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73B1 -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73B1
KR970006173B1 KR1019930026162A KR930026162A KR970006173B1 KR 970006173 B1 KR970006173 B1 KR 970006173B1 KR 1019930026162 A KR1019930026162 A KR 1019930026162A KR 930026162 A KR930026162 A KR 930026162A KR 970006173 B1 KR970006173 B1 KR 97000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er
player
gun
peda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592A (ko
Inventor
키요시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우에시마 세이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5793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9667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우에시마 세이스케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10C5/10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keyboard, e.g. switching a piano mechanism or an electrophonic instrument to a keyboard; 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silent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7Electric key switch struct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건반악기에 이용된 캐쳐스토퍼에 관련된 건작용기구의 확대 측면도.
제3도는 음처리유니트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4a도는 제4b도는 음처리유니트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캐쳐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캐쳐스토퍼에 수반되는 건작용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건반악기에 이용된 가동브라켓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스토퍼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되는 건작용기구와 관련된 캐쳐스토퍼의 측면도.
제9도는 캐쳐스토퍼의 구동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0도는 구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코스틱 피아노 2 : 제어시스템
3 : 전자음 발생시스템 1a : 건반
1b : 건작용기구 1c : 해머기구
1d : 현 1e : 페달기구
1f : 건반 1g : 건
1h : 균형레일 1i : 캡스탄버튼
1j : 휘픈 1k : 재크
1m : 버트 1n : 해머생크
1o : 해머헤드 1p : 조정버튼
1q : 현 1r : 캐쳐
1s : 캐쳐스킨 1t : 백체크블록
1u : 백체크펠트 1v : 댐퍼기구
2a : 모드이동스위치 2b : 드라이버유니트
2c : 캐쳐스토퍼기구 2d : 가동브라켓부재
2e : 솔레노이드작동작용기 2f : 스토퍼
2g : 볼트부재 2h : 가죽패드
2i : 관통공 2j : 조정공구
3a : 음처리유니트 3b : 건센서
3c : 페달센서 3d : 증폭시스템
3e : 스피커시스템 3f : 스피커박스
3g : 소켓유니트 3h : 헤드폰
3i : 셔터플레이트 3j : 광차단기
3k : 슈퍼바이저 3m : 원진동용 데이타 메모리
3n : 원진동용 데이타 프로세서 3o : 공진용 데이타메모리
3p : 공진용 데이타프로세서 3q : 음스펙트럼용데이타프로세서
3r : 워킹메모리 3s : 플로피디스크컨트롤러
3t : 플로피디스크드라이버 3u : 오디오신호발생기
3v : 이퀄라이저 3w : 버스시스템
20 : 캐쳐스토퍼 20a : 가동브라켓부재
20b : 나사 20c : 솔레노이드 작동작용기
21 : 캐쳐 30a : 가동브라켓부재
30b : 돌출부재 30c : 나사
30d : 쿠션부재 31 : 건작용기구
40 : 해머센서 40a : 광차단기
40b : 셔터플레이트 40c : 작용브라켓
40d : 레일부재 41 : 캐쳐스토퍼
42 : 구동기구 42a : 페달
42b : 링크기구 42c : 아암부재
42d : 로드부재 42e : 저널유니트
42f : 복귀스프링 42g : 펠트부재
43 : 하측 전방보드
본 발명은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음 모드와 정적모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는 연주자에게 독특한 터치감촉을 부여하지만 전자 건반 신디사이저는 피아노의 독특한 건터치감촉을 정확히 모방할 수 없어 피아노와 전자 신시사이저사이의 절충물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런 절충물 또는 피아노형 악기는 건반과 해머조립체 사이에 결합된 건작용기와 톤발생시스템을 가지며, 톤 발생시스템에 의해 음이 합성된다. 그러나, 건작용기구는 현을 타격하기 위해 해머조립체를 구동하며 연주자에게 독특한 건터치감촉을 부여한다.
그러나, 해머가 현을 타격할때 현이 진동하여 자연음을 발생시킨다. 이 자연음은 합성음과 혼합되어 청중들은 혼합된 음을 이상히게 느끼게 된다.
피아노형 건반악기중의 하나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 1-30155(공고)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자연음의 시끄러움을 어떻게 감소시키는가를 보여준다. 상기 특허출원에 의하면 피아노에 본래 이용된 댐퍼가 현과 접촉하여 댐퍼기구가 타격된 현상에서의진동을 제한한다.
그랜드 피아노에 이용된 다른 뮤팅기구는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공개) 제51-67732호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 뮤팅기구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해당현을 동시에 타격하여 그 충격이 탄성부재와 현사이에 분할된다. 그 결과 현이 약하게 진동하여 음이 약해진다.
종래의 피아노형 건반악기는 자연음과 시끄러움을 줄일 수 있지만 전자적으로 합성된 음으로 부터 자연음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만일 탄성부재를 해머의 본래 상태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다면, 해머는 탄성부재만을 타격하며 자연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래위치에 근접한 탄성부재는 재크가 버트로 부터 탈출할 수 없게하며, 건작용기구는 연주자에게 독특한 건터치 감촉을 부여할 수 없다.
만일 해머를 제거한다면 현이 결코 진동하지 않으며, 자연음은 합성음과 한합되지 않는다. 그러나, 건은 연주자의 손가락에 대향하여 적당한 저항을 주기에는 너무 가벼우며 해머없는 건작용기구는 독특한 건터치 감촉을 모방할 수 없다.
따라서, 자연음과 건터치 감촉사이의 절충안이 필요하며 모든 종래 건반악기는 연주자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자연음 발생없이 연주자에게 독특한 건터치 감촉을 부여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당 해머가 현을 타격하기전에 캐쳐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a-1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져 고정보드부재에대하여 선회하는 다수의 건을 갖는 건반과, a-2)상기 다수의 건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연주자가 누를때 다수의 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연주자가 해당 건을 놓을때 캐쳐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휘픈과 버트로 부터 돌출하는 캐쳐와 상기 휘픈으로 부터 돌출하는 백체크를 갖는 다수의 건작용기구와, a-3)상기 건작용기구와 각기 관련되어 해머헤드와 상기 해머헤드를 지지하는 상기 버트를 가지며,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건을 누를때 상기 다수의 건작용기구를 회전구동시키는 다수의 해머기구와, a-4)상기 다수의 해머기구와 관련되어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건을 선택적으로 누를때 상기 해머헤드에 의해 타격되는 다수의 현을 구비하는 어코스틱피아노와, b)상기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에 의해 건이 눌려 졌는가를 알기 위해 상기 다수의 건을 감시하며 연주자에 의해 눌려진 건에 해당하는 음을 전자적으로 발생하도록 작용하는 전자음 발생수단과, c)상기 캐쳐와 관련되 가동스토퍼수단과, 상기 기계음발생모드에서의 자유상태와 상기 저자음 발생모드에서의 차단상태사이에서 상기가동 스토퍼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연주자의 명령에 응답하는 드라이버유니트를 갖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캐쳐는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이 상기 자유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의 간섭없이 해당 버트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캐쳐는 해당 해머헤드가 상기 다수의 현을 타격하기전에 상기 차단상태에서 상기 가동 스토퍼수단과 접촉하도록된,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건반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특징과 잇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중의 제1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건반악기는 주로 어코스틱 피아노(1)과 제어시스템(2)와 전자음 발생시스템(3)으로 구성되며,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로 선택적으로 들어간다. 이후의 설명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이라는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결정된 것이다.
기계음 발생모드에 있는 동안 건반악기는 어코스틱 직립피아노 역할을 하며, 음뿐만아니라 건의 터치도 어코스틱 직립피아노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건반악기는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건의 조작에 따라서 음을 전자적으로 합성하며 자연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어코스틱피아노(1)은 건반(1a)와 다수의 건작용기구(1b)와 다수의 해머기구(1c)와 다수셋트의 현(1d)와 페달기구(1e)로 구성된다. 건반(1a)는 건반(1f)에 장착되며 흑백건 및 백색건(1g)로 조립된다. 이 경우 건반(1f)는 고정 보드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흑색 및 백색건(1g)는 건작용기구(1b)중의 하나와, 해머기구(1c)중의 하나와, 한 셋트의 현(1d)와 연결되며 각각의 건(1g)에는 음색이 지정된다. 건(1g)로부터 해머기구(1c)로의 모든 작용라인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작용선에 대해서 설명하며, 작용라인의 건과 건작용 기구와 해머기구와 현셋트에는 각기 부호(1g),(1b)(1c) 및 (1d)가 붙여진다.
건(1g)는 균형레일(1h)에 끼워진 균형핀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으며 해당 건작용기구(1b)는 각기 건(1g)의 후방단부와 연결된다. 건작용기구(1b)는 해당 건(1g)가 눌러질때 해당기구(1c)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제2도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듯이 건작용기구(1b)는 해당 건(1g)의 후방단부로 부터 돌출하는 캐스탄 버튼(1i)와 캡스탄 버튼(1i)와 접촉지지 되는 휘픈(1j)와 휘픈(1j)에 제공된 재크(1k)로 구성되며, 재크(1k)는 해당 해머기구(1c)로 하여금 해당 현셋트(1d)를 타격하게 한다.
해머기구(1c)는 재크(1k)에 의해 가압되는 버트(1m)과 버트(1m)에 끼워진 해머생크(1n)과 해머생크(1n)의 선단부와 결합된 해머헤드(1o)로 구성된다. 연주자가 키(1g)를 유지상태로 부터 제1중간 상태까지 누르는 동안 재크(1k)는 서서히 버트(1m)을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구동시키며 해머헤드(1o)도 역시 현셋트(1d)쪽으로 이동한다. 건(1g)가 중간상태에 도달할때 재크(1k)는 조절버튼(1p)와 접촉하며 휘픈(1j)와 회전은 스프링(1q)의 탄성으로 전환된다. 건이 제2중간상태로 진행할때(1k)는 버트(1m)을 가압하고, 버트(1m)과 해머헤드(1o)는 현셋트 (1d)쪽으로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며, 해머헤드(1o)이 현셋트(1d)를 타격하여 현(1d)가 진동하여 자연음을 발생한다. 현셋트(1d)의 타격시에 해머헤드(1o)는 현셋트(1d)에서 반동하며, 버트(1m)과 해머헤드(1o)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래 상태로 복귀한다.
건작용기구(1b)는 또한 버트(1m)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캐쳐(1r)과, 캐쳐(1r)에 부착된 캐쳐스킨(1s)오, 휘픈(1j)로 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백체크 블록(1t)와, 백체크블록(1r)에 부착된 백체크펠트(1u)로 구성된다. 버트(1m)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캐쳐(1r)도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셋트(1d)에서의반동후에 캐쳐(1r)은 버트(1m)과 함께 본래 상태로 복귀한다. 끝상태에서 해제된 건(1g)는 휘픈(1j)과 백체크블록(1t)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백체크펠트(1u)는 서서히 캐쳐(1r)을 감속시킨다.
따라서, 건작용기구(1b), 해머기구(1c), 페달기구(1e) 및 댐퍼기구(1r)는 직립피아노와 유사하며, 이 직립피아노는 어코스틱 피아노(1)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제1도에서 페달기구(1e)는 보통 3개의 페달과 연결된 3개의 페달링크를 갖는다. 페달중의 하나는 댐퍼페달이라 불리어지며 현(1d)가 음을 지속시키도록한다. 제2페달은 소프트페달이라 부르며 볼륨을 줄이기 위해 해머헤드(1o)가 현의 통상갯수 보다 적게 타격하게 한다. 마지막 페달은 소스테뉴토(sostenuto)페달이라 부르며 선택된 음색을 다른 것과 관계없이 유지하게 한다.
건반악기는 또한 댐퍼기구(1v)로 구성된다. 그러나, 댐퍼기구와 페달기구(1e)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제어시스템(2)는 음처리 유니트(1a)와, 모드이동스위치(2a)와, 드라이버 유니트(2b)와, 캐쳐스토퍼기구(2c)로 구성된다. 모드이동 스위치(2a)는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며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발생모드중의 하나를 지시하는 명령신호 MODE를 발생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쳐스토퍼기구(2c)는 모든 건작용기구(1b)사이에 공유된 목재의 가동브라켓부재(2d)와, 가동브라켓부재(2d)를 화살표(X)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해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는 구동신호에 응답하는 솔레노이드 작동 작용기 유니트(2e)와, 다수의 건작용 기구(1b)의 캐쳐(1r)과 각기 연결된 다수의 스토퍼(2f)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작동 작용기 유니트(2e)가 가동브라켓부재(2d)를 좌측으로 이동시킬때 스토퍼(2f)는 자유상태가 되며, 캐쳐(1r)은 스토퍼(2f)의 간섭없이 버트(1m)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작동 작용기유니트(2e)가 가동 브라켓 부재(2d)를 우측으로 이동시킬때 스토퍼(2f)는 차단상태가 되며, 해머헤드(1o)이 해당 현셋트(1d)를 타격하기 전에 캐쳐(1r)은 스토퍼(1f)와 접촉한다.
각각의 스토퍼(2f)는 그랜드피아노의 캡스탄 스크류와 유사하며, 해당 캐쳐(1r)위의 각각의 위치에서 가동 브라켓부재(2d)에 나사결합된 볼트부재(2g)와 볼트부재(2g)의 하부면에 부착된 가죽패드(2h)를 갖는다. 가죽패드(2h)는 캐쳐(1r)의 상부면과 직면하며, 캐쳐(1r)의 상부면은 차단 상태에서 스토퍼(2f)의 가죽패드(2h)와 접촉한다. 가죽패드(h)는 펠트패드 또는 헝겊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볼(2g)에는 각기 관통공(2i)가 형성되며, 조절공구(2j)가 관통공(2i)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건반악기가 휴지상태에 있는 동안 튜너는 스토퍼(2f)를 공구(2j)로 돌림에 의해 각 스토퍼(2f)의 돌출부를 조절한다. 이 경우 스토퍼(2h)와 캐쳐(1r)사이의 거리는 해당 재크(1k)의 탈피시와 현(1d)에서의 타격시 사이의 적절한 타이밍에 캐쳐(1r)이 스토퍼(2f)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재크(1k)의 끝과 조절버트(1p)사이의 거리는 저음률의 톤에 대하여 약 3mm, 중음률의 톤에 대하여 2.5mm, 고음률의 톤에 대하여 2mm로 조정되며 캐쳐(1r)과 가죽패드(2h)사이의 거리는 상기 조절된 값보다 작지 않다. 스토퍼(2f)를 이렇게 조절하면 버트(1m)은 해당 재크(1k)로 부터 탈출할 수 있지만 해머헤드(1o)은 해당 현셋트(1d)를 타격하지 못하게 된다. 다시말해 건작용기구(1b)는 자연음없이 연주자에게 독특한 건터치감촉을 부여한다.
제1도에서 전자음 발생시스템(3)은 음처리 유니트(3a)와, 건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건센서 셋트(3c)와, 증폭시스템(3d)와, 스피커박스(3f)내에 수용된 스피커시스템(3e)와, 소켓유니트(3g)와, 소켓유니트(3g)로 부터 분리할 수 있는 헤드폰(3h)로 구성된다.
음처리유니트(3a)는 연주자가 작동모드를 바꾸는지를 알기 위해 명령신호 MODE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기계음 발생모드에 있는 동안 음처리유니트(3a)는 드라이버 유니트(2b)에게 스토퍼(2f)가 자유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명령신호 MODE가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면, 음처리유니트(3a)는 드라이버 유니트(2b)에게 스토퍼(2c)가 자유상태로 부터 차단상태(BP)로 변하도록 지시한다.
다수의 건센서(3b)는 각기 다수의 건(1g)와 연결되며, 각각의 건센서(3b)는 해당건의 바닥면에 고정된 셔터 플레이트(3i)와 셔트플레이트(3i)를 조정하는 광차단기(3j)로 구성된다. 셔트플레이트(3i)에는 4개의 다른 패턴이 형성되며 4개의 패턴은 해당 건이 눌러질때 광차단기(3j)에 의해 생기는 광경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4개의 패턴사이의 시간간격은 광차단기(3j)로 부터 음처리 유니트(3a)로 보고되며, 음처리유니트(3a)는 해당 해머헤드(1o)이 현(1d)를 타격할때 건의 속도를 결정하고 시간을 평가한다.
페달센서(3c)는 연주자가 3개의 페달중의 어느 페달을 밟는지를 알기 위하여 3개의 페달을 감시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중의 하나를 밟는다면 페달센서(3c)는 페달의 동작을 검출하여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을 음처리유니트(3a)에 보고한다.
도면중의 제3도에서 음처리 유니트(3a)는 슈퍼바이저(3k)와, 원진동용 데이타 메모리(3m)과, 원진동용 데이타 프로센서(3m)과, 공진용 데이타 메모리(3o)과, 공진용 데이타프로세서(3p)와, 음스펙트럼용 데이타 프로세서(3q)와, 워킹메모리(3r)과,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3s)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3t)와, 오디오 신호발생기(3u)와 이퀄라이저(3v)와, 버스시스템(3w)로 구성된다.
슈퍼바이저(3k)는 명령신호 MODE, 건센서(2b)로 부터의 검출신호 및 페달센서(2c)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신호입력포트를 연속적으로 주사하며, 오디오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다른 구성요소(3m)-(3u)를 관리한다.
슈퍼바이저(3k)에는 내부테이블이 이용되며, 내부테이블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건 갯수, 건의 속도 및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한정한다. 오디오신호는 이퀄라이저(3v)로 부터 증폭유니트(3d)에 공급되며, 이 오디오신호는 합성된 음을 발생하기 위해 스피커시스템(3e)와 소켓유니트(3g)에 분배된다.
슈퍼바이저(3k)에는 여러가지 내부 레지스터가 이용되며 내부레지스터 중의 하나는 연주자에 의해 선택된 작동모드를 지시하는 모드플래그에 지정된다.
원진동용 데이타메모리(3m)은 현(1d)상의 원진동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다수 셋트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타 코드를 저장하며 각 세트의 pcm데이타 코드는 건(1g)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다수그룹의 pcm데이타코드는 한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를 형성하며 서로 다른 강도 또는 해머 속도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해머(1o)가 해당현(1d)를 강하게 타격한다면 고조파가 강조된다. 다수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는 적절한 주파수에서 각 현(1d)상의 실제 진동을 샘플링함에 의해 샘플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pcm데이타 코드셋트는 실시한 방식을 통한 데이타 프로세서(3q)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를 사용하면 건(1g)를 누를때 발생하는 진동이 복원되며 슈퍼바이저(3k)는 데이타 메모리(3m)에 저장된 한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에로의 시퀀셜어세스를 제어한다.
원진동용 데이타 프로세서(3n)은 데이타 메모리(3m)과 관련하여 제공되며 중간 해머속도에 대하여 한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를 수정한다. 데이타 프로세서(3n)에 의한 수정은 역시 슈퍼바이저(3k)에 의해 제어된다.
공진용 데이타메모리(3o)는 공진을 지시하는 다수 셋트의 pcm데이타코드를 저장하며 댐퍼페달을 밟을때 공진이 생긴다. 연주자가 피아노의 댐퍼페달을 밟는 동안 댐퍼가 지체되며 일부의 현(1d)는 해당 해머의 의해 타격된 현과 함께 공진한다. 공진톤은 해머(1o)에 의한 타격에 의해 본래 생긴 톤에 대하여 -10dB 내지 -20dB의 범위이며 본래 발생한 음과 공진톤 사이에 수밀리초 내지 수백밀리초의 시간 지연이 생긴다.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연속적으로 밟는다면 공진톤은 수초동안 계속된다. 그러나, 연주자는 댐퍼페달을 해제함으로서 본래의 공진톤을 급히 종료시킬 수 있며 오디오 신호발생기(3u)는 급속 종료에 대한 페달센서(2c)의 검출신호에 응답한다.
데이타메모리(3o)에 저장된 pcm데이타 코드는 공지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시하며, 역시 샘플러나 공진용 데이타 프로세서(3p)에 의해 만들어진다. 각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는 눌러진 건(1g)중의 하나에 대응하며 최대 여섯그룹의 pcm데이타코드에 의해 구성된다. 각 그룹의 pcm데이타 코드는 공진하는 현(1d)중의 하나에 대응하며 저음률 보다 1옥타브 높은 현에 대하여 제2조파 내지 제6조파가 고려된다. 그러나, 눌러진 것이 88개의 건중에서 제일 낮은 건으로 부터 30번째 건 보다 낮다면 눌러진건 보다 1옥타브 낮은 현을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에는 17개의 댐퍼가 이용된다. 다른 피아노들은 66개 또는 69개의 댐퍼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주파수스펙트럼의 강도는 해머속도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 속도는 피아노의 형과 모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한 셋트의 pcm데이타 코드는 슈퍼바이저(3k)의 제어하에서 눌러진건(1g)에 따라서 데이타메모리(3o)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판독되며 공진용 데이타프로세서(3p)는 중간강도에 대해 pcm데이타코들 수정한다. 데이타메모리(3o)의 메모리용량은 검출 가능한 해머속도에서 pcm데이타코드를 저장하도록 충분히 크게 될 수 있으며, 데이타 프로세서(3p)는 데이타 메모리(3o)에 저장된 변수에 근거하여 각 셋트의 pcm데이타코드를 계산할 수 있다.
음스펙트럼용 데이타 프로세서(3q)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원진동용주파스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한 그룹의 pcm데이타 코드와 공진용 주파스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pcm데이타 코드를 만들수있다. 또한, 데이타 프로세서(3q)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감쇠되게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연주자가 피아노의 건을 놓으면 현상에서의 원진동이 급히 감쇠되는데 왜냐하면 해당 댐퍼(1v)가 현(1d)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데이타 프로세서(3q)는 감쇠를 취하며 pcm데이타 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누르고 있는 한 공진톤은 수초간 계속된다. 그러나, 연주자가 댐퍼페달을 놓으면 공진톤은 급격히 감쇠한다. 데이타 프로세서(3q)는 또 감쇠를 취하여 공진용 pcm데이타 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
이 감쇠는 일정하지 않다. 만일 연주자가 반페달 만큼 댐퍼페달을 놓는다면 톤은 보통의 해제시 보다 낮은 속도로 감쇠한다. 또한, 어떤 연주자들은 고음률의 톤보다는 저음률의 톤을 급격히 지체하는 방식으로 반페달을 사용하는데 이런 페달조작은 오블리크 접촉이라고 부른다. 데이타 프로세서(3q)는 반페달뿐만아니라 오블리크 접촉을 통해 해제할때 완만히 감쇠를 취할 수 있으며, pcm데이타 코드의 값은 동시접촉에서는 다른 속도로 감소된다. 데이타 프로세서(3q)는 기본톤과 반페달에 대한 조파사이의 비를 변화시키며 기본톤 보다 빠른 고조파를 감소시킨다. 피아노의 프레임은 보통 진종하며, 프레임의 소음은 피아노톤에 관여한다. 데이타 프로세서(3q)는 이런 부차적인 소음을 려하여 주파수비를 수정한다.
오디오 신호발생기(3u)는 디지탈 필터와, D/A변환기와, 저역 통과 필터로 구성되며, 데이타 메모리(3m) 및 (3o) 및/또는 데이타 프로세서(3n),(3p)(3q)로 부터 공급된 pcm데이타코드로 부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발생시킨다. pcm데이타 코드는 디지탈 필터링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 필터링시에는 스피커 시스템(3e)의 진동특성과 스피커박스(3f)의 진동특성이 고려되며, pcm데이타 코드는 발생된 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편평해지는 방식으로 수정된다. 디지탈 필터는 FIR형이다. 그러나 IIR형 디지탈 필터도 사용가능하다. 정량화된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지탈 필터링에 오버샘플링형 디지탈 필터가 수반될 수 있다.
디지탈 필터링 후에 D/A변환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며, 저역통과필터는 그룹딜레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Butterworth형이다. 이렇게 필터링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이퀄라이저(3v)를 통해 증폭유니트(3d)에 공급되며, 증폭유니트(3d)는 스피커시스템(3e)를 구동하기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시킨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3t)는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3s)의 제어하에 플로피디스크로 부터의 MIDI기준에 따라서 포맷된 데이타코들 판독하며, 슈퍼바이저(3k)는 오디오신호 발생기(3u)로 하여금 플로피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타 코드로 부터 음을 재생하게 한다. 그러므로 파이프오르간, 하프시코드 또는 관악기같은 다른악기의 음색으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슈퍼바이저(3k)는 MIDI기준에 따라서 건센서(2b)의 검출신호와 페달센서(2c)의 검출신호를 포맷하여 MIDI코드는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3s)의 제어하에서 플로피디스크에 저장된다. 건반악기가 연주를 기록할 수 있다면, 건반악기는 3개의 작동모드, 즉 기계음 발생모드, 전자음 발생모드 및 기록모드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건반악기는 제4a도에 도시된 프로그램 시퀀스를 실행한다. 즉, 슈퍼바이저(3k)는 스텝(S1)에서 내부 레지스터로 부터 모드플래그를 판독하고, 스텝(S2)에서 연주자가 기계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는지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는지를 알기 위해 모드플래그를 체크한다. 만일 연주자가 모드 이동스위치(2a)를 통해 기계음 발생모드를 명령했다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3)으로 진행하고 모터 드라이버(2b)로 하여금 스토퍼(2f)가 자유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그후 스토퍼(2f)는 캐쳐(1r)이 버트(2m)과 함께 자유로이 움직이게 하며, 해머헤드(1o)는 스토퍼(2f)의 간섭없이 해당 셋트의 현(1d)를 타격할 수 있다.
이렇게 자유상태로 스토퍼(2c)가 이동된 후, 연주자는 선택적으로 흑색건과 백색건(1g)를 누르며 눌러진 건에 연결된 건작용기구(1b)는 현을 타격하기 해머기구(1c)를 구동시킨다. 건(1g), 건작용기구(1b) 및 해머기구(1c)의 동작은 직립피아노와 유사하므로 간단히 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연주자가 기계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슈퍼바이저(3k)는 스텝(S4)에서 기계음 발생모드로 부터 전자음 발생모드로 전환시켰는지를 알기 위해 명령신호 MODE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스텝(S4)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4)를 반복수행하고 연주자는 계속 음악을 연주한다.
그러나, 연주자가 모드 이동스위치(2a)를 조작한다면 스텝(S4)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고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로 복귀한다. 스텝(S2)에 대한 응답이 전자음 발생모드를 지시하면, 스텝(S5)에서 슈퍼바이저(3k)는 모드 플래그를 리라이트(rewrite)하며 드라이버유니트(2b)로 하여금 스토퍼(2f)가 차단상태로 전환하게 명령한다.
그후 가죽패드(2h)가 캐쳐(1r)과 직면하게 된다.
연주자가 전자음발샘 도으에서 흑색 및 백색 전(1g)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동안 음처리유니트(3a)는 건센서(3b), 페달센서(3c), 증폭기(3d) 및 스피커시스템(3e)와 상호작용하여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S6)을 통해 음을 전자적으로 합성한다. 만일 연주자가 헤드폰을 통해 음을 듣는다면 스피커시스템(3e)는 정적을 유지하며 합성된 음은 취침중의 사람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가 하나의 건(1g)을 누를때 해당 건작용기구(1b), 해당 해머기구(1c) 및 캐쳐스터포(2c)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휴지상태로 부터 제1중간상태로의 전환중에 캡스탄 버트(1i)가 휘픈(1j)를 누르면 휘픈(1i)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재크는 버트(1m)을 주르고 버트(1m)은 서서히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중간상태에 도달했을때 재크(1k)의 끝은 조정버튼(1p)와 접촉하며, 캐쳐(1r)은 가죽패드(2h)와 근접하게 된다.
연주자가 제1중간상태로 부터 제2중간상태로 누르는 동안 휘픈(1j)는 스프링(1q)를 압축하며 조정 버튼(1p)와 가죽패트(2h)는 재크(1k)와 버트(1m)사이의 상대위치를 유지한다.
건(1g)가 제2중간 상태에 도달할때 스프링(1q)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은 재크(1k)가 버트(1m)으로 부터 탈출하게 하여 독특한 건터치 감촉이 연주자에게 주어진다.
그러나, 해머헤드(1o)이 현셋트(1d)를 타격하기전에 캐쳐(1r)은 가죽패드(2h)상에서 반동한다.
연주자가 건(1g)를 놓을때 건은 끝위치로 부터 휴지상태로 복귀하여 휘픈(1j)는 백체크펠트(1u)를 캐쳐(1r)쪽으로 이동시킨다. 백체크펠트(1u)는 캐쳐스킨(1s)와 접촉하며 캐쳐(1r)과 버트(1m)을 본래 상태에서 정지시킨다.
제4b도는 전자음 발생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전자음 발생 서브루틴(S6)으로 들어갈때 스텝(S61)에서 슈퍼바이저(3k)는 건센서(3b)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감시하여 건센서(3b)로 부터의 검출신호가 있다면 받는다. 검출신호를 받은 후에 슈퍼바이저(3k)는 눌러진 건을 확인하여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건의 속도를 결정한다.
슈퍼바이저(3k)는 또한 스텝(S62)에서 페탈의 하나가 이동되는지를 알기 위해 페달센서(3c)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체크한다. 만일 스텝(S62)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면, 슈퍼바이저(3k)는 데이타메모리(3m)의 눌러진 건과 관련된 한 그룹의 pcm데이타 코드에 접근하거나 데이타 프로세서(3q)로 하여금 눌러진 건에 대하여 한 그룹의 pcm데이타코드를 테일러(tailor)하도록 명령한다.
스텝(S64)에서 슈퍼바이저(3k)는 그 내부테이블에 접근하여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적절한 타이밍을 결정한다. 스텝(S65)에서 슈퍼바이저(3k)는 적절한 타이밍을 기다리며, pcm데니타코드를 오디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신호발생기(3u)에 공급한다. 그후, 오디오신호는 증폭기(3d)에 의해 증폭되고 스피커시스템(3e)는 눌러진 건에 해당하는 합성음을 발생시킨다.
스텝(S65)후에 슈퍼바이저(3k)는 제4a도에 도시한 프로그램 시퀀스로 복귀하여 제4a도의 스텝(S7)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댐퍼페달같은 하나의 페달이 움직인다면 스텝(S62)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며,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6)에서 페달이 눌러졌는지를 알기 우해 페달센서(3c)로 부터의 검출신호를 체크한다. 연주마가 페달을 밟는다면 스텝(S66)에 대한 응답은 긍정이 되며, 스텝(S67)에서 슈퍼바이저(3k)는 데이타메모리(3m)의 pcm데이타 고트에 접근하거나 데이타프로세서(3q)로 하여금 pcm데이타코드를 테일러하게 명령한다.
슈퍼바이저 또한 해당 현상에서의 공진을 취하기 위해 스텝(S68)에서 데이타메모리(3o)의 pcm데이타코드에 접근하거나 데이타프로세서(3q)에서 pcm데이타코드를 테일러하게 명령한다.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9)에서 원진동용 pcm데이타코드의 타이밍과 공진용 pcm데이타코드의 타이밍을 제어하며 원진동의 타이밍과 공진 타이밍사이에 시간지체가 생기며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5)로 진행한다.
한편, 페달이 휴지상태로 상방이동된다면 스텝(S66)에 대한 응답은 부정이 되며, 스텝(S70)에서 합성된 톤과 공진톤을 감쇠하기 위해 슈퍼바이저(3k)는 데이타프로세서(3q)에서 선택된 속도로 pcm데이타코드의 값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명령한다. 그후,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5)로 진행한다.
제4a도에서 연주자가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동안 슈퍼바이저(3k)는 스텝(S7)에서 모드가 기계음 발생모드로 전환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명령신호 MODE에 지정된 입력포트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만일 스텝(S7)에 대한 응답이 부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스텝(S6)으로 복귀하고 스텝(S6)과 스텝(S7)로 구성된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스텝(S7)에 대한 응답이 긍정이라면 슈퍼바이저(3k)는 다시 스텝(S2)로 복귀한다.
따라서 슈퍼바이저(3k)는 스텝(S2) 내지 (S7)로 구성되는 루프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며 연주자는 소정음 발생모드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는 자유상태와 차단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캐쳐스토퍼(2c)를 갖추고 있으며, 연주자는 그의 가족과 이웃을 괴롭히지 않고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직립피아노의 구성부재의 변화없이 어코스틱 피아노(1)을 제공하기 위해 직립피아노에 캐쳐스토퍼(2c)가 부가되며, 이미 사용된 직립피아노는 쉽게 개조될 수 있다. 캐쳐(1r)은 해머생크(1n) 보다 짧으며 가죽패드(2h)에 가해지는 모우멘트는 작다. 이 때문에 가죽패드(2h)는 변화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제2구체예]
도면중의 제5도에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되는 다른 캐쳐스토퍼(20)이 도시되어 있다. 제2구체예를 충족시키는 건반악기도 역시 주로 어코스틱 피아노와, 제어시스템과 전자음 발생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제2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로 들어간다.
제2구체예의 어코스틱피아노와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제1구체예와 유사하며, 제어시스템의 캐쳐스토퍼(20)의 구조만이 제1구체예의 제어시스템(2)와 다르다. 따라서, 캐쳐스토퍼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캐쳐스토퍼(20)은 다수의 나사구멍을 갖는 가동브라켓 부재(20a)와, 각기 캐쳐(21)과 관련하여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20b)와, 가동브라켓을 자유상태와 차단상태사이에서 이동시키기위한 솔레노이드 작동작용기(20)과, 캐쳐(21)의 상부면에 부착된 다수의 쿠션시트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작동작용기(20c)는 드라이버유니트(도시한지 않음)로 부터 공급된 구동신호 응답하며 가동브라켓부재(20a)를 차단상태로 전진시키거나 차단상태로 부터 후퇴시킨다. 가동브라켓부재(20a)가 자유상태에 있을 동안 캐쳐(21)과 해당버트는 나사(20b)의 간섭없이 자유로이 회전한다. 한편, 차단상태의 나사(20b)는 캐쳐(21)의 회전을 제한하며, 건작용기구는 자연음 발생없이 연주자에게 독특한 피아노 건터치 감촉을 부여한다.
나사(20b)는 특수공구없이도 돌려질 수 있으며, 튜터로 하여금 해당캐쳐(21)로 부터의 거리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제3구체예]
도면중의 제6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캐쳐스토퍼(30)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건반악기에 이용된 건작용기구(31)과 관련된다. 제3구체예를 충족시키는 건반악기는 역시 주로 어코스틱피아노와, 제어시스템과, 전자음발생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제1구체예와 마찬가지로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발생모드로 선택적으로 들어간다.
제3구체예의 어코스틱피아노와 전자음발생시스템은 제1구체예의 것과 비슷하며 제어시스템의 캐쳐스토퍼(30)만이 제1구체예의 제어시스템(2)와 다르다. 따라서, 제1구체예의 것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에는 상세한 설명없이 제2도에서 사용된 부호를 붙이며, 앞으로 캐쳐스토퍼(30)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캐쳐스토퍼(30)은 모든 건작용기구(1b)사이에 공유하는 가동브라켓부재(30a)와, 나사에 의해 가동브라켓부재(30a)에 고정되어 건작용기구(1b)와 각기 연관되는 다수의 돌출부재(30b)와, 돌출부재(30b)의 하면에 각기 부착되는 다수의 쿠션부재(30d)와, 돌출부재(30b)를 자유상태와 차단상태 사이에서 이동 시키기 위해 드라이버유니트(도시하지 않음)로 부터의 구동신호에 응답하는 작용기(30e)로 구성된다.
제7도에서 보다 잘 알수 있는 바와같이, 돌출부재(30b)의 보스부에는 각기 슬릿(30f)가 형성되며 나사(30c)는 보스부를 가동브라켓부재(30a)의 상면에 가압한다.
돌출부재(30b)의 선단부는 캐쳐의 두께보다크며(제6도 참조), 캐쳐(1r)의 상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튜너가 캐쳐(1r)의 상면과 쿠션시트(30d)사이의 거리를 조정할때 나사(30c)가 풀어지며 가동부라켓부재(30a)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돌출부재(30b)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킨다. 돌출부재(30b)가 전방단부로 부터 전진된다면 쿠션시트(30d)는 해당 캐쳐(1r)의 상면에 근접하게 된다. 한편, 돌출부재(30b)가 후퇴한다면, 쿠션시트(30d)는 캐쳐(1r)의 상면으로 부터 더욱 이격된다.
따라서, 튜너는 건반악기의 전방측으로 부터 나사(30c)에 접근할 수 있으며 쉽게 조정된다.
제4구체예
도면중의 제8도에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또다른 건반악기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 4구체예를 충족시키는 건반악기도 역시 주로 어코스틱 피아노와, 제어시스템과, 전자음 발생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제1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기계음 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로 들어간다.
제 3구체예의 어코스틱 피아노는 어코스틱 피아노(1)과 유사하며, 전자음 발생시스템은 해머센서(40)의 배열상태를 제외하고는 제 1구체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제1구체예의 것에 해당하는 구성부품에는 상세한 설명없이 제2도에서 사용한 부호를 붙이고 앞으로 캐쳐스토퍼(30)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제 4구체예에서 해머센서(40)은 각기 해머기구(1c)와 연관되면 건센서(3b) 대신에 각각의 건동작을 검출한다. 각각의 해머센서(40)은 광차단기(40a)와 셔터플레이트(40b)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용브라켓(40c)가 제공된다. 광차단기(40a)는 광방출요소와 검출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셔터플레이트(40b)는 광방출요소와 광검출요소사이의 광경로를 통과한다.
제어시스템은 캐쳐스토퍼(30)의 구조에서만 제1구체예의 제어시스템(2)와 다르다. 셔터플레이트(40b)에는 슬릿(40d)가 형성되며, 셔터플레이트(40b)가 광경로를 통과하는 동안 광차단기(40a)는 두개의 최고 전압을 갖는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두개의 최고치 사이의 시간경과는 해머속에 비례하여 음처리 유니트에 이용된 슈퍼바이저는 행당현(1d)에서 해머헤드(1o)의 충격을 판단한다.
제4구체예의 제어시스템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캐쳐스토퍼(41)과 캐쳐스토퍼(41)의 구동기구(42)로 구성된다. 각각의 캐쳐스토퍼(41)은 선택된 캐쳐(1r)사이에 공유된다. 캐쳐스토퍼(41)은 연주자의해 자유상태와 폐쇄상태 사이에서 이동된다. 캐쳐스토퍼(41)이 자유상태에 있는 동안 캐쳐(1r)은 캐쳐스토퍼(41)의 간섭없이 움직일 수 있다. 그런, 캐쳐스토퍼(41)이 차단상태로 된다면 해머헤드(1o)이 해당현 (1d)를 타격하기 전에 캐쳐가 해당 캐쳐스토퍼(41)가 접촉하게 된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구동기구(42)는 하측 전방보드(43)으로 부터 돌출하는 페달(42a)와, 일단부가 페달(42a)에 연결된 링크기구(42b)와, 일크기구(42b)의 타단부에 연결된 아암부재(42c)와, 저널유니트(42e)와, 아암부재(42c)에 연결된 복귀스프링(42f)로 구성된다. 로드부재(42d)는 목재,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캐쳐(1r)의 충격에 잘 견딘다. 저널유니트(42e)는 작용브라켓(40c)에 의해 지지되며 복귀스크링은 어코스틱피아노의 고정 보드부재에 고정된다.
아암부재(42c)는 일부 절단되며, 펠트부재(42g)는 그 주변에 결합된다. 링크기구(42b)는 펠트부재(42g)위를 지나가며 아암부재(42c)에서 끝난다. 펠트부재(42g)는 링크기구(42b)가 소음없이 움직이게 한다.
연주자가 페달(42a)를 밟을때 링크기구(42b) 아암부재(42c)를 아래로 잡아당기며 로드부재(42)가 회전구동되므로 캐쳐스토퍼(41)이 차단상태로 된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42a)를 측방으로 민다면, 하측 전방보드(43)은 캐쳐스토퍼(41)이 차단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한편, 연주자가 페달(42a)를 반대방향으로 밀고 그의 발을 페달(42a)로 부터 놓는다면, 복귀스프링(42f)가 아암부재(42c)의 양단부를 아래로 잡아당기게 되며, 캐쳐스토퍼(41)을 차단상태로 부터 자유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로드부재(42d)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각각의 캐쳐스토퍼(41)은 로드부재(42d)에 부착된 브라켓수재(41a)와 브라켓부재(41a)에 부착된 쿠션부재(41b)와, 쿠션부재(41b)에 부착된 돌출시트(41c)로 구성된다. 쿠션부재(41b)는 캐쳐(1r)의 충격을 흡수하며이 경우 우레탄으로 만들어진다.보호시트(41c)는 엑세뉴(excenu)로 만들어지며 쿠션부재(41b)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남없이 여러가지 변형예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는 자연음과 합성음이 발생되지 않는 정적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Claims (9)

  1. a)a-1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져 고정보드부재(1f)에 대하여 선회하는 다수의 건(1g)를 갖는 건반(1a)와, a-2)상기 다수의 건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연주자가 누를때 다수의 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연주자가 해당 건을 놓을때 캐쳐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휘픈(1j)와 버트(1m)으로 부터 돌출하는 캐쳐(1r/1s;21)와 상기 휘픈으로 부터 돌출하는 백체크(1t/1u)를 갖는 다수의 건작용기구(1b)와, a-3)상기 건작용기구와 각기 관련되어 해머헤드(1o)과 상기 해머헤드를 지지하는 상기 버트(1m)을 가지며,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건을 누를 때 상기 다수의 건작용기구를 회전구동시키는 다수의 해머기구(1c)와, a-4)상기 다수의 해머기구와 관련되어 연주자가 상기 다수의 건을 선택적으로 누를때 상기 해머헤드에 의해 타격되는 다수의 현(1d)를 구비하는 어코스틱피아노(1)로 구서외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건반악기는 선택적으로 기계음발생모드와 전자음 발생모드를 취하며, 상기 건반악기는 또한 b)상기 전자음 발생모드에서 연주자에 의해 건이 눌려 졌는가를 알기위해 상기 다수의 건을 감시하며 연주자에 의해 눌려진 건에 해당하는 음을 전자적으로 발생하도록 작용하는 전자음 발생수단(3a/3b/3c/3d/3e/3g/3h)와, c) 상기 캐쳐와 관련된 가동스토퍼수단(2f;20b;30b;/30c/30d;41a/41b/42c)와, 상기 기계음발생모드에서 자유상태와 상기 전자음 발생모드에서의 차단상태사이에서 상기 가동 스토퍼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연주자의 명령에 응답하는 드라이버유니트(2b/2d/2e;20a/20c;20a/30e;42)를 갖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캐쳐는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이 상기 자유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의 간섭없이 해당 버트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캐처는 해당 해머헤드가 상기 다수의 현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차단상태에서 상기 가동 스토퍼수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토퍼수단은 상기 캐쳐(1r/1s;21)과 각기 관련된 다수의 가동스토퍼(2f;20b;30b)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드라이버유니트는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 사이에 공유된 브라켓부재(2d;20a;30a)와, 상기 브라켓부재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부재에 연결된 작용기(2e;20c;30e)와, 상기 작용기를 작동시키는 드라이버회로(2b)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는 상기 작용기가 상기 브라켓부재를 전진 시킬때 상기 차단상태로 들어가고 상기 작용기가 상기 브라켓부내를 후퇴시킬 때 상기 자유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2f)는 각기 상기 브라켓 부재와 헤드부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형성부(2g)를 갖는 볼트부재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상태에서 해당 캐쳐와 대면하는 쿠션수단(2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구명(2i)가 형성되므로 상기 구멍에 삽입된 공구(2j)로 상기 헤드부를 돌림으로서 튜너가 상기 쿠션수단(2h)의 하면과 상기해당 캐쳐(1r/1s)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동 스토퍼는 각기 상기 브라켓부재(20a)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형성부와 공구와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부재(20b)와, 해당 캐쳐(21)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상태에서 상기 나사형성부의 선단부와 대면하는 쿠션수단(2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는 각기 기다란 슬릿(30f)와 선단부를 갖는 보스부를 갖는 돌출부재(30b)와, 상기 보스부를 상기 브라켓부재위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기다란 슬릿을 통해 상기 브라켓부재(30a)속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0c)와, 상기 선단부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상태에서 해당캐쳐와 대면하는 쿠션수단(3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유니트(42)는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어코스틱피아노의 보드부재(43)과 결합하는 페달부재(42a)와, 상기 페달부재와 연결되는 링크기구(42b)와, 상기 어코스틱 피아노의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부재(42d)와, 상기 링크기구와 동작을 상기 로드부재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도록 작동하는 변환수단(42c)와, 상기 페달부재가 상기보드부재로 부터 해제될때 상기 페달부재가 휴지상태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스프링(42f)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41)은 상기 로드부재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상기 페달부재가 눌려질때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는 상기 차단상태로 들어가며, 상기 페달부재가 해제될때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가 상기 자유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41)은 각기 선택된 캐쳐들 사이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동스토퍼(41)은 각기 상기 로드부재의 상기 외측면에 부착된 브라켓부재(41a)와, 캐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부에 부착된 쿠션부재(41b), 상기 쿠션부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쿠션부재에 부착된 보호시트(4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KR1019930026162A 1993-06-03 1993-11-30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KR97000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57934A JPH0659667A (ja) 1992-06-09 1993-06-03 鍵盤楽器
JP93-157934 199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592A KR950001592A (ko) 1995-01-03
KR970006173B1 true KR970006173B1 (ko) 1997-04-24

Family

ID=1566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162A KR970006173B1 (ko) 1993-06-03 1993-11-30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63184A (ko)
EP (1) EP0627723B1 (ko)
KR (1) KR970006173B1 (ko)
DE (1) DE6932886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308B2 (ja) * 1994-03-31 2003-08-1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3336742B2 (ja) * 1994-05-18 2002-10-2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3324333B2 (ja) * 1995-05-22 2002-09-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用消音装置の製造方法
TW311216B (ko) * 1995-09-28 1997-07-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JP4608718B2 (ja) * 2000-01-12 2011-01-12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US7825312B2 (en)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359246B2 (ja) * 2008-12-17 2013-12-0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JP2012203347A (ja) * 2011-03-28 2012-10-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音源付きピアノ
JP5532446B2 (ja) * 2011-07-27 2014-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楽音発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2502B2 (ja) * 2014-06-20 2018-10-10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情報出力制御装置、鍵盤楽器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61A (en) * 1895-02-05 mcchesney
DE97885C (ko) *
DE44782C (de) * J. P. DEVIGNEE, Professor der Musik in Verviers, Belgien; [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Stärke des Hammeranschlages bei Pianino's
US527533A (en) * 1894-05-14 1894-10-16 Martin h
US782799A (en) * 1904-11-21 1905-02-14 Irving B Smith Tone-modifying means for pianos.
US2250065A (en) * 1940-12-07 1941-07-22 James A Kochl Musical instrument
JPS5167732A (ja) * 1974-12-05 1976-06-11 Dainippon Jochugiku Kk Kukaneazoorusatsuchuzai
JPS5555880A (en) * 1978-10-18 1980-04-24 Canon Inc Thermal printer
DE3516585A1 (de) * 1984-05-15 1985-11-28 Nippon Gakki Seizo K.K., Hamamatsu, Shizuoka Daempfungsmechanismus fuer ein klavier
JPS61289393A (ja) * 1985-06-17 1986-12-19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S6232308A (ja) * 1985-08-03 1987-02-12 Fuji Photo Film Co Ltd 位置検出装置
JPS62173792A (ja) * 1986-01-21 1987-07-30 ゼロツクス コ−ポレ−シヨン 半導体構造体及びその半導体領域変換方法
EP0239917A3 (en) * 1986-03-29 1989-03-29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sound player system having acoustic and electronic sound sources
JPS6397997A (ja) * 1986-10-15 1988-04-28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弱音装置
DE3641813C1 (de) * 1986-12-06 1988-04-14 Reinhard Franz Tastatur fuer eine elektronische Orgel
DE3707591C1 (en) * 1987-03-10 1988-05-26 Seiler Ed Pianofortefab Gmbh Grand piano or piano
US5115705A (en) * 1989-02-16 1992-05-26 Charles Monte Modular electronic keyboard with improved signal generation
JPH02119693U (ko) * 1989-03-13 1990-09-26
US5001339A (en) * 1989-03-27 1991-03-19 Gulbransen, Inc. Opto-electronic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an acoustic piano
DK166471B1 (da) * 1989-11-17 1993-05-24 Erik Ingvor Petersen Anslagsmekanisme
US5247129A (en) * 1991-06-10 1993-09-21 Yamaha Corporation Stringless piano-touch electric sound producer for directly driving a sound board on the basis of key actions
US5374775A (en) * 1992-06-09 1994-12-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US5440072A (en) * 1992-09-25 1995-08-08 Willis; Raymon A. System for rejuvenating vintage organs and pianos
JPH06289853A (ja) * 1993-03-24 1994-10-18 Yamaha Corp 鍵盤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63184A (en) 1995-10-31
KR950001592A (ko) 1995-01-03
EP0627723A3 (en) 1997-01-29
EP0627723B1 (en) 2000-06-14
EP0627723A2 (en) 1994-12-07
DE69328862T2 (de) 2001-02-01
DE69328862D1 (de) 200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353A (e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US5602351A (en) Grand piano-like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sound and synthesized sound
KR0132545B1 (ko) 건상구조의 각운동을 통해 어코스틱음모드 및 사일런트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건반악기
JPH0659667A (ja) 鍵盤楽器
KR970006173B1 (ko) 소음용 캐쳐스토퍼를 갖는 건반악기
US556563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driving unit for hammer stopper located in wide space in front of hammer assemblies
KR0136946B1 (ko)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JPH07334150A (ja) 鍵盤楽器
EP0617404B1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sound mode and an electronic sound mode through a rotation of a stopper with a cushion sheet against damper wires
US5608175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regulable regulating buttons linked with hammer stopper
US5434349A (e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mode and a silent mode through a sliding motion of a stopper
JP3569660B2 (ja) 鍵盤楽器用音源
JP3832500B2 (ja) 鍵盤楽器
JP3279307B2 (ja) 鍵盤楽器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JPH05313656A (ja) 鍵盤楽器
KR0155260B1 (ko) 피아노선의 기계적 진동 없이 기계음 모드와 합성음 모드를 선택적으로 시작하는 건반악기
JP2004094277A (ja) 鍵盤楽器
JP3412288B2 (ja) 耐久性を有するハンマストッパを有し、アコースティック音と電子音とを選択的に生成する鍵盤楽器
JP3598571B2 (ja) 鍵盤楽器
JPH07271351A (ja) 鍵盤楽器
JPH07234669A (ja) 鍵盤楽器
JPH0734476U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