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797B1 -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 Google Patents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797B1
KR100186797B1 KR1019960070455A KR19960070455A KR100186797B1 KR 100186797 B1 KR100186797 B1 KR 100186797B1 KR 1019960070455 A KR1019960070455 A KR 1019960070455A KR 19960070455 A KR19960070455 A KR 19960070455A KR 100186797 B1 KR100186797 B1 KR 10018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flector
discharge bulb
bulb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828A (ko
Inventor
도시노부 다카사키
도모노리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7003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2Incandescent light sources, e.g. filament or halogen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3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having two perpendicular cross sections having regular geometrical curves of a distinct n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6Wire spring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Abstract

방전 벌브의 램프와 백열 벌브의 램프를 내장하고, 또한 각 램프의 리플렉터의 개구 치수를 동일하게 한 램프의 경우, 방전 벌브의 발광 능력이 충분하게 발휘될 수 없고, 광량의 낭비가 생긴다.
방전 벌브(5)를 구비한 램프(LL)의 리플렉터(3)는 그 회전 포물면부의 안길이 치수를 백열 벌브(6)를 구비한 램프(HL)의 리플렉터(4)보다도 크게 하고, 또한 그 치수에 맞춰서 폭방향의 개구 치수를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리플렉터(reflector)(3)의 유효 반사 면적을 크게 하여 방전 벌브(5)로부터의 빛이 리플렉터(3)로 반사될 때의 반사 효율을 높이고, 방전 벌브(5)의 발광 능력을 충분하게 발휘시킨다. 또한, 리플렉터(3)의 상측의 평면부의 면적을 하측의 평면부 보다 크게 함으로써 방전 벌브(5)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으며, 또한 리플렉터(3)의 개구 가장자리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리플렉터(3)의 열변형이 억제된다.

Description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등(燈)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 벌브(discharge bulb)를 구비한 램프와 백열 벌브를 구비한 램프를 일체화한 등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전조등으로서, 발광 효율 및 연색성(演色性)이 양호하고 수명이 긴 방전 벌브를 광원으로 하는 등 기구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등 기구에서는, 방전 벌브에서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을 필요로 하며, 차량에 탑재된 밧데리 전압을 필요로 하는 고전압까지 승압시키키 위한 점등 회로를 등 기구에 부속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서는 점등 회로 중에서도, 방전 벌브에 필요한 전압까지 승압시키기 위한 승압 회로, 즉, 스타터 회로부를 구성하는 점등 회로 유닛을 등 기구 본체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램프를 일체화한 컴비네이션 구조의 등 기구의 경우에, 사용하는 램프의 종류에 관계없이, 리플렉터나 등 기구 본체의 치수가 설계되어 있으며, 예컨대 방전 벌브를 구비한 등 기구를 엇갈림 빔 램프로 하고, 할로겐 벌브등을 포함하는 백열 벌브를 구비한 등 기구를 주행 빔 램프로 하여 이들을 일체화한 컴비네이션 램프 구성의 전조등을 구성할 경우, 각 램프의 리플렉터는 거의 동일한 치수로 일체 성형되며, 또 이 리플렉터를 1개의 등 기구 본체 내에 내장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조등에서는, 각 램프의 리플렉터가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 벌브의 휘도는 백열 벌브와 비교하여 극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리플렉터의 반사면이 백열 벌브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광 속의 폭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배광(配光) 영역의 주변부까지 높은 조도로 조사할 수 없으며, 그 발광 능력을 충분하게 발휘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엇갈림 빔 램프의 경우, 쉐이드(shade)에 의해 리플렉터의 일부 영역, 즉 리플렉터에 있어서 상측으로 향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영역으로의 빛의 투사를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가 실제로 빛의 반사에 기여하는 유효 면적은 실제의 리플렉터의 전체 면적 보다 작아지고, 엇갈림 빔 램프의 조사 광량이 감소되어 식별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엇갈림 빔 램프의 조사 광량의 감소는 실제의 자동차의 시가지 주행에서의 그 대부분이 엇갈림 빔 램프에 의한 주행인 것을 고려한다면, 자동차의 안전 운행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방전 벌브는 그 휘도에 비례하여 발열량이 백열 벌브 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리플렉터에 대한 열의 영향을 고려하여 그 방열성(放熱性)을 높일 필요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방전 벌브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가 자동차의 라디오, 또는 기타 전자 장치에 영향을 주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회로를 등 기구 본체의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점등 회로와 방전 벌브를 전기 접속하는 코드로부터의 전자파의 방사가 극히 많으며, 전술한 영향이 극히 높게 된다. 또한, 이 점등 회로에는, 승압 트랜스나 콘덴서 등의 비교적 대형의 전자 부품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등 기구 본체의 외부에 부착했을 때에는 램프 전체가 대형화로 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 기구는 방전 벌브를 구비한 제 1 램프의 리플렉터의 안길이 치수를 백열 벌브를 구비한 제 2 램프의 리플렉터의 안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하고, 또한 제 1 리플렉터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를 제 2 리플렉터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등 기구에서는, 제 1 및 제 2 램프를 내장한 등 기구 본체의 바닥면의 평탄부에 방전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회로를 배치한다. 혹은, 제 2 램프의 배후의 등 기구 본체의 배면에 점등 회로를 배치한다. 또한, 방전 벌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도전재로 이루어진 쉴드판이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리플렉터의 전면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두껍게 형성된다. 혹은, 각 램프의 전면 위치에 설치되는 렌즈는 상부가 하부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또 각 램프의 리플렉터는 상부 가장자리가 하부 가장자리보다도 전측에 돌출 위치된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실시 형태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일체형 리플렉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 기구 본체 2 : 일체형 리플렉터
3 : 엇갈림 빔 램프 리플렉터 4 : 주행 빔 램프 리플렉터
3a,4a : 하측 평면부 3b,4b : 상측 평면부
3c,4c : 회전 포물면부 5 : 방전 벌브
6 : 백열 벌브 7 : 렌즈
15 : 점등 회로 16 : 점등 회로 케이스
LL : 엇갈림 빔 램프 HL : 주행 빔 램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을 자동차의 4등 방식 전조등에 적용한 실시 형태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의 BB선,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등 기구 본체(1)의 내부에는 2개의 리플렉터(3, 4)가 연달아 설치된 일체형 리플렉터(2)가 내장되어 있으며, 자동차에 장착했을 때에 차체의 외측에 위치되는 엇갈림 빔 램프(LL)측의 리플렉터(3)에는 방전 벌브(5)가, 그리고 자동차 차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주행 빔 램프(HL)측의 리플렉터에는 백열 벌브로서의 할로겐 벌브(6)가, 각각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등 기구 본체(1)의 전면 개구에는 렌즈(7)가 장착되고, 등 기구 본체(1)내에 상기 각 램프(LL, HL)의 램프실이 분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등 기구 본체(1)의 전면 개구의 형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7)의 상부가 램프의 전측으로 향하여 하부 보다 전측에 위치되도록 앞쪽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각 밸브(5, 6)에 대향하는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에는 각각 밸브를 끼워넣기 위한 개구부(1a, 1b)가 각각 설치되고, 이 개구부(1a, 1b)를 통하여 상기 각각의 밸브(5, 6)가 착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엇갈림 빔 램프(LL)측의개구부(1a)에는 착탈 가능한 백커버(8)가 시일 링(seal ring)(9)을 통하여 장착되고, 또한, 주행 빔 램프(HL)측의 개구부(1b)에는 고무 커버(10)가 장착되며, 이들에 의해 각 개구부(1a,1b)가 방수 상태로 밀봉 고정되어 있다. 또, 엇갈림 빔 램프(LL)의 방전 벌브(5)의 소켓(5a)에는 커넥터(11)가 접속되고, 주행 빔 램프(HL)의 할로겐(6)의 소켓 커넥터(6a)는 상기 고무 커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시 생략되어 있는 커넥터가 접속된다.
또, 상기 일체형 리플렉터(2)의 내면에는 알루미늄 등을 도포하거나 증착한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형 리플렉터는 도 6에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엇갈림 빔 램프(LL)의 리플렉터(3)와, 주행 빔 램프(HL)의 리플렉터(4)는 어느 것도 회전 포물면부(3c, 4c)와, 각 포물면부의 하측과 상측에 있어서 각각 전측에 돌출된 평면부(3a, 4a)와 평면부(3b, 4b)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각 리플렉터(3, 4)의 평면부(3a, 4a)와 평면부(3b, 4b)의 전면 개구 위치는 일치되어 있지만, 회전 포물면부(3c, 4c)의 배면 위치는 엇갈림 빔 램프(LL) 쪽으로 후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이 거의 포물선 형상을 하고 있는 각각의 리플렉터(3, 4)의 경우, 엇갈림 빔 램프(LL)의 리플렉터(3)는 그 안길이 치수가 주행 빔 램프(HL)의 리플렉터(4) 보다 크게 되며, 또한 이에 따라 리플렉터(3)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는 리플렉터(4)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리플렉터(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7)가 전측에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각 리플렉터(3,4)의 상측의 평면부(3b, 4b)의 전측으로의 돌출 길이는 하측의 평면부(3a, 4a)의 전후 방향의 돌출 길이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평면부(3b, 4b)의 면적은 하측의 평면부(3a, 4a)의 면적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리플렉터(3,4)의 전면 개구 가장자리, 즉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각 평면부의 상기 가장자리(3a’,4a’,3b’,4b’)는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방전 벌브(5)를 부착한 엇갈림 빔 램프의 리플렉터(3)에는 필요한 배광 특성을 얻기 위한 쉐이드(12)가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지만, 이 쉐이드(12)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등 기구의 광축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일체형 리플렉터(2)의 상부의 외측 위치에는 광축 조정 기구의 지지점 부분(21)이 설치되고, 그 바로 아래 위치에는 상하 좌우 광축 조정부(22)가, 또한 그것보다도 내측 위치에는 상하 광축 조정부(23)가 설치된다. 상기 광축 조정 지지점 부분(21)은 도 5와 같이 일체형 리플렉터(2)의 배면에 피봇 받침(24)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또한 이에 대향하는 등 기구 본체(1)의 내면에는 피봇 스터드(25)가 설치되며, 그 선단의 피봇(26)이 상기 피봇 받침(24)에 끼워 맞춰지고, 이 피봇의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서 일체형 리플렉터(2)를 상하 및 좌우로 경사 운동시킬 때의 지지점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좌우 광축 조정부(22)와 상하 광축 조정부(23)는 동일 도면에 상하 좌우 광축 조정부(22)로서 대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체형 리플렉터(2)의 배면에 조정 너트(27)가 장착되고, 또한 이것에 대향하는 등 기구 본체(1)에는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조정 스크류(28)가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조정 스크류(28)가 조정 너트(27)에 나사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조정 스크류(28)가 축회전되면, 조정 스크류(28)에 대한 조정 너트(27)의 나사 결합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화되고, 일체형 리플렉터(2)를 상기 지지점 부분(21)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그리고 상하측으로 경사 운동시켜서 그 광축을 조정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스크류(28)는 베벨 기어 홈(29)에 의해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광축 조정 샤프트(30)에 결합되어 있으며, 등 기구의 상면측에서 이 광축 조정 샤프트(3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광축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 기구 본체(1)는 상기한 각 램프의 리플렉터(3,4)의 안길이 치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엇갈림 빔 램프(LL)와 주행 빔 램프에서는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이 후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가 상이하고, 양측 사이에 계단부(S)가 형성되어 있다. 또, 등 기구 본체(1)의 내면에는 리플렉터(2)와 동일하게 알루미늄을 도포하거나 증착하고, 이 내면을 반사면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한편, 등 기구 본체(1)의 내부를 전자적으로 차단 보호하기 위한 쉴드막으로서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등 기구 본체(1)의 내면에는 상기 방전 벌브(5)의 배후측 영역을 포위하도록 도전 재료, 여기에서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한 쉴드판(13)을 접착 혹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또,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에는 전조등을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볼트(1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방전 벌브(5)의 소켓(5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11)에 접속된 코드(14)는 등 기구 본체(1)의 외부에 장착된 점등 회로(15)에 접속된다. 이 점등 회로(15)는 차량에 탑재된 밧데리 전압으로 구동되는 저전압 회로부와, 이 저전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방전 벌브(5)를 점등하기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스타터 회로부로 구성되며, 이들의 회로부는 금속으로 제조된 케이스(16)에 일체적으로 내장된다. 그리고, 이 점등 회로 케이스(16)는 상기 등 기구 본체(1)의 엇갈림 빔 램프(LL)의 영역의 바닥면에 도시를 생략한 브래킷이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3)는 그 안길이 치수와 폭방향의 개구 치수가 크게 됨으로써, 그 면적이 크게 되는 엇갈림 빔 램프(LL)의 바로 아래의 등 기구 본체(1)의 바닥면에 있어서, 이에 따라 평면 치수가 크게 설계된 점등 회로 케이스(16)가 장착된다.
또한, 점등 회로(15)와 방전 벌브(5)를 전기 접속하는 전술한 코드(14)는 점등 회로 케이스(16)로부터 인출된 뒤에, 그 바로 아래 위치의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에 개구된 끼워 넣기용 구멍(17)으로부터 등 기구 본체 속으로 삽입되고, 그 선단에 상기 커넥터(11)가 접속되며, 이 커넥터(11)가 방전 벌브(5)의 소켓(5a)에 끼워 맞춰진다. 또, 점등 회로 케이스(16)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밧데리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전원 코드(18)가 인출되어 있다.
이 구성의 전조등에 의하면, 엇갈림 빔 램프(LL)의 리플렉터(3)의 회전 포물면부(3c)를 주행 빔 램프(HL)의 리플렉터(4)의 회전 포물면부(4c)보다도 후퇴시키는 것으로, 리플렉터(3)의 전면의 개구 면적이 리플렉터(4)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3)의 반사 면적도 크게된다. 따라서, 방전 벌브(5)로부터 조사된 빛 가운데, 전방 상측으로 향하는 빛은 현혹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쉐이드(12)에 의해서 빛이 차단되며, 하측, 측방, 후방으로 향하는 빛은 리플렉터(3)를 향하여 투사되지만, 단지 리플렉터의 반사 면적이 증가된 만큼만 리플렉터(3)에 있어서의 빛 반사의 유효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가지 주행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은 엇갈림 빔 램프(LL)의 조사광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식별력을 향상시켜 교통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이 때 방전 벌브(5)에서 발생되는 열은 백열 벌브(6) 보다 많고, 이 방전 벌브(5)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는 리플렉터(3)의 하측 및 상측의 각 평면부(3a, 3b)는 백열 벌브(6)측의 리플렉터(4) 보다 크기 때문에, 이 큰 면적의 평면부(3a, 3b)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발생된 열에 의해서 공기가 가열되어 상측의 평면부(3b)에 투사되게 되지만, 리플렉터의 상측의 평면부(3b)는 하측의 평면부(3a) 보다 면적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효율적인 방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측 및 상측의 각 평면부(3a,3b)에서는 개구 가장자리(3a’,3b’)의 두께가 다른 부분 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그 기계적인 강도가 높은 것으로 되고, 각 평면부가 가열된 경우에서도 리플렉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열 변형성을 향상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방열성 및 내열 변형성에 관해서는 백열 벌브(6)의 리플렉터(4)에 있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한편, 고중량 부품을 포함하는 점등 회로(15)를 수용한 케이스(16)는, 등 기구 본체(1)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등 기구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안정화할 수 있다. 특히, 엇갈림 빔 램프(LL)의 바로 아래 위치의 바닥 면적이 큰 등 기구 본체(1)의 바닥면에 부착됨으로써, 점등 회로 케이스(16)의 고정 장소를 넓은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며, 안정된 부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등 회로 케이스(16)의 평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등 기구 본체(1)의 하측으로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점등 회로 자체는 금속으로 제조된 케이스(16)에 의해서 차단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점등 회로(15)로부터의 전자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케이스(16)로부터 인출된 코드(14)는, 그것의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등 기구 본체(1)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 코드 부분으로부터의 전자파의 방사도 억제된다. 또, 등 기구 본체(1)내에서 연장되는 코드(14)로부터의 전자파는 등 기구 본체(1)의 내면에 설치된 알루미늄의 쉴드막과, 등 기구 본체 내면에 고정한 쉴드판(13)에 의해 차단 보호되어 등 기구 본체(1)의 외부로의 전자파의 방사가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엇갈림 빔 램프(LL)의 바로 아래의 등 기구 본체(1)의 바닥면에 점등 회로(15), 즉 점등 회로 케이스(16)가 부착되어 있지만, 도 6과 같이, 리플렉터의 안길이 치수가 적게 되어 있는 백열 벌브를 구비한 램프, 즉 주행 빔 램프(HL)의 바로 뒤의 등 기구 본체(1)의 배면에 점등 회로 케이스(16)를 부착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점등 회로 케이스(16)는 주행 빔 램프(HL)와 엇갈림 빔 램프(LL)와의 사이에서 등 기구 본체(1)가 배면에 생긴 계단 차이(S)에 의해서 구성되는 오목 지점의 형상에 맞춰진 외형 치수로서 형성하고, 그 위에서 이것의 오목 지점에 점등 회로 케이스(16)를 부착하는 것으로, 점등 회로 케이스(16)가 등 기구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차체에 장착할 때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등 기구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할 경우와 비교하여 등 기구 전체의 높이 치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램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효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엇갈림 빔 램프의 광원에 방전 벌브를 이용하고 있지만, 방전 벌브는 일반적으로 광휘도로서 수명이 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형 자동차, 특히 트럭과 같이 야간 주행이 많고, 주행 빔 램프의 사용 빈도가 높은 교외를 주행하는 트럭 등에 이용하는 전조등에 적용할 경우 주행 빔 램프에 방전 벌브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전 벌브를 구비한 램프의 리플렉터에 있어서 그 안길이 치수와 폭방향의 개구 치수를 백열 벌브를 구비한 램프의 리플렉터 보다 크게 함으로써, 방전 벌브의 램프에 있어서 리플렉터의 광반사 효율을 높이고, 방전 벌브의 발광 능력을 충분하게 발휘시킨 조명을 행할 수 있으며, 식별력이 우수한 전조등 등의 차량용 등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의 상측의 평면부를 하측 보다 크게 함으로써 방열성을 높이고, 또한 개구 가장자리를 두껍게 함으로써 내열 변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방전 벌브의 램프의 바로 아래, 또는 백열 벌브의 램프의 배후에 점등 회로를 배치함으로써, 램프의 안전성을 높이고, 또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도전성의 쉴드판을 설치함으로써 램프 외부로의 전자파의 방사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3)

  1. 방전 벌브를 구비한 제 1 램프와, 백열 벌브를 구비한 제 2 램프를 일체화한 차량용 등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램프의 리플렉터의 안길이 치수를 제 2 램프의 리플렉터의 안길이 치수 보다 크게 하고, 제 1 리플렉터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를 제 2 리플렉터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램프는 1개의 등 기구 본체 내에 내장되고, 상기 등 기구 본체의 바닥면의 평탄부에 상기 방전 벌브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회로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램프는 1개의 등 기구 본체 내에 내장되고, 제 2 램프의 배후의 상기 등 기구 본체의 배면에 점등 회로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 기구.
KR1019960070455A 1995-12-25 1996-12-23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KR100186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37449 1995-12-25
JP33744995A JP3193604B2 (ja) 1995-12-25 1995-12-25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828A KR970037828A (ko) 1997-07-24
KR100186797B1 true KR100186797B1 (ko) 1999-04-01

Family

ID=1830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455A KR100186797B1 (ko) 1995-12-25 1996-12-23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9448A (ko)
JP (1) JP3193604B2 (ko)
KR (1) KR100186797B1 (ko)
DE (1) DE19654263A1 (ko)
GB (1) GB2308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383B2 (ja) * 1997-07-30 2007-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装置
JP3145966B2 (ja) * 1997-09-11 2001-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3898312B2 (ja) * 1997-11-11 2007-03-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DE19820656A1 (de) * 1998-05-08 1999-11-11 Hella Kg Hueck & Co Mehrkammerleuchte für Fahrzeuge
DE29810988U1 (de) * 1998-06-19 1999-10-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teil
JP3854421B2 (ja) * 1999-02-23 2006-1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4285716B2 (ja) * 1999-03-26 2009-06-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装置
DE19941525B4 (de) * 1999-09-01 2008-04-03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US6527411B1 (en) * 2000-08-01 2003-03-04 Visteon Corporation Collimating lamp
JP3907941B2 (ja) 2000-12-14 2007-04-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
DE10063578A1 (de) * 2000-12-20 2002-07-04 Hella Kg Hueck & Co Topfförmige Schutzkappe
US6951412B2 (en) * 2002-11-07 2005-10-04 Guide Corporation VOA pivot stud assembly
DE102007001392A1 (de) * 2007-01-09 2008-07-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ehäuse für ein Betriebsgerät einer Entladungslampe
US8021031B2 (en) * 2007-02-01 2011-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head lamp bulb shield
JP5249350B2 (ja) * 2008-11-25 2013-07-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前照灯ユニット及び自動二輪車
CN102425750B (zh) * 2011-08-23 2014-07-23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车辆前照灯总成装置
FR3020444B1 (fr) * 2014-04-28 2016-05-27 Valeo Vision Belgique Dispositif d'attenuation de perturbations electromagnetiques, et module lumineux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5584566B (zh) * 2014-10-24 2021-09-24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速克达型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357A (en) * 1983-01-19 1985-04-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Headlamp unit with timed switching between two lights
US4926301A (en) * 1986-11-13 1990-05-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assembly
FR2621100A1 (fr) * 1987-09-30 1989-03-31 Koito Mfg Co Ltd Feu avant de type a double faisceau pour vehicule automobile
US4937710A (en) * 1988-04-18 1990-06-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headlamp
JPH0343901A (ja) * 1989-07-12 1991-02-25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灯具
JPH0716247Y2 (ja) * 1990-04-20 1995-04-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
JP2592005B2 (ja) * 1990-05-18 1997-03-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H0740442B2 (ja) * 1990-07-23 1995-05-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H0782761B2 (ja) * 1990-09-26 1995-09-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343370A (en) * 1990-10-23 1994-08-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Motor vehicle headlamp
DE4100411A1 (de) * 1991-01-09 1992-07-16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JP2761133B2 (ja) * 1991-09-24 1998-06-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FR2685439B1 (fr) * 1991-12-19 1997-12-19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presentant une disposition de circuit electronique perfectionnee.
JP2614007B2 (ja) * 1993-03-23 1997-05-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DE4323991C2 (de) * 1993-07-17 2002-07-18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Reflektor und mindestens einer in den Reflektor eingesetzten Lichtquelle
JP2828584B2 (ja) * 1993-12-27 1998-11-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546284A (en) * 1994-04-19 1996-08-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Automobile headlamp with extension reflector mounted on the front lense
JP3193603B2 (ja) * 1995-12-25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26584D0 (en) 1997-02-05
KR970037828A (ko) 1997-07-24
GB2308649A (en) 1997-07-02
DE19654263A1 (de) 1997-07-03
US6129448A (en) 2000-10-10
JP3193604B2 (ja) 2001-07-30
JPH09180503A (ja) 1997-07-11
GB2308649B (en) 199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6797B1 (ko)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등 기구
JP3193603B2 (ja) 車両用前照灯
US5879073A (en) Vehicular lamp having discharge bulb
US6550951B2 (en) Vehicle headlamp
KR100438263B1 (ko) 차량용 등기구
CN109578932B (zh) 车辆用灯具
US6672747B2 (en) Vehicle headlamp having removable lighting control unit
JP3162281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193631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193602B2 (ja) 車両用前照灯
JPH10223003A (ja) 車両用灯具
JP3854349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162300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193608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CN211345167U (zh) 汽车照地灯
CN213207700U (zh) 一种车用照明灯
CN214664172U (zh) 可加大照射范围的汽车灯
KR0132561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반사경구조
JP3162276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3193630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KR200149446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후드
JP3193629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4045720B2 (ja) 車両用灯具
JP2544369B2 (ja) 車輌用ヘツドランプ
JP3329616B2 (ja) 自動車用フォグ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