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11216A1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11216A1
WO2022211216A1 PCT/KR2021/018449 KR2021018449W WO2022211216A1 WO 2022211216 A1 WO2022211216 A1 WO 2022211216A1 KR 2021018449 W KR2021018449 W KR 2021018449W WO 2022211216 A1 WO2022211216 A1 WO 20222112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llet
loading
cargo
uni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4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Publication of WO20222112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112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trans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transport device for a loading box of a truck which is installed in a loading box of a truck and can move cargo or a pallet loaded with cargo in the loading or unloading direction. .
  • the cargo is loaded on a pallet using equipment or loaded into a loading box using a separate loading conveyor.
  • the light cargo that the worker can carry is moved and loaded by the worker, and the unloading of the light cargo is carried out after moving it to the edge of the loading box by the worker.
  •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8-108788 discloses an apparatus for loading a total of four upper and lower layers in two rows, and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s. Hei6-39573 and Hei 7-18972 , No. 6-67170,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moving the pallet is posted.
  • such a conventional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of the load is complicated when moving or stacking the load, and the load becomes an obstacle when the load is moved by the support.
  • the movement becomes difficult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rgo and the inside cover of the loading box,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go is damaged.
  • Korean Patent No. 10-0680599 discloses a cargo transport device for a cargo vehicle loading box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91589 discloses a pallet transport device
  •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49365 discloses an internal cargo moving device of the loading box.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supply pallets for loading cargo in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and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that can sequentially load or unload the cargo according to the unloading ord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let transfer device f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let transfer device for loading boxes that can easily manage pallets because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allets on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box.
  • the pallet transfer device for a loading box of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base panel part having first and second inlet and outlet port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ading box of a freight vehicle, and the first and second draw-in/out outlets.
  •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 parts, and a pallet loading par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nel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ad-in/out ports for loading pallets;
  • a conveyor uni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rails and transporting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in the loading box to load or unload the cargo into the loading box;
  • first and second pallet elevating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irst and second inlet and outlet port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s to and from the pallet loading unit.
  • the first pallet eleva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let and outlet, and the first elevating and lowering which is elevated from the conveying height of the pallet of the pallet loading part to the chain height of the conveyor unit by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A frame and a first auxiliary conveyor installed on the first elevating frame,
  • the second pallet eleva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inlet and outlet, and a second elevating frame that is elevated from the conveying height of the pallet of the pallet loading unit to the chain height of the conveyor unit by a second elevating cylinder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 and a second auxiliary conveyor installed on the second lifting frame.
  • the pallet loading par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llet transport passage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pallet lifting unit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llet lifting units under the base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re installed frame is provided,
  • First and second stopper units for individually supplying pallets to the first and second pallet transfer units, respectively, are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pallet transfer passage.
  • the conveyor unit includes a head sprocket and a rear sprocket installed on shafts respectively supported on side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inlet/outlets of the base plate, a chain caught between the head sprocket and the rear sprocket, and one of the head sprocket and the rear sprocket.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elected one,
  • a chain guid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n so that the upper chain caught on the head sprocket and the rear sprocket is install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rail installed on the base plate,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and the chain guide
  • 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 thereby elastically bias the chain guide upward.
  • Pallet transfer device for loading box of a freight car can load and unload by transporting pallets for loading cargo in the loading box. It can be loaded and unloaded as a unit, so it is easy to load cargo and manage pallets.
  • the pallet transfer device for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minimizes the cargo transportation work inside the loading box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cargo in the loading box,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fatigue caused by the transportation of the cargo 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 hours of the operator or the operator.
  • By installing a support on the loaded pall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go from collapsing during movement.
  • FIG. 1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transfer device for load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reight car;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llet transport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ng the pallet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main part of the pallet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llet applied to the pallet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transfe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and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S. 1 to 3 .
  • the pallet transfe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an automatically move the cargo within the loading box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rgo box, and insert and withdraw the used pallet into the space below the cargo truck loading box. It has a structure that can
  •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 units 20 ar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1 of the loading box 110 of the freight vehicl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transfer device for the freight vehicle.
  • the first guide rail parts 2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rst guide rail parts 20, the cargo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rail parts 20 or the pallet 200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is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or unloaded from the loading position.
  • a conveyor unit 30 for moving to a position is installed.
  • a pallet loading part 50 for moving the palle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tacking sum is installed.
  • a rear door 101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for a truck, that is, the loading box 110 of the cargo truck 100 , and at least one side door 102 is installed on the side.
  • first guide rail portions 20 are install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loading box, that is, the base plate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guide rail portion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pallet 200 by forming the first guide rail part 20 in a trapezoidal or triang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200 can be moved smoothly in a supported state. do. As shown in FIG.
  • the first guide rail part 20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frictional force when the pallet 200 loaded on the base plate 111 moves.
  • first and second inlet and outlet ports 112 and 113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pallet 200 to the pallet stacking unit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base plate 111 .
  • the conveyor unit 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rail parts 20 to move the pallet 200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Preferably, they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 the conveyor unit 30 includes a head sprocket 31 and a rear sprocket 32 installed on shafts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side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inlet and outlet 112 and 113 of the base plate 111, and the A head sprocket 31, a chain 33 caught on the rear sprocket 32,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driving a selected one of the head sprocket 31 and the rear sprocket 32 are provide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head sprocket 31 and the rear sprocket 32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n 33 caught on the head sprocket 31 and the rear sprocket 32 of the conveyor unit 30 is install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guide rail 2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1 .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200 .
  • a chain guide 35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n 33 .
  • the width of the chain guide 35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hain 33 .
  • an elastic member 36 for elastically biasing the chain guide 35 upward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n guide 35 .
  •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hain 33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200 so that they can be moved in a coupl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not deep enough so that coupling can be separated when the chain is moved.
  • a plurality of the conveyor units 30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as shown in FIG. 1 .
  • the conveyor unit 30 has been described as a chain convey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slate conveyor, a roller conveyor, or the like.
  • the pallet loading part 50 installed under the base plate 111 is a pallet transport passage part 51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or unit 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llet transport passage part 51 .
  • the pallet transport conveyor 52 is installed.
  • the pallet transport conveyor 52 is a guide frame 52a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allet transport passage 51, 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52b installed in the guide frame 52a and driving the rollers.
  •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the purpose may be install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belt conveyor or a chain conveyor capable of transporting pallets may be installed in the pallet transport passage 51 . When a chain conveyor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side by side with the pre-conveyor for pallet transport.
  • first and second stopper units ( 90) and 95 are installed.
  •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units 90 and 95 ar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units that are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edge of the pallet loading part 50, respectively,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llet 200 or to be supplied. It includes stoppers 91 and 96, and first and second actuators 92 and 97 for elevating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91 and 96.
  •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units 90 and 95 are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temporarily stopping the moving pallet 200 is possible.
  • the first pallet elevat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let and outlet 112, and from the transport height of the pallet 200 of the pallet loading unit 50 by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71.
  • a first lifting frame 72 is provided that is lifted to the chain height of the conveyor unit 30 .
  • a first auxiliary conveyor 73 is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frame 72 to move the pallet or the pallet 200 loaded with cargo to the conveyor unit 30 side.
  •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73 may be made of a belt conveyor or a chain conveyor driven by a driving unit.
  •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71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guide rods 74 parallel to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71 may be installed in order to stably elevate the first elevating frame 72 .
  • the second pallet elevating unit 80 is for lowering the pallet 200 moved by the conveyor unit 30 and supplying it to the pallet loading unit 50, and the first pallet elevating unit 70 and substantially is the same as
  • the second pallet elevating unit 8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inlet and outlet 113, and the pallet 200 of the pallet loading unit 50 is transferred by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81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 a second elevating frame 82 that elevates from the height to the chain height of the conveyor unit 30 .
  • a second auxiliary conveyor 83 is installed in the second lifting frame 82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the pallet 200 or the pallet loaded with cargo to the conveyor unit 30 side.
  • first and second elevating cylinders one selected from a book screw, a pneumatic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may be used.
  • the conveyor unit 30 and the first guide rail 2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or a predetermined inclination direction.
  • a lift 300 for elevating the cargo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110 .
  • the pallet 200 for loading the cargo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argo support 210 as shown in FIG.
  • the first and second telescopic support bars 212 and 213 and the first and second telescopic support bars 212 and 213 which are installed rotatably on both sides of the pallet 200, which can be coupled and detached to the inlet groove 2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support 210, are rotatable.
  • a connecting bar 214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12 and 213 is provided.
  • auxiliary support bars 215 and 216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deployment are installed on the telescopic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12 and 213, respectively.
  • the cargo support installed on the pallet 200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collapse o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200 .
  • the pallet 200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is loaded while the first lifting frame 72 of the first pallet lifting unit 70 is being lifted. And by driving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73 as well as driving the conveyor unit 30, the chain 33, that is, the chain 33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 the pallet 200 loaded with the loading box is moved to the side of the chain to be moved with the first guide rail 20, and the chain 33 and the first guide rail 20. moves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110 by In this way,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is sequentially moved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 the cargo moved by the chain 33 of the conveyor unit 30 and the first guide rail 20 is moved to the second arm elevating unit 80, and at this time, the second arm of the second arm elevating unit 80
  • the second auxiliary conveyor 83 is operated to move the cargo moved by the conveyor unit 30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110 .
  • the chain guide 35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36 is A slip is generated between the chain 33 that is pressed and moves the pallet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200 . Accordingly, the pallet 200 that is loaded with the cargo and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does not move any more. And the subsequent cargo is load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lifting cylinder 71 is operated.
  •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41 is lowered by lowering the first elevating frame 72 .
  • the first actuator 92 of the first stopper unit 90 is operated to lower the first stopper 91 .
  • one pallet 200 waiting on the pallet loading unit 50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41 .
  • This movement is made by the pallet transfer conveyor (52).
  • the first stopper 91 of the first stopper unit 90 rises to stop the transfer of the subsequent pallet 200 .
  • the pallet transfer conveyor 52 is also stopped driving.
  • the loading of the pallet 200 by the pallet loading unit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go is unloaded may be made on the side of the first pallet transfer unit 70 or the second pallet transfer unit 80 .
  • the recovered pallet or the pallet 200 on which the cargo is unloaded is placed on the raised first auxiliary conveyor 73 or the second auxiliary conveyor 83 .
  • This operation can be made by moving the pallet by the conveyor unit, it can be made by a driver or an operator.
  • the first lifting cylinder 71 When the loading of the pallet 200 on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73 is made, the first lifting cylinder 71 is operated to lower the first lifting fram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73 is installed,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73) and the guide frame (52a) of the pallet loading unit (50) can be maintained. In this state, the first stopper 91 of the first stopper unit 90 is lowered, and the first auxiliary conveyor 73 is driven to supply the pallet 200 to the pallet loading unit 50 .
  • the first and second pallet lifting units 70 and 80 and the conveyor unit 30 are used in loading the cargo or the pallet 200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Therefore, it can be moved for loading and unload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work hours due to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ealth of workers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의 전후방측에 제1,2인입인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부와, 상기 제1,2인입 및 인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레일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 1,2인입인출구와 연결되어 파렛트를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적재부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적재함내에서 이송시키는 위한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제1,2인입인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파렛트를 상기 파렛트적재부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제 1,2파렛트승강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본 발명은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화물 또는 화물이 로딩된 파렛트를 로딩 또는 언로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에서 장비를 이용하여 로딩하거나 별도의 적재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로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물이 화물 자동차의 적재함에 올려진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운반할 수 있는 경량의 화물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어 적재되며, 경량화물의 하역은 작업자에 의해 적재함 가장자리로 이동시킨 후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은 작업자에게 큰 신체적 부담을 주게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작업자의 부상, 화물의 손상 등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평8-108788호에는 파렛트를 두줄로 상하층 총 4개로 적재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39573, 평7-18972호, 평6-67170호에는 파렛트를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적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적재화물을 이동시키거나 쌓을 때 적재화물의 이동이 복잡하고 적재화물이 지지체에 의한 이동 시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의 적재함에 탑승하여 화물을 적재함 내측 방향으로 끌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경우에 화물과 적재함 내부 커버와의 마찰에 의해서 이동이 어려워지고, 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680599호에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화물이송장치게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20-0091589호에는 파렛트 이송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549365호에는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내에서 화물의 적재를 위한 파렛트를 순차 공급할 수 있으며, 화물을 하역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의 하부측에 파렛트의 로딩 및 언로딩 할 수 있으므로 파렛트의 관리가 용이한 적제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의 전후방측에 제1,2인입인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부와, 상기 제1,2인입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레일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 1,2인입인출구와 연결되어 파렛트를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적재부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적재함내에서 이송시키는 위한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제1,2인입인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파렛트를 상기 파렛트적재부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제 1,2파렛트승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파렛트승강유닛은 상기 제 1인입인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실린더에 의해 파렛트적재부의 파렛트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체인높이로 승강되는 제 1승강프레임과, 상기 제 1승강프레임에 설치도는 제1보조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파렛트승강유닛은 상기 제 2인입인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에 의해 파렛트적재부의 파렛트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체인높이로 승강되는 제 2승강프레임과, 상기 제 2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보조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파렛트적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 1,2파렛트승강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파렛트이송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파렛트이송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제1,2파렛트이송유닛에 파렛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2스토퍼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2인입인출구와 인접되는 측에 각각 지지된 축에 설치된 헤드스프로킷, 리어스프로킷과,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에 걸리는 체인과,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중 선택된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에 걸린 상부측의 체인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파렛트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체인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가이드의 하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체인가이드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적재함의 내에서 화물의 적재를 위한 파렛트를 이송하여 적재 및 하역할 수 있으며, 화물이 언로딩 된 파렛트를 적재함의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파렛트적재부로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적재 및 파렛트의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적재함에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 시 적재함 내부에서의 화물운반작업을 최소화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줄여 화물의 운반에 따른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화물이 적제되는 파렛트에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이 이동시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가 화물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렛트 이송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파렛트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시 적재함 내에서 자동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된 파렛트를 상기 화물차 적재함의 하부의 공간에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화물자동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 화물자동차(100)의 적재함(110)의 베이스플레이트(111)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가이드레일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가이드레일부(20)는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들에 의해 지지된 화물 또는 화물이 로딩된 파렛트(200)를 적재함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기거나 적재위치로부터 하역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유닛(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하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를 적재합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렛트적재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파렛트(200)를 파렛트적재부(50)으로부터 컨베이어유닛(30)으로 이동시키거나 컨베이어유닛(30)으로부터 파렛트적재함(50)으로 이동시키는 제 1,2파렛트승강유닛(70)(80)이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렛트 이송장치의 구성을 화물운반용 탑차에 설치된 것을 실시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차용 적재함 즉, 화물탑차(100)의 적재함(110)의 후면에는 후방도어(101)가 설치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어(10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적재함의 바텀부 즉, 베이스플레이트(1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가이드레일부(20)들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는 파렛트(200)의 하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단면을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여 파렛트(200)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설치되는 제 1가이드레일부(20)의 단부에는 파렛트(20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볼프랜저, 마찰방지패드, 소형의 가이드롤러(21)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적재된 파렛트(200)의 이동 시 마찰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양단부 측에는 파렛트(200)를 상기 파렛트적제부에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제1,2인입인출구(112)(113)가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20)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된 파렛트(200)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적재함(1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제1,2인입인출구(112)(113)와 인접되는 측에 각각 지지된 축에 설치된 헤드스프로킷(31)과 리어스프로킷(32), 상기 헤드스프로킷(31)과, 리어스프로킷(32)에 걸리는 체인(33)과, 상기 헤드스프로킷(31)과 리어스프로킷(32)중 선택된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스프로킷(31)과, 리어스프로킷(32)은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의 헤드스프로킷(31)과 리어스프로킷(32)에 걸린 체인(33)의 상부는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부(2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파렛트(200)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를 위하여 체인(33)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35)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가이드(35)는 그 폭이 체인(3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가이드(35)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35)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36)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33)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파렛트(200)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그 결합깊이가 깊지 않게 하여 체인의 이동 시 결합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은 체인컨베이어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레이트 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렛트적재부(50)는 컨베이어유닛(30)의 하면에 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렛트이송통로부(51)와 상기 파렛트이송통로부(51)의 바닥면에는 파렛트이송컨베이어(52)가 설치된다. 상기 파렛트이송컨베이어(52)는 파렛트이송통로부(51)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52a)과, 상기 가이드프레임(52a)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52b)들과 롤러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파렛트이송통로부(51)에는 파렛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또는 체인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체인컨베이어가 설치된 경우, 파렛트의 이송을 위하여 프리컨베이어와 나란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렛트적재부(5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파랫트(200)을 상기 제1파렛트승강유닛(70)과 제 2파렛트승강유닛(80)으로 개별공급하기 위한 제1,2스토퍼유닛(90)(95)이 설치된다. 상기 제 1,2스토퍼유닛(90)(95)은 각각 상기 파렛트적재부(50)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이동되는 파렛트(200)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2스토퍼(91)(96)와, 상기 제 1,2스토퍼(91)(96)을 승강시키는 제1,2액튜에이터(92)(97)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스토퍼유닛(90)(95)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동중인 파렛트(20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제1파렛트승강유닛(70)은 상기 제 1인입인출구(112)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실린더(71)에 의해 파렛트적재부(50)의 파렛트(200)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의 체인 높이로 승강되는 제 1승강프레임(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승강프레임(72)에는 제1보조컨베이어(73)가 설치되어 파렛트 또는 화물이 로딩된 파렛트(200)를 컨베이어유닛(3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보조컨베이어(73)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 또는 체인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실린더(71)는 차체에 고정되는데, 제1승강프레임(72)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제1승강실린더(71)와 나란한 가이드봉(74)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파렛트승강유닛(80)은 컨베이어유닛(30)에 의해 이동되는 파렛트(200)을 하강시켜 상기 파렛트적재부(5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파렛트승강유닛(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 2팔레트승강유닛(80)은 상기 제 2인입인출구(113)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81)에 의해 파렛트적재부(50)의 파렛트(200)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의 체인높이로 승강되는 제 2승강프레임(8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2승강프레임(82)에는 제2보조컨베이어(83)가 설치되어 파렛트(200) 또는 화물이 로딩된 파렛트를 컨베이어유닛(3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2승강실린더는 책스크류,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유닛(30)과 제1가이드레일부(20)는 적재함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또는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110)의 후방측에는 화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3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지지대(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물지지대(210)의 상면에 형성된 인입홈(21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파렛트(20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축간한 텔레스코픽 제1,2지지바(212)(213)와 상기 제1,2지지바(212)(213)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2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제1,2지지바(212)(213)에는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개 시 상호 결합되는 보조지지바(215)(216)가 설치된다. 상기 파렛트(200)에 설치되는 화물지지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않고, 파렛트(200)에 로딩된 화물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송을 위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제1파렛트승강유닛(70)의 제1승강프레임(72)이 승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물이 적재된 파렛트(200)를 로딩한다. 그리고 제 1보조컨베이어(73)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컨베이어유닛(30)을 구동시켜 체인(33) 즉,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 체인(33)은 적재함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보조컨베이어(73)를 구동시켜 적재함이 로딩된 파렛트(200)은 제1가이드레일(20)과 이동되는 체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체인(33)과 제1가이드레일(20)에 의해 적재함(1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파렛트에 로딩된 화물을 적재함의 내부로 수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유닛(30)의 체인(33)과 제1가이드레일(20)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을 제 2팔레스승강유닛(80)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에 상기 제 2팔레스승강유닛(80)의 제 2보조컨베이어(83)가 작동되어 컨베이어유닛(30)에 의해 이동된 화물을 적재함(1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함에 팔레트(200)에 적층된 파일이 로딩되면 파렛트(200)가 화물의 적재함 내측을 이동되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탄성부재(36)에 의해 탄성지지 된 체인가이드(35)가 탄압되어 파렛트(200)를 이동하는 체인(33)과 파렛트(200)의 하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화물이 로딩되어 적재위치로 이동된 파렛트(200)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후속화물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적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렛트(200)에 적재된 화물은 펼쳐진 화물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동 시 적재된 화물의 무너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파렛트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는 파렛트(200)를 제1파렛트승강유닛(70)에 의해 제 1보조컨베이어(43)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승강실린더(71)를 작동시켜 상기 제1승강프레임(72)를 하강시킴으로써 제 1보조컨베이어(41)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1스토퍼유닛(90)의 제 1액튜에이터(92)를 작동시켜 제 1스토퍼(91)를 하강시키다. 이 상태에서 퍼렛트적재부(50)에 대기중인 하나의 파렛트(200)가 상기 제 1보조컨베이어(41)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파렛트이송컨베이어(52)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파렛트(200)의 공급의 공급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1스토퍼유닛(90)의 제1스토퍼(91)가 상승하여 후속의 파렛트(200)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이때에 상기 파렛트 이송컨베이어(52) 또한 구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71)에 의해 제1승강프레임(72)이 상승함에 따라 제1보조컨베이어(73)에 설치된 파렛트(200)가 상기 제 1인입인출구(112)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파렛트(200)에 화물을 로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적재함(110)에 화물을 로딩한다. 그리고 화물의 하역은 상술한 방법의 역방향으로 수행한다.
한편, 화물의 하역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파렛트적재부(50)에 의한 파렛트(200)의 로딩은 상기 제1파렛트이송유닛(70) 또는 제 2파렛트이송유닛(80) 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수된 파렛트 또는 화물의 하역이 이루어진 파렛트(200)를 상승된 제 1보조컨베이어(73) 또는 제 2보조컨베이어(83)에 올려놓는다. 이러한 작업은 컨베이어유닛에 의해 파렛트를 이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컨베이어(73)에 파렛트(200)의 로딩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 1승강실린더(71)가 작동되어 제 1보조컨베이어(73)가 설치된 제 1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킴으로써 제1보조컨베이어(73)의 상면과 파렛트적재부(50)의 가이드프레임(52a)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스토퍼유닛(90)의 제1스토퍼(91)를 하강시키고, 제1보조컨베이어(73)를 구동시켜 상기 파렛트(200)를 파렛트적재부(50)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는는 화물 또는 화물이 적재된 파렛트(200)를 적재함에서 제1,2파렛승강유닛(70)(80)과 컨베이어유닛(30)이용하여 적재 및 하역을 위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의 전후방측에 제1,2인입인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2인입인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레일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제 1,2인입인출구와 연결되어 파렛트를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적재부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적재함내에서 이송시키는 위한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제1,2인입인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파렛트를 상기 파렛트적재부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제 1,2파렛트승강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렛트승강유닛은 상기 제 1인입인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실린더에 의해 파렛트적재부의 파렛트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체인높이로 승강되는 제 1승강프레임과, 상기 제 1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보조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팔레트승강유닛은 상기 제 2인입인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에 의해 파렛트적재부의 파렛트의 이송높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체인높이로 승강되는 제 2승강프레임과, 상기 제 2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보조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적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 1,2펄렛트승강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파렛트이송통로부와, 통로부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제1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파렛트이송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제1,2파렛트이송유닛에 파렛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2스토퍼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2인입인출구와 인접되는 측에 각각 지지된 축에 설치되는 헤드스프로킷, 리어스프로킷과과,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에 걸리는 체인과,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중 선택된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스프로킷과 리어스프로킷에 걸린 상부측의 체인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부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파렛트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체인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가이드의 하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체인가이드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또는 파렛트적재부에 로딩되는 파렛트에는 적재된 화물의 무너짐을 장지하기 위한 화물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PCT/KR2021/018449 2021-04-01 2021-12-07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WO20222112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000 2021-04-01
KR1020210043000A KR102459334B1 (ko) 2021-04-01 2021-04-01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216A1 true WO2022211216A1 (ko) 2022-10-06

Family

ID=8345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449 WO2022211216A1 (ko) 2021-04-01 2021-12-07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9334B1 (ko)
WO (1) WO20222112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476A (ja) * 1993-09-18 1995-03-28 Kawahara:Kk 多数の荷それぞれを自動的に往復搬送なさしめる荷 搬入・搬出装置
JP2002046524A (ja) * 2000-08-04 2002-02-12 Ricoh Logistics Kk 荷物運搬車
JP2002120633A (ja) * 2000-10-19 2002-04-23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ロール紙運搬用トラックのパレット引出し装置
JP2005178735A (ja) * 2003-11-28 2005-07-07 Shin Meiwa Ind Co Ltd 荷物搬出入装置
KR20150023725A (ko) * 2013-04-05 2015-03-05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팔레트 반송 장치 및 팔레트 반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438A (ja) 1984-04-03 1985-10-22 Okura Yusoki Co Ltd 荷積み装置
JPH08108788A (ja) 1994-10-12 1996-04-30 Nippon Furuhaafu Kk 貨物自動車のパレット2段積荷箱
KR101549365B1 (ko) 2015-01-12 2015-09-01 이정신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20200091589A (ko)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벤텍 파렛트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476A (ja) * 1993-09-18 1995-03-28 Kawahara:Kk 多数の荷それぞれを自動的に往復搬送なさしめる荷 搬入・搬出装置
JP2002046524A (ja) * 2000-08-04 2002-02-12 Ricoh Logistics Kk 荷物運搬車
JP2002120633A (ja) * 2000-10-19 2002-04-23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ロール紙運搬用トラックのパレット引出し装置
JP2005178735A (ja) * 2003-11-28 2005-07-07 Shin Meiwa Ind Co Ltd 荷物搬出入装置
KR20150023725A (ko) * 2013-04-05 2015-03-05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팔레트 반송 장치 및 팔레트 반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334B1 (ko) 2022-10-28
KR20220136835A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920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manipulating a cassette used in storage by means of a transfer device
JP3138983B2 (ja) 収納棚用の搬出入設備
WO2010064760A1 (ko) 도크 레벨러
WO2022211216A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CN210825017U (zh) 一种装卸便捷的载货轿厢
GB2183619A (en) Multilevel parking garage
CN217837342U (zh) 一种自动化物料升降梯对接机
US60992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 stacks
CN211254513U (zh) 自动拆码垛装卸车系统
WO2023219216A1 (ko)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한 탑차의 적재함
JP3902893B2 (ja) 車両方向転換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
JP3736263B2 (ja) 自動倉庫
JPH09158513A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00191141A (ja) 物品移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物品段積み装置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CN215924281U (zh) 一种物料提升机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WO2024080836A1 (ko) 이중 레일 구조 주차 타워 시스템
JP3090172B2 (ja) 建設用リフト装置
JP3194117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セグメント用移載装置付きコンベヤ
JP6911719B2 (ja) 免震システム
CN115196304A (zh) 一种载具跨楼层输送的升降对接设备及升降对接方法
KR920006249Y1 (ko) 쓰레기의 이동상차장치
JP3191077B2 (ja) 多段式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5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35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