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226B1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226B1 KR102196226B1 KR1020190010708A KR20190010708A KR102196226B1 KR 102196226 B1 KR102196226 B1 KR 102196226B1 KR 1020190010708 A KR1020190010708 A KR 1020190010708A KR 20190010708 A KR20190010708 A KR 20190010708A KR 102196226 B1 KR102196226 B1 KR 102196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turn
- rhombus pattern
- pattern
- stra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7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00 nickel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LXZNVUGXRDIFK-UHFFFAOYSA-N nickel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Ti].[Ti].[Ti].[Ti].[Ti].[Ti].[Ti].[Ti].[Ti].[Ti].[Ni].[Ni].[Ni].[Ni].[Ni].[Ni].[Ni].[Ni].[Ni].[Ni].[Ni].[Ni].[Ni].[Ni] HLXZNVUGXRDI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3 re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61F2002/91541—Adjacent bands are arranged out of pha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강에서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하는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동맥이나 소화관과 같은 관상 구조의 내강에 협착이 발생되면 혈액이나 음식물이 원활이 흐르지 않게 되어 기능이 축소되고, 그 기능 축소는 해당 내강의 질환뿐 아니라 관련 순환계까지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내강 협착이 발견되면 병변부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여 협착된 통로를 확장하고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이른바 스텐트 시술을 수행하고 있다.
통상 스텐트는 원통형상의 메쉬 구조로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외력을 가하면 수축되고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팽창한다. 이러한 스텐트의 성능 유지를 위해서는 내강을 탄성력으로 팽창시켜 주기 위한 팽창성,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적응성 및 내강의 삽입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는 안정성 등의 특징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텐트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하고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는 작게 하여 팽창력이 확보된 조밀한 메쉬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스텐트 시술 시 내강의 병변 부위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위하여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이 적은 스텐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시술 시 쇼트닝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A)는 스텐트 시술 시 축경된 상태로 카테터(Delivery Catheter)에 로딩된 스텐트가 병변 부위의 내강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B)는 내강에서 전개된 스텐트가 쇼트닝 현상에 의해 병변 부위를 제대로 커버하지 못하는 잘못 시술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쇼트닝 현상은 카테터에 축경 상태로 로딩 시 길이방향(Y)으로 늘어난 스텐트의 길이(L1)가 내강에서의 전개 시 자체 탄성에 의해 둘레방향(X)으로 팽창되면서 단축(L2)되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종래의 스텐트와 같이 팽창력 확보를 위해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는 작게 제작되어 쇼트닝 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스텐트의 전개위치 결정과 시술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번 전개가 이루어진 스텐트는 이동이 불가하므로 협착부위에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그 기능이 축소되거나 재협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재시술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타터에 로딩된 후 내강에서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팽창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스텐트 시술을 용이하게 하는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상기 구조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부재는 각 마름모 패턴을 위한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도록 일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턴; 및 상기 제1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이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일턴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턴; 및 상기 제2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이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일턴 및 제1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 및 제1의 이피크부와 제1의 일밸리부 및 제1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일직선부와 제1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일턴 및 제2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 및 제2의 이피크부와 제2의 일밸리부 및 제2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일직선부와 제2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형성함과 이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이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교차되어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의 일턴의 제1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2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2의 일턴의 제2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피크부와 제1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1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밸리부와 제1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고, 상기한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피크부와 제2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2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밸리부와 제2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의 내외면을 덮도록 코팅된 코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a)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를 통해 와이어 부재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P)은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길이방향(Y)으로는 소정 구간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1 간격(W1)에 비해 소정 구간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2 간격(W2)이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는 스텐트는,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제1 교차각도를 가지는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교차각도를 가지는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르면,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된 이중 패턴의 메쉬 구조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병변부에 대응하는 특정부위의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소됨에 따라 장기(내강)에 설치된 스텐터의 이동이 감소하고, 스텐트와 장기가 맞닿는 부분의 움직임도 최소화 되기 때문에 장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스텐트의 움직임이 감소되어 이로 인한 병변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꺽임없이 유연하게 휘면서도 휨 부분에서의 부분 팽창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강의 삽입된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내강의 휨 부분에서도 협착된 부위의 통로를 확실하게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시술 시 쇼트닝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제작된 스텐트를 시술에 활용 시 쇼트닝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중앙부(A)에 대응되는 A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양단부(B) 대응되는 B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가"영역을 확대 도시한 전개도로서,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 구조가 이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제작된 스텐트를 시술에 활용 시 쇼트닝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중앙부(A)에 대응되는 A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양단부(B) 대응되는 B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가"영역을 확대 도시한 전개도로서,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 구조가 이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및 그 스텐트 제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스텐트가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원통형 몸체(110)의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100)를 통해 와이어 부재(10)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로 제작된다.
상기 메쉬 구조는 네 변의 길이가 같은 마름모 패턴이 스텐트(1)의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배열된 형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앞선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종래의 스텐트는 팽창력 확보를 위해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가 작게 제작되어 전개 시의 쇼트닝 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렇다고 위와 반대로 스텐트의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작게 하고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교차각도를 크게 제작하는 경우 스텐트의 쇼트닝 현상을 줄일 수 있지만 스텐트의 팽창력이 줄어드는 트래이드 오프(Trade- Off) 관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100)는 핀(P)을 원통형 몸체(110)의 둘레방향(X)에 동일한 폭으로 배치하되,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길이방향(Y)으로는 중앙부(A)에 배치된 제1 간격(W1)에 비해 양단부(B)에 배치된 제2 간격(W2)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의 지그(100)를 통해 제작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상기 중앙부(A)와 양단부(B)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상기 마름모 패턴의 교차각도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A)에 형성된 제1 교차각도에 비해 양단부(B)에 형성된 제2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스텐트(1)는 상기 중앙부(A)의 마름모 패턴(이하, "A타입 마름모 패턴"이라 명명함)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1 교차각도는 90°로 형성되어 병변부에 대응되는 팽창력을 확보한다. 또한, 양단부(B)의 마름모 패턴(이하, "B타입 마름모 패턴"이라 명명함)에 길이방향(Y)으로 형성된 제2 교차각도는 54°로 작게 형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1 교차각도를 90°, 제2 교차각도를 54°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1)는 와이어 부재(10)가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을 이루는 중앙부의 A구간과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을 이루는 양단부의 B구간을 포함하는 이중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그를 통해 제작된 스텐트를 시술에 활용 시 쇼트닝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내강이 협착된 병변부는 큰 팽창력이 요구되고 그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병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팽창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스텐트 시술에 있어서 병변부에는 스텐트(1)의 길이방향(Y)으로 중앙부(A)가 안착되도록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길이방향(Y)으로 큰 팽창력이 요구되지 않는 양단부(B)의 교차각도가 중앙부(A)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이와 동시에 큰 팽창력이 요구되는 중앙부(A)의 교차각도는 상기 양단부(B)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협착된 내강의 복구를 위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길이방향에 따라 상이한 교차각도를 갖도록 이중 패턴 제작을 통해 쇼트닝 현상을 줄여 시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팽창성을 확보하여 병변부를 원형으로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스텐트(1)의 구조를 아래에 계속되는 도면을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중앙부(A)에 대응되는 A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가 양단부(B) 대응되는 B타입 마름모 패턴으로 각각 2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가"영역을 확대 도시한 전개도로서,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 구조가 이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고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11) 및 제2 단위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바둑판 모양의 수직 교차점은 지그(100)에 핀(P)이 삽입 설치되는 홀(H)의 위치이고, 상기 교차점에 동그란 점은 상기 홀(H)에 핀(P)이 설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지그(100)에 핀(P)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를 후술되는 방식으로 엮어 원통형의 스텐트(1)가 제작된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살펴보면, 스텐트(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단위부재(11)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기준 원주면을 따라서 둘레방향(X)으로 일정한 폭을 차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기준점(X1-X1, Y1-Y1)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일턴(1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형성 후 그 제1의 일턴(11-1)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상기 제1의 일턴(11-1)의 벤딩 포인트와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다.
스텐트(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 단위부재(12)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제1 단위부재(11)와 동일한 원주면을 따라서 둘레방향(X)으로 일정한 폭을 차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X1-X1, Y1-Y1)으로 함과 아울러 제1의 일턴(11-1)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11-1)과 제1의 이턴(11-2)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일턴(12-1)을 형성한다.
상기한 제2의 일턴(12-1)의 형성 후 이 제2의 일턴(12-1)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제2의 일턴(12-1)의 벤딩 포인트와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제1의 일턴(11-1)과 제1의 이턴(11-2)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다.
상기한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은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한 폭 차이(W1/2)를 갖는 중심선(X1-X1)(X2-X2)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또한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동일한 주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일턴(11-1)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111)들과,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11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112)와 제1의 일밸리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제1의 이턴(11-2)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1의 이직선부(114)와, 상기한 제1의 이직선부(114)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의 일밸리부(113)와 제1의 일피크부(112)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의 이피크부(115) 및 제1의 이밸리부(116)로 구성된다.
제2의 일턴(12-1)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 제1의 이직선부(114)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2의 일직선부(121)들과,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12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122)와 제2의 일밸리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제2의 이턴(12-2)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일직선부(111), 제1의 이직선부(114) 및 제2의 일직선부(121)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제2의 이직선부(124)와, 상기한 제2의 이직선부(124)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2의 일밸리부(123)와 제2의 일피크부(122)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의 이피크부(125) 및 제2의 이밸리부(126)로 구성된다.
이렇게 스텐트(1)의 중앙부(A)에 각각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가 합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향(Y)으로 형성된 각 피크부와 밸리부의 교차각도(예; 90도)로 제작된다. 이는 후술되는 양단부(B)의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길이-향(Y)으로 형성된 각 피크부와 밸리부(예; 54도)보다 큰 값으로 내강이 협착된 병변부에 대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는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 후 제2의 일턴(12-1)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도 6과 같이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직선부(11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단위부재(12)는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 후 제2의 이턴(12-2)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11-1)을 형성하기 전이 미리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직선부(12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하여 제2 연결부(127)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피크부(112)와 제1의 일밸리부(113)는 이 제1의 일턴(11-1)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밸리부(113)와 제1의 일피크부(112)와 도 6와 같이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의 이턴(11-2)의 제1의 이피크부(115)와 제1의 이밸리부(116)는 이 제1의 이턴(11-2)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1의 이턴(11-2)의 제1의 이밸리부(116)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피크부(122)와 제2의 일밸리부(123)는 이 제2의 일턴(12-1)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밸리부(123) 및 제2의 일피크부(122)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의 이턴(12-2)의 제2의 이피크부(125)와 제2의 이밸리부(126)는 이 제2의 이턴(12-2)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2의 이턴(12-2)의 제2의 이밸리부(126) 및 제2의 이피크부(125)와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는 내강과 같이 일정한 온도로 될 때 일정한 팽창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니티놀 등과 같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와 제2 단위부재(12)의 소재는 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일발적으로 스텐트 제작에 공지된 소재나 신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이 각각 일정한 폭차이 및 위상 차이를 갖고 서로간의 사이로 교차되면서 간섭되게 각각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111) 및 제1의 이직선부(114)와,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121) 및 제2의 이직선부(124)가 각각 서로 교차하면서 메쉬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의 일턴(11-1) 및 제1의 이턴(11-2)과 제2의 일턴(12-1) 및 제2의 이턴(12-2)과의 사이를 아주 작은 크기로 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을 단축하면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일피크부(112)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제1의 일밸리부(113) 및 제1의 이밸리부(116)는 이 제1의 일턴(11-1), 제1의 이턴(11-2)과 이웃하는 제1의 일밸리부(113) 및 제1의 이밸리부(116)와 제1의 일피크부(112) 및 제1의 이피크부(115)와 도 6와 같이 서로 걸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단위부재(11)는 제1의 이턴(11-2)을 형성한 후 제1의 일턴(11-1)의 제1의 일직선부(11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제2 단위부재(12)는 제2의 이턴(12-2)을 형성한 후 제2의 일턴(12-1)의 제2의 일직선부(121)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강의 협착된 부위에 삽입되어 팽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강이 다양한 형상으로 심하게 휘게 되어도 일정한 곡률을 이루면서 꺽임이 방지됨과 아울러 자체의 형상 즉, 원통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의 양단부(B)에 적용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의 구성과 제작 방식은 앞서 도 4 및 도 6을 통해 설명된 스텐트 중앙부(A)의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제작 시 지그(100)의 길이방향(Y)으로 넓게 배치된 핀(P) 간격에 따라 형성되는 각 피크부와 밸리부의 교차각도가 도 4에 나타낸 스텐트 중앙부(A)의 A타입 마름모 패턴보다 작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스텐트(1)를 카테터에 로딩하거나 전개 시 중앙부(A)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변형이 작게 발생되므로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텐트(1)와 장기(내강)이 맞닿는 부분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기 때문에 장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스텐트(1)의 움직임이 감소되고, 이로 인한 병변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르면,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A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은 상대적으로 교차각도가 작게 형성된 이중 패턴의 메쉬 구조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병변부에 대응하는 특정부위에 대한 팽창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꺽임없이 유연하게 휘면서도 휨 부분에서의 부분 팽창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강의 삽입된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내강의 휨 부분에서도 협착된 부위의 통로를 확실하게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시 예를 [제1 실시 예]로 정의하고 변경 가능한 추가 실시 예를 계속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상기한 제1 실시 예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에 코팅부재(20)와 이동방지부재(31, 32)가 추가 적용된 점만 다르다. 그러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텐트(1)는 내강의 병변부에 삽입되어 팽창할 때 내강과의 마찰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당해 스텐트(1)의 내, 외측면을 덮어주기 위한 폴리 우레탄 등과 같은 코팅부재(20)가 코팅된다.
상기한 코팅부재(20)는 일정한 온도로 가온된 상태에서 스텐트(1)의 외측면에 묻혀서 바르는 형태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재(20)가 녹아 있는 탱크에 스텐트(1)를 담갔다가 꺼낸 후 냉각되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텐트(1)는 어느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당해 스텐트(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31, 32)를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병변부에 삽입되는 스텐트(1)를 내강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내강 내에서 스텐트(1)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바람직하게 상기한 스텐트(1)의 양단부(B)에 형성된 B타입 마름모 패턴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쇼트닝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이동방지부재(31, 32)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A타입 마름모 패턴뿐만 아니라 단위부재가 나선상으로 감겨지거나 지그재그상로 감겨지는 등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스텐트(1)와 함께 코팅부재(20)에 의하여 내, 외측면이 코팅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동방지부재(31, 32)는 내강의 협착부위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도록 스텐트(1)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텐트는 코팅부재로 코팅되어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르게 됨과 아울러 다른 기관으로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 예]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과 유사하며, 다만 전체 길이방향(Y)을 따라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과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메쉬 구조로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즉, 스텐트(1)는 앞선 실시 예에의 중앙부와 양단부의 구분 없이 전체 길이방향(Y)으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이 형성된 A구간과 상기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형성된 B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간격과 주기는 도 8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그(100)의 핀(P) 배치 설계에 따라 변경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전체 길이방향(Y)으로의 쇼트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둘레방향(X)으로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 예]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1)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과 유사하며, 전체 길이방향(Y)을 따라서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연속된 메쉬 구조로 구성는 점이 다르다. 이는 스텐트(1)의 쇼트닝 현상을 가장 최적화된 상태로 줄일 수 있는 메쉬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스텐트(1)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고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11) 및 제2 단위부재(12)가 각각의 지그재그로 형성된 일턴과 이턴이 상호 중복되게 합성되어 엮이는 조밀한 패턴으로 구성되므로 그 팽창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지그 110: 몸체
P: 핀 1: 스텐트
10; 와이어 부재 11: 제1 단위부재
11-1: 제1의 일턴 11-2: 제1의 이턴
111: 제1의 일직선부 112: 제1의 일피크부
113: 제1의 일밸리부 114: 제1의 이직선부
115: 제1의 이피크부 116: 제1의 이밸리부
117: 제1 연결부 12: 제2 단위부재
12-1: 제2의 일턴 12-2: 제2의 이턴
121: 제2의 일직선부 122: 제2의 일피크부
123: 제2의 일밸리부 124: 제2의 이직선부
125: 제2의 이피크부 126: 제2의 이밸리부
127: 제2 연결부 Y: 길이방향
X: 둘레방향
P: 핀 1: 스텐트
10; 와이어 부재 11: 제1 단위부재
11-1: 제1의 일턴 11-2: 제1의 이턴
111: 제1의 일직선부 112: 제1의 일피크부
113: 제1의 일밸리부 114: 제1의 이직선부
115: 제1의 이피크부 116: 제1의 이밸리부
117: 제1 연결부 12: 제2 단위부재
12-1: 제2의 일턴 12-2: 제2의 이턴
121: 제2의 일직선부 122: 제2의 일피크부
123: 제2의 일밸리부 124: 제2의 이직선부
125: 제2의 이피크부 126: 제2의 이밸리부
127: 제2 연결부 Y: 길이방향
X: 둘레방향
Claims (13)
- 원통형 몸체에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배치된 지그를 통해 제작되어 혈액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내강이 협착된 병변부에 삽입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와이어 부재가 상기 지그에 동일한 폭으로 배치된 핀(P)을 통해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진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Mesh)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제1 교차각도를 가지는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교차각도를 가지는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형성 되어 한 겹으로 이어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제1 교차각도는 90도이고 상기 제2 교차각도는 54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각 마름모 패턴을 위한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도록 일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턴; 및
상기 제1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이턴;
을 포함하는 스텐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일턴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턴; 및
상기 제2의 일턴과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이턴;
을 포함하는 스텐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일턴 및 제1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 및 제1의 이피크부와 제1의 일밸리부 및 제1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일직선부와 제1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는 스텐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일턴 및 제2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과, 상기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 및 제2의 이피크부와 제2의 일밸리부 및 제2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일직선부와 제2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형성하고 이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이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교차되어 메쉬를 형성하는 스텐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부재는 상기 제1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의 일턴의 제1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위부재는 상기 제2의 이턴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의 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2의 일턴의 제2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되는 스텐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피크부와 제1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1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밸리부와 제1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고,
상기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피크부와 제2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2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밸리부와 제2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는 스텐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에 비해 상기 B타입 마름모 패턴에 형성된 피크부와 밸리부의 각도가 작게 형성되는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구조체의 내외면을 덮도록 코팅된 코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구조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 지그를 통해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과 길이방향(Y)으로 복수의 핀(P)이 수직으로 배치된 지그를 통해 와이어 부재를 소정 폭의 상기 둘레방향(X)으로 엮어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둘레방향(X)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소정 간격(W)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름모 패턴의 메쉬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P)은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방향(X)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스텐트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제1 교차각도를 가지는 A타입 마름모 패턴과 상기 A타입 마름모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교차각도를 가지는 B타입의 마름모 패턴이 일정 구간과 주기를 가지고 반복형성 되어 한 겹으로 이어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제1 교차각도는 90도이고 상기 제2 교차각도는 54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작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708A KR102196226B1 (ko) | 2019-01-28 | 2019-01-28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JP2021541085A JP7252671B2 (ja) | 2019-01-28 | 2019-04-04 |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
PCT/KR2019/003986 WO2020159002A1 (ko) | 2019-01-28 | 2019-04-04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CN201980088689.9A CN113347948B (zh) | 2019-01-28 | 2019-04-04 | 支架及其制作方法 |
EP19913958.5A EP3895668B1 (en) | 2019-01-28 | 2019-04-04 |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7/373,786 US12115088B2 (en) | 2019-01-28 | 2021-07-13 |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708A KR102196226B1 (ko) | 2019-01-28 | 2019-01-28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3344A KR20200093344A (ko) | 2020-08-05 |
KR102196226B1 true KR102196226B1 (ko) | 2020-12-29 |
Family
ID=718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0708A KR102196226B1 (ko) | 2019-01-28 | 2019-01-28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115088B2 (ko) |
EP (1) | EP3895668B1 (ko) |
JP (1) | JP7252671B2 (ko) |
KR (1) | KR102196226B1 (ko) |
CN (1) | CN113347948B (ko) |
WO (1) | WO20201590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44617A (zh) * | 2022-09-23 | 2022-12-09 | 北京宥安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有侧孔的网状编制支架及其编织方法 |
CN115553972B (zh) * | 2022-10-19 | 2023-10-20 |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9663B1 (ko) * | 1999-12-07 | 2002-01-05 | 이길환 | 스텐트 |
JP4608673B2 (ja) * | 2001-09-19 | 2011-01-12 | Junken Medical株式会社 |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
JP5322934B2 (ja) * | 2007-07-06 | 2013-10-23 | 河邊 大輔 | ステント、マイクロカテーテル、連続ホース状体編上装置及びステント製造方法 |
KR20090038209A (ko) * | 2007-10-15 | 2009-04-20 |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 스텐트 |
KR20100042478A (ko) * | 2008-10-16 | 2010-04-26 | (주) 태웅메디칼 |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
KR20110088975A (ko) * | 2010-01-29 | 2011-08-04 | 주식회사 뉴로벤션 | 스텐트 |
KR101330825B1 (ko) * | 2011-01-14 | 2013-11-15 | 신경민 |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
US20130103162A1 (en) * | 2011-10-25 | 2013-04-25 | Kieran Costello | Coated stent |
KR20130126776A (ko) * | 2012-04-12 | 2013-11-21 | (주) 태웅메디칼 | 길이방향의 중앙 보다 양측 부위 레디얼 포스를 작게 갖는 의료용 스텐트 |
EP2967927A4 (en) * | 2013-03-15 | 2016-10-12 | Merit Medical Systems Inc | SOPHAGIAN ENDOPROTHESIS |
KR101645629B1 (ko) * | 2014-09-05 | 2016-08-12 | 주식회사 비씨엠 |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
JP6750255B2 (ja) * | 2016-02-29 | 2020-09-02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ステント |
-
2019
- 2019-01-28 KR KR1020190010708A patent/KR102196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04 JP JP2021541085A patent/JP7252671B2/ja active Active
- 2019-04-04 CN CN201980088689.9A patent/CN113347948B/zh active Active
- 2019-04-04 EP EP19913958.5A patent/EP3895668B1/en active Active
- 2019-04-04 WO PCT/KR2019/003986 patent/WO2020159002A1/ko unknown
-
2021
- 2021-07-13 US US17/373,786 patent/US1211508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95668B1 (en) | 2022-11-09 |
JP2022517792A (ja) | 2022-03-10 |
JP7252671B2 (ja) | 2023-04-05 |
KR20200093344A (ko) | 2020-08-05 |
US12115088B2 (en) | 2024-10-15 |
WO2020159002A1 (ko) | 2020-08-06 |
CN113347948A (zh) | 2021-09-03 |
EP3895668A1 (en) | 2021-10-20 |
CN113347948B (zh) | 2024-09-27 |
US20210361452A1 (en) | 2021-11-25 |
EP3895668A4 (en) | 2022-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36623B2 (ja) | 柔軟性拡張可能ステント | |
US6241757B1 (en) |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 |
JP5054524B2 (ja) | 分岐管用突出枝部を備えたステント | |
AU2002304381B2 (en) |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 |
EP1295575B1 (en) |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 |
EP1871292B1 (en) | Flexible stent | |
CA2408697C (en) | Self-expanding stent | |
JP3708923B2 (ja) |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 |
JP5140675B2 (ja) | 長手方向において可撓性を有する拡張可能なステント | |
US20010000043A1 (en) | Flexible expandable stent | |
US20010018595A1 (en) | Flexible expandable stent | |
US20160213498A1 (en) | Braided Self-Expanding Endoluminal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060178724A1 (en) |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 |
WO2006001367A1 (ja) | ステント | |
AU2002304381A1 (en) |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 |
KR20120018772A (ko) | 플렉서블 장치 | |
KR102196226B1 (ko) |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 |
KR102428729B1 (ko) |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67019B1 (ko) |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19663B1 (ko) | 스텐트 | |
KR100373864B1 (ko) |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320239B1 (ko) |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 |
US8496699B2 (en) | Longitudinally flexible stent | |
KR100329203B1 (ko) | 스텐트 | |
KR100548781B1 (ko) | 원통형 스텐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