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148A1 -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 Google Patents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148A1
WO2023128148A1 PCT/KR2022/014481 KR2022014481W WO2023128148A1 WO 2023128148 A1 WO2023128148 A1 WO 2023128148A1 KR 2022014481 W KR2022014481 W KR 2022014481W WO 2023128148 A1 WO2023128148 A1 WO 20231281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wire
memory wire
wire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4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고성원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1281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1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61F2210/0023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heated or cooled by external energy source or cold supply
    • A61F2210/0033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heated or cooled by external energy source or cold supply electrically, e.g. heated by resistor
    • A61F2210/0038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heated or cooled by external energy source or cold supply electrically, e.g. heated by resistor electromagne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사이의 교차점에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연결하여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개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형상기억 와이어, 제2 형상기억 와이어 및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엮여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 및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는 복수의 교차점 중 제1 교차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교차점과 이격된 제2 교차점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3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본 발명은 재팽창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기억 온도에 따라 자가 팽창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제조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사이의 교차점에 축 방향으로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연결하여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개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 시술은 중재의학의 대표적인 시술법으로 첨단 영상장비와 미세 의료기구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약물 주입과 외과적 시술을 하지 않고 시술 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최소 침습적 시술 방법이다.
스텐트 시술은 인체 내 폐색된 도관을 개통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수 만 건 이상의 스텐트 삽입 시술이 진행되었다.
스텐트 시술 이후 인체 관내 재폐색이 발생했을 때 외부 자기장 발생장치에 의해 금속 스텐트를 발열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형상기억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스텐트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힘으로 인해 완전히 전개된 상태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되어 폐색된 관을 확장시켜 체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기존 스텐트의 경우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이 거의 사라져 초탄성의 특성만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자가 팽창형 스텐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를 보강하여, 형상기억 온도가 다른 이종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엮어 스텐트를 제작하게 되면 사람의 체내에서는 체온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초탄성만으로 자가 팽창하게 되고, 이후 재협착에 의해 관내 직경이 줄어들었을 때 외부의 자기장을 걸어주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형상기억 온도까지 발열시키면 다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텐트(1)는 지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일례로 지그는 원통형 본체 원주상의 등각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홈에 소정 간격으로 핀을 결합하며, 와이어(2)를 각 핀에 걸어 절곡하는 형태로 교차되게 엮어 중공식 원통형 스텐트(1)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스텐트(1)는 와이어(2)의 전개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다이아몬드 셀 구조로 와이어(2)를 엮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상 와이어(2)가 한번 압축되었을 때 다시 전개되는 것이 다른 구조의 스텐트에 비해 어려우며, 스텐트의 끝 부분보다 중앙 부분의 지지력과 전개력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8394호(2010.01.2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형상기억 온도에 따라 자가 팽창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제조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사이의 교차점에 축 방향으로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연결하여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개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힘의 방향에 수직인 축 방향으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축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다이아몬드 셀 구조의 중공부 각도가 변형되더라도 추가로 설치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축 방향으로 복원되어 축의 수직 방향으로의 지지력과 전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트의 중앙 부분에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추가로 보강하여 스텐트의 끝 부분과 중앙 부분의 지지력 및 전개력을 비슷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내에 삽입 후에 관 내의 내강이 재협착된 경우, 다시 팽창되어 재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혈관 등의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 제2 형상기억 와이어 및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엮여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 및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는 복수의 교차점 중 제1 교차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교차점과 이격된 제2 교차점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3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1 형상기억 온도는 제2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2 형상기억 온도 보다 낮고, 제3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3 형상기억 온도는 제1 형상기억 온도 및 제2 형상기억 온도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의 길이의 중심점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제1 교차점에 고정되는 제1 고리부재, 제2 교차점에 고정되는 제2 고리부재 및 제1 고리부재 및 제2 고리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직선형 와이어 및 비직선형 와이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교차점과 제2 교차점을 연결한 제1 연결선은 중공부를 관통하는 수직선과 0도~60도 사이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1 형상기억 온도가 동일한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제2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온도가 동일한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 온도에 따라 자가 팽창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제조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사이의 교차점에 축 방향으로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연결하여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개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힘의 방향에 수직인 축 방향으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축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다이아몬드 셀 구조의 중공부 각도가 변형되더라도 추가로 설치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축 방향으로 복원되어 축의 수직 방향으로의 지지력과 전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텐트의 중앙 부분에 고리형 형상기억합금 지지체를 추가로 보강하여 스텐트의 끝 부분과 중앙 부분의 지지력 및 전개력을 비슷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내에 삽입 후에 관 내의 내강이 재협착된 경우, 다시 팽창되어 재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혈관 등의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의 중심점에 설치되는 형상기억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의 제3 형상기억 와이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의 제3 형상기억 와이어의 설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10) 및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스텐트 본체(10)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 및 중공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스텐트 본체(10)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를 교차하도록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일 수 있다.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는 나선형 구조로 엮이고, 제1 형상기억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는 제1 형상기억 온도인 33~37℃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33~37℃로 상승시키면,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는 원 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해 팽창할 수 있다.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를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와 교차하도록 엮어 내부에 중공부(13)를 구비한 원통형의 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에 교차되도록 나선형 구조로 엮이고, 제2 형상기억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는 제2 형상기억 온도인 40~50℃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40~50℃로 상승시키면,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는 원 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해 팽창할 수 있다.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를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교차하도록 엮어 내부에 중공부(13)를 구비한 원통형의 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의 지그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를 엮는 지그와 동일한 지그로, 즉 하나의 지그로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를 교차하도록 엮어 원통형 스텐트 본체(10)를 제작할 수 있다.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은 니켈(Ni)과 티타늄(Ti)을 섞은 합금으로써, 변형되어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는 33~37℃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이고,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는 40~50℃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이므로, 인체의 내강 내에서 원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의 제1 형상기억 온도 33~37℃는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의 제2 형상기억 온도 40~50℃ 보다 낮으므로,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33~37℃로 상승시키면,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만 팽창하고, 이후 온도를 40~50℃로 더 상승시키면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가 팽창하여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재팽창시킬 수 있다.
중공부(13)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가 교차되도록 엮여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3)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마름모 형태 공극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13)는 축 방향(A)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3)의 복수의 마름모 형태 공극은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 각각이 제1 형상기억 온도와 제2 형상기억 온도에서 팽창하게 되면 변경될 수 있다.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가 교차되는 교차점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의 일단은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가 교차되는 복수의 교차점 중 제1 교차점(C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의 타단은 제1 교차점(C1)과 이격된 제2 교차점(C2)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의 제3 형상기억 온도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의 제1 형상기억 온도 및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의 제2 형상기억 온도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형상기억 온도는 제1 형상기억 온도와 동일한 33~37℃이거나, 제2 형상기억 온도와 동일한 40~50℃일 수 있다.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33~37℃ 또는 40~50℃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전체 길이(L1)의 중심점(M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끝 단보다 중심점(M1) 부분의 지지력 및 전개력이 취약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전체 길이(L1)의 중심점(M1)에 m개가 설치되고,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중심점(M1)부터 끝단 사이에 m개보다 적은 n개가 설치되어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전체에 대한 지지력과 전개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제1 고리부재(21), 제2 고리부재(22) 및 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재(21)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의 제1 교차점(C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리부재(21)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고리부재(21)에는 절개부(21a1)가 형성되어 제1 교차점(C1)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고리부재(21)는 제1 교차점(C1)에 끼워진 후 절개부(21a1)가 봉합 또는 접합되어 제1 교차점(C1)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고리부재(21)는 연결부(23)를 통해 제2 고리부재(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리부재(22)는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의 제2 교차점(C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리부재(22)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2 고리부재(22)에는 중첩부(22a1)가 형성되어 제2 교차점(C2)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고리부재(22)는 중첩부(22a1)가 벌어졌을 때 제2 교차점(C2)에 끼워진 후 중첩부(22a1)가 다시 중첩되어 제2 교차점(C2)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21a1)가 일단과 타단이 서로 마주하는 형상이라면, 중첩부(22a1)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마주하지 않고 타단이 일단에 겹쳐져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절개부(21a1) 및 중첩부(22a1)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1 고리부재(21) 및 제2 고리부재(22)의 일단과 타단에 절개부(21a1)가 모두 형성되거나, 중첩부(22a1)가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절개부(21a1)와 중첩부(22a1)가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리부재(21)와 제2 고리부재(22)는 절개부(21a1) 및 중첩부(22a1) 외에 제1 교차점(C1)과 제2 교차점(C1)에 고정될 수 있는 특정 고정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23)는 제1 고리부재(21)와 제2 고리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3a)는 직선형 와이어로 형성되어 제1 고리부재(21a) 및 제2 고리부재(22a)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23b)는 스프링 모양 또는 곡선형 모양의 비직선형 와이어로 형성되어 제1 고리부재(21b) 및 제2 고리부재(22b)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리부재(21), 제2 고리부재(22) 및 연결부(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는 제1 고리부재(21), 제2 고리부재(22) 및 연결부(23) 외에도 원통형 스텐트 본체(10)의 지지력 및 전개력 방향(B)에 수직인 축 방향(A)으로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와 제2 형상기억 와이어(12)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채택할 수 있다.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의 제1 고리부재(21)가 고정되는 제1 교차점(C1)과 제3 형상기억 와이어(20)의 제2 고리부재(22)가 고정되는 제2 교차점(C2)을 연결한 제1 연결선은 중공부(13)를 관통하는 수직선과 0도~60도 사이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교차점(C11)과 제2 교차점(C12)을 연결한 제1 연결선(CL10)은 중공부(13a)를 관통하는 수직선(PL10)과 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선(CL10)은 축 방향(A)에 평행하고, 형상기억 온도에서 축 방향(A)으로 팽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제1 교차점(C21)과 제2 교차점(C22)을 연결한 제1 연결선(CL20)은 중공부(13b)를 관통하는 수직선(PL20)과 4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선(CL20)은 축 방향(A)에 평행하지 않고, 형상기억 온도에서 축 방향(A)에 비스듬하게 팽창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 온도의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1), 제2 형성기억 온도의 제2 형상기억 와이어(112) 및 제1 형상기억 온도의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120)는 제1 형상기억 온도에서 제1 형상기억 와이어(111)와 함께 원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 온도의 제1 형상기억 와이어(211), 제2 형성기억 온도의 제2 형상기억 와이어(212) 및 제2 형상기억 온도의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220)는 제2 형상기억 온도에서 제2 형상기억 와이어(212)와 함께 원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 온도의 제1 형상기억 와이어(311), 제2 형성기억 온도의 제2 형상기억 와이어(312), 제1 형상기억 온도의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321) 및 제2 형상기억 온도의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321)는 제1 형상기억 온도에서 제1 형상기억 와이어(311)와 함께 원 형상으로 복원되고,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322)는 제2 형상기억 온도에서 제2 형상기억 와이어(312)와 함께 원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형상기억 와이어, 제2 형상기억 와이어 및 상기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상기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엮여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스텐트 본체; 및
    상기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상기 제2 형상기억 와이어가 교차되는 복수의 교차점 중 제1 교차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교차점과 이격된 제2 교차점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3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1 형상기억 온도는 상기 제2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2 형상기억 온도 보다 낮고,
    상기 제3 형상기억 와이어의 제3 형상기억 온도는 상기 제1 형상기억 온도 및 상기 제2 형상기억 온도 중 하나와 동일한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상기 원통형 스텐트 본체의 길이의 중심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상기 제1 교차점에 고정되는 제1 고리부재, 상기 제2 교차점에 고정되는 제2 고리부재 및 상기 제1 고리부재 및 상기 제2 고리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직선형 와이어 및 비직선형 와이어 중 하나인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점과 상기 제2 교차점을 연결한 제1 연결선은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는 수직선과 0도~60도 사이의 각을 이루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상기 제1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1 형상기억 온도가 동일한 복수의 제31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형상기억 와이어는,
    상기 제2 형상기억 와이어와 제2 형상기억 온도가 동일한 복수의 제32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PCT/KR2022/014481 2021-12-31 2022-09-27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WO20231281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24A KR102612056B1 (ko) 2021-12-31 2021-12-31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10-2021-0193724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48A1 true WO2023128148A1 (ko) 2023-07-06

Family

ID=8699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481 WO2023128148A1 (ko) 2021-12-31 2022-09-27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2056B1 (ko)
WO (1) WO20231281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5484A1 (en) * 1994-08-31 2003-03-20 Lilip Lau Exterior supported self-expanding stent-graft
KR100548782B1 (ko) * 2003-04-08 2006-02-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원통형 스텐트
KR100943255B1 (ko) * 2008-07-21 2010-02-19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KR2012005118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373B1 (ko) * 2015-06-09 2016-10-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9191B1 (en) * 2000-07-27 2003-05-27 Bionx Implants, Inc. Self-expanding stent with enhanced radial expansion and shape memory
KR100958578B1 (ko) 2008-07-16 2010-05-18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혈관용 스텐트
KR101244416B1 (ko) * 2011-02-28 2013-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중 구조 스텐트
CN111110402B (zh) * 2020-01-09 2020-11-06 南京圣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贴合的经导管主动脉瓣膜植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5484A1 (en) * 1994-08-31 2003-03-20 Lilip Lau Exterior supported self-expanding stent-graft
KR100548782B1 (ko) * 2003-04-08 2006-02-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원통형 스텐트
KR100943255B1 (ko) * 2008-07-21 2010-02-19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KR2012005118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373B1 (ko) * 2015-06-09 2016-10-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09A (ko) 2023-07-07
KR102612056B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482B1 (en) Stent
CN109890331B (zh) 具有收缩护套的支架移植物递送系统和使用方法
CN102202607B (zh) 用于在弯曲管腔中展开支架移植物的导引器
CA2597695C (en) Device allowing the treatment of bodily conduits at an area of a bifurcation
CN103607975B (zh) 食管支架
EP1729684B1 (en) Stent deployment device
WO2016200103A1 (ko)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RU200611376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эндолюминального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разветвляющихся сосудов и сосудов с ответвлениями
EP0980694A2 (en) Flexible stent with effective strut and connector patterns
US20070150049A1 (en) Stent
EP0506918A1 (en) SELF-EXPANDING ENDOVASCULAR BRACKET.
WO2018095090A1 (zh) 防短缩覆膜支架及其制作方法
JP2014507176A (ja) 整列装置を備える器具、セット及び方法
EP2079397A2 (en) Stent member
CN106794332A (zh) 球囊导管
WO2023128148A1 (ko)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CN113840580A (zh) 单个多分支支架装置组合件和方法
WO2017022956A1 (ko) 체중 저감용 스텐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WO2011093635A2 (ko)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혈관확장장치
WO2017018682A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EP2740439A1 (en) Stent graft having two coaxial stents and a graft tissue
WO2023120890A1 (ko)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WO2020159002A1 (ko)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WO2011059222A2 (ko) 분지부 병변에서의 분지혈관 보호용 스텐트
JP2023148363A (ja) ステント、ステントグラ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3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