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074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074B1
KR100824074B1 KR1020070039783A KR20070039783A KR100824074B1 KR 100824074 B1 KR100824074 B1 KR 100824074B1 KR 1020070039783 A KR1020070039783 A KR 1020070039783A KR 20070039783 A KR20070039783 A KR 20070039783A KR 100824074 B1 KR100824074 B1 KR 10082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tent
band bodies
bodies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영
김성현
김현주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7003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인체 내강의 협착된 부위에 삽입되어 협착 부위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스텐트를 개시한다.
이러한 스텐트는,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밴드체와, 상기 밴드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밴드체의 피크부들과 연결되는 밸리부들을 가지는 또 다른 밴드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크부들과 상기 밸리부들의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밴드체들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좌,우가 대칭인 나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 내강 확장술, 스텐트 본체, 복수 개의 밴드체, 피크부(peak)와 밸리부(valley), "V"자 또는 "U"자 형의 궤적, 연결 마디부, 스텐트의 사용 편의성 향상, 균일한 탄성 반발력과 유연성 확보, 시술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 의료적 부작용 방지

Description

스텐트{st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연결 마디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텐트 본체를 전개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연결 마디부의 연결 위치 및 배열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마디부들이 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로가 좁아진 인체 내강의 협착 부위에 삽입되어 내강의 통로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라 불리우는 의료용 확장 기구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통로가 좁아진 혈관이나 식도와 같은 인체 내강의 협착 부위를 확장하는 시술에 사용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카테터와 같은 튜브형의 삽입 기구에 의해 내강의 협착 부위에 삽입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협착 부위의 통로 확장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텐트는,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통상의 피크부(peak)와 밸리부(valley)를 가지도록 형성한 밴드체들이 좌,우로 연결된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를 감을 때 상기 밴드체들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피크부와 밸리부의 끝단 지점이 서로 걸려진 상태로 감겨진 연결 마디부들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밴드체들이 좌,우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마디부는, 상기 각 밴드체 사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지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각 연결 마디부 지점들을 상기 밴드체 사이사이에서 이 밴드체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각 연결 마디부 지점들은 피크부와 밸리부의 끝단이 걸려지면서 네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이므로 탄성 반발력이 크게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텐트는 전체 외부면을 통해 균일한 탄성 반발력을 얻기가 어렵다. 이는 상기 각 밴드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마디부 지점들이 상기 밴드체 사이사이에서 스텐트 둘레를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연결 마디부들이 형성된 상기 밴드체들 사이사이는 탄성 반발력이 크게 발생하고, 나머지 부분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스텐트를 내강의 협착 부위에 삽입 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의 전체 외부면을 통해 균일한 확장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내강의 휘어진 통로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텐트가 휘어질 때 상기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연결 마디부들에 의해 상기 각 밴드체들 사이사이의 유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자칫 접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접힘 현상은, 내강의 통로 흐름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의료적 부작용이 발생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스테트는, 직경 사이즈를 축소시킨 상태로 카테터에 끼울 때 상기 각 밴드체들 사이사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연결 마디부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각 밴드체 사이에서 연결 마디부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스텐트의 축소된 직경 사이즈가 굵어지므로 이에 부합하는 직경 사이즈를 가지는 카테터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직경 사이즈가 굵은 카테터는 내강에 삽입할 때 직경 사이즈가 가는 카테터에 비하여 환자의 고통을 크게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통로가 좁은 내강에 사용할 때 시술 편의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전체 둘레면에 균일한 탄성력과 유연성이 부여되도록 하여 한층 향상된 시술 안정성 및 시술 편의성을 얻을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밴드체;
상기 밴드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밴드체의 피크부들과 연결되는 밸리부들을 가지는 또 다른 밴드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크부들과 상기 밸리부들의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밴드체들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좌,우가 대칭인 나선상으로 위치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서, 도면 부호 2는 스텐트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스텐트 본체(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밴드체(B)들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체(B)들은 와이어(W)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통상의 피크부(P)와 밸리부(V)를 가지도록 형성한 원통 형상의 탄성체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밴드체(B)들은 하나의 와이어(W)에 의해 순차적으로 감겨지면서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텐트 본체(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체(B)들 사이사이에는 연결 마디부(W1)가 형성되어 이 연결 마디부(W1)들에 의해 상기 밴드체(B)들이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마디부(W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밴드체(B)들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피크부(P)와 밸리부(V)의 와이어(W)가 도면에서와 같이 교차되면서 걸려진 감김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각 연결 마디부(W1)들은 피크부(P)와 밸리부(V)를 형성하는 와이어(W)들이 서로 걸려진 감김 상태로 연결되므로 세 개의 와이어(W) 굵기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좌,우로 연결 배치되는 밴드체(B)들을 하나의 와이어(W)로 감아서 상기 스텐트 본체(2)를 만드는 작업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와이어(W)를 지그재그(피크부와 밸리부)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원통의 외부면에 밴딩용 핀들이 구비된 통상의 밴딩용 기구를 이용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밴딩용 기구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감아서 상기 스텐트 본체(2)를 만드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상기 각 밴드체(B)들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직경 사이즈를 축소시켰을 때 상기 각 밴드체(B)들 사이에서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스텐트 본체(2)를 펼쳐서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및 부분 확대 도면으로서,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은 상기 스텐트 본체(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한 임의의 제1 기준선(L1)으로부터 밴드체(B)의 원주 방향으로 가면서 좌,우가 대칭인 나선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연결 마디부(W1)들은, 상기 와이어(W)로 상기 밴드체(B)들을 형성할 때 인접한 밴드체(B)들의 마주하는 피크부(P)와 밸리부(V)들의 끝단부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으로부터 좌,우로 진행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점차 치우쳐지도록 상기 와이어(W)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으면서 형성하면 된다.
상기 연결 마디부(W1)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W)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맨 우측 에 위치한 첫 번째 밴드체(B)의 피크부(P) 크기를 각각 다르게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와이어(W)를 다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상기 첫 번째 밴드체(B)의 피크부(P)들과 걸려진 상태로 연결되는 밸리부(V)를 가지도록 두 번째 밴드체(B)를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밴드체(B)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으로부터 상기 밴드체(B)의 둘레를 따라 진행하면서 서로 어긋나는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밴드체(B)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스텐트 본체(2)를 형성하면 된다.
상기한 연결 마디부(W1)들은 상기 각 밴드체(B) 사이의 둘레를 한 바퀴 돌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점차 치우쳐지다가 그 반대 방향으로 다시 돌아오는 궤적(예를들면, "V"자 형 또는 "U"자 형)을 따라 형성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밴드체(B) 사이에 형성된 각 연결 마디부(W1)들이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인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외부 둘레면이 중심부를 향하여 오므라지도록 직경 사이즈를 축소시킬 때 상기 각 밴드체(B) 사이에서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서로 겹쳐지는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예를들어,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반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한 임의의 제2 기준선(L2-1, L2-2, L2-3, L2-4, L2-5, L2-6, L2- 7)들과 두 개 이하의 개수로만 겹쳐지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연결 마디 지점들이 밴드체 사이의 둘레를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일반 스텐트들과 비교하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직경 사이즈를 축소할 때 굵기를 50% 이상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상기 임의의 제1 기준선(L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 상태로 위치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전체 길이(D) 내에서 각 연결 지점들이 서로 어긋나는 상태로 골고루 분포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들어 연결 마디 지점들이 밴드체 사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일반 스텐트들과 비교할 때 상기 연결 마디부(W1) 지점들에 의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전체 외부면에 균일한 탄성 반발력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직경 사이즈 굵기를 최대한 가늘게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스텐트 본체(2)를 인체 내강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카테터의 사이즈(직경 굵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직경 굵기가 가는 카테터는, 상기 스텐트 본체(2)를 인체 내강에 삽입할 때 카테터가 내강 통로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통로가 좁은 내강에 삽입할 때 접근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 마디부(W1)들은 상기 각 밴드체(B) 사이의 둘레를 한 바퀴 돌 때, 각 연결 지점들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다가 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다시 돌아오는 상태를 한 번 이상 반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연결 마디부(W1)들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전체 길이 내에서 더욱 골고루 분포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밴드체들을 원통형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마디부들이 상기 각 밴드체 사이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분포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각 연결 마디부들에 의해 스텐트 전체 외부면에 균일한 탄성 반발력과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텐트가 휘어질 때 접히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마디부들이 서로 어긋난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스텐트의 직경 사이즈를 축소시킬 때 상기 각 밴드체 사이에서 상기 연결 마디부들이 겹쳐지는 개수(두 개 이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밴드체들 사이에서 각 연결 마디 지점들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일반 스텐트들과 비교할 때 스텐트의 축소된 직경 사이즈 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은 인체 내강의 협착 부위를 확장하는 시술을 할 때 협 착 부위를 균일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직경 굵기가 가는 콤팩트한 사이즈의 카테터로 시술이 가능하므로 만족할 만한 시술 호환성 및 시술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밴드체;
    상기 밴드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밴드체의 피크부들과 연결되는 밸리부들을 가지는 또 다른 밴드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크부들과 상기 밸리부들의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밴드체들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좌,우가 대칭인 나선상으로 위치하는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밴드체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오므라지도록 직경 사이즈를 축소시킬 때 두 개 이상이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각 밴드체 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다가 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다시 돌아오는 상태를 한 번 이상 반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밴드체;
    상기 밴드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밴드체의 피크부들과 연결되는 밸리부들을 가지는 또 다른 밴드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크부들과 상기 밸리부들의 연결 마디부들은, 상기 밴드체들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좌,우가 비대칭인 나선상으로 위치하는 스텐트.
KR1020070039783A 2007-04-24 2007-04-24 스텐트 KR10082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83A KR100824074B1 (ko) 2007-04-24 2007-04-24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83A KR100824074B1 (ko) 2007-04-24 2007-04-24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074B1 true KR100824074B1 (ko) 2008-04-21

Family

ID=3957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783A KR100824074B1 (ko) 2007-04-24 2007-04-24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7477A1 (ja) * 2021-09-22 2023-03-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766A (en) 1995-05-09 1998-05-05 Edoga; John K. Surgical stent
KR19980067399A (ko) * 1997-02-04 1998-10-15 송호영 내강 확장용 의료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5314A (ko) * 1998-05-15 1999-12-06 주성욱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0013737A1 (fr) 1998-09-08 2000-03-16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Stent pour vaisseau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766A (en) 1995-05-09 1998-05-05 Edoga; John K. Surgical stent
KR19980067399A (ko) * 1997-02-04 1998-10-15 송호영 내강 확장용 의료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85314A (ko) * 1998-05-15 1999-12-06 주성욱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0013737A1 (fr) 1998-09-08 2000-03-16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Stent pour vaisseau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7477A1 (ja) * 2021-09-22 2023-03-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KR100455975B1 (ko) 팽창 가능한 스텐트
US6287333B1 (en) Flexible stent
CN106132356B (zh) 血管及体内导管治疗装置和方法
JP5523700B2 (ja) フレキシブルステント
JP4268779B2 (ja) 可撓性末端管腔ステントおよび製造方法
US7611531B2 (en) Stent
US9320627B2 (en) Flexible stent with torque-absorbing connectors
WO2014071837A1 (zh)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JP2018167035A (ja) 食道ステント
KR100974308B1 (ko) 스텐트
JPWO2006001367A1 (ja) ステント
WO2023140214A1 (ja) ステント
WO2020194506A1 (ja) ステント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JP2008500142A (ja) カテーテル用の折畳みバルーン
KR100824074B1 (ko) 스텐트
KR100320239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KR20110002388A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26957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4835113B2 (ja) ステント
WO2020159002A1 (ko)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CN112807141A (zh) 支架及其检查方法
KR200194614Y1 (ko)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