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46B1 -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 Google Patents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46B1
KR0136946B1 KR1019950007687A KR19950007687A KR0136946B1 KR 0136946 B1 KR0136946 B1 KR 0136946B1 KR 1019950007687 A KR1019950007687 A KR 1019950007687A KR 19950007687 A KR19950007687 A KR 19950007687A KR 0136946 B1 KR0136946 B1 KR 013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jack
musical instrument
keyboard
contro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하야시다
사토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Abstract

잭과 조절버튼 사이의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피아노는 잭(106e)으로 하여금 해머 어셈블리(107)로 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서 조절버튼기계장치(106g)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는 상기 잭이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1조절버튼(106r) 및 제2조절버튼(106s)를 구비한다.:상기 잭은 음량이 큰 음조 또는 온화한 음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조절버튼(106r/106s)에 의존하여 가변적인 힘을 상기 해머 어셈블리에 부여한다.

Description

잭과 조절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 악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이탈 시작점에서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조절버튼기계장치 내에 합체되어 있는 제2조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제2조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상기 제2조절버튼의 일부를 도시한 전면도,
제6도는 키이 이동과 캡스턴 버튼의 이동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7도는 반복레버와 해머롤러간의 접촉점과 키이 이동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8도는 키이 이동과 해머 이동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9도는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약음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약음 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전자음발생 시스템의 배열을 도시한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시작점에서 또다른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약음 모드에서의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3도는 표준음향음 모드에서 이탈 시작점에서의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또 다른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이탈 시작점에서의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약음모드에서 이탈 시작점에서의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6도는 표준음향음 모드에서 이탈시작점에서의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조절버튼기계장치와 잭을 도시한 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키이보드 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 악기 내에 합체되어 있는 조절버튼기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101b:키이104:악기줄
106b:휘픈 어셈블리106e:잭
106o:제1영역106p:제2영역
107:헤머 어셈블리
본 발명은 키이보드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모드에 의존하여 잭과 조절버튼 사이에서 여러 접촉점을 가진 키이보드 악기에 관한 것이다.
키이보드 악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피아노가 있으며, 상기 피아노는 한 세트의 줄에 해머의 충격을 가하여서 음량이 매우 큰 음을 발생하므로 밤늦은 시간대와 같은 경우에 연주자는 연주시 이웃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피아노에는 소리의 강도를 약하게 하는 약음(弱音)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약음기계장치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를 악기줄 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자가 연주하는 동안에 해머 어셈블리는 쿠션부재를 리바운딩하므로 상기 악기줄 세트를 약하게 치게 되는 것이다. 쿠션부재는 악기줄의 진동을 신속히 흡수하므로 악기줄은 약한 소리를 발생한다.
미국특허 No.2,250,065에는 종래의 악음기계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된 약음기계장치는 키이액션 기계장치와 해머어셈블리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차단시키기 위해 해머어셈블리를 들어 올린다. 연주자가 키를 누르더라도 상기 압건된 키이는 관련 키이액션 기계장치만을 작용시킨다:그러나, 상기 키이액션 기계장치는 상기 해머어셈블리를 회전하도록 구동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해머어셈블리가 악기줄을 치지 않으므로 피아노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약음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아노에 키이센서 및/또는 해머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면 톤발생기는 검출된 키이/해머운동을 기초로 하여 전자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종래의 약음 기계장치는 피아노에서 발생되는 음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었으며, 해머롤러로 부터의 잭의 이탈은 연주자로 하여금 독특한 건반 감각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종래의 약음기계장치는 음향 피아노 고유의 건반감각을 변화시킨다. 즉, 연주자가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잭은 해머롤러로 부터 이탈되며 연주자는 손가락에서 느껴지는 해머 무게의 제거로 인한 경량감을 겪게 된다.
일본특허출원 평4-124813은 음향 피아노용 약음기계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출원번호 08/073092는 일본특허출원 평4-174813 등을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출원되었다. 수 개의 종래기술이 거절 이유가 되어, 상기 미국출원번호 08/073092이 거절되었었으나, 최종적으로 상기 미국특허출원는 특허등록증을 받았으며, 1994년 12월 20일자로 미국특허번호 5,374,775를 발행받았다. 상기 특허등록 절차 때에 인용된 참고 문헌으로서는 미국특허 2,250,065, 4,633,753, 4,704,931, 4,744,281, 4,970,929, 5,115,705, 5,247,129, 외국특허 44782(독일, 68406(독일), 97885(독일), 3707591(독일), 3707591C1(독일), To9-1U000077(이태리), 51-67732(일본), 55-55880(일본), 62-32308(일본), 63-97997(일본), 614303(스위스연방공화국)이 있다.
상기 미국특허 No.5,374,775에 기재된 약음기계장치는 해머생크의 경로를 통해 스토퍼를 이동시키며 해머생크는 악기줄에 충격을 주기 전에 해머생크의 경로 내에 멈추어 있는 스토퍼를 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된다.
그런데 상기 미국특허 No.5,374,775에 기재된 약음기계장치는 본래 위치의 해머헤드와 악기줄 사이에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며, 해머와 악기줄 사이의 공간의 좁은 피아노류와 소형 피아노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해머생크 및 스토퍼의 변형을 고려하였을 때 어셈블리약음기계장치는 스터퍼 상으로 해머생크가 리바운딩할 때에 악기줄을 해머헤드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해머헤드와 악기줄 사이에 5 내지 10밀리미터의 갭을 필요로 한다. 한편, 상기 이탈점은 상기 악기줄에 부여된 음조에 의존하여 변하긴 하지만, 피아노의 경우 이탈점은 저음인 경우는 3mm로 조절된다. 약음기계장치가 효율적이면, 해머생크는 해머롤러로 부터 잭이 이탈되기 전에 스토퍼와 접하게 되며, 상기 스터퍼와 잭 사이에 붙들리게 된다.
일본특허출원 평 4-215400에는 이탈점을 변경시키는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일본특허출원번호 4-215400 등을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미국특허출원 No.08/174,179 및 유럽특허출원 93120645.2가 출원되었다. 일본특허출원 평 4-215400에 개시된 조절장치는 잭의 토우(toe) 및 조절버튼 사이의 갭에 삽입 가능한 스페이서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는 잭과 조절버튼 간의 직접 접촉 이후의 이탈 보다도 먼저 해머버트(해머롤러)로 부터 잭이 이탈되도록 허용한다.
그런데, 해머버트(butt) 또는 해머롤러로 부터 먼저 이탈하는 잭으로 인해 연주자는 건반 감각을 심도있게 느낄 수 없게 된다. 초심자에게는 심도있는 음감이 별문제가 되지 않으나 전문 연주인에게는 심도있는 음감이 주요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피아노 고유의 건반 감각을 살리기 위해서 이탈시작점을 변경하지 않고 이탈 완료에서 해머헤드와 악기줄 사이의 갭을 증가시키는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키이보드 악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잭의 짧은 부분과 조절버튼기계장치 사이의 접촉점을 변경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이보드 악기는 음계 음조가 각각 지정되어 있으면서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키이와, 음조를 가지는 음향 톤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키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악기줄 수단과;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키를 눌렀을 때에 상기 관련 악기줄 수단을 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악기줄 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해머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키와 해머어셈블리 사이에 기능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편, 연주자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관련키이에 의해 회전되는 휘픈(whippen) 어셈블리와, 조절버튼기계장치와, 긴 부분 및 짧은 부분을 가지는 잭, 즉 상기 결합된 해머어셈블리로 부터 이탈되기 위해서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와 접촉하게 되는 한편, 상기 휘픈어셈블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중간 부분에서 긴 부분과 합체되어 있는 짧은 부분을 가지는 잭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키이액션 기계장치와; 상기 짧은 부분과 조절버튼기계장치 사이에서 접촉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변경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이보드 악기는 상기 해머어셈블리의 충격으로 부터 상기 다수의 악기줄 수단을 보호하는 스토퍼와, 연주자에 의해 압건된 상기 키이에 응답하여 전자음을 발생하는 전자음 발생시스템을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 전자 악기의 특징 및 잇점들을 더욱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제1도에 의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는 키이보드 악기를 그랜드 피아노(100)와, 무성시스템(200)과, 전자음발생시스템(30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표준음향음모드, 약음모드, 무성모드 중의 하나로 선택적으로 들어간다. 상기 그랜드 피아노는 표준타입의 피아노이며 피아노케이스(도시하지 않음)는 그랜드피아노(100)의 내부 기계장치의 거의 모두를 덮고 있다. 다음 기술내용에서, 회전 방향은 참고 도면에서 결정되며 연주자는 키이보드 악기의 앞쪽에 앉아서 연주한다.
그랜드피아노(100)는 키이베드(103) 상에 장착된 키이프레임(10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키이보드(101)를 포함한다. 88개의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은 상기 키이보드(101)를 이루며 밸런스핀(104)에 대해 회전가능가하다.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은 그랜드 피아노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흑백키이(101a 및 101b)의 전단부는 연주자에게 노출되어 있다. 연주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 상기 흑백키이(101a 및 101b)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의 휴지 위치에 멈추어 있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을 누른 때에 상기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은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각각의 단부 위치에 도달한다. 한 음계의 음조는 상기 흑백키이(101a 및 101b)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상기 그랜드피아노(101)는 키이보드(101) 너머로 조정핀(도시하지 않음)과 히치핀(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 세트의 악기줄(104)과,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의 후단부 너머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휘픈레일(105)과, 상기 휘픈레일(10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키이액션기계장치(106)와 해머생크레일(10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해머어셈블리(107)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액션브래킷은 휘픈레일(105)과 생크플랜지레일(109)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액션브래킷(108)과, 흑백키이(101a 및 101b)와 키이프레임(102)은 시프트페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음질의 온화함 및 음의 연장을줄이기 위해 상기 해머어셈블리(107)로 하여금 정규수 보다 적은 갯수의 악기줄을 치도록 한다. 악기줄(104)세트는 제각기 진동하며 흑백키이(101a 및 101b)에 할당된 음계의 음조와 함께 음향톤을 발생한다.
상기 다수의 키이액션기계장치(106)들은 구조상 서로 유사하며, 캡스턴스크류(110)에 의해서 상기 흑백키이(101a 및 101b)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이 압건된 때에, 관련 키이액션기계장치(106)들은 캡스턴스크류(110)에 의해 작동되며, 관련 키이액션기계장치(106)들은 갭스턴스크류(110)에 의해 작동되며, 관련 해머어셈블리(107)를 상기 악기줄세트(104)쪽으로 회전시킨다. 해머어셈블리(107)는 상기 악기줄세트(104)를 친 다음 제1도에 도시한 각각의 제위치로 복귀한다.
그랜드피아노(100)는 댐퍼레버레일(11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다수의 댐퍼기계장치(111)를추가로 포함한다. 흑백키이(101a 및 101b)들이 휴지 위치에 멈추어 있는 동안에 댐퍼기계장치(111)는 각각 상기 악기줄세트(104)와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악기줄(104)이 진동되지 않게 한다. 댐퍼기계장치(11)는 흑백키이(101a 및 101b)의 후단에 의해서 각각 작동되며 악기줄(104) 세트로 부터 분리되어 있다. 다음에, 악기줄(104)은 진동하게 되며 제각기 음향톤을 발생한다.
각각의 키이액션기계장치(106)는 휘픈레일(105)에 고정되어 있는 휘픈플랜지(106a)와, 상기 휘픈플랜지(106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휘픈어셈블리(106b)와, 상기 휘픈어셈블리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반복 레버플랜지(106c)와, 상기 반복 레버플랜지(106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반복 레버(106d)와, 상기 휘픈어셈블리(106b)의 선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잭(106e)과, 상기 반복 레버(106d) 및 상기 잭(106e)을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는 반복 스프링(106f)과, 상기 해머생크레일(109)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조절버튼 기계장치(106g)로 구성되어 있다.
해머어셈블리(107)들도 서로 유사하며 각각의 해머어셈블리(107)는 해머생크레일(109)에 고정된 해머생크플랜지(107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해머생크(107b)와, 상기 해머생크(107b)에 고정된 해머롤러(107c)와, 상기 해머생크(107b)의 도입단부에 고정된 해머헤드(107d)로 구성된다.
잭(106e)은 L자 형상을 가지며, 짧은 부분(106i)와 긴 부분(106h)로 분할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구성되어 있다. 상기 긴부분(106h)은 상기 반복 레버(106d)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며, 본래 위치에서의 해머어셈블리(107)는 해머롤러(107c)로 하여금 잭(106e)의 긴 부분(106h)의 상단면 상에 멈추어 있도록 한다.
한편, 흑백키이(101a 및 101b)가 정지해 있는 동안에 상기 짧은 부분(106i)은 조절버튼기계장치(106g)에 대향하여 있다. 반복 스프링(106f)은 잭(106e)을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며 상기 긴부분(106h)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잭버튼(106j)은 상기 짧은 부분(106i)이 조절보튼기계장치(106g)로 부터 이격되어 있는 동안에, 휘플어셈블리(106b)에 고정된 잭스톱 스푼(106k)에 맞대어 눌러진다.
반복레버(106d)는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멀어지며, 반복레버버튼(106m)은 휘픈어셈블리(106b)의 후단부에 맞대어 눌러진다.
해머어셈블리(107)가 본래 위치에 멈추어 있는 동안에 해머롤러(107c)는 잭(106e)의 긴부분(106h)의 상단면 상에 정지되어 있고, 해머생크스톱펠트(106n)는 휘픈어셈블리(106b)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드롭스크류(107e)는 해머생크플랜지(107a)로 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연주자가 관련 키를 약하게 눌렀을 때에, 최근점으로 부터의 복귀거리를 조절한다.
제2돈 및 제3도에서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반구부(106o 및 106p)은 잭(06e)의 짧은 부분(106i)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반구부(106o)는 통상 토우로 칭한다.
각각의 잭(106e)과 결합된 조절버튼 ㅌ(106g)는 해머생크레일(109) 내로 나사 체결되어 있는 제1조절스크류(106q)와, 상기 제1조절스크류(106g)에 고정된 제1조절버튼(106r)과, 상기 제2반구부(106p)와 결합가능한 제2조절버트(106s)과, 다른 제2조절버튼(106s)과 공유된 변경 서브기계장치(106t)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잭(106e)의 회전축과 상기 제1반구부(106o) 사이의 거리는 상기 잭(106e)의 회전축과 상기 제2반구부(106p) 사이의 거리의 2배이다.
이제, 상기 키이(101a/101b)를 어떤 속도로 누른다고 가정할 때에 있어서, 제2반구부(106p)에서 제2조절버튼(106s)에 접하도록 되는 잭(106e)은 제1반구부(106o)에서 조절버튼(106r)에 접하도록 되는 잭(106e) 보다 해머어셈블리(107)에 작은 힘을 가한다. 게다가, 전자의 전달기간은 후자의 전달기간 보다 더 짧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자와 결합된 해머어셈블리(107)는 생크플랜지(107a) 둘레를 저속으로 회전하며, 온화한 음향 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악기줄을 유연하게 리바운딩한다.
그러나, 이탈 시작점은 제1조절버튼(106r)과 제2조절버튼(106s) 사이에서 변경되지 않으며, 연주자는 모든 작동모드에서 그랜드 피아노 특유의 건반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듯이, 각각의 제2조절버튼(106s)은 키이액션 기계장치(106)의 다수 그룹 중의 하나와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그룹의 키이액션기계장치(106)은 제2조절버튼(106s)을 공유한다.
변경 서브기계장치(106t)는 해머생크레일(109)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제2조절 레일브래킷과, 상기 제2조절 레일브래킷(106u) 상에서 베어링유닛(106w)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로드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2조절버튼(106s)은 키이액션기계장치(106)의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직물 부재(106wa)는 베어링 유닛(106w)과 로드부재(106v)의 내부 표면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 부재(106v)로 하여금 유연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각각의 제2조절버튼(105s)은 간격을 두고서 상기 로드 부재(106v) 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된 각각의 부시 부재(105va) 내로 나사 체결되어 있는 나사선의 스탬부(106x)와, 상기 나사선의 스탬부(106x)의 도입 단부에 고정된 브래킷(106y)과, 상기 브래킷(106x)과 나사선의 스템부(106x)의 헤드부 사이에 삽입된 직물 펀칭(106za,106zb)과, 상기 브래킷(106y)의 하부면에 부착된 직물 부재(106z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6y)은 2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선의 스템부(106x)은 브래킷(106y)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큐빅헤드(106xa)은 상기 나나선의 스템부(106x)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튜너는 렌치와 함께 나사선의 스템부(106x)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2반구부(106p)와 직물 부재(106zc) 사이의 갭은 상기 나사선의 스템부(106x)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가능하다. 로드 부재(106v)는 모든 제2조절버튼(106s) 사이에서 공유되며 조종그립(116)은 가요성 와이어(117)를 통해서 상기 로드부재(106v) 내에 끼워진 연결로드(118)에 연결되어 있다. 조종그립(116)은 키이베드(103)에 부착된 케이스(119)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프링은 연결로드(118)를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며, 제2조절버튼(106s)은 제2도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비동작위치까지 변경된다. 키이보드 악기가 표준 음향음 모드에서 연주되고 있는 동안에, 스프링은 제2조절버튼(106s)을 비동작 위치에 유지시킨다. 한편, 키이보드악기가 약음 모드 또는 무성모드로 될 때에 조종그립(116)은 앞쪽으로 당겨지고, 연결로드(118)는 로드부재(106v)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반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제2조절버튼(106s)은 동작위치로 변경되며 직물부재(106zc)는 상기 제2반구부(106p)에 대향하게 된다.
조절 레일(113)은 다수의 조절레인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레일부분은 액션기계장치의 다수의 그룹에 대응한다.
제1조절버튼(106r)은 제1반구부(106o)에 대향하며, 제1조절버튼(106r)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반구부(106o)와 제1조절버튼(106r) 사이의 갭(d)을 조절할 수 있다. 잭(106e)의 이탈시작점은 상기 갭(d)에 의해 결정되며, 통상 해머헤드(107d)가 관련 악기줄 세트(104)로 부터 2-3mm 떨어진 지점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상기 잭의 이탈 시작점은 조절된다. 갭(d)이 감소하면, 이탈 시점은 빨라지게 되며, 갭(d)이 증가하면 이탈시점은 늦어지게 된다.
다시 제1도를 참고하면, 흑백키이(101a/101b)가 휴지지점으로 부터 단부지점까지 이동하는동안에 캡스턴버튼(110)은 휘픈어셈블리(106b)를 위쪽으로 누르고, 휘픈어셈블리(106b) 및 잭(106a)둘레를 회전하는 젝(106e)은 상기 헤머어셈블리(106d)로 하여금 생크플랜지(107a) 둘레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반구부(106o 및 106p) 중의 하나가 제1 또는 제2조절버튼과 접촉되는 때에, 상기 휘픈플랜지(106a) 둘레를 여전히 회전하는 휘픈어셈블리(106b)는 잭(106e)으로 하여금 반복 스프링(106f)의 탄성력에 반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핀(PN) 둘레를 회전하게 한다. 다음에 ,잭(106e)은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고 해머어셈블리(107)는 스프링세트(104)쪽으로 급격히 움직인다.
해머헤드(107d)는 스프링세트(104)를 리바운딩하고, 해머롤러(107c)는 반복해머(106d)와 접촉하게 된다. 해머롤러(107c)는 반복 레버(106d)상에 충격을 가하게 되며 반복레버(106d)는 반복 스프링(106f)의 탄성력에 반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반복 프랜지(106c) 둘레를 회전한다. 최종적으로, 해머어셈블리(107)는 백-체크(114)에 의해 수용된다. 한편, 흑백키이(101a/101b)가 단부 위치로 부터 약하게 올려진 때에 해머헤드(107d)는 백 체크(114)로 부터 해제되며, 반복스프링(106f)은 반복레버(106d)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해머어셈블리(107)는 시계방향으로 작은 각도로 회전되며, 잭(106e)은 해머롤러(107c)와 접촉하게 된다.
댐퍼기계장치(111)는 댐퍼레버레일(112)에 고정된 댐퍼레버플랜지(111a)와, 상기 댐퍼레버플랜지(111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댐퍼 레버(111b)와, 상기 댐퍼레버(111b)의 도입 단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댐퍼블럭(111c)과, 상기 댐퍼블랙(111c)으로 부터 하향 돌출된 댐퍼 와이어(111d)와, 상기 댐퍼 와이어(111d)의 도입 단부에 연결된 댐퍼헤드(111e)로 구성된다. 흑백키이(101a/101b)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상기 키이(101a/101b)의 후단부는 댐퍼레버(111b)의 도입단부로 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댐퍼헤드(111e)는 자체 중량에 의해 악기줄 세트(104)에 접촉되어 있다.
연주자가 키이(101a/101b)를 눌렀을 때에, 상기 압건된 키이(101a/101b)의 후단부는 댐퍼베러(111b)를 상부 방향으로 밀며, 댐퍼레버(111b)는 댐퍼레버(111a)플랜지 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댐퍼가이드레일(115)은 댐퍼와이어(111d)를 가이드하며, 댐퍼와이어(111d)는 상기 댐퍼 헤드(111e)로하여금 악기줄 세트(104)에서 부터 떠나도록 한다. 악기줄 세트(104)는 진동하도록 되며 헤머헤드(107d)의 충격을 받아 음향 톤을 발생한다.
연주자가 키이(101a/101b)를 해제시킨 때에, 후단부는 함몰되어 댐퍼레버(111b)로 하여금 댐퍼레버플랜지(111a)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댐퍼헤드(111e)는 악기줄 세트(104)와 접촉하게 되며, 댐퍼헤드(111e)에 의해서 악기줄(104)의 진동은 흡수된다.
키이액션기계장치(106), 해머어셈블리(107), 댐퍼기계장치(111)는 조절버튼기계장치(106g)를 제외하고는 표준 그랜트 피아노와 유사하게 작용한다.
이하, 키이액션기계장치(106)의 작용을 상세히 분석한다. 잭(106e)이 제2조절버튼(106s)와 제2반구부(106p)의 접촉 이후에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한 것으로 가정하면, 적용점과 지지점 사이의 거리, 즉 제2반구부(106p)와 핀부재(PN)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어 제1반구부(106p)와 핀(PN) 사이의 거리의 반으로 감소하며, 잭(106e)의 각속도와 회전각은 증가되어 제1반구부(106o)와 제1조절버튼(106r)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이탈한 잭(106e)의 경우의 2배로 된다. 긴 부분(106h)의 상단면을 고려하면, 수평성분의 힘은 증가된 각속도로 인해서 수직성분의 힘 보다 다소 크며, 잭(106e)으로 하여금 제1반구부(106o)와 제1조절버튼(106r) 사이의 접촉을 통한 경우 보다 더 일찍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하게 한다. 따라서, 잭(106e)은 해머헤드(107d)와 악기줄(104) 사이에서 더 길이가 긴 거리에서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한다.
실제로, 제1반구부(106o)가 제1조절버튼(118)에 접촉하게 된 때에 잭(106e)은 3mm 거리에서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었다. 한편, 제2반구부(106p)와 제2조절버튼(106s)간의 접촉은 잭(106e)으로 하여금 약 5mm 거리에서 해머롤러(107c)로부터 이탈되게 하였으므로 차이는 약 2mm이었다.
증가된 각속도는 수직성분의 힘을 감소시키며 이탈과정을 더 일찍 완료한다. 잭(106e)은 더 짧은 시간에 걸쳐서 수직힘을 전달하며 해머어셈블리(107)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해머어셈블리(107)는 악기줄(104)을 치게 되며 상기 악기줄(104)은 약한 진동을 통해 온화한 음향 톤을 발생한다. 해머헤드와 악기줄 사이의 거리가 이탈시 더 넓어지는 하나, 제2반구부(106p)는 제1반구부(106p)와 제1조절버튼(118)간의 접촉의 경우와 같은 타이밍에서 제2조절버튼(106s)에 접촉하게 되며, 표준 음향음 모드, 약음모드, 무성모드 중에서 건반의 음감은 변화되지 않는다.
각의 비율은 짧은 부분(106i) 상의 제2반구부(106p)의 위치와 함께 일정치 않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해머 운동에 영향을 끼친다. 그런데, 제2반구부(106p)가 핀(PN)에 너무 가까우면 상기 긴 부분(106h)의 회전각은 과도하게 증가되며 반복레버(106d)의 내부벽에 맞대어 거세게 충돌하게 된다. 상기 충돌은 키이액션기계방치(106)를 파괴할 수도 있다. 한편, 제2반구부(106p)가 제1반구부(106o)에 너무 가까우면, 상기 악기줄에 가장 가까운 해머헤드의 거리는 표준음향음모드, 약음모드, 무성모드 중에서 변경되지 않으며, 해머생크(107b)는 잭(106e)와 생크스토퍼(이하, 기술함) 사이에 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상기 짧은 부분(106i)의 중간 지점에서 제2반구부(106p)를 제시하였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키이액션기계장치(106)의 운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각각의 가로 좌표는 휴지지멍으로 부터의 키이(101a/106b)의 거리를 표시한다.
잭(106e)은 S점에서 이탈을 시작하며 키이(101a/101b)는 B점에서 최종지점에 도달한다. 연주자가 키이(101a/101b)를 그 휴지 위치로 부터 최종위치까지 천천히 누르는 동안에, 캡스턴 버튼(11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Li)을 대략적으로 따르며, 해머롤러(107c)와 반복레버(106d) 사이의 접촉점은 S점이 될 때까지 직선(L2)를 대략적으로 따른다(제7도 참고). 잭(106e)이 이탈을 시작하는 때에 반복레버는 드롭 스크류(107e)에 접촉하게 된다. 드롭스크류(107e)의 접촉 이후에, 캡스턴 버튼(110)은 여전히 상승하며, S점과 B점 사이에 제1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반복레버(106d)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해머롤러(107c)와 반복레버(106d)간의 접촉점은 유연하게 상승된다. 상승거리(h)는 약 0.4mm이다.
해머어셈블리(107)는 표준음향음 모드에서 실선(L3)을 따르며(제8도 참고), 약음/무성모드에서는 점선(L4)을 따른다. 약음/무성모드에서, 잭은 A'점을 이탈을 완료하고 상기 이탈 완료점(A')은 표준음향음 모드에서의 이탈완료점(B) 보다 더 이르다. 점 C는 키이(101a/101b)를 약하게 눌렀을 때의 해머의 최대 높이를 표시한다. 점 C는 상기 악기줄(104)로 부터 3mm 만큼 이격되어 있다. 잭(106e)은 S-C-B 또는 S'-C'-B' 경로를 따라 해머롤러(107c)를 지지하고 있으며 키이운동으로 인한 힘을 해머롤러(107c)로 직접 전달한다. 약음 및 무성모드에서, 반복레버(106d)는 A'-B경로를 따라 해머롤러(107c)를 지지하고 있으며, 해머롤러(107c)는 반복레버(106d)와 함께 온화하게 상승한다.
이에 의해, 키이 운동으로 인한 힘은 반복레버(106d)를 통해서 해머롤러(107)로 간접적으로 전달돈다. 해머어셈블리(107)는 해머롤러(107c) 보다 7 내지 8배 넓게 상승하며, A'점과 B점 사이의 경로의 경사도는 S점과 B점 사이에서 반복레버(106d)의 높이 보다 7 내지 8배 더 크다. 키이(101a/101b)가 온화하게 눌러지는 동안, 잭(106e)과 해머롤러(107c)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서 S-C-B 또는 S-C'-A' 경로 사이에서는 클리과 같은 건반 감각이 주어진다.
A', B, C, C', S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CBC'A'S 약음. 무모드에서, 잭(106e)은 C'점과 악기줄(104) 사이의 거리만큼 해머롤러(107c), 악기줄(104)로 접근한다. 그런데, 악기줄(h2)에 가장 근접한 해머헤드의 거리는 B점에서 5mm이다. 일점쇄선은 잭(106e) 없이 반복레버(106d)에 의해서만 눌러진 해머(107)의 운동을 표시하며, 해머(107)의 경로는 S점까지는 실선과 일치하며, A'와 B점까지는 점선과 일치한다.
이 때, 해머헤드(107d)와 악기줄(104) 사이의 거리는 다음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된다. 또한, 생크스토퍼(210)에 대한 중지 위치도 다음 표에 도시하였다. 표에서, 거리는 해머헤드와 관련 악기줄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제1도와 함께 제9도 및 제10도를 참고하면, 무성시스템(200)은 자유위치(FP) 및 하단위치(BP) 사이에서 변화 가능한 생크스토퍼와 상기 생크 스토퍼(210)에 연결되어 있는 변경기계장치(230)를 포함한다. 생크스토퍼(210)는 본래 위치에서 해머생크(107b)와 악기줄(104)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스토퍼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제10도 참고). 스토퍼 부분 중에서 하나는 저음역에 할당된 악기줄 세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중음역 및 고음역에 설치되어 있다.
생크스토퍼(210)는 2부분(211a,211b)로 분할된 로드부재(211)와, 상기 2부분(211a,211b)에 각각 부착된 쿠션브래킷(212a,212b)와 상기 쿠션브래킷(212a,212b)에 부착된 하부쿠션부재(213a,213b)와, 상기 하부쿠션부재(213a,213b)에 고정된 상부쿠션부재(214a,7214b)와, 상기 상부쿠션부재(214a,214b)에 고정된 보호용 피혁(215a,215b )으로 구성된다. 하부쿠션부재(213a,213b), 상부쿠션부재(214a,214b), 보호용 피혁(215a,215b)은 쿠션유닛(216)을 이룬다.
저음역에 할당된 악기줄(104)에 대한 생크스토퍼(210)의 부분은 그 한쪽 단부에서는 측판(217)의 내부면에 부착된 베어링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다른쪽 단부에서는 브래킷(220)에 의해 보드(219)에 부착된 베어링유닛(218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음역에 할당된 악기줄(104)에 대한 생크스토퍼(210)의 부분은 중간 부분에서도 베어링 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중음역/고음역에 할당된 악기줄(104)에 대한 생크스토퍼(210)의 부분은 그 한쪽 단부에서는 브래킷(220)에 고정된 베어링 유닛(21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다른쪽 단부에서는 브래킷(221)를 통해 측판(217)의 내부면에 고정된 베어링 유닛(218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부분도 베어링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쿠션 브래킷(212a,212b)은 나무, 알루미늄 혼합물, 철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쿠션부재(214a.214b)는 하부쿠션부재(213a,213b)와 비교하였을 때 탄성계수에서 차이가 있다. 보호용 피혁(215a,215b)은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변경기계장치(230)는 연주자에 의해 조종되는 그립(231)과, 상기 그립(231)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케이스(232)와, 상기 그립(231)에 연결되어 있는 전달 코드(233a/233b)와, 상기 측판(217)의 내부면에 고정된 브래킷(234)과, 상기 로드 부재(211)의 부분(211a/211b)에 고정된 아아암부재(235)로 구성된다. 각각의 전달코드(233a/233b)는 고정되어 있는 가요성 튜브(233c)와 가요성 와이어(233d)로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튜브(233c)는 브래킷(234)과 케이스(232)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 가능한 가요성 와이어(233d)는 가요성 튜브(233c) 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능 가요성 와이어(233d)는 가요성 와이어(233d)의 도입 단부에 고정된 볼(233e)를 구비하며 브래킷 부재(235)와 결합되어 있다.
연주자가 그립(231)을 잡아 당기면, 가요성 와이어(233d)는 가용성 튜브(233c) 내로 미끄러지며 아아암부재(235)를 하방으로 당긴다. 다음에, 생크스토퍼(210)는 자유 위치(FP)로 부터 차단 위치(BP)까지 변경되며, 쿠션유닛(216)은 해머 생크(107b)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생크스토퍼(210)가 자유위치(FP)에 멈추어 있는 동안에 해머헤드(107d)는 상기 생크스토퍼(2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관련 악기줄 세트(104)로 리바운딩한다. 그런데, 차단위치(BP)에서의 생크스토퍼(210)는 해머생크(107b)로 하여금 악기줄(104) 상에 충격을 주지 않고 리바운딩하게 한다. 생크스토퍼(210)는 무성모드에서는 차단위치(BP) 내로 진입하며, 표준 음향음 모드 및 약음 모드에서는 자유위치(FP) 내에 정지되어 있다.
생크스토퍼(210)는 핀 보드(PB)의 하부면 보다 더 높은 상부면에서 쿠션(216)을 수축시키며(제1도 참고), 키이보드(101), 키이액션기계장치(106), 해머어셈블리(107)는 조율 작동을 위해서 생크스토퍼(216)의 방해를 받지 않고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제1도를 다시 참고하면, 전자음 발생 시스템(300)은 제어유닛(301), 다수의 키센서(302), 다수의 해머센서(303), 다수의 페달센서(304), 헤드폰(305)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흑백키이(101a/101b)에는 각각 키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헤드폰(305)와 함께 또는 그 대신으로, 스피커 시스템이 전자음 발생시스템(300)에 합체될 수도 있다. 키이센서(302)의 전형적인 보기와 해머센서(303)의 전형적인 보기는 일본특허공보 No.59-24894에 개시되어 있다.
다수의 키이센서(302)는 다수의 흑백키이(101a/101b)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키이센서(302)는 관련 키이(101a/101b)의 저면에 고정된 서터판과, 상기 관련 셔터판의 각 경로를 따라 키이 프레임(102) 상에 마운딩되어 있는 광차단기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판은 관련 키이(101a/101b)와 함께 이동되며, 광차단기는 관련 셔터판의 운동을 모니터하므로 관련 키이(101a/101b)의 운동을 함께 모니터한다. 키이 센서(302)는 관련 키이(101a/101b)의 현재 키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키이위치신호를 제어유닛(301)에 공급한다.
해머센서(303)는 해머어셈블리(107)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셔터판 및 광차단기는 각각의 해머센서(303)를 형성한다. 광차단기는 악기줄(104) 상에 충격을 가하기 직전에 해머운동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며, 해머센서(303)는 관련 해머어셈블리(107)의 현 위치의 변동분을 각각 표시하는 해머위치신호를 제어유닛(301)에 공급한다. 악기줄(104) 상에 충격을 가하기 직전의 최종 해머 속도는 상기 충격의 강도에 비례하며, 제어유닛(301)은 전자음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해머센서(303)는 관련 키이센서(302)와 협동하며, 상기 제어유닛(301)으로 하여금 압건된 키이(101a/101b)에 해당하는 전자음의 음조 및 각 전자음의 크기를 결정하게 한다.
페달센서(304)는 연주자가 3개의 페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밟았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해 그랜드 피아노(100)의 3개의 페달을 모니터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 중에서의 하나를 밟았으면 관련 페달센서(304)는 페달의 운동을 검출하고, 제어 유닛(301)에 조종 페달의 위치를 보고한다.
제11도를 참고하면, 제어 유닛(301)은 감시수단(301a), 근원진동용 데이타 메모리(301b), 근원 진동용 데이타 처리수단(301c), 공진용 데이타 메모리(301d), 공진용 데이타 처리수단(301e), 사운드 스펙트럼용 데이타 처리수단(301f), 작동 메모리(301g), 플로피 디스크 제어수단(301h), 플로피 디스크 플레이어(301i), 오디오신호발생수단(301j), 이퀄라이저(301k), 증폭기(301m), 버스시스템(301n)으로 구성된다.
감시수단(207)은 모드제어신호(MODE)와, 키이 센서(202)로 부터 공급된 키이위치신호와, 상기 해머센서(303)로 부터 공급된 해머위치신호, 페달해머센서(304)로 부터 공급된 검출신호에 할당된 신호입력 포트를 스캐닝하며,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타 부품들(301b 내지 301h,301j)을 감시한다. 오디오신호 발생수단(301j)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로 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를 발생한다.
내부 표는 감시수단(301a)에 합체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표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최종 해머 속도 및 타이밍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오디오 신호(AD)는 이퀄라이저(301k)로 부터 증폭기유닛(301m)에 공급되며 상기 오디오 신호(AD)는 음악을 재생성하기 위해 소켓(301n)을 통해 헤드폰(3052)에 전달된다.
근원진동용 데이타 메모리(301b)는 악기줄(104) 상에서의 근원진동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표시하는 다수 세트의 pcm(펄스코드변조) 데이타 코드를 저장하며, 각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는 흑백키이(101a,101b) 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다수 그룹의 pcm 데이타 코드는 한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를 형성하며, 다른 강도 또는 최종해머속도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해머헤드(107d)가 관련 악기줄(104)을 강타하면 더 높은 도파가 강조된다.
다수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는 악기줄 세트(104)에서의 실제 진동을 적절한 샘플링 주파수에서 샘플링하는 샘플러(도시하지 않음)에서 생성된다. 상기 pcm 데이타 코드 세트는 데이타 처리수단(301f)에 의해서 실시간에 생성될 수도 있다.
pcm 데이타 코드 그룹을 사용할 때에, 키이(101a 또는 101b) 압건시 생성되는 근원진동은 저장되며, 감시수단(301a)은 데이타 메모리(301b)에 저장된 pcm 데이타 코드 그룹으로의 순차 액세스를 제어한다. 근원 진동을 데이타 처리수단(301c)은 데이타 메모리(301b)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최종해머속도에 대한 pcm 데이타 코드 그룹을 수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타 처리수단(301c)에서의 수정은 감시수단(301a)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파수 스펙트럼의 강도는 최종 해머 속도에 의해 좌우되지만 상기 강도는 음향피아노의 타입 및 모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공진용 데이타 메모리(301d)는 공진을 표시하는 다수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공진은 댐퍼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 하에서 발생된다. 연주자가 댐퍼 페달을 밟는 동안에 댐퍼 헤드(111e)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악기줄(104) 몇 개는 관련 해머헤드(107d)가 직접 타럭을 가한 악기줄(104)과 공명한다. 공명음은 해머헤드(107d)의 타력으로 인해 원래 발생된 음조에 대해서 -10dB 내지 -20dB 구간이며, 원래의 생성 음조와 공명음 사이에서는 수밀리세컨드 내지 수백 밀리세컨드의 시간 딜레이가 유도된다.
연주자가 댐퍼 페달을 지속적으로 밟고 있으면, 공명음은 수초간 지속된다. 반면, 연주자는 댐퍼 페달 상으로의 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원래음 및 공명음을 신속히 끝낼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 발생수단(301j)은 전자음의 신속한 종료를 위해서 페달센서(304)의 검출 신호에 응답한다.
데이타 메모리(301d) 내에 저장된 pcm 데이타 코드는 공진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표시하며, 공진을 위해 샘플러 또는 데이타 처리수단(301e)에 의해 생성된다.
공명음에 대한 다수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 각각은 압건된 키이(101a,101b) 중의 하나와 어드레싱 가능하며 최대로 6그룹의 pcm 데이타 코드로 구성된다. 각 그룹의 Pcm 데이타 코드는 공명 악기줄(104) 중의 하나에 대응하며, 저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악기줄(104)에 대해서는 제2조파 내지 제6조파가 고려된다. 그런데, 만일 압건된 키이(101a/101b)가 88개의 키이 배열 중에서 최하 키이로 부터 13번째 키이보다 더 낮으면, 압건된 키이 보다 한 옥타브 낮은 악기줄(104)이 고려되어야 한다.
pcm 데이타 코드 세트는 감시수단(301a)의 제어 하에서 압건된 키이(101a 또는 101b)에 의존하여 데이타 메모리(301d)로 부터 순차적으로 판독되며, 공진용 데이타 처리수단(301e)은 중간강도를 위해 pcm 데이타 코드를 수정한다. 데이타 메모리(301d)의 메모리 용량은 모든 검출 가능한 최종 해머 속도에서의 pcm 데이타 코드를 저장할 정도로 충분히 클 수도 있으며, 데이타 처리수단(301e)은 상기 데이타 메모리(301d)에 저장된 변수에 기초하여 각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를 계산할 수도 있다.
사운드 스펙트럼을 위한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근원진동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표시하는 pcm 데이타 코드 그룹 뿐만 아니라 공진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표시하는 한 세트의 pcm 데이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쇠퇴시키도록 작동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향 피아노의 키이를 눌렀다가 다시 해제시킨 때에는 관련 댐퍼 헤드가 악기줄과 접촉되기 때문에 악기줄 세트 상에서의 근원진동은 급격히 쇠퇴한다.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음향 피아노에서의 진동쇠퇴를 시뮬레이트하며 pcm 데이타 코드값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밟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공명음은 수초동안 지속된다. 한편, 연주자가 댐퍼 페달을 눌렀다가 해제시키면, 공명음은 신속히 쇠퇴한다. 또한,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상기 쇠퇴를 시뮬레이트하며 공진에 대한 pcm 데이타 코드값들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쇠퇴는 일정하지 않으며, 만일 연주자가 페달 절반 위치정도로 댐퍼페달을 해제시키면, 상기 음조는 본래의 해체 보다 저속으로 쇠퇴한다. 게다가, 몇몇 연주자는 고음역에 비해 저음역을 다소 지체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페달 전반을 이용하며, 상기 페달 조종은 완곡 접촉(oblique contact)로 일컬어 진다. 반면, 댐퍼 페달이 상기 댐퍼들이 모두 악기줄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하면 댐퍼 조종은 동시 접촉으로 참조된다.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상기 페달 절반을 가진 해제에 대해서 완곡 접촉 뿐만 아니라 온화한 쇠퇴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으며 pcm 데이타 코드값들은 상기 동시 접촉에서는 고속, 표준속도, 저속 중 하나에서 감소하며, 상기 완곡 접촉에서는 다른 속도에서 감소한다.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절반 페달에 대해 기본음조와 그 조파간의 비율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고차 조파를 상기 기본 음조 보다 더 빠르게 쇠퇴시킨다. 보통, 음향 피아노의 프레임은 진동하며, 상기 피아노 노이즈는 피아노음에 통합된다. 데이타 처리수단(301f)은 이들 제2노이즈를 고려하여 주파수 비율을 수정한다.
오디오 신호 발생수단(391j)은 디지탈 필터와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와 저역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타 메모리(301b,301d) 및/또는 데이타 처리수단(301c,301e,301f)으로 부터 공급된 pcm 데이타 모드로 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를 생성하며, 다음에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로 전환시킨다. 스피커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으면, 디지탈 필터링을 위해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진동 특성 및 스피커 박스의 진동 특성이 고려되며, pcm 데이타 코드는 생성된 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평평하게 되는 방식으로 수정된다. 디지탈 필터는 FIR 타입이지만 IIR 타입의 디지탈 필터도 유용하다. 오버샘플링 타입 디지탈 필터는 양자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디지탈 필터링을 따를 수도 있다.
디지탈 필터링 이후에,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를 생성하며,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는 저역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저역필터는 그 쇠퇴를 개선하기 위해 버터워쓰(Butterworth) 타입이다. 필터링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는 이퀄라이저(301k)를 통해 증폭 유닛(301m)으로 공급되며 증폭 유닛(301m)은 헤드폰(305)을 구동시키기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를 증폭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301i)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수단(301h)의 제어 하에서, MIDI 표준에 따라 포맷된 음악 데이타 코드를 플로피 디스크로 부터 판독하며, 감독수단(301a)은 오디오 신호 발생수단(301j)이 플로피 디스크로 부터 판독된 음악 데이타 코드들로 부터 음생 재생성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음악은 또다른 악기 음색 예를 들면 파이프 오르간, 하프시코드, 관악기 등의 음색으로 재생성될 수 있다.
감시수단(301a)은 MIDI 표준에 따라 키위치 신호, 해머 위치 신호, 검출신호로 부터 생성된 음악 정보 및 키코드 정보들을 포맷할 수도 있으며, 상기 MIDI 코드들은 플로피 디스크 제어수단(301h)의 제어 하에서 플로피 디스크 내에 저장된다.
만일, 키이보드악기가 연주를 녹음하고 재생성할 수 있으면, 키이보드 악기는 5개의 작동 모드 즉, 표준음향음 모드, 약음모드, 무성모드, 기록모드, 재생모드를 가진다.
이하, 3개의 작동 모드 상에서 기술한다.
여주자가 표준음향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때에 상기 연주자는 생크스토퍼(107b)를 자유위치(FP)에 유지시키며, 제2조절 버튼(106s)은 비동작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01,101b)를 선택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에 캡스턴 버튼(110)은 휘픈어셈블리(106b)를 상부쪽으로 밀며 제1반구부(106o)와 제1조절버튼(106r) 사이의 접촉은 상기 잭(106e)을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시킨다. 이탈 시, 잭(106e)은 회전하도록 해머롤러(107c)를 치며 해머헤드(107d)는 상기 악기줄 세트(104)를 리바운딩한다. 악기줄(104)은 음향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한다. 연주자가 댐퍼 또는 시프트 페달을 밟으면, 상기 음향음은 연장되거나 온화하게 된다. 다음에, 연주자는 그랜드 피아노(100)의 키이보드(101) 상에서 연주를 하게 된다.
이제, 연주자가 음향음의 크기를 감소하고자 하면 상기 연주자는 제2조절버튼(106s)을 동작 위치로 변경시키지만 생크 스토퍼(21)를 자유 위치(FP)로 유지시킨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01a,101b)를 선택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 캡스턴 버튼(110)은 휘픈어셈블리(106d)를 밀어 올리며 상기 휘픈어셈블리(106d)를 제1도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반구부(106p)는 제2조절버튼(106s)과 접촉하게 되며, 제2반구부(106p)와 제2조절버튼(106s)제간의 접촉은 잭(106e)으로 하여금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하게 한다. 이탈 시작점은 제1반구부(106o)와 제1조절버튼(106r) 사이의 접촉을 통한 이탈 시작점과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 감각을 똑같이 느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잭(106e)은 해머롤러(107c)로 부터 신속히 이탈하며, 표준 음향음 모드에서의 경우 보다 더 작은 구동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해머어셈블리(107)는 악기줄(104) 쪽으로 천천히 회전하며, 악기줄 세트(104)를 유연하게 친다. 악기줄(104)은 온화한 음향음을 발생하며, 댐퍼/시프트 페달은 표준음향음 모드에서와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연주자가 생크 스토퍼(210)를 차단 위치(BP)로 변경시키고 제2조절버튼(106s)를 동작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키이보드 악기는 무성모드로 진입한다. 해머생크가 생크 스토퍼와 접촉되기 이전에 잭이 해머롤러로 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쿠션 유닛(216)이 해머 생크(107b)의 경로 내에 진입하여도 해머 생크(107b)는 잭(106e)과 생크 스토퍼(210) 사이에 도달하지 않는다.
해머어셈블리(107)는 악기줄(104)쪽으로 회전하지만, 해머헤드(107d)가 악기줄(104)에 충격을 가하기 이전에 생크 스토퍼(210)를 리바운딩한다. 해머어셈블리(107)는 본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백 체크(114)에 의해 수용된다. 키이센서(302) 및 해머센서(303)는 키이운동 및 해머 운동을 제어유닛(301)에 보고하며, 제어 유닛(301)은 키이위치신호 및 해머위치신호로 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를 발생한다.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D)는 헤드폰(305)에 공급되며, 연주자는 음향음 없이 헤드폰(305)을 통해 연주를 청취할 수 있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da,101b)를 선택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 잭(106)은 약음모드와유사하게 제2반구부(106p)와 제2조절버튼(106s)간의 접촉을 통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한다. 이탈 시점이 표준음향을 모드의 경우와 같기는 하나, 잭(106)은 상기 표준 음향음 모드의 경우에서 보다 더 일찍 이탈을 완료한다.
상기한 기술로 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 악기는 연주자로 하여금 본래의(온화한) 음향 피아노음, 또는 전자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며 건반 감각은 어떤 모드에서도 변경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연주자는 그립(116,231)을 독립적으로 조종한다. 제1변형으로 로크기계장치가 그립(116,231)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로크기계장치는 그립(231)으로 하여금 철사(233d,177)들을 함께 잡아 당기게 하지만 또 다른 그립(116)은 철사(117) 하나만을 당기도록 한다.
제3변형은 루프 페달에 의해서 생크 스토퍼(210) 및/또는 제2조절버튼(106s)을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모터 유닛 또는 솔레노이드-작동 액튜에이터 유닛은 생크 스토퍼(210) 및/또는 제2조절버튼(106s)을 변경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표준 음향음 모드에서, 잭은 이탈되기 위해 제2조절버튼과 접촉될 수도 있으며 이탈 완료점에서의 악기줄과 해머헤드 사이의 거리는 더 넓게 된다.
키이보드 악기 내에 추가로 머플러(400)(제1도 참고)를 통합시킬 수도 있다. 머플러(400)는 표준 음향음 모드에서 헤머헤드(107d)의 경로 밖에 있으며 무성모드에서 악기줄(104)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머플러(400)는 악기줄이 진동되지 않도록 하며 음향음을 완전히 제거한다.
[실시예 2]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키이보드악기에 구성된 키이액션기계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단지 조절버튼기계장치(500)만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버튼기계자치(500)를 위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구성부분들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였고,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중복을 필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조절버튼기계장치(500)는 제1조절레일(113), 복수의 제1조절버튼(106r), 복수의 제2조절버튼(501), 휘픈레일(105)에 고정된 브래킷(502), 상기 브래킷(50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아아암부재(503), 상기 아아암부재(503)의 선단에 연결된 제2조절레일(504) 및 상기 제2조절버튼(501)과 제2조절레일(504)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조절스크류(505)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조절버튼(501)은 각각 잭(106)을 위해 구비되고, 제2반구부(106p)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제2조절스크류(505)는 제2조절레일(504)에 대해 회전가능하여, 제2반구부(106p)와 제2조절버튼(501) 사이의 갭이 적정치를 갖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제2조절버튼(501)은 수형 피아노의 그것과 유사하고, 튜너를 이용하여 이 제2반구부(106p)와 제2조절버튼(501)간의 갭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암부재(503)에는 적절한 구동메카니즘이 연결되어 있어 비동작위치(제13도 참조)와 동작위치(제12도 참조) 사이에서 제2조절보턴(501)을 변화시킨다. 제2실시예에 채용된 키이보드악기는 또한, 선택에 따라 표준음향사운드 모드 약음모드및 무성모드로 연주가 행해진다. 구동메카니즘(도시생략)은 약음모드 및 무성모드시 제2조절버튼(501)을 동작위치에 유지시키고 제2반구부(106p) 및 제2조절버튼(501)을 접촉시킴으로써 해머롤러(107c)로 부터 잭(106e)을 이탈시킨다. 반면에, 연주자가 표준음향사운드모드로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동안에는, 구동메카니즘은 제2조절버튼(501)을 비동작 위치에 유지시키고, 제1반구부(106o)를 제1조절버튼(106r)과 접촉시켜서 잭(106e)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모든 잇점을 향유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키이보드 악기에 구성된 키이액션 기계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 악기는 단지 조절버튼기계장치(550)만 제1실시예와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이에 따라, 조절버튼기계장치(550)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구성부분들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버튼기계장치(550)는 제1조절레일(113), 복수의 제1조절버튼(106r), 회전가능한 샤프트부재(551), 단부(106i)의 중간영역에 대향된 복수의 돌출부(552), 상기 돌출부(552)를 감싸는 복수의 쿠션시트(5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시트(553)는 펠트, 직물 또는 가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약음 및 무성모드시 단부(106i)는 상기 쿠션시트(553)에 접촉된다. 상기 쿠션시트(553)로 감싼 돌출부(552)는 제2반구부(106p)가 단부(106i) 상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매우 얇다. 이들 돌출부(552)와 쿠션시트(553)는 복수의 제2조절버튼을 형성한다. 제14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샤프트부재(551)에 적절한 구동메카니즘이 연결되어 있어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에서 제2조절버튼을 변화시킨다. 제3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 악기는 또한, 표준 음향사운드모드, 약음모드 및 무성모드로 선택적으로 연주가 행해진다. 구동메카니즘(도시생략)은 약음 및 무성모드시 제2조절버튼을 동작 위치에 유지시키고 중간영역 및 제2조절버튼을 접촉시켜서 해머롤러(107c)로 부터 재(106e)을 이탈시킨다.
반면에, 연주자가 표준 음향사운드모드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에는, 구동메카니즘(도시생략)은 제2조절버튼을 비동작위치에 유지시키고 제1반구부(106o_를 제1조절버튼(106r)이 접촉시켜서 잭(106e)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3실싱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모든 잇점을 향유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키이보드 악기에 구성된 키이액션기계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4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 악기는 단지 조절버튼메카니즘(600)만 제1실시예와 다를 뿐, 그 이외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조절버튼기계장치(600)를 위주로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의 구성부분들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버튼기계장치(600)은 잭(106e)에 각각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이동가능한 조절버튼(601), 이 이동가능한 조절버튼(601)을 지지하는 조절레일(602), 조절레일(60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샤프트(603) 및 조절스크류(6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 스크류는 상기 잭(106c)의 단부(106i)와 이동가능한 조절버튼(601) 사이의 갭을 변화시키는 데 이용된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구동메카니즘이 상기 샤프트 부재(603)에 연결되어 있어 약음/무성 위치(제15도 참조)와 음향위치(제16도 참조) 사이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조절버튼(601)을 변화시킨다.
제4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선택적으로 표준음향사운드 모드, 약음모드 및 무성모드로 연주가 행해진다. 구동메카니즘(도시생략)은 약음 및 무성 모드시에는 약음/무성 위치가 되도록 조절버튼(601)을 변화시키고, 제2반구부(106p)와 조절버튼(601)을 접촉시켜서 해머롤러(107e)로 부터 잭(106e)을 이탈시킨다. 반면에, 연주자가 표준음향사운드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에는, 구동메카니즘은 음향위치가 되도록 조절버튼(601)을 변화시키고, 제1반구부(106o)를 조절버튼(601)에 접촉시켜서 잭(106e)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조절버튼메카니즘(600)은 제1실시예에의 조절버튼메카니즘 보다 단순하며, 제4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모든 잇점을 향유할 수 있다.
[실시예 5]
제17도는 본 발명의 키이보드가기에 구성된 잭(650)과 조절메카니즘(651)을 도시한 것이다. 제5실시예에서 예시도니 키이보드악기는 단지 잭(650)과 조절버튼메카니즘(651)만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부분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잭(650)은 긴 부분(650a) 및 짧은 부분(650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버튼메카니즘(651)은 잭(650)의 짧은 부분(650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버튼메카니즘(650)의 짧은 부분(650b)에 각각 대향된 회전가능한 샤프트(651a) 및 복수개의 돌출부(650b)로 구성되어 있다.
키이가 체류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긴 부분(650a)은 해머롤러(도시생략)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짧은 부분(650b)에는 조절버튼메카니즘(651)이 회전하는 동안 돌출부(651b)의 선단부의 헤드 부분이 동일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7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메카니즘이 회전가능한 샤프트(651a)에 연결되어 있어, 곡면(650c)과 그에 관련된 돌출부(651b)간에 접촉되는 위치를 변호시킨다.
키이가 연주자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진 상태로 있는 동안에는 단부(651b)가 돌출부(651b)쪽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이 돌출부(651b)는 그 각도 위치에 상관없이 곡면(650c)에 접촉된다. 해머속도는 짧은 부분(650b)과 돌출부(651b)간의 접촉점에 따라 가변되며, 음향 톤의 음색 및 크기는 연주자가 인위적으로 변화시킨다.
[실시예 6]
제18도는 본 발명의 키이보드악기에 구성된 키이액션기계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6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조절버튼메카니즘(700)만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부분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구성부분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명기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버튼메카니즘(700)은 제1조절레일(113), 복수의 제1조절버튼(106r), 생크레일(109)에 대해 습동 가능한 플레이트(701), 상기 습동 가능한 플레이트(701)에 연결된 제2조절레일(702), 상기 제2조절레일(70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아암부재(7023, 상기 아암부재(703)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2조절버튼(7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조절버튼(106r) 및 제2조절버튼(704)은 각각 제1반구부(106o) 및 그 제2반구부(106p)에 대향되어 있으며, 제1조절버튼(106r) 및 제2조절버튼(704) 중 어느 하나는 그에 대응하는 반구부에 접촉되어서 잭(106e)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18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구동메카니즘이 상기 습동 가능한 플레이트(701)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에서 제2조절버튼(704)을 변화시킨다. 제6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선택에 따라 표준음향사운드모드,약음모드 및 무성모드로 연주가 행해진다. 구동메카니즘(도시생략)은 약음모드 및 무성모드 시에는 제2조절버튼(704)을 동작위치에 유지시키고, 제2반구부(106p) 및 제2조절버튼(704)을 접촉시켜서 잭(106e)을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시킨다.
반면에, 연주자가 표준음향사운드모드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에는, 구동메카니즘은 제2조절버튼을 비동작위치에 유지시키고, 제1반구부(106o)를 제1조절버튼(106r)에 접촉시켜서 잭(106e)이 해머롤러(107c)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6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제1실시예에서 기술된 모든 잇점을 향유할 수 있다.
[실시예 7]
제19도에 의거하면, 제7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크게 나누어서 음향피아노(800), 무성메카니즘(830), 전자음발생시스템(도시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7실시예에 적용되는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전자음발생시스템과 유사하므로 여기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음향피아노(800)는 표준 수형 피아노로써 그에 관한 구성부분들 중 그랜드피아노(100)에 대응하는 구성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를 명기하였다. 키(101a)가 체류위치에 있는 동아에는 해머어셈블리(107)는 해머레일(801) 상에 채류하게 되며, 잭(106e)의 장부(106h)는 해머어셈블리(107)의 해머비트(80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키가 체류위치에서 단부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캡스턴버튼(110)이 상방으로 휘픈어셈블리(106b)를 밀어서 이 해머어셈블리(106b)를 휘픈피아노(106a) 둘레에서 회전시킨다. 단부(106i)는 조절버튼기계장치(850)에 접촉되어 잭(106e)이 해머버트(802)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조절버튼기계장치(850)는 중심레벨(803)에 의해 지지된 브래킷(851), 조절레일(852), 상기 브래킷(85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부재(853), 조절레일(852)에 나합된 복수의 조절스크류(854), 조절스크류(854)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이동가능한 조절버튼(8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9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구동메카니즘이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부재(853) 둘레에서 조절레일(852), 조절스크류(854) 및 이동가능한 조절버튼(855)을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 가능한 조절버튼(855)은 표준 음향사운드모드시에는 제1반구부(106o)에 , 약음 및 무성모드 시에는 제2반구부(106p)에 대향된다. 이동 가능한 조절버튼(855)의 기능은 제4실시예의 조절버튼과 유사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무성메카니즘(830)은 자유위치(FP) 및 차단 위치(BP) 사이에서 변화되는 생크스토퍼(831),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환메카니즘(도시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성메카니즘(830)의 역할은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버튼기계장치(850)은 제1실시예의 조절버튼기계장치에 비해 단순하며, 제7실시예에 예시된 키이보드악기는 제1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잇점을 누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키이보드악기는 연주가 대신에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자동연주시스템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의 음향피아노는 그랜드 및 수형피아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크스토퍼는 키이보드(101)의 종 혹은 측방향으로의 습동에 따라 자유위치 및 차단위치 사이에서 변화가능하다. 이와 같이 생크 스토퍼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해머생크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쿠션을 보드 상에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구동메카니즘은 대향위치에서 해머생크로 쿠션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해 반피치씩 보드를 이동시킨다.

Claims (9)

  1. 음계의 음조들이 각각 할당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키이(101a/101b)와,
    상기 음조들을 가지는 음향음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키이(101a,101b)와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악기줄 수단(104)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키이(101a/101b)를 선택적으로 압건한 때에 상기 결합된 악기줄 수단을 치는 작용을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악기줄 수단(104)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해머어셈블리(107)와,
    상기 연주자에 의해 이동되는 관련키이(101a,101b)에 의해 회전되는 휘픈어셈블리(106b), 조절버튼기계장치(106g; 500; 550; 600; 650; 700; 850)와, 상기 결합된 해머어셈블리로 부터 이탈하기 위해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106 해머; 500, 550; 600; 650; 700; 850)과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휘픈어셈블리(106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중간 위치에서 긴부분(106b)과 합체되어 있는 짧은 부분(106i) 및 상기 긴 부분(106h)을 가지는 잭(106e)을 각각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키이(101a/101b)와 상기 다수의 해머어셈블리(107) 사이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키이액션기게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짧은 부분과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 사이에는 접촉점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변경수단(106s/106v/116/117/118/119; 501/502/503/504/505; 551/552/553; 602/603/604; 651a; 701/702/703/704; 851/852/853)이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보튼기계장치(106g; 500; 550; 700)는 상기 잭(106e)의 상기 짧은 부분(106i)의 제1영역(106o)과 각각 결합가능한 다수의 제1조절버튼(106r)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제1영역(106o)으로 부터 상기 중간 위치까지 거리가 다른 상기 짧은 부분(106i)의 제2영역(106p)와 각각 결합 가능한 다수의 제2조절버튼(106s; 501; 552/553; 704)과, 비동작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조절버튼을 변경하도록 작동하는 구동 부-수단(106v/116/117/118/119; 502/503/551; 701/702/703)을 포함하며,
    상기 비동작 위치에서의 상기 제2조절버튼은 상기 제1조절버튼이 상기 잭의 상기 짧은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때에 상기 잭의 짧은 부분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관련 키이가 상기 다수의 제2조절버튼의 상기 비동작 위치동안에 휴지위치와 종단위치 사이의 경로 상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각각의 상기 다수의 제1조절버튼(106r)은 상기 제1영역(106o)과 접촉되며,
    상기 관련 키이가 상기 다수의 제2조절버튼의 상기 동작 위치 동안에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각각의 상기 다수의 제2조절버튼(106s; 501; 552/553; 704)은 상기 제2영역(106p)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조절버튼은 쿠션부재(553)로 덮혀 있는 회전가능한 돌출부(552)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쿠션부재로 커버된 상기 돌출부를 각 운동을 통해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버튼기계장치(600; 650; 850)는 다수의 잭(106e; 650; 106e)와 각각 결합된 다수의 이동가능 조절버튼(601; 651b; 855)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짧은 부분과의 상기 접촉점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이동가능조절버튼을 회전축둘레에서 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동가능 조절버튼(651b)은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회전축(651a) 둘레를 회전하고,
    상기 각각의 잭의 상기 짧은 부분(650b)은 각각의 상기 다수의 이동가능 조절버튼의 도입단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접촉면(65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이와 상기 다수의 악기줄 수단과 상기 다수의 해머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키이액션기계장치는 그랜드 피아노와 수형 피아노 중의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키이보드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자유위치(FP)와 차단위치(BP) 사이에서 변경되는 무성기계장치(200; 8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자유위치에서의 상기 무성기계장치는 상기 다수의 해머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악기줄 수단을 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차단위치에서의 상기 무성기계장치는 상기 다수의 해머어셈블리로 하여금 관련된 악기줄 수단에 충격을 가하지 않고 각각의 본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성기계장치가 상기 차단위치에 있을 때에 전자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자음발생시스템(3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악기.
KR1019950007687A 1994-03-31 1995-03-31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KR0136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73726 1994-03-31
JP8372694 1994-03-31
JP14413994A JP3430638B2 (ja) 1994-03-31 1994-06-03 鍵盤楽器
JP94-144139 1994-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946B1 true KR0136946B1 (ko) 1998-06-01

Family

ID=2642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687A KR0136946B1 (ko) 1994-03-31 1995-03-31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57052A (ko)
EP (1) EP0675480B1 (ko)
JP (1) JP3430638B2 (ko)
KR (1) KR0136946B1 (ko)
DE (1) DE69517237T2 (ko)
TW (1) TW280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150A (ja) * 1994-06-13 1995-12-22 Yamaha Corp 鍵盤楽器
US6888052B2 (en) 1998-09-04 2005-05-03 David Meisel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6781046B2 (en) * 1998-09-04 2004-08-24 David Meisel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6194643B1 (en) * 1998-09-04 2001-02-27 David Meisel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US20060272469A1 (en) * 1998-09-04 2006-12-07 David Meisel Key actuation systems for keyboard instruments
DE10016122B4 (de) * 1999-04-02 2006-01-19 Yamaha Corp., Hamamatsu Tastenmusikinstrument, das zwischen einer Akustikklangbetriebsart und einer stummen Betriebsart wechseln kann, sowie darin umfaßtes Stummschaltungssystem
US6545205B2 (en) * 1999-04-08 2003-04-08 Yasuhiro Chon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671814B2 (ja) * 2000-05-19 2005-07-1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ジャック脱進調整装置、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4576707B2 (ja) * 2000-12-04 2010-11-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弱音装置
JP4923328B2 (ja) * 2001-03-01 2012-04-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US7439426B2 (en) * 2005-02-15 2008-10-21 David Meisel Actuation system for keyboard pedal lyre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229359B2 (ja) * 2011-07-19 2013-07-03 ヤマハ株式会社 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CN106373543B (zh) * 2015-07-23 2019-11-12 雅马哈株式会社 支撑组件和键盘设备
US9672797B2 (en) * 2015-07-23 2017-06-06 Yamaha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and keyboard apparatus
DE102022112615A1 (de) 2022-05-19 2023-11-23 Wilhelm Schimmel, Pianoforte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ummschaltung eines Tasteninstrumentes mit mechanischen 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7885C (ko) *
DE44782C (de) * J. P. DEVIGNEE, Professor der Musik in Verviers, Belgien; [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Stärke des Hammeranschlages bei Pianino's
DE68406C (de) * O. THEIN in Bremen, Meinkenstrafse 50 Verbindung eines Pianinos mit einem Harmonium
DE356086C (de) * 1921-03-10 1922-07-12 Hermann Altenberger Vorrichtung fuer Klaviere zur Milderung des Hammeranschlages
US2250065A (en) * 1940-12-07 1941-07-22 James A Kochl Musical instrument
JPS5167732A (ja) * 1974-12-05 1976-06-11 Dainippon Jochugiku Kk Kukaneazoorusatsuchuzai
CH614303A5 (en) * 1977-02-18 1979-11-15 Martin Von Allmen Electronic tone-generating device for installation into a piano, and piano having the tone-generating device
JPS5555880A (en) * 1978-10-18 1980-04-24 Canon Inc Thermal printer
DE3516585A1 (de) * 1984-05-15 1985-11-28 Nippon Gakki Seizo K.K., Hamamatsu, Shizuoka Daempfungsmechanismus fuer ein klavier
JPS61289393A (ja) * 1985-06-17 1986-12-19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S6232308A (ja) * 1985-08-03 1987-02-12 Fuji Photo Film Co Ltd 位置検出装置
EP0239917A3 (en) * 1986-03-29 1989-03-29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sound player system having acoustic and electronic sound sources
JPS6397997A (ja) * 1986-10-15 1988-04-28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弱音装置
US5115705A (en) * 1989-02-16 1992-05-26 Charles Monte Modular electronic keyboard with improved signal generation
JPH02119693U (ko) * 1989-03-13 1990-09-26
JP2995492B2 (ja) * 1990-11-08 1999-12-27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5247129A (en) * 1991-06-10 1993-09-21 Yamaha Corporation Stringless piano-touch electric sound producer for directly driving a sound board on the basis of key actions
US5374775A (en) * 1992-06-09 1994-12-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JPH0659667A (ja) * 1992-06-09 1994-03-04 Yamaha Corp 鍵盤楽器
JP2988134B2 (ja) * 1992-07-21 1999-12-0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5480B1 (en) 2000-05-31
DE69517237D1 (de) 2000-07-06
US5557052A (en) 1996-09-17
JPH07319452A (ja) 1995-12-08
DE69517237T2 (de) 2001-01-25
JP3430638B2 (ja) 2003-07-28
EP0675480A2 (en) 1995-10-04
TW280902B (ko) 1996-07-11
EP0675480A3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946B1 (ko)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JPH0659667A (ja) 鍵盤楽器
JP3567527B2 (ja) 鍵盤楽器
US556563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driving unit for hammer stopper located in wide space in front of hammer assemblies
EP0665528B1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coustic sound mode and silent mode
KR0185258B1 (ko)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와 사일런트 모드 사이에서 이탈속도가 가변적인 잭을 가지는 건반악기
JP3336742B2 (ja) 鍵盤楽器
JP3603375B2 (ja) 鍵盤楽器
KR970006173B1 (ko)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US5434349A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mode and a silent mode through a sliding motion of a stopper
US5608175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regulable regulating buttons linked with hammer stopper
US5444181A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sound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mode through a rotation of a stopper with a cushion sheet against damper wires
JP3569660B2 (ja) 鍵盤楽器用音源
JP3832500B2 (ja) 鍵盤楽器
JP3279307B2 (ja) 鍵盤楽器
JP3493743B2 (ja) 鍵盤楽器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KR0155174B1 (ko)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없이 기계적음과 합성음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위한 건반악기
JP2004094277A (ja) 鍵盤楽器
JP3591044B2 (ja) 鍵盤楽器
JP3598571B2 (ja) 鍵盤楽器
JPH07234669A (ja) 鍵盤楽器
JP3412235B2 (ja) 鍵盤楽器
JPH07104736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