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206B1 -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206B1
KR101061206B1 KR1020090059968A KR20090059968A KR101061206B1 KR 101061206 B1 KR101061206 B1 KR 101061206B1 KR 1020090059968 A KR1020090059968 A KR 1020090059968A KR 20090059968 A KR20090059968 A KR 20090059968A KR 101061206 B1 KR101061206 B1 KR 10106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body portion
metal wire
auxiliary bod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88A (ko
Inventor
김상호
신일균
이주호
김성현
기병윤
김한기
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9005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2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보조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더블 스텐트, 몸체부, 보조몸체부, 금속와이어, 원통체, 지지핀

Description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DOUBLE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인체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되어, 협착된 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의 확장구조를 갖는 더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조직 등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등과 같은 내강에 협착 부위가 발생하면,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텐트라 불리우는 확장기구를 내강에 삽입하여 협착된 부위의 좁아진 통로를 확장함으로써,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스텐트는 카테터와 같은 삽입기구를 통해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되며, 협착된 부위에서 자체 탄성력으로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다.
이러한 스텐트에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0455359호(발명의명칭: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 협착부위의 확장기구)를 통해 공지된 기술이 있다.
상기 기술은 형상기억합금을 엮어서 양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중공식 원통형의 내측 확장기구를 형성하고, 이 내측 확장기구의 외측에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을 엮어 외측 확장기구를 결합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기술은 스텐트를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텐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구조의 스텐트, 즉 더블 스텐트를 형상기억합금을 엮어서 제조하기 위해서는 내측 확장기구와, 외측 확장기구를 각각 제조한 후, 두 확장기구를 별도의 고정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묶어야만 하므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측 확장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와, 외측 확장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가 각각 요구되므로, 지그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더블 스텐트,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는, 금속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되, 양단에 확관부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외측에 금속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보조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몸체부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와이어를 제 1피크부 및 제 1밸리부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 1열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2피크부 및 제 2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 1열부의 끝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 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2밸리부가 상기 제 1피크부에 엮이도록 형성하는 B단계;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보조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3피크부 및 제 3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 2열부 끝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1열부를 형성하는 C단계; 및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4피크부 및 제 4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1열부 끝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4피크부가 상기 제 3밸리부에 엮이도록 형성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금속와이어가 권취되는 원통형상의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금속와이어가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 로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와이어가 감겨지는 복수의 지지핀; 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은 상기 금속와이어가 상기 원통체와 이격된 상태로 감겨지도록 상기 금속와이어를 지지하는 걸림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몸체부와,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보조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지지핀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을 통해 단일의 제조장치만으로 몸체부 및 보조몸체부를 모두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은, 금속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몸체부를 형성한 후, 금속와이어를 몸체부의 끝단으로부터 재차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보조몸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몸체부와 보조몸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이나 자명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100)는 몸체부(110)와, 보조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금속와이어(W)를 엮어서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부(110A)와, 원통부(110A)의 양단에 형성되는 확관부(110B)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확관부(110B)는 원통부(110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보조몸체부(120)는 몸체부(1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W)를 엮어서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몸체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는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를 엮어서 보조몸체부(120)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더블 스텐트 제조장치(200)는 원통체(210)와, 지지핀(2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체(2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원통체(210)의 외주면에 금속와이어(W)가 권취된다. 또, 원통체(210)에는 다수의 결합공(211)들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211)들에 지지핀(220)들이 끼워진다.
지지핀(220)은 원통체(210)에 형성된 결합공(211)을 통해 원통체(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핀(220)은 원통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원통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 1열의 지지핀(221)들과 이웃한 제 2열의 지지핀(222)들은 제 1열의 지지핀(221)들과 대각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대각방향은 원통체(210)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1열의 지지핀(221)들을 포함하는 홀수 열의 지지핀(22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 2열의 지지핀(222) 포함하는 짝수 열의 지지핀(22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지지핀(220)의 양단 사이에는 지지핀(220)의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홈(230)이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홈(230)을 통해 금속와이어(W)를 원통체(210)와 이격된 상태로 엮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더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지지핀(220)은 원통체(2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핀(220)이 3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 A 단계
먼저, 금속와이어(W)를 제 1열의 첫 번째 지지핀(221a)의 하단에 감은 상태에서 제 2열의 두 번째 지지핀(222b)의 하단에 감고, 다시 제 1열의 네 번째 지지 핀(221d), 제 2열의 다섯 번째 지지핀(222e)순으로 감아서, 금속와이어(W)를 제 1열 및 제 2열의 지지핀(221,222)의 하단에 모두 감고나면, 금속와이어(W)는 제 1피크부(P1) 및 제 1밸리부(V1)를 가지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몸체부(110)의 제 1열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2. B 단계
이후, 금속와이어(W)를 제 3열의 첫 번째 지지핀(223a)의 하단에 감고, 다시 제 2열의 두 번째 지지핀(222b)의 하단에 감은 뒤, 계속해서 제 3열의 네 번째 지지핀(223d), 제 2열의 다섯 번째 지지핀(222e) 순으로 순차적으로 감고 나면, 금속와이어(W)는 제 2피크부(P2) 및 제 2밸리부(V2)를 가지며 몸체부(110)의 제 1열부(111) 끝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몸체부(110)의 제 2열부(11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금속와이어(W)는 제 1열의 지지핀(2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열의 지지핀(222)의 하단에 감기는 제 1피크부(P2)와, 제 3열의 지지핀(223)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열의 지지핀(222)의 하단에 감기는 제 2벨리부(V2)가 서로 엮이도록 형성된다.
3. C 단계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W)를 제 3열의 첫 번째 지지핀(223a)의 걸림홈(233a)에 지지되도록 감는다.
그리고 나서, 금속와이어(W)를 제 2열 두번째 지지핀(222b)의 걸림홈(232b)에 지지되도록 감고, 다시 제 3열의 네 번째 지지핀(223d)의 걸림홈(233d), 제 2열 의 다섯 번째 지지핀(222e)의 걸림홈(232e)에 지지되도록 순차적으로 감는다.
이와 같은 순서로, 금속와이어(W)를 제 3열 및 제 2열 지지핀(222,223)의 걸림홈(232,233)에 지지되도록 모두 감고나면, 금속와이어(W)는 제 3피크부(P3) 및 제 3밸리부(V3)를 가지며 몸체부(110)의 제 2열부(112) 끝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보조몸체부(120)의 제 1열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4. D 단계
이후, 금속와이어(W)를 제 1열 첫 번째 지지핀(221a)의 걸림홈(231a)에 지지되도록 감고, 다시 제 2열 두 번째 지지핀(222b)의 걸림홈(232b)에 지지되도록 감은 뒤, 계속해서 제 1열 네 번째 지지핀(221d)의 걸림홈(231d), 제 2열의 다섯 번째 (222e)의 걸림홈(232e)에 지지되도록 순차적으로 감는다.
그러고 나면, 금속와이어(W)는 보조몸체부(120)의 제 1열부(121) 끝단에서 연장되며, 제 4피크부(P4) 및 제 4밸리부(V4)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보조몸체부(120)의 제 2열부(12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금속와이어(W)는 제 3열의 지지핀(223)의 걸림홈(233)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열의 지지핀(222)의 걸림홈(232)에 지지되도록 감기는 제 3밸리부(V3)와, 제 1열의 지지핀(221)의 걸림홈(231)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열의 지지핀(222)의 걸림홈(232)에 지지되도록 감기는 제 4피크부(P4)가 서로 엮이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 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더블 스텐트 110 : 몸체부
120 : 보조몸체부 200 : 제조장치
210 : 원통체 220 : 지지핀
230 : 걸림홈

Claims (4)

  1. 금속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되, 양단에 확관부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외측에 금속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보조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텐트.
  3.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와이어를 제 1피크부 및 제 1밸리부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 1열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2피크부 및 제 2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 1열부의 끝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 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2밸리부가 상기 제 1피크부에 엮이도록 형성하는 B단계;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중공의 원통형상을 갖는 보조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3피크부 및 제 3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 2열부 끝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1열부를 형성하는 C단계; 및
    상기 금속와이어를 제 4피크부 및 제 4밸리부를 갖도록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1열부 끝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상기 보조몸체부의 제 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4피크부가 상기 제 3밸리부에 엮이도록 형성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스텐트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90059968A 2009-07-01 2009-07-01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06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968A KR101061206B1 (ko) 2009-07-01 2009-07-01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968A KR101061206B1 (ko) 2009-07-01 2009-07-01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88A KR20110002388A (ko) 2011-01-07
KR101061206B1 true KR101061206B1 (ko) 2011-09-01

Family

ID=4361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968A KR101061206B1 (ko) 2009-07-01 2009-07-01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6A1 (ko) * 2015-08-03 2017-02-09 (주) 태웅메디칼 체중 저감용 스텐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144A (ko) * 2013-01-21 2014-07-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6047B1 (ko) * 2021-01-15 2021-07-13 주식회사 제가텍 핀 결합형 스텐트 지그
KR102318091B1 (ko) * 2021-04-01 2021-10-27 주식회사 제가텍 핀 결합형 스텐트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864B1 (ko) * 2000-10-17 2003-02-2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864B1 (ko) * 2000-10-17 2003-02-2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6A1 (ko) * 2015-08-03 2017-02-09 (주) 태웅메디칼 체중 저감용 스텐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88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721B1 (ko)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395727B2 (ja) ステント除去用引出ワイヤ
KR10084743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6017365A (en) Coronary stent
US5545211A (en) Stent for expanding a lumen
KR100664531B1 (ko)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3708923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KR101657648B1 (ko)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스텐트
RU2000123558A (ru) Внутрипросветный сосудистый протез
KR101061206B1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7648526B2 (en) Extendable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CN103547235A (zh) 血管及体内导管的治疗装置及方法
KR100974308B1 (ko) 스텐트
US7578840B2 (en) Stent with reduced profile
JP2007529245A5 (ko)
US20120303132A1 (en) Stent for bile duct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KR101076716B1 (ko) 스텐트
JP2018527124A5 (ko)
KR20090038209A (ko) 스텐트
KR20150052719A (ko) 인조 혈관 접착형 스텐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한 인조 혈관 접착형 스텐트
KR101109709B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9990085314A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20150051646A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