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2253A1 -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2253A1
WO2017142253A1 PCT/KR2017/001401 KR2017001401W WO2017142253A1 WO 2017142253 A1 WO2017142253 A1 WO 2017142253A1 KR 2017001401 W KR2017001401 W KR 2017001401W WO 2017142253 A1 WO2017142253 A1 WO 20171422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nt
pattern
diagonal distance
pattern portion
memory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4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경민
홍영일
박세익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US16/077,6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06612B2/en
Priority to JP2018541428A priority patent/JP6791974B2/ja
Publication of WO20171422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2253A1/ko
Priority to US16/912,349 priority patent/US202003236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which is an expansion mechanism for widening the passage of the lumen in response to the lesion site by installing on the stenosis progression or stenosis of the body lumen, and the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that greatly improves the rigidity and resistance to continuous fatigue while maintaining high conformability at the bent portion of the inserted body lumen and thereby One stent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tents using shape memory alloys have been disclosed in various forms, and stents are designed to have elasticity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o always return to their initial state unless they are forcibly suppressed by external forces, thereby opening the passage of the stenosis of the body lumen. It is known as an expansion mechanism.
  • Stents have strong mechanical resistance, but they are rarely used because of their extremely low deformability due to self-contraction, making insertion and removal difficult.
  • the wire-type stent is suitable for remarkab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hollow cylindrical body during the procedure, and is easy and the volume-reduced stent is inserted into the lesion site of the blood vessel as an introducer and pushed into the lesion site. Push outwards to use to expand the lumen, such as blood vessels.
  • the stent structure of the wire type is distinguished and its problems are examined.
  • Initial stents of wire type have cells of shape memory alloy material having roughly rhombus-shaped cells, and two wires intersecting up and down are interlaced up and down so that each cell supports each other to maintain a cylindrical tube shape.
  • Phase cell is configured (prior art 1).
  • the applicant's patent registration No. 457629 shows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which are two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each other.
  • each wire is cross-bending at different positions so as to have a diagonal length of 2) and a diagonal length of 2l, the wires are varied while crossing each other from top to bottom and bottom to top.
  • the gap between the space part of the lozenge shape and the gap between the sam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sam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repulsion force which is mutually staggered at different positions to be retrac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pulsive force against the longitudinal contraction Provided is a variable state maintenance expansion mechanism that is partially formed in the.
  • the applicant's patent registration No. 457630 uses two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materials,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separately, so that the primary expansion mechanism is the first wire of the superelastic shape memory material. Intersecting each other at different positions with the crossing straight line to have repul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rossing each oth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the bottom to the top while being bent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shru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forming a portion, the variable rhombic space portion is formed, and the second wire constituting the secondary expansion mechanism moves through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along the top and bottom diagonally in parallel with the first wire installed.
  • Variable dryness formed by the primary cylindrical expansion mechanism A second cylindrical expansion mechanism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uniformly quartered the spatial it provided a variable state holding type expansion mechanism in the structure without departing from each other and ac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the staggered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wires traveling in different directions cross each other and are intertwined and sometimes referred to as "hooks", and the stent is configured and functions to maintain the same shape without resistance 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lumen. .
  • the applicant's patent registration No. 1109709 (referred to as prior art 4) has a sufficient res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sion site while minimizing the ring or inter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sert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ameter of the tube into which it is inserted so that it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small diameter lumens.
  • It consists of a square of type and includes a "hook".
  • the stent of the prior art 1 is unconditionally expa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a flexion lumen area, by all the stent cells are connected, the problem of not maintaining the bending of the lumen and the compliance of the lumen's peristaltic movement without compliance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 the deployment force is weak,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3, there is a lack of bending fatigue, and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4, it is vulnerable to expansion fatigue.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stent made of a conventional shape memory alloy wire weave hook and cell structure is made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resistance to repeti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double cells asymmetrically overlapping one cell with another cell constituting a geometric shape on a rhombus, and premature disconnection by dispersing stress concent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that can be expanded with a small development force because the profile of the stents combined for embedding in the introducer is small while maintaining the conformability of the conventional stents.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the stent produced thereby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nt having a small force compared to the same force or a strong force compared to the same introducer is easy to adopt the introduc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using a flexible shape memory alloy wire and thereby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ed stent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with excellent mechanical resistance to fatigue continuously occurring in the lumen, and a stent manufactured therefrom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pe memory alloy wire that facilitates incorporation into the introducer by making the profile of the stents smaller and smaller evenly distribu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tent and a stent produced by this, and a jig for produc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embed the introducer to minimize the friction with the outer (Outer) of the introducer to reduce the development for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useful for the success of the procedure and the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weaving method of the stent wire, the stent manufactured by the stent and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first stent having a constant circumference and length by continuously repeating the unit cells, and the second stent having the same circumference and length by separating the unit cells downwardly by an offset pitch Pv2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two sides provided at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ents overlapped with each other are spaced apart by the offset pitch Pv2 and formed to form a wide space having an internal geometric shape formed by the overlapping.
  • the offset pitch Pv2 is made smaller than at least 1 / 2Pv.
  • the first wire constituting the first st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ding rings having a top end and a bottom end in a curved shape, and a first wire connecting from the origin of any one of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stent so as to form a space part on a plurality of geometric rhombuses.
  • a pattern portion, a second pattern portion directed upward from an end point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a third pattern portion, a fourth pattern portion, a fifth pattern portion, and a sixth pattern portion sequentially directed upwar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By connecting the wires.
  • the second wire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t rings forming a curved shape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stent with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origin of the first stent by the offset pitch Pv2.
  • the first stent and the offset pitch Pv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wires by the third a pattern portion, the fourth a pattern portion, the fifth a pattern portion, and the sixth pattern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bent from the origin to the diagonal distance 2L by horizontal and vertical diagonal distances Ph and Pv, and bent diagonally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and the diagonal distances 2L and L. Repeating to connect to the end point of the lowest position where the first stent origin extends vertically.
  • the second pattern portion is a starting point of the end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repeats the up and down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facing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If the lower surface crosses up by the diagonal distance (2L).
  • the third pattern part starts at the end point of the second pattern part, repeats downward and up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a unit cell, and faces a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art.
  • the lower surface crosses upward by a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from the horizontal axi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stage, and repeats the image downward to the end point on the same horizontal axis.
  • the fourth pattern part is a starting point of the third pattern part end point, repeats up and down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a unit cell, and faces a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art.
  • the lower surface crosses upward by a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from the horizontal axi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stage, and repeats the image downward to the end point on the same horizontal axis.
  • the fifth pattern part is a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pattern part end point, repeats downward and up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a unit cell, and faces a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art.
  • the lower surface crosses upward by a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from the horizontal axi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stage, and repeats the image downward to the end point on the same horizontal axis.
  • the sixth pattern par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fth pattern part end point, and when facing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art, the sixth pattern part crosse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and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It is done by connecting up and down repeatedly on the same horizontal axis to return to the origin.
  • the upper part of the sixth pattern portion has the same horizontal axis as the start origi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tent wire is terminated, and the wire ends are joined.
  • connection of the first stent wire and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stent wire are the same, and only their starting origin starts at the moving origin of the position moved downward by the offset pitch Pv2 from the first stent starting origin.
  • the starting point of each of the patterns consists of a starting point of the wire of the first stent and an ending point of a posi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is origin, and the ending point is a starting point of another continuous pattern.
  • a double cell in which one cell constituting a geometric shape on a rhombus is asymmetrically overlapped with another cell greatly improves resistance to repeti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disperses stress concentration.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disconnection and maintains the conformability required in the stent, and has a low deployment value as the profile of the stents that are bundled for embedding into the introducer becomes smaller, thereby reducing the development for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tensib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mall introducer compared to the same force, or to apply a stent having a strong force compared to the same introducer, it is easy to adopt the introducer and flexible effect, and to the fatigue occurring continuously in the lumen Robust mechanical resistance is excellent, and the hook part arrangement is not concentrated linearly (i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evenly distributed to make the profile of the consolidated stents smaller, which facilitates the incorporation into the introducer. By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outer of the introducer, it reduces the force of deployment and is useful for the success of the proced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having a number of excellent effects, such as a high active, which can be easily deform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use because the double cell is composed of the offset pitch spaced and the offset pitc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jig for manufacturing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8 is a pattern diagram showing a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wire for manufacturing the first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third pattern portion connection diagram.
  • FIG. 6 is a fourth pattern portion connection diagram.
  • connection 8 is a first stent pattern diagram in which connection is completed in a sixth pattern portion connection diagram
  • FIG. 9 is a patter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connection is completed by overlapping the second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first stent;
  • FIG. 10 is a partially omitted connection diagram for manufacturing a long st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n excerpt of the first, 1a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n extract of the third, 3a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n extract of the fourth, 4a patter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n excerpt of the fifth and fifth pattern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n excerpt of the sixth and sixa pattern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showing a stent compl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invention of FIG. 17;
  • Figure 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Ph ⁇ Pv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hape memory alloy wire to form a stent connection.
  • the jig 100 includes a body 102 and a detachable pin 103.
  • the jig 100 has a circumference that forms the hollow portion of the stent to be manufactured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vides the circumference 14 equally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vided position, and is perpendicular to this vertical line and the circumference is lengthwise. 14 divisions in the direction, but consisting of cylindrical rods extending beyond the top and bottom positions of the division.
  • the jig can be equally developed as shown in FIG. 2.
  • the X axis show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ig
  • the Y axis sh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in 3 is located at a part of the intersection point extending the uniformity dividing line A1 to A14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B1 to B14.
  • the length Pv1 that bisects the dividing line B1 which is a reference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origin and the vertical diagonal distance Pv of the cells forming the geometric shape on the rhombus from the dividing line B1.
  • the dividing lines B3, B5, B7, B9, B11, and B13 spaced apart by and separated from the dividing line B1 by an offset pitch Pv2 at the positions separated by the dividing lines B1, B3, B5, B7, and B9.
  • Each of the equalization line and the dividing line is an imaginary line, which is prepared by drilling a hole for fitting the pin 3 at a part of the intersection and joining the pins.
  • the circle colored in Fig. 2 shows the pin and connects the stent wire. In the description, the intersection point of each line is described by combining the symbols of the line.
  • a wide overlapping space of internal geometry formed by overlapping the two sides provided at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ents 10 and 20 overlapping the stents 20 by the overlapping pitch offset Pv2.
  • the part 30 is formed.
  • the offset pitch Pv2 is made smaller than at least 1 / 2Pv.
  • the first wire constituting the first stent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ding rings 40 having a curved shape at a top end and a bottom end, and an origin of any one of the top parts to form a space part 13 on a plurality of geometric rhombuses.
  • the second wire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20 has a starting point A1, B2 spaced apart from the origin of the first stent 10 downwardly by an offset pitch Pv2, and has a top end and a bottom end of the second stent 20.
  • the first a pattern portion 1a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t ring portions 40 forming a curved shape and connected from the moving origin to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stent so as to form a space portion 23 on a plurality of geometric rhombuses, the first 2a pattern part 2a which faces upward from the end of 1a pattern part 1a, 3a pattern part 3a, 4a pattern part 4a, 5a which sequentially turns upward from 2a pattern part
  • the first stent 10 and the offset pitch Pv2 are separated and overlapped.
  • the first pattern portion 1 downwards from the origin to the diagonal distance 2L by horizontal and vertical diagonal distances Ph and Pv, and bends diagonally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2L and L are repeated to connect the first stent origin A1 and B1 to the end points A1 and B13 at the lowest positions extending vertically.
  • the second pattern part 2 has the first pattern part end points A1 and B13 as a starting point, and repeats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When facing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1), it crosse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and connects to the end points A1 and B9.
  • the third pattern part 3 has the second pattern part end points A1 and B9 as starting points and repeats downward and up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and the first pattern is repeated.
  •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part (1) crosse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in the first stage above the horizontal axis, and repeats the phase down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to end points (A1, B9) )
  • the fourth pattern portion 4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B9) and repeats the up and down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the first pattern When facing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part (1) crosse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in the first stage from the horizontal axis, and repeats the phase down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to end points (A1, B5) )
  • the fifth pattern part 5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pattern part end points A1 and B5 and repeats downward and up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and the first pattern is repeated.
  • the fifth pattern part 5 crosse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and moves to the horizontal axis located at the first stage above the horizontal axis, repeating the phase downwar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and connecting to the end points (A1, B5). Is done.
  • the sixth pattern part 6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fth pattern part end points A1 and B5 and is upward by the diagonal distance 2L when facing the diagonal distance 2L section of the first pattern part 1.
  • the wiring is performed by crossing up and down on the same horizontal axis by the diagonal distance L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s A1 and B1.
  • the upper part of the 6th pattern part 6 is complete
  • End joining of the wire is known to be by means of a rib or weld,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connection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stent 20 wire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tent 10 wire, and its starting origin is downward from the first stent 10 starting origins A1 and B1 by an offset pitch Pv2. Start at the movement origin A1, B2 of the moved position.
  • the starting point of each of the patterns is made up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of the first stent, and to the end point of the posi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is origin, the end point is made to be the starting point of another continuous pattern to continue.
  • the division lines B1 and B13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sitions constituting the first stent 10 and the dividing lines B2 and B14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sitions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and the diagonal distance 2L do not cross each other.
  • the wires intersecting at the intersection pin positions form a first stent and a second stent by hook coupling, and the first stent wire and the second stent wi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interlaced with each other, thereby making first and second stent coupl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made of stents extending in the Y-axis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 the reference dividing line B1 is formed in multiples of the thirteenth dividing line so as to be located on the dividing line B13 and repeats, and the offset pitch Pv2 at the lower dividing line Bn at the drainage position of the thirteenth dividing line and at the bottom of the lower dividing line. )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lowermost divided line Bn + 1.
  • the first pattern portion 1 is repeated from the origin A1 and B1 to the lower division line Bn at the intersection point having such an equilibrium line and the dividing line, and then the second to sixth pattern portions 2 to 6 are formed.
  • Repeating and forming an upward connection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irst stent with a long extension, and repeats the first pattern portion 1a from the moving origins A1 and B2 to form the connection to the lower division line Bn + 1 and thereafter, the second stant.
  • the second stent of the long extension is combined to form a st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ong extension completed.
  • a stent mad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and 11 to 16.
  • the first wire constituting the first stent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t rings 40 having a curved shape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geometric rhombus shapes.
  • a first pattern portion 1 connecting from the origin A1 and B1 at the top of the first stent to the bottom of the first stent so as to form the space portion 13, and an agent directed upward from the end point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1;
  • the third pattern portion 3, the fourth pattern portion 4, the fifth pattern portion 5, and the sixth pattern portion sequentially upwar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2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2 ( 6) by connecting the wire connection,
  • the second wire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20 has a starting point A1, B2 spaced apart from the origin of the first stent 10 downwardly by an offset pitch Pv2, and has a top end and a bottom end of the second stent 20.
  • the first a pattern portion 1a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t ring portions 40 forming a curved shape and connected from the moving origin to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stent so as to form a space portion 23 on a plurality of geometric rhombuses, the first 2a pattern part 2a which faces upward from the end of 1a pattern part 1a, 3a pattern part 3a, 4a pattern part 4a, 5a which sequentially turns upward from 2a pattern part
  • the first stent 10 and the offset pitch Pv2 are separated and overlapped.
  • first to sixth pattern portions of the first stent 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to sixth pattern portions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20.
  • the first pattern portion 1 of the wire connection constituting the first stent 10 is positioned upward by the intersection points A3 and B5 and the diagonal distance L of the diagonal distance 2L downward from the origin A1 and B1. Bending at the intersections of A4 and B3, the diagonal distances (2L, L) are repeated and the intersections (A6, B7) (A7, B5) (A9, B9) (A10, B7) (A12, B11) (A13 , B9) to connect the first stent origin A1, B1 to the end points A1, B13 at the lowest positions extending vertically.
  • the second pattern portion 2 has the first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13 as starting points,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11 (A3 and B13) (A4 and B11) (A5 and B13) and A6 on the horizontal axis. , B11) (A7, B13) (A8, B11) (A9, B13) (A10, B11) (A11, B13) (A12, B11) (A13, B13) to be connected to the end point (A1, B9) This is accomplished.
  • the third pattern portion 3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2 end points (A1, B9)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B11 (A3, B9) (A4, B11) (A5, B9) on the horizontal axis.
  • A6, B11) (A7, B9) (A8, B11) (A9, B9) (A10, B11) (A12, B7) (A13, B9) (A14, B7) to bend at the end points (A1, B9) )
  • the fourth pattern portion 4 has the third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9 as starting points,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7 (A3 and B9) (A4 and B7) (A5 and B9) (A6) on the horizontal axis. , B7) (A7, B9) (A9, B5) (A10, B7) (A11, B5) (A12, B7) (A13, B5) (A14, B7) and bent to the end points (A1, B5) It is done by
  • the fifth pattern portion 5 has the fourth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5 as starting points,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7 (A3 and B5) (A4 and B7) (A6 and B3) (A7) on the horizontal axis. , B5) (A8, B3) (A9, B5) (A10, B3) (A11, B5) (A12, B3) (A13, B5) (A14, B3) and bent to the end points (A1, B5) It is done by
  • the sixth pattern portion 6 has starting points A1 and B5 of the fifth pattern portion 5 as a starting point, and cross points A3 and B1 (A4 and B3) (A5 and B1) (A6 and B3) on the horizontal axis. (A7, B1) (A8, B3) (A9, B1) (A10, B3) (A11, B1) (A12, B3) (A13, B1) (A14, B3) and bending at the origin (A1, B1) It is made by wiring.
  • the first a pattern portion 1a of the wire connection constituting the second stent 20 is upward by the intersection points A3 and B6 and the diagonal distance L of the diagonal distance 2L downward from the moving origin A1 and B2. Bends at the intersections of the positions A4 and B4 and repeats the diagonal distances 2L and L to repeat the intersections A6 and B8 (A7 and B6) (A9 and B10) (A10 and B8) (A12 and B12) ( It is bent by A13 and B10, and it connects to the end point A1, B14 of the lowest position which extended the 2nd stent origin A1, B2 vertically.
  • the second a pattern portion 2a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a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14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12 (A3 and B14) (A4 and B12) (A5 and B14) (A6) on the horizontal axis.
  • the third a pattern portion 3a is a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a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10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12 (A3 and B10) (A4 and B12) (A5 and B10) and A6 on the horizontal axis.
  • B12 (A7, B10) (A8, B12) (A9, B10) (A10, B12) (A12, B8) (A13, B10) (A14, B8) and bent to the end points (A1, B10) It is done by
  • the fourth a pattern portion 4a is a starting point of the third a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10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8 A3 and B10 A4 and B8 A5 and B10 A6 on the horizontal axis. , B8) (A7, B10) (A9, B6) (A10, B8) (A11, B6) (A12, B8) (A13, B6) (A14, B8) and bent to the end points (A1, B6) It is done by
  • the 5a pattern part 5a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4a pattern part end points A1 and B6,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2 and B8 A3 and B6 A4 and B8 A6 and B4 A7 on the horizontal axis.
  • B6) (A8, B4) (A9, B6) (A10, B4) (A11, B6) (A12, B4) (A13, B6) (A14, B4) and bent to the end point (A1, B6) It is done by
  • the sixth pattern portion 6a has the fifth pattern portion end points A1 and B6 as starting points,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3 and B2 (A4 and B4) (A5 and B2) (A6 and B4) (A7) on the horizontal axis. , B2) (A8, B4) (A9, B2) (A10, B4) (A11, B2) (A12, B4) (A13, B2) (A14, B4) and bend to the origin (A1, B2) Is done.
  • the upper part of the 6a pattern part 6a is complete
  •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may form an acute angle
  •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may form an obtuse angle and have a long rhombus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may be obtuse, and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may be acute and have a long rhombus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 the jig 100 forming the stent connection us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mference forming a hollow portion of the stent to be manufactured and has a long cylindrical body 102 and a X, Y axis around the body
  • a stent jig configured to detach pins 103 for connecting wires in a plurality of divided positions in a direction, wherein the cells form a geometric shape on a rhombus in the X-axis direction from a randomly selected origi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2.
  • the dividing line (B1, B3, B5, B7, B9, B11, B13) and the same dividing line (B2, B4, B6, B8, B10, B12, B14)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Pv2) B1 ⁇ B14) is made by coupling the pin 103 to some intersection point.
  • the portion of the intersection is formed by a position through which the first to sixth pattern portions 1 to 6 and the first to sixa pattern portions 1a to 6a form a connection pattern.
  • the first and 1a pattern portions 1 and 1a may be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second and 2a pattern portions 2 and 2a are defined by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third and 3a pattern portions 3 and 3a may be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fourth and 4a pattern portions 4 and 4a are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fifth and 5a pattern portions 5 and 5a may be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sixth and sixa pattern portions 6 and 6a may be “ Is made of the same pattern.
  • the stent compl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double binding of the cells forming a geometric rhombus spaced apart downward offset pitch (Pv2) as shown in Figs.
  • Pv2 geometric rhombus spaced apart downward offset pitch
  • the offset pitch (Pv2) can be freely adjusted within 1 / 2Pv to act to change the stent to suit the purpose.
  •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duce the volume when incorporated into the introducer because the hook is not linearly concentrated or uniformly arranged in an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le the hook has a very high compliance when the lumen is applied to the lumen. To act.
  • the unit cell of the first stent 10 and the unit cell of the second stent 20 are not hooked substantially and are manufactured by overlapping,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ells is greatly allowed.
  • Pv2) can also be produc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space (13, 23) to be useful for the other stent connection procedure to the overlapping space 30, and the ratio of the horizontal diagonal distance (Ph) and the vertical diagonal distance (Pv)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rhombus phase cell is also made possible.
  • the number of equal and dividing lines of the jig and its expanded view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o as to connect the pattern portion shown and described so that both the circumference can be enlarged or shortened and the length can be shortened or longen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but may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attern portion is in a similar category, all should be attribu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to sixth pattern portions 10 first stent
  • A1 to A14 Uniform line B1 to B14: Split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내강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병변부위에 대응하여 내강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에 관한것이며, 삽입된 신체 내강의 굴곡부에서 순응성(Conformability)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피로에 강성과 내성을 크게 개선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고자 스텐트를 이루는 지그의 원주면 균분 선과 길이방향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본 발명은 신체 내강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병변부위에 대응하여 내강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삽입된 신체 내강의 굴곡부에서 순응성(Conformability)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피로에 강성과 내성을 크게 개선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텐트는 여러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스텐트는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억압되지 않는 한 항상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직경 방향과 길이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신체 내강의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는 확장기구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텐트를 대별하여 살펴보면, 형상 기억합금 소재의 판재를 이용하여 확장 형상을 유지하도록 판재 상 일부분에 대해 공간을 천공하고 원통형으로 밴딩하여 몸체를 이루는 주지의 스텐트가 있었으며, 이러한 판재 밴딩 타입의 스텐트는 기계적인 내성이 강력한 이점이 있으나 자체 수축에 의한 변형성이 극히 떨어져 삽입과 제거 시술이 어려워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다.
상기 주지된 스텐트의 문제를 개선한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교차되게 엮어 마름모형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몸체로 구비하되, 그 양끝단은 용접으로 연결한 스텐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는 시술시에 중공(中空)식 원통형 몸체의 부피를 현격하게 줄이기에 적합하고 용이하며 부피가 축소된 스텐트를 도입기(Introducer)로서 혈관의 병변부위에 삽입하고, 밀어넣어 병변 부위를 바깥방향으로 밀어내어 혈관 등 내강을 확장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 구조를 구분하고,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초기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는 형상기억 합금재의 와이어를 대략 마름모 형상의 셀을 갖으며 각 셀이 상호 지지하여 원통형 튜브 상을 유지하도록 교차하는 2개의 와이어가 상하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위 아래로 엇갈리게 엮어 마름모 상 셀을 구성한 것이다(선행기술 1이라 함).
다른 스텐트로써 본 출원인 특허등록 제457629호(선행기술 2 라함)는 두 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ℓ(후술되는 확장기구 제조용 지그의 대각선으로 한칸 위치의 돌출핀에 와이어를 걸어줄때 길이)의 대각선길이와 2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각각의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된 엇걸림부와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가 동일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의 상기 엇걸림부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키는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457630호(선행기술 3이라 함)는 두 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를 별도로 사용하여서 일차 확장기구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소재의 첫번째 와이어가 서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를 구성하고, 이차 확장기구를 구성하는 두번째 와이어는 기존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번째 와이어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상기 엇갈림 부는 다른 방향에서 진행하는 와이어가 서로 엇갈려 엮여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훅(hook)"라 칭하기도 하며 스텐트가 내강의 굴곡 부위에서 저항없이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작용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109709호(선행기술 4라 함)는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 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상기 선행기술 2, 3의 마름모 상 셀의 이웃한 두 쌍의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연꼴 형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훅"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스텐트는 모든 스텐트 셀이 연결되어 이루어짐에 의해 굴곡 내강 부위 등에서 특히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무조건 팽창하므로 내강의 굴곡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와 내강의 연동운동에 저항하지 않고 움직이는 순응성의 저하라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2 내지 선행기술 4는 모두 선행기술 1에서는 없었던 셀 일부에 훅에 의한 결합 구성을 이룸으로 순응성을 개선하고 있기는 하나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내강 삽입 후 스텐트 전개(Deployment)가 미흡하여 불량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고, 도입기(introducer)에 삽입, 시술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 작게 하면서도 더욱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요구하는 시장 상황을 충족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 3, 4의 경우에는 상기 선행기술 2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져 있기는 하나 다축 스텐트 피로 시험기(Multi-Axis Stent Fatigue Test Instrument)로 시험한 결과 팽창과 수축 피로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선행기술 3의 경우에는 전개력(Deploy force)이 취약하고, 선행기술 3의 경우에는 수축 피로(Bending fatigue)가 특히 부족하며, 선행기술 4의 경우에는 팽창 피로(Expansion fatigue)에 취약하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선행기술 1 내지 4의 발명은 여러 이점이 있는 반면에 고유의 단점을 서로 다르게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형상기억 합금 소재 와이어를 훅과 셀 구조로 엮어 이루어지는 스텐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마름모 상의 기하 도형을 이루는 하나의 셀에 다른 하나의 셀을 비 대칭적으로 중첩시킨 이중 셀에 의하여 반복적인 확장과 수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스트레스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 조기 단선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스텐트의 순응성(Conformability)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입기에 내장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가 작아 낮은 전개(Deploy)수치를 갖으므로 작은 전개력으로 확장 가능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힘 대비 작은 도입기(Introducer) 사용 가능하거나 또는 동일한 도입기(Introducer) 대비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적용할 수 있어 도입기 채택이 용이하고 유연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로에 견고한 기계적인 내성이 우수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훅(hook) 부분 배열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선형(동일선 상) 집중되지 아니하고 고르게 분배시켜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욱 작게 이룸으로 도입기에 내장을 용이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입기 내장이 용이하여 도입기의 아우터(Outer)와의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 전개력을 감소시키고 시술 성공에 유용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텐트 와이어의 엮기 방식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단위 셀을 기준으로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위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 < Pv, Ph > Pv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상기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하여 일정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1 스텐트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상기 동일한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2 스텐트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의 등각 위치에 마련되는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형성하는 내부 기하 형상의 공간을 폭 넓게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1/2Pv 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패턴부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 제2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 제4 패턴부, 제5 패턴부 및 제6 패턴부에 의하여 망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를 이루도록 상기 이격한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 상기 제1a 패턴부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 제4a 패턴부, 제5a 패턴부 및 제6a 패턴부에 의하여 망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제1 패턴부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패턴부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 패턴부의 상부는 제1 패턴부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1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상기 제1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과 제2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은 동일하며 단지 그 시작 원점이 제1 스텐트 시작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동된 위치의 이동 원점에서 개시된다.
상기 각 패턴들의 시작점은 제1 스텐트의 와이어가 시작하는 원점과, 이 원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하는 위치의 종료 점까지 이루어지며, 종료 점은 또 다른 연속하는 패턴의 시작점이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마름모 상의 기하 도형을 이루는 하나의 셀에 다른 하나의 셀을 비 대칭적으로 중첩한 이중 셀에 의하여 반복적인 확장과 수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스트레스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 조기 단선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스텐트에서 요구되는 순응성(Conformability)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입기에 내장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가 작아짐에 따라 낮은 전개(Deploy)수치를 갖으므로 작은 전개력으로 확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힘 대비 작은 도입기(Introducer) 사용 가능하거나 또는 동일한 도입기(Introducer) 대비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적용할 수 있어 도입기 채택이 용이하고 유연한 효과와, 내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로에 견고한 기계적인 내성이 우수하며, 훅(hook) 부분 배열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선형(동일선 상) 집중되지 아니하고 고르게 분배시켜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욱 작게 이룸으로 도입기에 내장을 용이하게 하며, 도입기의 아우터(Outer)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 전개력을 감소시키고 시술 성공에 유용한 동시에 스텐트 와이어의 엮기 방식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의 셀이 오프셋 피치 이격 구성되고 이 오프셋 피치를 증감시켜 제작이 가능하므로 용도에 맞춰 쉽게 변형 제작할 수 있는 능동성이 높은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도시한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그 전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제1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1 와이어의 패턴부를 도시한 패턴도이며,
도 3은 제1 패턴부 결선도.
도 4는 제2 패턴부 결선도.
도 5는 제3 패턴부 결선도.
도 6은 제4 패턴부 결선도.
도 7은 제5 패턴부 결선도.
도 8은 제6 패턴부 결선도로 결선이 완료된 제1 스텐트 패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스텐트를 제1 스텐트에 중첩시켜 결선이 완료된 상태의 패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길이 방향으로 긴 연장의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한 일부 생략된 결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1a 패턴부 발췌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2a 패턴부 발췌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3a 패턴부 발췌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4a 패턴부 발췌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5a 패턴부 발췌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6a 패턴부 발췌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스텐트를 도시한 외형 구성도.
도 18은 도 17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 중 Ph < Pv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 중 Ph > Pv 상태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시하고 설명될 기본 실시 예는 스텐트의 원주면을 A1~A14까지 14균분하고, 길이방향으로 B1~B14까지 분할하여 결선하는 망선의 스텐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결선을 이루는 지그(100)는 몸체(102)와 착탈 핀(103)으로 이루어진다.
지그(100)는 제작될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를 14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과, 이 수직선에 직교하며 원주를 길이방향으로 14 분할하되 분할 최상단 위치와 최하단 위치 이상으로 연장된 원통형 막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를 등가적으로 전개하면 도 2 도면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2 도시의 X축은 지그의 원주 면을 Y축은 길이방향을 도시하며 원주 면의 균분 선(A1~A14)과 길이방향의 원주 분할 선(B1~B14)을 연장하는 교차점 일부에는 핀(3)을 끼워 결선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교차하는 결선 와이어와 훅 결속을 이루도록 마련한다.
상기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 A12,A14)으로 나누어 14 균분 선(A1~A14)으로 이루어진다.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14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길이Ph1=Pv1이 되고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을 이룬다.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은 가상의 선으로 그 교차점 일부에는 핀(3)을 끼우기 위한 홀을 천공하고 핀을 결합하여 준비되는데 도2 도면에 채색된 원은 핀을 도시하는 것이며,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는 설명에서는 각 선의 교차점을 해당 선의 부호를 조합한 좌표로 설명한다.
이 등가 도면에서 X축 방향 원주 균분 선에 중복하여 좌, 우측에 도시한 균분 선(A1)은 동일한 균분 선으로 전개 도시되고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며 우측 도시의 균분선(A1)은 실재하지 않으며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적인 선이다.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단위 셀을 기준으로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위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 < Pv, Ph > Pv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상기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하고 정해진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상기 동일한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형성하는 내부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1/2Pv 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A1, B13)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제1 패턴부(1)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1)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 패턴부(6)의 상부는 제1 패턴부(1)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1 스텐트(10)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와이어의 단부 결합은 스리브 또는 용접에 의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어 구체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스텐트(20) 와이어의 결선 패턴부는 제1 스텐트(10) 와이어의 결선과 동일하며 단지 그 시작 원점이 제1 스텐트(10) 시작 원점(A1, 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동된 위치의 이동 원점(A1, B2)에서 시작한다.
상기 각 패턴들의 시작점은 제1 스텐트의 와이어가 시작하는 원점과, 이 원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하는 위치의 종료 점까지 이루어지며, 종료 점은 또 다른 연속하는 패턴의 시작점이 되어 연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상하단 위치의 분할선(B1),(B13)과 제2 스텐트를 이루는 상하단 위치의 분할선(B2),(B14)과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은 도 10 도시와 같이 Y축 길이 방향으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 A12,A14)으로 나누어 14 균분 선(A1~A14)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14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 기준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이 가능하고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가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 제조 방법을 이룬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대하여 도3 내지 도8 및 도1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중의 와이어로 망선을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있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는 것과,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이루는 제1 스텐트(10)의 제1 내지 제6 패턴부는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1a 내지 제6a 패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 패턴부(1)는 원점(A1, B1)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5)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3)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7)(A7, B5)(A9, B9)(A10, B7)(A12, B11) (A13, B9)에서 절곡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13)(A4, B11)(A5, B13)(A6, B11)(A7, B13)(A8, B11)(A9, B13)(A10, B11)(A11, B13)(A12, B11)(A13, B1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룬다.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9)(A4, B11)(A5, B9)(A6, B11)(A7, B9)(A8, B11)(A9, B9)(A10, B11)(A12, B7)(A13, B9)(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9)(A4, B7)(A5, B9)(A6, B7)(A7, B9)(A9, B5)(A10, B7)(A11, B5)(A12, B7)(A13, B5)(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5)(A4, B7)(A6, B3)(A7, B5)(A8, B3)(A9, B5)(A10, B3)(A11, B5)(A12, B3)(A13, B5)(A14, B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1)(A4, B3)(A5, B1)(A6, B3)(A7, B1)(A8, B3)(A9, B1)(A10, B3)(A11, B1)(A12, B3)(A13, B1)(A14, B3)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1)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6)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4)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8)(A7, B6)(A9, B10)(A10, B8)(A12, B12) (A13, B10)에서 절곡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a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4)(A4, B12)(A5, B14)(A6, B12)(A7, B14)(A8, B12)(A9, B14)(A10, B12)(A11, B14)(A12, B12)(A13, B1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룬다.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a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0)(A4, B12)(A5, B10)(A6, B12)(A7, B10)(A8, B12)(A9, B10)(A10, B12)(A12, B8)(A13, B10)(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10)(A4, B8)(A5, B10)(A6, B8)(A7, B10)(A9, B6)(A10, B8)(A11, B6)(A12, B8)(A13, B6)(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6)(A4, B8)(A6, B4)(A7, B6)(A8, B4)(A9, B6)(A10, B4)(A11, B6)(A12, B4)(A13, B6)(A14, B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2)(A4, B4)(A5, B2)(A6, B4)(A7, B2)(A8, B4)(A9, B2)(A10, B4)(A11, B2)(A12, B4)(A13, B2)(A14, B4)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2)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a 패턴부(6a)의 상부는 제1a 패턴부(1a)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2 스텐트(20)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길이Ph1=Pv1이 되고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는 상하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는 상하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며 좌우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Pv 또는 Ph>Pv의 어떠한 경우라도 마주보는 대향 각도는 항상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결선을 이루는 지그(100)는 제작될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진 몸체(102)와 몸체 둘레에 X, Y축 방향으로 다수의 분할 위치에 끼워 와이어를 결선하는 핀(103)을 탈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텐트용 지그에 있어, 몸체(102) 원주 면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 일부 교차점 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부 교차점은 결선 패턴을 이루는 제1 ~ 제6 패턴부(1 ~ 6)와, 제1a ~ 6a 패턴부(1a ~ 6a)가 경유하는 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1a 패턴부(1, 1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1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2a 패턴부(2, 2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2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3a 패턴부(3, 3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3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4a 패턴부(4, 4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4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 5a 패턴부(5, 5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5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6, 6a 패턴부(6, 6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6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스텐트는 도 17, 도 18 도시와 같이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을 이루는 셀이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된 상태로 이중으로 결속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1/2Pv 이내에서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여 스텐트를 용도에 맞게 변경 제작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텐트는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순응성이 대단히 높은 훅을 갖으면서도 훅이 수평, 수직 어느 방향으로도 선형으로 집중되거나 균일하게 배치되지 아니함에 의해 도입기에 뭉쳐 내장할 때 그 부피 감축이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기하 형상 마름모를 이루며 두 개의 스텐트가 겹쳐 제작됨에 의해 마름모의 대향 내각이 동일하므로 외력에 강한 지지력을 나타내는 작용을 이루는데, 다축 스텐트 피로 시험기(Multi-Axis Stent Fatigue Test Instrument)로 시험한 결과 팽창과 수축 피로 시험에서 종전 기술에 의한 스텐트에 비해 팽창은 최소 2배 이상, 수축은 최소 6배 이상의 수명을 견디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동시에 제1 스텐트(10)의 단위 셀과 제2 스텐트(20)의 단위 셀은 실질적으로는 훅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고 중첩되어 제작됨에 의해 셀의 움짐이 범위가 대폭 허용되는 작용으로 가변적인 오프셋 피치(Pv2)로 공간부(13, 23)의 크기 또한 가변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어 중첩 공간부(30)로의 타 스텐트 연결 시술 등에 유용하게 작용하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의 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마름모 상 셀의 형태 변경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 지그와 그 전개도 상 망선 결선도의 균분 선과 분할 선의 수는 도시하고 설명한 패턴부를 결선하도록 증감 가능하여 원주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과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 모두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 분야 종사자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패턴부의 구현이 유사한 범주에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도어야 할 것임을 밝혀둔다.
*부호의 설명*
1(1a) ~ 6(6a): 제1 ~ 제6 패턴부 10: 제1 스텐트
13, 23: 공간부
20: 제2 스텐트 30: 중첩 공간부
40: 절곡 고리부
A1 ~ A14: 균분선 B1 ~ B14: 분할선

Claims (43)

  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선을 이루며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와이어 간에 훅 결속을 이루어 훅과 셀을 갖는 스텐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스텐트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한 균분 선(A1,A3,A5,A7,A9,A11,A13)과, 상기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 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스텐트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 B11,B13)과,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 B14) 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을 이루어,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수직 대각선 거리(Pv) 대비 1/2Pv 이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는 Ph=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 < 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상하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 > 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상하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며 좌우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텐트(10, 20) 공간부(13, 23)의 대향 각도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1)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1)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고, 제1 패턴부의 시작점과 제6 패턴부의 종료 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B2)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a)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a)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2)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고, 제1a 패턴부의 시작점과 제6 패턴부의 종료 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중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A1~A14)과, 분할선(B1~B14)으로 이루며,
    기준이 되는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 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 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고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을 이루는 것과,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를 이루어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4.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선을 이루며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와이어 간에 훅 결속을 이루어 훅과 셀을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스텐트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한 균분 선(A1,A3,A5,A7,A9,A11,A13)과, 상기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 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스텐트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 B11,B13)과,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 B14) 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을 이루어,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 패턴부(1)는 원점(A1, B1)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5)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3)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7)(A7, B5)(A9, B9)(A10, B7)(A12, B11) (A13, B9)에서 절곡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13)(A4, B11)(A5, B13)(A6, B11)(A7, B13)(A8, B11)(A9, B13)(A10, B11)(A11, B13)(A12, B11)(A13, B1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9)(A4, B11)(A5, B9)(A6, B11)(A7, B9)(A8, B11)(A9, B9)(A10, B11)(A12, B7)(A13, B9)(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9)(A4, B7)(A5, B9)(A6, B7)(A7, B9)(A9, B5)(A10, B7)(A11, B5)(A12, B7)(A13, B5)(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1.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5)(A4, B7)(A6, B3)(A7, B5)(A8, B3)(A9, B5)(A10, B3)(A11, B5)(A12, B3)(A13, B5)(A14, B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2.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1)(A4, B3)(A5, B1)(A6, B3)(A7, B1)(A8, B3)(A9, B1)(A10, B3)(A11, B1)(A12, B3)(A13, B1)(A14, B3)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1)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3.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6)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4)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8)(A7, B6)(A9, B10)(A10, B8)(A12, B12) (A13, B10)에서 절곡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4.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a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4)(A4, B12)(A5, B14)(A6, B12)(A7, B14)(A8, B12)(A9, B14)(A10, B12)(A11, B14)(A12, B12)(A13, B1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5.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a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0)(A4, B12)(A5, B10)(A6, B12)(A7, B10)(A8, B12)(A9, B10)(A10, B12)(A12, B8)(A13, B10)(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6.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10)(A4, B8)(A5, B10)(A6, B8)(A7, B10)(A9, B6)(A10, B8)(A11, B6)(A12, B8)(A13, B6)(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6)(A4, B8)(A6, B4)(A7, B6)(A8, B4)(A9, B6)(A10, B4)(A11, B6)(A12, B4)(A13, B6)(A14, B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2)(A4, B4)(A5, B2)(A6, B4)(A7, B2)(A8, B4)(A9, B2)(A10, B4)(A11, B2)(A12, B4)(A13, B2)(A14, B4)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2)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9. 청구항 27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중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A1~A14)과, 분할선(B1~B14)으로 이루며,
    기준이 되는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 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 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고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을 이루는 것과,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를 이루어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진 몸체(102)와 몸체 둘레에 X, Y축 방향으로 다수의 분할 위치에 끼워 와이어를 결선하는 핀(103)을 탈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텐트용 지그에 있어서,
    몸체(102) 원주 면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 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 결선 패턴을 이루는 제1 ~ 제6 패턴부(1 ~ 6)와, 제1a ~ 6a 패턴부(1a ~ 6a)가 경유하는 교차점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103) 결합을 이루는 교차점은
    제1, 1a 패턴부(1, 1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7
    "와 같은 패턴과,
    제2, 2a 패턴부(2, 2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8
    "와 같은 패턴과,
    제3, 3a 패턴부(3, 3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09
    "와 같은 패턴과,
    제4, 4a 패턴부(4, 4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10
    "와 같은 패턴과,
    제5, 5a 패턴부(5, 5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11
    "와 같은 패턴과,
    제6, 6a 패턴부(6, 6a)는 "
    Figure PCTKR2017001401-appb-I000012
    "와 같은 패턴 중 대각 거리(2L)로 교차하는 부분은 제외하고, 대각 거리(L)로 교차하는 부분으로 그 교차점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PCT/KR2017/001401 2016-02-15 2017-02-09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WO20171422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77,633 US10806612B2 (en) 2016-02-15 2017-02-09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JP2018541428A JP6791974B2 (ja) 2016-02-15 2017-02-09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
US16/912,349 US20200323663A1 (en) 2016-02-15 2020-06-25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42 2016-02-15
KR1020160017142A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6-02-1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077,633 A-371-Of-International US10806612B2 (en) 2016-02-15 2017-02-09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US16/912,349 Division US20200323663A1 (en) 2016-02-15 2020-06-25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253A1 true WO2017142253A1 (ko) 2017-08-24

Family

ID=5962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401 WO2017142253A1 (ko) 2016-02-15 2017-02-09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06612B2 (ko)
JP (1) JP6791974B2 (ko)
KR (1) KR101785042B1 (ko)
WO (1) WO2017142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10B1 (ko) *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2089963B1 (ko) * 2019-06-12 2020-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탈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20210052744A (ko)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비혈관용 스텐트
KR102395506B1 (ko) * 2020-04-03 2022-05-06 박성욱 의료용 스텐트
WO2023047477A1 (ja) * 2021-09-22 2023-03-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129A (ko) * 2001-04-04 2002-10-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633020B1 (ko) *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090038209A (ko) *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101021615B1 (ko) *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KR20110064090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29B1 (ko)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57630B1 (ko)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1109709B1 (ko) 2009-11-11 2012-01-31 신경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CN102973341B (zh) * 2012-11-08 2015-06-1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JP6228594B2 (ja) * 2013-04-18 2017-11-08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胆管留置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129A (ko) * 2001-04-04 2002-10-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633020B1 (ko) *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090038209A (ko) *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20110064090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021615B1 (ko) *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6612B2 (en) 2020-10-20
JP2019504701A (ja) 2019-02-21
US20190053926A1 (en) 2019-02-21
KR101785042B1 (ko) 2017-10-12
JP6791974B2 (ja) 2020-11-25
KR20170095574A (ko) 2017-08-23
US20200323663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253A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WO2016125951A1 (ko)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167399A1 (ko) 스텐트 제조방법
WO2013141441A1 (ko) 플렉서블 스텐트
WO2012057587A2 (ko) 스텐트와이어, 스텐트와이어 및 스텐트 제조방법
JP2005242611A (ja) ニットガーメントの着装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WO2018095090A1 (zh) 防短缩覆膜支架及其制作方法
WO2011059190A2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ITRM970059A1 (it) Metodo di lavorazione a maglia su una macchina rettilinea per maglie- ria e tessuto a maglia cosi&#39; prodotto.
JP2019500078A (ja) 管腔内装置
WO2018212517A1 (ko) 다관절 지지부재
WO2020222479A1 (ko)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WO2017074108A1 (ko)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WO2019027175A1 (ko)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WO2011132871A2 (ko) 상악동막 거상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09407A1 (ko) 고정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삽입장치
WO2023128148A1 (ko)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CN211011239U (zh) 一种用于连接长条灯管的接头
KR10043902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JPS61200267A (ja) 足場用又は類似構造体用継手及びその組立て法
WO2016153293A1 (ko) 스텐트
WO2023287063A1 (ko)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RU2296396C2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развертываемых космических рефлекторов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отражаю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рефлектора
WO2016175380A1 (ko) 토목섬유 메인튜브체, 보조튜브체 및 메인튜브체와 보조튜브체의 연결시공방법
AU2013101606A4 (en) Support structure for a suspend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34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4142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34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