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5951A1 -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5951A1
WO2016125951A1 PCT/KR2015/004718 KR2015004718W WO2016125951A1 WO 2016125951 A1 WO2016125951 A1 WO 2016125951A1 KR 2015004718 W KR2015004718 W KR 2015004718W WO 2016125951 A1 WO2016125951 A1 WO 20161259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int
wire
dividing line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47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윤호
문종필
장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US15/301,16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49944B2/en
Priority to CN201580018516.1A priority patent/CN106456308B/zh
Priority to ES15881269T priority patent/ES2960258T3/es
Priority to EP15881269.3A priority patent/EP3254643B1/en
Priority to JP2016554717A priority patent/JP6355115B2/ja
Publication of WO20161259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5951A1/ko
Priority to US15/988,740 priority patent/US1061742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61F2/88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comprising a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spiral or helical sections with alternate directions around a centr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9Side-to-side connections, e.g. shunt or X-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64Blood vessels with special features to facilitate anastomotic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Figure-8-shaped, e.g. hourglass-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5Three-dimensional shapes toroidal, e.g. ring-shaped, doughnut-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3Umbrella-shaped, e.g. mushroom-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5Templa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connecting the heterogeneous tissue to form a bypass route.
  • the stent is used for the expansion of the constriction site, and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size of the various organs, lumens, and environment to be installed, thereby solving the blockage or inhibition of the flow of material by the narrowing of the lumen. And maintaining a sufficient diameter of the lumen for a long time.
  • the use of the stent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recently.In addition to the recovery of the diameter of the mass transfer passage through the expansion, it guides the movement path of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or adds additional surgical instruments. It is also used to generate movement paths.
  • the prior art for the prior art prepared for use of the stent in a form other than the expansion of the stenosis is a "stent for anastomosis"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04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 prior art by forming a separate connection path for connecting the heterogeneous organs to bond the heterogeneous organ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m.
  • the prior art is made of a cross-wire form of the stent connecting the different organs collectively to secure the passage diameter for the movement of surgical instruments, such as endoscopy, against the external forces applied to the stent,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it
  • surgical instruments such as endoscopy
  • the metal fatigue degree of the generated wire is increased, resulting in shortening the life of the wire forming the st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eave in a predetermined manner using two wires to provide a path diameter sufficient for the movement of a 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n endoscope,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ormed path. It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ent and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connecting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by forming a plurality of cells by crossing through a wire; An upper hea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to an expanded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And a lower hea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an expanded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wherein the upper head and the lower head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eterogeneous tissue.
  • the upper head may include a first portion bent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so as to extend in a diameter toward one end side of the body; And a third part extending from the second part in a shape of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one end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lower head is bent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 the fourth part A fifth portion extending from the fourth portion so as to extend in a diameter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And a sixth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fth portion in a shape of decreasing diameter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 the first portion is bent at an angle of 85 ° to 90 °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from one end of the body
  • the fourth portion is the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It is bent at an angle of 85 ° to 90 °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 the first portion and the fourth portion are provided in a form that is bent at the same angle toward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to face each other.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ing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circumference (W) and the length (L)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s the body of the connecting stent to be produced at equal intervals.
  • a jig provided with detachable protruding pins at all position points where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nd the length dividing line intersect each other, but start with the starting point as one of the reference points, and then protrude the pins diagonally.
  • the first wire from the first starting point of one end of the jig to the first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 a step of moving to form a part of the first body Protruding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ji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first switching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and detachable protruding to all posi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set along one circumference, respectively.
  • Forming a lower first head by repeating a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first wir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head forming member provided with a pin; C step of zigzag bending the first wire from the first turning point to the second point of the end of the jig to form a part of the first body; And all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set along one circumference, protrudingly coupled to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on the other end sid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starting point. And forming a first upper head by repeating a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first wir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having detachable protruding pins.
  • step A after moving the first wire by the diagonal in the upper direction by l (diagonal distance shifted by one length division line per one division line) at the first starting point.
  • A-1 step of repeating the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moving the diagonally in the lower direction again by the l from the position point;
  • A-2 step of moving the first wire by 2L diagonally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end point of step A-1 to spac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ortion formed in step A-1.
  • the first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witch point, and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even-numbered finishing point among the finishing points of step A-1, and the steps A-1 and A -2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of the finishing points of the plurality of steps A-1 formed by alternately proceeding.
  • the second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and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even-numbered finishing point among the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C-1, the steps C-1 and Step C-2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of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C-1 formed by alternately proceeding.
  • step B the first wire at the first point of the tangent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and the jig to the diagonal of the lower direction (L (diagonal dividing line 1 space per one division lin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 the first wire bent from the first bending point of step B-1 is diagonally l '(the first bending point among the position points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set in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from the first bending point).
  • the distance from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to extend after the expansion of the diameter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thre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fter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and then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by l 'diagonally from the position point again and repeating the zigzag bent pattern to return to the first bending point B- Step 2; And bending the first wire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at the first bending point located again through the step B-2, and then moving the first wire diagonally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bending point by l.
  • B-3 step of positioning at the turning point includes;
  • the first wire is diagonally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angent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with the jig at the second point.
  • the first wire bent from the second bending point of step D-1 is diagonally l '(the second bending point of the position points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set in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from the second bending point)
  • the distance from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to a position that corresponds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thre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of After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and then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by l 'diagonally from the position point again, repeating the zig-zag bent pattern and returning to the first bending point D- Step 2;
  •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body by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from the second starting point of the one end of the jig to the third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Forming a lower second head by repeating a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from the third point to the second switching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A step G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body by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from the second turning point to a fourth point of the end of the jig; And forming an upper second head by repeating a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from the fourth point to the second starting point.
  • the starting point is position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and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second starting point corresponds to a position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is moved by an odd colum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 step E the second wire is moved from the second starting point by l (diagonal distance shifted by one length division line per column division).
  • step E-2 moving the second wire downward by a diagonal line in a downward direction at a closing point of step E-1 to separate a location point from a portion formed in step E-1.
  • the third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second switch point, and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even-numbered finishing point among the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E-1, and the steps E-1 and The step E-2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of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E-1 formed by alternately proceeding.
  • the fourth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second starting point, and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even-numbered finishing point among the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G-1.
  • the step G-2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G-1 formed by alternately proceeding.
  • step F the second wire is moved diagonally in the lower direction among the tangents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to the jig at the third point.
  • the third wire bent from the third bending point of step F-1 is diagonally l '(the third bending point among the position points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set in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from the third bending point).
  • D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thre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nd then again diagonally upward from the position point.
  • step F-2 to m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to repeat the zigzag bent pattern to return to the third bending point; And bending the second wire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at the third bending point located again through the step F-2, and then moving the second wire by a diagonally l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third bending point. It includes; step F-3 to locate the turning point.
  • the second wire is diagonally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angent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with the jig at the fourth point.
  • D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thre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nd then again diagonally in the lower direction at that position.
  • Step H-2 returning to the fourth bending point by repeating the zig-zag bent pattern by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ull stomach as much as possible; And bending the second wire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at the fourth bending point located again through the step H-2, and moving the second wire by l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fourth bending point. It includes; H-3 step to position at the starting point.
  • the stent to connect between the different tissues
  • a separate bypass path may be formed to shorten the movement path of the device inserted for surgery in the human body including an endoscope and to increase accessibility.
  • the weaving structure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body is formed to have a near zero axial force and a high radial force to maintain an extended state fo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thereby connecting heterogeneous tissues.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of the bypass route.
  • the head of the end of the body is bent in a form close to the orthogonal shape from the body, it is installed so as to contact each other inside the heterogeneous tissue can be improved separation prevention.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head in the connecting st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connecting st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ng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form of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ng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 to 8 are exploded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wire fall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1 are exploded views for explaining a lower first head form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first wire ris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to 15 are exploded views for explaining an upper first head form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rossing and bending state of the first wire on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entire crossing and bending states of the secon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sten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rossing and bending stat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o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nection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n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necting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10; Upper head 120; And a lower head 130.
  • the body 110 forms a plurality of cells by crossing the metal wires, and is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 the plurality of cell structures formed by being opened by the cross between the shape of the body 110 and the wires constituting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shape.
  • the upper head 12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to a diameter that extends from the diameter of the body 110.
  • the shape of the upper head 120 is bent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to 2 to form an annular step, and then predetermined from one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direction. It extends in the form of the diameter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back is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reduced diameter to form a curved shape.
  • the upper head 120 is bent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and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110.
  • One end of the body 110 from the second portion 122 and the second portion 122 is formed to extend in such a way that the diameter extends from the first portion 121 toward one end side of the body 110. It consists of a third portion 123 extending in a form that the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side direction.
  • the first portion 121 is bent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 ⁇ )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be bent to extend as shown in Figure 2, thereby acting as a locking jaw
  • predetermined angle
  • the first portion 121 is bent at an angle of 85 ° to 90 ° from the one end of the body 110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10, more specifically Is preferably bent in an orthogonal form.
  • the reduced diameter from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122 of the third portion 123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expanded diameter compared to the body 110.
  • the lower head 130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o a diameter that extends from the diameter of the body 110.
  • the shape of the lower head 130 is bent out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ures 1 to 2 to form an annular step, and then from the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side predetermined It extends in the form of the diameter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back is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reduced diameter to form a curved shape.
  • the lower head 130 is bent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and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110.
  • the other portion of the body 110 from the fifth portion 132 and the fifth portion 132 are formed to extend in such a way that the diameter extends from the fourth portion 131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110. It consists of a sixth portion 133 extending in a form that the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short side direction.
  • the fourth portion 131 is bent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 ⁇ )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be bent to extend as shown in Figure 2, thereby acting as a locking jaw
  • predetermined angle
  • the fourth portion 131 is bent at an angle of 85 ° to 90 ° from the one end of the body 110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10, more specifically Is preferably bent in an orthogonal form.
  • the fourth portion 131 has the same angle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110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ortion 121 and the body 110 of the upper head 12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form bent by (alpha) and mutually opposing.
  • the diameter reduced from the end of the fifth portion 132 of the sixth portion 133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expanded diameter compared to the body 110.
  • the upper head 120 and the lower head 130 formed on both ends of the body 110 in this way is installed to contact the inside of the heterogeneous tissue, respectively.
  • the connecting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heterogeneous tissues, and the installation form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upper head 120 has an inner wall T1 of the first tissue.
  • the lower head 130 is installed to contact the inner wall (T2) of the second tissue.
  • the body 110 is used as one passage connecting the heterogeneous tissue provided in a hollow cylinder, more specifically serves as a bypass path for the movement of the endoscope.
  • the endoscope is moved through the bypass path and can be used for drainage of various substances in the body, including body fluids in the second tissue.
  • the diameter of the body 11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doscope. It is desirable to be provided with.
  • the upper head 120 and the lower head 130 are bent toward both end sides from the first portion 121 and the fourth portion 131 which are bent to extend and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110.
  • the portions 122 and 123, 132, and 133 that extend to form the hea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diameters 122 and 123, 132, and 133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decrease.
  • the first portion 121 and the fourth portion which are bent and formed to have an angle of 85 ° to 90 °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10 from both ends of the body 110.
  • the portion 131 is stable from the inner wall T1 of the installed first tissue and the inner wall T2 of the second tissue, and gives the connection stent 100 a higher departure prevention property.
  • the second portion 122 to the third portion 123 and the fifth portion 132 to the sixth portion 133 extending from both the first portion 121 and the fourth portion 131 toward both end sides thereof.
  • the curved tapered shape on the side cross-sectional reference of) redu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wall T1 of the first tissue and the inner wall T2 of the second tissue,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tent 100 for installation or movement after installation. Tissue damage caused by this can be minimized.
  • connection stent 10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it may include a film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 the coating may be selected from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silicone, polyurethane, polyester,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olefin,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but is used in the coating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It can be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known materials.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silicone Polyurethane
  • polyester polypropylene
  • polyethylene polyethylene
  • polyolefin polyolefin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ePTFE 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 At least one of the body 110, the upper head 120 and the lower head 130 constituting the connecting stent 100 is at least one radiopaque display to ensure visibility of the connecting stent 100 installed in the body
  • a rul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 the radiopaque indicator (not shown) is to accurately position the connection stent 100 in the installation site by ensuring visibility when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on stent 100 in the body through inspection using radiation such as X-rays. To help.
  • Figures 6 to 15 show the structure and method made by the first wire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ing stent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200.
  • the dotted line shown on the developed view shows the moving path of the wire which has been advanced
  • the solid line shows the moving path of the wire which is darkened in the corresponding step of each drawing.
  • the connecting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200 based on the manufacturing of the connecting stent 100 includes a jig 210 as shown in FIG. 5; An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It is provided through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 the jig 210 is equally spaced between the circumference (W) and the length (L)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L) and the body 110 of the connection stent 100 is manufactured
  •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 1 , a 2 , a 3 ,..., a 14 ) and the length dividing line (b 1 , b 2 , b 3 ,..., b 20 ) are Detachable protrusion pin (P) may be installed.
  •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is an outer frame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upper head 120 extending to one end of the body, is coupled through the one end side peripheral surface of the jig 210, and set along one side circumference Detachable protruding pins may be installed at all the posi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on one head length dividing line h 1 .
  •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is formed from the upper bent portion 221 and the upper bent portion 221 to form a lower surface of the jig 210 to form an annular lowe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ig 210 from the jig 210.
  • the upper curved portion 222 is formed to extend in an annular shape extending in a diamet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end of the side and then reduced in diameter.
  •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h 1 se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upper curved portion 222.
  •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is an outer frame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lower head 130 exte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faces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jig 210.
  • Penetration coupled to each other, and detachable protruding pins may be installed at all posi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on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h 2 set along one circumference.
  •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is a jig 210 from the lower bent portion 231 and the lower bent portion 231 to form a step by forming an annular lowe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ig 210. It is provided with an upper curved portion 232 is formed extending in an annular shape extending in a diameter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ide is reduced in diameter again.
  •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h 2 set along one circumference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lower curved portion 232.
  • connection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200 is set to any one position point as a starting point,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therefrom.
  • the first wire 10 is bent up and down so as to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ins P, thereby forming a cell by crossing to form a cell, thereby manufacturing a connection stent 100.
  • the first wire 10 is moved from the start point S1, a 2 / b 8 of the jig end to the first point F4, a 14 / b 10 of the other end of the jig. It bends and moves zigzag.
  • the first wire 10 is moved diagonally in the upward direction by l (a diagonal distance shifted by one length division line per one division line) at the first starting point S1.
  • the first wire 10 is moved by a diagonal dire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2 l at the end point F1 (a 7 / b 7 ) of the first zigzag movement step from the portion formed in the zigzag movement step.
  • a first spaced apart spaced apart location point is
  • the first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are alternately performed, and as shown in FIG. 8, the first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are continued, as shown in FIG. 8, and the first wire descending step (F4, a 14 / b 10 ) of the specific first zigzag movement step is performed. Finish S100).
  •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last position of the first wire descending step S100 and the start position of the lower first head forming step S200, is formed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moving the first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Among the many finishing points F1, F2, F3, F4, it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F4, and this first point F4 is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turning point C1, a 2 / b 10 .
  • This first point F4 is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even-numbered finishing point (F2) of the many finishing points (F1, F2, F3, F4) formed in the process of alternating the first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first spacing step do.
  •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D1) is lowered through the step S100 and formed from a first point F4 positioned after forming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to the first transition point C1, a 2 / b 10 at the other end of the jig ( A process of forming a lower first head constituting a part of the lower head 130 is repeated by repeating a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first wire 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230.
  • the first wire 10 is diagonally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angent formed by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with the jig 210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 Annular (ring)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at the first bending point (R1, a 1 / b 11 ) positioned by moving by the length division line per square shifted by one space The first lower bending step of bending to contact the lower bent portion 231 forming the lower surface;
  • the head length dividing line h set in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from the first wire 10 bent from the first bend point R1 is diagonally l '(from the first bend point R1). 2 ) a position point (a 4 / h 2 )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 4 )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oved three spaces from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 1 ) of the first bending point (R1) of the position points on the After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ent portion 232 is formed to extend in a form that is expanded after the diameter is expanded from the lower bent portion 231 by a distance (to move the distance to), and at the position point (a 4 / h 2 ) A lower head forming step of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232 diagonally in the upper direction and repeating the zigzag bent pattern and returning to the first bending point R1 again as shown in FIG. 10; Perform
  • first wire 10 positioned at the first bending point R1 is bent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210 as shown in FIG. 11, and then upwardly moved from the first bending point R1.
  • a second lower bending step of moving the diagonal by l and positioned at the first turning point C1 is performed; the lower first head forming step S200 is completed.
  • the first wire 10 is bent in a zigzag direction from the first switching point C1 at the other end of the jig to the second point F'4, a 14 / b 8 at the end of the jig. Let's do it.
  • the first wire 10 is moved by a diagonal line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l (a diagonal distance shifted by one length division line per one division line) at a turning point C1.
  • a second spaced apart step is also used to move the diagonal line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l (a diagonal distance shifted by one length division line per one division line) at a turning point C1.
  • the second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are alternately progressed and continue as shown in FIG. 12 to raise the first wire at the end point (F'4, a 14 / b 8 ) of the specific second zigzag movement step.
  • the step S300 is completed.
  •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last position of the first wire raising step S300 and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upper first head forming step S400 is formed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moving the second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 the many finishing points F'1, F'2, F'3, and F'4 they correspond to the last finishing point F'4, and these second points F'4 correspond to the first starting point S1 and I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nd is even numbered among many finishing points (F'1, F'2, F'3, F'4) formed in the process of alternating the second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It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ce as the finish point F'2.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from the second point F'4 positioned after forming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and being positioned after forming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to the first starting point S1 of the jig end is formed.
  • a process of forming the upper first head constituting a part of the upper head 120 is repeated by repeating the pattern of bending the first wire 10 in a zigzag pattern.
  • the first wire 10 is formed at a second point F'4 at a diagonal of the upper direction of the tangent formed by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with the jig 210 (circumferentially).
  •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30 moves the first wire 10 at the second bending point R'1 (a 1 / b 7 ), which is moved by a distance of one division line per dividing line.
  • the head length set in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from the second wire bent from the second bending point R'1 is diagonally l '(the second bending point R'1 from the second bending point R'1).
  • a position point corresponding to a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 4 corresponding to a position moved three spaces from the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 1 of the second bending point R'1 among the position points on the dividing line h 1 (
  • first wire 10 positioned at the second bending point R'1 is bent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210 as shown in FIG. 15, and then the second bending point R'1.
  • the first wire 10 arriving at the first starting point S1 may be partially connected by welding or the like to form a part of an inner structure of the connecting stent 100 as shown in FIG. 10.
  • connection stent 100 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eave another second wire 20 in the same way based on different second starting point (S2, a 3 / b 8 )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and sufficient expansion force.
  • the connection stent 100 of the reinforced form can be manufactured and a specific method related thereto is as described below.
  • the ad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ng stent 100 through the second wi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fference fro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ng stent 100 through the first wire 10 mentioned above, and overlapping. The description will be brief or omitted.
  • the second wire 20 is zigzag from the second starting point S2, a 3 / b 8 of the jig end to the third point f4, a 1 / b 10 of the other end of the jig. Bend to move.
  • the second starting point S2 is position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S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nd more specifically,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S1. It is preferable to correspond to a position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is moved by an odd colum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method feature for forming a portion of the body 110 by alternating the third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third spaced step in the second wire descending step (S500) according to the first wi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orresponds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method feature of the first wire descending step (S1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econd transition point c1 and a 3 / b 10 of the other end of the jig is moved down from the third point f4 located after descending through step S500 and forming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 the process of forming the lower second head constituting a part of the lower head 130 is repeated by repeating the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2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 the second wire 20 is connected from the second switching point c1 of the other end of the jig located through the step S600 to the fourth point f'4, a 1 / b 8 of the jig end. It bends and moves zigzag.
  • the method feature for forming a part of the body 110 by alternating the fourth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fourth separation step in the second wire rising step (S700) according to the first wi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orresponds in the same manner to the above description about the method feature of the first wire raising step (S3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head is moved up through the step S700 and is formed after forming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from the fourth point f'4 located at the end of the jig to the second starting point S2.
  • the process of forming the upper second head constituting a part of the upper head 120 is repeated by repeating the pattern of zigzag bending the second wire 2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ing member 220.
  • the second wire 20 arriving at the second start point S2 is connected to the finish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2, to form a partial outer structure of the stent 100.
  • the inner structure completed by the first wire 10 and the outer structure completed by the second wire 20 are consequently the entire connecting stent 100 as shown in FIGS. 18 and 1. Indicates.
  • the connecting stent 100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ructure by cross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region constituting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ng stent 100 has each structural feature do.
  • the body 110 in the connecting stent 100 has a specific circumference dividing line a 1, a 2, a 8 , as shown in FIGS. 17 and 18.
  • a 9 the intersection of the wires located on the 9 ) forms a cross-section of the cross shape 30, and the war crossing on the remaining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wraps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ins P to form a circular ring.
  • the part 35 is formed.
  • the two pairs of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a 1 and 2) facing each other when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tent 100 of the developed view shown in FIG. 17 are implemented as a hollow cylindrical stent.
  • a 8 , a 2 and a 9 the wire crossing shape on the 9 ) has a sufficient variability to be formed between the different tissues in the body by forming the cross section 30 to form a bypass path for each shape, and a long diameter after the stent expansion Provide sufficient inflation force to maintain.
  • the body portion 110 of the connecting stent 100 completed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lose to zero by forming a bypass path between heterogeneous tissues based on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With the axial force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vel of the stent and the radial force to expand out of the high level of the st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with low fatigue of wires, as well as securing the lumen of the constriction site. It can be extended fo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 the upper and lower heads 120 and 130 having annular stepped portions 121 and 131 and curved head shapes 122 and 132 through the upper head forming member 220 and the lower head forming member 230. Since the upper and lower heads 120 and 130 are disposed inside the heterogeneous tissues respectively, sufficient separation prevention is ensured, and the degree of tissue damage that may occu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ssue where the wires forming the heads are installed is reduced. It can be effective.
  • connection stent 100: connection stent
  • connection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200: connection stent manufactur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ndoscop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헤드; 및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헤드 및 하부 헤드는 각각 이종의 조직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여 우회경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우회경로의 유지를 위한 충분한 팽창력 및 최소의 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여 우회 경로를 형성하는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설치되는 각종 기관 및 내강의 크기 및 성질, 환경에 따라 그 용도에 맞게 형성됨으로써, 내강의 협착에 의한 물질의 흐름의 차단 혹은 저해를 해결하고, 내강의 충분한 직경 확보를 오랜 기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 외에도 최근에는 스텐트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사용 형태가 제시되고 있는데, 확장을 통한 물질 이동 통로의 직경 회복 외에도 다양한 외과용 기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거나, 외과용 기기의 추가적인 이동경로 생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를 협착 부위 확장 외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0413호의 "문합술용 스텐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통로를 형성하여 이종의 장기를 접합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문합적이 목적으로 사용되어 이종의 장기를 밀착시켜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고 몸체 양 단부로부터 확장된 플래어파트가 둔각으로 벌어져 형성됨으로써,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어려웠으며,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어려워 설치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은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와이어 교차 형태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져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내시경과 같은 외과용 기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 직경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엮어서 내시경을 비롯한 외과 기기의 이동에 충분한 경로 직경의 마련 및 형성된 경로의 구조적 안정성을 구비하고 있는 연결용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는, 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헤드; 및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헤드 및 하부 헤드는 각각 이종의 조직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헤드는,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헤드는,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부분; 상기 제4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5부분; 및 상기 제5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6부분;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며, 상기 제4부분은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진다.
여기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4부분은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구부려져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은, 제조되는 연결용 스텐트의 몸체와 동일한 지름(R)을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상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까지 상기 지그의 일단측 외주면상에 돌출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상기 제1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C단계;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지그의 타단측 외주면상에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와 대향되게 돌출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한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제1전환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1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환형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B-1단계; 상기 B-1단계의 제1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1절곡점으로부터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1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1절곡점으로 돌아오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1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1절곡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2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환형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D-1단계; 상기 D-1단계의 제2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2절곡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2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상기 상부 절곡부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1절곡점으로 돌아오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2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2절곡점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은,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3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E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까지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F단계;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4지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상기 제2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G단계; 및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H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한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E-1단계; 및 상기 E-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E-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E-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G-1단계; 및 상기 G-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G-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G-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를 번갈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3지점은 상기 제2전환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F단계는, 상기 제3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3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하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F-1단계; 상기 F-1단계의 제3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3절곡점으로부터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3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3절곡점으로 돌아오는 F-2단계; 및 상기 F-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3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3절곡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전환점에 위치시키는 F-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H단계는, 상기 제4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4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상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H-1단계; 상기 H-1단계의 제4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4절곡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내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4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상부 만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4절곡점으로 돌아오는 H-2단계; 및 상기 H-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4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4절곡점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시작점에 위치시키는 H-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어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는 스텐트는,
첫째, 내시경을 비롯한 인체 내 수술을 위해 삽입되는 기기의 이동 경로를 단축시키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이와 같이 형성된 우회 경로를 통해 체액을 비롯한 각종 체내 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몸체를 이루는 와이어의 엮기 구조가 0에 가까운 수준의 축력(Axial force) 및 높은 수준의 팽창력(Radial force)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설치 후 오랜 시간 확장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는 우회 경로의 우수한 내구성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몸체 단부의 헤드가 몸체로부터 직교에 가까운 형태로 구부러져 확장됨으로써, 이종의 조직 내측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어 이탈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헤드의 단부로 갈수록 와이어의 교차 형태가 만곡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설치된 조직 내측면 상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양 헤드 부분의 와이어에 의한 조직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 내 상부 헤드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 하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 상승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 상의 제1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8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 상의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연결용 스텐트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은 몸체(110); 상부 헤드(120); 및 하부 헤드(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금속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몸체(110)의 형태 및 이와 같은 몸체(110)를 구성하는 와이어 간의 교차에 의해 개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셀 구조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헤드(120)는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110)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헤드(120)의 형상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부러져 벌려짐으로써 환형의 단턱을 형성한 뒤, 그 부분으로부터 일단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다가 다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만곡된 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헤드(120)는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121), 이와 같은 제1부분(121)으로부터 몸체(110)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122) 및 제2부분(122)으로부터 몸체(110)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부분(121)은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1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환형(環形)의 일면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121)은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형태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부분(123)의 제2부분(122)의 단부로부터 감소된 직경은 결과적으로 몸체(110)에 비해서는 확장된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헤드(130)는 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몸체(110)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헤드(130)의 형상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부러져 벌려짐으로써 환형의 단턱을 형성한 뒤, 그 부분으로부터 타단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다가 다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만곡된 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헤드(130)는 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부분(131), 이와 같은 제4부분(131)으로부터 몸체(110)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5부분(132) 및 제5부분(132)으로부터 몸체(110)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6부분(1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4부분(131)은 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1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환형(環形)의 일면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4부분(131)은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형태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4부분(13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헤드(120)의 제1부분(121)와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α)로 구부려져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6부분(133)의 제5부분(132)의 단부로부터 감소된 직경은 결과적으로 몸체(110)에 비해서는 확장된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몸체(110)의 양 단부측에 형성된 상부 헤드(120) 및 하부 헤드(130)는 각각 이종의 조직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는 이종의 조직 사이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 형태를 도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헤드(120)는 제1조직의 내벽(T1)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하부 헤드(130)는 제2조직의 내벽(T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몸체(110)는 중공의 원통으로 마련되어 설치된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는 하나의 통로로서 사용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의 이동을 위한 우회(Bypass) 경로로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내시경을 우회경로를 통해 이동하여 제2조직 내 체액을 비롯한 체내 다양한 물질에 대한 배액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시경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몸체(110)의 직경은 내기경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울러, 상부 헤드(120) 및 하부 헤드(130)는 구부러져 몸체(110)의 양 단부에서 구부려져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 제1부분(121) 및 제4부분(131)으로부터 양 단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헤드의 형상을 완성하는 부분(122 및 123, 132 및 133)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을 확장한 후 다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설치된 각각의 조직 내에서 구조적 안전성을 갖출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10)의 양단부로부터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져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121) 및 제4부분(131)은 설치된 제1조직의 내벽(T1) 및 제2조직의 내벽(T2)으로부터 안정적이며 좀 더 높은 이탈방지성을 연결용 스텐트(100)에 부여한다.
또한, 제1부분(121) 및 제4부분(131)으로부터 양 단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122) 내지 제3부분(123), 제5부분(132) 내지 제6부분(133)의 측단면 기준으로 만곡되게 테이퍼진 형태는 제1조직의 내벽(T1) 및 제2조직의 내벽(T2)과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연결용 스텐트(100)의 설치 또는 설치 후 움직임에 의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연결용 스텐트(100)는 내부면 혹은 외부면을 감싸며,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막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올레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 없이 피막에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연결용 스텐트(100)를 이루는 몸체(110), 상부 헤드(120) 및 하부 헤드(130)의 중 적어도 하나는 체내 설치된 연결용 스텐트(100)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미도시)가 와이어 외주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미도시)는 X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를 통해 연결용 스텐트(100)의 체내 삽입 시 가시성을 확보시켜 줌으로써 설치 부위에 연결용 스텐트(100)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2.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9의 순서도 및 도4 내지 도18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6 내지 도15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연결용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 중 제1와이어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전개도 상에 도시된 점선은 기 진행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실선은 각 도면의 해당 단계에서 진해되어 지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연결용 스텐트(100)의 제조에 기반이 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 장치(2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10);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를 통해 마련된다.
여기서, 지그(210)는 제조되는 연결용 스텐트(100)의 몸체(110)와 동일한 지름(R) 및 소정의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 a2, a3, …, a14)과 길이분할선(b1, b2, b3,…, b20)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P)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는 몸체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헤드(120)의 형상을 결정하는 외형틀로써, 지그(210)의 일단측 외주면상에 관통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h1)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는 지그(2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환형의 하면을 형성하여 단턱을 마련하는 상부 절곡부(221) 및 상부 절곡부(221)로부터 지그(210)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이 확장되는 환형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다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222)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읠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h1)은 상부 만곡부(22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는 몸체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헤드(130)의 형상을 결정하는 외형틀로써, 지그(210)의 타단측 외주면상에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와 대향되도록 관통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h2)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는 지그(2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환형의 하면을 형성하여 단턱을 마련하는 하부 절곡부(231) 및 하부 절곡부(231)로부터 지그(210)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이 확장되는 환형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다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232)로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읠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h2)은 하부 만곡부(23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그(210),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 및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로 이루어진 연결용 스텐트 제조 장치(20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그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P)을 경유하도록 제1와이어(10)를 상, 하로 절곡 이동시켜 교차가 일어나게 하여 셀을 형성함으로써 연결용 스텐트(100)를 제조한다.
(1)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시작점(S1, a2/b8)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지점(F4, a14/b10)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작점(S1)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3/b7)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7/b7)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4, a14/b10)에서 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지점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 F4)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4)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1지점(F4)은 제1전환점(C1, a2/b10)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 F4)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F2)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2)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S100단계를 통해 하강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1지점(F4)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C1, a2/b10)까지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의 외주면을 따라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F4)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가 지그(210)와 이루는 접선 중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1절곡점(R1, a1/b11)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의 환형(고리형태)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절곡부(231)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제1하부 절곡단계;를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뒤, 제1절곡점(R1)으로부터 구부러진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1절곡점(R1)으로부터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h2) 상의 위치점 중 제1절곡점(R1)의 원주분할선(a1)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a4)과 대응되는 위치점(a4/h2)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하부 절곡부(231)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23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4/h2)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하부 만곡부(23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1절곡점(R1)으로 돌아오는 하부 헤드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제1절곡점(R1)에 위치한 제1와이어(10)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1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제1절곡점(R1)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1전환점(C1)에 위치시키는 제2하부 절곡단계;가 진행되어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를 마친다.
(3)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C1)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지점(F'4, a14/b8)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점(C1)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3/b11)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7/b11)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2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4, a14/b8)에서 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2지점은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 F'4)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4)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2지점(F'4)은 제1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 F'4)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F'2)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4)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S300단계를 통해 상승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2지점(F'4)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S1)까지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의 외주면을 따라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점(F'4)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가 지그(210)와 이루는 접선 중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2절곡점(R'1, a1/b7)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헤드 형성부재(230)의 환형(고리형태)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절곡부(221)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제1상부 절곡단계;를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뒤, 제2절곡점(R'1)으로부터 구부러진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2절곡점(R'1)으로부터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h1) 상의 위치점 중 제2절곡점(R'1)의 원주분할선(a1)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a4)과 대응되는 위치점(a4/h1)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부 절곡부(221)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22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4/h1)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부 만곡부(22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2절곡점(R'1)으로 돌아오는 상부 헤드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제2절곡점(R'1)에 위치한 제1와이어(10)를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1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제2절곡점(R'1)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1시작점(S1)에 위치시키는 제2상부 절곡단계;가 진행되어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를 마친다.
이와 같이 다시 제1시작점(S1)에 도착한 제1와이어(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을 통해 마무리 연결되어 연결용 스텐트(100)의 일부 내측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과정을 통해 형성된 연결용 스텐트(100)는 구조적 안정성 및 충분한 팽창력 제공을 위해 또 다른 제2와이어(20)를 상이한 제2시작점(S2, a3/b8)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엮어 보강된 형태의 연결용 스텐트(100)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와이어(20)를 통한 연결용 스텐트(100)의 추가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와이어(10)를 통한 연결용 스텐트(100)의 제조방법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5)제2와이어 하강 단계<S500>
본 단계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2, a3/b8)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3지점(f4, a1/b10)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시작점(S2)은 제1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와이어 하강 단계(S500) 내 제3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3이격단계를 번갈아가며 진행하여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와이어(10) 따른 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의 방법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
본 단계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00단계를 통해 하강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3지점(f4)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c1, a3/b10)까지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의 외주면을 따라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의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를 이용해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교차함으로써, 하부 헤드(13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와이어(10) 따른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의 방법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7)제2와이어 상승 단계<S700>
본 단계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00단계를 통해 위치한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c1)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4지점(f'4, a1/b8)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와이어 상승 단계(S700) 내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4이격단계를 번갈아가며 진행하여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와이어(10) 따른 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의 방법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8)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
본 단계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700단계를 통해 상승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4지점(f'4)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2)까지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의 외주면을 따라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의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를 이용해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교차함으로써, 상부 헤드(12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와이어(10) 따른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의 방법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다시 제2시작점(S2)에 도착한 제2와이어(2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을 통해 마무리 연결되어 스텐트(100)의 일부 외측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이렇게 제1와이어(10)에 의해 완성된 내측 구조와 제2와이어(20)에 의해 완성된 외측 구조는 결과적으로 도18 및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용 스텐트(100) 전체를 나타낸다.
3. 제조된 스텐트의 특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연결용 스텐트(100)의 경우, 상기 기재된 방법을 통해 교차되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연결용 스텐트(100)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영역이 각각의 구조적 특징을 구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용 스텐트(100) 내 몸체(110)는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 a2, a8, a9) 상에 위치한 와이어의 교차 방식은 서로 엇갈린 형태의 교차부(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분할선 상의 와어어 교차 방식은 돌출핀(P)의 양쪽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진행되어 원형고리부(35)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1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 a2, a8, a9)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두 개의 교차점에서 와이어가 끼워지듯이 교차되어 두 겹으로 겹쳐지고, 중앙에는 돌출핀(P)에 의해 가운데가 빈 원형고리부(3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원형고리(35)는 이종의 조직 간을 연결하여 우회경로를 형성하는 몸체(110)의 설치에 따른 전체 구조 변화 시 셀 형태 변화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준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전개도의 연결용 스텐트(100) 양끝 선을 연결하여 중공의 원통형 스텐트로 구현해 보았을 때 마주보는 두 쌍의 원주분할선(a1 a8, a2 a9)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는 교차부(30)를 형성함으로써, 체내 이종의 조직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형태에 맞게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가변성을 가지며, 스텐트의 확장 후에는 일정 직경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팽창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완성된 연결용 스텐트(100)의 몸체부(110)는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기반으로 이종의 조직 사이에 우회 경로를 적합하게 형성하여 위치하여, 0에 가까운 수준의 스텐트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력(Axial force) 및 높은 수준의 스텐트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작용력(Radial force)을 가지고 있어 와이어의 피로도가 낮은 우수한 내구성을 마련할 수 있어, 협착 부위의 내강 확보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오랜 시간 확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헤드 형성부재(220) 및 하부 헤드 형성부재(230)를 통해 환형의 단턱(121, 131)과 만곡된 형태의 헤드 외형(122, 132)를 갖춘 상, 하부 헤드(120, 130)가 형성됨으로써, 각각 이종의 조직 내측에 배치되는 상, 하부 헤드(120, 130)가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와 헤드 부분을 이루는 와이어가 설치된 조직 내측면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조직 손상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연결용 스텐트
110 : 몸체
120 : 상부 헤드
121 : 제1부분
122 : 제2부분
123 : 제3부분
130 : 하부 헤드
131 : 제4부분
132 : 제5부분
133 : 제6부분
200 : 연결용 스텐트 제조장치
210 : 지그
220 : 상부 헤드 형성부재
221 : 상부 절곡부
222 : 상부 만곡부
230 : 하부 헤드 형성부재
231 : 하부 절곡부
232 : 하부 만곡부
P : 돌출핀
10 : 제1와이어
20 : 제2와이어
30 : 교차부
35 : 원형고리부

Claims (17)

  1. 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헤드; 및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헤드 및 하부 헤드는 각각 이종의 조직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헤드는,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헤드는,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부분;
    상기 제4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5부분; 및
    상기 제5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타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6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며,
    상기 제4부분은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8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4부분은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로 구부려져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5. 제조되는 연결용 스텐트의 몸체와 동일한 지름(R)을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까지 상기 지그의 일단측 외주면상에 돌출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상기 제1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C단계;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지그의 타단측 외주면상에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와 대향되게 돌출 결합되며, 일측 원주를 따라 설정한 헤드 길이분할선 상에서 상기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제1전환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1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환형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B-1단계;
    상기 B-1단계의 제1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1절곡점으로부터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1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1절곡점으로 돌아오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1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1절곡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2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환형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D-1단계;
    상기 D-1단계의 제2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2절곡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2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상기 상부 절곡부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후 다시 축소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1절곡점으로 돌아오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2절곡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2절곡점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은,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3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E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까지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F단계;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4지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상기 제2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G단계; 및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H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E-1단계; 및
    상기 E-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E-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E-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G-1단계; 및
    상기 G-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G-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G-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점은 상기 제2전환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짝수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제3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3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하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F-1단계;
    상기 F-1단계의 제3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3절곡점으로부터 상기 하부 헤드 형성부재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3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하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3절곡점으로 돌아오는 F-2단계; 및
    상기 F-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3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3절곡점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전환점에 위치시키는 F-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는,
    상기 제4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재가 상기 지그와 이루는 접선 중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켜 위치시킨 제4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상부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리는 H-1단계;
    상기 H-1단계의 제4절곡점으로부터 구부러진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제4절곡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헤드 형성부내 내 설정된 헤드 길이분할선 상의 위치점 중 상기 제4절곡점의 원주분할선 기준으로 3칸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원주분할선과 대응되는 위치점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상부 만곡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상기 상부 만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제4절곡점으로 돌아오는 H-2단계; 및
    상기 H-2단계를 통해 다시 위치한 상기 제4절곡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지그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부러트린 뒤, 상기 제4절곡점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시작점에 위치시키는 H-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제조방법.
PCT/KR2015/004718 2015-02-04 2015-05-12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1259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01,168 US10349944B2 (en) 2015-02-04 2015-05-12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580018516.1A CN106456308B (zh) 2015-02-04 2015-05-12 用于连接的支架及其制造方法
ES15881269T ES2960258T3 (es) 2015-02-04 2015-05-12 Endoprótesis de un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EP15881269.3A EP3254643B1 (en) 2015-02-04 2015-05-12 Linking sten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JP2016554717A JP6355115B2 (ja) 2015-02-04 2015-05-12 連結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5/988,740 US10617421B2 (en) 2015-02-04 2018-05-24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323 2015-02-04
KR1020150017323A KR101696810B1 (ko) 2015-02-04 2015-02-04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301,168 A-371-Of-International US10349944B2 (en) 2015-02-04 2015-05-12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5/988,740 Division US10617421B2 (en) 2015-02-04 2018-05-24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5951A1 true WO2016125951A1 (ko) 2016-08-11

Family

ID=5656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4718 WO2016125951A1 (ko) 2015-02-04 2015-05-12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349944B2 (ko)
EP (1) EP3254643B1 (ko)
JP (1) JP6355115B2 (ko)
KR (1) KR101696810B1 (ko)
CN (2) CN106456308B (ko)
ES (1) ES2960258T3 (ko)
WO (1) WO20161259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636A (zh) * 2018-11-07 2019-01-15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覆膜复合支架
JP2019523024A (ja) * 2016-12-15 2019-08-22 ビーシーエ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端部の抵抗力が強化された医療用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89B1 (ko) * 2014-05-13 2016-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KR101696810B1 (ko) *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ES2941350T3 (es) * 2016-06-23 2023-05-22 Mi Tech Co Ltd Endoprótesis multiorificio para órganos del sistema digestivo
US10799378B2 (en) 2016-09-29 2020-10-13 Merit Medical Systems, Inc. Pliant members for receiving and aiding in the deployment of vascular prostheses
EP3595594A4 (en) * 2017-03-15 2021-04-21 Merit Medical Systems, Inc. TRANSLUMINAL STENTS AND RELATED PROCESSES
WO2018170066A1 (en) 2017-03-15 2018-09-20 Merit Medical Systems, Inc. Transluminal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CN115738030A (zh) * 2017-06-20 2023-03-07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用于创建永久性引流瘘管的系统和方法
DE102017117439B4 (de) * 2017-08-01 2021-05-20 Novatech Sa Stent
DE102019101238B8 (de) * 2019-01-17 2020-08-06 Stebo Sondermaschinenbau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flochtenen Einfadenstents, Vorrichtung und Flechtkern hierfür sowie geflochtener Einfadenstent
WO2020259492A1 (zh) * 2019-06-25 2020-12-30 杭州诺生医疗科技有限公司 房间隔造口装置
KR102351512B1 (ko) 2019-06-27 2022-01-17 (의료)길의료재단 설치 위치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비강 스텐트
CN111118729B (zh) * 2020-01-10 2021-06-01 江苏唯德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支架编织方法及使用该方法制成的支架
US11801369B2 (en) * 2020-08-25 2023-10-31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interatrial shu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4231973A1 (en) 2020-10-26 2023-08-30 Merit Medical Systems, Inc. Esophageal stents with helical thread
CN115844606A (zh) * 2021-09-24 2023-03-28 微创优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用于肠道的支架及其编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201A (ja) * 2002-11-20 2006-02-23 ユーヌ・ブージェムラン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WO2011059190A2 (ko) * 2009-11-11 2011-05-19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01076721B1 (ko) * 2009-07-06 2011-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03710A1 (en) * 2011-10-25 2014-10-09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Nanjing Medical University Recyclable and adjustable interventional stent for intravascular constriction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0983B1 (en) * 1998-03-31 2003-02-18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US6468303B1 (en) 2000-03-27 2002-10-22 Aga Medical Corporation Retrievable self expanding shunt
KR100457630B1 (ko) *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US6620122B2 (en) * 2001-04-26 2003-09-16 Scimed Life Systems, Inc. Gastric pseudocyst drainage and stent delivery system for use therein
US6675809B2 (en) * 2001-08-27 2004-01-13 Richard S. Stack Satiation devices and methods
US7001425B2 (en) * 2002-11-15 2006-02-21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st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EP2286771B1 (en) * 2003-05-23 2016-05-11 Boston Scientific Limited Stents with attached looped ends
CN1741773A (zh) * 2003-07-29 2006-03-01 太雄医疗器株式会社 自膨胀支撑器
WO2006124541A2 (en) * 2005-05-13 2006-11-23 Boston Scientific Limited Integrated stent repositioning and retrieval loop
KR100633020B1 (ko) *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CN2845770Y (zh) * 2005-09-09 2006-12-13 沈刚 医疗支架
CA2634358A1 (en) * 2005-12-22 2007-06-28 Symetis Sa Stent-valves for valve replacement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rgery
WO2007079153A2 (en) * 2005-12-29 2007-07-12 Wilson-Cook Medical Inc. A hybrid intraluminal device with varying expansion force
KR100664531B1 (ko) * 2006-01-26 2007-01-0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EP1849440A1 (en) * 2006-04-28 2007-10-31 Younes Boudjemline Vascular stents with varying diameter
CN200939184Y (zh) * 2006-08-22 2007-08-29 茅爱武 由异型丝材编织的医用支架
US20090082803A1 (en) 2007-09-26 2009-03-26 Aga Medical Corporation Braided vascular devices having no end clamps
US8454632B2 (en) 2008-05-12 2013-06-04 Xlumena, Inc. Tissue anchor for securing tissue layers
US8156445B2 (en) 2008-06-20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d interaction with heterogeneous data
FR2941858B1 (fr) * 2009-02-10 2011-03-11 Charam Khosrvaninejad Dispositif chirurgical apte a realiser la protection temporaire d'une anastomose
WO2010111666A1 (en) * 2009-03-26 2010-09-30 Taheri Laduca Llc Vascular implants and methods
US9381041B2 (en) * 2009-04-21 2016-07-05 Xlumen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across adjacent tissue layers
WO2011068262A1 (ko) * 2009-12-03 2011-06-09 주식회사 엠아이텍 담도용 스텐트
EP2563290B1 (en) * 2010-04-30 2020-09-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ingle wire stent
KR101160646B1 (ko) * 2010-05-14 2012-06-29 신경민 위 절제 후 음식물 의한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KR20110125785A (ko) * 2010-05-14 2011-11-22 (주) 태웅메디칼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KR101845115B1 (ko) * 2010-12-13 2018-04-03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스텐트
KR101330825B1 (ko)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1382524B1 (ko) * 2012-02-27 2014-04-07 국립암센터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KR101320480B1 (ko) * 2012-03-19 2013-10-23 주식회사 엠아이텍 플렉서블 스텐트
KR101501614B1 (ko) * 2012-03-29 2015-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합술용 스텐트
CN102973341B (zh) * 2012-11-08 2015-06-1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KR101498584B1 (ko) * 2013-05-15 2015-03-04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이동방지용 스텐트
CN103462728B (zh) * 2013-09-13 2018-07-31 徐州亚太科技有限公司 一种经导管植入的人工主动脉瓣支架及其输送系统
US20150342760A1 (en) * 2014-06-02 2015-12-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nti-migration stent
KR101557010B1 (ko) * 2014-07-11 2015-10-02 주식회사 비씨엠 커버드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KR101488972B1 (ko) * 2014-09-12 2015-02-02 (주)시지바이오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CN104257442B (zh) * 2014-09-25 2017-01-25 北京迈迪顶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介入置换瓣膜及其可控输送装置
KR101657648B1 (ko) * 2014-10-21 2016-09-19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스텐트
KR101696810B1 (ko) *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44373A (ko) * 2015-08-26 2018-05-02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부비동 및 코 스텐트
CN105250058B (zh) * 2015-10-26 2017-08-29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管腔编织支架
CA3001618A1 (en) * 2015-10-30 2017-05-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bonding region
KR101785042B1 (ko) * 2016-02-15 2017-10-12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CN110742709B (zh) * 2016-03-18 2022-06-28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主动脉裸支架及主动脉夹层支架
WO2018125794A1 (en) * 2016-12-29 2018-07-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formed from polymer filaments
US10945866B2 (en) * 2017-08-14 2021-03-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s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201A (ja) * 2002-11-20 2006-02-23 ユーヌ・ブージェムラン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KR101076721B1 (ko) * 2009-07-06 2011-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059190A2 (ko) * 2009-11-11 2011-05-19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US20140303710A1 (en) * 2011-10-25 2014-10-09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Nanjing Medical University Recyclable and adjustable interventional stent for intravascular constri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NMOELLER, K. F. ET AL.: "A Kit for EUS-Guided Access and Draninage of Pancreatic Pseudocysts: Efficacy in a Porcine Model", ENDOSCOPIC ULTRASOUND, vol. 1, no. 3, 2012, pages 137 - 140, XP05533328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3024A (ja) * 2016-12-15 2019-08-22 ビーシーエ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端部の抵抗力が強化された医療用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EP3556326A4 (en) * 2016-12-15 2020-07-08 BCM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MEDICAL STENT HAVING ENHANCED RESISTANCE END PORTION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WITH
CN109199636A (zh) * 2018-11-07 2019-01-15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覆膜复合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8526A (ja) 2017-03-30
KR20160095853A (ko) 2016-08-12
US10349944B2 (en) 2019-07-16
US10617421B2 (en) 2020-04-14
CN106456308A (zh) 2017-02-22
ES2960258T3 (es) 2024-03-01
KR101696810B1 (ko) 2017-02-01
JP6355115B2 (ja) 2018-07-11
EP3254643A1 (en) 2017-12-13
CN107736908A (zh) 2018-02-27
US20180263626A1 (en) 2018-09-20
US20170014133A1 (en) 2017-01-19
EP3254643A4 (en) 2018-08-22
CN106456308B (zh) 2018-02-02
CN107736908B (zh) 2020-08-14
EP3254643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5951A1 (ko)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42253A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EP0547656B1 (en) Enclosure assembly for elongate cylindrical objects such as electric cable splices
WO2020060134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13141441A1 (ko) 플렉서블 스텐트
WO2021040376A1 (ko) 유연 구동 장치
JPH05217445A (ja) 細長い円筒状物の包囲組立体
JPH02269408A (ja) ケーブルの接続を達成する装置の要素,該要素によって得られるケーブルの接続、および該接続用ケーブルの心線間連接部の被覆
WO2012144843A2 (ko)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WO2011059190A2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WO2018212517A1 (ko) 다관절 지지부재
WO2017222090A1 (ko) 소화기용 멀티홀 스텐트
WO2018095090A1 (zh) 防短缩覆膜支架及其制作方法
ITMI941018A1 (it) Procedimento per realizzare manicotti elastomerici di rivestimento per giunzioni di cavi elettrici e relativo manicotto
WO2017209407A1 (ko)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WO2024043652A1 (ko) 콘크리트구조에서의 체결 시스템 및 체결 방법
WO2015182886A1 (ko) 내시경 관절구조
WO2011043500A1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7175A1 (ko)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WO2017086605A1 (ko) 이중 구조 스텐트
WO2016093601A1 (ko) 생분해성 스텐트 및 이의 형상기억 확장방법
WO2018199648A1 (ko) 배액용 카테터
WO2023096438A1 (ko) 구름 관절 장치
WO2017196134A1 (en) Asymmetrical-cuffed oral or nasal endotracheal tube
WO2018012752A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이 내,외벽 또는 양쪽 측벽과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5471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812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812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12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0116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