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44A -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44A
KR20140094144A KR1020130006467A KR20130006467A KR20140094144A KR 20140094144 A KR20140094144 A KR 20140094144A KR 1020130006467 A KR1020130006467 A KR 1020130006467A KR 20130006467 A KR20130006467 A KR 20130006467A KR 20140094144 A KR20140094144 A KR 2014009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pin
engaging
latch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현
박종채
기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3000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144A/ko
Priority to JP2013211966A priority patent/JP5876019B2/ja
Priority to DE102013221450.2A priority patent/DE102013221450B4/de
Priority to RU2013156816/14A priority patent/RU2013156816A/ru
Priority to GB1400089.7A priority patent/GB2512176B/en
Priority to FR1450359A priority patent/FR3001123B1/fr
Priority to ES201430050A priority patent/ES2478418B1/es
Priority to CN201410028229.6A priority patent/CN103932826A/zh
Publication of KR2014009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61F2002/848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 방지용 스텐트,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탈 방지용 스텐트는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그로 인해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트의 몸체부 외측에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스텐트가 내강에 삽입된 후에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텐트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TENT FOR PREVENTING MIGR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조직 등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등과 같은 내강에 협착부위가 발생할 경우,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스텐트라 불리는 내강 확장기구를 내강에 삽입하여 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부위의 통로를 확장시킴으로써,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한편, 소화기관에 삽입된 스텐트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소화기관의 연동운동으로 인해 최초 삽입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탈됨에 따라 스텐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716호 및제10-0961466호에는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은 내강에 음식물이 유입될 경우, 음식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스텐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나, 스텐트를 내강에 고정시키는 수단에 의해 오히려 역방향으로 스텐트가 이동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탈 방지용 스텐트는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열을 형성하고, 상기 열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는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그부; 상기 스텐트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상기 지그부의 표면상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지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핀; 및 내부에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기 위한 삽입공을 가지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된 걸림부 형성용 핀;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 형성용 핀이 상기 지지핀에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의 내경은 상기 지지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은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핀 및 걸림부 형성용 핀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는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고정핀;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은 원통형 몸체를 갖는 지그부에 스텐트를 결합하는 A단계; 상기 지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B단계;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걸림부 형성용 핀을 상기 고정핀과 결합하는 C단계; 및 상기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텐트의 일측 및 타측에 금속와이어를 연결하여 제1걸림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를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에 형성된 홈에 걸어 고정시키는 D단계; 및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대칭되도록 제2걸림부를 형성하는 E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텐트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스텐트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상기 스텐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트의 몸체부 외측에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스텐트가 내강에 삽입된 후에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텐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 형성용 핀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스텐트(100)는 원통형 몸체부(110),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통형 몸체부(1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금속와이어가 엮여서 형성된다. 여기서, 금속와이어는 니켈-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120, 121, 122, 123)는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걸림부(130, 131, 132)는 제1걸림부(120, 121, 122, 123)와 원통형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때,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는 몸체부(110)의 외주면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걸림부(130, 131, 132)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외주면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열을 형성하고, 열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는 니켈-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는 몸체부(110)의 외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탈 방지용 스텐트(100)가 내강에 삽입될 경우,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의 탄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가 내강 내에서 이탈 방지용 스텐트(100)의 삽입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는 몸체부(110)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부(110)와 소정의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일 실시예에서는 제1걸림단 또는 제2걸림단이 몸체부(110)와 이루는 각도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스텐트의 삽입 위치를 고정 유지할 수 있는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몸체부(110)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몸체부(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스텐트(100)는 커버부(140, 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4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형태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몸체부(110)에 접하도록 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부(140, 141)의 재질은 의료용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우레탄 공중합체(silicon-urethane copolymer), 실리콘,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불소 수지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커버부(140)는 몸체부(110)의 전체에 접하도록 코팅되거나 일부에만 코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또는 제2걸림부(130, 131, 132)의 표면에도 몸체부(110)와 동일한 재질의 커버부(141)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커버부(141)는 내강의 내벽이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또는 제2걸림부(130, 131, 132)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200)는 지그부(210), 지지핀(220, 221) 및 걸림부 형성용 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그부(210)는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외주면에 지지핀(220, 221)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211, 212)이 형성된다.
지지핀(220, 221)은 스텐트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지그부(210)의 표면상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지도록 임의의 체결홈(211, 212)에 삽입되어 금속와이어를 지지한다.
걸림부 형성용 핀(2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지지핀(220, 221)과 결합되기 위한 삽입공(233)을 가지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홈(231, 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내경은 지지핀(220, 2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걸림부 형성용 핀(230)이 지지핀(220, 221)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231, 232)은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내경에 지지핀(220, 221)이 삽입 결합됨으로 인해 걸림부 형성용 핀(230)이 지그부(210)의 체결홈(211, 212)에 고정된 임의의 지지핀(220, 221)과 결합하는 동작이 편리하고,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외주면에는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또는 제2걸림부(130, 131, 132)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231, 232)이 형성됨에 따라,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핀 및 걸림부 형성용 핀(23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그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체결홈(211, 212)에 삽입되는 고정핀(미도시)은 고정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및 제2걸림부(130, 131, 1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걸림부 형성용 핀(23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7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스텐트 결합 단계<S501>
본 단계에서는 원통형 몸체를 갖는 지그부(210)에 스텐트를 결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본 단계 이전에는 지그부(210)의 지지핀(220, 221)에 금속와이어를 감고 지그부(210)의 원주 방향으로 금속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시켜 스텐트의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스텐트 제작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2. 고정핀 삽입 단계<S502>
단계 S501에서 스텐트와 결합된 지그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211, 212)에 고정핀을 삽입한다. 이때, 제1걸림부(120, 121, 122, 123) 또는 제2걸림부(130, 131, 132)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정핀이 삽입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3. 걸림부 형성용 핀 결합 단계<S503>
본 단계에서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걸림부 형성용 핀(230)을 단계 S502에서 체결홈(211, 212)에 삽입된 고정핀과 결합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4. 제1걸림부 형성 단계<S504>
본 단계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부(210)에 결합된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텐트의 일측 및 타측에 금속와이어를 연결하여 제1걸림부를 형성하되, 제1걸림부를 걸림부 형성용 핀(230)에 형성된 홈에 걸어 고정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는 스텐트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스텐트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스텐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5. 제2걸림부 형성 단계<S505>
본 단계에서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와 대칭되도록 제2걸림부(130, 131, 132)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단계 S502에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와 대칭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체결홈(211, 212)에 지지핀(220, 221)이 결합되고 단계 S503에서 지지핀(220, 221)에 걸림부 형성용 핀(230)이 결합됨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단계 S504에서 제1걸림부(120, 121, 122, 123)를 형성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걸림부(130, 131, 132)를 형성하되, 제1걸림부(120, 121, 122, 123)와 상하 대칭되도록 제2걸림부(130, 131, 13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걸림부(130, 131, 132)는 스텐트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스텐트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스텐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6. 커버부 형성 단계<S506>
본 단계에서는 커버부(140, 141)를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 코팅용액에 이탈 방지용 스텐트(100)를 일정시간 침지하거나 스텐트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도포하는 스프레이 분사 등을 통해 커버부(140, 141)를 형성하고, 유브이 오븐 내부에서 커버부(140, 141)를 경화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탈 방지용 스텐트
110 : 원통형 몸체부
120, 121, 122, 123 : 제1걸림부
130, 131, 132 : 제2걸림부
140, 141 : 커버부
200 : 스텐트 제조 장치
210 : 지그부
211, 212 : 체결홈
220, 221 : 지지핀
230 : 걸림부 형성용 핀
231, 232 : 고정홈
233 : 삽입공

Claims (12)

  1.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열을 형성하고, 상기 열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6.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그부;
    상기 스텐트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가 상기 지그부의 표면상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지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핀; 및
    내부에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기 위한 삽입공을 가지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된 걸림부 형성용 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이 상기 지지핀에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의 내경은 상기 지지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및 걸림부 형성용 핀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10.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11. 원통형 몸체를 갖는 지그부에 스텐트를 결합하는 A단계;
    상기 지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B단계;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걸림부 형성용 핀을 상기 고정핀과 결합하는 C단계; 및
    상기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텐트의 일측 및 타측에 금속와이어를 연결하여 제1걸림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부를 상기 걸림부 형성용 핀에 형성된 홈에 걸어 고정시키는 D단계; 및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대칭되도록 제2걸림부를 형성하는 E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텐트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 중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스텐트와는 별개의 금속와이어를 통해 상기 스텐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130006467A 2013-01-21 2013-01-21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4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67A KR20140094144A (ko) 2013-01-21 2013-01-21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11966A JP5876019B2 (ja) 2013-01-21 2013-10-09 離脱防止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21450.2A DE102013221450B4 (de) 2013-01-21 2013-10-22 Stent zur Migrationsverhinderung
RU2013156816/14A RU2013156816A (ru) 2013-01-21 2013-12-20 Стент,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й собственную миграцию, 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GB1400089.7A GB2512176B (en) 2013-01-21 2014-01-03 Stents
FR1450359A FR3001123B1 (fr) 2013-01-21 2014-01-17 Stent comprenant des moyens propres a prevenir une migration, et appareil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ES201430050A ES2478418B1 (es) 2013-01-21 2014-01-20 Estent o cánula para la prevención de migración y aparato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CN201410028229.6A CN103932826A (zh) 2013-01-21 2014-01-21 防脱离用支架、防脱离用支架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67A KR20140094144A (ko) 2013-01-21 2013-01-21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44A true KR20140094144A (ko) 2014-07-30

Family

ID=5019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467A KR20140094144A (ko) 2013-01-21 2013-01-21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876019B2 (ko)
KR (1) KR20140094144A (ko)
CN (1) CN103932826A (ko)
DE (1) DE102013221450B4 (ko)
ES (1) ES2478418B1 (ko)
FR (1) FR3001123B1 (ko)
GB (1) GB2512176B (ko)
RU (1) RU201315681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79A (ko) * 2014-10-21 2016-04-29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스텐트
WO2018110736A1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비씨엠 단부의 저항력이 강화된 의료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 스텐트
WO2018110737A1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비씨엠 단부의 저항력이 강화된 의료용 스텐트
KR20200034777A (ko) * 2017-07-27 2020-03-3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102276047B1 (ko) * 2021-01-15 2021-07-13 주식회사 제가텍 핀 결합형 스텐트 지그
WO2021210821A1 (ko) * 2020-04-17 2021-10-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담관용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US11918496B2 (en) 2020-12-02 2024-03-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improved deployment characterist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804B (zh) * 2018-12-05 2021-02-26 深圳市先健畅通医疗有限公司 覆膜支架
CN109700567B (zh) 2018-12-28 2020-08-11 深圳市先健畅通医疗有限公司 血管支架
WO2020194506A1 (ja) * 2019-03-26 2020-10-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
US11707368B2 (en) 2020-02-03 2023-07-2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mandrel, and method for forming a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778A (en) 1996-10-16 1998-05-26 Nitinol Medical Technologies, Inc. Anastomosis device
US6241757B1 (en) 1997-02-04 2001-06-05 Solco Surgical Instrument Co., Ltd.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EP1073385A2 (en) 1999-01-22 2001-02-07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 biliary stent-graft
SE514718C2 (sv) * 1999-06-29 2001-04-09 Jan Otto Solem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bristande tillslutningsförmåga hos mitralisklaffapparaten
US20050049675A1 (en) 2003-03-28 2005-03-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329279B2 (en) 2003-12-23 2008-02-12 Sadra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dovascularly replacing a patient's heart valve
JP2005211292A (ja) * 2004-01-29 2005-08-11 Piolax Medical Device:Kk 管状器官の治療具
EP1795151A1 (en) 2005-12-07 2007-06-13 Dr. Karel Volenec - ELLA - CS Biodegradable stent
EP1849440A1 (en) * 2006-04-28 2007-10-31 Younes Boudjemline Vascular stents with varying diameter
WO2009055574A2 (en) * 2007-10-26 2009-04-30 Cook Critical Care Incorporated Vascular conduit and delivery system for open surgical placement
US20090125096A1 (en) * 2007-11-12 2009-05-14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Graft With Pins
US20090149946A1 (en) * 2007-12-05 2009-06-11 Cook Incorporated Stent having at least one barb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0961466B1 (ko) 2008-01-29 2010-06-08 (주) 태웅메디칼 만성폐쇄성 폐질환용 스텐트
DE102008055587B4 (de) 2008-02-14 2017-04-06 Adolf Picek Steckprothese in Variationsnotwendigkeiten zur Schnellanastomosierung von Blutgefäßen und anderen relativ weichen röhrenartigen Organen
US8151682B2 (en) 2009-01-26 2012-04-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traumatic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1061206B1 (ko) * 2009-07-01 2011-09-01 주식회사 엠아이텍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076716B1 (ko) 2009-07-01 2011-10-2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076721B1 (ko) * 2009-07-06 2011-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3500A1 (ko) * 2009-10-07 2011-04-14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20303132A1 (en) * 2009-12-03 2012-11-29 M.I.Tech Co., Inc. Stent for bile duct
US9326870B2 (en) * 2010-04-23 2016-05-03 Medtronic Vascular, Inc. Biodegradable stent having non-biodegradable end portions and mechanisms for increased stent hoop strength
WO2012087301A1 (en) 2010-12-21 2012-06-28 Microvention, Inc. Stent
US20120283811A1 (en) * 2011-05-02 2012-11-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Biodegradable, bioabsorbable stent anchor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79A (ko) * 2014-10-21 2016-04-29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스텐트
WO2018110736A1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비씨엠 단부의 저항력이 강화된 의료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 스텐트
WO2018110737A1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비씨엠 단부의 저항력이 강화된 의료용 스텐트
US10893961B2 (en) 2016-12-15 2021-01-19 Bcm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edical stent with reinforced supportive rim
KR20200034777A (ko) * 2017-07-27 2020-03-3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20220156672A (ko) * 2017-07-27 2022-11-25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US11896506B2 (en) 2017-07-27 2024-02-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djustable mandrel for forming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WO2021210821A1 (ko) * 2020-04-17 2021-10-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담관용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20210128756A (ko) * 2020-04-17 2021-10-2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담관용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US11918496B2 (en) 2020-12-02 2024-03-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improved deployment characteristics
KR102276047B1 (ko) * 2021-01-15 2021-07-13 주식회사 제가텍 핀 결합형 스텐트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56816A (ru) 2015-06-27
FR3001123A1 (fr) 2014-07-25
ES2478418B1 (es) 2015-06-18
JP5876019B2 (ja) 2016-03-02
JP2014138696A (ja) 2014-07-31
GB201400089D0 (en) 2014-02-19
DE102013221450A1 (de) 2014-07-24
ES2478418R1 (es) 2014-12-12
FR3001123B1 (fr) 2019-08-02
GB2512176A (en) 2014-09-24
CN103932826A (zh) 2014-07-23
ES2478418A2 (es) 2014-07-21
DE102013221450B4 (de) 2024-05-16
GB2512176B (en) 2016-10-05
DE102013221450A8 (de)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4144A (ko)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68853B2 (en)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of organs
ES2211220T3 (es) Protesis auto expandible con recubrimiento biocompatible.
US10092426B2 (en) Non-foreshortening, axial tension constrainable stent
ES2738533T3 (es) Stent con elementos adyacentes conectados por cintas flexibles
KR101382524B1 (ko)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US20170143467A1 (en) Covered st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076721B1 (ko)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S2932656T3 (es) Dispositivo de captura distal para una endoprótesis autoexpandible
US20100280592A1 (en) Drawstring for removal of stent
RU2000123558A (ru) Внутрипросветный сосудистый протез
CN109248012B (zh) 植入物的输送系统
KR20160127060A (ko) 색전 정형화 미세 코일
US11523893B2 (en) Covered stent
KR20160046479A (ko)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스텐트
US20180133012A1 (en) Implantable device for improving or treating a heart valve insufficiency
JP2018536505A5 (ko)
KR20190064943A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US9480586B2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50052719A (ko) 인조 혈관 접착형 스텐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한 인조 혈관 접착형 스텐트
EP2227192B1 (en) Implantable vessel support
EP3025684B1 (en) Self-expandable stent
US11471310B2 (en) Indwelling device and cylindrical treatment tool
KR101061206B1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11228000A (zh) 管腔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