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246B1 -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246B1
KR0152246B1 KR1019920700697A KR920700697A KR0152246B1 KR 0152246 B1 KR0152246 B1 KR 0152246B1 KR 1019920700697 A KR1019920700697 A KR 1019920700697A KR 920700697 A KR920700697 A KR 920700697A KR 0152246 B1 KR0152246 B1 KR 015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ystem
lock brake
vehicle
loop control
closed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374A (ko
Inventor
뮐러 엘마르
뮐러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랄프 베렌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베렌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filed Critical 랄프 베렌스
Publication of KR92070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B60T8/1706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single-track vehicles, e.g.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사이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과 특히, 양바퀴상에 브레이크 진행 전 혹은 동안에 두 제어 채널중 하나내에 결함이 나타날때의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거동에 관한 것이다. 모터 사이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이 초기에 유지되고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나중까지 완전히 스위치 오프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의 기술]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진 모터 사이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공개번호 제HB 43 605/2 DA호의 발명의 명칭이 모터 사이클용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for motorcycles)인 FAG Kugelfisher Georg schafer KG aA사의 팜프렛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
종래 모터 사이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결함의 인식은 즉시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스위치 오프시킨다.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과정중에, 이것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퀴를 즉시 록킹시키도록 유도한다. 4륜 차량의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안전 측면에서 위험한 구동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승용차와 대조적으로, 이륜 차량은 만약 시스템이 예기치않게 스위치 오프되면 넘어질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시스템의 즉각적인 컷-오프(cut-off)를 방지하며 동시에 높은 마찰값으로 차량의 최소 감속(0.3g)을 보장한다.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제2232 034호에서 대응 시간에 대한 앤티 로크 브레이크의 밸브를 모니터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대응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을 발견하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스위치 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발생하지만 이 신호는 임의의 바퀴 거동이 일어나고 단지 연속적으로 시스템을 스위치 오프시킬 때 임의의 주기동안 차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는 안전 라이트의 플래쉬 활동에 의해 중요한 구동조건에 추가로 주의를 해야 한다. 종속항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2 채널식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two-channal anti-lock brake system)이란-표현은, 2개의 센서와 2개의 압력 모듈레이터를 가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언급하는 것이다. 2개의 분석 채널 이상이 과잉의 합리성을 제공하는지의 의문은 여기서 그리 중요하지 않다.
[도면의 설명]
가능한 결함이 제1도의 테이블에서 다른 상황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컬럼 1은 브레이크가 가해진 각 경우의 상황을 나타낸다. 개별 성분(컬럼 3 내지 11)의 결함이 나타날때의 다른 시간은 컬럼 2에 목록되어 있다. 개별 표현은 아래의 중요성을 가진다.
정지 : 차량이 멈춤시 결함이 일어난다.
연속적인 이동 : 주행시 결함이 일어난다.
제어전 : 부분적인 브레이킹으로 주행시 혹은 경고 기간내에 브레이킹과 브레이크 작동없이 초기에 결함이 일어난다.
제어동안 :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 작동중에 결함이 일어난다.
일예로서, 2.3.1은 다음을 의미한다;
언브레이크(혹은 부분적인 브레이크) 상태로의 이동중에, 전륜상의 회전속도 센서는 제어 시스템이 시작하도록(슬립 신호 및 감속신호를 통해서) 작동되지 않는다. 양 바퀴의 브레이킹은 이 때 경고 기간으로 나타난다.
다른 작용을 포함하는 5개 결함 분류는 회전 속도 센서 결함의 처리에 따라서 제1도의 테이블에서 얻어진다. 제1결함 분류는 1.1.1과 1.1.2를 포함한다.
작용은 아래와 같다.
가)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나) 연속 신호로 경고 라이트를 작동한다. 정상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 가능하다.
제2결함 분류는 1.2.1과 1.2.2를 포함한다.
작용은 아래와 같다.
가)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예를들어 10초의 경고 기간후 스위치 오프된다.
나) 경고 라이트는 경고 기간동안 펄스되고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후 연속신호로 작동된다. 정상 브레이크 시스템은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 이용 가능하다.
제3결함 분류는 결함 2.1.1, 2.2.2, 3.1.1과 3.2.2를 포함한다.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가) 결함의 인식후,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은 효과적이고 이것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종료 혹은 차량이 정지할때까지 계속되며; 그리고나서 시스템은 스위치 오프된다.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의 경우에, 압력은 3/3 방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결함있는 바퀴에서 정확하게 될 펄스로서, 계산된 혹은 아나로그로 지시된 0.3g의 감속이 얻어질때까지 상승하며; 그리고나서 압력이 유지된다.
나) 경고 라이트의 펄스 활동이 한계 기능동안 일어나며; 그리고나서 연속적인 활동이 일어난다(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 정상 브레이크 시스템은 앤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이용 가능하다.
제4결함 분류는 결함 2.1.2, 2.2.1, 3.1.2와 3.2.1를 포함한다.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가) 여기서 다시, 한계 앤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은 결함이 인식된 후 효과적이고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종료 혹은 차량이 정지할때까지 효과적이며; 그리고나서 시스템은 스위치 오프된다. 한계 앤티 로브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은 한계 기준 포메이션(폐쇄 루우프 제어 분포를 가진 바퀴만)으로 손상당하지 않은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의 정상 폐쇄 루우프 제어로 구성한다.
나) 경고 라이트의 펄스 활동이 한계 기능동안 일어나며; 연속적인 활동은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 일어난다. 정상 브레이크 시스템은 앤티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 이용 가능하다.
제5결함 분류는 결함 2.3.1, 2.3.2, 3.3.1, 3.3.2를 포함한다.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가) 결함의 인식후, 한계 앤티 로브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이 유지되고 이것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종료 혹은 차량이 정지할때까지 계속되며; 그리고나서 시스템은 스위치 오프된다. 한계 앤티 로브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에 있어서, 손상당하지 않은 바퀴의 정상 폐쇄 루우프 제어는 한계 기준 포메이션으로 유지된다.
추가로, 펄스된 압력의 상승은 3/3방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결함있는 센서를 가진 바퀴에서 일어나며 이것은 계산된 혹은 아나로그로 지시된 0.3g의 차량 감속에 도달할때까지 계속되며; 결함있는 바퀴에서의 압력은 이때 유지된다.
나) 경고 라이트의 펄스 활동이 한계 기능동안에 일어난다. 연속적인 활동은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일어난다. 정상 브레이크 시스템은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된 후 이용 가능하다. 테이블에 목록된 다른 결함은 다음과 같다.
가) 앤티 로브 브레이크 시스템은 1.1.3(밸브 고장), 1.1.4(펌프 모터 결함), 1.1.5(저 전압 발견), 1.1.6 내지 3.3.6(전자 시스템내의 결함), 1.1.7 내지 3.3.7(밸브 릴레이상의 결함), 1.1.8(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도체 파손), 1.1.9(유압 저장기에서의 스위치 결함이 나타남)의 경우에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나)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1.2.3, 2.1.3, 2.2.3 및 2.3.3(다양한 상황에서의 솔레노이드 고장), 1.2.4, 2.1.4, 2.2.1 및 2.3.4(다양한 상황에서의 펌프 모터 고장), 1.2.5, 2.1.5, 2.2.5 및 2.3.5(다양한 상황에서 저전압이 나타남), 1.2.8, 2.1.8, 2.2.8 및 2.3.8(다양한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도체 파손)과 1.2.9, 2.1.9, 2.2.9 및 2.3.9(다양한 상황에서 저장기 스위치 결함이 나타남)의 경우에 예를들어 10초의 경고 기간후에 스위치 오프된다.
다) 결국, 앤티 로브 브레이크 시스템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이 끝날때 혹은 모터 사이클이 정지될때 3.1.3, 3.2.3 및 3.3.3(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동안 솔레노이드 밸브 고장), 3.1.4, 3.2.4 및 3.3.4(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동안 펌프 모터 결함), 3.1.5, 3.2.5 및 3.3.5(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동안 저전압이 나타남), 3.1.8, 3.2.8 및 3.3.8(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동안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도체 파손)과 3.1.9, 3.2.9 및 3.3.9(폐쇄 루우프 작동동안 저장기 스위치 결함)의 경우에만 스위치 오프된다.
나), 다)의 경우에, 경고 라이트의 펄스 활동은 시스템이 완전히 스위치 오프될때까지 결함의 인식으로부터 발생하며; 그리고나서 연속적인 활동이 일어난다.
센서 고장에 대해 상기 작용을 성취하기 위한 시스템의 도시적인 예가 제2도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두차량 바퀴와 관련된 센서(1,2)와, 분석 회로(3)와 각 바퀴 브레이크와 연관된 솔레노이드 밸브(4,5)를 나타낸다. 바퀴 브레이크에서의 브레이크 압력은 센서(1,2)에 의해 결정된 바퀴 모션 거동에 적합하게 변화된다.
센서(1,2)는 모니터링 블럭(6,7)에 의해 모니터된다. 모니터링 블럭(6 혹은 7)은 관련 센서가 결함이 있을때 신호를 방출한다. 전륜 브레이크가 작동될때 터미널(8)에 신호가 나타난다. 후륜 브레이크가 작동될때 터미널(9)에 신호가 나타난다. 분석회로(3)는 차량이 정지할때 터미널(10)을 통해 신호를 방출하고 차량이 이동중일때 터미널(11)을 경유해서 신호를 방출한다.
[제1결함류]
센서(1 혹은 2)중 하나가 차량 정지시 결함이 생기면, AND 게이트(12)가 도전되어(터미널(10)과 OR 게이트(13)를 경유해서) 스위치 오프 신호를 분석회로(3)에 이송한다(OR 게이트(14)를 경유해서). 동시에 이 신호는 쌍안정 요소(15)에 보내지며 그리고나서 경고 라이트(16)가 작동한다(계속적으로).
[제2결함류]
차량이 이동중이고(터미날(11)에서 신호) 센서가 고장나서 나서, 브레이크 작동을 하지 않는다면, OR 게이트(17)는 도전되어 OR 게이트(19)과 OR 게이트(14)를 경유하여 특정 시간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스위치 오프시키는 시간 요소(18)를 기동시킨다. 시간 요소(18)의 대기 기간동안, 펄스 발생기(21)는 OR 게이트(20)를 경유해서 AND 게이트(17)의 출력 신호에 의한 활동을 가져오게 되고 펄스 발생기(21)는 경고 라이트가 스위치 오프 신호와 쌍안정 요소(15)에 의해 연속적으로 계속 활동될때까지 경고 라이트(16)를 활동시킨다.
[제3결함류]
AND 게이트(22,23)는 센서(1 혹은 2)가 바퀴의 브레이킹에서의 고장을 체크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라면, 밸브(4 혹은 5)중 하나의 활동이 OR 게이트(24 혹은 25)와 AND 게이트(26 혹은 27)에 의해 방해를 받으므로 압력이 관련 브레이크에서 상승된다. 차단 신호는 차량 감속 신호 발생기(28)가 신호를 방출할때, 예를 들어 0.3g의 차량 감속에 도달하거나 계산된 차량 감속이 AND 게이트(22 혹은 23)를 차단하는 신호 예를 들어 0.3g의 초기값에 도달될때 끝난다. AND 게이트(22 혹은 23)중 하나의 출력신호의 후방 플랭크(flank)가 일정한 유지 위치에서 벗어나서 제어될 수 있는 값으로 압력을 유지하는 센서를 가진 바퀴중 솔레노이드 밸브(4 혹은 5)를 가져오는 쌍안정 요소(32 혹은 33)중 하나를 기동시킨다.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의 기간에서, 경고 라이트(16)의 펄스 활동은 OR 게이트(20)를 통해 받는다. 차량이 정지되면, 시스템은 OR 게이트(34), OR 게이트(20)와 AND 게이트(29)를 통해서 스위치 오프되고 경고 라이트(16)는 계속적으로 활동된다.
[제4결함류]
이 경우에 있어서, AND 게이트(30,31)는 브레이킹과 무관한 차량 바퀴의 센서가 고장났는지를 체크하는데 사용된다. 그래서 발생된 AND 게이트(30 혹은 31)중 하나의 출력 신호가 브레이킹에 관한 변하지 않은 바퀴를 남기며, 이것의 센서는 물론 손상당하지 않지만. OR 게이트(34,20)를 경유해서 펄스 경고 라이트 활동을 초기에 시작하며, 그리고나서 이 펄스 경고 라이트 활동은 차량이 정지되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될때 연속으로 활동하게 된다. AND 게이트(30,31)의 각각과 분석회로(3) 사이의 연결은 도시되지 않지만, 이것은 분석 회로내의 스위치-오버가 여전히 손상되지 않은 센서로 포메이션을 기준하도록 한다.
[제5결함류]
마지막으로, 두 AND 게이트(35,36)는 양 브레이크 작동동안 센서중 하나가 고정났는지를 체크한다. 이 경우에서라면, OR 게이트(24,25)를 경유해서 연관된 솔레노이드 밸브(4 혹은 5)의 활동이 방지되므로 압력이 상승된다. AND 게이트(35 혹은 36)의 출력 신호가 끝나면 차량 감속 신호 발생기(28)는 소정의 차량 감속에 도달했을 때 신호를 방출하기 때문에, 쌍안정 요소(32 혹은 33)중 하나는 이 신호의 후방 플랭크에 의해 설정되므로, 압력이 대응 바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른 바퀴는 영향을 받지 않게 유지된다. 경고 라이트 활동은 제3결함류와 일치한다.
상기 가)에 따른 결함의 경우에, 대응 신호는 OR 게이트(14)의 터미널(40)로 보내지므로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상기 나)에 따른 결함의 경우에, 신호는 한 주기후 시스템을 스위치 오프시키고 이 기간동안 경고 라이트를 펄스시키는 터미널(41)에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에 따른 결함의 경우에, 신호는 차량이 정지된 다음 경고 라이트(16)가 펄스될때까지 스위치 오프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서 터미널(42)에 제공된다. 신호는 차량이 정지되거나 혹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이 종료될때 터미널(10)에 나타날 수 있다.
제2도의 도시적인 예는 하드웨어 회로로써 설계되어 있다. 그것의 기능은 물론 컴퓨터와 대응하는 형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성취된다.

Claims (9)

  1.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를 가지며 결함이 나타나면 스위치가 오프되는, 2륜 모터 차량의 양 바퀴용 2 채널식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에 있어서, 양 바퀴가 동시에 브레이크될때 결함이 한 채널에서 일어나면,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은 소정의 차량 감속에 도달할때까지 결함있는 채널의 브레이크에 압력을 주입하고 손상당하지 않은 채널을 사용해서 정상 폐쇄 루우프 제어의 형태로 정확하게 유지되며,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단지 차량이 정지되거나 혹은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이 끝날때만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한 바퀴가 브레이될때 다른 채널에서 결함이 나타나면, 손상당하지 않은 제어 채널의 브레이크에서의 폐쇄 루우프 제어는 차량이 정지하거나 혹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이 끝날때까지 유지되며, 그리고나서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한 바퀴가 브레이크될때 관련 채널에서 결함이 나타나면, 브레이크 압력은 특정 차량 감속이 얻어질 때까지 이 바퀴로 투입되며,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이 정지하거나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이 끝날때만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이 브레이크 작동없이 주행할때 결함이 한 채널에서 나타나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경고 기간후에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결함의 인식에서부터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최종 스위치 오프까지, 펄스 경고 신호가 발생되고 그후 연속적인 경고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결함은 회전 속도 센서의 고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부재로 브레이크 압력 제어 밸브 혹은 유압 펌프의 고장의 경우, 혹은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의 도체의 파손의 경우, 혹은 유압 저장기에서의 스위치 결함이 나타나는 경우에,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경고 기간 후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폐쇄 루우프 제어 진행동안 브레이크 압력 제어 밸브의 고장의 경우에, 한계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기능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종료까지 혹은 차량이 정지할때까지 다른 바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유압 펌프의 고장 혹은 저전압이 나타남 혹은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의 도체의 파손의 경우 혹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 동안에 유압 저장기의 스위치 결함의 경우에,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폐쇄 루우프 제어 작동의 종료후 혹은 차량이 정지된 후에만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KR1019920700697A 1989-09-29 1990-09-13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KR0152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32637A DE3932637A1 (de) 1989-09-29 1989-09-29 Zweikanaliges antiblockierregelsystem fuer ein zweiradkraftfahrzeug
DEP3932637.3 1989-09-29
PCT/EP1990/001557 WO1991004898A1 (de) 1989-09-29 1990-09-13 Zweikanaliges antiblockierregelsystem für ein zweirad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374A KR920703374A (ko) 1992-12-17
KR0152246B1 true KR0152246B1 (ko) 1998-09-15

Family

ID=639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697A KR0152246B1 (ko) 1989-09-29 1990-09-13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44257A (ko)
EP (1) EP0494205B1 (ko)
JP (1) JP3207418B2 (ko)
KR (1) KR0152246B1 (ko)
DE (2) DE3932637A1 (ko)
WO (1) WO1991004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0121B4 (de) * 1993-09-06 2005-06-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tiblockierregelsystem
JP2906031B2 (ja) * 1996-01-29 1999-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における異常診断方法および装置
CN101287634B (zh) * 2005-10-13 2012-08-15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驾驶辅助系统
JP4752679B2 (ja) * 2005-10-13 2011-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
DE102006004709A1 (de) * 2006-01-31 2007-08-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Blockierschutz-Regelung für eine Bremsanlage eines Kraftrades mit einem Antiblockiersystem
JP4788611B2 (ja) 2006-03-10 2011-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維持支援装置および車間維持支援方法
EP2489564B1 (en) * 2009-10-13 2015-08-12 Bosch Corporation Brake control device
KR101449157B1 (ko) * 2012-12-11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브레이크 차량의 제어 방법
JP7088680B2 (ja) * 2018-01-24 2022-06-21 株式会社シマノ 制動制御装置および制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2034C2 (de) * 1972-06-30 1983-12-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 in ein Fahrzeug eingebautes Antiblockierregelsystem
DE2253867C3 (de) * 1972-11-03 1981-04-1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Überwachungsschaltung für Antiblockierregelsysteme
DE2549587A1 (de) * 1975-11-05 1977-05-18 Bosch Gmbh Robert Ueberwachungseinrichtung bei einem antiblockierschutzsystem
US4035032A (en) * 1976-04-09 1977-07-12 Kelsey-Hayes Company Skid control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s
DE2702800C2 (de) * 1977-01-24 1982-11-25 Wabco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Sicherheitsschaltung für Antiblockierregel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Straßenfahrzeugen
JPS56116542A (en) * 1980-01-24 1981-09-12 Nippon Air Brake Co Ltd Safety circuit of antiskid apparatus for vehicles
GB2078868B (en) * 1980-05-15 1985-04-03 Honda Motor Co Ltd Hydraulic pump
DE3418042A1 (de) * 1984-05-15 1985-11-21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des hilfsenergie-druckes einer schlupfgeregelten bremsanlage
DE3530280A1 (de) * 1985-08-24 1987-02-26 Kugelfischer G Schaefer & Co Verfahren zum blockiergeschuetzten abbremsen eines kraftfahrzeuges
JPS6467468A (en) * 1987-09-07 1989-03-14 Fuji Heavy Ind Ltd Fault display method for vehicle-mounted electronic device
JP2649681B2 (ja) * 1988-02-10 1997-09-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44257A (en) 1993-09-14
WO1991004898A1 (de) 1991-04-18
DE3932637A1 (de) 1991-04-11
JP3207418B2 (ja) 2001-09-10
DE59005962D1 (de) 1994-07-07
JPH05500485A (ja) 1993-02-04
EP0494205A1 (de) 1992-07-15
EP0494205B1 (de) 1994-06-01
KR920703374A (ko) 199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8479B2 (ja) 自動制動過程を実施する装置の機能を監視する方法
DE3418042C2 (ko)
DE19638377B4 (de) Steuer/Regelsystem für das Verhalten eines Fahrzeugs
US4270808A (en) Anti-lock brake control systems for multi-axle vehicles
KR0152246B1 (ko)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스위치 오프 방법
JP2592085B2 (ja) アンチロック装置
KR920008333B1 (ko) 앤티스키드장치
US5236254A (en) Anti-lock brake pressure control system with failure mode
KR920008334B1 (ko) 앤티록장치
US4831868A (en)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between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esting device
CN109070868A (zh) 制动装置、制动控制方法及马达锁定异常判定方法
JPH05178195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DE2248765A1 (de) Antiblockierregelanlage mit vorrichtung zur funktionspruefung derselben
KR100208594B1 (ko) 에이비에스에서 휠스피드 센서 고장시 보상방법
JPH0314671B2 (ko)
EP0665147B1 (en) Asynchronous rear dump logic in ABS control systems
EP0260451B1 (de) Schlupfgeregelte Bremsanlage für Strassenfahrzeuge mit Allradantrieb
JP3150000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故障検出方法
JP2709930B2 (ja) 車載用電子装置の故障表示方法
JP2555416B2 (ja) 制動油圧制御装置用故障診断方法
DE10129076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Fehlers beim Beeinflussen des Fahrverhaltens eines Fahrzeugs
JP2628576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
JPS59227548A (ja) 四輪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4437883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H04349059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