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429B1 -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429B1
KR0166429B1 KR1019950002883A KR19950002883A KR0166429B1 KR 0166429 B1 KR0166429 B1 KR 0166429B1 KR 1019950002883 A KR1019950002883 A KR 1019950002883A KR 19950002883 A KR19950002883 A KR 19950002883A KR 0166429 B1 KR0166429 B1 KR 016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lock member
opera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227A (ko
Inventor
가쯔히꼬 다까기
Original Assignee
구쯔자와 겐따로우
알파인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쯔자와 겐따로우, 알파인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구쯔자와 겐따로우
Publication of KR95002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조작부재가 이탈하는 것에 있어서, 기기본체로부터 이탈할 때의 조작부재가 손으로 잡기 쉬운 위치로 돌출하고, 또 조작부재의 록 및 임시걸림용 기구를 간단히 구성하도록 한다.
기기본체(10)에 설치된 지지축(28)에 대해, 록부재(25)가 (다)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있다. 이 지지축(28)에 대해 보조부재(27)가 (가)방향으로 돌출가세되는 동시에 (다)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지지 되어 있다. 조작부재(13)가 장착되면, 그 배면의 피걸림돌기부(34a)가 록부재(25)의 록폴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에 의해 걸린다. 조작부재(13)에 설치된 록해제 조작체(33)가 눌려지면 록부재(25)가 (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보조부재(27)의 록이 풀려지고, 보조부재(27)가 (가)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돌출한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27a)에 의해 조작부재(13)가 임시로 걸린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2도는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
제3도는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보조부재가 노즈부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즈부의 부분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부부분의 확대평면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탑재용 음향장치등과 같이, 조작부재가 기기본체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의 조작부재를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한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는 조작면이 설치되고, 이 조작면에 각종 조작버튼등이 배열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기기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가 기기본체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제6도는, 이 종류의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의 일 예로서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Ⅶ부분의 확대평면도이다.
기기본체(1)는, 자동차의 앞자리 전방의 콘솔패널에 매설되는 금속제 샤시(2)와, 그 전방에 설치된 수지재료제의 화장부(化粧部)인 노즈부(3)를 갖고 있다. 샤시(2)가 콘솔패널에 매설된 상태에서, 노즈부(3)는 콘솔패널의 거의 전면에 일치한다. 노즈부(3)의 전면에는 오목부(3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a)내에 조작부재(4)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4)의 전면은 조작면(4a)이고, 이 조작면(4a)에, 각종 조작버튼(5, 5,…), 액정표시패널등이 배열되어 있다. 조작부재(4)와 노즈부(3)의 전면은 발췌자유로운 코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차중에, 이 조작부재(4)를 기기본체(1)로부터 이탈시켜 소지함으로써, 자동차내에 남겨진 기기본체(1)의 내부기구와 내부회로의 조작이 불능상태로 되어, 이에 의해 기기본체(1)가 자동차로부터 도난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조작부재(4)와 노즈부(3)의 장착구조로서는, 먼저 제6도의 우단부에 있어서, 노즈부(3)에 설치된 걸림돌기(3b)와 조작부재(4)에 형성된 걸림오목부(4b)가 상호 걸어맞춰져 있다. 제6도의 도시좌단부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4)에 록홈(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즈부(3)에는 록폴(6)이 축(7)에 대하여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록폴(6)은 스프링(8)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노즈부(3의 도시좌측의 연부(3c)에는, 록해제버튼(9)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4)의 장치는, 먼저 걸림오목부(4b)를 걸림돌기(3b)에 걸고, 이 걸림부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부재(4)를 α방향으로 회전시켜 노즈부(3)의 오목부(3a)내로 장착한다. 이때, 조작부재(4)에 형성된 록홈(4c)과 록폴(6)이 끼워 맞춰지고, 조작부재(4)는 노즈부(3)에 대해 이탈하지 않게 장착된다.
조작부재(4)를 기기본체(1)로부터 뽑아낼 때에는, 노즈부(3)의 연부(3c)에 설치된 록해제버튼(9)이 눌려진다. 이에 의해 록폴(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록폴(6)과 록홈(4c)의 걸림이 해제된다. 노즈부(3)의 오목부(3a)내에는 조작부재(4)를 이탈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록폴(6)과 록홈(4c)의 걸림이 해제되면, 조작부재(4)는 상기 가세력에 의해, 제6도의 β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돌출한다. 이 조작부재(4)를 손으로 유지하여, 걸림돌기(3b)와 걸림오목부(4b)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조작장치에서는, 제7도에 나타낸 록해제버튼(9)를 누르면, 조작부재(4)와 노즈부(3)의 도시좌측부에서의 결합이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조작부재(4)를 손으로 잡지 않으면, 조작부재(4)가 노즈부(3)로부터 이탈하고, 그대로 바닥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조작부재(4)를 유지하면서 왼손으로 록해제버튼(9)을 누르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취급상 불편하다.
또, 제6도 및 제9도의 구조에서는, 록해제버튼(9)이 노즈부(3)의 좌측의 연부(3c)에 조작부재(4)의 좌측안쪽에 위치하고, 또한, 록해제버튼(9)은 조작부재(4)의 좌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록해제버튼(9)을 누를 때에 조작부재(4)가 손가락의 장해가 되고, 조작하기 어렵게 된다. 또 노즈부(3)의 연부(3c)의 표면적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배치되는 록해제버튼(9)은 길이가 작은 것이 되고, 이 점으로부터도 조작성이 나쁘게 되어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본체와 조작부재의 록을 해제시킨 경우에, 조작부재가 기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손으로 잡기 쉬운 위치까지 전진하여 임시로 걸리되도록 하여, 조작부재의 이탈시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 전자기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조작부재를 임시로 거는 기구와, 조작부재를 기기본체에 대해 록하기 위한 기구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고, 록기구와 상기 임시걸림용 기구를 별도의 개소에 설치할 필요를 없애고, 기구배치스페이스를 효율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록해제 조작체를 조작부재에 설치함으로서 기기본체와 조작부재의 록해제의 조작을 행하기 쉽도록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기본체와, 이 기기본체에 착탈자유롭게 설치한 조작부재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재의 한쪽의 단부와 기기본체를 거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기기본체에 설치된 조작부재에 거는 록부재와, 동일하게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록부재와 함게 조작부재에 걸리는 동시에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된 보조부재와, 상기 록부재와 조작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록해제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에는, 보조부재가 기기본체로부터 직선적으로 돌출하는 경우와, 보조부재가 원호궤적등에 의해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기기본체에 연설하고, 이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시킨 피걸림부에 거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의 연설은,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예를들어 걸어맞춤용 폴부가 밀착하여 있고 또는 최소의 간극을 거쳐 나열되어 있는 구조, 또는 록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결손부내에 보조부재가 들어 있는 구조등을 의미한다. 또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는, 상기 연설된 록부재와 보조부재가 함께 걸릴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고, 이 피걸림부는 예를 들면, 연속된 같은 오목부나 돌출부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록부재가 걸리는 피걸림부와 보조부재가 걸리는 피걸림부가, 인접하여 있지만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에 있어서, 록부재는 기기본체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보조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자유롭게 또한 이 지지축에 대해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섭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보조부재는 기기본체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록해제 조작체를 조작부재에 설치하고, 이 록해재 조작체에 의해, 기기본체측의 록부재를 걸림방향으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록해제 조작체와 록부재의 위치관계로서는, 예를 들면 록해제 조작체의 선부가 조작부재의 조작면에 나타나고, 록해제 조작체의 기초부가 조작부재내를 관통하여 장치본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조작면측으로부터 록해제 조작체를 누르면, 이 록해제 조작체의 기초부에 의해 록부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눌려지는 등으로서, 록해제부재가 걸림해제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구조를 의미한다.
상기 수단에서는, 조작부재의 한쪽의 단부와 기기본체가 걸림부에 의해 걸린다. 이 걸림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조작부재를 기기본체의 방향으로 누르면, 기기본체에 설치된 록부재와 보조부재가, 동시에 조작부재에 걸리고, 이에 의해 조작부재는 기기본체에 대해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상기 록부재와 조작부재와의 걸림을 해제하면, 보조부재는 조작부재에 걸린채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조작부재는 이 돌출위치에 보조부재에 의해 임시로 걸린다. 조작부재를 손으로 잡아당겨, 보조부재와 조작부재의 임시걸림을 해제시킴으로서, 조작부재를 기기본체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는 록해제의 시점에서 기기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또 조작부재는, 보조부재의 돌출에 의해 기기본체에 대해 잡기 쉬운 위치로 이동하고, 분리시,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연설하고, 이들이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려진 구조로 된 경우에는, 록배주와 보조부재를 최소의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고, 기기본체측의 기구의 배치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측과 동일한 개소에, 록부재용과 보조부재용의 피걸림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부재측의 구조의 간략화도 가능하다.
또,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장치본체측의 공통의 지지축에 지지함으로써, 장치본체에서의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지지구조를 간략할수 있게 된다.
또, 조작부재에 록해제 조작체를 설치하고, 이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록부재를 동작시키도록 하면, 제7도에 나타낸 종래 예와 같이, 조작부재의 측방에 록해제 조작체(록해제버튼(9))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 록해제조작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 조작부재에 설치된 경우의 록해제 조작체는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등으로 조작하기 쉽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의 일 예로서,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제3도 및 제4도는,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설치구조를 작동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도에 나타내는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기기본체(10)는, 금속제등의 샤시(11)와, 이 전방에 설치된 수지제의 화장부인 노즈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노즈부(12)의 전면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기본체(10)의 전면이란, 오목부(12a)의 내부 및 노즈부(12)의 주변테두리표면(12b)등의 부분을 의미한다.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는, 오목부저면(12e)로부터 전방으로 융기하는 각통(角筒)형상의 삽입테두리(1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테두리(12c)에 카세트테이프의 삽입통로(12d)가 형성되어 있다.
노주부(12)에는, 조작부재(13)가 장착된다. 이 조작부재(13)의 외형길이는,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13)의 전면은 조작면(13a)이고, 이 조작면(13a)에는, 각종 조작버튼군(16)이 배열되어 있다. 또, 조작면(13a)에는 액정패널등의 표시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3)에는 앞, 뒷면을 관통하는 삽입구(13b)가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재(13)가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 장착되었을 때, 이 삽입구(13b)의 내면과, 상기 삽입통로(12d)의 내면이 연속한다. 카세트테이프는 조작부재(13)로 개구하는 삽입구(13b)로부터, 노즈부(12)의 삽입통로(12d)내를 지나 기기본체(10)내의 카세트테이프 구동기구에 장착된다.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의 중앙보다도 약간 아래의 위치에는 핀코넥터(18)가 설치되고, 조작부재(13)의 이면에는 접촉단자가 배열된 단자판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3)가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 장착되면, 단자판의 접촉단자와 핀코넥터(18)의 접촉핀이 상호 도통되고, 조작부재(13)내에 조작버튼군(14, 15)에 의해 동작되게 되는 스위치소자등과, 기기본체(10)의 내부회로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즈부(12)의 주변테두리의 표시조측의 내면(12f)과, 조작부재(13)의 우측면(우연부)(13c)에는, 상호 요철에 의해 끼워맞춰지는 걸림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17)는, 노즈부(12)의 상기 내면(12f)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걸림돌기(17a, 17a)와, 조작부재(13)의 우측면(우연부)(13b)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오목부(17b, 17b)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7a, 17a)와 걸림오목부(17b, 17b)가 요철에 의해 끼워맞춤됨으로써, 조작부재(14)의 도시우측부분이 노즈부(12)에 걸린다.
노즈부(12)의 오목부내면(12f)의 도시좌측부분, 즉 상기 걸림부(17)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록 임시걸림구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 임시걸림구조(20)는, 삽입테두리(12c)를 끼워, 상기 걸림부(17)와 좌우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임시걸림구조(20)에는,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의 내면측에, 지지테두리(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테두리(21)는, 상부 지지판(21a)과 하부지지판(21b) 및 측부 지지판(21c)를 구비하고 있다.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에는, 지지테두리(21)의 외형상과 일치한 구멍(22)이 형성되고, 이 구멍(22)의 도시좌측편에는, 스프링걸림구멍(23)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측부지지판(21c)의 내면의 중앙에 비해 약간 위의 부분에는, 섭동 스토퍼면(21f)이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지지판(21a)과 하부 지지판(21b)에는, 상호 동일한 축선상에 형성된 지지구멍(21d 및 2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테두리(21)내에는,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된 록부재(25)가 설치된다. 이 록부재(25)의 후단의 상하에는, 베어링판(25a, 및 25b)가 일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베어링판(25a 및 25b)에는 베어링구멍(25c 및 25d)이 천설되어 있다. 판(25a 및 25b)은, 상기 지지테두리(21)내에 지지판(21a 및 21b)의 내측에 삽입되고, 이때, 베어링구멍(25c 및 25d)이, 상기 지지구멍(21d 및 21e)과 동축 선상에 위치한다. 또, 록부재(25)의 도시좌측에는, 피압압부(25e)가 판상을 연장되어 있다.
록부재(25)의 전단부분(25f)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즈부(12)의 구멍(2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전단부분(25f)의 선단에는 록폴(25g)이 형성되어 있다. 전단부분(25f)의 측면에는 오목부(25h)가 형성되고, 상기 록폴(25g)에는, 이 오목부(25h)에 대응하는 결손부(25i)가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25h)의 저부에는 단면이 삼각형상(제3도 참조)의 낮은 스토퍼돌기(25j)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27은 수지재료의 보조부재이다. 이 보조부재(27)의 선단에는 임시걸림폴(2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보조부재(27)는 임시걸림 부재 또는 임시걸림암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보조부재(27)는, 상기 록부재(25)에 형성된 오목부(25h)내에 거의 간격없이 들어가지만, 이때, 임시걸림폴(27a)은, 록부재(25)의 상기 록폴(25g)의 결손부(25i)내에 위치할 수 있다. 임시걸림폴(27a)이 결손부(25i)내에 위치했을 때, 임시걸림폴(27a)과 록폴(25g)이 연설(연속)하는 상태로 된다. 보조부재(27)의 도시좌측 측면의 선단에는, 스토퍼홈(27b)이 형성되어 있다. 임시걸림폴(27a)과 록폴(25g)이 연설(연속)한 상태에서, 록부재(25)에 형성된 스토퍼돌기(25j)와 스토퍼홈(27b)이, 임시걸림폴(27b)이 끼워 맞춰진다(제3도 참조). 이 스토퍼돌기(25j)와 스토퍼홈(27b)은 임시걸림폴(17a)과 록폴(25g)이 연설(연속)하는 상태에서, 록부재(25)에 대해 보조부재(27)를 고정시키거나 가볍게 록시키는 록기구(록수단) 또는 임시고정기구(임시고정수단)가 된다.
보조부재(27)에는 직선상으로 연장된 긴 구멍(27c)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28)은, 상부 지지판(21a)의 지지구멍(21) 및 록부재(25)의 베어링구멍(25c)에 삽입되고, 또 보조부재(27)의 긴 구멍(27c)에 삽통된다. 또, 지지축(28)은, 토션스프링(29)내에 삽입된 후, 록부재(25)의 하측의 베어링 구멍(25d)에 삽통되고, 또 하부 지지판(21b)의 지지구멍(21e)에 삽입된다. 지지축(28)은 정점부(28a)가 상부 지지판(21a)의 상면에 닿고, 또 지지축(28)의 하단에 대해서는, 하부지지판(21b)의 하면에 이탈방지부재(예를 들어 이탈방지링)이 설치된다.
그 결과 록부재(25)는 지지축(28)에 대해서 (다)-(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 보조부재(27)는 지지축(28)에 대해서 (다)-(라)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한 긴 구멍(27c)의 길이분 만큼, 보조부재(27)는 지지축(28)에 대해서 (다)-(라)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29)는, 록부재(25) 또는 보조부재(27)를 (다)방향으로 회전가세하기 위한 가세부재 또는 스프링부재이고, 제3도에 나타낸 한쪽의 암(29a)은 록부재(25)에 걸리고, 다른쪽의 암(29b)은 측부 지지판(21c)의 내측에 걸린다. 그 결과, 록부재(25)는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다)방향으로 탄압가세된다. 또, 록부재(25)의 오목부(25h)내에 보조부재(27)가 파고들기 때문에, 상기 토션스프링(29)의 탄압가세력에 의해 보조부재(27)도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다)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보조부재(27)의 후단부에는 스피링걸림구멍(27d)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걸림구멍(27d)과 노즈부(12)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멍(23)의 사이에는, 돌출가세부재 또는 돌출탄압부재로서 인장스프링(31)이 걸려져 있다. 보조부재(27)는, 이 인장스프링(31)에 의해 (가)방향, 즉 노즈부(12)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이 인장스프링(31)은 보조부재(27)의 후단부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인장스프링(31)에 의해 보조부재(27)는 (다)방향으로도 회동가세되어 있다.
제3도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3)의 배면판(13e)에는, 피걸림부로서 피걸림오목부(34)가 형성되고, 이 피걸림오목부(34)의 후단연부에는, 동일하게 피걸림부로서의 피걸림돌기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걸림돌기부(34a)는, 상기 록부재(25)의 록폴(25g)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이 모두 공통적으로 걸리는 피걸림부이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3)의 도시좌측부분에는, 푸시버튼구조의 록해제 조작체(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해제 조작체(33)는, 조작부재(13)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스프링부재)(36)에 의해 돌출방향((마)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그 결과 록해제 조작체(33)의 선단의 푸시버튼부(33a)는, 조작부배(13)의 조작면(13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록해제 조작체(33)의 후단부(33b)는, 조작부재(13)의 배면판(13e)에 형성된 섭동구멍(13d)내에 섭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면(1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푸시버튼부(33a)가 눌려지면, 록해제 조작체(33)의 후단부(33b)는, 조작부재(13)의 배면판(13e)으로부터 이면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의 구멍(22)의 측방위치에는, 배출조작구멍(35)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록부재(25)에 형성된 피압 축부(25e)는 이 배출조작구멍(3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3)가 노즈부(12)의 오목부(12a)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해제 조작체(33)의 후단부(33b)는, 배출조작구멍(35)에 대향한다.
다음에 상기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3)가 노즈부(12)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보조부재(27)는 인장스프링(31)의 가세력에 의해 지지축(28)에 대해서 (가)방향으로 섭동하고, 보조부재(27)의 선단의 임시걸림폴(27a)은, 록부재(25)의 록폴(25g)로부터 떨어져 노즈부(12)의 전방(기기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록부재(25)는, 토션스프링(29)의 가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회동가세 되어있다. 또, 보조부재(27)는 록부재(25)의 (다)방향으로의 가세력을 받아서, 동일하게 (다)방향으로 가세되고, 또 인장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서도 (다)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더구나,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부재(27)는, 록부재(25) 및 인장스프링(31)에 의해 (八)방향으로의 회동가세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보조부재(27)의 측면은, 노즈부(12)의 측부지지판(21c)에 형성된 섭동 스토퍼면(21f)에 닿아 있다.
조작부재(13)를 노즈부(1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우선 조작부재(13)의 우측면(우연부)(13c)에 형성된 걸림오목부(17b, 17b)를, 노즈부(12)의 걸림돌기(17a, 17a)에 걸리고, 조작부재(13)를 걸림부(17)를 지점으로서 α방향으로 회동시켜 오목부(12a)에 밀어 넣는다. 이때, 보조부재(27)는 조작부재(13)의 배면판(13e)에 눌려진 (나)방향으로 퇴행한다. 그래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부재(27)에 형성된 스토퍼홀(27b)이 록부재(25)에 형성된 스토퍼돌기(25j)에 걸어맞추고, 임시걸림폴(27a)과 록폴(25g)이 연설하는 상태에서, 록부재(25)에 대해서, 보조부재(27)가 록킹된다.
또, 이때, 록부재(25)의 록폴(25g)은, 조작부재(13)의 피걸림돌기부(13a)에 걸린다. 즉, 조작부재(13)는, 우측면(13c)이 걸림부(17)의 요철에 의해 끼워맞춰짐으로써 노즈부(13)에 걸리고, 도시좌측부분의 록·임시걸림기구(20)의 부분에서는, 피걸림돌기부(34a)가, 록부재(25)의 록폴(25g)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의 양편으로 걸린다. 조작부재(13)의 배편만(13e)과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피걸림돌기부(34a)에 대해, 록폴(25g)과 임시걸림폴(27a)의 양편이 걸림으로써, 조작부재(13)는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 강고하게 록되어 장착된다.
조작부재(13)을 뽑아내는 경우에는, 조작부재(13)의 조작면(13a)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록해제 조작체(33)의 푸시버튼부(33a)을 누른다. 푸시버튼부(33a)은 조작부재(13a)의 조작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조작이 쉽게 되어 있다. 또 조작면(13a)은 넓은 면적이기 때문에, 푸시버튼부(33a)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푸시버튼부(33a)는 압축조작하기 쉽게 된다.
푸십튼부(33a)가 눌려지면, 록해제 조작체(33)의 후단부(33b)는,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에 형성된 배출조작구명(35)내로 들어가고, 그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록부재(25)에 피압압부(25e)가 눌려진다.
그때까지 토션스프링(29)에 의해 (다)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록부재(25)는, 록해제 조작체(33)의 후단부(33b)로 밀려지고 (나)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에 제3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록부재(25e)의 스토퍼돌기(25j)가, 보조부재(27)의 스토퍼홈(27b)으로부터 풀려진다. 따라서, 록부재(25)에 대한 보조부재(27)의 록이 풀리고, 인장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 보조부재(27)는, 지지축(28)에 대해 섭동하고, (가)방향으로 거의 직선적으로 돌출한다.
또, 보조부재(27)는, 인장스프링(31)에 의해 (가)방향으로 돌출가세되어 있는 것과 함께, 이 인장스프링(312)에 의해 (다)방향으로도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부재(27)가 (가)방향으로 돌출하는 때, 임시걸림폴(27a)과 조작부재(13)의 임시걸림돌기부(34a)는 걸려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조작부재(13)는, 걸림돌기(17a)와 걸림오목부(17b)가 요철에 의해 끼워맞춰지는 걸림부(17)를 지점으로서, β방향(기기본체(10)의 전방)으로 회동하지만,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회동한 시점에서 멈춘다. 즉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과 조작부재(13)의 피걸림돌출부(34a)가 걸린채 보조부재(27)가 노즈부(12)로부터 돌출한 위치에서, 조작부재(13)가 유지(임시걸림)된다.
조작부재(13)의 좌측부분은, 보조부재(27)가 돌출한 만큼 노즈부(12)의 오목부(12a)로부터 기기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정지하기 때문에, 조작부재(13)를 손으로 잡기 쉽게 된다. 조작부재(13)를 손으로 잡아 당기면,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이 제4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라)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고, 임시 걸림폴(27a)과 피걸림돌기부(34a)의 걸림가 풀려진다. 이 상태로 조작부재(13)를 당기면, 걸림부(17)에서의 요철에 의한 끼워맞춤이 풀린다.
또, 조작부재(13)가 풀린 상태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부재(27)가 인장스프링(31)의 가세력에 의해 노즈부(12)의 오목부저면(12e)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이 상태로 하여도 좋지만, 손으로 보조부재(27)를 누르면, 보조부재(27)는 (나)방향으로 진행하고,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부재(25)의 스토퍼돌기부(25j)와 스토퍼홀(27b)이 감합하고, 보조부재(27)는 (나)방향으로 퇴행한 위치에 록된다.
보조부재(27)가 (나)방향으로 진행하여 록되어 있을 때, 보조부재(13)가 장착되었을때에도, 조작부재(13)의 이면의 피걸림돌기부(34a)는, 록부재(25)의 록폴(25g)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에 걸려, 제3도의 장착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의 조작장치에서는, 조작부재(13)가 노즈부(12)에 장착되어 있는때에는, 조작부재(13)는 록부재(25)의 록폴(25g)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의 쌍방으로 걸리기 때문에, 조작부재(13)는 노즈부(12)에 대해 확실히 유지된다. 록부재(25)의 록폴(25g)의 걸림이 해제되면, 보조부재(27)가 인장스프링(31)에 의해 (가)방향으로 돌출하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부재(27)가 노즈부(12)로부터 돌출한 위치에서 조작부재(13)가 임시걸림되기 때문에, 조작부재(13)를 손으로 쥐기 쉽게 된다. 또, 제4도에 나타낸 임시걸림상태에서는 보조부재(27)의 비교적 작은 임시걸림폴(27a)만이 조작부재(13)에 걸리기 때문에, 제4도에 상태에서 조작부재(13)를 손으로 당겼을 때, 가벼운 저향력으로 조작부재(13)를 임시걸림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태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노즈부(12)의 오목부(12a)의 저면(12e)에 있어서, 록부재(25)가 지지축(28)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록부재(25)는 도시생략한 스프링등의 가세부재에 의해 (다)방향으로 가세되고, 제5도로 도시되어 있는 위치가 (다)방향으로 회전한계로 되어 있다. 그래서 록부재(25)에는, 조작부재(13)의 피걸림부에 걸리는 록폴(25g)이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25)에 형성된 오목부내에는 보조부재(27)가 들어있고, 이보조부재(27)도 지지축(28)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보조부재(27)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방향으로 회동함으로 가세되어 있지만, 제5도에서는, 록부재(25)에 설치된 스토퍼부에 의해 보조부재(27)가 실선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즉, 보조부재(27)에 형성된 임시걸림폴(27a)과 록부재(25)의 록폴(25g)은 연설(연속)하고 있다.
조작부재(134)가 노즈부(12)의 오목부(12a)내에 장착되면, 조작부재(13)에 형성된 피걸림부가 록폴(25g)과 임시걸림폴(27a)의 쌍방에 걸리고, 조작부재(13)는 노즈부(12)에 장착된 상태로 록된다.
조작부재(13)에 설치된 록해제 조직체(33)가 눌려지면, 그 후단부(33b)에 의해 록부재(25)가 (라)방향으로 밀리고, 록부재(25)와 보조부재(27)의 록이 풀리며, 보조부재(27)는 스프링등의 가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회동돌출하고, 제4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형태로 조작부재(13)는 노즈부(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임시걸림폴(27a)에 의해 임시로 걸린다. 조작부재(13)를 손으로 당기면, 임시걸림폴(27a)과 조작부재의 임시걸림이 풀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록부재(25)의 록폴(25g)과 보조부재(27)의 임시걸림폴(27a)이, 제2도에 있어서의 도시상하방향으로 밀착하거나 간격을 벌려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도 좋다. 또한 조작부재(13)에 있어서 피걸림돌기부(34a)는, 록폴(25g)에 걸리는 부분과 임시걸림폴(27a)에 걸리는 부분이 불연속으로서, 양 피걸림돌기부간에 간격이 벌어져 있어도 좋다.
또, 전자기기로서는 카세트테이프가 장진된 것 이외에, 콤팩트디스크와 미니디스크가 장착되는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인 것도 좋다. 또, 전자기기는, 차량탑재용 음향기기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탑재용 나피게이숀시스템의 조작장치등인 것도 좋고, 또는 조작부재가 차량탑내용 또는 가정용등의 리모콘장치여도 좋다.
이상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재가 기기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록부재와 보조부재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된다. 또,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전기 록부재와 조작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면, 보조부재는 조작부재에 걸린 상태로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조작부재는 이돌출위치로 보조부재에 의해 임시로 걸린다. 따라서, 조작부재는 록해제의 시점에서 기기본체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다. 또 조작부재는, 보조부재의 돌출에 의해 기기본체에 대해 잡기 쉬운 위치로 이동하고, 해제시에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연설하고, 이들이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구조로 한 경우에는,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최소의 스베이스에 배치할 수 있고, 기기본체측의 기구의 배치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측과 동일한 개소로, 록부재용과 보조부재용의 임시걸림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부재측의 구조의 간략화도 가능하다.
또 록부재와 보조부재를 장치본체측의 공통의 지지축에 지지함으로서, 장치본체에서의 록부재와 보조부재의 지지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조작부재에 록해제조작체를 설치하고, 이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록부재를 동작하도록 하면, 록해제 조작을 행하기 쉽게 되고, 또 록해제 조작체를 조작하기 쉬운 크기로 만들 수 있다.

Claims (18)

  1.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자유롭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가지는 전가기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의 단부와 상기 기기본체를 거는 걸림부와, 상기기기본체의 상기 걸림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록부재와,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록부재와 함께 상기 조작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기기 본체로부터 돌출한 방향으로 가세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록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록해제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상호 연설되어 있고, 상기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보조부재가 들어가서 상기 록부재에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에는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를 록하는 임시고정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상기 록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이 해제될 때에 상기 임시고정기구가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의 록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회동자유롭게,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섭동자유롭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해제 조작체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상기 록부재가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록부재에는 피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서,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8.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자유롭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의 단부와 상기 기기본체를 거는 걸림부와, 상기 기기본체의 상기 걸림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록부재와, 상기 기기본체에 상기 록부재와 연설되어 상기 록부재와 함께 상기 조작부재와 같은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돌출을 하는 방향으로 가세된 보조부재와, 상기록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록해제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보조부재가 들어가서 상기 록부재에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본체에는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를 록시키는 임시고정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서 상기 록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이 해제될 때에 상기 임식정기구가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의 록이 해체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회동자유롭게,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섭동자유롭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해제 조작체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는 피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서,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4.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자유롭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갖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의 단부와 상기 기기본체를 거는 걸림부와, 상기 기기본체의 상기 걸림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록부재와, 상기 기기본체에 상기 록부재와 연설되어 상기 록부재와 함께 상기 조작부재와 동일한 개소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를 록시키는 임시 고정기구와, 상기 임시고정기구를 상기 록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의 록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됨과 함께 상기 록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록해제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보조부재가 들어가서 상기 록부재에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회전자유롭게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섭동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해제 조작체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에는 피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록해제 조작체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서 상기 록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KR1019950002883A 1994-03-14 1995-02-16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KR0166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68997 1994-03-14
JP06899794A JP3305104B2 (ja) 1994-03-14 1994-03-14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94-68997 1994-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227A KR950028227A (ko) 1995-10-18
KR0166429B1 true KR0166429B1 (ko) 1999-01-15

Family

ID=1338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883A KR0166429B1 (ko) 1994-03-14 1995-02-16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10957A (ko)
JP (1) JP3305104B2 (ko)
KR (1) KR0166429B1 (ko)
CN (1) CN10633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396A (ja) * 1994-03-14 1995-11-21 Alpine Electron Inc 着脱式電子機器
US5823644A (en) * 1995-06-14 1998-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computer with an easy assembly structure
JPH09226416A (ja) * 1996-02-20 1997-09-02 Yazaki Corp 電装モジュールの組付け構造
US5683156A (en) * 1996-03-11 1997-11-04 Elitegroup Computer Systems, Co., Ltd. Computer housing
JP3172683B2 (ja) * 1996-10-09 2001-06-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電子機器
JP3410951B2 (ja) * 1998-02-20 2003-05-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4051137B2 (ja) * 1998-08-05 2008-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用オーディオラック
DE19916744A1 (de) * 1999-04-14 2000-10-19 Mannesmann Vdo Ag Einbaugerät
JP3647325B2 (ja) * 1999-08-06 2005-05-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部材の着脱装置
JP3698595B2 (ja) * 1999-08-06 2005-09-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部材の着脱装置
JP3692915B2 (ja) * 2000-08-08 2005-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機器システム
US6362976B1 (en) * 2000-08-29 2002-03-26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silicone keypad actuation
US6678166B1 (en) * 2000-10-13 2004-01-13 Delphi Technologies, Inc. Detachable face plate for automotive electronic components
TW531693B (en) * 2001-04-04 2003-05-11 Wistron Corp Pulling device for a computer module
US6637847B2 (en) * 2002-02-28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release latch
JP3986869B2 (ja) * 2002-04-11 2007-10-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
FR2838875B1 (fr) * 2002-04-18 2004-08-27 Dassault Aviat Procede de connexion de connecteurs electriques et boitier de connexion concu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TW516779U (en) * 2002-05-09 2003-01-01 Hon Hai Prec Ind Co Ltd Computer enclosure
DE60327288D1 (de) * 2002-06-28 2009-06-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toradio mit abnehmbarem Bedienteil
US7827568B1 (en) * 2004-03-10 2010-11-02 Apple Inc. Integration of structural and cosmetic bezel having a disk guide for a slot loading optical drive
US7134802B2 (en) * 2004-04-21 2006-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tch assembly
US7634782B2 (en) * 2005-01-20 2009-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movable front panel for a computer hardware chassis
CN100457509C (zh) * 2005-02-01 2009-02-04 乐金电子(惠州)有限公司 锁止铰链组件及应用该组件实现下弹开方式的音响装置
US8641121B2 (en) * 2005-07-22 2014-02-04 Airgizmos, Lp Mounting device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s
CN101976573A (zh) * 2005-09-28 2011-02-16 歌乐株式会社 车载音响设备
US20080021634A1 (en) * 2005-12-27 2008-01-24 Diaz Melvin B Latch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7184473A (ja) * 2006-01-10 2007-07-19 Funa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
FR2901207A1 (fr) * 2006-05-16 2007-11-23 Viamichelin Soc Par Actions Si Dispositif support notamment pour appareil portable
US20080159557A1 (en) * 2006-12-27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output
US7904236B2 (en) * 2006-12-28 2011-03-08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7860643B2 (en) 2006-12-28 2010-12-28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etachably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JP4842785B2 (ja) * 2006-12-04 2011-12-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EP1931043A3 (en) * 2006-12-04 2009-10-07 Fujitsu Ten Limited Attachment and detachment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161950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udio unit
US20080162044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JP2008137559A (ja) * 2006-12-04 2008-06-19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システム、車載電子装置及び携帯電子装置の電源制御方法
US20080157999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output
JP2008141076A (ja) * 2006-12-04 2008-06-19 Fujitsu Ten Ltd 携帯電子機器の着脱装置
US7684200B2 (en) * 2006-12-28 2010-03-2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8706396B2 (en) * 2006-12-28 2014-04-22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7774104B2 (en) * 2006-12-27 2010-08-10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7765046B2 (en) * 2006-12-28 2010-07-27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US7869196B2 (en) * 2006-12-28 2011-01-11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FR2912973B1 (fr) * 2007-02-26 2009-04-17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 deverrouillage d'une facade esthetique amovible d'un appareil electronique et dispositif de deverrouillage correspondant."
JP4952307B2 (ja) * 2007-03-07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データ破壊防止処理方法
US7914317B2 (en) * 2007-08-24 2011-03-29 Methode Electronics, Inc. Reverse cam release mechanism
US8159623B2 (en) 2007-12-31 2012-04-17 Honda Motor Co., Ltd. Remote control dock system and method
US20110053549A1 (en) * 2009-08-26 2011-03-03 Chin Te Lai Car stereo unit with removably coup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474214B2 (en) * 2011-01-26 2013-07-02 Nissan North America, Inc. Connec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trim panels
CN103079372A (zh) * 2011-10-25 2013-05-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卡合装置
JP6061716B2 (ja) * 2013-02-14 2017-01-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電子装置
JP2014157648A (ja) * 2013-02-18 2014-08-28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
CN104656815B (zh) * 2013-11-18 2017-11-0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固定机构及电子装置
US9017092B1 (en) 2014-05-07 2015-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connector
WO2016038723A1 (ja) * 2014-09-11 2016-03-1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オーディオ装置
US9728915B2 (en) 2015-05-19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pered-fang electronic connector
US9740245B2 (en) 2015-10-05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king mechanism
US9660380B1 (en) 2016-01-22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ignment tolerant electronic connector
US10511599B2 (en) 2017-03-13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to filter impossible user travel indicators
US10794093B2 (en) 2017-05-19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US10445533B2 (en) 2017-06-30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US10303214B2 (en) 2017-10-17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ck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restraining two portions of a computing device
US10511127B2 (en) 2018-03-20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gh-speed electronic connector
JP6962277B2 (ja) * 2018-06-08 2021-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414A (en) * 1988-09-20 1990-07-10 Namsung Electronics Corp. Antitheft car audio set with removable control box
JP2934463B2 (ja) * 1989-11-09 1999-08-16 ホシデン株式会社 操作部着脱装置
US5216904A (en) * 1990-11-06 1993-06-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Handle device having a lock mechanism for an audio equipment
JPH04125951U (ja) * 1991-05-07 1992-1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部品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227A (ko) 1995-10-18
JP3305104B2 (ja) 2002-07-22
CN1111199A (zh) 1995-11-08
CN1063396C (zh) 2001-03-21
JPH07251683A (ja) 1995-10-03
US5510957A (en) 1996-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429B1 (ko)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KR10089814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탈부착 기구
JP3647325B2 (ja) 操作部材の着脱装置
EP1251034B1 (en) Detach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153874A (ja) カーオーディオ用パネル着脱装置
JP3930242B2 (ja) 電子機器
JP3973740B2 (ja) 弾球遊技機の基板取付構造
JP2560562Y2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着脱構造
JPH10173356A (ja) 増設ユニット
JP2000110425A (ja) オープナー装置
JP3691162B2 (ja) 着脱自在な操作パネルを装備したオーディオ装置
KR100430799B1 (ko) 컴퓨터가보유하는팩의착탈장치
JP2768615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4164060B2 (ja) 弾球遊技機の基板取付構造
JP360042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6061716B2 (ja) 車載用電子装置
JP6061717B2 (ja) 車載用電子装置
JPH07246885A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3205679A (ja) 車載音響機器の操作部着脱装置
JP2807180B2 (ja) パチンコ機の前枠ヒンジ構造
JPS60151865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3630548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4071216B2 (ja) 電子機器
JPH04324243A (ja) 電池の係止装置
JP3717729B2 (ja) シリンダ錠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