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574A -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574A
KR20170095574A KR1020160017142A KR20160017142A KR20170095574A KR 20170095574 A KR20170095574 A KR 20170095574A KR 1020160017142 A KR1020160017142 A KR 1020160017142A KR 20160017142 A KR20160017142 A KR 20160017142A KR 20170095574 A KR20170095574 A KR 2017009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pattern
diagonal distance
wire
patter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042B1 (ko
Inventor
신경민
홍영일
박세익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6001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42B1/ko
Priority to US16/077,633 priority patent/US10806612B2/en
Priority to PCT/KR2017/001401 priority patent/WO2017142253A1/ko
Priority to JP2018541428A priority patent/JP6791974B2/ja
Publication of KR2017009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42B1/ko
Priority to US16/912,349 priority patent/US202003236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내강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병변부위에 대응하여 내강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에 관한것이며, 삽입된 신체 내강의 굴곡부에서 순응성(Conformability)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피로에 강성과 내성을 크게 개선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고자 스텐트를 이루는 지그의 원주면 균분 선과 길이방향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A jig for the manufacture of the stent and which are manufactur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whereby the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본 발명은 신체 내강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병변부위에 대응하여 내강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삽입된 신체 내강의 굴곡부에서 순응성(Conformability)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피로에 강성과 내성을 크게 개선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텐트는 여러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스텐트는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억압되지 않는 한 항상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직경 방향과 길이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신체 내강의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는 확장기구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텐트를 대별하여 살펴보면, 형상 기억합금 소재의 판재를 이용하여 확장 형상을 유지하도록 판재 상 일부분에 대해 공간을 천공하고 원통형으로 밴딩하여 몸체를 이루는 주지의 스텐트가 있었으며, 이러한 판재 밴딩 타입의 스텐트는 기계적인 내성이 강력한 이점이 있으나 자체 수축에 의한 변형성이 극히 떨어져 삽입과 제거 시술이 어려워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다.
상기 주지된 스텐트의 문제를 개선한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교차되게 엮어 마름모형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中空)식 원통형몸체로 구비하되, 그 양끝단은 용접으로 연결한 스텐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는 시술시에 중공(中空)식 원통형 몸체의 부피를 현격하게 줄이기에 적합하고 용이하며 부피가 축소된 스텐트를 도입기(Introducer)로서 혈관의 병변부위에 삽입하고, 밀어넣어 병변 부위를 바깥방향으로 밀어내어 혈관 등 내강을 확장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 구조를 구분하고,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초기 와이어 타입의 스텐트는 형상기억 합금재의 와이어를 대략 마름모 형상의 셀을 갖으며 각 셀이 상호 지지하여 원통형 튜브 상을 유지하도록 교차하는 2개의 와이어가 상하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위 아래로 엇갈리게 엮어 마름모 상 셀을 구성한 것이다(선행기술 1이라 함).
다른 스텐트로써 본 출원인 특허등록 제457629호(선행기술 2 라함)는 두 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ℓ(후술되는 확장기구 제조용 지그의 대각선으로 한칸 위치의 돌출핀에 와이어를 걸어줄때 길이)의 대각선길이와 2ℓ의 대각선의 길이를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교차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각각의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와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가변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된 엇걸림부와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가 동일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의 상기 엇걸림부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키는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457630호(선행기술 3이라 함)는 두 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첫번째 와이어와 두번째 와이어를 별도로 사용하여서 일차 확장기구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소재의 첫번째 와이어가 서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서로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의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갖도록 교차직선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간이 엇걸림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토록 된 엇걸림부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를 구성하고, 이차 확장기구를 구성하는 두번째 와이어는 기존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번째 와이어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가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를 제공하였다.
상기 엇갈림 부는 다른 방향에서 진행하는 와이어가 서로 엇갈려 엮여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훅(hook)"라 칭하기도 하며 스텐트가 내강의 굴곡 부위에서 저항없이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작용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109709호(선행기술 4라 함)는 병변부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두 개의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고리 또는 교차부분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장치에 삽입할 때 이를 삽입하는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작은 내강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상기 선행기술 2, 3의 마름모 상 셀의 이웃한 두 쌍의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연꼴 형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훅"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스텐트는 모든 스텐트 셀이 연결되어 이루어짐에 의해 굴곡 내강 부위 등에서 특히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무조건 팽창하므로 내강의 굴곡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와 내강의 연동운동에 저항하지 않고 움직이는 순응성의 저하라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2 내지 선행기술 4는 모두 선행기술 1에서는 없었던 셀 일부에 훅에 의한 결합 구성을 이룸으로 순응성을 개선하고 있기는 하나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내강 삽입 후 스텐트 전개(Deployment)가 미흡하여 불량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고, 도입기(introducer)에 삽입, 시술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 작게 하면서도 더욱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요구하는 시장 상황을 충족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 3, 4의 경우에는 상기 선행기술 2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져 있기는 하나 다축 스텐트 피로 시험기(Multi-Axis Stent Fatigue Test Instrument)로 시험한 결과 팽창과 수축 피로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선행기술 3의 경우에는 전개력(Deploy force)이 취약하고, 선행기술 3의 경우에는 수축 피로(Bending fatigue)가 특히 부족하며, 선행기술 4의 경우에는 팽창 피로(Expansion fatigue)에 취약하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선행기술 1 내지 4의 발명은 여러 이점이 있는 반면에 고유의 단점을 서로 다르게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R 457629 B1 KR 457630 B1 KR 1109709 B1
본 발명은 종래 형상기억 합금 소재 와이어를 훅과 셀 구조로 엮어 이루어지는 스텐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마름모 상의 기하 도형을 이루는 하나의 셀에 다른 하나의 셀을 비 대칭적으로 중첩시킨 이중 셀에 의하여 반복적인 확장과 수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스트레스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 조기 단선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스텐트의 순응성(Conformability)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입기에 내장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가 작아 낮은 전개(Deploy)수치를 갖으므로 작은 전개력으로 확장 가능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힘 대비 작은 도입기(Introducer) 사용 가능하거나 또는 동일한 도입기(Introducer) 대비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적용할 수 있어 도입기 채택이 용이하고 유연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로에 견고한 기계적인 내성이 우수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훅(hook) 부분 배열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선형(동일선 상) 집중되지 아니하고 고르게 분배시켜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욱 작게 이룸으로 도입기에 내장을 용이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입기 내장이 용이하여 도입기의 아우터(Outer)와의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 전개력을 감소시키고 시술 성공에 유용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텐트 와이어의 엮기 방식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단위 셀을 기준으로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위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 < Pv, Ph > Pv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상기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하여 일정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1 스텐트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상기 동일한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2 스텐트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의 등각 위치에 마련되는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형성하는 내부 기하 형상의 공간을 폭 넓게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1/2Pv 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패턴부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 제2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 제4 패턴부, 제5 패턴부 및 제6 패턴부에 의하여 망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를 이루도록 상기 이격한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 상기 제1a 패턴부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 제4a 패턴부, 제5a 패턴부 및 제6a 패턴부에 의하여 망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제1 패턴부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패턴부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 패턴부의 상부는 제1 패턴부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1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상기 제1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과 제2 스텐트 와이어의 결선은 동일하며 단지 그 시작 원점이 제1 스텐트 시작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동된 위치의 이동 원점에서 개시된다.
상기 각 패턴들의 시작점은 제1 스텐트의 와이어가 시작하는 원점과, 이 원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하는 위치의 종료 점까지 이루어지며, 종료 점은 또 다른 연속하는 패턴의 시작점이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마름모 상의 기하 도형을 이루는 하나의 셀에 다른 하나의 셀을 비 대칭적으로 중첩한 이중 셀에 의하여 반복적인 확장과 수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스트레스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 조기 단선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스텐트에서 요구되는 순응성(Conformability)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입기에 내장하기 위해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가 작아짐에 따라 낮은 전개(Deploy)수치를 갖으므로 작은 전개력으로 확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힘 대비 작은 도입기(Introducer) 사용 가능하거나 또는 동일한 도입기(Introducer) 대비 강한 힘을 갖는 스텐트를 적용할 수 있어 도입기 채택이 용이하고 유연한 효과와, 내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로에 견고한 기계적인 내성이 우수하며, 훅(hook) 부분 배열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선형(동일선 상) 집중되지 아니하고 고르게 분배시켜 뭉쳐진 스텐트의 굵기(Profile)를 더욱 작게 이룸으로 도입기에 내장을 용이하게 하며, 도입기의 아우터(Outer)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 전개력을 감소시키고 시술 성공에 유용한 동시에 스텐트 와이어의 엮기 방식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의 셀이 오프셋 피치 이격 구성되고 이 오프셋 피치를 증감시켜 제작이 가능하므로 용도에 맞춰 쉽게 변형 제작할 수 있는 능동성이 높은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를 도시한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그 전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제1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1 와이어의 패턴부를 도시한 패턴도이며,
도 3은 제1 패턴부 결선도.
도 4는 제2 패턴부 결선도.
도 5는 제3 패턴부 결선도.
도 6은 제4 패턴부 결선도.
도 7은 제5 패턴부 결선도.
도 8은 제6 패턴부 결선도로 결선이 완료된 제1 스텐트 패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스텐트를 제1 스텐트에 중첩시켜 결선이 완료된 상태의 패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길이 방향으로 긴 연장의 스텐트를 제작하기 위한 일부 생략된 결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1a 패턴부 발췌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2a 패턴부 발췌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3a 패턴부 발췌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4a 패턴부 발췌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5a 패턴부 발췌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6a 패턴부 발췌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스텐트를 도시한 외형 구성도.
도 18은 도 17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 중 Ph < Pv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 중 Ph > Pv 상태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시하고 설명될 기본 실시 예는 스텐트의 원주면을 A1~A14까지 14균분하고, 길이방향으로 B1~B14까지 분할하여 결선하는 망선의 스텐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결선을 이루는 지그(100)는 몸체(102)와 착탈 핀(103)으로 이루어진다.
지그(100)는 제작될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를 14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과, 이 수직선에 직교하며 원주를 길이방향으로 14 분할하되 분할 최상단 위치와 최하단 위치 이상으로 연장된 원통형 막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를 등가적으로 전개하면 도 2 도면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2 도시의 X축은 지그의 원주 면을 Y축은 길이방향을 도시하며 원주 면의 균분 선(A1~A14)과 길이방향의 원주 분할 선(B1~B14)을 연장하는 교차점 일부에는 핀(3)을 끼워 결선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교차하는 결선 와이어와 훅 결속을 이루도록 마련한다.
상기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 A12,A14)으로 나누어 14 균분 선(A1~A14)으로 이루어진다.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14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길이Ph1=Pv1이 되고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을 이룬다.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은 가상의 선으로 그 교차점 일부에는 핀(3)을 끼우기 위한 홀을 천공하고 핀을 결합하여 준비되는데 도2 도면에 채색된 원은 핀을 도시하는 것이며,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는 설명에서는 각 선의 교차점을 해당 선의 부호를 조합한 좌표로 설명한다.
이 등가 도면에서 X축 방향 원주 균분 선에 중복하여 좌, 우측에 도시한 균분 선(A1)은 동일한 균분 선으로 전개 도시되고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며 우측 도시의 균분선(A1)은 실재하지 않으며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적인 선이다.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단위 셀을 기준으로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위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 < Pv, Ph > Pv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상기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하고 정해진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상기 동일한 원주율과 길이를 갖는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형성하는 내부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1/2Pv 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A1, B13)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제1 패턴부(1)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1)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 패턴부(6)의 상부는 제1 패턴부(1)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1 스텐트(10)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와이어의 단부 결합은 스리브 또는 용접에 의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어 구체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스텐트(20) 와이어의 결선 패턴부는 제1 스텐트(10) 와이어의 결선과 동일하며 단지 그 시작 원점이 제1 스텐트(10) 시작 원점(A1, 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동된 위치의 이동 원점(A1, B2)에서 시작한다.
상기 각 패턴들의 시작점은 제1 스텐트의 와이어가 시작하는 원점과, 이 원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하는 위치의 종료 점까지 이루어지며, 종료 점은 또 다른 연속하는 패턴의 시작점이 되어 연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상하단 위치의 분할선(B1),(B13)과 제2 스텐트를 이루는 상하단 위치의 분할선(B2),(B14)과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은 도 10 도시와 같이 Y축 길이 방향으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 A12,A14)으로 나누어 14 균분 선(A1~A14)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14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 기준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이 가능하고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가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 제조 방법을 이룬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대하여 도3 내지 도8 및 도1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중의 와이어로 망선을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있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는 것과,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이루는 제1 스텐트(10)의 제1 내지 제6 패턴부는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1a 내지 제6a 패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 패턴부(1)는 원점(A1, B1)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5)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3)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7)(A7, B5)(A9, B9)(A10, B7)(A12, B11) (A13, B9)에서 절곡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13)(A4, B11)(A5, B13)(A6, B11)(A7, B13)(A8, B11)(A9, B13)(A10, B11)(A11, B13)(A12, B11)(A13, B1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룬다.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9)(A4, B11)(A5, B9)(A6, B11)(A7, B9)(A8, B11)(A9, B9)(A10, B11)(A12, B7)(A13, B9)(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9)(A4, B7)(A5, B9)(A6, B7)(A7, B9)(A9, B5)(A10, B7)(A11, B5)(A12, B7)(A13, B5)(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5)(A4, B7)(A6, B3)(A7, B5)(A8, B3)(A9, B5)(A10, B3)(A11, B5)(A12, B3)(A13, B5)(A14, B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1)(A4, B3)(A5, B1)(A6, B3)(A7, B1)(A8, B3)(A9, B1)(A10, B3)(A11, B1)(A12, B3)(A13, B1)(A14, B3)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1)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6)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4)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8)(A7, B6)(A9, B10)(A10, B8)(A12, B12) (A13, B10)에서 절곡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a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4)(A4, B12)(A5, B14)(A6, B12)(A7, B14)(A8, B12)(A9, B14)(A10, B12)(A11, B14)(A12, B12)(A13, B1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룬다.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a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0)(A4, B12)(A5, B10)(A6, B12)(A7, B10)(A8, B12)(A9, B10)(A10, B12)(A12, B8)(A13, B10)(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10)(A4, B8)(A5, B10)(A6, B8)(A7, B10)(A9, B6)(A10, B8)(A11, B6)(A12, B8)(A13, B6)(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6)(A4, B8)(A6, B4)(A7, B6)(A8, B4)(A9, B6)(A10, B4)(A11, B6)(A12, B4)(A13, B6)(A14, B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2)(A4, B4)(A5, B2)(A6, B4)(A7, B2)(A8, B4)(A9, B2)(A10, B4)(A11, B2)(A12, B4)(A13, B2)(A14, B4)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2)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제6a 패턴부(6a)의 상부는 제1a 패턴부(1a)의 시작 원점과 동일 횡축으로서 제2 스텐트(20) 와이어의 결선이 종료되고, 와이어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길이Ph1=Pv1이 되고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는 상하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인 경우에 는 상하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며 좌우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Pv, Ph<Pv 또는 Ph>Pv의 어떠한 경우라도 마주보는 대향 각도는 항상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결선을 이루는 지그(100)는 제작될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진 몸체(102)와 몸체 둘레에 X, Y축 방향으로 다수의 분할 위치에 끼워 와이어를 결선하는 핀(103)을 탈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텐트용 지그에 있어, 몸체(102) 원주 면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 일부 교차점 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부 교차점은 결선 패턴을 이루는 제1 ~ 제6 패턴부(1 ~ 6)와, 제1a ~ 6a 패턴부(1a ~ 6a)가 경유하는 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1a 패턴부(1, 1a)는 "
Figure pat00001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2a 패턴부(2, 2a)는 "
Figure pat00002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3a 패턴부(3, 3a)는 "
Figure pat00003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4a 패턴부(4, 4a)는 "
Figure pat00004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 5a 패턴부(5, 5a)는 "
Figure pat00005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6, 6a 패턴부(6, 6a)는 "
Figure pat00006
"와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스텐트는 도 17, 도 18 도시와 같이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을 이루는 셀이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된 상태로 이중으로 결속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1/2Pv 이내에서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여 스텐트를 용도에 맞게 변경 제작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텐트는 내강에 시술하였을 때 순응성이 대단히 높은 훅을 갖으면서도 훅이 수평, 수직 어느 방향으로도 선형으로 집중되거나 균일하게 배치되지 아니함에 의해 도입기에 뭉쳐 내장할 때 그 부피 감축이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기하 형상 마름모를 이루며 두 개의 스텐트가 겹쳐 제작됨에 의해 마름모의 대향 내각이 동일하므로 외력에 강한 지지력을 나타내는 작용을 이루는데, 다축 스텐트 피로 시험기(Multi-Axis Stent Fatigue Test Instrument)로 시험한 결과 팽창과 수축 피로 시험에서 종전 기술에 의한 스텐트에 비해 팽창은 최소 2배 이상, 수축은 최소 6배 이상의 수명을 견디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동시에 제1 스텐트(10)의 단위 셀과 제2 스텐트(20)의 단위 셀은 실질적으로는 훅 결합되어 있지 아니하고 중첩되어 제작됨에 의해 셀의 움짐이 범위가 대폭 허용되는 작용으로 가변적인 오프셋 피치(Pv2)로 공간부(13, 23)의 크기 또한 가변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어 중첩 공간부(30)로의 타 스텐트 연결 시술 등에 유용하게 작용하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의 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마름모 상 셀의 형태 변경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 지그와 그 전개도 상 망선 결선도의 균분 선과 분할 선의 수는 도시하고 설명한 패턴부를 결선하도록 증감 가능하여 원주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과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 모두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 분야 종사자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패턴부의 구현이 유사한 범주에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도어야 할 것임을 밝혀둔다.
1(1a) ~ 6(6a): 제1 ~ 제6 패턴부 10: 제1 스텐트
13, 23: 공간부
20: 제2 스텐트 30: 중첩 공간부
40: 절곡 고리부
A1 ~ A14: 균분선 B1 ~ B14: 분할선

Claims (43)

  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선을 이루며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와이어 간에 훅 결속을 이루어 훅과 셀을 갖는 스텐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스텐트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한 균분 선(A1,A3,A5,A7,A9,A11,A13)과, 상기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 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스텐트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 B11,B13)과,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 B14) 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을 이루어,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피치(Pv2)는 적어도 수직 대각선 거리(Pv) 대비 1/2Pv 이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는 Ph=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내각이 모두 직각인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 < 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상하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와 수직 대각선 거리(Pv)가 Ph > Pv로 이루어 제1, 2 스텐트(10, 20)의 공간부(13, 23) 상하 위치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고 좌우 위치의 내각은 예각을 이루며 좌우방향으로 긴 마름모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텐트(10, 20) 공간부(13, 23)의 대향 각도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1)는 원점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1)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고, 제1 패턴부의 시작점과 제6 패턴부의 종료 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B2)으로부터 수평, 수직 대각선 거리(Ph, Pv) 만큼 대각 거리(2L)로 하향하고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대각 상향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a)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종료 점(A1,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a)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하향과 상향을 반복하며, 상기 제1a 패턴부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상기 횡축에서 1 단계 상부에 위치하는 횡축으로 이동하여 동일 횡축 상에서 상 하향을 반복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제1a 패턴부(1)의 대각 거리(2L) 구간을 마주하면 대각 거리(2L) 만큼 상향 교차시켜 단위 셀의 1변의 대각 거리(L) 만큼 동일 횡축 상에서 상향과 하향을 반복하여 원점(A1, B2)까지 복귀하도록 결선하고, 제1a 패턴부의 시작점과 제6 패턴부의 종료 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중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A1~A14)과, 분할선(B1~B14)으로 이루며,
    기준이 되는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 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 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고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을 이루는 것과,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를 이루어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4.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선을 이루며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와이어 간에 훅 결속을 이루어 훅과 셀을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스텐트 지그의 원주 면 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한 균분 선(A1,A3,A5,A7,A9,A11,A13)과, 상기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 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스텐트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 B11,B13)과,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 B14) 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을 이루어,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제1 와이어는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13)를 이루도록 최상부 어느 하나의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 패턴부(1), 상기 제1 패턴부(1)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 패턴부(2), 제2 패턴부(2)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 패턴부(3), 제4 패턴부(4), 제5 패턴부(5) 및 제6 패턴부(6)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제2 와이어는 제1 스텐트(10)의 원점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하향 이격한 이동 원점(A1, B2)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제2 스텐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만곡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절곡 고리부(40)로 이루며, 다수의 기하 형상 마름모 상의 공간부(23)를 이루도록 상기 이동 원점으로부터 제2 스텐트의 최하부까지 연결하는 제1a 패턴부(1a), 상기 제1a 패턴부(1a)의 종료 점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제2a 패턴부(2a), 제2a 패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제3a 패턴부(3a), 제4a 패턴부(4a), 제5a 패턴부(5a) 및 제6a 패턴부(6a)에 의하여 와이어 결선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텐트(10)와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하고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 패턴부(1)는 원점(A1, B1)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5)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3)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7)(A7, B5)(A9, B9)(A10, B7)(A12, B11) (A13, B9)에서 절곡하여 제1 스텐트 원점(A1, B1)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3)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2)는 상기 제1 패턴부 종료 점(A1, B13)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13)(A4, B11)(A5, B13)(A6, B11)(A7, B13)(A8, B11)(A9, B13)(A10, B11)(A11, B13)(A12, B11)(A13, B1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3)는 상기 제2 패턴부(2) 종료 점(A1,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1)(A3, B9)(A4, B11)(A5, B9)(A6, B11)(A7, B9)(A8, B11)(A9, B9)(A10, B11)(A12, B7)(A13, B9)(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9)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부(4)는 상기 제3 패턴부 종료 점(A1, B9)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9)(A4, B7)(A5, B9)(A6, B7)(A7, B9)(A9, B5)(A10, B7)(A11, B5)(A12, B7)(A13, B5)(A14, B7)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1.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5 패턴부(5)는 상기 제4 패턴부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7)(A3, B5)(A4, B7)(A6, B3)(A7, B5)(A8, B3)(A9, B5)(A10, B3)(A11, B5)(A12, B3)(A13, B5)(A14, B3)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5)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2.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6 패턴부(6)는 상기 제5 패턴부(5) 종료 점(A1, B5)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1)(A4, B3)(A5, B1)(A6, B3)(A7, B1)(A8, B3)(A9, B1)(A10, B3)(A11, B1)(A12, B3)(A13, B1)(A14, B3)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1)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3.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20)를 이루는 와이어 결선의 제1a 패턴부(1a)는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대각 거리(2L) 하향 위치의 교차점(A3, B6)과 대각 거리(L) 만큼 상향 위치의 교차점(A4, B4)에서 절곡하며, 이 대각 거리(2L, L)를 반복하여 교차점(A6, B8)(A7, B6)(A9, B10)(A10, B8)(A12, B12) (A13, B10)에서 절곡하여 제2 스텐트 원점(A1, B2)을 수직으로 연장한 최하단 위치의 종료 점(A1, B14)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4.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a 패턴부(2a)는 상기 제1a 패턴부 종료 점(A1, B14)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4)(A4, B12)(A5, B14)(A6, B12)(A7, B14)(A8, B12)(A9, B14)(A10, B12)(A11, B14)(A12, B12)(A13, B1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5.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3a 패턴부(3a)는 상기 제2a 패턴부 종료 점(A1,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12)(A3, B10)(A4, B12)(A5, B10)(A6, B12)(A7, B10)(A8, B12)(A9, B10)(A10, B12)(A12, B8)(A13, B10)(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10)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6.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4a 패턴부(4a)는 상기 제3a 패턴부 종료 점(A1, B10)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10)(A4, B8)(A5, B10)(A6, B8)(A7, B10)(A9, B6)(A10, B8)(A11, B6)(A12, B8)(A13, B6)(A14, B8)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5a 패턴부(5a)는 상기 제4a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2, B8)(A3, B6)(A4, B8)(A6, B4)(A7, B6)(A8, B4)(A9, B6)(A10, B4)(A11, B6)(A12, B4)(A13, B6)(A14, B4)에서 절곡하여 종료 점(A1, B6)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6a 패턴부(6a)는 상기 제5 패턴부 종료 점(A1, B6)을 시작점으로 하며 횡축 상에서 교차점(A3, B2)(A4, B4)(A5, B2)(A6, B4)(A7, B2)(A8, B4)(A9, B2)(A10, B4)(A11, B2)(A12, B4)(A13, B2)(A14, B4)에서 절곡하여 원점(A1, B2)까지 결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39. 청구항 27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 거리(2L) 교차 진행 구간 이외의 교차점 핀 위치에서 교차하는 와이어는 훅 결합에 의하여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이루며,
    제1 스텐트 와이어와 제2 스텐트 와이어는 서로 교차적으로 엮이도록 결선하여 제1, 2 스텐트 중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A1~A14)과, 분할선(B1~B14)으로 이루며,
    기준이 되는 분할선(B1)이 분할 선(B13)에 위치하여 반복하도록 13차 분할선의 배수로 형성하고 13차 분할 선의 배수 위치의 하단 분할선(Bn)과 이 하단 분할 선의 최하단으로 상기 오프셋 피치(Pv2) 이격한 최하단 분할선(Bn+1)을 형성하여 상기 각 균분 선과 분할 선을 연결하는 교차점에서 절곡 또는 절곡 교차시켜 기하 형상 마름모 상으로 스텐트 와이어를 결선하여 단위 셀을 연속 반복해 제1 스텐트(10)를 이루는 것과,
    상기 단위 셀을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 피치(Pv2) 만큼 하향 이격시켜 제1 스텐트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스텐트(20)를 중첩시켜 이루어 중첩한 제1, 2 스텐트(10, 20)의 등각 위치에 마련된 두 변이 상기 오프셋 피치(Pv2)로 이격되고 그 중첩에 의하여 기하 형상의 폭넓은 중첩 공간부(30)를 형성하고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균분 선과 분할 선을 갖는 교차점에 원점(A1, B1)으로부터 제1 패턴부(1)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까지 결선을 이루고 제2 ~ 제6 패턴부(2~6)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1 스텐트 제작을 이루는 것과,
    이동 원점(A1, B2)으로부터 제1 패턴부(1a)를 반복하여 하단 분할선(Bn+1)까지 결선을 이루고 이후 제2a ~ 제6a 패턴부(2a~6a)를 반복하며 상향 결선을 이루면 긴 연장의 제2 스텐트를 이루어 결합 제작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긴 연장의 스텐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
  4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스텐트의 중공부를 이루는 원주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진 몸체(102)와 몸체 둘레에 X, Y축 방향으로 다수의 분할 위치에 끼워 와이어를 결선하는 핀(103)을 탈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텐트용 지그에 있어서,
    몸체(102) 원주 면상에 임의 선정한 원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1,A3,A5, A7,A9,A11,A13)으로 나누고 이 균분 선을 양분하는 길이(Ph1)로 이격한 위치에 상기 수평 대각선 거리(Ph) 만큼 이격하여 균분 선(A2,A4,A6,A8,A10,A12,A14)으로 나누어 균분 선(A1~A14)을 이루고,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분할 선(B1)과 이 분할 선(B1)으로부터 마름모 상의 기하 형상을 이루는 셀의 수직 대각선 거리(Pv)를 양분하는 길이(Pv1) 만큼 이격한 분할 선(B3,B5,B7,B9,B11,B13)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 선(B1)으로부터 오프셋 피치(Pv2) 만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분할 선(B1,B3,B5,B7,B9,B11,B13)과 동수의 분할 선(B2,B4,B6,B8,B10,B12,B14)으로 나누어 분할선(B1~B14)으로 이루어 결선 패턴을 이루는 제1 ~ 제6 패턴부(1 ~ 6)와, 제1a ~ 6a 패턴부(1a ~ 6a)가 경유하는 교차점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103) 결합을 이루는 교차점은
    제1, 1a 패턴부(1, 1a)는 "
    Figure pat00007
    "와 같은 패턴과,
    제2, 2a 패턴부(2, 2a)는 "
    Figure pat00008
    "와 같은 패턴과,
    제3, 3a 패턴부(3, 3a)는 "
    Figure pat00009
    "와 같은 패턴과,
    제4, 4a 패턴부(4, 4a)는 "
    Figure pat00010
    "와 같은 패턴과,
    제5, 5a 패턴부(5, 5a)는 "
    Figure pat00011
    "와 같은 패턴과,
    제6, 6a 패턴부(6, 6a)는 "
    Figure pat00012
    "와 같은 패턴 중 대각 거리(2L)로 교차하는 부분은 제외하고, 대각 거리(L)로 교차하는 부분으로 그 교차점에 핀(103)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KR1020160017142A 2016-02-15 2016-02-1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KR10178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42A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6-02-1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US16/077,633 US10806612B2 (en) 2016-02-15 2017-02-09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7/001401 WO2017142253A1 (ko) 2016-02-15 2017-02-09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JP2018541428A JP6791974B2 (ja) 2016-02-15 2017-02-09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
US16/912,349 US20200323663A1 (en) 2016-02-15 2020-06-25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42A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6-02-1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74A true KR20170095574A (ko) 2017-08-23
KR101785042B1 KR101785042B1 (ko) 2017-10-12

Family

ID=5962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142A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6-02-1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06612B2 (ko)
JP (1) JP6791974B2 (ko)
KR (1) KR101785042B1 (ko)
WO (1) WO20171422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63B1 (ko) * 2019-06-12 2020-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탈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20210123707A (ko) * 2020-04-03 2021-10-14 박성욱 의료용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10B1 (ko) *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20210052744A (ko)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비혈관용 스텐트
WO2023047477A1 (ja) * 2021-09-22 2023-03-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29B1 (ko)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57630B1 (ko)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24291B1 (ko) 2001-04-04 2004-03-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633020B1 (ko)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090038209A (ko)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101109709B1 (ko) 2009-11-11 2012-01-31 신경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20110064090A (ko)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021615B1 (ko)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CN102973341B (zh) * 2012-11-08 2015-06-1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JP6228594B2 (ja) * 2013-04-18 2017-11-08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胆管留置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63B1 (ko) * 2019-06-12 2020-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탈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20210123707A (ko) * 2020-04-03 2021-10-14 박성욱 의료용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6612B2 (en) 2020-10-20
JP2019504701A (ja) 2019-02-21
US20190053926A1 (en) 2019-02-21
KR101785042B1 (ko) 2017-10-12
WO2017142253A1 (ko) 2017-08-24
JP6791974B2 (ja) 2020-11-25
US20200323663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042B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KR101330825B1 (ko)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JP6355115B2 (ja) 連結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622914B2 (ja) ステント
ES2584333T3 (es) Dispositivos de endoinjerto modulares
CN100477974C (zh) 可自扩展的形状记忆合金支架及其制造方法
JP4591348B2 (ja) 血管追従性の優れた拡張性のよい柔軟なステント
EP3466376A1 (en) Weaving method for nasal sinus stent and stent obtained thereof
JPWO2004108201A1 (ja) 血管追従性のよい柔軟なステント
KR101735702B1 (ko) 셀 확장이 용이한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CN104736107B (zh) 可变横截面的支架
KR20160025349A (ko)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20110051846A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CN109966019B (zh) 覆膜支架
KR20130111740A (ko) 연동 굴곡 변형이 가능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US20220211524A1 (en) Synthetic resin stent and stent delivery system
JP2003062084A (ja) 可撓性の改良されたステント
JP2005013302A (ja) 血管追従性および拡張性のよい、血管に優しい柔軟なステント
US20230190498A1 (en) Stent with shaped wires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CN109966020B (zh) 覆膜支架
JP2004329789A (ja) 血管追従性と拡張性の優れたステント
JP2004275327A (ja) 血管径保持性と追従性の優れたステント
KR20160116071A (ko) 스텐트
JP2004267492A (ja) 血管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