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33B1 -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33B1
KR0137133B1 KR1019900020173A KR900020173A KR0137133B1 KR 0137133 B1 KR0137133 B1 KR 0137133B1 KR 1019900020173 A KR1019900020173 A KR 1019900020173A KR 900020173 A KR900020173 A KR 900020173A KR 0137133 B1 KR0137133 B1 KR 013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atio
air
detection signal
engin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520A (ko
Inventor
겐지 이꾸다
도시오 곤도오
히로시 하라구지
Original Assignee
오까베 다까시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베 다까시,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오까베 다까시
Publication of KR91001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1Plura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77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circuit or part of it,(e.g. comparator, PI regulator, output)
    • F02D41/1479Using a comparator with variable re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0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t least a proportional, integral or derivativ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15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using a state feedback or a state space repres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18Several control loops, either as alternatives or simulta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33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 model or simulation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02D41/145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with sensor output signal being linear or quasi-linear with the concentration of 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가 이론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장치와 같이 3성분촉매의 상류에 O2센서를 설치하고, 그 검출신호로 공연비센서의 검출신호의 편차를 보정하는 경우 3성분촉매의 정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연비는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농후. 희박의 짧은 주기에서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짧은 주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공연비를 보정하면, 검출신호의 변동의 영향을 받기 위하여 안정한 공연비제어를 할 수 없다. 또, 3성분촉매의 상류에서는 충분히 배기가스가 혼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O2센서의 검출신호는 부착 위치등에 따라서 어떤 특정한 기통의 영향을 받기 쉽다.
나아가서 3성분촉매의 상류는 고온이고 배기가스 속에 구리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보정용의 O2센서 자신의 열악화가 현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관에 배설하여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와, 이 촉매의 상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에 대하여 리니어한 제1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1산소농도 센서와 촉매의 하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가 이론공연비에 대하여 농후인지 희박인지를 나타낸 제2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2산소농도 센서와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 공연비를 설정하는 목표공연비 설정수단과 제1검출신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분사량을 설정하는 연료분사 설정수단등을 구비하는 엔지용 공연 제어장치를 요지로 한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으로 제2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가 설정된다. 다음에 연료분사량 설정수단으로 제1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검출신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연료분사량이 설정된다.

Description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본 발명은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가 이론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에 대하여 리니어(limear)한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는 제1산소농도센서(공연비센서)를 배기관에 배설된 3성분촉매의 상류에 설치하여 공연비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공연비가 이론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있어서 3성분촉매의 상류에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에 대하여 농후(rich)/ 희박(lean)의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는 제2산소농도센서(O2센서)를 설치하고, O2센서로부터 검출신호에 따라 실제의 공연비와 공연비센서의 검출신호와의 편차를 보정하는 장치가 개재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 소 56-64125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장치와 같이 3성분촉매의 상류에 O2센서를 설치하고 그 검출신호로 공연비센서의 검출신호의 편차를 보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① 3성분촉매의 정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연비는 이론공연비를 중심으로 농후. 희박의 짧은 주기로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에서 3성분촉매의 상류에 O2센서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검출신호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농후.희박을 짧은 주기로 반복하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짧은 주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공연비를 보정하며, 검출신호 변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한 공연비제어를 할 수 없다.
② 3성분촉매의 상류에서는 충분히 배기가스가 혼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O2센서의 검출신호는 부착위치등에 따라서 어떤 특정한 기통의 영향을 받기 쉽다.
③ 3성분촉매의 상류는 고온이다. 또 배기가스에 구리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보정용의 O2센서자신의 열악화가 현저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루어놓은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제의 공연비와 공연비센서의 검출신호과의 편차를 정확히 보정하여, 공연비를 이론공연비에 좋은 정밀도로 제어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관에 배설되어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와 이 촉매의 상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에 대하여 리니어한 제1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1산소농도 센서와 촉매의 하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가 이론공연비에 대하여 농후인지 희박한지를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2산소농도 센서와,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를 설정하는 목표공연비 설정수단과, 제1검출신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분사량을 설정하는 연료분사 설정수단등을 구비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를 요지로 하고 있다.
또 전술한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은 제2검출신호가 농후인 경우에는 목표공연비를 단위시간당 소정값씩 서서히 희박한 측에 설정하고, 제2검출신호가 희박인 경우에는 목표공연비를 단위시간당 소정값씩 서서히 농후측에 설정하는 제1목표공연비 설정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은 제2검출신호의 소정주기에 있어서의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을 검출하는 제1시간 검출수단과 제2검출신호의 소정주기에 있어서의 희박의 시간의 총시간을 검출하는 제2시간 검출수단과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이 희박의 시간의 총시간보다 긴 경우는 목표공연비를 소정값씩 서서히 희박한 측에 설정하여 희박한 시간의 총시간이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보다 긴 경우는 목표공연비를 소정값씩 서서히 농후한 측에 설정하는 제2목표공연비 설정수단등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 연료분사량 설정수단은 목표공연비를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공연비에 대하여 일정진폭으로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 따라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으로 제2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가 설정된다.
다음에 연료분사량 설정수단으로 제1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검출산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연료분사량이 설정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구성도.
제 3도는 O2센서의 검출신호의 특성도
제 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연비제어의 작동설명을 위한 블록도.
제 5도, 제 7도는 본 실시예의 작동설명에 제공하는 블록도.
제 6도는 3성분촉매콘 버어터의 정화율의 특성도.
제 8도, 제 9도는 본 실시예의 타임도표.
제 10도는 다른 실시예의 타임도표.
제 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작동설명을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35 : 배기관
16a∼16d : 연료분사밸브20 : ECU
36 : 공연비센서(제1산소농도센서)(air-fuel ratio sensor)
37 : O2센서(제2산소농도센서)
38 : 3성분촉매( 3 componet catalyic converter)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을 한층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다음에 본 발명의 가장 적함한 실시예로서의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공연비제어를 하게 되는 엔지(10)과 그 주변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해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10)의 점화시기(Ig), 연료분사량(TAU)의 각각의 제어가 전자제어장치(ECU)(20)에 의하여 하게 된다. 엔진(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기통 4사이클의 불꽃 점화식의 것으로서 그흡입공기는 상류로부터 공기청소기(11), 흡기관(12), 드로틀밸브(13), 조압수조(surgetamk)(14). 흡기분기관(15)을 개재하여 각 기통에 흡입된다.
한편 연료는 도면에 없는 연료탱크에서 압송되어서 흡기분기관(15)에 설치된 연료분사밸브(16a, 16b, 16c, 16d)로 부터 분사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엔진(10)에는 점화회로(17)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의 전기신호를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18a, 18b, 18c, 18d)에 분배하는 배전기(19)내에 설치되어 엔진(10)의 회전수(Ne)를 검출하는 회전수센서(30), 드로틀밸브(13)의 개구의 크기(TH)를 검출하는 드로틀센서(31), 드로틀밸브(13) 하류의 흡기압(PM)을 검출하는 흡기압센서(32), 엔진(10)의 냉각수온(ThW)을 검출하는 예열센서(warming up senor), 흡기온(Tam)을 검출하는 흡기온센서(34)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회전수센서(30)는 엔진(10)의 크랭크축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링기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수(Ne)에 비례하여 엔진(10)의 1회전 즉, 720。CA에 24발의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드로틀센서(31)는 드로틀개구의 크기(TH)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와 함께 드로틀밸브(13)가 대략 완전폐쇄임을 검출하는 아이들 스위치로부터의 온/오프신호도 출력한다.
나아가서 엔진(10)의 배기관(35)에는 에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속의 유해성분(CO, HC, NOx등)을 저감하기 위한 3성분촉매(38)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서 3성분촉매(38)의 상류측에는 엔진(10)에 공급된 혼합기체의 공연비(λ)에 따른 리니어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산소농도 센서인 공연비센서(36)가 설치되어 있으며, 3성분촉매(38)의 하류측에는 엔진(10)에 공급된 혼합기체의 공연비(λ)가 이론공연비(λ0)에 대하여 농후인지 희박인지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산소농도 센서 O2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제어장치(20)는 주지하는 CPU(21), ROM(22)RAM(23), 백엎 RAM(24)등을 중심으로 산술이론 연산회로로서 구성되어, 상술한 각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하는 입력포오트(25)가 각 작동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오트(26)등과 버스(27)로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전자제어장치(20)는 입력포오트(25)를 개재하여 흡기압(PM), 흡기온(Tam) 드로틀개구의 크기(TH), 냉각수온(Thm), 공연비(λ) 및 회전수(Ne)등을 입력하여 이에 따라서 연료분사량(TAU), 점화시기(Ig)을 산출하고 출력포오트(26)를 개재하여 연료분사밸브(16a∼16d) 점화회로(17)의 각각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중에서 공연비제어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20)는 공연비제어를 하기 위하여 미리 다음의 방법으로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다음에 설명하는 설계방법은 일본국 특개 소64-110853호 공보에 개재되어 있다.
①제어대상의 모데링(modeling)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10)의 공연비(λ)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모델에 베인시간(vain time) P=3을 지닌 차수(degree)(1)의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델을 사용하고 나아가서 교란(disturbance)(d)을 고려하여 근사하게 하였다.
먼저 자기회귀 이동평균모델을 사용한 공연비(λ)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모델은
λ(k) = a · λ(k-1)
+ b · FAF(k-3) ······(1)
으로 근사하다.
여기에서 λ 는 공연비 FAF는 공연비 보정계수 (a, b)는 정수k는 최초의 샘플링 개시로부터의 제어회수를 나타낸 변수이다
나아가서 교란(d)을 고려하면 제어시스템이 모델은
λ(k) = a ·λ(k-1)
+ b · FAF(k-3)
+ d(k-1) ······(2)
으로 근사하다.
이상과 같이하여 근사한 모델에 대하여 스텝응답을 이용하여 회전동기(360。CA)샘플링으로 이산화(discretion)하여 정수(a, b)를 정하는 것, 즉 공연비(λ)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전달함수(G)를 구하는 것은 용이하다.
②상태변수량(X)의 표시방법
상기식 ②을 상태변수량 X(k) = [X1(k), X2(k), X3(k), X4(k)]T을 사용하여 고쳐쓰면,
을 얻는다.
③조정기의 설계
상기 (5), (6)식에 대하여 조정기를 설계하면 가장 적함한 피이드백게인 K= [K1, K2, K3, K4]와 상태변수량 XT(k) = [λ(k), FAF(k-3) FAF(k-2), FAF(k-1)]등을 사용하여 FAF(k) = K·XT(k) = K1·λ(k) + K2·FAF(k-3) +K3·FAF(k-2) + K4·FAF(k-1)-------(5)이 된다
나아가서 오차를 흡고시키기 위한 적분항 Z1(k)를 가하여 FAF(k) = K1· λ(k) + K2·FAF(k-3) + K3·FAF(k-2) + K4·FAF(k-1) + Z1(k) -----(6) 으로하여, 공연비(λ), 보정계수(FAF)를 구할 수 있다.
더욱이, 적분항 Z1(k)는 목표공연비(λTG)와 실제의 공연비 λ(k)의 편차와 적분정수(ka)등으로 결정되는 값으로서,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다.
Z1(k)= Z1(k-1) +Ka· (λTG-λ(k)) ······ (7)
도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델을 설계한 공연비(λ)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도4에 있어서 공연비 보정계수 FAF(k)를 FAF(k-1)으로부터 안내하기 위하여 Z-1변화를 사용하여 표시하였으나, 이것은 과거의 공연비 보정계수FAF(k-1)을 RAM(23)으로 기억하여두어 제어탕이밍에서 판독하여 사용하였다.
또 도 4에서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블록(P1)이 공연비 λ(k)를 목표공연비(λTG)으로 피이드백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태변수량X(k)을 정하는 부분블록(P2)이 적분항Z1(k)을 구하는 부분(누적부) 및 블록(P3)이 블록(P1)으로 정하여진 상태변수량 X(k)와 블록(P2)에서 구하여진 적분항 Z1(k)등으로 금회의 공연비 보정계수 FAF(k)를 연산하는 부분이다.
④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의 결정이 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는 예컨대 다음식으로 나타내는 평가함(J) 최소로 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가함구(J)라 함은 공연비 보정계수 FAF(k)의 움직음을 제약하면 공연비λ(k)와 목표공연비(λTG)의 편차를 최소로 하려고 의도한 것이며, 공연비 보정계수 FAF(k)에 대한 제약의 가중(weighting)은 무게의 파라미터(Q), (R)의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파리미터(Q), (R)의 값을 여러가지로 바꾸어서 가장 적합한 제어 특성을 얻을 수 있을때까지 시물레이션을 반복하여 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를 정하면 된다
나아가서 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는 모델정수(a), (b)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의 공연비(λ)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변동(파라미터 변동)에 대한 시스템의 안정성(로버스트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모델정수(a, b)의 변동분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물레이션은 모델정수(a, b)의 현실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을 가미하여 실행하고 안정성을 만족하는 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k) 및 적분정수(Ka)를 정한다.
이상 ①제어대상의 모델링, ②상태변수량의 표시방법, ③조정기의 설계, ④가장 적합한 피이드백게인 및 적분정수의 결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전자제어장치(20)에서는 그 결과 즉, 전술한(6, 7)식 만을 사용하여 제어를 한다.
다음에 도 5, 7에 나타낸 순서도에 따라서 공연비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연료분사량(TAU)를 설정하는 처리이며, 회전에 동기(360。CA마다)하여 실행된다.
우선, 스텝(101)에서 흡기압(PM), 회전수(Ne)등에 따라서 기본연료분사량(Tp)이 연산된다.
이어서 스텝(102)에서 공연비(λ)의 피이드백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피이드백 조건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온(Thw)이 소정값 이상일 때 부하나 회전이 높지 않다고 하는 사실이다.
스텝(102)에서 공연비(λ)의 피이드백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때는 스텝(103)에서 공연비 보정계수(FAF)가 1에 설정된 다음 스텝(106)에 진행된다.
또, 스텝(102)에서 공연비(λ)의 피이드백 조건이 성립할 때는 스텝(104)에서 목표공연비(λTG)가 설정된다. (상세히는 나중에 설명한다), 그리고 스텝(105)에서 공연비(λ)가 목표공연비(λTG)가 되도록 공연 보정계수(FAF)가 설정된다.
상세히 말하면, 목표공연비(λTG)와 공연비센서(36)로 검출되는 공연비 λ(k)에 따라서 전술한(6, 7)식에 따라 공연비 보정계수(FAF)가 연산된다.
그리고 스텝(106)에서 기본연료 분사량(Tp)에 대하여 공연비 보정계수(FAF) 및 다른 보정계수(FALL)에 따라서 다음식으로 보정되어 연료분사량(TAU)이 설정된다.
TAU = FAF × Tp× FALL
이상과 같이 하여 설정된 연료분사량(TAU)에 따른 작동신호가 연료분사밸브(16a∼16b)에 출력된다.
다음에 목표공연비(λTG)의 설정(도 5종의 스텝(104)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O2센서(37)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실제의 공연비와 공연비 센서(36)의 검출신호의 편차를 보정하도록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가 설정된다. 상세히 말하면 O2센서(37)의 검출신호가 농후일때는 중앙치(λTGC)를 소정치(λM)만 희박으로 설정한다. 반대로 O2센서(37)의 검출신호가 희박일때는 중앙치(λTGC) 소정치(λM)만큼 농후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3성분촉매(38)의 정화율(n)의 공연비(λ)에 대한 특성도 도6에 나타내었다.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낸 촉매윈도우(W)(도면중에서 사선부분)의 범위내에서 제어된다. 촉매윈도우(W)는 0.1% 정도이기 때문에 전술한 소정치(λM)로서는 이값(W)보다도 작게 설정한다.
또 실제의 공연비와 공연비센서의 검출신호의 편차는 회전수(Ne), 흡기압(PM)에 의하여도 다르다. 즉, 정화율(n)이 최대로 되는 공연비가 회전수(Ne), 흡기압(PM)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중앙치(λTGC)의 초기초로서, 미리 회전수(Ne)와 흡기압(PM)등에 의하여 정화율(n)이 최대로 되는 공연비를 구하여 두어 ROM(22)에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피이드백 개시시에 ROM(22)으로부터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중앙치(λTGC)의 초기치는 회전수(Ne), 흡기압(PM)이 커질수록 농후로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중앙치(λTGC)에 대하여, 촉매윈도우λ(W) 범위내에서 일정한 진폭(떨림(wither)진폭)(λDTA)에서 주기적(떨림주기(TDZA))에 목표공연비(λTG)를 변화시킨다. (떨림제어), 여기서 떨림진폭(λDTZ), 떨림주기(TDZA)에 대하여도 정화율(n)이 최대로 되는 최적치가 회전수(Ne)와 흡기압(PM)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떨림진폭(λDTA), 떨림주기(TDZA)의 최적치를 미리 회전수(Ne)와 흡기압(PM)에 구하여 두어 ROM(22)에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축차ROM(22)에서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목표공연비(λTG)의 설정에 대하여 도 7에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201, 203)은 전술한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를 설정하는 처리이다.
먼저 스텝(201)에서 O2센서(37)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농후(rich state)인지 희박(leam state)인지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O2센서(37)로 부터의 검출신호가 농후인 경우에는 스텝(202)에서 중앙치(λTGC)를 소정치(λM)만큼 크게 즉, 희박(稀博)으로 설정한다. (λTGC←λTGCM). 또 스텝(201)에서, O2센서(37)로부터의 검출신호가 희박의 경우는 스텝(203)에서 중앙치(λTGC)를 소정치(λM)만큼 작게 즉 희박으로 설정한다.(λTGC← λTGC- λM)
스텝(204, 213)은 전술한 떨림제어이다. 스텝(204)에서, 카운터(CDZA)가 떨림주기(TDZA)이상인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카운터(CDZA)는 떨림주기(λDZA)를 카운트한다. 여기에서 카운터(CDZA)가 떨림주기(TDZA)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205)에서 카운터(CDZA)를 계산(CDZA←CDZA + 1)한 다음 스텝(213)에 진행한다.
또, 스텝(204)에서 카운터(CDZA)가 떨림주기(212)에서 목표공연비(λTG)를 스텝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처리를 한다. 먼저 스텝(206)에서 카운터(CDZA)를 복귀(CDZA = 0)한다. 스텝(207)에서 떨림직폭(λDZA) 설정한다. 상세히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떨림진폭(λDZA)은 회전수(Ne)와 흡기압(PM)에 따른 최적치를 미리 구하여 두어 회전수(Ne)와 흡기압(PM)의 2차원 맵으로서 ROM(22)에 기억하여 둔다. 스텝(207)에서 떨림진폭(λDZA)을 설정한다. 상세히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떨림진폭(λDZA)은 회전수(Ne)와 흡기압(PM)에 따른 최적치를 구하여두어 회전수(Ne)와 흡기압(PM)의 2차원 맵으로서 ROM(22)에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축차 ROM(22)에서 떨림진폭(λDZA)을 판독한다. 이어서 스텝(208)에서 떨림주기(TDZA)를 설정한다. 떨림주기(TDZA)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과 마찬가지로 회전수(Ne)와 흡기압(PM)의 2차원 맵으로서 ROM(22)에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축차 ROM(22)에서 떨림주기(TDZA)를 판독한다. 다음에 스텝(209)에서 플래그(XDZR)가 설정되어 있는지 않은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플래그(XDZR)가 설정되어 있는(XDZR = 1) 경우는 목표공연비(λDG)가 중앙치(λDGC)에 대하여 농후로 설정하고 있음을 뜻한다.
스템(209)에서 XDZR이 설정되어 있다(XDZR = 1)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전회의 제어타이밍까지 목표공연비(λTG)가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농후로 설정될 경우에는 스텝(210)에서 목표공연비( λTG)를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만큼 희박으로 설정되도록 플래그(XDZR)를 복귀한다.(XDZR←0). 또 스텝(209)에서 플래그(XDZR)가 복귀하였다(XDZR = 1)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전회의 제어타이밍까지 목표공연비(λTG)가 중앙치(λTGC)에 대하여 회박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211)에서 목표공연비(λTG)를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만큼 농후로 설정되도록 플래그(XDZR)를 설정한다(XDZR← 1). 이어서 스텝(212)에서 떨림진폭(λDZA)을 음수로 하여 스텝(213)에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213)에서 목표공연비(λTG)를 다음식에 따라 설정한다.
λTGTGC+ λDZA
따라서 목표공연비(λTG)를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만큼 희박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스텝(213)에서 다음식에 따라 목표공연비(λTG)가 설정된다.
λTGTGC+ λDZA
또 목표공연비(λTC)를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만큼 농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스텝(212)에서 떨림진폭(λDZA)이 음수로 설정되므로, 스텝(213)에서 다음식에 따라 목표공연비(λTG)가 설정된다.
λTGTGC- λDZA
이상의 중앙치(λTGC)의 설정에 있어서의 타임도표를 뜻한. O2센서(37)의 신호가 희박인 동안에는 소정치(λM)만큼 중앙치(λTGC)를 농후로 설정하여 O2센서(37)의 신호가 농후인 동안은 소정치(λM)씩 중앙치(λTGC)를 희박에로 설정한다. 따라서 중앙치(λTGC)는 공연비센서(36)가 뜻하는 이론공연비로 된다. 따라서 실제의 공연비와 공연비센서(36)의 검출신호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떨림제어에 관한 타임도표를 뜻한다. 목표공연비(λTG)를 중앙치(λTGC)에 대하여 떨림진폭(λDZA)만큼 농후 또는 희박으로 짧은 떨림주기(TDZA)로 흔들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3성분촉매(38)의 정화율(n)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O2센서(37)를 3성분촉매(38)의 하류에 배설하였을 경우의 검출신호의 특성을 도3(b)에 나타내었다. 이 특성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O2센서(37)을 3성분촉매(38)의 하류에 배설하였을 경우의 검출신호의 특성(도 3(b))은 3성분촉매(38)의 상류에 배설하였을 경우의 검출신호의 특성(도 3(a))에 비하여 농후, 희박의 반전주기가 길어진다. 이것은 3성분촉매(38)로 배기가스속의 유해성분이 산화환원 반응에 따라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3성분촉매(38)의 정화율(η)을 높이기 위하여 공연비(λ)가 농후. 희박의 짧은 주기에서 반복하도록 제어되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공연비센서(36)를 좋은 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또, 3성분촉매(38)의 하류에서는 배기가스가 충분히 혼합되기 때문에 그 검출신호는 특정한 기통의 공연비(λ)에 의존하지 않고 전기기통의 평균적인 공연비(λ)이기 때문에 적절한 공연비(λ)의 보정을 할 수 있다.
나아가서 3성분촉매(38)에 따라 배기가스가 냉각되고 또한 배기가스속의 구리성분도 흡수되기 때문에 O2센서(37)의 열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를 항상 O2센서(37)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O2센서(37)의 검출신호의 농후의 시간과 의박의 시간이 대략 같게된 시점에서 목표공연비 중앙치(λTGC)를 일정하게 하여 이후 설정을 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런 경우의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로서는 도 9에 있어서의 점(D)으로 하여도 좋고, 점A, B, C, D의 평균치로 하여도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제어타이밍에 있어서의 O2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를 설치하고 있으나, 그 밖의 실시예로서 O2센서의 검출신호의 일정주기에 있어서의 농후의 시간과 희박의 시간에 따라서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목표공연비(λTG)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에서 농후.희박을 반복하도록 설정되어 제어된다. 여기에서 목표공연비 중앙치(λTGC)와 이론공연비 λ0(14.7)등이 같은 경우(λTGC= λ0), O2센서(37)의 검출신호는 도 10과 같이된다. 즉 검출신호의 일정주기에 있어서의 농후의 시간(TRi)의 총시간(STR)과 희박의 시간(TLi)의 총시간(STL)등이 같게된다.
즉 STR= STL
여기에서
한편, 목표공연비 중앙치(λTGC)가 이론공연비(λ0)에 대하여 농후인 경우 (λTGCλ0),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후의 시간(TRi)이 희박의 시간(TLi)이 비하여 길어진다. 즉, STRSTL
또,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가 이론공연비(λ)에 대하여 희박인 경우(λTGCλ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희박의 시간(TLi)이 농후의 시간(TRi)에 비하여 길어진다. 즉, STRSTL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7의 스텝(210, 203)이 스텝(301, 303)으로 바뀌는 것 뿐이고 그 이외는 도 7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스텝(301)에서 O2센서의 검출신호에 있어서의 소정주기(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5주기)분에 있어서의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 STR)과 희박의 시간의 총시간(STL)의 대소비교를 한다. 여기에서 농후 또는 희박의 총시간(STR, STL)은 센서(37)로부터의 검출신호의 반전에 동기하여 활성화된 루우틴으로 구할 수 있다. 전회활성화 되어서부터 금회활성 되기까지의 시간을 연산하고, 2시간을 각기 농후의 시간인지 희박의 시간인지에 따라서 총시간(STR, STL)에 가산함에 따라 구하여진다. 스텝(301)에서 STRSTL이면 중앙치(λTGC)가 이론공연비 (λ)에 대하여 농후이기 때문에 스텝(302)에서 중앙치(λTGC)를 소정치(λM)만큼 크게된다
TGC← λTGC+ λM)
한편, 스텝(301)에서 STRSTL이면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가 이론공연비에 대하여 희박이기 때문에 스텝(303)에서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를 소정치(λM)만큼 작게 한다.
TGC← λTGC+ λM)
이상으로 목표공연비의 중앙치(λTGC)의 설정을 종료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기체가 이론공연비가 되도록 촉매의 상류에 배설되는 제1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검출신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제어된다. 그리고 실제의 공연비와 제1검출신호의 편차를 보정하도록 촉매의 하류에 배설되는 제2산소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가 설정된다. 따라서 실제의 공연비와 제1검출신호의 편차를 좋은 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고 촉매의 정화율이 높은 공연비로 좋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엔진의 배기관에 배설되어,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와, 이 촉매의 상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에 대하여 리니어한 제1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1산소농도 센서와, 촉매의 하류에 배설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가 이론공연비에 대하여 농후인지 희박인지를 나타낸 제2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2산소농도 센서와, 제2검출신호에 따라서 목표공연비를 설정하는 목표공연비 설정수단과, 제1검출신호와 목표공연비에 따라서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분사량을 설정하는 연료분사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연비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은 제2검출신호가 농후인 경우는 전술한 목표공연비를 단위시간당 소정치씩 서서히 희박한쪽으로 설정하고 제2검출신호가 희박인 경우는 목표공연비를 단위시간당 소정치씩 서서히 농후한쪽으로 설정하는 제1목표 공연비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을 제2검출신호의 소정주기에 있어서의 농후시간의 총시간을 검출하는 제1시간 검출수단과, 제2검출신호의 소정시간에 있어서의 희박시간의 총시간을 검출하는 제2시간 검출수단과, 전술한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의 희박의 시간의 총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목표공연비를 소정치씩 서서히 희박측에 설정하고 희박의 시간의 총시간이 전술한 농후의 시간의 총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목표공연비를 소정치씩 서서히 농후측에 설정하는 제2목표공연비 설정 수단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연비제어장치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분사량 설정수단은 목표공연비를 목표공연비 설정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공연비에 대하여 소정진폭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KR1019900020173A 1989-12-14 1990-12-08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KR0137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4291A JP2765136B2 (ja) 1989-12-14 1989-12-14 エンジン用空燃比制御装置
JP1-324291 1989-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520A KR910012520A (ko) 1991-08-08
KR0137133B1 true KR0137133B1 (ko) 1998-04-25

Family

ID=1816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173A KR0137133B1 (ko) 1989-12-14 1990-12-08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90199A (ko)
JP (1) JP2765136B2 (ko)
KR (1) KR0137133B1 (ko)
DE (1) DE403987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823A (en) * 1991-02-12 1994-05-31 Nippondenso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speedily warming up catalyst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4128997A1 (de) * 1991-08-31 1993-03-04 Abb Pat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und pruefung
JP3651007B2 (ja) * 1991-09-24 2005-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4136911A1 (de) * 1991-11-09 1993-05-13 Till Keesmann Verfahren zur katalytischen nachverbrennung der abgase einer mit mehreren zylindern ausgestatteten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zur ausuebung dieses verfahrens
JP2917632B2 (ja) * 1991-12-03 1999-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CA2096382C (en) * 1992-05-19 1998-05-05 Ken Ogawa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622047A (en) * 1992-07-03 1997-04-22 Nippondens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aturation gas amount absorbed by catalytic converter
US5487270A (en) * 1992-07-03 1996-01-30 Nippondenso Co., Ltd.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06930B2 (ja) * 1992-07-03 2002-07-2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039162B2 (ja) * 1992-10-13 2000-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843878B2 (ja) * 1993-01-21 1999-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197654B2 (ja) * 1993-01-21 2001-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センサ劣化検出装置
JPH06229292A (ja) * 1993-01-29 1994-08-16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179920B2 (ja) * 1993-02-12 2001-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触媒診断装置
JP2880872B2 (ja) * 1993-02-26 1999-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群別空燃比制御装置
US5473889A (en) * 1993-09-24 1995-12-12 Honda Giken Kogyo K.K. (Honda Motor Co., Ltd. In English)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438298B2 (ja) * 1994-03-25 2003-08-18 マツダ株式会社 空燃比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
JP3449011B2 (ja) * 1994-05-31 2003-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WO1996021099A1 (fr) * 1994-12-30 1996-07-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ande d'injection de carburant destine a 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5758490A (en) * 1994-12-30 1998-06-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meter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57735A (en) * 1994-12-30 1997-08-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meter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32724A (en) * 1995-01-27 1998-11-10 Mazda Motor Corporatio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engines
DE19505687A1 (de) * 1995-02-20 1996-08-22 Audi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im Sekundärluftbetrieb
JP3581737B2 (ja) * 1995-02-24 2004-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841842B2 (ja) * 1995-02-24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5619976A (en) * 1995-02-24 1997-04-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employing controller of recurrence formula typ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498817B2 (ja) * 1995-06-14 2004-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系故障診断装置
JP3805408B2 (ja) * 1995-06-15 2006-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19626405B4 (de) * 1995-06-30 2008-09-18 Denso Corp., Kariya Luft/Kraftstoff-Verhältnis-Steuer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JP3765617B2 (ja) * 1996-06-25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887903B2 (ja) * 1997-09-02 2007-02-2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19801815A1 (de) * 1998-01-19 1999-07-22 Volkswagen Ag Mager-Regeneration von NOx-Speichern
US6513321B2 (en) * 1999-12-28 2003-02-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39707B2 (en) 2000-10-03 2003-04-01 Denso Corporation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67738B2 (en) 2001-01-30 2003-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ing control system
FR2833309B1 (fr) * 2001-12-07 2006-01-20 Renault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a richess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WO2004059151A1 (de) * 2002-12-30 2004-07-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kraftstoff/luftverhältnisse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7377104B2 (en) * 2004-03-05 2008-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control system with mixed exhaust gas oxygen sensor types
AU2006203294B2 (en) * 2005-08-31 2011-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Control System with Mixed Exhaust Gas Oxygen Sensor Types
DE102005061872A1 (de) * 2005-12-23 2007-07-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neration einer Abgasreinigungsanlage
US7809490B2 (en) * 2007-08-17 2010-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hase and frequency error based asymmetrical AFR pulse reference tracking algorithm using the pre-catalyst O2 sensor switching outpu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477A (en) * 1976-04-29 1977-06-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sensor closed loop fuel control system having signal transfer between sensors during warmup
DE2713988A1 (de) * 1977-03-30 1978-10-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stimmung der verhaeltnisanteile des einer brennkraftmaschine zugefuehrten kraftstoff-luftgemisches
JPS5664125A (en) * 1979-10-26 1981-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osed loop fuel injection method
JPS603446A (ja) * 1983-06-21 1985-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60243316A (ja) * 1984-05-16 1985-12-0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2次空気制御装置
JPS6183466A (ja) * 1984-09-29 1986-04-28 Suzuki Motor Co Ltd 空燃比制御装置
DE3500594C2 (de) * 1985-01-10 1995-08-17 Bosch Gmbh Robert Zumeß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zur Beeinflussung des Betriebsgemisches
JPS6445913A (en) * 1987-08-11 1989-02-20 Mitsubishi Motors Corp Catalyst deterioration diagnos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51038B2 (ja) * 1987-10-22 1996-11-06 日本電装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801596B2 (ja) * 1987-11-05 1998-09-2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空燃比制御方法
DE3827978A1 (de) * 1987-11-10 1989-05-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fuer stetige lambdareg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39876A1 (de) 1991-07-04
KR910012520A (ko) 1991-08-08
JPH03185244A (ja) 1991-08-13
JP2765136B2 (ja) 1998-06-11
US5090199A (en) 1992-02-25
DE4039876B4 (de)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133B1 (ko) 엔진용 공연비 제어장치
US5243952A (en) Air-fuel ratio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engine
JPH04365947A (ja) エンジン用空燃比制御装置
JPH109022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170067B2 (ja) 内燃機関の希薄燃焼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噴射量制御装置
US5491975A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039162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282217B2 (ja) 触媒の飽和吸着量検出装置
JPH04339147A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2001050082A (ja) 空燃比制御装置
JP2694729B2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
JP2841806B2 (ja) エンジン用空燃比制御装置
JPS60135637A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フイ−ドバツク制御方法
JP346035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97014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591671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230955A (ja) 内燃機関の出力変動検出装置
JP2712089B2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方法
JP2890750B2 (ja) エンジン用空燃比制御装置
US20130061581A1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144635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方法
JP2759917B2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方法
JPS62139943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方法
JP4044978B2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S6059415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