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50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50B1
KR0177050B1 KR1019950015104A KR19950015104A KR0177050B1 KR 0177050 B1 KR0177050 B1 KR 0177050B1 KR 1019950015104 A KR1019950015104 A KR 1019950015104A KR 19950015104 A KR19950015104 A KR 19950015104A KR 0177050 B1 KR0177050 B1 KR 0177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light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86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즈미
사유리 후지와라
도키히꼬 시노미야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6001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복수의 액정 패널을 대형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구성이다. 블랙 매트릭스는, 광을 흡수하여 흑색을 나타내는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의 표리면 각각의 거의 전면에,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비 전력이 적고, 표시 품위가 우수하며,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멀티표시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된 액정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상기 액정 패널을 1매의 대형 기판상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이음매가 보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7도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시각 특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상기 액정표시장치내의 액정 패널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8(a)도는 단면도이고, 제8(b)도는 화상표시광의 투과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9도는 비교용의 액정표시장치의 시각 특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5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7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8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30, 40, 45, 50, 60 : 액정표시장치
2 : 액정 패널 3,21 : 대형 기판
4 : 컬러 필터 5 : 블랙 매트릭스
6 : 시일재 7 : 액정
8 : 편광판 9 : 굴절율 조정재
10,11 : 유리 기판 12 : 공통 전극
13 : 데이터 전극 14 : 주사 전극
15 : 화소 전극 16 : 박막 트랜지스터
17 : 분단 라인 18 : 누설광
19 : 반사광 31 : 제2 차광막
41 : 광흡수막 42 : 금속막
61 : 제3 차광막 61a : 차광부재
본 발명은 AV(audiovisual) 기기나 OA(office automation)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AV 기기로서 사용되는 가정용 텔레비전, OA 기기에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 고정세화(高精細化) 및 화면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CRT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EL(electroluminescent) 표시장치, LED(light emitting display)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대화면화의 개발,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깊이)가 각별히 얇게될수 있다는 것, 소비 전력이 적다는 것, 풀 컬러화가 용이하다는 것 등의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화면의 대형화에의 기대도 크다.
그 반면에, 액정표시장치는 화면의 대형화를 도모하면 제조 공정에서 신호선의 단선, 화소 결함 등에 의한 불량률이 급격히 높게 되고, 더욱이 액정표시장치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액정표시장치를 이어 맞추어 전체로 1대의 멀티표시방식의 액정표시장치로 하여, 화면의 대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멀티표시방식의 액정표시장치로서 액정 패널을 단순히 맞붙이기만 한 표시장치에서는 각각의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로부터 백 라이트(back light)의 광이 누설되고,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쉽다.
따라서, 자연스런 대형 화면 영상을 얻기 위해, 표시화면 사이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멀티표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예 A]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89-213621호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127605호등에는, 직시형(直視型)의 대화면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공개 특허 공보 제93-127605호에 개시된 액정표시장치(101)에 있어서는, 폴리머 분산형 액정층(102)위에 투명 전극(103 ...), 컬러 필터(104 ...) 및 유리 기판(10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TFT)(106) (소오스 전극(107), 드레인 전극(108), 게이트 전극(109) 및 아모퍼스 실리콘(110)으로 되어 있다)와 화소부(111)로 된 매트릭스 어레이(array)를, 게이트 절연막(112) 및 유리 기판(113)상에 배치하여 된 액정 표시소자(114 ...)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액정 표시소자(114 ...)를 유리 보강판(115) 상의 동일 평면상에 배열, 접속하여, 화면의 대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종래예 B]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94-17178호에 개시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120)에 있어서는, 복수의 액정 패널(121 ...)을 접속할 때 보강 기판(123)에 생기는 틈새에 가리개 층(122 ...)을 설치하는 것으로 액정 패널 (121 ...)의 이음매를 은폐하여, 화면의 대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종래예 C]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188340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341310호등에 개시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예를 제17도에 나타낸다. 즉, 이 액정표시장치(130)에 있어서는, 복수의 액정 패널(131 ...)에 조사(照射) 수단으로서 광원(132 ...)이 설치되고, 또한, 화상 확대 수단 또는 화상 평행이동 수단으로서, 굴절율 분포 렌즈군(群)(133 ...), 프레넬(Frenel) 렌즈(134 ...) 및 스크린(1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표시화상을 스크린(135) 상에 투사하여 이어 맞추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배면 투사형의 대화면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종래예 D]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19346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19347호에 개시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예를 제18도에 나타낸다. 즉, 이 액정표시장치(140)에 있어서는, 가변 조리개(141)를 가지는 투사 렌즈(142), 액정 라이트 벌브(bulb) (143), 필드(field) 렌즈(144), 오목 반사경(145) 및 광원 램프(146)로 된 투사형 화상표시 유니트(147 ...)와 스크린(148)이 사용되고 있고, 투사형 화상표시 유니트(147)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대 화면을 구성하는 전면 투사형의 대화면 액정표시장치가 실현되고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140)에서는, 상하 2단의 각 투사형 화상표시 유니트(I47 ...)의 시야각을 상하 역방향이도록 설정하는 것이나, 각 투사형 화상표시 유니트(147 ...)의 휘도 불균일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음매가 눈에 뜨이지 않는 화상을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예 C의 방식은 이하와 걀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기본적으로 스크린의 배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배면 투사형 표시장치(리어 프로젝터(rear projector))의 일종이고, 산란성 및 반투파성을 나타내는 스크린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저하가 부정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확대 수단이나 화상 평행이동 수단으로서 렌즈 광학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지고, 고휘도의 조사 수단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렌즈 광학계의 존재에 의해, 코스트가 높게 됨과 동시에, 직시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하면 장치의 두께(깊이)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예 D의 방식은, 스크린(148)의 앞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전면 투사형 표시장치(프런트 프로젝터)의 일종이고, 산란성 및 반사성을 나타내는 스크린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예 C의 방식과 같이, 콘트라스트 저하가 부정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나, 고휘도 투사 램프가 필요하다는 것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종래예 A 및 B 의 방식은 직시형의 액정표시장치이다. 즉, 액정 패널의 후면에 냉음극관 등의 백 라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정보에 따라 액정 패널이 백 라이트의 광을 변조하는 것에 의해, 관찰자가 액정 패널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예 C 및 D의 방식과 같은 배면 투사형 및 전면 투사형의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산란성, 반투과성 또는 반사성을 나타내는 스크린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확대 수단이나 화상 평행이동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렌즈 광학계가 불 필요하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지지 않고, 고휘도의 조사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소비 전력 증대를 방지할수 있다. 더욱이, 렌즈 광학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코스트를 억제할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두께(깊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 A 및 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멀티표시방식에 의한 대화면 액정표시장치는 각각 이하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종래예 A 의 방식은 TFT(106)가 형성된 유리 기판(113 ...)의 이음 부분에, 유리기판(113 ...)의 굴곡 및 유리 두께의 불균일의 영향으로 5 ∼ 10㎛ 의 단차(段車)가 생긴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내에 봉입된 액정층(102)의 두께에 불균일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TFT-LCD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 Hematic: TN) 액정 표시 모드에서는, 이 정도의 액정층 두께의 불균일이 있으면 표시가 악영향을 받아 표시 품위가 저하된다.
또한, 그 때문에, 종래예 A 의 방식중 상기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3-127605호에 개시된 방식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머 분산형 액정 표시 모드를 채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표시에의 악영향을 회피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직시형의 폴리머 분산형 액성 표시 모드는 투과/산란의 절환에 의해 표시를 행하므로, 콘트라스트가 나쁘다. 또한, 폴리머의 존재에 의해 구동 전압이 높게 되어, 소비 전력이 증대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유효한 해결책으로는 되지 않는다.
종래예 B 의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정 패널(121 ...)을 접속할 때 틈새로부터의 광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기판(la3)상에 가리개 층(122 ...)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액정 패널(12) ...)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은 통상 1.1 mm 나 0.7 mm 의 두께를 가지므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 액정표시장치(120)를 관찰하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층과 가리개 층(122 ...)에, 유리 두께에 따른 시차(視差)가 생긴다. 이 때문에,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는 가리개 층(122 ..)이 눈에 보이고, 액정 패널(121 ..)의 이음매가 눈에 보인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멀티표시방식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비 전력이 적게되고, 표시 품위가 우수하며,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표면의 거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1 편광축을 가지는 제 1 편광 소자와,
(2) 상기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뒷면의 거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편광축과 직교하는 제2 편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 소자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부위가, 이들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crossed nicol)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화소전극부 이외의 영역의 불필요한 광이 차단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면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덮는 제2 차광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표시화상을 관찰할 경우, 즉, 액정 패널의 접속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관찰할 경우에도, 이 제2 차광막에 의해, 상기한 편광 소자의 시각 특성에 따른 광 누설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하는 부위가, 이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냄과 동시에, 액정패널의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 및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관찰자의 시각에 의존하는 일없이 전방위에서 없앨 수 있고, 또한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차광막은, 광을 흡수하여 흑색을 나타내는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 차광막에 의한 표면 반사가 없게 되므로, 액정 패널의 이음매는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복수의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과,
(b)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이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메우는 제3 차광막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제1 차광막에 의해,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의 불필요한 광이 차단되고, 또한, 액정 패널 접속부의 제3 차광막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투과하는 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이 완전히 없게 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없게 함과 동시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차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3 차광막은,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정 패널의 접속부 끝면에 발생하는 요철, 기복, 응력 등이 제3 차광막의 탄력성력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는 제3 차광막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 단면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메워지므로,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서의 틈새가 완전히 막힌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이 완전히 없게 되고, 또한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용이하게 그리고 더욱 완전히 막는데는,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서, 탄성계수로서의 영율(Young 率)이 104~108N/m2인 광흡수 재료, 예를들어 실리콘계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 제4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는, 직시형(直視型)의 액정표시장치이다. 이 액정표시장치(1)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2 ...)을 1매의 대형 기관(3)(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고, 액정 패널(3 ...)의 배면(도면에서 하측)에, 냉음극관 등의 백 라이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본체에, 후술하는 2개의 편광판(8, 8)(편광 소자)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백 라이트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액정 패널(2 ...)이 화상 정보에 따라 상기 백 라이트의 광을 변조하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2 ...)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관찰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액정 패널(2)의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에 잘 알려져 있는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단순 매트릭스에서 생기는 주사 전극간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배제 하기 위해, 비선택시에 관계 없는 신호를 완전히 커트하는 스위치를 각 화소에 설치하고 있다 이 스위치를 액티브 소자라고 부르고, 이 방식을 액티브 매트릭스형이라고 부른다. 액티브 소자로서, 2단자(다이오드)의 소자와 3단자(트랜지스터)의 소자가 사용된다.
유리 기판(10)(패널 기판)상에는, 주사 전극(게이트 전극)(14), 데이터 전극(소오스 전극)(13), 및 그들 전극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16 ...), 화소전극(15 ...)이 형성되어 있다. TFT(16 ...)는, 아모퍼스 실리콘 (a-Si:H) 이나 다결정 실리콘 (p-Si) 등의 반도체 박막을 이용하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이고, 화소전극(15)으로 화상 신호의 공급을 제어한다. 화소 전극(15)은, 투과형 표시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ITO(산화인듐 주석)등의 투명 도전막, 반사형 표시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알루미늄(Al) 등의 반사성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유리 기판(11)(패널 기판) 상에는 공통 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한 R (적), G (녹), B (청)의 컬러 필터(4 ..)와, 각 화소의 분리를 행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5)(제1 차광막)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5)는 유리 기판(11) 측에 한하지 않고, 유리 기판(10) 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5)는, 각각의 화소 전극(15 ...)의 주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블랙 매트릭스(5)는, 화소 전극(15 ...)사이의 틈새나 TFT 영역에의 광의 입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만약 화소 전극(15 ...) 이외의 영역에 광이 투과하면, 흑(黑) 표시상태의 품위가 떨어지고,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 또한, TFT (16 ...) 에 광이 입사하면 TFT 채널내에 광여기(光勵起)에 의한 누설(leak) 전류가 발생하여, 표시 품위가 저하한다. 이것을 방지하는 것이 블랙 매트릭스(5)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 매트릭스(5)는 광을 홉수하여 흑색을 나타내는 광흡수 재료로 되어 있는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광흡수막의 재료로서는, 수지중에, 예를들어 카본 미립자나 산화티탈 미립자와 같은 안료나 반도체 미립자를 불산시킨 유기재료나, 혹은, 실리콘(Si), 탄소(C), 게르마늄(Ge), 주석(Sn)과 같은 IV족반도체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모퍼스 박막이나 산화크롬(CrOX) 등의 무기재료 등이 사용된다.
상기 흑색 유기재료를 사용하면, 진공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인쇄나 스핀코트(spin coat)에 의해 유기재료를 도포하여, 광흡수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고 용이하게 블랙 매트릭스(5)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IV족반도체 재료를 사용하여 아모퍼스 박막을 형성하는데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진공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유기재료에 비하여 흡수계수가 더욱 큰 블랙 매트릭스(5)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들어, 수지중에 카본 미립자를 분산시킨 흑색 유기재료의 대표적인 흡수계수는 104(cm-1)인 것에 대하여, Si 과 Ge 을 사용한 아모르퍼스 박막 (a-SiGe:H)의 흡수계수는 105(cm-1)이다. 단, 모두, 파장 650 nm의 광에 대한 흡수계수이다.
상기 액정 패널(2)의 형성은, 상기 유리 기판(10) 및 유리 기판(11)을, 화소전극(15)과 공통 전극(12)이 서로 대향하도록 제1도에 나타낸 시일재(seal 材)(6)를 사이에 두고 맞붙이고, 상기 유리 기판(10,11) 사이에 액정(7)을 채워 넣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액정 패널(2)의 접속부 근방의 시일재(6)는, 화소의 극 근방에 정밀하게 배치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시일재(6)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열경화시의 시일재(6)의 열 처짐(heat sagging)의 영향으로 시일재 글방 수백 ㎛의 영역에서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에 있어서는, 시일재(6)로서 자외선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자외선경화 수지로는, 예를들어 아크릴계나 에폭시계의 수지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개시제를 활성화시켜 경화시키는 수지이다. 이 때문에, 열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소의 극 근방에 시일재(6)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a) 및 3(b)도는,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액정 패널(2)을, 1매의 대형 기판(3)(도시되지 않음) 상에 배치한 때의 액정 패널(2,2)의 배치도이다.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액정 패널(2)은, 1변을 화상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의 분단(分斷) 라인(17,17)을 따라 분단하고, 각각의 상기 분단 부분이 맞붙도록 대형 기판(3) 상에 첨부한다.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을 맞붙일 때에 생기는 틈새(접속부)의 폭(b)은, 1화소당 필요로 하는 블랙 매트릭스(5)의 선폭(a)에 비하여 작게 되도록 접속된다. 상기 틈새의 폭(b)이 블랙 매트릭스(5)의 선폭(a)에 비하여 너무 크면, 화면 전체의 화소 피치(pitch)가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서 불규칙하게 되어, 관찰자에 위화감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정 패널(2)의 분단에는 고도한 분단위치 정밀도와 분단면의 마무리 정밀도가 요구된다. 만일 액정 패널(2)의 분단 라인(17,17)이 비뚤어져 있거나 액정패널(2)의 분단면에 수백 ㎛의 요철이 존재 하거나 하면, 액정 패널(2)을 맞붙일때에 그 이상의 틈새가 생긴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크라이브(scribe) 방법에 의한 액정 패널(2)의 분단 방법에서는, 수백 ㎛ 의 분단면의 비뚤어짐을 피할수 없다. 고도한 분단위치 정밀도 및 분단면 마무리 정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다이싱(dicing) 장치를 사용한 분단 방법이 적당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싱 장치를 사용한 분단 방법에 의해, 분단위치 정밀도를 50 ㎛ 이하, 분단면 마무리 정밀도를 5 ㎛ 이하로 억제할수 있어, 액정 패널(2)의 이음매를 좁게 할수 있었다. 이와같이 하여, 상기 틈새의 폭(b)이 블랙 매트릭스(5)의 선폭(a)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 전체의 화소 피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을 맞붙일때, 액정 패널(2a ...)의 접속부에, 굴절율 조정재(9)를 채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기판(10)과 유리기판(11)에 굴절율 1.53의 유리 기판(코닝(Corning) 7059)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굴절율 조정재(9)로서는, 굴절율이 1.53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염(salt)/티올(thiol) 등의 2중결합 부위를 가지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2중결합이 분열하여 중합을 진행하는 아크릴계 자외선경화 수지로, 경화후의 굴절율이 1.53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굴절율이 1.53인 실리콘 오일 등의 굴절율 조정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굴절율 조정재(9)는, 액정 패널(2)을 대형 기판(3) 상에 맞붙일 때의 접착제로서도 사용될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맞붙여진 액정 패널(2 ...)의 앞뒤면 각각의 거의 전면에,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판(8,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액정표시장치(1)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멀티표시방식의 액정표시장치로서, TFT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을 단순히 맞붙이기만 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각의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로부터 백 라이트의 광이 누설되어,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쉽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 ...)을 복수개 맞붙여 구성한 액정표시장치(1)의 거의 전면에 편광판(8,8)을 설치하고 있고, 또한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앞뒤에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의 접속부로부터의 누설 광(18)이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cl-ossea nicol) 상태에서 흑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1)의 거의 정면에 위치하는 관찰자(A)로부터 본 경우는,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이음매는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 완전 흑색 상태가 실현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눈에 잘 보이기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5)에 크롬(Cr) 및 몰리브덴(Mo)과 같은 금속 차광 재료를 사용한 경우는, 블랙 매트릭스(5)에 의한 표면반사 상태와,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흑색 상태(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상태)와의 대비에 의해,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약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블랙 매트릭스(5)에 흑색 재료로 되고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막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5)로부터의 반사광(19)은 광 흡수에 의해 흑색을 나타낸다. 즉, 블랙 매트릭스(5)상에서의 표면반사를 감소시킬수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로부터의 백 라이트 광의 누설광(18)과 블랙 매트릭스(5)로부터의 반사광(19)은 함께 흑색 상태로 되고, 식별할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2 ...)의 이음매를 더욱 눈에 보이지 않게 할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을 복수개 맞붙일때, 액정 패널의 유리 두께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으로, 단차 없이 맞붙이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액정 패널을 가공할때, 액정 패널의 에지(edge)에 피칭(Pitching) 등의 흠도 생긴다. 이와같은 액정 패널의 이음부의 단차 또는 액정 패널의 에지의 흠이 있으면, 그곳에서 광의 산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음매가 눈에 보이게 하는 원인으로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액정 패널(2 ...)을 1매의 대형 기판(3) 상에 붙이고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대형 기판(3) 측으로부터 화상을 관찰할 때에, 액정표시장치(1)의 표면에 액정 패널(2 ...)의 유리 두께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에 의한 단차나 흠이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형 기판(3)은, 액정 패널(2)을 복수개 서로 맞붙여 액정표시장치(1)가 대면적화할 때 보강판의 역할도 달성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의 내충격성을 증대시킬수 있다. 그리하여, 더욱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같이, 액정 패널(2)내에 넣어진 액정층의 두께에 변동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트위스트 네마틱(TN) 액정 표시 모드를 이용하여도 표시가 악영향을 받지 않고,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수 있다.
그것과 함께, 직시형의 폴리머 분산형 액정 표시 모드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구동 전압을 낮게 억제할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N족반도체 재료나 산화크롬(CrOX)을 이용하여 블랙 매트릭스(5)를 형성하면, 유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블랙 매트릭스(5)의 흡수 계수를 더욱 크게 할수 있다. 따라서, 블랙 매트릭스(5)의 표면반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1)에 있어서는, 시일재(6)로서 자외선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 처짐이 발생하지 않고, 화소의 극 근방에 시일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더욱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의 틈새의 폭(b)이 블랙 매트릭스(5)의 선폭(a) 이하로 되어 있기 (제3도 참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 전체의 화소 피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 액정 패널(2)을 구성하는 기판인 유리 기판(10) 및 유리 기판(11)과 거의 같은 굴절율의 굴절율 조정재(9)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에서의 기판 단면의 요철을 원인으로 하여 광이 굴절, 산란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하여, 더욱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율 조정재(9)는 액정 패널(2)을 대형 기판(3)상에 붙일 때의 접착제로서도 이용될수 있으나, 이 경우는 대형 기판(3)과 유리 기판(11)과의 계면(界面)에서 광의 반사가 일어나면 표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하므로, 유리 기판(11)및 대형 기판(3)의 것과 같은 굴절율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2)로서, TFT(16 ...)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을 사용하였으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로서는 그 외에, 다이오드(MIM : metal insulator metal)를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이외의 액정 패널로서, 듀티(duty) 구동형의 액정 패널도 유효하다. 단,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적고, 표시 품위가 보다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및 제5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할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20)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 ...)이 2매의 대형 기판, 즉, 대형 기판(3)(기판)과 대형 기판(21)(기판) 사이에 끼워져 있다. 사용하는 액정 페널(2 ...)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구조의 것이다. 또한,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및 백 라이트는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이 액정표시장치(20)가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1)와 다른 점은, 대형 기판(3)의 동일 평면상에 액정 패널(2)을 첨부한 후, 대형 기판(21)을 액정 패널(2)상에 더 부착한 것이다. 대형 기판(21)을 부착하는데는, 액정 패널(2)을 서로맞붙일 때에 사용하는 굴절율 조정재(9)를 이용하면 좋다.
상기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1)(제1도 참조)에서는, 굴절율 조정재(9)인 수지로 대형 기판(3)의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액정 패널(2 ...)을 부착하는 작업시에, 액정 패널(2)의 접속부로부터 유리 기판(10) 상으로 수지가 불거져 나와 단차나 요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차나 요철은 광산란 요소이고, 이곳을 통과하는 광은 산란하여 편광 상황이 변화한다. 그 때문에,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에 의한 흑색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불거져 나온 수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20)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20)의 뒷면(백 라이트측), 즉, 유리 기판(10) 측에 대형 기판(21)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2 ...)의 접속부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수지면과 액정 패널(2)의 유리 기판(10) 측의 면에 있어서의 단차나 요철 등의 광산란 요소를 전혀 없게 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 ...)의 접속부를 통과하는 광의 산란을 억제하여, 편광 상황의 변화를 방지할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에 의한 흑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1)에 비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보다 자연스런 화상 표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로 맞붙여진 액정 패널(2 ...)을, 2매의 기판(대형 기판(3), 대형 기판(21))으로 끼워 잡고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20)의 강도를 더욱 높일수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20)가 20인치형 이상의 대화면 표시장치인 경우 등에도, 그의 취급을 현저히 용이하게 할수 있다.
더욱이, 액정표시장치(20)의 뒷면(백 라이트측)에 생기는 액정 패널(2 ...)의 유리 두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에 의한 단차나, 액정 패널(2 ...)의 에지의 피칭 등의 흠 등의 노출을 대형 기판(21)에 의해 방지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 ...)의 접속부를 통과하는 광의 산란을 더욱 억제하고, 편광 상황의 변화를 더욱 방지하기 때문에,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에 의한 흑색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보다 자연스런 화상표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6도 - 제9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30)에는, 상기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1)와는 달리,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측 단면(유리 기판(11)의 단면)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덮는 제2 차광막(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차광막(31)은, 블랙 매트릭스(5)와 수직으로 액정 패널(2 ...)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소정의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차광막(31,31)으로는, 수지중에 안료나 반도체 미립자(예를들어, 카본 미립자나 산화티탄 미립자 등)를 분산시킨 흑색 수지 등을 이용하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1)및 액정표시장치(20)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로부터 누설되는 백 라이트 광이,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 흑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5)의 흑색과 식별될수 없게 된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다. 액정표시장치(1) 및 액정표시장치(20)는 이와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특징은,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30)에 있어서도 같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30)의 거의 정면에 위치하는 관찰자(A)로부터 본 경우는,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이음매는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 완전 흑색 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도면에,0표로 나타냄) 때문에, 액정 패널(2 ...)의 이음매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편광판에는 시각 특성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편광판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하는 광에 대하여는, 크로스 니졸 상태에서도 완전 흑색을 실현할 수 없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1)에서, 액정표시장치(1)의 거의 전면에 위치하는 관찰자(A)로부터 본 경우는,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완전 흑색 상태가 실현될수 있어(도면에,0표로 나타냄), 액정 패널(2 ...)의 이음매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1)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에 위치하는 관찰자(B)로부터는, 편광판(8,8)의 시각 특성에 기인하여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서 백 라이트 광의 누설이 일어나고(도면에, X표로 나타냄), 이음매가 약간 눈에 보이는 결파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30)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0)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에 위치하는 관찰자(B)로부터 본 경우는,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에서 일어난 상기 누설팡이 제2 차광막(31)에서 차광되기 때문에, 관찰자(A)로부터 본 경우와 같이, 완전 흑색 상태가 실현될수 있어(도면에, ○표로 나타냄), 액정 패널(2 ...)의 이음매를 눈에 보이지 않게 할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30)는, 넓은 시각 범위에서, 관찰자의 시각에 관계 없이 액정 패널(2 ...)의 이음매를 눈에 보이지 않게 할수 있다.
여기서,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의 단부에서의 블랙 매트릭스(제1 차광막)(5)의 선폭을 c, 제2 차광막(31)의 폭을 d 로 한 때의 양자의 최적 위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 차광막(31)의 폭(d)의 필요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차광막(31)의 폭(d)은,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5)가 유리 기판(11) 측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유리 기판(11)의 접속부측 단부로부터 유리 기판(11)의 끝면을 따라 유리 기판(11)의 표면 방향으로 거리 d 이고, 또한, 블랙매트릭스(5)가 유리 기판(10)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유리 기판(10)의 접속부측 단부로부터 유리 기판(10)의 끝면을 따라 유리 기판(10)의 표면 방향으로 거리 d 인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차광막(31)은, 그의 폭(d)이 너무 크면 컬러 필터(4)를 통과하는 화상표시광을 차단할수 있고 액정표시장치(30)의 시각을 바람직하지 않게 좁히는 결과로 된다. 따라서, 제2 차광막(31)의 폭(d)은 액정표시장치(30)의 시각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내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화상표시광(백 라이트로부터의 입사광)의 액정표시장치(30)로의 투과 상태에 관하여 제8(a)도 및 8(b)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8(b)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표시장치(30)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액정표시장치(30)의 배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화상표시광은, 제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각 θ1으로 유리 기판(10)에 입사되고, 유리 기판(10)내에서 각도 θ2 로 굴절하여, 이 각도 θ2로 액정(7), 컬러 필터(4) 및 유리 기판(11)을 통과하고, 유리 기판(11)으로부터 다시 각도 θ1 으로 굴절하여 출사(出射)된다 즉,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0)의 배면측으로부터 입사각 θ1 으로 입사한 화상표시광은, 액정표시장치(30)내에서 각도 θ2 로 투과하고, 다시 액정표시장치(30)의 외부로 각도 θ1 으로 출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7), 컬러 필터(4)의 두께 (∼㎛)가 상기 유리 기판(10,11)이 두께(∼mm) 에 비하여 매우 얇기 때문에, 액정(7), 컬러 펄터(4)의 굴절율의 영향은 거의 무시할수 있다.
상기 θ1 과 θ2는, 액정표시장치(30)를 형성하고 있는 유리 기판(10,11)의 굴절율을 n, 공기의 굴절율을 1 로 한때, 스넬(Snell)의 법칙에 의해,
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일반적으로, n 1 이므로, 상기 θ2 의 임계각 θ2'는, θ1 = 90°를 상기 (1)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구해진다.
즉, 임계각 θ2 ' 는,
를 만족하는 값으로 된다.
상기 θ2의 임계각 θ2'는, 어떠한 각도로 입사되는 화상표시광(백 라이트로부터의 입사광)도 액정표시장치(30)내에서 모두 임계각 θ2' 이하의 각도로 투과하는 것을 나타내므로, 제2 차광막(3))의 폭(d)도 이 임계각 θ2'를 고려하여 설계하면 좋은 것으로 된다. 다시말하면, 액정표시장치(30)내를 투과할 필요가 있는 광, 즉,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 필터(4)를 투과하여 액정 패널(2)의 접속부로 출사되는 화상표시광이 제2 차광막(31)에 의해 차단되지 않기위해서는
의 관계식을 만족하면 된다 즉, 상기 (2)식을 사용하여 상기 (3)식을 전환함으로써 구해지고,
의 관계식을 만족하면 된다.
이와같이, 상기 (4)식을 만족하도록 제2 차광막(31)의 폭(d)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 컬러 필터(4)를 투과하는 화상표시광은, 제2 차광막(31)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모두 투과할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30)의 시각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다.
또한, 제2 차광막(31)에 의해, 액정 패널(2)의 화소 전극부 측(컬러 필터(4)측)으로부터 액정 패널(2)의 접속부로 출사되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가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표시화상을 관찰할 경우, 즉, 액정 패널(2)의 접속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관찰할 경우에도, 이 제2 차광막(31)에 의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편광판(8,8)의 시각 특성에 따른 광 누설의 발생을 억제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2)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하는 부위가, 이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냄과 동시에, 액정 패널(2,2)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관찰자의 시각에 의존함이 없이 전방위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차광막(31)을 유리기판(11)의 단부에만 폭 d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4)식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면, 유리 기판(10)의 단부에 폭 d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유리 기판(10,11)의 양 단부 모두에 걸쳐 있는 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30)를 형성하고 있는 유리 기판(10,11)에, 굴절율 n = 1.53 의 유리 기판 (코닝 7059)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2)식에서 임계각 θ2'= 40.8°가 구해진다. 또한, 유리 기판(11)의 단부에서의 블랙 매트릭스(5)의 선폭을 C = 150 ㎛로 하면, 상기 (4)식에서 161≤ 174 ㎛ 가 구해진다.
다시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차광막(31)을 유리 기판(11)의 접속부측 단부의 위치로부터, 유리 기판(11)의 접속부측 끝면의 길이방향으로 폭 |d|≤ 174 ㎛ 로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차광막(31)의 형성 위치 및 형상은 제6도 - 제8도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30)의 시각을 좁히는 일없이, 액정표시장치(30)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관찰자로부터 볼 때에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의 누설 광이 차광되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실시예 3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는, 블랙 매트릭스(5)에 흑색의 유기 재료나 무기 재료로 형성된 막을 사용하고, 블랙 매트릭스(5)로부터의 광 반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유기 재료나 무기 재료를 사용한 블랙 매트릭스(5)는, 금속막을 사용한 블랙 매트릭스에 비하여 차광성이 낮기 때문에, 충분한 차광성을 얻는데는 두께가 1 ㎛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두께를 1 ㎛ 이상으로 하면, 액정 패널(2 ...)의 셀 갭(cell gap)의 균일성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40)에서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흡수막(41)과 금속막(42)을 적충하여 블랙 매트릭스(5)(제1 차광막)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금속막(42)에는, 크롬(Cr), 알루미늄(Al) 등을 사용할수 있다.
이 금속막(42)의 우수한 차광성에 의해, 블랙 매트릭스(5)의 두께를 0.5 ㎛ 이하로 억제하면서, 블랙 매트릭스(5)의 차광성을 높일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 ...)의 셀 갭의 균일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액정표시장치(20)와 같이, 2매의 대형 기판(3)및 대형 기판(21)을 가지고, 블랙 매트릭스(5)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45)로 할수도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액정 패널(2 ...)의 셀 갭의 균일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흡수막(41)과 금속막(B3)에 의해 형성한 블랙 매트릭스(5)를 유리 기판(11) 측에 설치하였으나, 상기 블랙 매트릭스(5)를 유리 기판(10) 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5) 대신에, 금속막(43) 만을 유리 기판(10) 측에 설치하고, 광흡수막(41) 만을 유리 기판(11) 측에 설치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12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실시예 1 - 실시예 4 에서는, 복수의 액정 패널(2 ...)을 맞붙일때, 1매 또는 2매의 기판(대형 기판(3) 또는 대형 기판(21))을 보강용 기판으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이들을 설치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보강용 기판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수도 있다.
즉,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50)에 있어서는, 보강용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액정 패널(2 ...)을 맞붙이고 있다. 이 경우, 편광판(8,8)으로서, 1 ∼ 2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아크릴판을 이용한 것을 사용하면, 편광판(8,8)이 보강판의 역할을 달성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5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13도 및 제14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실시예 1 - 실시예 5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는, 복수의 액정 패널(2 ...)을 서로 맞붙여 구성한 액정표시장치의 앞뒤면측의 거의 전면에 편광판(8,8)이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2,2)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하는 부위가 상기 편광판(8,8)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2 ...)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의 틈새에 굴절율 조정재(9)를 충전하는 것으로, 액정 패널(2,2)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각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굴절율 조정재(9)가 굴절율 이방성(복굴절성)을 가지는 경우, 편광판(8,8)에 의해 결정되는 백 라이트로부터의 투과광이 굴절율 조정재(9)에 의해 변조되어, 편광판(8,8)을 크로스 니콜 상태로 설정하고 있어도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에서 부분적으로 광 누설이 일어나고 채색이 일어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60)에서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길이방향으로 메우는 제3 차광막(61)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2,2)의 접속부를 투과하는 광을 차단 할 수 있으므로, 이 접속부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수 있고, 이 결과,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차광막(61)은,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측 끝면의 중앙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측의 각각의 끝면을 덮는 폭이 액정 패널(2)의 끝면 전역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액정표시장치(60)를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때에, 제3 차광막(60)에 인접한 화소의 표시, 즉, 컬러 필러(4)를 투과한 광(화상표시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액정표시장치(60)의 시각을 즙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3 차광막(61)의 폭은, 액정표시장치(60)의 시각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내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하면, 제3 차광딱(61)은, 상술한 실시예 3에서 설명한 제2 차광막(31)의 형성 조건과 같게 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제3 차광막(61)이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길이방향으로 메우도록 헝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2,2)의 접속부 및 그의 근방에 채워진 굴절율 조정재(9)가 굴절율 이방성(복굴절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액정 패널(2,2)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60)는, 액정 패널(2,2)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제3 차광막(61)에 의해 차단하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이음매를 은폐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장치(60)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제14(a)도 - 14(c)도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붙여진 액정 패널(2 ...)의 접속부측 끝면의 중앙 근방에 길이방향으로 소점의 폭으로 차광부재(61a)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을, 차광부재(61a ...)끼리가 밀착하도록 접속한다. 여기서는, 차광 부재(61a)끼리가 접속되어 제3 차광막(61)으로 된다.
이어서, 제1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이 제3 차광막(61)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대형 기판(3)을 굴절율 조정재(9)에 의해 액정 패널(2,2)에 첨부시킨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60)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맞붙여질 각 액정 패널(2)의 접속부측 끝면에, 각각 차량부재(61a)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액정패널(2)의 끝면에만 차광 부재(61a)를 형성하여도 좋다.
통상, 복수의 액정 패널을 맞붙일 때,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끝면에 발생하는 요철, 기복, 응력 등의 영향에 의해, 액정 패널끼리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차광막으로 완전히 매우는 것이 곤란하고, 부분적인 광 누설이 발생할수 있다. 이 때문에, 제3 차광막(61)으로서는,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제3 차광막에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를 사용하면, 액정 패널 접속부측 끝면의 요철, 기복, 응력 등이 제3 차광막의 탄력성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액정 패널끼리의 접속부의 틈새의 소전 위치를 용이하게 그리고 더욱 완전하게 메울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3 차광막(61)으로서는, 탄성 계수(영율) lO4~1O8N/m2의 광흡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3 차광막(61)에는,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서 실리콘계 고무(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흡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실리콘계 고무는, 실록산(Silokane) 결합이 반복하는 (-Si-0-)n을 주쇄(主鎖)로 하고, 측기(側基)로서 알킬, 아릴 또는 그들의 유도기 등을 가지는 중합체이고, 반무기 반유기적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고무는, 도포시에 유동성 내지는 페이스트(paste)상이고, 공기와의 접촉, 실온이나 약간의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서 경화하여 고무상으로 되도록 조정할수 있기 때문에, 제3 차광막(60)의 도포폭이나 높이를 정밀하게 도포할수 있고, 취급도 용이하다. 또한, 경화후의 실리콘계 고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되고 내약품성, 내노화성에도 우수하며, 제3 차광막(61)이 굴절율 조정재(9)와 접촉한 상태에서 방치하여도 안정된 차광 특성을 얻을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고무 이외에,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부재로서는, 부타디엔계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천연고무, 기타 각종 쇄상(鎖狀)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3 차광막(60)의 차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색의 안료나 염료, 색소 등을 상기 탄력성을 가지는 재료에 혼입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들면, 실리콘계 고무에 카본블랙 안료를 적당량 혼입하는 것으로 탄력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차광성이 우수한 제3 차광막(61)으로 할수 있다.
또한, 제3 차광막(6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액정 패널(2)의 접속부측 끝면의 소정 위치를 마스크 테이프로 덮고, 실리콘계 고무를 도포하는 방법, 디스펜서(dispenser)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스크린 인쇄나 옵셋 인쇄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60)는, 제3 차광막(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실시예 1 - 실시예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에 맞는 개개의 작용을 얻을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60)는, 상술한 실시예 1 - 실시예 5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편광판(8,8)을 설치하여, 그의 크로스 니콜 상태를 이용하여 액정패널(2,2)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2,2)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3 차광막(61)에 의해 광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액정표시장치(60)는, 편광판(8,8)을 사용하지 않는 액정표시 모드, 예를들면, 폴리머 분산형 액정(PDLC), 2색성 색소를 사용하는 게스트 호스트(guest host : GH)형 액정을 이용한 표시 모드 등에도 적용할수 있다.
더욱이, 넓게는, 액정표시장치 이외에 편광 소자를 이용하지 않는 표시 패널, 예를들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 (ELD) 패널 등을 복수개 접속한 멀티패널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액정 패널을 인접 접속하도록 나란히 배치한 액정표시장치 본체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표면의 거의 전면 및 뒷면의 거의 전면에,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는 편광 소자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을 복수개 인접 접속하여 구성한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앞뒤의 거의 전면에 편광 소자를 설치하고 있고, 또한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부위가, 이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에 그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액정표시장치의 작용 외에, 액정 패널에 그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팡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의 불필요한 괄을 차단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저감시킬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액정 패널을 인접 접속하도록 나란히 배치한 액정표시장치 본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표면의 거의 전면 및 됫면의 거의 전면에,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는 편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액정 패널에는, 이 액정 패널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체1 차광막과,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끝면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덮는 제2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을 복수개 인접 접속하여 구성한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앞뒤의 거의 전면에 편광 소자를 설치하고 있고, 또한 서로의 편광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부위가, 이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에, 그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의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수 있다. 더욱이, 액정 패널에, 그의 접속부측 끝면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덮는 제3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측으로부터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 출사되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가 비스듬한 방향에서 표시 화상을 관찰할 경우, 즉, 액정 패널의 접속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관찰할 경우에도, 이 제2 차광막에 의해, 상기한 편광소자의 시각 특성에 따른 광 누설의 발생을 억제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부위가, 이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의해 흑색을 나타냄과 동시에,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 및 액정 패널의 점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관찰자의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전방위에서 없게 할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동일 평면상에 복수의 액정 패널을 인접 접속하도록 나란히 배치한 액정표시잘치 본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에, 이 액정 패널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이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메우는 제3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에 그의 각각의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의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이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메우는 제3 차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투과하는 광을 완전히 차단할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없게 함과 동시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수 있으므로,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액정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이,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끝면에서의 상기 제1 차광막 형성위치의 단부를 시점으로한 때의 액정 패널 표면방향으로의 제2 차광막 또는 제3 차광막의 폭을 d,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부에서의 제1 차광막의 선폭을 c, 상기 액정 패널의 구성기판의 굴절율을 n 으로 한때, 제2 차광막 또는 제3 차광막의 폭 d가, d ≤ c/tan(sin-1(1/n))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의 작용 외에, 제2 차광막 또는 제3 차광막의 폭 d 가, d ≤ c/tan(sin-1(1/n))을 만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측으로부터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 출사되는 불필요한 광을, 제2 차광막 또는 제3 차광막에 의해 차단할수 있음과 동시에,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화소 전극부를 거쳐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 투과할 필요가 있는 광을, 제2 차광막 또는 제3 차광막에 의해 차단하는 일없이 모두 투과 시킬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화소 전극부 이외의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없게 하고, 또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액정표시장치의 시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내에, 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기판의 굴절율과 거의 같은 굴절율의 굴절율 조정재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패널 기판과 거의 같은 굴절율의 굴절율 조정재가 채워져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을 복수개 서로 맞붙일때, 패널 기판의 끝면이, 굴절율이 다른 매질(예를들어, 공기 등)과 접하여 있으면, 그곳에서 광의 굴절이 일어난다 또한, 패널 기판의 끝면이 가공시에 거칠어지면, 그곳에서 광의 굴절, 산란이 일어난다. 이것에 의해, 이음매가 눈에 보이는 원인으로 된다.
그러나, 제6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접속부내에 패널 기판과 거의 같을 굴절율의 굴절율 조정재를 채우고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 끝면에서의 광의 굴절, 산란을 없게 할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액전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제4 또는 제6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이,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로 예를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와 같은 액티브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패널을 사용하고 있어, 크로스토크가 적게 된다. 그리하여, 표시 품위가 보다 높은 화상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제B 또는 제6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이,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서로 부착된 패널 기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액정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제4 또는 제6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이,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서로 부착된 패널 기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8 및 제9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시일재로서 자외선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의 접속부 근방의 시일재는, 화소의 극 근방에 정밀하게 배치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시일재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열경화시의 시일재의 열 처짐의 영향으로 시일 근방 수백 ㎛ 의 영역에서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한다.
그러나, 제8 및 제9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재로서 자외선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처짐이 발생 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소의 극 근방에 시일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리하여, 액정의 배향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1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이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액정 패널을 1매의 기판상에 부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을 복수개 맞붙일때, 액정 패널의 유리 두께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으로, 단차없이 맞붙이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액정 패널을 가공할 때, 액정 패널의 에지(edge)에 피칭(pitching) 등의 흠도 생긴다. 이와같이, 액정 패널에 단차나 흠이 있으면, 그곳에서 광의 산란이 생기므로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는 원인으로 된다.
그러나, 제10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액정 패널을 1매의 기판상에 붙이기 때문에, 관찰자가 상기 기판측으로부터 화상을 관찰할 때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에, 액정 패널의 유리 두께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에 의한 단차나, 액정 패널의 에지의 피칭 등의 흠이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액정 패널을 복수개 맞붙여 액정표시장치가 대면적화한 때 보강판의 역할도 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을 증대시킬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내에 넣어진 액정층의 두께에 변동이 생기지 않으므로, 트위스트 네마틱(TN) 액정 표시 모드를 이용하여도 표시가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하여,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직시형의 폴리머 분산형 액정 표시 모드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구동 전압을 낮게 억제할수 있다. 그리하여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2매의 기판 사이의 동일 평면상에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이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1 액정표시장치에서는, 2매의 기판사이에 복수의 액정 패널을 배치하여 액정 표시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표면(화상을 관찰하는 측)에 생기는 액정 패널의 유리 두께의 변동이나 굴곡 등의 영향에 의한 단차나, 액정 패널의 에지의 피칭 등의 흠이 보이지 않고, 액정표시장치의 됫면(백 라이트측)에 생기는 상기 단차나 흠도 노출되지 않도록 할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접속부를 통과하는 광이 산란하지 않고, 편광 상황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에 의한 흑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보다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표면(관찰자측) 및 됫면(백 라이트측)의 전면에 걸쳐 상기 기판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액정 패널을 접속시키기 위한 부재(접착제)를 적용시킬때, 상기 접착제가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 불거져 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접착제의 면과 액정 패널의 면에서의 단차나 요철 등의 광 산란 요소를 전혀 없게 할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액정 패널웨 접속부를 통과하는 광이 산란하지 않고, 편광상황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에 의한 흑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보다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로 맞불여진 액정 패널이 2매의 기판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강도를 높일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들어 20인치형 이상 등의) 대화면 액정표시장치를 만들 경우 등에 그의 취급을 현저히 용이하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2, 제3 또는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폭이 상기 제1 차광막의 선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폭이 제1 차광막의 선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을 복수개 맞붙일때 요하는 접속부의 폭이 각 액정 패널내의 화소 피치와 대비하여 크게 다르면, 맞붙인 부분만 화소 피치가 다른 표시장치로 되어, 표시화상에 위화감이 생겨 이음매가 눈에 보인다.
그러나, 제12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폭이 제1 차광막의 선폭 이하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 전체의 화소 피치를 균일하게 할수 있다. 그리하여,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스런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3 액정표시장치는, 제2, 제3, 제4, 제10 또는 제11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 차광막이, 광을 흡수하늘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흡수막으로 형성된 제1 차광막을 사용하고 있다.
만약, 상기 제1 차광막으로서, 크롬(Cr)이나 몰리브덴(Mo)과 같은 금속제의 차광재료로 된 막을 사용하면, 제1 차광막에 의한 표면 반사 상태와,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흑색 상태(편광 소자의 크로스 니콜 상태)와의 대비에 의해,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약하게 된다.
그러나, 제13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광막에 광흡수막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1 차광막에 의한 표면반사를 없게 할수 있다. 그리하여, 액정패널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2, 제3, 제4, 제10 또는 제11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 차광막이 금속막과 광을 흡수하는 팡흡수딱을 적층한 적층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들어, 유기 재료나 무기 재료로 형성된 광흡수막과, 금속막과의 적층막으로 형성된 제1 차광막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상기 제1 차광막을 상술한 바와같은 유기 재료나 무기 재료로 형성하면, 금속막으로 헝성한 경우에 비하여 차광성이 떨어지므로, 충분한 차광성을 얻기 위해서는 1 ㎛ 이상의 두꺼운 막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제14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광막으로서 광흡수막과 금속막과의 적층막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예를들어 0.5 ㎛ 정도의 얇은 막으로 충분한 차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3 또는 제1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이,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 차광막중의 광흡수막이, 수지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공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인쇄나 스핀 코트(spin coat) 등에 의해 유기 재료를 도포하여 광흡수막 을 형성할수 있다. 그리하여, 용이하고 저렴하게 상기 제1 차광막을 형성할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립자로서는, 예를들어 카본 미립자나 산화티탄 미립자인 안료나 반도체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3 또는 제1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이, IV족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차광막중의 광흡수막이 IV족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진공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유기 재료에 비하여 흡수 계수가 더욱 큰 상기 제1 차광막을 형성할수 있다. 그리하여, 충분한 차광성이 얻어지고,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게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4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3 차광막이,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4 액정표시장치의 작용 외에, 제3 차광막이,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접속부 끝면에 발생하는 요철, 기복, 응력 등을 제3 차광막의 탄력성력에 의해 흡수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제3 차광막에 의해 액정 패널의 접속부 끝면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막을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서의 틈새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접속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완전히 없게 할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의 이음매를 더욱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용이하게 그리고 완전히 막는데는,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부재로써, 탄성계수로서의 영율이 104~108N/m2인 광흡수 재료, 예를들어, 실리콘계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8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7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광흡수 재료가, 실리콘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7 액정표시장치의 작용 외에, 광흡수 재료가 실리콘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차광막을 실리콘계 고무의 특성인 경화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되고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3 차광막이 다른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방치되어도 안정된 차광성을 유지할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고무는, 도포시에 유동성 내지는 페이스트상이고, 실온이나 약간의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서 경화하여 고무상으로 되므로, 제3 차광막을 액정 패널의 접속부 끝면에 도포폭 및 높이를 정밀하게 도포할수 있고, 취급도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제3 차팡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제17 또는 제18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재료에, 카본블랙 안료가 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7 또는 제18 액정표시장치의 작용 외에, 광흡수 재료에, 카본블랙 안료가 혼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광흡수 재료의 탄력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차광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19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액정 패널의 이음매가 눈에 보이지 않는 멀티표시방식에 의한 직시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가 실현될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44)

  1. 각각 화소 전극부를 구비한 복수의 액정 패널을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하도록 나란히 배치한 액정표시장치 본체, 상기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표면의 거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1 편광축을 가지는 제1 편광 소자,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 본체의 됫면의 거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편광축과 직교하는 제2 편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 편광소자가 서로 크로스 니콜 상태로 되어,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간의 누출광을 차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과,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면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덮는 제2 차광막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3. 각각 화소 전극부를 구비한 복수의 액정 패널을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하도록 나란히 배치한 액정표시장치 본체, 상기 화소 전극부의 주위를 소정의 선폭으로 덮는 매트릭스상의 제1 차광막,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이 접속부에 생기는 틈새를 메우는 제3 차광막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막의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면에서 상기 제1 차광막 형성위치의 단부를 시점으로한 때의 액정 패널 표면방향으로의 폭을 d, 제1 차광막의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부에서의 선폭을 c, 상기 액정 패널의 구성 기판의 굴절율을 n 으로 한때, 제2 차광막의 폭 d 는, |d | ≤ c/tan(sin-1(1/n))을 만족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차광막의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끌면에서의 상기 제1 차광막 형성위치의 단부를 시점으로한 때의 액정 패널 표면방향으로의 폭을 d, 제1 차광막의 액정 패널의 접속부측 단부에서의 선폭을 c, 상기 액정 패널의 구성 기판의 굴절율을 n 으로 한때, 제2 차광막의 폭 d 는, |d | ≤ c/tan(sin-1(1/n))을 만족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내에 충전되고, 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기판의 굴절율과 거의 같은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율 조정재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내에 충전되고, 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기판의 굴절율과 거의 같은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율 조정재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내에 충전되고, 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기판의 굴절율과 거의 같은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율 조정재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상의 액티브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열경화 병용형 자외선경화 수지를 사용한 시일재로 맞붙여진 패널 기판을 가지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1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1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1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2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2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은 2매의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인접 접속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액정표시장치.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폭은 제1 차광막의 선폭 이하인 액정표시장치.
  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접속부의 폭은 상기 제1 차광막의 선폭 이하인 액정표시장치.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막은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막은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막은 금속막과,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막을 적층한 적층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막은 금속막과,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막을 적층한 적층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은 수지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은 수지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은 IV족반도체를 함유하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막은 IV족반도체를 함유하는 무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차광막을 탄력성을 가지는 광흡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재료는 실리콘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재료는 탄성계수(영율) 104~108N/m2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재료는 카본블랙 안료를 혼입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재료는 카본블랙 안료를 혼입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패널 각각은 한쌍의 기판간에 액정이 봉입되어 이루어진 패널인 액정표시장치.
KR1019950015104A 1994-09-02 1995-06-05 액정표시장치 KR0177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10216 1994-09-02
JP21021694 1994-09-02
JP95-029395 1995-02-17
JP07029395A JP3131354B2 (ja) 1994-09-02 1995-02-17 液晶表示装置
JP95-29395 199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86A KR960011486A (ko) 1996-04-20
KR0177050B1 true KR0177050B1 (ko) 1999-05-01

Family

ID=2636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104A KR0177050B1 (ko) 1994-09-02 1995-06-0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812226A (ko)
JP (1) JP3131354B2 (ko)
KR (1) KR0177050B1 (ko)
CN (1) CN1087437C (ko)
TW (1) TW35437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143B1 (ko) * 2001-12-26 2005-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블랙매트릭스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700B1 (ko) * 2005-04-0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 영상을 표시하고 선택하여 확대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9936A (en) * 1989-03-31 1992-01-14 Folger Adam Company High security cylinder lock
JP3483670B2 (ja) 1995-04-14 2004-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6380994B1 (en) * 1995-07-28 2002-04-30 Fujitsu Limited Fresnel le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437886B2 (ja) * 1995-10-11 200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シール形成方法
JPH09159985A (ja) * 1995-12-08 1997-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US5867236A (en) * 1996-05-21 1999-02-02 Rainbow Displays, Inc. Construction and sealing of tiled, flat-panel displays
JP3460914B2 (ja) * 1996-10-28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H10186397A (ja) * 1996-10-29 1998-07-1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86315A (ja) 1996-12-27 1998-07-1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361947B2 (ja) * 1997-01-30 2003-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0268332A (ja) * 1997-03-24 1998-10-0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078379A (en) * 1997-06-13 2000-06-2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eal material and spacer made of resist
US6104457A (en) * 1997-06-13 2000-08-15 Sharp Kabushiki Kaisha Sealed multi-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21029B2 (ja) 1997-06-18 2002-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251512B1 (ko) 1997-07-12 2000-04-15 구본준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JP3494859B2 (ja) * 1997-10-02 2004-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28397B2 (ja) * 1997-10-14 2003-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382682B (en) * 1997-10-15 2000-02-21 Gec Marconi Avionics Holding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crystal displays
GB9721804D0 (en) 1997-10-15 1997-12-17 Gec Marconi Avionics Holding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crystal displays
JP3441047B2 (ja) 1997-10-24 2003-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476783B2 (en) * 1998-02-17 2002-11-05 Sarnoff Corporation Contrast enhancement for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by using a black matrix and lens array on outer surface of display
US6552850B1 (en) * 1998-06-30 2003-04-22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Device, method, and system of display for controlled viewing
KR100320416B1 (ko) * 1998-08-26 2002-09-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액정표시소자
KR100561907B1 (ko) * 1999-01-19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US6556261B1 (en) * 1999-02-15 2003-04-29 Rainbow Displays, Inc. Method for assembling a tiled, flat-panel microdisplay array having reflective microdisplay tiles and attaching thermally-conductive substrate
US6476886B2 (en) * 1999-02-15 2002-11-05 Rainbow Displays, Inc. Method for assembling a tiled, flat-panel microdisplay array
US6204906B1 (en) 1999-03-22 2001-03-20 Lawrence E. Tannas, Jr. Methods of customizing the physical size and shape of commercial off-the-shelf (COTS) electronic displays
US6657698B1 (en) * 1999-08-06 2003-12-02 Rainbow Displays, Inc. Design features optimized for tiled flat-panel displays
JP3489674B2 (ja) 2000-02-28 2004-01-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81757A (ko) * 2001-04-19 2002-10-30 김현희 멀티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백라이트
KR100399787B1 (ko) * 2001-05-04 2003-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과 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 기판을 가지는 플라즈마표시장치
JP3946547B2 (ja) * 2001-06-05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JP4329368B2 (ja) * 2002-03-28 2009-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584758B (en) * 2002-05-03 2004-04-21 Delta Electronics Inc Assembling type liquid crystal panel
USRE41914E1 (en) 2002-05-10 2010-11-09 Ponnusamy Palanisamy Thermal management in electronic displays
US6849935B2 (en) 2002-05-10 2005-02-01 Sarnoff Corporation Low-cost circuit boar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area array electrical interconnections over a large area between a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JP2004333610A (ja) * 2003-05-01 2004-11-25 Sankyo Kk 平面型表示装置
JP4059153B2 (ja) * 2003-06-23 2008-03-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7505445A (ja) * 2003-07-07 2007-03-08 アイファイアー・テクノロジー・コープ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ールおよびシール方法
JP2005049831A (ja) * 2003-07-15 2005-02-24 Nippon Dempa Kogyo Co Ltd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55358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대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3462B1 (ko) * 2003-12-30 2011-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된 대면적 액정표시장치
US7938051B2 (en) 2004-05-21 2011-05-10 Tannas Lawrence E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electronic displays during resizing
US7780492B2 (en) 2004-09-02 2010-08-24 Tannas Jr Lawrence E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izing electronic displays
KR100899971B1 (ko) * 2004-11-11 2009-05-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조합형 광학 필름,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JP4843953B2 (ja) * 2005-01-31 2011-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261240A (ja) * 2005-03-15 2006-09-28 Seiko Epson Corp 電子デバイス用基板、電子デバイス用基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330513A (ja) * 2005-05-27 2006-12-07 Asahi Glass Co Ltd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
WO2007138732A1 (ja) * 2006-05-31 2007-12-06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システム
CN101405643B (zh) * 2006-05-31 2012-01-18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4413935B2 (ja) * 2007-02-13 2010-02-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1551882B1 (ko) 2008-11-07 2015-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7763841B1 (en) 2009-05-27 2010-07-27 Microsoft Corporation Optical component for a depth sensor
EP2533097A1 (en) * 2010-02-03 2012-12-1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p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259282B2 (en) 2010-05-17 2012-09-04 Tannas Jr Lawrence E Method of repairing short or potential short circuits during resizing of an electronic flat panel display
US8804090B2 (en) 2010-12-02 2014-08-12 Lawrence E. Tannas, Jr. Methods for creating a minimally visible seal along the edge of a flat panel display
WO2013067473A1 (en) 2011-11-04 2013-05-10 Tannas Lawrence E Jr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ealing resized electronic displays
WO2013152142A1 (en) 2012-04-03 2013-10-10 Tannas Jr Lawrence E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izing electronic displays
JP2015194515A (ja) * 2014-03-31 2015-11-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9074278A1 (ko) * 2017-10-12 2019-04-18 주식회사 루멘스 디스플레이용 엘이디 모듈 조립체
JP6411685B1 (ja) 2017-10-12 2018-10-24 ルーメ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用ledモジュール組立体
KR20190051205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루멘스 엘이디 패키지
CN109884814A (zh) * 2018-11-13 2019-06-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超窄边拼接液晶显示屏及制作方法
TWI775712B (zh) * 2019-05-24 2022-08-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封裝與顯示模組
CN113540325B (zh) * 2020-04-22 2023-11-0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3178139B (zh) * 2021-04-27 2023-08-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备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1014A (en) * 1980-02-28 1981-09-22 Sharp Corp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S599639A (ja) * 1982-07-07 1984-01-19 Canon Inc 液晶表示素子
US4515440A (en) * 1983-04-28 1985-05-0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for multiple liquid crystal displays
JPH0750381B2 (ja) * 1984-12-20 1995-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US4906071A (en) * 1987-03-31 1990-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video projector incorporating same with particular driving circuit connection scheme
JPH01213621A (ja) * 1988-02-22 1989-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複合化液晶デイ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5164853A (en) * 1989-04-06 1992-11-17 Ricoh Company,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plural substrates
JP2765140B2 (ja) * 1989-12-22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3256025A (ja) * 1990-03-06 1991-11-14 Toshiba Corp 液晶パネル
JP2954714B2 (ja) * 1991-01-21 1999-09-27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H05127605A (ja) * 1991-04-23 1993-05-25 Hitachi Ltd 大画面液晶表示装置
JP2973594B2 (ja) * 1991-06-18 1999-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0519346A (ja) * 1991-06-18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865499B2 (ja) * 1991-09-26 1999-03-08 健 増本 超塑性アルミニウム基合金材料及び超塑性合金材料の製造方法
JP2810572B2 (ja) * 1992-01-09 1998-10-15 富士通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H05341310A (ja) * 1992-06-10 1993-12-24 Fujitsu Ltd 投写型表示装置
JP2008112003A (ja) * 2006-10-31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143B1 (ko) * 2001-12-26 2005-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블랙매트릭스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256534B2 (en) 2001-12-26 2007-08-14 Samsung Sdi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black matrix
US8648364B2 (en) 2001-12-26 2014-02-11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n opaque film to block an eternal light reflected from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a capacitor
KR100703700B1 (ko) * 2005-04-0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 영상을 표시하고 선택하여 확대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178A (zh) 1996-04-10
CN1087437C (zh) 2002-07-10
TW354379B (en) 1999-03-11
JPH08122769A (ja) 1996-05-17
KR960011486A (ko) 1996-04-20
USRE39910E1 (en) 2007-11-06
US5812226A (en) 1998-09-22
JP3131354B2 (ja) 200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050B1 (ko) 액정표시장치
US77380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5838405A (en) Tiled display device
KR100220550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231021B1 (ko) 표시장치
KR100297223B1 (ko) 전기도전성방현편광판
JP3083717B2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6297863B1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095955B2 (ja) 液晶表示装置
JP3258184B2 (ja) 液晶表示装置
JP3102996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1389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99917B2 (ja) 液晶表示装置
US11656505B2 (en) Display device
US20240045274A1 (en) Display device
KR100943466B1 (ko) Tn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H10240172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