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022B1 - 내강 확장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내강 확장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022B1
KR100439022B1 KR10-2001-0056197A KR20010056197A KR100439022B1 KR 100439022 B1 KR100439022 B1 KR 100439022B1 KR 20010056197 A KR20010056197 A KR 20010056197A KR 100439022 B1 KR100439022 B1 KR 10043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lumen
airway
connecting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171A (ko
Inventor
서수원
김진국
김호중
정재승
Original Assignee
티엔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엔오(주) filed Critical 티엔오(주)
Priority to KR10-2001-005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022B1/ko
Priority to CNB028198190A priority patent/CN100337701C/zh
Priority to PCT/KR2002/001708 priority patent/WO2003022347A1/en
Publication of KR2003002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내강 ,특히 기도의 형상 변화에 관계없이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강 특히, 기도의 작용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기도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서 대체적으로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텐트 본체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그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고, 내강, 특히 기도(airway)의 형상 변화에 따라 스텐트 본체를 유연하게 대응시켜 주기 위한 유연부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이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한 스텐트의 말단부에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 장치 또는 시술 없이도 상기한 스텐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 스텐트를 다른 스텐트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강 확장용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내강 ,특히 기도의 형상 변화에 관계없이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강 특히, 기도의 작용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기도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강 흡착 질환, 예컨대 기도 흡착 질환(stenosing airway disease)은 해부학적 손상 부위에 따라 대체적으로 내강 폐쇄(intraluminal obstruction), 외인성 압축(extrinsic compression), 및 연화증(malacia)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기도 질환 중에서 외인성 압축 및 연화증에 의하여 발생되는생명-위협 호흡 곤란(dyspnea)의 구제를 위하여 스텐트 시술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한 기도 확장용 스텐트는 대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메쉬(mesh)구조의 금속 및/또는 및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자체의 탄성력을 갖고서 갖고 있어 외력을 가하면 수축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팽창하는 자체 평창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텐트는 스텐트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협착부위에 삽입된다.
이러한 자체 팽창형 스텐트는 여러 가지 특성, 즉, 내강을 일정한 힘으로 팽창시켜 주기 위한 팽창성과,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적응성과, 내강의 삽입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는 안정성과, 일정한 크기 이하로 수축될 수 있는 수축성 등을 보유해야 스텐트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만족하게 된다.
상기한 금속형 스텐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미국특허 4,580,568호에 개시된 지안투르코(Gianturco) 타입의 스텐트와, 미국특허 4,655,771호에 개시된 월스텐트(Wallstent) 타입의 스텐트가 있다.
이러한 지안투르코(Gianturco) 타입의 스텐트와 월스텐트(Wallstent)타입의 스텐트와 같은 자체 팽창형 금속 스텐트는 기도에 삽입하기 용이하며, 일반적인 마취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내강을 보다 더 확장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금속형 스텐트는 재위치시커거나 제거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에 악성 기도 폐쇄에 주로 사용된다.
즉, 이러한 자체 팽창형 금속 스텐트는 삽입기구의 직경이 작아지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금속 세선 사이로 조직이 자라 나와서 다시 재협착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스텐트를 고분자 소재로 피복하게 되면, 스텐트 내부로 조직의 침투 성장을 막을 수 있어 재협착이 방지되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스텐트와 기도와의 위치 고정성을 떨어뜨려 스텐트가 쉽게 이동(migration)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즉, 스텐트로 조직의 침투 성장으로 인한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텐트를 피복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피복할 경우 스텐트가 쉽게 이동하여 협착부위에서 벗어나므로 협착을 해소하려는 원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리콘형 스텐트는 단순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너무 커서 기도 내부에 삽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기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도 확장용 스텐트는 단순하게 자체 팽창성을 갖고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도 협착 질환자가 기침을 하는 등으로 인하여 기도가 심하게 변형될 때 기도 형상의 형상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즉, 기도 협착 질환자가 기침을 심하게 하여 기도의 형상이 변화되면, 스텐트의 단면 형상이 기도 형상 변화시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고 C형상으로 접혀지지 못하게 되며, 이 스텐트가 접혀지지 못하는 부위는 기도 형상 변화력에 반하여 반작용이 작용하여 심한 응력을 받게 되고 결국 쉽게 끊어지게 되어 스텐트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강 ,특히 기도의 형상 변화에 관계없이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강 특히, 기도의 작용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텐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서 대체적으로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텐트 본체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그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고, 내강, 특히 기도의 형상 변화에 따라 스텐트 본체를 유연하게 대응시켜 주기 위한 유연부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이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한 스텐트의 말단부에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 장치 또는 시술 없이도 상기한 스텐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 스텐트를 다른 스텐트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가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에 삽입되면, 상기 스텐트의 스텐트 본체의 자체 팽창성에 의하여 기도의 협착 부위를 확장시켜 주게 되고, 유연부와 스텐트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가 기도의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지지부에 의하여 스텐트가 기도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가 접혀질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1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서 일정한 형상을 이루고,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텐트 본체(11)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11)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이 스텐트 본체와 함께 그 내부에 통로(100)를 형성하고, 일정한 크기의 유연성을 보유하여 내강, 특히 기도(airway)의 형상 변화에 따라 스텐트 본체(11)를 유연하게 대응시켜 주기 위한 유연부(13)를 포함한다.
상기한 스텐트 본체는 도 1에서와 같이 유연부에 대응하여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10)는 상기한 스텐트 본체(11)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이 스텐트 본체(11)를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스텐트(10)는 이 스텐트(10)의 말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 장치 또는 시술 없이도 상기한 스텐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하여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가 긴 경우나 내강의 협착 부위가 구부러진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 스텐트를 다른 스텐트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스텐트 본체(11)는 그 단면이 반원형상 내지 원형상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도가 형상 변화될 때 유연부(13)가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텐트 본체(11)는 실리콘, 고무, 고분자 등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면서 자체 팽창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강의 협착 부위가 구부러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유연성을 보유하며, 삽입장치(도시생략)를 이용하여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하로 수축될 수 있는 수축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스텐트 본체(11)는 유연부의 작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연부(13)는 대체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텐트를 내강에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11)와 함께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 스텐트 본체(11)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유연부(13)는 스텐트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텐트 본체(11)와 동일한 두께를 갖게 형성되거나 다른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유연부(13)는 기도의 형상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 즉, 접혀질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11) 보다 더 큰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텐트 본체(11)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유연부(13)는 그 폭에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다른 두께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도의 형상 변화시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유연부(13)는 내강의 형상 변화에 따라 접혀질 때 스텐트 본체(11)의 반경 중심과 동일한 반경중심을 갖고 접혀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10)의 스텐트 본체(11) 및 유연부(13)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찌그러지지 않고 외력이 제거되면 스텐트(10)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 스텐트 본체 및 유연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 본체(11)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그 원주면 전체 또는 원주면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 본체와 함께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이 스텐트 본체(11)와 동일한 반경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나 스텐트 본체(11)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 본체(1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텐트 본체(11)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고정부(15)는 스텐트 본체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게 하거나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고정부(15)와 고정부(15) 사이에는 스텐트 본체(11)가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에 삽입될 시 내강의 조직이 침투하여 스텐트 본체를 내강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공간부(2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는 일 스텐트(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스텐트의 타단부 및 일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암, 수 연결부재(17,18,19, 20)를 포함한다.
상기한 연결부는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가 긴 경우에 그 협착 부위의 길이에 따라 스텐트(10)를 다수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는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 중 구부러진 부위에 삽입되는 경우 그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보유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스텐트 본체 및 유연부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암, 수 연결부재(17,18,19,20)는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지면서 자체 팽창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암 연결부재(17,18)와 수 연결부재(19,20)는 스텐트(10)의 스텐트 본체(11) 및 유연부(13)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 연결부재(19,20)의 내경은 스텐트를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11) 및 유연부(13)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암 연결부재(17,18)의 내경은 스텐트를 견고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 연결부재(19,2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암 연결부재(17)의 내측면에는 다른 스텐트의 수 연결부재(19)가 이 암 연결부재(1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암 연결부재(17)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 연결부재(19)의 끝단부를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한 걸림돌기(23)는 암 연결부재(17)의 내주면 일단부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스텐트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암 연결부재(18)의 내측면과 수 연결부재(20)의 외측면에는 암, 수 연결부재(18)(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 암 연결부재(20,19)를 각각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홈(25)(27)이 각각 일정한 크기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한 걸림홈(25)은 암 연결부재(18)의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 만큼 단이지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걸림홈(27)은 수 연결부재(2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만큼 단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는 스텐트 삽입장치(도시 않음)를 이용하여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텐트(10)의 스텐트 본체(11)의 자체 팽창성에 의하여 기도의 협착 부위를 확장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텐트 본체(11)가 기도의 협착 부위에 위치하게 되면, 유연부(13)와 스텐트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100)가 기도의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15)에 의하여 스텐트 본체(11)가 기도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한 고정부(15)가 스텐트 본체(11)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고정부(15)의 돌출 두께 만큼 기도의 협착 부위를 더욱 압착하여 스텐트(10)를 기도의 협착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부(15)에 의하여 스텐트 본체(11)를 고정시켜 준 상태로 스텐트(10)를 사용하다가 기도의 내부 조직이 성장하여도 그 내부 조직은 상기한 고정부(15)와 고정부(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00) 사이로 침투하게 되어, 고정부(15)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텐트 본체(11)와 유연부(13)의 통로(100)는 전체적으로 스텐트(10)의 외주면과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기도의 내부 조직이 스텐트(10) 내부로 침투하지는 못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텐트(10)가 기도의 협착 부위에 삽입된 후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기도 협착 질환자가 심하게 기침을 하는 등으로 인하여 기도의 형상이 변화하게 되면, 상기한 기도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유연부(13)가 일정한 크기의 곡률 중심을 갖고 도 4와 같이 스텐트 본체(11)의 내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연부(13)가 접혀지게 되면, 상기한 스텐트 본체(11)가 일정한 크기의 곡률 중심을 갖고 유연부(13)의 외주면을 형성하도록 스텐트 본체(11)의 외주면이 대체적으로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는 기도의 형상이 변화되어도 유연부(13)에 의하여 스텐트 본체(11)가 기도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접혀질 수 있으므로, 스텐트 본체(11)에 기도의 형상 변화력에 따른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스텐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를 내강, 특히 기도의 협착 부위가 긴 경우나 기도의 협착 부위가 구부러진 경우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연결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스텐트(10)를 서로 연결시켜 사용하면 된다.
아래에서는 예시적으로 2개 및 3개의 스텐트를 연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다 더 많은 스텐트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스텐트(10)의 암 연결부재(17, 18)의 내측에 다른 스텐트의 수 연결부재(19,20)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수 연결부재(19)의 끝단부가 암 연결부재(17)의 걸림돌기(23)에 걸리게 하며 또한 수 연결부재(20)가 암 연결부재(18)의 걸림홈(25)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암 연결부재(18)가 수 연결부재(20)의 걸림홈(27)에 걸리게 한다.
그러면, 상기한 스텐트(10)의 암 연결부재(17,18)와 수 연결부재(19,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의 암 연결부재(17)의 끝단부가 고정부(15)의 일단부에 밀착됨과 아울러 수 연결부재(19)의 끝단부가 암 연결부재(17,18)의 내측 끝단부 즉, 걸림돌기(23)와 걸림홈(25)에 밀착되어 일 스텐트(10)와 다른 스텐트를 서로 견고하게 끼움 결합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텐트(10)를 더욱 길게 하고 싶을 경우에는 일 스텐트(10)의 수 연결부재(19,20)를 상기한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또 다른 스텐트(10)의 암 연결부재(17,18)에 끼움 결합하여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연결된 스텐트(10)를 내강, 특히 기도의 구부러진 협착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한 스텐트(10)의 연결부가 내강의 구부러진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한 연결부의 암 연결부재(17,18)와 수 연결부재(19,20)의 연결부위 유연성에 의하여 그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굽혀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의 스텐트는 하기에서 기재된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스텐트(10)도 스텐트 본체(11), 유연부(13),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스텐트(10)는 고정부의 외측면에 일정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부와 함께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 돌기(21)를 포함한다.
상기한 고정 돌기(21)는 고정부(15)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형상도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고정 돌기(21)는 도 7과 같이 스텐트 본체를 내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지그 재그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특정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도 협착 질환자가 심하게 기침을 하는 상태에서도, 내강 ,특히 기도의 형상 변화에 관계없이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한 내강 특히, 기도의 작용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1)

  1.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 및 형상을 갖고서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텐트 본체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그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고, 기도(airway)와 같은 내강의 형상 변화에 따라 스텐트 본체를 유연하게 대응시켜 주기 위한 유연부,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이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한 스텐트의 말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 장치 또는 시술 없이도 상기한 스텐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이 스텐트를 다른 스텐트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한 연결부는 일 스텐트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스텐트의 타단부 및 일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암, 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연결부의 암 연결부재의 내측면에는 다른 스텐트의 수 연결부재가 이 암 연결부재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암 연결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 연결부재의 끝단부를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텐트 본체의 단면은 반원형상 내지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텐트 본체는 기도의 형상 변화 따라 유연부가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연부는 스텐트 본체와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스텐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연부는 그 폭에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다른 두께를 가지게 형성되는 스텐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연부는 스텐트 본체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는 스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연부는 내강의 형상 변화에 따라 접혀질 때 스텐트 본체의 반경 중심과 동일한 반경중심을 갖고 접혀지게 형성되는 스텐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는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스텐트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그 원주면 전체 또는 원주면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텐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에는 스텐트 본체가 내강의 협착 부위에 삽입될 시 내강의 조직이 침투하여 스텐트 본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스텐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부와 함께 스텐트 본체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트.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의 수 연결부재의 내경은 스텐트 본체 및 유연부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암 연결부재의 내경은 수 연결부재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텐트.
  20. 삭제
  21.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의 암 연결부재의 내측면과 수 연결부재의 외측면에는 암, 수 연결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 암 연결부재를 각각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스텐트.
KR10-2001-0056197A 2001-09-12 2001-09-12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043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97A KR100439022B1 (ko) 2001-09-12 2001-09-12 내강 확장용 스텐트
CNB028198190A CN100337701C (zh) 2001-09-12 2002-09-11 内用假体
PCT/KR2002/001708 WO2003022347A1 (en) 2001-09-12 2002-09-11 Endoprosth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97A KR100439022B1 (ko) 2001-09-12 2001-09-12 내강 확장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71A KR20030023171A (ko) 2003-03-19
KR100439022B1 true KR100439022B1 (ko) 2004-07-02

Family

ID=1971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97A KR100439022B1 (ko) 2001-09-12 2001-09-12 내강 확장용 스텐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39022B1 (ko)
CN (1) CN100337701C (ko)
WO (1) WO2003022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197B1 (ko) * 2010-01-12 2012-06-18 김대현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4351B (zh) * 2014-12-10 2017-01-11 南京微创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在气管内的仿生气管支架
CN105748179A (zh) * 2016-04-27 2016-07-13 常州大学 一种个性化气道支架的制备技术
CN106618817A (zh) * 2016-12-23 2017-05-10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儿童医院 婴幼儿用3d打印气管内支架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726004B (zh) * 2017-02-15 2018-04-13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血管吻合支架
KR102223068B1 (ko) * 2019-04-02 2021-03-04 주식회사 비씨엠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KR102318091B1 (ko) * 2021-04-01 2021-10-27 주식회사 제가텍 핀 결합형 스텐트 지그
CN116725750B (zh) * 2023-07-14 2024-02-02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广州呼吸中心) 一种气管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133A (en) * 1990-04-02 1991-02-05 Tenax-Glynn Corporation Removable J-J ureteral stent
US5167614A (en) * 1991-10-29 1992-12-01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rostatic st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31A (zh) * 1996-09-18 1998-03-25 崔连群 自锁式血管内支架
US6241757B1 (en) * 1997-02-04 2001-06-05 Solco Surgical Instrument Co., Ltd.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US5989207A (en) * 1997-11-03 1999-11-23 Hughes; Boyd R. Double swirl s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133A (en) * 1990-04-02 1991-02-05 Tenax-Glynn Corporation Removable J-J ureteral stent
US5167614A (en) * 1991-10-29 1992-12-01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rostatic s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197B1 (ko) * 2010-01-12 2012-06-18 김대현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4700A (zh) 2005-01-12
KR20030023171A (ko) 2003-03-19
CN100337701C (zh) 2007-09-19
WO2003022347A1 (en)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84180B2 (en) Stent with geometry determinated functional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183507B1 (en) Stents for supporting lumens in living tissue
CA2345962C (en) Endoluminal grafts having continuously curvilinear wireforms
US5507771A (en) Stent assembly
US5814063A (en) Stent for placement in a body tube
US5674277A (en) Stent for placement in a body tube
US8961583B2 (en) Optimized flex link for expandable stent
AU2005299302B2 (en) Stent having phased hoop sections
US20040054400A1 (en) Conformable vascular stent
CA2241547A1 (en) Flat wire stent
WO2001026584A1 (en) Stents with multilayered struts
JPH0866480A (ja) 組合せ動脈用ステント
KR10043902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6796998B2 (en) Stent
KR20190064943A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US8241347B2 (en) Medical supporting implant, in particular stent
KR101154197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시스템
JP6373831B2 (ja) ステント
US10231856B2 (en) Stent with segments capable of uncoupling during expansion
KR20010005434A (ko) 이동 방지를 위한 팽창성 스텐트
EP2611397B1 (en) Expandable devices
KR100260871B1 (ko) 길이방향 유연성을 가지는 자기 팽창성 스텐트
JP2004267492A (ja) 血管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AU2012202185B2 (en) Stent having phased hoop sections
KR100758739B1 (ko) 심혈관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