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672A -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 Google Patents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672A
KR20220156672A KR1020227039534A KR20227039534A KR20220156672A KR 20220156672 A KR20220156672 A KR 20220156672A KR 1020227039534 A KR1020227039534 A KR 1020227039534A KR 20227039534 A KR20227039534 A KR 20227039534A KR 20220156672 A KR20220156672 A KR 2022015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stent
pins
pin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278B1 (ko
Inventor
토마스 엠. 키팅
마르틴 지. 폴란
토마스 홀리
앤서니 크레인
폴 이. 티어니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4701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698A/ko
Publication of KR2022015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00Making tubes or pipes by feeding at right angles to the winding mandrel centre line
    • B31C1/08Accessories of machine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1C1/083Winding mand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5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테이퍼형 프로파일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맨드릴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고,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은 테이퍼형 세그먼트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와 결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과 결합하고 대응하는 구멍으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ADJUSTABLE MANDREL FOR FORMING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본 개시내용은 이동 방지 특징부(anti-migration feature)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맨드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다양한 의료 적용을 위해 신체 루멘(body lumen)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는 혈관의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맥관, 요로, 담도, 기관지, 식도 또는 신장 관에서 유체 개방 또는 통로를 유지하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신체 루멘 내에 인공 판막 또는 필터와 같은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텐트는 스텐트가 배치된 신체 루멘의 부위에 스텐트를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동 방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하는 것은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의료 디바이스 구조물 및 조립체를 제조하는 몇몇 대안적인 설계, 재료 및 방법, 및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의료 디바이스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이동 방지 스텐트를 형성하는 맨드릴이다. 맨드릴은, 맨드릴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보어뿐만 아니라 맨드릴 본체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맨드릴 본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은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장 가능하다. 맨드릴은 또한, 맨드릴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보어와 결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하고, 작동 요소는 테이퍼형 표면이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이상의 가동성 핀을 지지하도록 맨드릴 본체에 대해 작동 가능하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맨드릴 본체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및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맨드릴은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는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을 갖는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은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멍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여서, 각각의 복수의 구멍 내에 폐기 가능한 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핀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멍은 테이퍼형 세그먼트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대응하는 구멍은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핀이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테이퍼형 표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대응하는 구멍은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핀이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테이퍼형 표면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동성 핀의 각각의 단부는 맨드릴 상에서 형상화된 스텐트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슬롯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테이퍼형 외부 프로파일 및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맨드릴이고, 맨드릴은 제1 직경 및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내에서 연장되는 제1 나사형 보어를 갖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 및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내에서 연장되는 제2 나사형 보어를 갖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및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갖는 맨드릴 본체를 포함하며, 테이퍼형 세그먼트는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한다. 복수의 구멍이 테이퍼형 표면을 통해 연장된다. 맨드릴은 복수의 가동성 핀을 포함하고, 복수의 가동성 핀의 각각은 복수의 구멍 중 하나로부터 외향하여 연장 가능하며, 복수의 가동성 핀은 스텐트에서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맨드릴은,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고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을 갖는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맨드릴 캡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는 복수의 가동성 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테이퍼형 단부, 및 제1 나사형 구멍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형성체(threaded body)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를 회전시키면, 작동 요소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내로 전진하여, 테이퍼형 단부가 복수의 가동성 핀을 외향 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3 직경은 제1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핀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핀 중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가동성 핀의 각각의 단부는 맨드릴 상에서 형상화되는 스텐트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멍은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핀이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테이퍼형 표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멍은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핀이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테이퍼형 표면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발견될 수 있다. 편직 스텐트 블랭크는 테이퍼형 외부 표면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포함하는 맨드릴 위의 적소에 배치될 수 있다. 편직 스텐트 블랭크의 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고, 직조된 스텐트 블랭크는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형상화된 스텐트를 형성하도록 맨드릴 상에 배치된 동안 어닐링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로부터 형상화된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핀을 포함하며, 와이어를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와 결합하는 단계는 맨드릴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핀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분리하는 단계는 맨드릴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내향하는 방향으로 핀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허용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형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맨드릴 위의 적소에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는 맨드릴 위에서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신장시키고, 편직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의 테이퍼형 외부 표면에 순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기 요약은 각각의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의 모든 구현을 기술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 구조물 및 조립체를 제조하는 몇몇 대안적인 설계, 재료 및 방법, 및 그 사용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형태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시된,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단면도;
도 4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에 도시된,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단면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일부를 형성하는 맨드릴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맨드릴 본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일부를 형성하는 맨드릴 캡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맨드릴 캡의 단면도;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의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정 가능한 맨드릴 주위에 배치된 편직 스텐트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1의 조정 가능한 맨드릴의 일부의 측면도;
도 11은 조정 가능한 맨드릴로부터 제거된, 도 10의 편직 스텐트의 측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의 편직 스텐트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포함할 수 있는 이동 방지 특징부의 개략도;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1의 편직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불균일한 프로파일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편직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개시내용의 양태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보정 가능하지만, 그 상세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로 본 개시내용의 양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등가물 및 대안을 커버하는 것이 의도된다.
다음의 정의된 용어에 대해, 청구범위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다른 정의가 주어지지 않으면, 이러한 정의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청구범위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으면, 특정 용어의 정의가 아래에 제공되며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수치값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지시되든 않든 용어 "약"에 의해 변경된 것으로 가정된다. "약"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언급된 값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는(즉,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갖는) 숫자의 범위를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는 가장 가까운 유효 숫자로 반올림된 숫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종점에 의한 수치 범위의 언급은 그 범위 내의 모든 숫자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및 5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성 요소, 특징 및/또는 사양에 관한 일부 적절한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개시되었을지라도,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에 의해 언급된 원하는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명확히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그 내용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내용이 명확히 지시되지 않으면 "및/또는"을 포함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서로 다른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가 동일한 부호로 부여된 도면을 참조하여 읽혀져야 한다. 상세한 설명 및 반드시 축척이 아닌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의도된다.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특징은 달리 명확히 언급되지 않으면 추가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맨드릴(10)의 사시도이다. 일부 경우에,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나팔형 단부 영역뿐만 아니라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테이퍼형 외부 프로파일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텐트는 예를 들어 모래 시계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외경 및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맨드릴(10)은 맨드릴 본체(12), 맨드릴 캡(14), 작동 요소(16), 및 복수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을 포함한다. 도 2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이 명료성을 위해 배제된, 맨드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캡(14)은 볼트(34), 바요넷 커플링(bayonet coupling), 또는 다른 고정 메커니즘을 통해 맨드릴 본체(1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맨드릴 캡(14)은 맨드릴(10)로부터 스텐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맨드릴 본체(12)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맨드릴 본체(12) 및 맨드릴 캡(14)은 특히, 맨드릴 캡(14)이 맨드릴 본체(1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 단일 또는 단일체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본체(12)는 일정 외경을 갖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반하여, 맨드릴 캡(14)은 맨드릴 본체(12)의 원통형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맨드릴 본체(12)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를 포함한다.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는 제1 직경을 갖는 맨드릴 본체(12)의 원통형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는 제2 직경을 갖는 맨드릴 본체의 원통형 부분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또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는 비원통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또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는 대신 팔각형 단면 프로파일과 같은 다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단지 예이다. 제1 직경은 제2 직경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테이퍼형 세그먼트(24)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와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의 원통형 외부 표면으로부터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의 원통형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테이퍼형 표면(26)을 한정한다. 테이퍼형 세그먼트(24)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을 수용하기 위하여 테이퍼형 표면(26)으로부터 맨드릴 본체(12) 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보어로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원주 벽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27)을 포함한다.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또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에 대한 테이퍼형 표면(26)의 각도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이 테이퍼형 표면(26)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장되는 상대 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특히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 테이퍼형 표면(26) 자체는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일정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형 표면(26)에 직교하는 주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형 표면(26)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는 주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구멍(27) 중 일부는 테이퍼형 표면(26)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27)은 테이퍼형 세그먼트(24) 주위로 연장되는 링에 방사상으로 정렬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구멍(27) 중 일부는 복수의 구멍(27) 중 다른 것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복수의 구멍(27) 중 일부는 테이퍼형 세그먼트(24) 주위에 제1 링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에, 복수의 구멍(27)의 다른 것은 테이퍼형 세그먼트(24) 주위의 제1 링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옮겨진 테이퍼형 세그먼트(24) 주위에 제2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형 세그먼트(24)를 통해 선형으로 연장되어서, 각각의 대응하는 핀(18)이 테이퍼형 표면(26)에 직각으로 구멍(27)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가 곡선 또는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상보적인 곡선 또는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대응하는 핀(18)이 구멍(27) 밖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핀(18)은 회전할 수 있고, 그러므로, 핀(18)의 원위 단부(핀 단부(62)와 같은)는 방사상으로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 요소(16)는 구멍(27) 내에 있는 핀(18)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이를 작동시키도록 맨드릴 본체(12)의 한쪽 단부(예를 들어, 맨드릴 캡(14) 반대편의 맨드릴 본체의 단부)로부터 맨드릴 본체(12)의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작동 요소(16)는 후속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테이퍼형 단부(28)뿐만 아니라, 맨드릴 본체(12)의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내에서 연장되는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형성체(30)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테이퍼형 단부(28)는 원추형, 절두형,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작동 요소(16)는, 작동 요소(16)를 회전시키기 위해 개인 또는 기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그러므로 작동 요소(16)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맨드릴 본체(12)의 보어 내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제2,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맨드릴 본체(12)의 보어로부터 작동 요소(16)를 후퇴시킬 수 있는 손잡이(32)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나사산 형성체(30)는 작동 요소(16)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요소(16)를 보어 내로 나사식으로 전진시키고(예를 들어, 맨드릴 캡(14)을 향해) 작동 요소(16)를 제2,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요소(16)를 보어로부터 후퇴시키도록(예를 들어, 맨드릴 캡(14)으로부터 멀어지게) 맨드릴 본체(12)의 보어의 나사 영역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도 1의 3-3 선을 따라서 취한 맨드릴 본체(12)의 보어 내로의 완전히 연장된(도 3)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된(도 4) 작동 요소(16)를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3 및 도 4에 대하여 설명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나사 영역을 포함하는 작동 요소(16) 자체 대신에, 나사 체결구가 맨드릴 본체(12)에 대해 작동 요소(16)를 작동시키도록 맨드릴 본체(12)의 나사형 보어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3은 나사산 형성체(30)가 맨드릴 본체(12)의 보어의 나사 영역과 나사 결합된, 맨드릴 본체(12)의 보어 내로 완전히 연장된 작동 요소(16)를 도시한다. 특히, 맨드릴 본체(12)의 보어는, 맨드릴 본체(12)의 제1 단부로부터 맨드릴 본체(12)의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내로 연장되는 제1 나사 영역(36)을 포함하며, 제1 나사 영역은 직경, 깊이 및 나사 피치가 작동 요소(16)의 나사산 형성체(30)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 본체(12)는 또한 맨드릴 본체의 제2, 반대쪽 단부로부터 맨드릴 본체(12)의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 내로 연장되는 제2 나사형 보어 또는 영역(38)을 포함하고, 제2 나사형 보어 또는 영역은 직경 깊이 및 나사 피치가 맨드릴 본체(12)의 제2 단부에서 맨드릴 본체(12)에 대해 적소에서 맨드릴 캡(14)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루)(34) 상의 나사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 별개의 나사 체결구(34)를 이용하는 대신에, 맨드릴 캡(14) 자체가 제2 나사형 보어(38)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맨드릴 본체(12)의 제2 단부는 나사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맨드릴 캡(14)은 맨드릴 본체(12)의 나사형 돌기와 결합되는 나사형 보어 또는 구멍, 또는 맨드릴 캡(14)의 반대편 측면 상의 짝맞춤 나사 체결구(예를 들어, 너트)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형 돌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어느 경우이든, 맨드릴 캡(14)은 특히 형성된 스텐트를 맨드릴(10)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맨드릴 본체(12)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특히 각각의 연속적인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의 외경이 선행하는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프로파일을 맨드릴(10)이 가지며 형성된 스텐트가 맨드릴 캡(14)을 제거함이 없이 맨드릴(10)로부터 간단히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경우에, 맨드릴 캡(14)은 맨드릴 본체(12)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본체(12)는 맨드릴 캡(14)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 결정 또는 센터링 특징부(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또는 센터링 구멍(4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이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캡(14)을 맨드릴 본체(12)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구(34)를 사용하는 대신에, 위치 결정 또는 센터링 특징부(42) 자체는 위치 결정 또는 센터링 구멍(4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요소(16)는 맨드릴 본체(12)의 보어의 제1 나사 영역(36) 내로 완전히 연장된다. 그 결과,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은 대응하는 구멍(27)을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10)을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특정 치수에 의존하여,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은 작동 요소(16)가 맨드릴 본체(12)의 보어의 제1 나사 영역(36) 내로 완전히 연장되기 전에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이 갈 수 있는 곳까지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핀(18)의 베이스(44)는 작동 요소(16)의 테이퍼형 단부(28)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작동 요소(16)가 맨드릴 본체(12)의 보어의 제1 나사 영역(36) 내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도 4와 대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핀(18)(명료성을 위해 2개의 핀만이 도시됨)의 베이스(44)가 작동 요소(16)의 테이퍼형 단부(28)와 여전히 결합되어 있는 동안, 핀(18)이 도 3에서 연장되는 곳까지, 핀(18)이 대응하는 구멍(27)을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핀(18)의 베이스(44)는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대응하는 구멍(27)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러므로, 핀(18)이 구멍(27)을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될 수 있는 정도는 핀(18)의 베이스(44)가 구멍(27)의 주변 가장자리에 접할 때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핀(18)은 구멍(27) 내에서 유지되고 빠지지 않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 핀(18)은 맨드릴 본체(12)의 보어로부터 작동 요소(16)를 후퇴시키고, 핀(18)이 구멍(27)의 방사상으로 내향하여 이동하고, 그런 다음 맨드릴 본체(12)의 보어 내로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맨드릴 본체(12)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 선을 따라서 취한 맨드릴 본체의 단면도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는 제1 직경(D1)을 가지며,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는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갖는다. 다른 경우에,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보다 클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 및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가 도시되어 있지만, 맨드릴 본체(12)는 최종 스텐트 제품의 원하는 프로파일에 의존하여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제4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테이퍼형 세그먼트(24)는 D1에서 D2까지 원활하게 테이퍼진 직경(표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일부 경우에, 테이퍼형 세그먼트(24)는 대신 직경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적 변화를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복수의 구멍(27)은 테이퍼형 세그먼트(24)의 주변(예를 들어, 원주)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복수의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형 세그먼트(24)의 주변(예를 들어, 원주)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구멍(27)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구멍(27)의 다른 것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다.
도 7은 맨드릴 캡(14)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8-8 선을 따라서 취한 맨드릴 캡의 단면도이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캡(14)은 맨드릴 캡 본체(50) 및 테이퍼형 섹션(52)을 포함한다. 맨드릴 캡(14)은 제3 직경(D3)을 갖는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3)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직경(D3)은 직경(D1)(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의)과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직경(D3)은 맨드릴(10)을 사용하여 제조될 스텐트의 원하는 특성 및 치수에 의존하여 직경(D1)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테이퍼형 섹션(52)은 직경(D3)과 직경(D2)(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의) 사이에서 직경이 원활하게 변한다. 다른 경우에, 테이퍼형 섹션(52)은 대신에 직경이 하나 이상의 단계적 변화를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일부 예에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 캡(14)은 체결구(34)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구멍(54)뿐만 아니라, 체결구(34)의 체결구 헤드(35)를 수용하는 더욱 큰 구멍(5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체결구(34)의 체결구 헤드(35)는 Allen 렌치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6각 또는 8각 구멍(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의 하나의 예의 사시도이다. 일부 경우에, 핀(18)은 베이스(44)(핀 본체(60)에 대해 확장된 단면을 가질 수 있는)와 베이스(44) 반대편의 핀 단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핀 본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베이스(44)는 핀 본체(60)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이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경우에, 핀 단부(62)는 스텐트의 와이어의 일부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곡선화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곡선 형상은 단순한 곡선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곡선 형상은 물결 모양 형상 또는 파도 형상과 같은 복합 곡선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핀 단부(62)는 맨드릴(10) 상에서 형상화되는 스텐트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오목한 슬롯(6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오목한 슬롯(64) 자체는 오목한 슬롯(64)을 통해 연장되는 스텐트 와이어에 대응하는 단순하거나 복합적인 곡선 형상을 주입하도록(instill) 단순하거나 복합적인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오목한 슬롯(64)은 곡선 영역이 배치된 와이어를 제공하는 곡선 슬롯(64)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오목한 슬롯(64)은 이동 방지 특징부를 위한 예리한 곡선을 와이어에 제공하도록 펜 단부(62)의 한 지점에서 수렴하는 2개의 수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형성되는 스텐트는 편직 스텐트이고, 일정 직경의 편직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10) 위에서 신장될 수 있으며, 편직 스텐트 블랭크의 특정 와이어는 스텐트의 편직된 관형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한 곡선 슬롯(64) 내에 배치된다. 일부 경우에, 형성되는 스텐트는 편조 스텐트(braided stent)이고, 맨드릴(10) 상의 적소에서 편조될 수 있으며, 특정 와이어는, 오목한 곡선 슬롯(64) 내에서 편조되고 스텐트의 편조된 관형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한다.
핀 단부(62)가 곡선 프로파일 및 핀 본체(60)보다 치수가 크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일부 경우에, 핀 단부(62)는 핀 본체(60)를 넘어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호형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각각의 핀 단부(62)의 원호형 표면은 한줄로 정렬될 수 있고, 본질적으로 맨드릴(10) 주위로 연장되는 상승된 링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핀 단부(62)의 개별 원호형 표면은 스텐트에서 상승된 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해 작동 요소(16)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맨드릴 본체(12) 내로 작동 요소(16)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외향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작동 요소(16)를 제2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18)이 후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맨드릴(10)로부터 스텐트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0은 맨드릴(10) 상에 배치된 편직 스텐트(70)의 일부를 도시하고, 도 11은 맨드릴(10)로부터 제거된 편직 스텐트(70)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스텐트의 와이어 중 하나는 스텐트(70)의 이동 방지 특징부(78)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도록 스텐트(70)의 편직된 관형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핀(18)의 오목한 슬롯(64)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편직 스텐트(70)와 같은 편직 스텐트는 먼저 일정 직경의 스텐트 블랭크(도시되지 않음)를 편직하고, 그런 다음 형상화 공정/어닐링 공정 전에 맨드릴(10) 위에서 일정 직경의 스텐트 블랭크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편직 스텐트(70)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0)에 대응하는, 편직 스텐트(70)의 제1 단부에 근접한 제1 확장 직경 부분(72), 제3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3)에 대응하는, 편직 스텐트(70)의 제2 단부에 근접한 제2 확장 직경 부분(74), 및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22)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감소된 직경 부분(76)(예를 들어, 제1 및 제2 확장 직경 부분(72, 74) 사이의 중간에 있는 원통체 영역)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편직 스텐트(70)는 제1 확장 직경 부분(72)과 감소된 직경 부분(76) 사이의 천이 영역에서 편직 스텐트(70)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핀(18)에 대응하는 이동 방지 특징부(78)를 포함한다. 그러나, 필요하면, 이동 방지 특징부(78)는 편직 스텐트(70)의 길이를 따라서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동 방지 특징부(78)를 형성하도록 핀(18)과 결합된 와이어의 부분이 스텐트의 편직된 관형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가압되게 하도록, 편직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10) 상에 배치된 후에, 핀(18)은 오목한 슬롯(64)에 배치된 와이어와 함께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 12a는 편직 스텐트(70)의 단부도로서, 편직 스텐트(70)의 편직된 관형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는 이동 방지 특징부(78)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는 인접한 정착 지점(80) 사이에서 연장되는 편직 스텐트(70)를 형성하는 필라멘트(들) 또는 와이어(들)의 루프이며, 각각의 루프는 대략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이다. 정착 지점(80)은 필라멘트(들) 또는 와이어(들)의 일부가 필라멘트(들) 또는 와이어(들)의 다른 부분 주위를 교차하거나 고리로 두르는 위치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이동 방지 특징부(78)의 일부는 예를 들어 형상 및/또는 치수가 가변적일 수 있거나, 동등하게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방지 특징부(78)가 곡선인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경우에, 이동 방지 특징부(78)는 뾰족하게 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평평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는 다수의 이동 방지 특징부(78a)를 포함하는 편직 스텐트(70a)를 도시한다. 이동 방지 특징부(78a)는 인접한 정착 지점(78)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며, 각각 대략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이다. 그러나, 도 12b를 도 12a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도 12a에 도시된 이동 방지 특징부(78)는 도 12b에 도시된 이동 방지 특징부(78a)보다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더 연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동 방지 특징부(78a)는, 예를 들어, 길이가 더 짧은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을 사용하여, 또는 맨드릴 본체(12) 내로 멀리 작동 요소(16)를 전진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그러므로 맨드릴 본체(12)의 테이퍼형 세그먼트(24)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핀(18)을 전진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방지 특징부(78a)는 예를 들어 뾰족하게 될 수 있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 방지 특징부(78) 및 이동 방지 특징부(78a)의 상대적인 치수는 편직 스텐트(70)(또는 70a)의 궁극적인 최종 사용의 함수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교적 큰 이동 방지 특징부(78, 78a)는, 편직 스텐트(70)(또는 70a)가 비교적 강한 이동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해부학적 위치 및/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치수가 더욱 가변적인 해부학적 위치에 편직 스텐트(70)(또는 70a)가 배치될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이동 방지 특징부(78, 78a)는 편직 스텐트(70)(또는 70a)가 비교적 약한 이동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및/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치수가 덜 가변적인 해부학적 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편직 스텐트(70)(또는 70a)의 전체 치수는 마찬가지로 일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더 큰 직경의 편직 스텐트(70)(또는 70a)는 비교적 큰 이동 방지 특징부(78, 78a)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더 작은 직경의 편직 스텐트(70)(또는 70a)는 비교적 더 작은 이동 방지 특징부(78, 78a)를 가질 수 있다.
도 12c는 다수의 이동 방지 특징부(78b)를 포함하는 편직 스텐트(70b)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편직 스텐트(70 및 70a)와 대조적으로, 이동 방지 특징부(78b)는 편직 스텐트(78b)의 주변 주위에서 불균일하게 이격된다. 일부 정착 지점(80)이 이동 방지 특징부(78b)에 부착되지 않을지라도,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b)는 인접한 정착 지점(80)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b)는 형상 및 치수가 대략 동일하다. 이동 방지 특징부(78b)는 예를 들어 구멍(27) 중 일부 내로 단지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핀(18)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동 방지 특징부(78b)의 일부는 이동 방지 특징부(78b)의 다른 것에 비해 치수가 더 작거나 또는 더 클 수 있으며, 및/또는 형상이 가변적일 수 있다.
도 12d는 각각 인접한 정착 지점(80)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이동 방지 특징부(78c) 및 다수의 이동 방지 특징부(78d)를 포함하는 편직 스텐트(70c)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c)는 형상 및 치수가 대략 동일하며,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d)는 비록 이동 방지 특징부(78c)까지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연장되지 않을지라도 형태 및 치수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동 방지 특징부(78c, 78d)는, 예를 들어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c)를 형성하도록 더욱 긴 길이의 핀(18)과, 각각의 이동 방지 특징부(78d)를 형성하도록 더 짧은 길이의 핀(18)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이동 방지 특징부(78, 78a, 78b, 78c 및 78d)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혼합되거나 매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3은 불균일한 프로파일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편직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9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경우에, 블록(92)에서 대체로 지시된 바와 같이, 일정 직경의 편직 스텐트 블랭크는 테이퍼형 외부 표면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갖는 맨드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맨드릴은 예를 들어 맨드릴(10)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위의 적소에 일정 직경의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는 일정 직경의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맨드릴 위에서 신장시키고, 맨드릴의 다양한 일정 직경 영역 및/또는 테이퍼형 직경 영역에 순응시키도록, 일정 직경의 편직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의 가변 직경의 외부 표면에 순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그러나, 예컨대, 핀(18)으로 제한되지 않음)는 블록(9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닐링 전에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블록(9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의 외부 표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핀이며,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결합하는 단계는 스텐트의 편직된 관형 구조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핀의 단부와 결합된 와이어(들) 또는 필라멘트(들)를 가압하기 위해 맨드릴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핀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맨드릴 및, 이동 방지 특징부가 형성된, 맨드릴 상의 스텐트는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을 받을 수 있다. 블록(9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 후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로부터 형상화된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분리하는 단계는 핀이 맨드릴에 대해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는 불균일한 프로파일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편직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1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경우에, 편직 스텐트는 금속 구성 요소 및 비금속 또는 심지어 생분해성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금속 구성 요소 및 비금속 구성 요소는 개별적으로 형상화되고, 그런 다음 스텐트를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각각의 금속 구성 요소 및 비금속 또는 심지어 생분해성 구성 요소는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각각 포함하고, 여기에서 비금속 또는 생분해성 구성 요소의 이동 방지 특징부는 금속 구성 요소의 이동 방지 특징부를 보완할 수 있다. 비금속 구성 요소가 생분해성인 경우에, 생분해성 이동 방지 특징부는 스텐트의 초기 이식시에 이동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해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일정 직경의 금속 편직 스텐트 블랭크는 블록(102)에 일반적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외부 표면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갖는 맨드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맨드릴은 예를 들어 맨드릴(10)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위의 적소에 일정 직경의 금속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는 맨드릴 위에서 일정 직경의 금속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신장시키고, 맨드릴의 다양한 일정 직경 영역 및/또는 테이퍼형 직경 영역에 순응시키도록, 일정 직경의 금속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의 가변 직경의 외부 표면에 순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핀(18)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과 같은)는 블록(10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닐링 전에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블록(10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의 외부 표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핀이며,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와 결합하는 단계는 스텐트의 편직된 관형 구조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핀의 단부와 결합된 와이어(들) 또는 필라멘트(들)를 가압하기 위해 맨드릴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핀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맨드릴, 및 이동 방지 특징부가 형성된, 맨드릴 상의 스텐트는 그런 다음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을 받을 수 있다. 블록(10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 후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로부터 형상화된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분리하는 단계는 핀이 맨드릴에 대해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형상화된 금속 스텐트가 맨드릴로부터 제거되면, 일정 직경의 생분해성 편직 스텐트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블록(1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외부 표면 및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갖는 맨드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 위의 적소에 일정 직경의 생분해성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는 맨드릴 위에서 일정 직경의 생분해성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신장시키고, 맨드릴의 다양한 일정 직경 영역 및/또는 테이퍼형 직경 영역에 순응시키도록, 일정 직경의 생분해성 편직 스텐트 블랭크가 맨드릴의 가변 직경의 외부 표면에 순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블록(1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닐링 전에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블록(1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생분해성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위한 어닐링 공정은 금속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낮은 온도를 수반할 수 있다. 맨드릴, 및 이동 방지 특징부가 형성된, 맨드릴 상의 스텐트는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을 받을 수 있다. 블록(1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닐링 또는 형상 설정 공정 후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는 맨드릴로부터 형상화된 생분해성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이동 방지 특징부 형성 요소를 분리하는 단계는 핀이 맨드릴에 대해 내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형상화된 생분해성 스텐트는 형상화된 금속 스텐트 주위에 또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편직 스텐트(70)는 생체 안정성, 생체 흡수성, 생분해성 또는 생체 분해성(bioerodible) 재료를 포함하는 생체 적합성 재료와 같은 임의의 원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직 스텐트(7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적합한 금속 재료는 스테인리스강, 탄탈륨, 텅스텐, 통상적으로 니티놀(nitinol)로서 지칭되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것과 같은 니켈-티타늄 합금, 니켈-크롬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 코발트-크롬-니켈 합금, 또는 다른 적합한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물 또는 합금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10)은 열적으로 안정적이고 편직 스텐트(70)를 어닐링하는데 사용되는 온도에서 물질적으로 팽창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맨드릴(10)은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또는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맨드릴(10)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편직 스텐트(70)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금속 및 금속 합금의 일부 예는 304V, 304L 및 316LV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스테인리스강; 연강; 선형 탄성 및/또는 초탄성 니티놀과 같은 니켈-티타늄 합금; 니켈-크롬-몰리브덴 합금(예를 들어, INCONEL® 625과 같은 UNS: N06625, 예컨대, HASTELLOY® C-22®과 같은 UNS: N06022, HASTELLOY® C276®, 다른 HASTELLOY® 합금과 같은 UNS: N10276, 등), 니켈-구리 합금(예를 들어, MONEL® 400, NICKELVAC® 400, NICORROS® 400 등과 같은 UNS: N04400), 니켈-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예를 들어, MP35-N® 등과 같은 UNS: R30035), 니켈-몰리브덴 합금(예를 들어, HASTELLOY® ALLOY B2®와 같은 UNS: N10665), 기타 니켈-크롬 합금, 기타 니켈-몰리브덴 합금, 기타 니켈-코발트 합금, 기타 니켈-철 합금, 기타 니켈-구리 합금, 기타 니켈-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 등; 코발트-크롬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예를 들어, ELGILOY®, PHYNOX® 등과 같은 UNS: R30003 등); 백금 강화 스테인리스강; 티탄; 이들의 조합 등;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니켈-티타늄 또는 니티놀 합금 계열 내에서, 화학적 성질에서 종래의 형상 기억 및 초탄성 다양성과 유사할지라도 구별되고 유용한 기계적 특성을 보일 수 있는 "선형 탄성" 또는 "비초탄성(non-super-elastic)"으로 지정된 카테고리가 있다.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은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이 그 응력/변형 곡선에서 초탄성 니티놀처럼 "초탄성 정체기(superelastic plateau)" 또는 "플래그 영역(flag region)"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초탄성 니티놀과 구별될 수 있다. 대신에,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에서, 회복 가능한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형은 실질적으로 또는 다소 선형으로 계속 증가하지만, 소성 변형이 시작될 때까지 반드시 완전히 선형 관계일 필요가 없거나 또는 적어도 초탄성 니티놀에 의해 보일 수 있는 초탄성 정체기 및/또는 플래그 영역보다 선형인 관계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은 또한 "실질적으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은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티놀이 약 2 내지 5%까지의 변형을 수용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탄성을 유지(예를 들어, 소성 변형 전에)할 수 있는데 반하여, 초탄성 니티놀은 소성 변형 전에 약 8%까지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탄성 니티놀과 또한 구별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모두 소성 변형 전에 단지 약 0.2 내지 0.44%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다른 선형 탄성 재료와 구별될 수 있다(또한 그 조성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켈-티타늄 합금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시차주사 열량 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및 동적 금속 열 분석(dynamic metal thermal analysis: DMTA)에 의해 검출 가능한 임의의 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상 변화를 보이지 않는 합금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켈-티타늄 합금에서 약 -60℃ 내지 120℃의 범위에서 DSC 및 DMTA 분석에 의해 검출 가능한 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상 변화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재료의 기계적 굽힘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우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온도의 영향에 대해 비활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변 또는 실온에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켈-티타늄 합금의 기계적 굽힘 특성은 예를 들어 이러한 것들이 초탄성 정체기 및/또는 플래그 영역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체온에서의 기계적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켈-티타늄 합금은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특징 및/또는 특성을 유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선형 탄성 및/또는 비초탄성 니켈-티타늄 합금은 약 50 내지 약 60 중량%의 니켈 범위일 수 있으며, 나머지는 본질적으로 티타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54 내지 약 57 중량%의 니켈 범위이다. 적합한 니켈-티타늄 합금의 하나의 예는 일본, Kanagawa의 Furakawa Techno Material Co.로부터 시판되는 FHP-NT 합금이다. 니켈 티타늄 합금의 일부 예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 미국 특허 제5,238,004호 및 제6,508,803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는 ULTANIUM™(Neo-Metrics로부터 시판됨) 및 GUM METAL™(Toyota로부터 시판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서, 초탄성 합금, 예를 들어 초탄성 니티놀이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고려되는 특정 실시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의 발전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맨드릴로서,
    맨드릴 본체로서,
    상기 맨드릴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보어; 및
    상기 맨드릴 본체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맨드릴 본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으로부터 외향하여 연장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 각각은 베이스와 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핀 본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핀 각각의 상기 핀 단부는 상기 맨드릴 상에 형상화된 스텐트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슬롯을 포함하는, 맨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슬롯은 곡선을 획정하는(define), 맨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은 복합 곡선인, 맨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곡선은 예리한 곡선을 상기 와이어에 제공하도록 상기 핀 각각의 상기 핀 단부의 한 지점에서 수렴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맨드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각각의 상기 핀 단부는 상기 핀 본체를 넘어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맨드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각각의 상기 베이스의 직경은 상기 핀 본체의 직경보다 큰, 맨드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핀은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여서 상기 핀이 각각의 복수의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맨드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은 가동성 핀이고,
    상기 맨드릴은 상기 맨드릴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상기 보어와 결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가동성 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작동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표면이 이동 방지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가동성 핀을 지지하도록 상기 맨드릴 본체에 대해 작동 가능한, 맨드릴.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가동성 핀과 결합도록 구성된 상기 표면은 테이퍼진, 맨드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본체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스텐트 형상화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맨드릴.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은 상기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핀이 상기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테이퍼형 표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맨드릴.
  12.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은 상기 테이퍼형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핀이 상기 테이퍼형 세그먼트의 상기 테이퍼형 표면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맨드릴.
  13. 테이퍼형 프로파일 및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드릴 위의 적소에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맨드릴은 테이퍼형 외부 표면 및 상기 맨드릴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연장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핀 각각은 오목한 슬롯을 갖는 핀 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배치하는 단계;
    와이어를 상기 편직 스텐트 블랭크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 방지 특징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핀 중 하나의 상기 오목한 슬롯과 상기 편직 스텐트 블랭크의 상기 와이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형상화된 스텐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맨드릴 상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편직 스텐트 블랭크를 어닐링하는 단계; 및
    상기 맨드릴로부터 상기 형상화된 스텐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핀은 상기 맨드릴의 상기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측 위치와 방사상으로 내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복수의 상기 핀 중 하나의 상기 오목한 슬롯과 상기 편직 스텐트 블랭크의 상기 와이어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핀을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맨드릴로부터 상기 형상화된 스텐트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핀이 방사상으로 내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핀을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맨드릴의 보어 내에서 작동 요소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요소는 복수의 상기 핀과 결합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27039534A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10266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3424A KR20240060698A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7761P 2017-07-27 2017-07-27
US62/537,761 2017-07-27
KR1020207005537A KR102467788B1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PCT/US2018/043863 WO2019023437A1 (en) 2017-07-27 2018-07-26 ADJUSTABLE CHUCK FOR FORMING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537A Division KR102467788B1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424A Division KR20240060698A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72A true KR20220156672A (ko) 2022-11-25
KR102661278B1 KR102661278B1 (ko) 2024-04-26

Family

ID=6331245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424A KR20240060698A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1020207005537A KR102467788B1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1020227039534A KR102661278B1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424A KR20240060698A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KR1020207005537A KR102467788B1 (ko) 2017-07-27 2018-07-26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96506B2 (ko)
EP (1) EP3658082A1 (ko)
KR (3) KR20240060698A (ko)
CN (2) CN111132638B (ko)
WO (1) WO2019023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7368B2 (en) 2020-02-03 2023-07-2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mandrel, and method for forming a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CA3195219A1 (en) 2020-09-29 2022-04-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US11701790B2 (en) 2020-11-19 2023-07-18 Woodpecker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ens
USD971279S1 (en) * 2020-11-19 2022-11-29 Woodpeckers, Llc Pen mandrel
US11918496B2 (en) 2020-12-02 2024-03-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improved deployment characteristics
WO2023141545A1 (en) 2022-01-21 2023-07-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multiple knitting patter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9216A2 (en) * 2008-01-07 2009-07-16 Micrus Endovascular Corporation Radiopaque super-elastic intravascular stent
US20100191319A1 (en) * 2009-01-26 2010-07-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traumatic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20140094144A (ko) * 2013-01-21 2014-07-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5195A (en) * 1930-07-24 1934-01-30 Edgar E Kellem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cable grips
US5238004A (en) 1990-04-10 1993-08-2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High elongation linear elastic guidewire
US5662713A (en) 1991-10-09 1997-09-02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stents for body lumens exhibiting peristaltic motion
DE29812639U1 (de) * 1998-07-17 1999-01-28 Gretsch Unitas Gmbh Schließblech
US6508803B1 (en) 1998-11-06 2003-01-21 Furukawa Techno Material Co., Ltd. Niti-type medical guide w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001425B2 (en) * 2002-11-15 2006-02-21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st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FR2847155B1 (fr) * 2002-11-20 2005-08-05 Younes Boudjemline Procede de fabrication d'un implant medical a structure ajouree et implant obtenu par ce procede
US20040193141A1 (en) 2003-02-14 2004-09-30 Leopold Eric W. Intravascular flow modifier and reinforcement device and deployment system for same
JP2007501063A (ja) * 2003-08-01 2007-01-25 ジンテ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骨固定器具用のドリルガイド組立体
CN1961847A (zh) * 2005-11-09 2007-05-16 温宁 人工心脏支架瓣膜及其输放装置
GB0608775D0 (en) * 2006-05-04 2006-06-14 Caldervale Technology Ltd Device for preparing pipe ends for jointing
WO2008098252A2 (en) * 2007-02-09 2008-08-14 Taheri Laduca Llc Vascular implan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7984636B2 (en) * 2007-12-18 2011-07-26 Abbott Laboratories Apparatus and methods for medical device expansion
US20090276027A1 (en) * 2008-05-01 2009-11-05 Medtronic Vasscular, Inc. Stent Graf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1485902B (zh) * 2009-02-11 2012-10-31 乐普(北京)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雷帕霉素-普罗布考复合药物涂层金属支架
US8992553B2 (en) * 2009-10-01 2015-03-31 Cardioniti Cutting balloo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2563295B1 (en) 2010-04-30 2020-07-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for repair of anastomasis surgery leaks
GB201106017D0 (en) * 2011-04-08 2011-05-25 Lombard Medical Plc Apparatus for deploying a stent graft
US9839542B2 (en) * 2011-04-19 2017-12-12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Mobile external coupling for branch vessel connection
CN104363862B (zh) * 2012-04-12 2016-10-05 波顿医疗公司 血管假体输送装置及使用方法
CN102973341B (zh) * 2012-11-08 2015-06-1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US9265635B2 (en) 2013-03-14 2016-02-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having removable anchoring element
CN105611901B (zh) * 2013-08-09 2017-09-08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支架设计及制造方法
CA3205860A1 (en) * 2014-02-20 2015-08-27 Mitral Valve Technologies Sarl Coiled anchor for supporting prosthetic heart valve, prosthetic heart valve, and deployment device
EP3151904A4 (en) * 2014-06-04 2018-02-14 Nfinium Vascular Technologies, LLC Low radial force vascular device and method of occlusion
CN203935301U (zh) * 2014-06-25 2014-11-12 李雷 覆膜支架及其覆膜
US10058424B2 (en) * 2014-08-21 2018-08-2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ual-flange prosthetic valve frame
US20160058585A1 (en) 2014-08-29 2016-03-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including cove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6636511B2 (ja) 2014-10-09 2020-01-2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ドレナージ特徴部を有する膵臓ステント
CN104546240A (zh) * 2014-12-16 2015-04-29 华南理工大学 表面具有微结构的超疏水血管支架及其制备方法
US11578442B2 (en) * 2017-04-21 2023-02-14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Stent grafts, mandrels, and methods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9216A2 (en) * 2008-01-07 2009-07-16 Micrus Endovascular Corporation Radiopaque super-elastic intravascular stent
US20100191319A1 (en) * 2009-01-26 2010-07-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traumatic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20110119743A (ko) * 2009-01-26 2011-11-02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비외상성 스텐트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4144A (ko) * 2013-01-21 2014-07-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이탈 방지용 스텐트,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278B1 (ko) 2024-04-26
CN111132638B (zh) 2022-03-29
US11896506B2 (en) 2024-02-13
KR20200034777A (ko) 2020-03-31
US20240130873A1 (en) 2024-04-25
WO2019023437A1 (en) 2019-01-31
CN111132638A (zh) 2020-05-08
KR20240060698A (ko) 2024-05-08
KR102467788B1 (ko) 2022-11-16
US20190029850A1 (en) 2019-01-31
EP3658082A1 (en) 2020-06-03
CN114712044A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788B1 (ko) 이동 방지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맨드릴
US632777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lanar eversible lattice which forms a stent when everted
EP3668450B1 (en) Dome structure for improved left ventricle function
EP2014257B1 (en) Expandable prosthetic valve crimping device
US10130497B2 (en) Stent with retractable anchors
US20160045306A1 (en) Cut pattern transcatheter valve frame
AU2014223636B2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s for reduced tissue inflammation
RU2506933C2 (ru) Стент с растягиваемыми элементами
US20070288034A1 (en) Stent Expanding device
US20070288080A1 (en) Stent expanding device
WO1997027959A9 (en) Articles for and methods of making stents
US11471311B2 (en) Stent delivery system with reduced deployment force
US8261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during stent manufacture
US11786355B2 (en) Radial adjusting self-expanding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EP3681436A1 (en) Esophageal stent including a valve member
CN104582642B (zh) 用于医疗装置的均匀膨胀和热定型的系统和方法
US2013030551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medical devices
JP6141509B2 (ja) パイプ締結体、処置具、及び締結方法
JP2008000193A (ja) 自己拡張型ステント
US10213290B2 (en) Braided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ided stent
US20220257317A1 (en) Tissue resurfacing devices and methods thereof
JP2005334560A (ja) ステン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