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9190A2 -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9190A2
WO2011059190A2 PCT/KR2010/007433 KR2010007433W WO2011059190A2 WO 2011059190 A2 WO2011059190 A2 WO 2011059190A2 KR 2010007433 W KR2010007433 W KR 2010007433W WO 2011059190 A2 WO2011059190 A2 WO 201105919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sition point
pin position
stent
pattern por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74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59190A3 (ko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ublication of WO201105919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9190A2/ko
Publication of WO201105919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919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which is an expansion mechanism for widening the passage of the lumen in response to a lesion site by installing at the stenosis progression or narrowing part of the body lumen us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t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tent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has been disclosed in a number of forms, and in the case of a pre-application by the present applicant,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a certain length to cross-weave the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wire to have a rhombic space portion. Although provided with, both ends provided an expansion mechanism connected by welding.
  • the expansion mechanism always has elastic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unless it is forcibly suppressed by external force.
  • This expansion mechanism reduces the volume of the hollow cylindrical body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rhombic spaces during the procedure, and then inserts it into the lesion site of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guide tube, an auxiliary device, and a pusher catheter. Push it into the pusher catheter and push the lesion outward to expand the vessel.
  • the constant expansion mechanism is preferably used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lesion length and 10-30% larger depending on the use sit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body blood vessel.
  • the expansion mechanism can be used in a narrow blood vessel in the form of a relatively narrow blood vessel in the narrowing, the adsorption site of the body,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 function is poor because the vessel is severely curved.
  • the expansion mechanism cannot maintain the curved state of the blood vessel due to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straight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blood vessel is increased by returning to the straight (horizontal, vertical) state and the curved portion is straight (horizontal, vertical).
  • the passage of blood vessel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expansion mechanism in a displaced state is deformed into a narrower passage than the original, so that the original purpose is rather impaired.
  • the present applicant is an extension mechanism for widening the passage of the stenosis progression or stenosis by installing in the patent application Nos. 2001-18024, 18025, etc., and extending the passage of the stenosis progression or stenosis.
  •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18024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vention 1) describes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which are two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each other.
  • the wires cross each oth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bottom to the top while passing through the bending process at different positions to have a diagonal length of 2) and a diagonal length of 2l.
  • the intersecting straight portion has the same circumferential and longitudinal cross-linking so that the cross-shaped cross section has a resilient force against the contra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ross-linked portion which is mutually stagger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 the variable rhombic shape to be retractable.
  • a variable state-holding expansion mechanism is provided which partially forms between the parts.
  •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180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vention 2) uses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which are two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s, so that the primary expansion mechanism is the first wire of the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the primary expansion mechanism is the first wire of the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the variable rhombic space is formed, and the second wire constituting the secondary expansion mechanism passes through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along the top and bottom diagonally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first wire.
  • Variable hemp formed by the primary cylindrical expansion mechanism The secondary cylindrical expansion mechanism, which is configured to uniformly divide the rhombic space, provides a variable state-holding expansion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while acting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applicant's first and second inventions 1 and 2 have a variable rhombic space formed by the crossing portion and the crossing straight portion, which is a structure that is misaligned with the bending of the expansion mechanism, so as to have fluidity by external force, as in the case of blood vessels or biliary tracts.
  • the shape itself remains variable in the curved part that is structurally curved, and the diameter remains elastic so that it can be expanded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state of a series of strictures such as the esophagus, biliary tract, and urethra. will be.
  • the applicant's firs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woven so as to form only the crossing portion and the crossing straight portion, which is a structure that is bent and staggered, the chang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the shrink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severe.
  •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2 is the first wire is intertwined and formed so as to form only the cross-section and the crossing portion of the structure that is bent and staggered, and the second wire is woven in the second wire because it is woven so as to pass through the top and botto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prevents the change of stretching and shrink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variable efficiency at the bent portion is lowered,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the variable st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vious invention 1, as well as the circumferential elasticity is lowered to effectively push out and maintain the lesion si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reduced.
  • the diameter of the tube of the insertion device for the procedure is increased by inserting the expansion mechanism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in the small lumen.
  • the lengths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upper ends are the same length.
  •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constitutes the first stent to have a cross-sectional diamond-shaped space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first wire with the second wir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tent manufactured by the first wire.
  • the lengt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is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is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and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bottom portions are different.
  • a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second stent configured to have.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iameter of the tube insert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ert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insertion device by minimizing the circumferentially located rings or intersections while having two sufficient resistan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sion site. By doing so, it could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small diameter lume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jig for producing a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pin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in a jig.
  • 3 and 7 are exploded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tent is configured to the first stent to the first wire.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6a and 6b is a reference illustration showing the diver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dotted line of Figure 3;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9a and 9b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assembly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dotted line of Figure 7;
  •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ur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f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diamond shaped spac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 and 16 are exploded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econd stent with a second wire.
  • FIG.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ix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ven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igh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nin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n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enth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stent.
  • 22 is an exploded view of a second stent.
  • Figure 2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 24 and 2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wire 12 first pattern portion
  • first stent 102 second stent
  •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the jig (1) shown as shown in Figure 1, which is a groove (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ylindrical body (2) and the groove (3) constant The pins 4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are combined.
  • FIG. 2 is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above-described pin (4)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s through the process of each of the two arranged memory pins (4) An arrangement of pin arrangements showing how wires are hooked together or crossed by loops.
  • 3 to 15 are exploded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irst wire 10, wherein the first wire 10 is the above-described pin 4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which shows the order in which they form the form.
  • 16 to 20 are exploded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econd foreign language 11, wherein the first wire 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wire 10 are already woven. Passing through the pins (4) is shown in order to be configured with a coupling relationship.
  • FIG. 21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stent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with the first wire 10 above
  • FIG. 22 is a second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with the second wire 20 above. 102 is shown in full development.
  • FIG. 23 is an explod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ent 101 is manufactured by the first wire 10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second stent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the second wire 20 and then bonded to each other. It is.
  • the two wir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ring to maintain a coupling relationship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the lesion site while minimizing the number, and also the stent compl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s shown in FIGS. 25 and 26, when bent to one side, the ring bent portions formed by the respective wires move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bent state while deforming the space portion having the cross-sectional diamond shape.
  • the pins 4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ins 4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 the positions of the pins 4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set.
  • Pin location point (A1), Pin location point (A2) ?? Pin location point (A9), Pin location point (A10), the pin location point of the pin (4) loc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1), pin position point (B2) .... Pin position point (B23), pin position point (B24)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pin position point (A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jig 1 has a cylindrical shape
  • one more display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ns are arranged in one row to 24 row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uppermost row of one row and the lowest row of 24 rows have the pins 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horizontal spacing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re arranged at intervals "L” while the horizontal spacing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the interval "L", respectively.
  • the pins in columns 2 and 23, which are the remaining columns except for the first and 24 row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pins in the first and 24 rows by arranging the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intervals of “2L” respectively.
  • the pins are arranged in a half number, and the lateral spacing between rows 2 and 23 is spaced "1/2 L", and even rows (2 rows, 4 rows, 6 rows ... Pins in column 22), starting at the pin position point (A1) column and having a space of "2L", the pin position point (A3), pin position point (A5) column, pin position point (A7) column, and pin position point ( A9) are located along the row, and the pins in odd rows (3 rows, 5 rows, 7 rows ... 23 rows) start at the pin location point (A2) row and have a spacing "2L” at the pin location point (A4) row. It is located along the pin location point (A6), pin location point (A8), and pin location point (A10).
  • the arrangement of the pin is just to explain, for example to practice the stent to be comple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diamond consisting of the diameter size and length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anufactured
  • the number and size of the space portions of the shape can be reduced or added.
  •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is configured while forming the bent ring portion 11 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first wire 10 passing through the portion.
  • pin position point A9B8, pin position point A10B7, pin position point A1B8, pin position point A2B11, pin position point A3B8 and pin position point A4B11 are passed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8B7. It can be seen that passing through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o pass only another pin position point.
  •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having five identical patterns are woven so as to pass through different pin position points.
  • the pin position point A10B23 crosses the pin position point at which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while constituting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while the first wire 10 passes as described above.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 is formed.
  • the bent ring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that is previously bent. Af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wire 10 constituting the part 11, and then take the form to rise to the upper part again or pass through the upper part, and then pass the lower part again, the two bent ring parts ( 11) are staggered with each other.
  • This stabilization provides resistance to external forces, that is, the lesion site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lumen and pushes the lesion site outwardly to widen the lumen so that it can resist the lesion site that continues to work inward. Will be.
  • This staggering is a case where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a process of b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while passing through the pin location point or overlaps a process of bending downward from the top, as in the case of the pin position point A10B23 described above. Is always staggered, and also in the case of the second wire 20, the same stabiliz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 the thin solid line in FIG. 7 is shown with reference to the modified state of the first wire 10 which has bee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3.
  • pin point A1B24 After passing through the pin point A1B24, pin point A2B23, pin point A3B20, pin point A4B23, pin point A5B20, pin point A6B23, pin point (A7B20), the pin position point A8B23 and the pin position point A9B20 pass through.
  • the third pattern part 14 is configured in a zigzag form while being crossed by one column by three columns in a horizontal row.
  • the third pattern portion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3B20, the pin position point A4B23, the pin position point A5B20, the pin position point A6B23, the pin position point A7B20, and the pin position point A8B23.
  • the pin position points forming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 meet each other.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above pin position points, respectively, and is bent from the bottom up or through the process of bending down from the top.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s, respectively, and is ben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is bent from the bottom to form the bending portion 11.
  • the pin position point A2B23 does not form a bent portion 11 by forming a complete bent state, but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passes while maintaining the bend at a slight angle while passing left or right from the pin position point.
  • the first wire 10 may be passed by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r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9B20 while forming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pin position point A10B91, the pin position point A1B20, The pin position point A2B19, the pin position point A3B20, the pin position point A4B19, the pin position point A5B20 and the pin position point A6B19 are passed.
  • the first pattern part 15 is formed in a zigzag form while passing one column in a column and one column in a column.
  • the pin position point A9B20 passes through the first wire 10 that has already passed while maintaining some bending, as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ire 10 that has already passed or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Will be.
  • the fourth pattern part 15 includes a pin position point A10B19, a pin position point A1B20, a pin position point A2B19, a pin position point A3B20, a pin position point A4B19, and a pin position point ( A5B20 has a complete bent state and at the pin position point A1B20, the second pattern described above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the pin position point A3B20 and the pin position point A5B20.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portion 13 and the pin location point to meet each other.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s, respectively, through the bending process from the bottom up or through the bending process from the top down.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s, respectively, and is ben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goes through the process of b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bending part 11.
  • all of the bent ring portions 11 formed at the same pin position point are staggered as described above.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is constituted by being completely bent at a pin position point, and the bending ring portions 11 are always staggered with each other in the pinch. It will be omitted below.
  • the pin position point A1B16, the pin position point A2B19 and the pin position point A3B16 pass.
  • the bent ring portion at the pin position point (A8B19), pin position point (A10B19) and pin position point (A2B19) (11) is configured, and is staggered with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t the pin position point.
  •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9B16, and is formed at the bent ring portion 11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formed at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t the pin position point.
  • the bending ring part 11 is staggered.
  • the pin position point A5B12, the pin position point A6B15 and the pin position point A7B12 pass.
  • the bent ring portion at the pin position point (A2B15), pin position point (A4B15) and pin position point (A6B15) (11) is configured, and at the pin position point,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re staggered. do.
  • the position point A2B11, the pin position point A3B12 and the pin position point A4B11 are passed.
  • the bent ring portion 11 is configur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8B11)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0B11),
  •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9B12, the pin position point A1B12, the pin position point A2B11 and the pin position point A3B12 to form a third pattern portion (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14 and the bending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re staggered.
  • the pin position point A9B8, the pin position point A10B11,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B8 are passed through.
  • the pin position point (A5B8), pin position point (A6B11), pin position point (A7B8), pin position point ( A bend ring portion 11 is composed of A8B11), pin position point A9B8 and pin position point A10B11, and pin position point A6B11, pin position point A8B11, pin position point A9B8 and pin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at the position point A10B11 is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he bending ring portion configured in the fourth pattern portion 15 at the pin position point. 11) and staggered.
  • the pin pattern point A2B7, the pin position point A3B8, the pin position point A4B7, the pin position point A5B8, and the pin pass the pin position point A1B8 again while constituting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gain.
  • the position point A6B7, the pin position point A7B8 and the pin position point A8B7 are passed.
  • the pin position point A2B7, the pin position point A3B8, the pin position point A4B7, the pin position point ( A5B8), the pin point (A6B7), the pin point (A7B8) of the bent ring portion 11 is configured, the pin point (A3B8), pin point (A5B8) and pin point (A7B8)
  • the ring portion 11 is stagger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he bent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t the pin position point.
  • the pin position point A3B4, the pin position point A4B7 and the pin position point A5B4 are passed.
  • the pin position point (A9B4), pin position point (A10B7), pin position point (A1B4), pin position point ( A bent ring portion 11 is composed of A2B7), pin position point (A3B4) and pin position point (A4B7), and pin position point (A10B7), pin position point (A2B7), pin position point (A3B4), and pin position.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at the point A4B7 is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at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he bending ring portion 11 formed at the fourth pattern portion 15 at the pin position point. ) And staggered.
  • the pin pattern point A6B3, the pin position point A7B4, the pin position point A8B3, the pin position point A9B4, and the pin pas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5B4 again while constituting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gain.
  • the position point A10B3, the pin position point A1B4 and the pin position point A2B3 are passed.
  • the ring portion 11 is stagger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nd the bent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the third pattern portion 14 at the pin position point.
  • the fifth pattern as shown in FIG. 11 while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7B1, the pin position point A8B3, the pin position point A9B1, the pin position point A10B3,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B1 is attached.
  • the part 16 is comprised.
  •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the pin position point A4B3, the pin position point A6B3, The bent ring portion 11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8B3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0B3 has the bent ring portion 11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formed at the first pattern portion 12 at the pin position point.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14 is staggered.
  •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1B1 and forms the bent portion 11 while the end 60 of the first wire 10 is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eet the start end 50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1B1).
  • the assembly through the first wi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joining both ends of the meeting portions in necessary steps such as welding.
  • the stent manufactured through the first wire 10 does not constitute a complet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shown in FIG. 12, with one pin position point in the center except for the uppermost and the lowest insul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portion 70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diamon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bending ring portion 11 configured in the uppermost column B1 and the lowermost column B24 is configured at the uppermost and the lowermost stages, so there is no object for staggering while bending the uppermost and lowermost stages.
  • the stent does not mee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where the first wire 10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wire 20 or while constructing a bent ring portion thereon, the stent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 This configuration forms a sixth pattern portion 17 having four bent ring portions 11 at different positions, as shown in FIG. 14.
  •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6B13), pin position point (A5B14), pin position point (A3B10), pin position point (A2B13), pin position point Passed through (A1B10),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6B13), pin position point (A5B14), pin position point (A3B10), pin position point (A2B13), which is attached As shown in FIG. 14, it can be seen that it has the same pattern as the sixth pattern portion 17 having the four bent ring portions 11 at different positions.
  • the pin position point (A1B10) After passing the pin position point (A1B10) again, the pin position point (A10B9), pin position point (A9B10), pin position point (A8B9), pin position point (A7B6), pin position point (A6B9), pin position point ( A5B6) is passed, and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10B9, the pin position point A9B10, the pin position point A7B6, and the pin position point A6B9. As shown in FIG. 14, it can be seen that it has the same pattern as the sixth pattern portion 17 having the four bent ring portions 11 at different positions.
  • pin position point (A8B1), the pin position point (A7B2), the pin position point (A6B1), and the pin position point (A5B2) are subsequently passed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9B2) with the second wire (20).
  • the bent ring portion 11 formed in the column B1
  •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by bending.
  • FIG. 17 illustrates an eighth pattern portion 19 having the same as and attached thereto.
  • pin position point A8B5 pin position point A7B2, pin position point A6B5, pin position point A5B2, pin position point A4B5, pin position point A3B2 )
  • the pin position point A8B5 the pin position point A7B2, the pin position point A6B5, the bent ring portion 11 at the pin position point A5B2, the pin position point A40B5, and the pin position point A3B2.
  • the bent ring portion 11 form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7B2, the pin position point A5B2 and the pin position point A3B2 is a bent r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venth pattern portion 18. 11) You can do a mismatch.
  • pin position point (A1B6) Again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1B6), pin position point (A10B5), pin position point (A9B6), pin position point (A8B5), pin position point (A7B6), pin position point (A6B5) to pin position point (A5B6) Will pass.
  • the twelfth pattern portion 32 constitutes an excitation, which is shown in FIG. 19.
  • the bent ring portion 11 positioned at the pin position point A10B5 and the pin position point A7B6 of the tenth pattern portion 32 is the pin position point A10B5 and the pin of the sixth pattern portion 17.
  • the bent ring portion 11, which is stagger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11 positioned at the position point A7B6, is constituted by the pin position point A8B5 and the pin position point A6B5 of the tenth pattern portion 32. Is misalign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11 constituted by the pin position point A8B5 and the pin position point A6B5 of the ninth pattern portion 31.
  • the offset is always configured at the pin position point of the point forming the bent ring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t the pin position point at the same position.
  • pin position point (A4B9), pin position point (A4B9), pin position point (A3B6), pin position point (A2B9), pin position point (A1B6), pin position point (A10B9), and pin position point (A9B6) At the pin location A8B9.
  • bent ring portion 11 is staggered with each other at the pin position points overlapping each other.
  • pin position point (A8B9) pin position point (A7B10), pin position point (A6B9), pin position point (A5B10), pin position point (A4B9), pin position point (A3B10), pin position point At (A2B9), it passes the pin position point (A1B10).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7B10, the pin position point A6B9, the pin position point A5B10, the pin position point A4B9, the pin position point A3B10, and the pin position point A2B9.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ituent tenth pattern portion 32 is configured, and it is natural that the bent ring portion 11 intersects with the bent ring portion of the other pattern portion at the pin positions where the bent ring portions 11 overlap each other.
  • pin position point A4B13 After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1B10, pin position point A10B13, pin position point A9B10, pin position point A8B13, pin position point A7B10, pin position point A60B13, pin position point A5B10 ) Passes the pin position point (A4B13).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10B13, the pin position point A9B10, the pin position point A8B13, the pin position point A7B10, the pin position point A6B13, and the pin position point A5B1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ninth pattern portion 31 as shown in FIG. 18.
  • bent ring portion 11 is overlapp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of the other pattern portion at the pin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3B14, the pin position point A2B13, the pin position point A1B14, the pin position point A10B13, the pin position point A9B14, and the pin position point A8B13.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ituent tenth pattern portion 32 is configured, and it is natural that the bending ring portion 11 intersects with the bending ring portion of another pattern portion at a pin position point where the bending ring portion 11 overlaps each other.
  • pin position point (A7B14), pin position point (A6B17), pin position point (A5B14), pin position point (A4B17), pin position point (A3B14), pin position point (A2B17), pin position point (A1B14) ) Passes the pin position point (A10B17).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6B17, pin position point A5B14, pin position point A4B17, pin position point A3B14, pin position point A2B17 and pin position point A1B14.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ninth pattern portion 31 as shown in FIG. 18.
  • bent ring portion 11 is overlapp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of the other pattern portion at the pin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 pin position point (A9B18), pin position point (A8B17), pin position point (A7B18), pin position point (A6B17), pin position point (A5B18), and pin position point (A4B17) Will pass through the pin position (A3B18).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2B21, the pin position point A1B18, the pin position point A10B21, the pin position point A9B18, the pin position point A8B21, and the pin position point A7B18.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ninth pattern portion 31 as shown in FIG. 18.
  • bent ring portion 11 is overlapp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of the other pattern portion at the pin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 pin position point A6B21 Again passing through the pin position point A6B21, pin position point A5B22, pin position point A4B21, pin position point A3B22, pin position point A2B21, pin position point A1B22, pin position point A10B21 At the pin position A9B22.
  • the bending part 11 is bent at the pin position point A5B22, the pin position point A4B21, the pin position point A3B22, the pin position point A2B21, the pin position point A1B22,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0B21.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ituting the tenth pattern portion 32, and it is natural that the bent ring portion 11 is mutually mismatched with the bent ring portion of the other pattern portion at the pin position point overlapping each other.
  • the pin position point (A9B22) passes again, the pin position point (A8B24), pin position point (A7B22), pin position point (A6B24), pin position point (A5B22), pin position point (A4B24), and pin
  • the eleventh pattern portion 33 forming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position point A3B22, the pin position point A2B24, the pin position point A1B22,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0B24.
  • the bent ring portion 33 constituted by the pin position point A7B22, the pin position point A5B22, the pin position point A3B22, and the pin position point A1B22 is offset from the pin position point overlapping with the pin position point A7B22. You can do it.
  • pin position point (A8B24), pin position point (A6B24), pin position point (A4B24), pin position point (A2B24), and pin position point (A10B24) are bent hooks formed at the lowest column B24.
  • the bent ring portion 11 positioned at the uppermost column B1 and the lowermost column B2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by the bending, so that when the procedure is performed in the lumen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insertion device, The purpose is to prevent damage to the lumen.
  • the second wire 20 constitutes the bending portion 11 at the pin position point A10B24, and the rear end 80 of the second wire 20 starts with the second wire 20. And then, this part is join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econd wire 20 is completed.
  • the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moved from the jig 1, and subsequent steps such as heat treatment may be used to suit the purpose.
  • the space portion 70 is generated b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irst wire 10, the space portion 70 has one pin position point (P) in the center of the left, right upper portion (
  • P pin position point
  • the lengths of 71 and 72 are the same, and the lengths of the left and right bottoms 73 and 74 are also the same, while the lengths of the left and right tops 71 and 72 and the left and right bottoms (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s of 73 and 74 have different structures.
  • the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wire 10, when the bending ring portion 11 is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sent invention to meet with each other by combining them in the form (see attached figure 21) It is configured to have a space portion 70 of the cross-sectional diamond shape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wire 20 is simply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while crossing each other in the portion where the bent 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in position while passing simply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wire 10 completed the assembly process. It can be seen that.
  • the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be manufactured by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will be able to act separately.
  • the space part 70 located on the side of the bend becomes smaller, while the other side is bent the s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pace part 70 is extended.
  • the bent state can be maintained as it is.
  •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stalled along the curved lume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24 and 25.
  • the ring is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having sufficient res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sion site.
  • the diameter of the tube to insert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mized when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device so that the diameter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the small diameter lumen. Will 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 와이어로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만곡부와 그 사이에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를 갖도록 첫번째 스텐트를 구성하고,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에 의하여 제조되는 첫번째 스텐트와 서로 분리가 되지 않도록 두번째 와이어로 첫번째 와이어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나면서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만곡부와 그 사이에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를 갖도록 두번째 스텐트를 구성하여, 상기 첫번째 스텐트와 두번째 스텐트가 서로 별개이면서도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데 하였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신체 내강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병변부위에 대응하여 내강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텐트는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경우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교차되게 엮어 마름모형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몸체로 구비하되, 그 양끝단은 용접으로 연결한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이때, 상기 확장기구는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억압되지 않는 한 항상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확장기구는 시술시에 상기 다수의 마름모형상의 공간부를 줄게하여 중공(中空)식 원통형몸체의 부피를 현격하게 줄어준 다음, 보조기구인 안내튜브를 통해 혈관의 병변부위까지 삽입하고, 퓨셔 카데터(Pusher Catheter)로 밀어넣어 병변부위를 바깥방향으로 밀어내어 혈관 등을 확장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시한 확장기구는 사용부위 즉, 신체 혈관의 직경에 따라서 10~30% 정도 더 큰 직경과 혈관의 병변부위 길이보다 더 길게 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확장기구는 신체의 협착, 흡착부위의 혈관이 비교적 완만한 직선 형태의 혈관에는 큰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였으나, 혈관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못하여 사용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말하면, 상기 확장기구가 직선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탄발력에 의하여 혈관의 굴곡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직선(수평, 수직)상태로 복귀함에 의한 혈관의 길이가 늘어남과 동시에 굴곡부위가 직선(수평, 수직)상태로 변위되어 확장기구의 양단에 위치한 혈관의 통로는 본래보다 협소한 통로로 변형되어 본래 목적이 오히려 저해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1-18024, 18025호 등에서 신체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로서 상기의 혈관의 통로가 직선(수평, 수직)형태나 굴곡형태 모두 통로가 갖는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설치부분의 혈관 변형을 극소화하여 그 사용 기능을 극대화하는 확장기구를 선출원한 바 있다.
먼저, 상기 특허출원 제2001-18024호(이하 선출원 발명1 이라 칭함)는 두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ℓ(후술되는 확장기구 제조용 지그의 대각선으로 한칸 위치의 돌출핀에 와이어를 걸어줄때 길이)의 대각선길이와 2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각각의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된 엇걸림부와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가 동일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의 상기 엇걸림부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키는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상기 특허출원 제2001-18025호(이하 선출원 발명2 라 칭함)는 두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를 별도로 사용하여서 일차 확장기구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소재의 첫번째 와이어가 서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를 구성하고, 이차 확장기구를 구성하는 두번째 와이어는 기존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번째 와이어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 1, 2는 확장기구의 절곡과 엇걸림되는 구조인 상기 엇걸림부와 교차직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마름모형 공간부가 외력에 의해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혈관이나 담도의 경우와 같이 그 자체가 구조적으로 많이 휘어진 굴곡부에서 그 형상이 가변상태가 유지되고 직경은 탄력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식도, 담도, 요도와 같은 일련의 신체 협착부위의 통로가 갖는 원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넓혀 줄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1,2는 각각 장단점이 나뉘어진 특징을 갖고 있었다.
다시말해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1은 첫번째와이어와 두번째와이어 모두 절곡과 엇걸림되는 구조인 상기 엇걸림부와 교차직선부만을 형성하도록 엮여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의 늘어남과 줄어듬의 변화가 심하게 된다.
이는 굴곡 부위에서 선출원 발명2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가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데 반하여 상기 확장기구를 안내튜브에 삽입 장착하거나 인출시에 길이방향으로 포개지면서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등의 길이 변화가 심하여 시술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확장기구의 엇걸림부가 모두 일정하게 늘어나지 않는, 즉 길이방향으로 중첩되게 포개져 길이가 줄어든 상태로 병변부위에 장착될 경우에 병변부위에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설치되기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선출원 발명2는 첫번째와이어가 절곡과 엇걸림되는 구조인 상기 엇걸림부와 교차직선부만을 형성하도록 엮여 형성하고, 두번째와이어는 원주방향을 따라 최상단과 최하단을 지나도록 엮여 있기 때문에 상기 두번째와이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늘어남과 줄어듬의 변화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는 상기 두번째와이어의 구조에 의해 굴곡 부위에서의 가변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그 가변상태 유지가 선출원 발명1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고 뿐만아니라 원주방향의 탄발력이 저하되어 변병부위를 효과적으로 밀어내며 유지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주방향으로 모든 부위에 엇 걸림이 구성되어 있어서 안쪽으로 부피를 최고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확장기구를 삽입하여 시술을 행학 위한 삽입장치의 튜브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은 내강에는 시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엇 걸기하는 부분이 작아서 병변 부위에 대항하는 저항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 와이어로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정해진 핀위치점을 지나는 것에 의하여 좌, 우 상단부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 길이와 좌,우 하단부 길이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를 갖도록 첫번째 스텐트를 구성하고,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에 의하여 제조되는 첫번째 스텐트와 서로 분리가 되지 않도록 두번째 와이어로 첫번째 와이어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나면서 해당 핀위치점을 지나는 것에 의하여 좌, 우 상단부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 길이와 좌,우 하단부 길이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한 두번째 스텐트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성도.
도 2는 지그에 구성한 본 발명의 핀 배열 전개도.
도 3 및 도 7은 첫번째 와이어로 첫번째 스텐트를 스텐트가 구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 및 6b도는 도3의 점선부분의 확대한 본 발명의 엇 걸기를 도시한 참고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9a 및 9b는 도7의 점선부분의 확대한 본 발명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단면 다아아몬드 형상의 공간부를 도시한 참고도.
도 13 및 도 16은 두번째 와이어로 두번째 스텐트를 스텐트를 구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전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8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9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패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1은 첫번째 스텐트의 전개도.
도 22는 두번째 스텐트의 전개도.
도 23은 첫번째 스텐트와 두번째 스텐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전개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첫번째 와이어 12 : 제1패턴부
13 : 제2패턴부 14 : 제3패턴부
15 : 제4패턴부 16 : 5패턴부
17 : 제6패턴부 18 : 제7패턴부
19 : 제8패턴부 20 : 두번째 와이어
31 : 제9패턴부 32 : 제10패턴부
33 : 제11패턴부 70 :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
71 : 좌 상단부 72 : 우 상단부
73 : 좌 하단부 74 : 우 하단부
101 : 첫번째 스텐트 102 : 두번째 스텐트
본 발명에서는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갖도록 하며,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협소한 곳에서도 시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첨부한 도면 도 1와 같이 도시된 지그(1)에 의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원통형의 본체(2)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3)이 형성되고 일정한 상기 홈(3)에 일정한 간격을 삽입된 핀(4)이 결합된 형태의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한 핀(4)이 어떠한 배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열된 핀(4)을 두개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각각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두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 또는 고리에 의하여 걸리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핀 배열 전개도이다.
첨부한 도면 3부터 15도는 첫번째 와이어(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전개도이고, 이때 첫번째 와이어(10)가 본 발명에 의하여 배열된 상기한 핀(4)들을 구체적으로 어떠한 순서로 지나가면서 형태를 구성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16부터 도 20은 두번째 외어어(1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전개도인데, 이때 기존에 이미 엮여진 상기 첫번째 와이어(10)와 상기 배열된 상기 핀(4)들을 지나면서 어떠한 결합관계를 가지면서 구성되는가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에서 첫번째 와이어(10)으로 완성된 본 발명의 첫번째 스텐트(101)를 전체를 전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상기에서 두번째 와이어(20)으로 완성된 본 발명의 두번째 스텐트(102)를 전체를 전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로 첫번째 스텐트(101)를 제조한 다음, 두번째 와이어(20)으로 완성된 본 발명의 두번째 스텐트(102)를 제조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전체를 전개도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두개의 형상기억합금 외어어가 서로 엮여지면서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되는가를 전개도에 따라 살피는 것에 의하여 가능해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다수개의 원주방향 배열과 함께 그 각각의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수를 가진 단면 다이아몬드형상을 가진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주방향으로 두개의 와이어가 모두 고리를 구성하는 형태로 결합관계를 유지하여 병변부위에 대하여 저항력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스텐트는 첨부한 도면 25 및 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구부렸을때 상기한 각각의 와이어가 형성한 고리절곡부가 서로 이동하면서 상기한 단면 다이아몬드형상을 가진 공간부를 변형시키면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또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첨부한 도면 도면 24 및 25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 도 2에 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한 핀(4)의 배열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핀(4) 및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핀(4)을 배열하게 되는데, 이를 편의상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핀(4)들의 위치를 각각 핀을 핀위치점(A1),핀위치점(A2).....핀위치점(A9), 핀위치점(A10)으로 정하고, 길이방향인 횡방향에 위치하는 핀(4)들의 핀위치점(B1),핀위치점(B2).....핀위치점(B23), 핀위치점(B24)으로 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하고, 원주방향인 종 방향으로 핀위치점(A1)를 더 표시한 것은 지그(1)이 원통형인 점을 감안하여 원주방향으로 1개 더 표시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에 있다.
첨부한 도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이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1열부터 24열로 배열되는데, 이때 1열인 최상단열과 24열인 최하단열은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는 핀(4)들이 각각 동일한 간격 "L"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1열과 2열의 횡간격은 간격 "L"이며, 23열과 24열의 횡간격은 간격 "L"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한 1열 및 24열을 제외한 나머지인 2열과 23열까지의 핀들은 각각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 간격 "2L"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상기 1열과 24열의 종방향 핀에 대하여 1/2개의 수를 가진 핀을 배열하고, 2열과 23열까지의 각각의 횡방향 간격은 간격 "1/2 L"을 두고 있으며, 짝수열(2열,4열,6열...22열)의 핀들은 핀위치점(A1)열에서 시작하여 간격 "2L"을 두고 핀위치점(A3)열, 핀위치점(A5)열, 핀위치점(A7)열, 핀위치점(A9)열을 따라 위치하고, 홀수열(3열,5열,7열...23열)의 핀들은 핀위치점(A2)열에서 시작하여 간격 "2L"을 두고 핀위치점(A4)열, 핀위치점(A6)열, 핀위치점(A8)열, 핀위치점(A10)열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핀의 배열은 본 발명에서 완성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실시하기 위하여 그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함에 있는 것에 불과하고, 제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직경 크기 및 길이 또는 원주방향으로 구성되는 단면다아아몬드 형상의 공간부의 수 및 크기를 감하거나 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핀의 배열을 가진 상태에서 첫번째 와이어(10)로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3에서 부터 시작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핀위치점(A1B1)의 하부에서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시작한다.
다음, 핀위치점(A2B3)의 하부를 거쳐서 핀위치점(A3B4)의 하단을 통과, 핀위치점(A4B3)의 상단을 통과, 핀위치점(A5B4)의 상부에서 핀위치점(A6B7)의 하부를 통과하여 핀위치점(A7B4)의 상단을 통과하여 핀위치점(A8B7)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보면, 첨부한 도면 도 4에서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핀위치점(A3B4), 핀위치점(A4B3), 핀위치점(A6B7)및 핀위치점(A7B4)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각도로 절곡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부분을 지나는 첫번째 와이어(10)의 해당부위에서는 각각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면서 제1패턴부(12)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핀위치점(A8B7)을 거쳐서 핀위치점(A9B8), 핀위치점(A10B7), 핀위치점(A1B8), 핀위치점(A2B11), 핀위치점(A3B8) 및 핀위치점(A4B11)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통과하여 제1패턴부(1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단지 다른 핀위치점을 통과하게 되는 것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다시 핀위치점(A4B11)에서 핀위치점(A5B12), 핀위치점(A6B11), 핀위치점(A7B12), 핀위치점(A8B15), 핀위치점(A9B12) 및 핀위치점(A10B15)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제1패턴부(1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단지 다른 핀위치점을 통과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핀위치점(A10B15)에서 핀위치점(A1B16), 핀위치점(A2B15), 핀위치점(A3B16), 핀위치점(A4B19), 핀위치점(A5B16) 및 핀위치점(A6B19)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제1패턴부(1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단지 다른 핀위치점을 통과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핀위치점(A6B19)에서 핀위치점(A7B20), 핀위치점(A8B19), 핀위치점(A9B20), 핀위치점(A10B23), 핀위치점(A1B20) 및 핀위치점(A2B23)을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제1패턴부(1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단지 다른 핀위치점을 통과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위 상기한 내용을 살피면, 서로 다른 핀위치점을 통과하면서 5개의 동일한 패턴을 가진 제1패턴부(12)가 구성되도록 엮어지는 것임을 알 수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다음, 다시 핀위치점(A2B23)에서 핀위치점(A3B24), 핀위치점(A4B23), 핀위치점(A5B24), 핀위치점(A6B23), 핀위치점(A7B24), 핀위치점(A8B23), 핀위치점(A9B24), 핀위치점(A10B23) 및 핀위치점(A1B24)를 지나면서 핀위치점(A3B24), 핀위치점(A4B23), 핀위치점(A5B24), 핀위치점(A6B23), 핀위치점(A7B24), 핀위치점(A8B23), 핀위치점(A9B24), 핀위치점(A10B23) 및 핀위치점(A1B24)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각도로 절곡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부분을 지나는 첫번째 와이어(10)의 해당 부위에서는 각각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면서 첨부한 도면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은 제2패턴부(13)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핀위치점(A10B23)은 상기에서와 같이 이미 첫번째 와이어(10)가 지나가면서 제1패턴부(12)를 구성하면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 있는 핀위치점을 교차하면서 제2패턴부(13)의 절곡고리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먼저 구성된 제1패턴부(12)의 절곡고리부(11)을 지나갈 때에는 첨부한 도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 절곡된 제1패턴부(12)의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고 있는 첫번째와이어(10)의 하부을 통과한 다음, 다시 상부로 올라오는 형태를 취하거나 상부를 통과한 다음, 다시 하부를 통과시키는 형태를 취하여 상기한 2개의 절곡고리부(11)가 서로 엇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엇걸기에 의하여 외력에 대한 저항력 즉, 내강의 내부에 병변부위가 침투하여 그 내강을 넓히기 위하여 병변부위를 바깥쪽으로 밀어 냈을때 안쪽으로 계속하여 작용하는 병변부위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엇걸기는 상기한 핀위치점(A10B23)의 경우와 같이, 첫번째 와이어(10)가 어늬 핀위치점을 통과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위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과정을 중복하여 지나는 경우에는 항상 엇걸기를 행하며, 또한 두번째 와이어(20)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엇걸기를 행한다.
이상 상기에서와 설명한 것과 같이, 첫번째 와이어(10)를 핀위치점(A1B24)를 통과한 다음의 과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도 7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7에서 가늘게 실선으로 도시한 것은 첨부한 도면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조 과정을 거친 첫번째 와이어(10)의 변형 상태를 참고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핀위치점(A1B24)을 통과한 후에는 핀위치점(A2B23), 핀위치점(A3B20), 핀위치점(A4B23), 핀위치점(A5B20), 핀위치점(A6B23), 핀위치점(A7B20), 핀위치점(A8B23) 및 핀위치점(A9B20)을 통과시킨다.
이는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횡열로 3칸씩 종열로 한칸씩 넘어가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3패턴부(14)로 명칭한다.
이때 상기한 제3패턴부는 핀위치점(A3B20), 핀위치점(A4B23), 핀위치점(A5B20), 핀위치점(A6B23), 핀위치점(A7B20), 핀위치점(A8B23)에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고리부(11)가 형성되면서 상기한 제2패턴부(13)을 형성하는 핀위치점들과 서로 만나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핀위치점에서 첫번째 와이어(10)가 상기한 핀위치점들을 각각 통과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위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미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였고, 다시 첫번째 와이어(10)가 상기한 핀위치점들을 각각 통과하면서 위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아래에서 위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된다.
이러한 경우의 것과 같이 서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는 핀위치점에서는 모두 상기한 바와 엇걸기를 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핀위치점(A2B23)에서는 완전한 절곡상태를 형성하여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핀위치점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통과하면서 약간의 각도로 절곡을 유지하면서 지나가는 부분에 해당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때에는 먼저 지나간 첫번째 와이어(10)의 하부를 통과하거나 상부를 통과시키면서 지나가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일 처음 지나가는 핀위치점에서 먼저 지나간 첫번째 와이어(10)의 하부를 통과하여 지나갔다면 그 다음번의 핀위치점에서는 먼저 지나간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를 통과하는 방법을 교대로 반복하여 지나가는 방법을 채택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3패턴부(14)를 형성하면서 핀위치점(A9B20)을 통과한 다음, 핀위치점(A10B91), 핀위치점(A1B20), 핀위치점(A2B19),핀위치점(A3B20), 핀위치점(A4B19), 핀위치점(A5B20) 및 핀위치점(A6B19)를 지나게 된다.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횡열로 1칸씩 종열로 한칸씩 넘어가면서 지그재그 형태인 제4패턴부(15)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핀위치점(A9B20)에서는 이미 지나간 첫번째 와이어(10)가 약간의 절곡을 유지하면서 지나가는 형태를 행하고 있으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미 지나간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를 통과하거나 하부를 통과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제4패턴부(15)는 핀위치점(A10B19), 핀위치점(A1B20), 핀위치점(A2B19),핀위치점(A3B20), 핀위치점(A4B19), 핀위치점(A5B20)에서 완전한 절곡상태를 가지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1B20)에서는 상기 제1패턴부(12)의 해당부분과, 상기 핀위치점(A3B20), 핀위치점(A5B20)에서 상기한 제2패턴부(13)의 해당부분과 상기 핀위치점에서 서로 만나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핀위치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첫번째 와이어(10)가 상기한 핀위치점들을 각각 통과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위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였고, 다시 첫번째 와이어(10)가 상기한 핀위치점들을 각각 통과하면서 위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아래에서 위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므로 이 경우의 것과 같이 동일한 핀위치점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는 모두 상기한 바와 엇걸기를 행한다.
따라서 어느 핀위치점에서 완전한 절곡되는 것에 의하여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절곡고리부(11)들은 그 부분으 핀우치범에서 항상 서로 엇 걸기하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에서 제4패턴부(15)를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6B19)를 지나서 핀위치점(A7B16), 핀위치점(A8B19),핀위치점(A9B16), 핀위치점(A10B19), 핀위치점(A1B16), 핀위치점(A2B19) 및 핀위치점(A3B16)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8의 제3패턴부(14)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상기 핀위치점(A8B19), 핀위치점(A10B19) 및 핀위치점(A2B19)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핀위치점(A3B16)을 지나서 핀위치점(A4B15), 핀위치점(A5B16),핀위치점(A6B15), 핀위치점(A7B16), 핀위치점(A8B15), 핀위치점(A9B16) 및 핀위치점(A10B15)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 있는 제4패턴부(15)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5B16), 핀위치점(A7B16), 핀위치점(A8B15) 및 핀위치점(A9B16)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에서 제4패턴부(15)를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10B15)를 지나서 핀위치점(A1B12), 핀위치점(A2B15),핀위치점(A3B12), 핀위치점(A4B15), 핀위치점(A5B12), 핀위치점(A6B15) 및 핀위치점(A7B12)를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8의 제3패턴부(14)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상기 핀위치점(A2B15), 핀위치점(A4B15) 및 핀위치점(A6B15)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 제3패턴부(14)을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7B12)를 지나서 핀위치점(A8B11), 핀위치점(A9B12),핀위치점(A10B11), 핀위치점(A1B12), 핀위치점(A2B11), 핀위치점(A3B12) 및 핀위치점(A4B11)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0의 제4패턴부(15)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8B11) 및 핀위치점(A10B11)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 핀위치점(A9B12), 핀위치점(A1B12), 핀위치점(A2B11) 및 핀위치점(A3B12)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 되어져서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에서 제4패턴부(15)를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4B11)를 지나서 핀위치점(A5B8), 핀위치점(A6B11), 핀위치점(A7B8), 핀위치점(A8B11), 핀위치점(A9B8), 핀위치점(A10B11) 및 핀위치점(A1B8)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8의 제3패턴부(14)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5B8), 핀위치점(A6B11), 핀위치점(A7B8), 핀위치점(A8B11), 핀위치점(A9B8), 핀위치점(A10B11)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어지고, 핀위치점(A6B11), 핀위치점(A8B11), 핀위치점(A9B8) 및 핀위치점(A10B11)에서의 절곡고리부(11)가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제4패턴부(15)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 제3패턴부(14)을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1B8)을 지나서 핀위치점(A2B7), 핀위치점(A3B8),핀위치점(A4B7), 핀위치점(A5B8), 핀위치점(A6B7), 핀위치점(A7B8) 및 핀위치점(A8B7)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0의 제4패턴부(15)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2B7), 핀위치점(A3B8),핀위치점(A4B7), 핀위치점(A5B8), 핀위치점(A6B7), 핀위치점(A7B8)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고, 핀위치점(A3B8), 핀위치점(A5B8) 및 핀위치점(A7B8)에 구성된 절곡고리부(11)는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상기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에서 제4패턴부(15)를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8B7)을 지나서 핀위치점(A9B4), 핀위치점(A10B7), 핀위치점(A1B4), 핀위치점(A2B7), 핀위치점(A3B4), 핀위치점(A4B7) 및 핀위치점(A5B4)를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8의 제3패턴부(14)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9B4), 핀위치점(A10B7), 핀위치점(A1B4), 핀위치점(A2B7), 핀위치점(A3B4), 핀위치점(A4B7)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고, 핀위치점(A10B7), 핀위치점(A2B7), 핀위치점(A3B4), 핀위치점(A4B7)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가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상기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제4패턴부(15)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 제3패턴부(14)을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5B4)을 지나서 핀위치점(A6B3), 핀위치점(A7B4), 핀위치점(A8B3), 핀위치점(A9B4), 핀위치점(A10B3), 핀위치점(A1B4) 및 핀위치점(A2B3)을 지나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0의 제4패턴부(15)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핀위치점(A6B3), 핀위치점(A7B4), 핀위치점(A8B3), 핀위치점(A9B4), 핀위치점(A10B3), 핀위치점(A1B4)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고, 핀위치점(A7B4),핀위치점(A9B4), 핀위치점(A1B4)에 구성된 절곡고리부(11)는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상기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다시 상기에서 제4패턴부(15)를 구성하면서 상기 핀위치점(A2B3)을 지나서 핀위치점(A3B1), 핀위치점(A4B3), 핀위치점(A5B1), 핀위치점(A6B3), 핀위치점(A7B1), 핀위치점(A8B3), 핀위치점(A9B1), 핀위치점(A10B3) 및 핀위치점(A1B1)를 지나면서 첨부한 도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5패턴부(16)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5패턴부(16)를 구성하는 상기한 핀위치점(A3B1), 핀위치점(A4B3), 핀위치점(A5B1), 핀위치점(A6B3), 핀위치점(A7B1), 핀위치점(A8B3), 핀위치점(A9B1), 핀위치점(A10B3) 및 핀위치점(A1B1)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고, 핀위치점(A4B3), 핀위치점(A6B3), 핀위치점(A8B3) 및 핀위치점(A10B3)에 구성된 절곡고리부(11)는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제1패턴부(12)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 및 상기 제3패턴부(14)에서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걸기 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완성한 후에는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는 상기한 핀위치점(A1B1)을 지나면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면서 그 끝단(60)이 첫번째 와이어(10)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핀위치점(A1B1)을 지나는 시작단(50)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만나는 부분의 양단을 용접등의 필요한 조치로 결합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를 통한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첫번째 와이어(10)를 통하여 제조한 스텐트는 완전한 본 발명의 형태를 구성한 것은 아니지만 첨부한 도면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최상단열 및 최하단열을 제외하고는 중앙에 핀위치점을 한개씩 두고 원주방향인 종방향과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단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간부(70)가 구성되어 지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최상단열인 B1열 및 최하단열인 B24열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는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성되는 것이므로 엇 걸기를 하기 위한 대상이 없는 반면에 최상단과 최하단을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스텐트 삽입장치를 통하여 인체의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그 양단이 절곡되어 만곡형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내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텐트는 본 발명의 목적을 부합하지 못하므로 두번째 와이어(20)로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가 통과하지 않은 핀위치점을 지나거나 그 위서 절곡고리부를 구성하면서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두번째 와이어(20)으로 본 발명의 스텐트를 완성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13에서 부터 시작하여 살펴보기로 하고, 도 13에서 가늘게 실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첫번째 와이어(10)로 첨부한 도면 도 12와 같이 완성한 상태의 것을 참고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1B1)의 하부에서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시작하며, 두번째 와이어(20)로 하기에서와 같이 핀위치점을 통과할 때, 첫번째 와이어(10)을 반드시 통과하게 된다.
이때 두번째 와이어(20)가 제일 처음에 첫번째 와이어(10)을 지나갈 때에 그 하부를 통과하였다면 그 다음번에는 그 상부를 통과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하부와 상부를 교대로 지나가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에서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1B1)의 하부에서 통과하면서, 다시 핀위치점(A9B22), 핀위치점(A8B21), 핀위치점(A7B22), 핀위치점(A6B21), 핀위치점(A5B18), 핀위치점(A4B21) 및 핀위치점(A3B18)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8B21), 핀위치점(A7B22), 핀위치점(A5B18), 핀위치점(A4B21)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4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6패턴부(17)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3B18)을 지난 다음, 핀위치점(A2B17), 핀위치점(A1B18), 핀위치점(A10B17), 핀위치점(A9B14), 핀위치점(A8B17), 핀위치점(A7B14)를 지나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2B17), 핀위치점(A1B18), 핀위치점(A9B14), 핀위치점(A8B17)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고,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로 다른 위치에서 4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6패턴부(17)을 형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다시 핀위치점(A7B14)을 지난 다음, 핀위치점(A6B13), 핀위치점(A5B14), 핀위치점(A4B13), 핀위치점(A3B10), 핀위치점(A2B13), 핀위치점(A1B10)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6B13), 핀위치점(A5B14), 핀위치점(A3B10), 핀위치점(A2B13)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고,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로 다른 위치에서 4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6패턴부(17)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핀위치점(A1B10)을 지난 다음, 핀위치점(A10B9), 핀위치점(A9B10), 핀위치점(A8B9), 핀위치점(A7B6), 핀위치점(A6B9), 핀위치점(A5B6)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10B9), 핀위치점(A9B10), 핀위치점(A7B6), 핀위치점(A6B9)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고,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로 다른 위치에서 4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6패턴부(17)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핀위치점(A5B6)을 지난 다음, 핀위치점(A4B5), 핀위치점(A3B6), 핀위치점(A2B5), 핀위치점(A1B2), 핀위치점(A10B5), 핀위치점(A9B2)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핀위치점(A40B5), 핀위치점(A3B6), 핀위치점(A1B2), 핀위치점(A10B5)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고,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로 다른 위치에서 4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6패턴부(17)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도 계속하여 상기한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9B2)을 지난 다음, 핀위치점(A8B1), 핀위치점(A7B2), 핀위치점(A6B1), 핀위치점(A5B2), 핀위치점(A4B1), 핀위치점(A3B2), 핀위치점(A2B1), 핀위치점(A1B2)을 지나게 되고, 핀위치점(A8B1), 핀위치점(A7B2), 핀위치점(A6B1), 핀위치점(A5B2), 핀위치점(A40B1), 핀위치점(A3B2), 핀위치점(A20B1)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된다.
이는 첨부한 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7패턴부(18)이고,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상단열인 B1열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이고, 이는 최하단열인 B24열(아래에서 다시 설명됨)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와 함께 엇 걸기를 하기 위한 대상이 없는 반면에 최상단과 최하단이 절곡에 의하여 만곡형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장치를 통하여 인체의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그 내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1B2)을 지나는 제조 과정을 행하게 되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6에 의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실선은 상기에서 두번째 와이어(20)가 핀위치점을 통과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가는 실선은 첫번째 와이어(10)이 핀위치점을 통과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두번째 와이어(20)로 핀위치점(A1B2)을 지나면서 핀위치점(A10B1), 핀위치점(A9B2)를 지나게 하여 최상단열인 B1열에만 1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갖는 제8패턴부(19)를 구성하고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7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다시 핀위치점(A9B2)을 지나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7B2), 핀위치점(A6B5), 핀위치점(A5B2), 핀위치점(A4B5), 핀위치점(A3B2), 핀위치점(A2B5)에서 핀위치점(A1B6)을 지나게 된다.
이는 6개의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9패턴부(31)로 구성되고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8에 도시하였다.
이때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7B2), 핀위치점(A6B5)에서 , 핀위치점(A5B2), 핀위치점(A40B5), 핀위치점(A3B2)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고, 상기 핀위치점(A7B2), 핀위치점(A5B2) 및 핀위치점(A3B2)에 구성된 절곡고리부(11)는 상기 제7패턴부(18)의 하부에 구성된 절곡고리부(11)와 엇 걸기를 행하게 된다.
다시 핀위치점(A1B6)을 지나 핀위치점(A10B5), 핀위치점(A9B6),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7B6), 핀위치점(A6B5)에서 핀위치점(A5B6)를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1B6), 핀위치점(A10B5), 핀위치점(A9B6),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7B6), 핀위치점(A6B5)에서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10패턴부(32)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 도 19에 도시하였다.
이때 제10패턴부(32)의 핀위치점(A10B5) 및 핀위치점(A7B6)에 위치하는 절곡고리부(11)는 상기한 제6패턴부(17)의 핀위치점(A10B5) 및 핀위치점(A7B6)에 위치하는 절곡고리부(11)와 엇 걸기되고, 제10패턴부(32)의 상기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6B5)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는 상기한 제9패턴부(31)의 핀위치점(A8B5), 핀위치점(A6B5)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와 엇 걸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엇 걸기도 이미 상기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도 동일한 핀위치점을 지나면서 절곡고리부가 구성되어 서로 엇 걸기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러한 생략은 동일하게 도면을 참고하면, 동일한 위치에 있는 핀위치점에서 서로 중복하여 절곡고리부를 구성되는 지점의 핀위치점에서는 항상 엇 걸기가 구성되는 것임을 인식하면 될 것이다.
다시 핀위치점(A5B6)을 지나 핀위치점(A4B9), 핀위치점(A3B6), 핀위치점(A2B9), 핀위치점(A1B6), 핀위치점(A10B9), 핀위치점(A9B6)에서 핀위치점(A8B9)을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4B9), 핀위치점(A3B6), 핀위치점(A2B9), 핀위치점(A1B6), 핀위치점(A10B9), 핀위치점(A9B6)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패턴은 첨부한 도면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제9패턴부(31)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그 다음, 다시 핀위치점(A8B9)을 지나 핀위치점(A7B10), 핀위치점(A6B9), 핀위치점(A5B10), 핀위치점(A4B9), 핀위치점(A3B10), 핀위치점(A2B9)에서 핀위치점(A1B10)을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7B10), 핀위치점(A6B9), 핀위치점(A5B10), 핀위치점(A4B9), 핀위치점(A3B10), 핀위치점(A2B9)에서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10패턴부(32)를 구성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상기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시, 핀위치점(A1B10)을 지나 핀위치점(A10B13), 핀위치점(A9B10), 핀위치점(A8B13), 핀위치점(A7B10), 핀위치점(A60B13), 핀위치점(A5B10)에서 핀위치점(A4B13)을 지나게 된다.
이때 핀위치점(A10B13), 핀위치점(A9B10), 핀위치점(A8B13), 핀위치점(A7B10), 핀위치점(A6B13), 핀위치점(A5B10)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패턴은 첨부한 도면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제9패턴부(31)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시 핀위치점(A4B13)을 지나 핀위치점(A3B14), 핀위치점(A2B13), 핀위치점(A1B14), 핀위치점(A10B13), 핀위치점(A9B14), 핀위치점(A8B13)에서 핀위치점(A7B14)을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3B14), 핀위치점(A2B13), 핀위치점(A1B14), 핀위치점(A10B13), 핀위치점(A9B14), 핀위치점(A8B13)에서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10패턴부(32)를 구성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음, 핀위치점(A7B14)을 지나 핀위치점(A6B17), 핀위치점(A5B14), 핀위치점(A4B17), 핀위치점(A3B14), 핀위치점(A2B17), 핀위치점(A1B14)에서 핀위치점(A10B17)을 지나게 된다.
이때 핀위치점(A6B17), 핀위치점(A5B14), 핀위치점(A4B17), 핀위치점(A3B14), 핀위치점(A2B17), 핀위치점(A1B14)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패턴은 첨부한 도면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제9패턴부(31)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시 핀위치점(A10B17)을 지나 핀위치점(A9B18), 핀위치점(A8B17), 핀위치점(A7B18), 핀위치점(A6B17), 핀위치점(A5B18), 핀위치점(A4B17)에서 핀위치점(A3B18)을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9B18), 핀위치점(A8B17), 핀위치점(A7B18), 핀위치점(A6B17), 핀위치점(A5B18), 핀위치점(A4B17)에서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10패턴부(32)를 구성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음, 핀위치점(A3B18)을 지나 핀위치점(A2B21), 핀위치점(A1B18), 핀위치점(A10B21), 핀위치점(A9B18), 핀위치점(A8B21), 핀위치점(A7B18)에서 핀위치점(A6B21)을 지나게 된다.
이때 핀위치점(A2B21), 핀위치점(A1B18), 핀위치점(A10B21), 핀위치점(A9B18), 핀위치점(A8B21), 핀위치점(A7B18)에서 절곡고리부(11)가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패턴은 첨부한 도면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제9패턴부(31)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다시 핀위치점(A6B21)을 지나 핀위치점(A5B22), 핀위치점(A4B21), 핀위치점(A3B22), 핀위치점(A2B21), 핀위치점(A1B22), 핀위치점(A10B21)에서 핀위치점(A9B22)을 지나게 된다.
이는 핀위치점(A5B22), 핀위치점(A4B21), 핀위치점(A3B22), 핀위치점(A2B21), 핀위치점(A1B22), 핀위치점(A10B21)에서 절곡고리부(11)를 가진 제10패턴부(32)를 구성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절곡고리부(11)가 서로 겹쳐지는 핀위치점에서는 다른 패턴부의 절곡고리부와 서로 엇 걸기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핀위치점(A9B22)을 지나가서 핀위치점(A8B24), 핀위치점(A7B22), 핀위치점(A6B24), 핀위치점(A5B22), 핀위치점(A4B24), 핀위치점(A3B22), 핀위치점(A2B24), 핀위치점(A1B22), 핀위치점(A10B24)에서 절곡고리부(11)을 구성하게 되는 제11패턴부(33)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핀위치점(A7B22), 핀위치점(A5B22), 핀위치점(A3B22), 핀위치점(A1B22)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33)는 이와 겹쳐지는 상기한 핀위치점에서 엇 걸기를 하면 된다.
그러나 핀위치점(A8B24), 핀위치점(A6B24), 핀위치점(A4B24),핀위치점(A2B24), 핀위치점(A10B24)는 최하단열인 B24열에 구성되는 절곡고리부이므로 이는 엇 걸기 하는 대상이 없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최상단열인 B1열과 최하단열인 B24열에 위치하는 절곡고리부(11)는 그 절곡에 의하여 만곡형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장치를 통하여 인체의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그 내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두번째 와이어(20)을 핀위치점(A10B24)에서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한 다음, 그 후단부(80)은 상기한 두번째 와이어(20)로 제조과정이 시작되는 선단부(90)와 만나게 되고, 이 부분을 용접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하면 두번째 와이어(20)로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그(1)에서 본 발명의 스텐트(100)을 빼내서 열처리등의 후속 조치를 취하여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첫번째 와이어(10) 및 두번째 와이어(20)을 각각 제조하였을 때에는 그 결과물의 상태를 첨부한 도면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을 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공간부(70)은 첫번째 와이어(1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공간부(70)가 중앙에 하나의 핀위치점(P)을 두고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와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첫번째 와이어(10)로 제조한 상태에서 다시 두번째 와이어(2)로 겹쳐서 본 발명의 스텐트(100)을 완성하는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2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횡방향으로 두개의 공간부(70)의 중앙에 또 다른 하나의 공간부(70)이 위치하는 형태로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첫번째 와이어(10)가 본 발명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절곡고리부(11)가 서로 만나는 경우에는 서로 엇 걸기하여 결합하여 그 형태(첨부한 도면 21 참고)를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간부(70)을 갖도록 구성하게 되고,
그리고 두번째 와이어(20)는 조립과정을 마친 첫번째 와이어(10)의 단순히 상단 또는 하단을 지나면서 해당 핀위치점에서 절곡고리부(11)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서로 엇 걸기하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상기한 첫번째 와이어(10)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과 두번째 와이어(20)로 제조되는 것이 서로 분리가 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나 그 작용을 별도로 작용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부리는 경우에는 구부러지는 쪽에 위치한 상기한 공간부(70)가 작아지게 되는 반면에 그 반대편은 공간부(70)이 늘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구부린 경우에는 그 구부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스텐트는 첨부한 도면 24 및 도 2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휘어진 내강을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살피면, 공간부(70)을 구성하는 부분이 서로 절곡고리부(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게 되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이 최상단과 최하단에 비하여 그 수가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1)

  1. 두개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스텐트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첫번째 와이어(10)로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끝단이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절곡고리부를 구성하고,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는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와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첫번째 스텐트(101)를 제조하고,
    상기 첫번째 스텐트(101)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두번째 와이어(20)로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와 하부를 교대로 지나면서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끝단이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를 구성하고,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는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와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를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두번째 스텐트(102)를 제조하여,
    상기 첫번째 스텐트(101)와 두번째 스텐트(102)가 별도로 구성하면서도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와이어(10)으로 구성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와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는 제1패턴부(12), 제2패턴부(13) 제3패턴부(14), 제4패턴부(15) 및 제5패턴부(16)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와이어(20)으로 구성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와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는 제6패턴부(17), 제7패턴부(18), 제8패턴부(19), 제9패턴부(31), 제10패턴부(32) 및 제11패턴부(3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12)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1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13)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2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14)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3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제4패턴부(15)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4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패턴부(16)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5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6패턴부(17)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6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7패턴부(18)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7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8패턴부(19)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8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9패턴부(31)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09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0패턴부(32)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0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1패턴부(33)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1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5. 두개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구성하는 스텐트에 있어서,
    첫번째 와이어(10)로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끝단이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고,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는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와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된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한 첫번째 스텐트(101)와,
    상기 첫번째 스텐트(101)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두번째 와이어(20)로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와 하부를 교대로 지나면서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끝단이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11)를 구성하고,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는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도 서로 동일한 반면에 좌, 우 상단부(71),(72)의 길이와 좌,우 하단부(73),(7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한 두번째 스텐트(102)를 구성하여,
    상기 첫번째 스텐트(101)와 두번째 스텐트(102)가 별도로 구성하면서도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스텐트(101)를 구성하는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의 중앙부에 상기 두번째 스텐트(102)를 구성하는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의 상단 꼭지부가 위치하면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구성하는 꼭지부들은 다른 위치에 있는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를 구성하는 꼭지부들과 서로 엇 걸기에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와이어(10)으로 구성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11)와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는 제1패턴부(12), 제2패턴부(13) 제3패턴부(14), 제4패턴부(15) 및 제5패턴부(16)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와이어(20)으로 구성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만곡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절곡고리부와 다수개의 단면 다이아몬드형의 공간부(70)는 제6패턴부(17), 제7패턴부(18), 제8패턴부(19), 제9패턴부(31), 제10패턴부(32) 및 제11패턴부(3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12)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2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13)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3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14)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4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제4패턴부(15)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5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5패턴부(16)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6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6패턴부(17)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7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6.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7패턴부(18)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8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7.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8패턴부(19)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19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8.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9패턴부(31)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20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9.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0패턴부(32)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21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1패턴부(33)는 "
    Figure PCTKR2010007433-appb-I000022
    "와 같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1.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본체의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핀(4)들의 위치를 각각 핀을 핀위치점(A1),핀위치점(A2).....핀위치점(A9), 핀위치점(A10)으로 정하고, 길이방향인 횡방향에 위치하는 핀(4)들의 핀위치점(B1),핀위치점(B2).....핀위치점(B23), 핀위치점(B24)으로 정하여 핀을 결합하여 스텐트를 제조하는 지그에 있어서,
    1열인 최상단열과 24열인 최하단열은 원주방향인 종방향과 1열과 2열의 횡간격은 간격 "L"이며, 23열과 24열의 횡간격은 간격 "L"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핀(4)들을 각각 결합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한 1열 및 24열을 제외한 나머지인 2열과 23열까지의 핀들은 각각 원주방향인 종방향으로 간격 "2L"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상기 1열과 24열의 종방향 핀에 대하여 1/2개의 수를 가진 핀을 배열하고, 2열과 23열까지의 각각의 횡방향 간격은 간격 "1/2 L"을 두고 있으며, 짝수열(2열,4열,6열...22열)의 핀들은 핀위치점(A1)열에서 시작하여 간격 "2L"을 두고 핀위치점(A3)열, 핀위치점(A5)열, 핀위치점(A7)열, 핀위치점(A9)열을 따라 위치하고, 홀수열(3열,5열,7열...23열)의 핀들은 핀위치점(A2)열에서 시작하여 간격 "2L"을 두고 핀위치점(A4)열, 핀위치점(A6)열, 핀위치점(A8)열, 핀위치점(A10)열을 따라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의 구조.
PCT/KR2010/007433 2009-11-11 2010-10-27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WO2011059190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33A KR101109709B1 (ko) 2009-11-11 2009-11-1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0-2009-0108633 200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90A2 true WO2011059190A2 (ko) 2011-05-19
WO2011059190A3 WO2011059190A3 (ko) 2011-10-06

Family

ID=4399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7433 WO2011059190A2 (ko) 2009-11-11 2010-10-27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9709B1 (ko)
WO (1) WO201105919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5951A1 (ko) * 2015-02-04 2016-08-1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167399A1 (ko) * 2015-04-15 2016-10-2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7-10-12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KR102260848B1 (ko) * 2019-06-14 2021-06-03 박성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9065A (ko) 2022-03-25 2023-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 기반 적층 제조 공정을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898A (ko) * 1997-10-07 1999-05-06 송호영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457629B1 (ko) *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2006506201A (ja) * 2002-11-20 2006-02-23 ユーヌ・ブージェムラン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898A (ko) * 1997-10-07 1999-05-06 송호영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457629B1 (ko) *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2006506201A (ja) * 2002-11-20 2006-02-23 ユーヌ・ブージェムラン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5951A1 (ko) * 2015-02-04 2016-08-1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349944B2 (en) 2015-02-04 2019-07-16 M.I. Tech Co., Ltd.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17421B2 (en) 2015-02-04 2020-04-14 M.I. Tech Co., Ltd.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6167399A1 (ko) * 2015-04-15 2016-10-2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CN107530176A (zh) * 2015-04-15 2018-01-02 M.I.泰克株式会社 支架制造方法
CN107530176B (zh) * 2015-04-15 2019-08-16 M.I.泰克株式会社 支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709B1 (ko) 2012-01-31
KR20110051846A (ko) 2011-05-18
WO2011059190A3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190A2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WO2016125951A1 (ko)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42253A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WO2016167399A1 (ko) 스텐트 제조방법
WO2013141441A1 (ko) 플렉서블 스텐트
WO2020162724A1 (ko) 폐색 혈전 제거 장치 및 폐색 혈전 제거 방법
WO2018095090A1 (zh) 防短缩覆膜支架及其制作方法
US9668895B2 (en) Bendable stent
WO2019231002A1 (ko) 3상 전동기의 권선 패턴 구조
WO2015101292A1 (zh) 主动脉弓术中支架及该支架的制造方法
KR100974308B1 (ko) 스텐트
AU2002359554A8 (en) Temporary, repositionable or retrievable intraluminal devices
JP2008541873A5 (ko)
KR20020078127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WO2003030786A3 (en) Cannula stent
WO2016186262A1 (ko) 하이브리드 스텐트
WO2021020767A1 (ko) 혈전 제거 기기
US6761048B2 (en) Welt-processed knitted fabric and welt processing method
WO2018016696A2 (ko)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JP2005183211A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製造方法
ATE306227T1 (de) Stent
WO2017209407A1 (ko)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WO2020238168A1 (zh) 一种腔内支架及其制备方法
KR101061206B1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4160436A (zh) 汉字信息记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301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