 전진해가면, 폭검출 스위치(49)가 온-오프를 반복하여 정지한다. 이 온-오프의 펄스의 회수를 공지의 카운터(상술한 제어 장치에 조립되어 있다)에서 카운트하고, 미리 메모리내에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는 것으로, 삽입된 점착 테이프(10)의 폭이 검출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여러 종류의 점착 테이프(10)의 테이프폭을 위치 결정용의 부딪치는 아암(43)과 폭검출 스위치(49)라고 하는 극히 간단한 기계 구조, 간소화된 전자부품 및 공지의 전자 회로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부딪치는 아암(43) 및 폭검출 스위치(49)로 구성된 테이프 폭검출 기구는 소위 엔코더(선형 엔코더)이다. 따라서, 상기의 테이프 폭 검출 기구를 대신하여, 공지의 엔코더(LED나 CCD 등에 의한 광학적인 것)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규격외의 점착 테이프(10)에 있어서도 그 테이프폭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규격내의 점착 테이프(10)에 있어서도 그 테이프폭의 불균일을 절단동작 [커터(32)의 절단이동]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하여, 삽입된 점착 테이프(10)의 폭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R형상의 절단 반경과 상기(제7도, 제9도에 도시한다) P의 양에서, 자동적으로 직선형의 절단 길이가 연산되고, 이 절단 길이에 상당하는 구동 펄스를 캐리지 구동 모터(26)에 인가하는 것으로, 각종의 폭이 다른 점착 테이프(10)에 대응하여, 원호커트와 이것에 연속하는 직선 커트를 정확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 커터를 준비해두고, 점착 테이프(10)의 폭에 따라 커터를 교환하는 등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일련의 절단 동작을 극히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프 커트 장치를 소형, 박형으로 구성가능한 외에,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제6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2도를 참조하여, 제6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지(28) 위에 탑재된 커터 홀더(31)에 대해, 이것에 부착되어진 커터(32)가 커터 홀더(31)의 직경 방향(화살표로 나타낸다)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터(32)는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있어서도, 어떠한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있어서도 무방하다. 또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있어서도 무방하게 하고,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있어서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사용자는 양호한 반경으로 상기의 원호커트가 가능하고, 트리밍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테이프폭이 좁은 만큼 원호 커트의 양(R)을 적게하고, 폭이 넓어짐에 따라 원호커트의 양을 크게하는 편이 점착 테이프(10)의 마무리상태가 양호하다. 그래서, 점착 테이프(10)가 삽입된 시점에서, 점착 테이프(10)의 폭에 어울리는 원호 커트의 양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상기 직선 커트의 양을 자동 설정하는 것도, 본 발명을 채용하면 용이하게 달성가능하다.
[제7실시형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홀더(31)는 그 중심부를 일단을 캐리지(28)에 고정시키는 가압 스프링(50)에 의해, 유연재(23)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터(32)는 칼날의 선단(32a)을 갖고 있다. 즉, 커터(32)의 선단(32a)은 수평면에 대해 θ의 각도를 갖고 있다. 이것은 커터(32)의 절단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커터(32)가 수평 방향으로 절단 이동 했을 때, 그 연직방향의 분력에 의해 유연재(23)를 휘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절단 이동하는 커터(32)는 유연재(23)로부터 연직방향의 분력에 대응하는 반대의 힘을 받게된다. 따라서, 절단 이동하는 커터(32)에는, 이것을 부상시키도록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러한 힘은, 각도 θ가 적어지는 만큼 커지지만,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커터 홀더(31)가 캐리지(28)에 대해 갖는 래디얼 방향의 덜거덕 거리는 만큼, 커터가 부상하여, 원하는 절삭 깊이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터 홀더(31)를 거쳐서 커터(32)를 하방으로 항상 가압하고, 캐리지(28)에 대한 커터 홀더(31)의 래디얼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제로로 하고, 절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가압 스프링(50)의 가압력은 커터 홀더(31)의 회전을 제동하게도 된다. 그러나, 가압 스프링(50)은 커터 홀더(31)의 중심부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동력은 적고, 홀더 구동 모터(37)에 큰 부하로써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커터(32)를 가압 스프링(50)에 의해 하방으로 직접 가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커터(32)의 날끝(32a)의 각도 θ는 약 15도 내지 약 75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절단상태의 열화에 따른 교환을 고려하면, 커터(32)를 두개의 칼날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커터(32)의 교환에 있어서, 커터 홀더(31)에 대해 커터(32)를 교환하는 형식 외의, 커터(32)와 커터 홀더(31)를 일체로 하여 교환하는 형식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8실시형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10)를 그의 박리지(12)의 박리 및 트리밍을 위해 하프 커트하는 방법 및 구조에 관해 기술되어 있지만, 실험결과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트 장치는 점착 테이프를 처음으로 하는 적층시이트를 폴커트하는 장치로하여도 사용가능하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절단 장치를 적층시이트를 풀커트하는, 소위 커팅 플로터(cutting plotter)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커팅 플로터를 간단히 원하는 평면 형상으로 절단하는데 지나지 않고, 적층시이트에 잘라낸 문자를 작성하는 기기로서도 응용가능하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 플로터(60)에서는, 도면 바깥의 시이트 전송 기구에 의해, 커터(32)에 있는 적층 시이트(70)가 캐리지(28)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상기 도면의 화살표 참조). 즉, 커터(32)와 적층 시이트(7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28)는 상기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랙(29) 및 피니언(27을 통해, 캐리지 구동 모터(26)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커터(32)는 커터 홀더(31)에 고정되어 있고, 커터 홀더(31)는 캐리지(2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커터 홀더(31)의 회전 중심에 대해, 커터(32)의 날끝(32a)이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커터 홀더(31)는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터(32)의 날끝(32a)은 절단 이동시에 받는 저항에 의해 자동적으로 절단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이트 전송 구성과 캐리지 구동 모터(26)를 도면 바깥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적절히 제어하면, 임의의 형상에 커터(32)를 절단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적층 시이트(70)를 임의의 형상으로 풀커트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적층 시이트(70)에서 필요한 문자, 기호, 도형등을 오려내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커터(32)의 절삭깊이를 얕게 조정하면, 하프 커트도 가능하다.
이렇게 오려낸 문자를 작성하는 커팅 플로터(60)는 종래에도 있었지만, 종래의 것은 적층 시이트(70), 유연재(23)가 아니고 경질의 수지로 받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하프 커트용에도 사용 가능하지만 그 신뢰성이 극히 빈약했었다. 또한, 커트시의 소음이 컸거나, 커터(32)의 날끝(32a)이 손상하기 쉽다거나, 커터(32)의 마모가 격심했다거나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시이트(70)를 유연재(23)에서 받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커트시의 소음이 적고, 커터(32)의 날끝(32a)이 손상하기 어렵고, 또한 커터(32)의 마모가 적은 [커터(32)의 수명이 길다]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프 커트에 있어서의 커터(32)의 절삭깊이의 허용범위가 넓고, 하프 커트의 신뢰성이 극히 높다.
또한, 상기의 구조에 대신하여, 커터(32)를 부착한 캐리지(28)측을 고정하고, 적층 시이트(70)를 X, Y 테이블 위에 세트하여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역으로, 적층 시이트(70)측을 고정하고, 커터(32)를 X, Y 테이블에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구조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조를 어떤 모양으로 짜맞추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구조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32)가 원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고, 점착 테이프(10)의 근처에 위치한 후에, 홀더 구동 모터(37)를 구동시켜 모터(32)에 의해, 먼저 점착 테이프(10)를 원호 커트하고, 그 후 캐리지 구동 모터(26)를 구동하여 상기 원호 커트에 연속하는 직선 커트를 실시하고, 그 후 재차 직선 커트에 연속하는 원호 커트를 실시하는 방법을 기술했지만, 본 발명을 응용하면, 예를 들면 원호 커트는 실시하지 않고, 또한 한편의 원호 커트만 실시하지 않는 형상으로 점착 테이프(10)를 풀 커트 또는 하프 커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점착 테이프(10)를 직선 커트로 마무리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의 제어 장치(CPU)(36)에 직선 커트만의 조작을 선택하여 입력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절단 동작 완료후, 점착 테이프(10)의 벗겨짐이 검출되면, 홀더 구동 모터(37) 및 캐리지 구동 모터(26)가 서로 전후로 구동하고, 커터(32)는 원래 위치로 이동복귀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고, 저렴한 구조로 하프 커트 가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풀 커트도 가능하다.
이같은 방법, 구조 때문에, 종래예에서 보여준 점착제 부착 점착 테이프를 크게 영구변형시키는 일 없이, 외관을 손상 하지 않고, 또한 필요한 부분에 붙힌 후에도, 박리 작업시의 변형으로 서서히 벗겨져 버리는 일도 없으며, 각 종류의 점착 테이프, 시이트의 폭에 따른 형상에도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편리하고 사용이 손쉬운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회전 동작에 의한 원호 커트와 직선 커트를 적층 시이트로부터 한번도 떨어지는 일 없이 연속적이며 능률적으로, 단시간에 확실하게 커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트형상도 흐트러짐없이 아름답다.
또한, 점착 테이프의 커트의 선단부분이 큰 면적을 손으로 지지하고 박리지를 박리할 수 있고, 종래예에서 보여진 코너를 간신히 박리한 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시이트 또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지를 전면적으로 박리하는 조작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법, 구조가 간소한 것, 유연재를 사용하여 커터 선단과 유연재의 표면과의 높이관계에 다소 불균일이 있다고 하여도, 유연재의 휘어짐 양이 불균일과 비교하여 꽤 크다는 점에서 그 영향을 적게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실시된다.
더욱이, 자동뿐만이 아니고, 수동으로도 간편히 실시되는 방법, 구조이고 획기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터를 나이프형으로 하고, 커터를 종래와 같이 점착 테이프에 압착하는 것만으로 절단하지 않고, 소위 톱으로 자르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절단력으로 효율적으로 점착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지 수단으로의 유지력도 적게 마무리되는 외에 구동수단인 모터도 소형, 박형으로 양호하므로, 소비전력도 적게들고,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에도 크게 기여한다.
또한, 폭이 좁은 테이프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커트에도 또는 시이트 등의 단부에 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커팅 플로터의 커트 방법. 구조로 하여도 채용가능하고 상술한 많은 효과를 갖는다.

Claims (39)

  1. 기재 시이트와 박리 시이트로 구성되는 적층 시이트를, 상기 박리 시이트를 남기고 기재 시이트만을 소정의 평면형상으로 절단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에 있어서, 유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적층 시이트를 그 박리 시이트측을 상기 유연재측으로 향해서 유연재에 부동하게 밀접하여 두고, 경사진 칼날의 날끝을 갖는 커트를 상기 날끝의 선단부가 상기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로,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절단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이트의 강성은 상기 박리 시이트의 강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표면은 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표면은 흡착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경도는 JIS의 HS 경도계로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는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상기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유연재는 적층 시이트의 세트 위치를 넘어서 넓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상기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유연재의 부위는, 절입 도중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유연재의 부위보다 경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에 대한 커터의 상대적인 절입 깊이를,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깊게 하고, 절입 도중 위치에서는 얕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는 점착재 및 기재로서 구성되는 기재 테이프에 박리 테이프를 점착한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소정의 평면 형상은,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측변부를 R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양측 R형상을 직선으로 연결한 면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11. 기재 시이트와 박리 시이트로서 구성되는 적층 시이트를 소정의 평면형상으로 절단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에 있어서, 경사진 칼날의 날끝을 갖는 커터와, 상기 적층 시이트를 수용하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에 상기 적층 시이트를 그 박리 시이트측을 유연재측으로 향한 상태로 밀접하게 하는 유지 수단과, 날끝의 선단부는 상기 유연재에 도달하는 절입 깊이로 되도록 상기 커터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를 상기 소정의 평면 형상에 따라 적층 시이트 및 유연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절단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이트의 강성은 박리 시이트의 강성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표면은 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표면은 흡착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의 경도는 JIS의 HS 경도계로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는 에테르계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유연재가 적층 시이트를 넘어서 넓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유연재의 부위는 절입 도중위치에 대응하는 유연재의 부위보다 경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에 대한 커터의 상대적인 절입 깊이를 조정하는 절입 깊이 조정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절입 깊이 조정 수단은 절단이동에 따라서 상기 절입 깊이를 적층 시이트에 대하여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절입 완료 위치에서는 깊게 하고, 절입 도중 위치에서는 얕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재는 전체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입 깊이 조정 수단은 상기 적층 시이트에 대한 커터의 절입 개시 위치 및 완료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커터측에 담아 올려서 형성한 유연재 지지 패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유연재에 도달하는 커터의 선단부에는 날 붙힘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2.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적층 시이트를 유연재에 누르는 누름판을 가지며, 상기 누름판에는 커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누름판을 적층 시이트에 대해 누르고 누름을 해제하는 누름판 작동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 작동 기구는 이동 수단의 작동에 연동하여 커터의 절단이동 때에 누름판을 누름 동작 시킴과 동시에, 절단 이동의 전후에 누름판을 누름 해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칼날끝을 이동 방향으로 향하여 커터를 유지하는 커터 홀더와, 상기 커터 홀더를 회전 운동시키는 홀더 구동 장치와, 상기 커터 홀더 및 홀더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직선 운동시키는 캐리지 구동 장치와, 상기 홀더 구동 장치 및 캐리지 구동 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커터 홀더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구동 장치는 홀더 구동 모터와 홀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워엄을 가지며, 상기 커터 홀더는 외주부에 워엄에 맞물리는 워엄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홀더를 유연재측으로 가압시키는 용수철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구동 장치는 캐리지 구동 모터와 캐리지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캐리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는 피니언이 설치되며, 상기 캐리지에는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커터를 걸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둥근 막대기 모양의 한쌍의 레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레일의 적어도 한쪽은 편심축부를 갖고, 상기 한쪽의 레일은 편심축부에서 지지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이트는 점착재 및 기재로 구성되는 기재 테이프에 박리 테이프를 점착한 첨착 테이프이며,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는 그 긴변 방향이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도록 세트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점착 테이프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기 홀더 구동 장치를 거쳐서 커터를 한쪽의 측변에서 1/4원을 그리도록 다른 것처럼 절단 이동시킨 후, 상기 캐리지 구동 장치를 거쳐서 상기 커터를 상기 점착 테이프의 단변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절단 이동시켜, 마지막으로 상기 홀더 구동 장치를 거쳐서 1/4원을 그리는 것처럼 다른 방향의 측변까지 절단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1/4원의 절단 이동 개시 위치 및 1/4원의 절단 이동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트는 점착 테이프의 측변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긴변 방향의 세트 위치를 규제하는 단부변 규제 부재를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도입된 상기 점착 테이프의 테이프폭을 검출하는 테이프 폭 검출 장치를 부가로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테이프폭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캐리지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폭 검출 장치는 점착 테이프의 한쪽의 측변이 접하는 측변 규제부재와, 상기 점착 테이프의 다른쪽의 측벽을 눌러서 이것을 상기 측변 제어부재에 부딪치는 누름 기구와, 상기 누름 기구의 작동에 근거하여, 누름기구의 누름 끝과 측변 규제부재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기구는 캐리지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절단 이동에 앞서 상기 커터는 캐리지 구동 모터에 의하여,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누름 기구는 커터의 원래 위치에서 절단 이동 개시 위치까지의 이동에 연동하여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기구는 한끝에 상기 누름끝이 설치되어 점착 테이프의 짧은 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부딪치는 아암과, 상기 피니언과 동축위에서 캐리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부딪치는 아암에 접촉하는 마찰차를 갖고, 상기 마찰차는 피니언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기구는 부딪치는 아암을 마찰차측으로 힘을 부세하는 스프링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부딪치는 아암에 형성된 요철부와, 상기 부딪치는 아암의 이동에 따라 요철부에 접촉하여 온-오프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스위치와, 상기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누름 기구의 누름끝과 측변 규제재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카운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이트의 커트 장치.
KR1019950072165A 1994-12-27 1995-12-27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KR10018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648294 1994-12-27
JP94-326482 1994-12-27
JP29281695A JPH08229887A (ja) 1994-12-27 1995-11-10 積層シートのカッ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95-292816 1995-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20A KR960021420A (ko) 1996-07-18
KR100188240B1 true KR100188240B1 (ko) 1999-07-01

Family

ID=2655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165A KR100188240B1 (ko) 1994-12-27 1995-12-27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7725A (ko)
EP (1) EP0719620A3 (ko)
JP (1) JPH08229887A (ko)
KR (1) KR100188240B1 (ko)
CN (1) CN1045409C (ko)
CA (1) CA2165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7597B2 (ja) * 1994-12-02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端部の整形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字装置
US6014921A (en) * 1996-05-14 2000-01-18 Esselte N.V. Printing device with an automatic cutting mechanism
US6703565B1 (en) * 1996-09-06 2004-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nted wiring board
JP3628848B2 (ja) * 1996-11-07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TW359660B (en) * 1996-11-07 1999-06-01 Seiko Epson Corp Peeling device, tape proces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peeling device,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tape processing device
JPH10326323A (ja) * 1997-03-24 1998-12-08 Olympus Optical Co Ltd コードパターンイメージ記録装置
JP3843567B2 (ja) * 1997-12-15 2006-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
SG86345A1 (en) 1998-05-14 2002-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65954B2 (en) 1998-05-14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43730B2 (ja) * 1999-06-28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プリンタ
JP3649960B2 (ja) * 1999-08-26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
JP4048658B2 (ja) * 1999-09-16 2008-0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ラベル製造方法
US6772661B1 (en) * 1999-10-04 2004-08-10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cutting and the like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US6518514B2 (en) * 2000-08-21 2003-0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of the same
US6585438B2 (en) * 2000-12-25 2003-07-01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cutting device and method,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cutting device
JP4545922B2 (ja) * 2000-12-25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並びに切断方法
US6672187B2 (en) * 2001-04-05 2004-01-06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precision cutting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US6619167B2 (en) * 2001-04-05 2003-09-16 Steen Mikkels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cutting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US7140283B2 (en) * 2004-05-05 2006-11-28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on registration of graphics areas operating from the unprinted side
JP4391326B2 (ja) * 2004-06-18 2009-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シートの切断加工方法
US7950204B2 (en) * 2007-01-17 2011-05-31 Kiefel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oil layers as well as line for insert welding
JP5027602B2 (ja) * 2007-06-26 2012-09-1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切断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914415B1 (ko) * 2007-11-07 2009-08-31 이종화 입체문자채널용 브이컷팅장치
JP2012513305A (ja) * 2008-12-23 2012-06-14 トレレボルグ ルボレ エービー 多層板構造を部分貫通する切断線を形成する方法
DE102009047340B4 (de) * 2009-12-01 2011-07-14 Airbus Operations GmbH, 21129 Verfahren zum Bilden eines Strukturbauteils eines Luft- oder Raumfahrzeuges und Umformvorrichtung
CN102172918A (zh) * 2011-01-06 2011-09-07 硕方科技(北京)有限公司 半切控制设备及方法
US8857301B2 (en) 2012-04-11 2014-10-14 Xerox Corporation Blade clearance groove for cutting plotter
FR2998823B1 (fr) * 2012-11-30 2015-06-05 Oberthur Technologies Dispositif de decoupe pour test de delaminage
US10245803B2 (en) 2013-03-13 2019-04-02 Xerox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and creasing media
CN105171819B (zh) * 2015-10-28 2017-03-29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切口开盖设备及开盖方法
JP6816393B2 (ja) * 2016-06-30 2021-01-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WO2018204397A1 (en) * 2017-05-01 2018-11-08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Combination printer and cutting apparatus
CN108749133A (zh) * 2018-05-31 2018-11-06 浙江晨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砧板机构
CA3160718A1 (en) * 2019-11-08 2021-05-14 Innovative Automation Inc. Spool unloading device
CN111791135A (zh) * 2020-06-16 2020-10-20 福建茂田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割机
CN114642128A (zh) * 2022-03-24 2022-06-21 蓝山县永芹牧业有限公司 一种压紧输送式牛养殖用牧草切割装置及方法
CN117799336B (zh) * 2024-02-29 2024-05-28 福建金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标签打印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513A (en) * 1963-09-30 1966-12-20 Monsanto Chemicals Apparatus and method for scoring synthetic plastic sheet material
US3314339A (en) * 1964-05-04 1967-04-18 Inland Container Corp Scoring device
US3573857A (en) * 1969-04-04 1971-04-06 Cincinnati Milacron Inc Reciprocating cutting blade
US3772949A (en) * 1972-01-17 1973-11-20 Gerber Scientific Inst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sheet material
US3777604A (en) * 1972-04-25 1973-12-11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ack of sheet material being cut or otherwise worked on
US3768347A (en) * 1972-06-23 1973-10-30 M Wade Automatic carpet cutting machine
US4457199A (en) * 1974-06-13 1984-07-03 Sean Corcoran Method for cutting slits in flexible plastics sheeting
FR2369993A1 (fr) * 1976-11-08 1978-06-02 Laing & Son Ltd John Dispositif telescopique
DE2810713A1 (de) * 1978-03-11 1979-09-13 Kammann Maschf Werner Verfahren zum ausstanzen von zuschnitten aus einer bahn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uehrung
DE3109226A1 (de) * 1980-08-08 1982-03-25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06074 South Windsor, Conn. Verfahren zum schneiden mit einem handgefuehrten schneidwerkzeug
FR2498514B1 (fr) * 1980-11-14 1986-12-2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Appareil et procede utilisant des ultrasons pour decouper une matiere en feuille
JPS5798837A (en) * 1980-12-12 1982-06-19 Hitachi Ltd Sample pick up system
SE425065B (sv) * 1981-05-04 1982-08-30 Ingvar Kristensson Skeranordning, speciellt for tillskerning av handtag i berkassar och liknanande av plast
US4503744A (en) * 1982-03-22 1985-03-12 Thomas & Betts Corporation Cleaving device for optical fibers
DE3218585A1 (de) * 1982-05-17 1983-11-17 Atlas Handelskontor GmbH, 7421 Mehrstetten Vorrichtung zum handgesteuerten zuschneiden
US4512839A (en) * 1982-10-29 1985-04-23 Gerber Scientific, Inc. Multi-color sign making method and layup
US4519285A (en) * 1983-06-30 1985-05-28 The Boeing Company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laying machines
US4494435A (en) * 1983-09-23 1985-01-22 Ned Lindsay Cutting device
SU1293024A1 (ru) * 1984-12-29 1987-02-28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1120 Способ резан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не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S61226297A (ja) * 1985-03-28 1986-10-08 安田 寛明 だ円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GB2178686A (en) * 1985-08-07 1987-02-18 Roger William Saunders Card cutting apparatus
US4850579A (en) * 1986-02-04 1989-07-25 Crest-Foam Corporation Supporting bed for sheet material cutt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ZA876340B (en) * 1986-08-27 1988-03-02 Fortron Automot Treatments Cutting means
US4732069A (en) * 1987-05-08 1988-03-22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Knife and knife holder assembly
DE3729208C1 (de) * 1987-08-29 1988-12-22 Rotring Werke Riepe Kg Schneidvorrichtung
JPH0634126Y2 (ja) * 1987-11-28 1994-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剥離紙付き印字テープ切断機構を備えた印字装置
AU618311B2 (en) * 1988-06-02 1991-12-19 Eton Construction A.B. Arrangement for production of sections cut out from a material web, such as sections for articles of clothing
US4920495A (en) * 1988-07-15 1990-04-24 Gfm Holdings Ag Sheet cutting machine
US4934236A (en) * 1988-11-07 1990-06-19 Am International Corporation Sheet slicing mechanism
FR2647386A1 (fr) * 1989-03-22 1990-11-30 Isermatic France Sa Dispositif de tracage et de coupe partielle en epaisseur d'un complexe multicouche adhesif protege et machine en faisant application
US5082310A (en) * 1989-11-06 1992-01-21 Tip Engineering Group,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JPH0739578Y2 (ja) * 1990-03-22 1995-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切断器
US5042339A (en) * 1990-08-21 1991-08-27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successive segments of sheet material with cut continuation
US5275077A (en) * 1991-02-27 1994-01-04 Mimaki Engineering Co., Ltd. Method of forming perforated cut line by cutting plotter
GB9300579D0 (en) * 1993-01-13 1993-03-03 Esselte Dymo Nv Tape cutting apparatus
DE4315539C2 (de) * 1993-05-10 1995-03-23 Peter Bech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iden der Deckfolie eines laminierten Folienmaterials
WO1996016773A1 (en) * 1994-11-28 1996-06-06 Three Dimensional Trim Corporation Trimm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9620A3 (en) 1997-03-26
US5937725A (en) 1999-08-17
EP0719620A2 (en) 1996-07-03
CN1133768A (zh) 1996-10-23
CN1045409C (zh) 1999-10-06
JPH08229887A (ja) 1996-09-10
CA2165994A1 (en) 1996-06-28
KR960021420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240B1 (ko) 적층 시이트의 커트 방법 및 그 장치
JP4844531B2 (ja) 印刷装置
US5957597A (en) Tape printer and partial cut unit used in tape printer
JPH07119136B2 (ja) テープの端部処理装置
JPH09314938A (ja) 切断装置
JPH07695U (ja) 印字テープの切断装置
JP3836897B2 (ja) 切断機構及び印字装置
JP3846443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3247597B2 (ja) テープ端部の整形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字装置
US6283655B1 (en) Friction-feed plotter with laterally-movable drive roller, and related method for plotting on sheets of different widths
US6280107B2 (en) Peeling device, tape proces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peeling device,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tape processing device
US7077587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with tape cassette guide members
CA2673397C (en) Printing apparatus
US5501539A (en) Tape cutting apparatus
JP4696552B2 (ja) カッタ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処理装置
US3633722A (en) Hand-operated embossing machine
US4932577A (en) Friction feed media driver for a sign plotter
JP2002151443A (ja) 半導体素子の劈開装置
JP2814692B2 (ja) 印刷装置
WO2008078201A2 (en) Printing apparatus
JP2574993Y2 (ja) テープ貼付装置
JPH0449164A (ja) テープ切断装置
JP2005193523A (ja) 罫線形成テープの端削成装置
JP2000246685A (ja) カッタ刃および該カッタ刃を用いたロール紙切断装置もしくはサーマルプリンタ
JP2824364B2 (ja) アパーチュアカード用フィルムマウ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