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59002A1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59002A1
WO2020159002A1 PCT/KR2019/003986 KR2019003986W WO2020159002A1 WO 2020159002 A1 WO2020159002 A1 WO 2020159002A1 KR 2019003986 W KR2019003986 W KR 2019003986W WO 2020159002 A1 WO2020159002 A1 WO 20201590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nt
turn
work
straight
rhombu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9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희
허몽도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CN201980088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347948A/zh
Priority to EP19913958.5A priority patent/EP3895668B1/en
Priority to JP2021541085A priority patent/JP7252671B2/ja
Publication of WO20201590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59002A1/ko
Priority to US17/373,786 priority patent/US202103614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61F2002/91541Adjacent bands are arranged out of 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that minimizes the shortening phenomenon during deployment in a lumen.
  • a stent procedure is performed to insert a stent into the lesion to expand the narrowed passage and maintain the expanded state.
  • the stent has a self-elastic force in a cylindrical mesh structure, contract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expands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characteristics such as expandability for expanding the lumen with elastic force, adaptability to flexibly according to the bending shape of the lumen, and stability that does not easily move a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lumen must be satisfi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ent is made of a dense mesh structure in which an expansion force is secured by increasing a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mall cross ang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FIG.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caused by shortening during a conventional stent procedure.
  • Figure 1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nt loaded in the catheter (Delivery Catheter) in a reduced state during the stent procedure is transferred to the lumen of the lesion site
  • Figure 1 (B) shows the stent deployed in the lumen is shortening phenomenon An example of an incorrectly treated procedure that does not properly cover the lesion site.
  • the shortening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length (L1) of the stent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expanded in the lumen and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when it is deployed in the lumen, shortening (L2).
  • the stent once deployed cannot be moved, so if it is not properly installed on the stenosis, its function may be reduced or re-stenosis may occur,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problem of performing the re-treatmen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nt that facilitates the user's stent procedure by being manufact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expansion force while minimiz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during deployment in the lumen after being loaded into the carter.
  • a stent is manufactured through a jig in which a plurality of pins P are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Y) in a cylindrical body, wherein a wire member is disposed in the jig A zigzag pattern interwove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through (P), and a plurality of zigzag patter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 (W)
  •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structure arranged to form a mesh (Mesh) structure of the rhombus pattern,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tructure compared to the first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A-type rhombus pattern formed in the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ouble pattern formed in a small second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type rhombus pattern.
  • the wire member includes a first unit member and a second unit member that are each formed as a unit length for each rhombus pattern, but a first unit member for forming the B type rhombus pattern compared to the A type rhombus pattern.
  • the second unit member may have a long length.
  • the first unit member is a first turn formed by rotating one turn in a zigzag manner with a constant period based on a constant reference point to form the cylindrical structure; And a first Eaton formed by rotating one zigzag while forming a mesh structure of the rhombus pattern by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t a phase difference with the first Turn.
  • the second unit member is a point having a constant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point opposite to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turn, and a first phase and a constant phase difference from the first turn.
  • a second turn which is formed by zigzag one rotation while forming a mesh structure by being regularly cros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urns; And the second one turn and the phase difference and correspondingly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form the mesh structure of the rhombus pattern, and the first one turn and the first one turn are intersected constantly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rotate one zigzag. It may include a second Eaton formed.
  • first one turn and the first one turn connect the first straight portions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s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s,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one peak portion and the first one peak portion and the first one valley portion and the first one valley portion,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 are crossed to form a mesh can do.
  • the second one turn and the second one turn connect the second straight lines and the second straight line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second straight lines and the second straight lines,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one peak portion and second second peak portion and the second one-valley portion and the second one-valley portion, the second straight line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portion crossing the rhombus pattern
  • the mesh structure of the second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s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s may intersect with the first straight portions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s to form a mesh.
  • first unit member is connected by twisting at least one time along the first straight portion of the first turn before forming the second turn after the first Eaton is formed
  • second unit member May be connected by twisting at least once along the second straight portion of the second turn before forming the first turn adjacent to the second turn after the second Eaton is formed.
  • the first work,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val,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valley part and the first work and the peak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work, the second work of Eaton, the second work of the peak, and the second work, and this valley part of the second work, Eaton and neighbor
  • the second work, the second work of Eaton, the second work part, the second work, and the peak par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the angle of the peak portion and the valley portion formed in the B-type rhombus pattern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peak portion and the valley portion formed in the A-type rhombus pattern.
  • the stent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member coated to cover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forming the mesh structure of the rhombus pattern.
  • the stent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reventing memb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ylindrical structure extending to one end or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through a jig includes: a) a jig in which a plurality of pins P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cylindrical body Forming a zigzag pattern by weaving the wire memb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And b) a plurality of zigzag patter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redetermined interval (W) in the state of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to produce a cylindrical stent forming a mesh structure of a rhombus pattern; A plurality of pins (P) disposed on the jig is disposed in the same wid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the cylindrical body,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cylindrical body 11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terval W2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 a zigzag pattern interwove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through the disposed pins (P), and a plurality of zigzag patter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interfere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
  •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tructu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mesh (Mesh) structure of the rhombus pattern,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A-type rhombus pattern and the A-type rhombus pattern having a relatively large first cross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type rhombus pattern having a small second crossing angle is repeatedly formed with a certain section and period.
  • the A-type rhombus patter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cross angle
  • the B-type rhombus pattern formed at both ends has a relatively small cross-angle pattern.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o reduce the shortening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expansion force of a specific site corresponding to the lesion.
  •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decreases, the movement of the stent installed in the organ (luminal cavity) decreases, and the movement of the stent and the organ contacting the stent is also minimized.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lesion.
  • the lumen depending on the bending shape of the lumen, it can be flexibly bent without bending, and the partial expansion force at the bent portion can be improved, and since it does not easily move at the inserted position of the lumen, the passage of the constricted area is secured even in the bent portion of the lumen. It is form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blood or food can flow smoothly.
  •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caused by shortening during a conventional stent procedure.
  •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nt is manufactured through a ji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when using a stent produced through a ji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ach rotated two times in an A-type rhombus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A) .
  • FIG. 5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respectively rotated in a B-type rhombus pattern corresponding to both ends B.
  •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A” of FIG. 2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ortion in which the A-type rhombus pattern and the B-type rhombus pattern structure are connected.
  • FIG.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a mesh structure of a st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 mesh structure of a st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nt is manufactured through a ji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nt 1 includes a jig in which a plurality of pins P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cylindrical body 110 (
  • the wire member 10 is interwove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100) to form a zigzag pattern, and the zigzag patter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has a length of a predetermined interval W while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t is made of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mesh structure arranged in a direction.
  • the mesh structure is represented by a shape in which rhombus patterns having the same length of four side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tent (1).
  • the conventional stent has a larger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smaller cross ang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to ensure expansion force, and thus is deployed.
  • the shortening phenomenon occurred significantly.
  • the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tent is small and the cross ang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is large, the shortening phenomenon of the stent can be reduced, but the trade-off that reduces the stent's expansion force (Trade-) Off)
  • Trade- trade-off that reduces the stent's expansion force
  • the pin (P) is arranged in the sam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of the cylindrical body 1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cylindrical body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pacing W2 disposed at both ends B is wider than the first spacing W1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A.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through the jig 100 of this feature has a cross angle size of the rhombus patter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n the central portion A and both ends B Is formed differently, and has a feature in that the second cross angle formed at both ends B is smaller than the first cross angle formed at the central part A.
  • the stent 1 has a first cross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n the rhombus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ype rhombus pattern”) of the central portion A, and is formed at 90 mm to correspond to the lesion. Secure the expansion force.
  • the second crossing ang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n the rhombus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type rhombus pattern”) of both ends B is formed as small as 54 ⁇ , thereby reducing shortening.
  • the first cross angle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cross angle is 90 ⁇ and the second cross angle is 54 ⁇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ent 1 may be composed of a double pattern including a section A of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wire member 10 forms the A-type rhombus pattern and a section B of both ends of the B-type rhombus pattern. Can.
  •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when using a stent produced through a ji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dure.
  • a lesion portion with a narrowed lumen requires a large expansion force, and its front and rear ends do not require a relatively large expansion force compared to the lesion portion.
  • the central part (A) is deployed in the lesio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tent (1).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angle at both ends B, which does not require a large expansion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ereby reduc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as much as possible.
  • the crossing angle of the central portion A which requires a large expansion force, is formed larger than the both end portions B, thereby ensuring expansion force for restoring the narrowed lumen.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hortening phenomenon through the double pattern production so as to have a different crossing ang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and securing the expandability to restore the lesion to a circular shape. It works.
  • FIG. 4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ach rotated two times in an A-type rhombus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A) .
  • FIG. 5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respectively rotated in a B-type rhombus pattern corresponding to both ends B.
  •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A” of FIG. 2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ortion in which the A-type rhombus pattern and the B-type rhombus pattern structure are connected.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itself, has flexibility and is formed in unit lengths of first unit members 11 and second, respectively. It comprises a unit member 12.
  • the vertical crossing of the checkerboard shape is the position of the hole H in which the pin P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jig 100, and the point rounded at the intersection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pin P is installed in the hole H. do.
  • the first unit member 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12 are woven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in a state in which the pin P is disposed on the jig 100 to produce a cylindrical stent 1.
  • the first unit member 11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nt 1 occupies a certain width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long a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at regular intervals.
  • the first turn 11-1 is formed by rotating in a zigzag manner with a constant period based on a constant reference point (X 1- X 1 , Y 1- Y 1 ).
  • the first turn 11-1 is formed by rotating in a zigzag manner.
  • the second unit member 1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nt 1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occupying a certain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along the same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first unit member 11 to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 the first turn 11-1 and the first turn 11-2 are regularly crossed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rotated in a zigzag manner.
  • the second turn 12-1 is formed.
  • a phase difference is made in the second turn 12-1 to interfere with the bending point of the second turn 12-1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mesh structure.
  • the first turn 11-1 and the first turn 11-2 are regularly crossed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rotate one zigzag to form a second turn 12-2.
  • the first turn 11-1 and the first turn 11-2, the second turn 12-1 and the second turn 12-2 are flexible according to the bending shape of the lumen.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long the center line (X 1- X 1 ) (X 2- X 2 ), each having a constant width difference (W1/2),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period with a constant phase difference. It is preferred.
  • the first turn 11-1 is a plurality of first work pieces connecting the first straight parts 111 formed of a zigzag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first straight parts 111 described above. Consists of a peak portion 112 and a first work valley portion 113
  • the first Eaton 11-2 is formed in a zigzag manner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first straight line portion 114 that crosses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to form a mesh, and the above
  • the first straight-line portion 114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valve portion 113 and the first work-peak portion 112 and the first tooth-shaped portion 115 and the first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a valley portion 116.
  • the second turn 12-1 is formed in a zigzag manner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part 111 intersects the first straight line part 111 and the first straight line part 114 to form a mesh. It consists of (121), a plurality of second work peak portion 122 and the second work valley portion 123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straight portion (121).
  • the second Eaton 12-2 is formed in a zigzag manner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first straight part 111, the first straight part 114, and the second straight part 121.
  • the second straight line portion 124 forming the mesh while being crossed,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portion 124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second work valley portion 123 and the second work peak portion 122 And a second e-peak portion 125 and a second e-valley portion 126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Each of the first unit member 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12 formed in a zigzag manner in the central portion A of the stent 1 are formed in a length-direction (Y) of a composite type A rhombus pattern (+). It is manufactured at the intersection angle of peak and valley (eg 90 degrees). This can secure the inflation force for the lesions where the lumen is narrowed to a value greater than each peak portion and the valley portion (eg, 54 degrees) formed by the length-direction (Y) of the B-type rhombus pattern of both ends B described later. have.
  • the first unit member 11 described above is a first turn 11-1 as shown in FIG. 6 in advance before forming the second turn 12-1 after forming the first turn 11-2.
  • a first connecting portion 117 connecting at least one twist or more along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of 1) may be formed.
  • the second unit member 12 described above is before forming the second Eaton 12-2 and then forming the first Eaton 11-1 adjacent to the second Eaton 12-2.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7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t least one twist in advance along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21 of the second turning 12-1.
  • first work peak portion 112 and the first work valley part 113 of the first turn 11-1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the first work turn 11-1.
  • the first work valley part 113 and the first work peak part 112 of one turn 11-1 of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first e-peak portion 115 and the first e-valley portion 116 of the first Eaton 11-2 correspond to the first Eaton 11-2 and the neighboring first.
  • the first e-valley portion 116 and the first e-peak portion 115 of the Eaton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the second one-peak portion 122 and the second one-valley portion 123 of the second one-turn 12-1 are adjacent to the second one-turn 12-1.
  • the second work valley part 123 and the second work peak part 122 of the one turn 12-1 of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the second e-peak portion 125 and the second e-valley portion 126 of the second Eaton 12-2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the second Eaton 12-2 and the neighboring second.
  • the second e-valley portion 126 and the second e-peak portion 125 of the Eaton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the first unit member 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12 is preferably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such as nitinol so that a constant expansion force can be applied when it is at a constant temperature such as lumen.
  • the materials of the first unit member 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12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materials or new materials known for stent production may be applied.
  • the stent 1 includes a first turn 11-1 and a first turn 11-2, a second turn 12-1 and a second turn ( 12-2) are formed by rotating each in a zigzag manner such that they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with a constant width difference and a phase difference.
  •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4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21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24 described above intersect each other to form a mesh structure. To form.
  • the large portion 115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lking.
  • the first unit member 11 is formed by twisting at least one time along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of the first turn 11-1 after forming the first Eaton 11-2.
  • the second unit member 12 is twisted at least once along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21 of the second turn 12-1 after forming the second turn 12-2. Are connected.
  • FIGS. 5 and 6 the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type rhombus pattern applied to both ends B of the st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above. Since it is similar to the A-type rhombus pattern of the central portion A,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 the B-type rhombus pattern formed on both ends B of the stent 1 crosses each peak portion and valley portion formed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pins P wid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jig 100 during production.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angle is smaller than the A-type rhombus pattern of the stent center portion A shown in FIG. 4.
  • the B-type rhombus pattern formed at both ends B of the stent 1 is less deformed than the A-type rhombus patter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when the stent 1 is loaded into the catheter or deployed, thereby minimiz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It has the effect to do.
  • the A-type rhombus pattern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cross angle, and the B-type rhombus pattern formed at both ends has a relatively small cross angle. It is composed of a mesh structure of a pattern, which reduces the shortening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expansion force for a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esion.
  • FIG.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coating member 20 and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are provided here. The difference is that only the additional applied. Therefore, hereinafter,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added configura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stent (1) is inserted into the lesions of the lumen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lumen when expanding and to cover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tent (1) so that blood or food can flow smoothly.
  • the coating member 20 such as is coated.
  • the above-described coating member 20 may be coated in the form of being applied by being bur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nt 1 while being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 the stent 1 is soaked in a tank in which the coating member 20 is melted, then taken out and then cooled to be coated.
  • the above-described stent 1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extend to one end or both ends of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made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nt 1.
  •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prevent the stent 1 from being randomly moved in the lumen while supporting the stent 1 inserted into the lesion from the lumen.
  •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are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type rhombus pattern formed on both ends B of the stent 1, thereby minimiz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nfigur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member is wound in a spiral shape or wound in a zigzag shape as well as the A-type rhombus pattern described above.
  • the aforementioned movement preventing members 31 and 3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co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by the coating member 20 together with the stent 1.
  • the movement preventing member (31, 3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enter as the stent (1) to be easily contracted or expanded when inserted into the stenosis of the lumen.
  • the stent is coated with a coating member to smoothly flow blood or food and the like, and also has an effect of preventing blood or food from flowing into other organs.
  • Figure 8 shows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A-type rhombus pattern and the B-type rhombus pattern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Y It is different in that it consists of a mesh structure that repeats with a certain section and period. That is, the stent 1 is a form in which the section A in which the A-type rhombus pattern is formed and the section B in which the B-type rhombus pattern is formed are repeated in the entire length direction (Y)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the center and both end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ppear.
  • the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eriods are not limited to FIG. 8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changed according to the pin P arrangement design of the jig 100.
  • the st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hortening phenomenon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expandabi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X.
  • Figure 9 shows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nt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oint is that the B-type rhombus pattern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composed of a continuous mesh structure. different. This has an effect of having a mesh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shortening phenomenon of the stent 1 to the most optimized state.
  • the stent 1 is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itself, has flexibility, and is formed of unit lengths of a first unit member 11 and a second unit member 12, respectively.
  • A is composed of a dense pattern in which one turn and two turns formed of each zigzag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xpansion force can be maintain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본 발명은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강에서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하는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동맥이나 소화관과 같은 관상 구조의 내강에 협착이 발생되면 혈액이나 음식물이 원활이 흐르지 않게 되어 기능이 축소되고, 그 기능 축소는 해당 내강의 질환뿐 아니라 관련 순환계까지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내강 협착이 발견되면 병변부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여 협착된 통로를 확장하고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이른바 스텐트 시술을 수행하고 있다.
통상 스텐트는 원통형상의 메쉬 구조로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외력을 가하면 수축되고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팽창한다. 이러한 스텐트의 성능 유지를 위해서는 내강을 탄성력으로 팽창시켜 주기 위한 팽창성,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적응성 및 내강의 삽입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는 안정성 등의 특징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텐트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하고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는 작게 하여 팽창력이 확보된 조밀한 메쉬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스텐트 시술 시 내강의 병변 부위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위하여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이 적은 스텐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시술 시 쇼트닝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A)는 스텐트 시술 시 축경된 상태로 카테터(Delivery Catheter)에 로딩된 스텐트가 병변 부위의 내강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B)는 내강에서 전개된 스텐트가 쇼트닝 현상에 의해 병변 부위를 제대로 커버하지 못하는 잘못 시술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쇼트닝 현상은 카테터에 축경 상태로 로딩 시 길이방향(Y)으로 늘어난 스텐트의 길이(L1)가 내강에서의 전개 시 자체 탄성에 의해 둘레방향(X)으로 팽창되면서 단축(L2)되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종래의 스텐트와 같이 팽창력 확보를 위해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는 작게 제작되어 쇼트닝 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스텐트의 전개위치 결정과 시술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번 전개가 이루어진 스텐트는 이동이 불가하므로 협착부위에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그 기능이 축소되거나 재협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재시술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타터에 로딩된 후 내강에서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팽창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스텐트 시술을 용이하게 하는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부재는 각 마름모 패턴을 위한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도록 일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턴; 및 상기 제1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이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일턴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턴; 및 상기 제2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이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일턴 및 제1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 및 제1의 이피크부와 제1의 일밸리부 및 제1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일직선부와 제1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일턴 및 제2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 및 제2의 이피크부와 제2의 일밸리부 및 제2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일직선부와 제2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형성함과 이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이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교차되어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의 일턴의 제1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2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2의 일턴의 제2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피크부와 제1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1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밸리부와 제1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고, 상기한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피크부와 제2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2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밸리부와 제2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의 내외면을 덮도록 코팅된 코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a)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를 통해 와이어 부재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P)은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길이방향(Y)으로는 소정 구간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1 간격(W1)에 비해 소정 구간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2 간격(W2)이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제1 교차각도를 가지는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교차각도를 가지는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르면,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된 이중 패턴의 메쉬 구조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병변부에 대응하는 특정부위의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소됨에 따라 장기(내강)에 설치된 스텐터의 이동이 감소하고, 스텐트와 장기가 맞닿는 부분의 움직임도 최소화 되기 때문에 장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스텐트의 움직임이 감소되어 이로 인한 병변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꺽임없이 유연하게 휘면서도 휨 부분에서의 부분 팽창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강의 삽입된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내강의 휨 부분에서도 협착된 부위의 통로를 확실하게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시술 시 쇼트닝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제작된 스텐트를 시술에 활용 시 쇼트닝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중앙부(A)에 대응되는 A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양단부(B) 대응되는 B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가"영역을 확대 도시한 전개도로서,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 구조가 이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원통형 몸체(110)의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100)를 통해 와이어 부재(10)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로 제작된다.
상기 메쉬 구조는 네 변의 길이가 같은 마름모 패턴이 스텐트(1)의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배열된 형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앞선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종래의 스텐트는 팽창력 확보를 위해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가 작게 제작되어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렇다고 위와 반대로 스텐트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작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제작하는 경우 스텐트의 쇼트닝 현상을 줄일 수 있지만 스텐트의 팽창력이 줄어드는 트래이드 오프(Trade- Off) 관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100)는 핀(P)을 원통형 몸체(110)의 둘레방향(X)에 동일한 폭으로 배치하되,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길이방향(Y)으로는 중앙부(A)에 배치된 제1 간격(W1)에 비해 양단부(B)에 배치된 제2 간격(W2)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의 지그(100)를 통해 제작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상기 중앙부(A)와 양단부(B)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상기 마름모 패턴의 교차각도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A)에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양단부(B)에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스텐트(1)는 상기 중앙부(A)의 마름모 패턴(이하, "A타입 마름모 패턴"이라 명명함)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는 90ㅀ로 형성되어 병변부에 대응되는 팽창력을 확보한다. 또한, 양단부(B)의 마름모 패턴(이하, "B타입 마름모 패턴"이라 명명함)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는 54ㅀ로 작게 형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1 교차각도를 90ㅀ, 제2 교차각도를 54ㅀ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1)는 와이어 부재(10)가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을 이루는 중앙부의 A구간과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을 이루는 양단부의 B구간을 포함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제작된 스텐트를 시술에 활용 시 쇼트닝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내강이 협착된 병변부는 큰 팽창력이 요구되고 그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병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팽창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스텐트 시술에 있어서 병변부에는 스텐트(1)의 길이방향(Y)으로 중앙부(A)가 안착되도록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길이방향(Y)으로 큰 팽창력이 요구되지 않는 양단부(B)의 교차각도가 중앙부(A)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이와 동시에 큰 팽창력이 요구되는 중앙부(A)의 교차각도는 상기 양단부(B)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협착된 내강의 복구를 위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길이방향에 따라 상이한 교차각도를 갖도록 이중 패턴 제작을 통해 쇼트닝 현상을 줄여 시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팽창성을 확보하여 병변부를 원형으로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스텐트(1)의 구조를 아래에 계속되는 도면을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중앙부(A)에 대응되는 A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양단부(B) 대응되는 B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가"영역을 확대 도시한 전개도로서,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 구조가 이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고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11) 및 제2 단위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바둑판 모양의 수직 교차점은 지그(100)에 핀(P)이 삽입 설치되는 홀(H)의 위치이고, 상기 교차점에 동그란 점은 상기 홀(H)에 핀(P)이 설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지그(100)에 핀(P)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를 후술되는 방식으로 엮어 원통형의 스텐트(1)가 제작된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살펴보면, 스텐트(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단위부재(11)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기준 원주면을 따라서 둘레방향(X)으로 일정한 폭을 차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기준점(X1-X1, Y1-Y1)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일턴(1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형성 후 그 제1의 일턴(11-1)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상기 제1의 일턴(11-1)의 벤딩 포인트와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다.
스텐트(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 단위부재(12)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제1 단위부재(11)와 동일한 원주면을 따라서 둘레방향(X)으로 일정한 폭을 차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X1-X1, Y1-Y1)으로 함과 아울러 제1의 일턴(11-1)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11-1)과 제1의 이턴(11-2)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일턴(12-1)을 형성한다.
상기한 제2의 일턴(12-1)의 형성 후 이 제2의 일턴(12-1)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제2의 일턴(12-1)의 벤딩 포인트와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제1의 일턴(11-1)과 제1의 이턴(11-2)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다.
상기한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은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한 폭 차이(W1/2)를 갖는 중심선(X1-X1)(X2-X2)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또한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동일한 주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일턴(11-1)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111)들과,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11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112)와 제1의 일밸리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제1의 이턴(11-2)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1의 이직선부(114)와, 상기한 제1의 이직선부(114)를 연결함과 아울서 제1의 일밸리부(113)와 제1의 일피크부(112)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의 이피크부(115) 및 제1의 이밸리부(116)로 구성된다.
제2의 일턴(12-1)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 제1의 이직선부(114)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2의 일직선부(121)들과,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12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122)와 제2의 일밸리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제2의 이턴(12-2)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 제1의 이직선부(114) 및 제2의 일직선부(121)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2의 이직선부(124)와, 상기한 제2의 이직선부(124)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2의 일밸리부(123)와 제2의 일피크부(122)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의 이피크부(125) 및 제2의 이밸리부(126)로 구성된다.
이렇게 스텐트(1)의 중앙부(A)에 각각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가 합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향(Y)으로 형성된 각 피크부와 밸리부의 교차각도(예; 90도)로 제작된다. 이는 후술되는 양단부(B)의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향(Y)으로 형성된 각 피크부와 밸리부(예; 54도)보다 큰 값으로 내강이 협착된 병변부에 대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는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 후 제2의 일턴(12-1)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도 6과 같이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직선부(11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단위부재(12)는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 후 제2의 이턴(12-2)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11-1)을 형성하기 전이 미리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직선부(12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하여 제2 연결부(127)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피크부(112)와 제1의 일밸리부(113)는 이 제1의 일턴(11-1)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밸리부(113)와 제1의 일피크부(112)와 도 6와 같이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의 이턴(11-2)의 제1의 이피크부(115)와 제1의 이밸리부(116)는 이 제1의 이턴(11-2)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1의 이턴(11-2)의 제1의 이밸리부(116)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피크부(122)와 제2의 일밸리부(123)는 이 제2의 일턴(12-1)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밸리부(123) 및 제2의 일피크부(122)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의 이턴(12-2)의 제2의 이피크부(125)와 제2의 이밸리부(126)는 이 제2의 이턴(12-2)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2의 이턴(12-2)의 제2의 이밸리부(126) 및 제2의 이피크부(125)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는 내강과 같이 일정한 온도로 될 때 일정한 팽창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니티놀 등과 같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의 소재는 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일발적으로 스텐트 제작에 공지된 소재나 신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이 각각 일정한 폭차이 및 위상 차이를 갖고 서로간의 사이로 교차되면서 간섭되게 각각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111) 및 제1의 이직선부(114)와,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121) 및 제2의 이직선부(124)가 각각 서로 교차하면서 메쉬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과의 사이를 아주 작은 크기로 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을 단축하면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피크부(112)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제1의 일밸리부(113) 및 제1의 이밸리부(116)는 이 제1의 일턴(11-1), 제1의 이턴(11-2)과 이웃하는 제1의 일밸리부(113) 및 제1의 이밸리부(116)와 제1의 일피크부(112)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도 6와 같이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는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 후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직선부(11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제2 단위부재(12)는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 후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직선부(12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강의 협착된 부위에 삽입되어 팽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강이 다양한 형상으로 심하게 휘게 되어도 일정한 곡률을 이루면서 꺽임이 방지됨과 아울러 자체의 형상 즉, 원통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의 양단부(B)에 적용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구성과 제작 방식은 앞서 도 4 및 도 6을 통해 설명된 스텐트 중앙부(A)의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제작 시 지그(100)의 길이방향(Y)으로 넓게 배치된 핀(P) 간격에 따라 형성되는 각 피크부와 밸리부의 교차각도가 도 4에 나타낸 스텐트 중앙부(A)의 A타입 마름모 패턴보다 작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스텐트(1)를 카테터에 로딩하거나 전개 시 중앙부(A)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변형이 작게 발생되므로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텐트(1)와 장기(내강)이 맞닿는 부분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기 때문에 장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스텐트(1)의 움직임이 감소되고, 이로 인한 병변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르면,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된 이중 패턴의 메쉬 구조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병변부에 대응하는 특정부위에 대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꺽임없이 유연하게 휘면서도 휨 부분에서의 부분 팽창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강의 삽입된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내강의 휨 부분에서도 협착된 부위의 통로를 확실하게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시 예를 [제1 실시 예]로 정의하고 변경 가능한 추가 실시 예를 계속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상기한 제1 실시 예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에 코팅부재(20)와 이동방지부재(31, 32)가 추가 적용된 점만 다르다. 그러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텐트(1)는 내강의 병변부에 삽입되어 팽창할 때 내강과의 마찰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당해 스텐트(1)의 내, 외측면을 덮어주기 위한 폴리 우레탄 등과 같은 코팅부재(20)가 코팅된다.
상기한 코팅부재(20)는 일정한 온도로 가온된 상태에서 스텐트(1)의 외측면에 묻혀서 바르는 형태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재(20)가 녹아 있는 탱크에 스텐트(1)를 담갔다가 꺼낸 후 냉각되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텐트(1)는 어느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당해 스텐트(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31, 32)를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병변부에 삽입되는 스텐트(1)를 내강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내강 내에서 스텐트(1)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바람직하게 상기한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이동방지부재(31, 32)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A타입 마름모 패턴뿐만 아니라 단위부재가 나선상으로 감겨지거나 지그재그상로 감겨지는 등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스텐트(1)와 함께 코팅부재(20)에 의하여 내, 외측면이 코팅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내강의 협착부위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도록 스텐트(1)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텐트는 코팅부재로 코팅되어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르게 됨과 아울러 다른 기관으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 예]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과 유사하며, 다만 전체 길이방향(Y)을 따라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메쉬 구조로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즉, 스텐트(1)는 앞선 실시 예에의 중앙부와 양단부의 구분 없이 전체 길이방향(Y)으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이 형성된 A구간과 상기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형성된 B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간격과 주기는 도 8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그(100)의 핀(P) 배치 설계에 따라 변경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전체 길이방향(Y)으로의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둘레방향(X)으로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 예]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과 유사하며, 전체 길이방향(Y)을 따라서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연속된 메쉬 구조로 구성는 점이 다르다. 이는 스텐트(1)의 쇼트닝 현상을 가장 최적화된 상태로 줄일 수 있는 메쉬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스텐트(1)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고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11) 및 제2 단위부재(12)가 각각의 지그재그로 형성된 일턴과 이턴이 상호 중복되게 합성되어 엮이는 조밀한 패턴으로 구성되므로 그 팽창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각 마름모 패턴을 위한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도록 일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턴; 및
    상기 제1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이턴;
    을 포함하는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일턴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턴; 및
    상기 제2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이턴;
    을 포함하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일턴 및 제1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 및 제1의 이피크부와 제1의 일밸리부 및 제1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일직선부와 제1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일턴 및 제2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 및 제2의 이피크부와 제2의 일밸리부 및 제2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일직선부와 제2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형성함과 이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이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교차되어 메쉬를 형성하는 스텐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의 일턴의 제1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2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2의 일턴의 제2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는 스텐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피크부와 제1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1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밸리부와 제1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고,
    상기한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피크부와 제2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2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밸리부와 제2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는 스텐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의 내외면을 덮도록 코팅된 코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구조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12. 지그를 통해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를 통해 와이어 부재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P)은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길이방향(Y)으로는 소정 구간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1 간격(W1)에 비해 소정 구간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2 간격(W2)이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작 방법.
  13.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및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제1 교차각도를 가지는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교차각도를 가지는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PCT/KR2019/003986 2019-01-28 2019-04-04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WO20201590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88689.9A CN113347948A (zh) 2019-01-28 2019-04-04 支架及其制作方法
EP19913958.5A EP3895668B1 (en) 2019-01-28 2019-04-04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1541085A JP7252671B2 (ja) 2019-01-28 2019-04-04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17/373,786 US20210361452A1 (en) 2019-01-28 2021-07-13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08A KR102196226B1 (ko) 2019-01-28 2019-01-28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2019-0010708 2019-01-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373,786 Continuation US20210361452A1 (en) 2019-01-28 2021-07-13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002A1 true WO2020159002A1 (ko) 2020-08-06

Family

ID=718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986 WO2020159002A1 (ko) 2019-01-28 2019-04-04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61452A1 (ko)
EP (1) EP3895668B1 (ko)
JP (1) JP7252671B2 (ko)
KR (1) KR102196226B1 (ko)
CN (1) CN113347948A (ko)
WO (1) WO2020159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3972B (zh) * 2022-10-19 2023-10-20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77A (ko) * 1999-12-07 2001-07-02 이길환 스텐트
KR20090038209A (ko) *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20110088975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뉴로벤션 스텐트
KR20130126776A (ko) * 2012-04-12 2013-11-21 (주) 태웅메디칼 길이방향의 중앙 보다 양측 부위 레디얼 포스를 작게 갖는 의료용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8673B2 (ja) * 2001-09-19 2011-01-12 Junken Medical株式会社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WO2009008373A1 (ja) 2007-07-06 2009-01-15 Wellfind Co., Ltd. ステント、マイクロカテーテル、連続ホース状体編上装置及びステント製造方法
KR101330825B1 (ko)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US20130103162A1 (en) * 2011-10-25 2013-04-25 Kieran Costello Coated stent
CA2892269C (en) * 2013-03-15 2021-05-25 Merit Medical Systems, Inc. Esophageal stent
KR101645629B1 (ko) * 2014-09-05 2016-08-12 주식회사 비씨엠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JP6750255B2 (ja) 2016-02-29 2020-09-0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ステ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77A (ko) * 1999-12-07 2001-07-02 이길환 스텐트
KR20090038209A (ko) *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20110088975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뉴로벤션 스텐트
KR20130126776A (ko) * 2012-04-12 2013-11-21 (주) 태웅메디칼 길이방향의 중앙 보다 양측 부위 레디얼 포스를 작게 갖는 의료용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47948A (zh) 2021-09-03
KR102196226B1 (ko) 2020-12-29
US20210361452A1 (en) 2021-11-25
JP7252671B2 (ja) 2023-04-05
EP3895668A1 (en) 2021-10-20
EP3895668B1 (en) 2022-11-09
EP3895668A4 (en) 2022-02-16
KR20200093344A (ko) 2020-08-05
JP2022517792A (ja)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1754A (en) Flexible stent with effective strut and connector patterns
US6017365A (en) Coronary stent
US7611531B2 (en) Stent
WO2014071837A1 (zh)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WO2013141441A1 (ko) 플렉서블 스텐트
WO2012096497A2 (ko)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WO2011068262A1 (ko) 담도용 스텐트
WO2016186262A1 (ko) 하이브리드 스텐트
JP2010521217A (ja) 内腔拡張用ステント
WO2020159002A1 (ko)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2023106141A (ja) ステント
US7131992B2 (en) Stent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0027307A1 (en) The sheet expandable trousers stent and device for its implantation
EP1235535B1 (en) Stent
KR101061206B1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320239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WO2011059222A2 (ko) 분지부 병변에서의 분지혈관 보호용 스텐트
WO2011043500A1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3128148A1 (ko)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100824074B1 (ko) 스텐트
WO2019198969A1 (ko)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KR100329203B1 (ko) 스텐트
KR200194614Y1 (ko) 스텐트
KR20020030442A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3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4108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13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