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291B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291B1
KR100424291B1 KR10-2001-0018027A KR20010018027A KR100424291B1 KR 100424291 B1 KR100424291 B1 KR 100424291B1 KR 20010018027 A KR20010018027 A KR 20010018027A KR 100424291 B1 KR100424291 B1 KR 10042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osition point
protruding pin
length
expans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129A (ko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999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42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01-001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2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엮어 제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확장기구의 필요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체를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과 길이분할선(b0,b1,b2,b3,...)을 설정하고,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을 따라 원통체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조립홈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과 교차하는 모든 지점에 각각 돌출핀을 일단을 고정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확장기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MAKING JIG FOR SELF-EXPANIDING STEN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전에 의한 혈관의 협착 뿐만 아니라 암덩어리로 인한 식도의 협착, 담도의 협착, 요도의 협착 및 경정맥 간내 문매간 인공통로 설치등의 일련의 신체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은 혈전, 동맥경화등에 의해 혈관을 막거나 이를 흡착시키므로서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혈관의 흡착진행 또는 흡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로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상기한 부위에 인조혈관 대치술 또는 우회적인 조성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적 수술은 병변부위의 신체를 절개하여야 하므로 그 부위가 매우 넓어 큰 흉터를 남기게되고, 또한 많은 요양기간을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수술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혈관질환의 경우에는 고혈압, 심장병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경우의 환자에게는 수술 그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절개수술을 행하지 않고 대퇴동맥에 조그만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인체외부에서 혈관의 내부로 발룬 카데터튜브(Balloon Catheter Tube)를 혈관의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삽입하여 발룬(Balloon)을 부풀려주는 혈관성형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성형술은 통상 3∼4개월이 지나게되면 재협착이 발생하여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정기적인 고통은 물론이고 경제적부담을 재차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혈관질환 뿐만 아니라 암조직에 의한 식도를 막거나 이의 진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입으로의 음식섭취가 불가능하여 배에서 위장으로 구멍을 뚫어 튜브를 통해 음식을 투입해야 하므로 환자는 물론이고 가족에게 크다란 정신적 고통을 주고 있다.
이외에도 담도의 협착, 요도의 협착, 경정맥 간내 문매간 인공통로 설치는 물론이고 기타 장기의 폐색 또는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시술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결국에는 치료의 효과보다도 환자는 물론이고 가족에게 정신적, 경제적부담이 오히려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한 확장기구를 퓨셔 카데터를 통하여 혈관, 신체의 협착 또는 흡착부분의 혈관의 통로를 확장시켜 주는 시술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확장기구는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방법이 제공되어 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 등록 제240832호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또힌 와이어를 통과시켜 확장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와이어의 체결수단을 요하고, 와이어를 구멍을 통해 통과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다.또한, 공개특허공보 1999-30898호에서는 원통형의 본체 양단의 제1,2원주면으로 다수의 핀을 부착하여서 단일의 필라멘트로 제1원주면측의 시작핀에 걸고, 이를 정해진 만큼 나선 회전시켜 제2원주면측의 한 핀을 거치게 하고, 다시 정해진 만큼 나선 회전시켜 시작핀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제1원주면측의 다른 핀을 거치게 하는 단계들을 반복하여 본체 전체적으로 튜브형태의 스텐트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이때, 상기 필라멘트사는 메시 형태로 교차 형성하면서 제조하게 된다.그러나, 상기한 제조장치는 단순히 원통형 본체 양단의 제1,2원주으로 부착된 다수의 핀을 이용하여 필라멘트를 지그재그로 엮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상기와 같이 단순히 지그재그로 엮어 형성한 스텐트는 직선 부위는 가능하나 곡선부위의 설치시에 효과적으로 굽어지지 않거나 길이가 가변되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필라멘트를 다양한 형태로 엮어 사용하므로 곡선부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그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텐트가 본 출원인에 의해 본 출원과 동일자로 개시된 바 있다.즉, 상기와 같이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엮은 스텐트는 상기한 종래의 제조장치에서는 그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또한, 상기한 종래의 제조장치는 필라멘트를 엮는 과정에서 기존에 설치된 필라멘트의 밑으로 통과하는 경우에 기존의 필라멘트가 본체에 밀착되어 있어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확장기구의 필요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체를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과 길이분할선(b0,b1,b2,b3,...)을 설정하고,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을 따라 원통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조립홈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과 교차하는 모든 지점에 각각 돌출핀을 일단을 고정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확장기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a, 3b, 3c 및 3d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확징기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확장기구의 완성된 상태의 전개도,
도 5 부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첫번째 와이어 11; 두번째 와이어
12; 세번째 와이어 80; 확장기구
99 ; 고정핀 120; 돌출핀
이하 본 발명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하려는 확장기구(80)와 동일한 직경(; 원주율)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110)에 조립된 다수의 돌출핀에 의해 와이어를 엮어 확장기구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10)의 원주율(W)을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조립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체(110)의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길이분할선(b0,b1,b2,b3,..)과 상기 원주분할선(a0,a1,a2,a3,...)이 교차하는 모든 지점에 각각 돌출핀(120)을 착탈 가능하게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원통체(110)의 최상단에는 고정핀(99)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조립홈(130)과 조립홈(130)사이에는 조립관통홈(130')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10)의 원주율(W)과 길이(L)는 사용하려는 확징기구(80)의 직경과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통체(110)의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원주분할선(a0,a1,a2,a3,...)과 길이분할선(b0,b1,b2,b3,...)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그 이하로도 설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110)의 최상단에는 별도의 고정용 돌출핀(99)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자로 출원한바 있는 확장기구(80)의 제조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3a부터 도 3d에 의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는 본 발명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를 그대로 전개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원통체(110)의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원주분할선(a0,a1,a2,a3,...a9)과 길이분할선(b0,b1,b2,b3,...b7)으로 편의상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첫번째 와이어(10)의 끝단을 둥굴게 묶는 방법에 의하여 매듭(98)을 형성하여 이 매듭(98)을 상기한 고정용 돌출핀(99)에 끼워 고정한다.
이를 편의상 시작점(S)로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에서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제1기준점(a0)으로 설정하고, 상기 첫번째 와이어(10)를 제1기준선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0)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1b1)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때 대각선상으로 이동한 길이를 편의상 대각선거리(ℓ)이라 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1b1)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당연히 위로 향하면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다시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에는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2)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2)의 하단에서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7b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그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0b2)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1b3)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돌출핀(120; 위치점 a1b3)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당연히 위로 향하면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2)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다시 행한 다음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4)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4)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7b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5)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그 다음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0b4)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1b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1b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당연히 위로 향하면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4)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다시 행한 다음 2ℓ의 대각선 길이로 하부 이동하여 돌출핀(120; 위치점 a4b6)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행한 후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5)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6)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위치점 a7b5)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7)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0b6)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1b7), 돌출핀(120; 위치점 a2b7), 돌출핀(120; 위치점 a3b7), 돌출핀(120; 위치점 a4b6)에 걸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4b6)은 반복하여 걸어지도록 사용되는 데 이때에는 첨부된 도 7a의 확대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존 걸쳐진 와이어(10)의 밑으로 이동시킨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4b6)에 걸친 후에는 기존 걸쳐진 와이어(10)의 위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걸어준다.
이러한 것은 상기한 기초 지그(100)에 형성된 조립관통홈(130')을 통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5b7), 돌출핀(120; 위치점 a6b6)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4b6)와 같이 반복되어 걸쳐지는 것이므로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4b6)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걸쳐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7b7), 돌출핀(120; 위치점 a8b6)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4b6)와 같이 반복되어 걸쳐지는 것이므로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4b6)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걸쳐준다.
그 다음 돌출핀(120; 위치점 a9b7)에 걸친 후에는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1b5)에 걸쳐준다.
이러한 것은 첨부한 도면 도 3a의 "d 화살표"에서 도면 도 3b의 "d 화살표"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도면 도 3a의 "a,b,c,화살표"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와이어(10)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표시한 부호이다.
그리고 도 3b의 점선은 이미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작업완료된 와이어(10)이고, 실선을 상기한 와이어(10)로 다음 작업을 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핀(120; 위치점 a1b5)에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6)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4)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4)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7b5)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0b4)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e 화살표 참조).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1b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6b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7b3)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0b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f 화살표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위치점 a1b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다시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2b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 다음, 상부로 2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4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준다.
그 다음 하부로 ℓ의 대각선 길이로 이동시켜서 돌출핀(120; 위치점 a5b1), 돌출핀(120; 위치점 a6b0), 돌출핀(120; 위치점 a7b1), 돌출핀(120; 위치점 a8b0),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을 각각 교호로 지나면서 각각 걸어 준다.
이러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9b1)을 통해 걸어 준 후에는 최초의 제조 작업이 시작되었던 돌출핀(120; 위치점 a0b0)에서 만나게 되는데 이렇게 서로 만나는 와이어(10)의 끝단을 서로 용접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의 끝단을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 삽입, 압착하는 것에 의해 양단을 연결하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지그(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제조과정을 거친다음,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조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돌출핀(120)에 와이어(10)가 이미 지나가면서 절곡과정을 거친 후 다음에 다시 동일한 돌출핀(120)에 와이어(10)를 걸쳐서 절곡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설치된 와이어(10)의 상단이나 하단을 지나도록 하여야 하여 동일한와이어(10)가 상, 하부에 위치할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한 다음에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이는 첨부한 도면 도 3c 및 도 3d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는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의 제조시에 사용하지 않았던 돌출핀(120)을 따라가면서 제조하게 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두번째 와이어(11)의 끝단을 둥굴게 묶는 방법에 의하여 매듭(98)을 형성하여 이 매듭(98)을 상기한 고정용 돌출핀(99)에 끼워 고정하여 시작점(S)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번째 와이어(11)를 돌출핀(120; 위치점 a1b0)의 상부에서 하부를 통과하는 상태 즉, 걸어주는 상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기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와 평행하게 이동시키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돌출핀(120; 위치점 a8b7)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주는 작업을 행한다[(1)지점].
이때 상기한 돌출핀(120; 위치점 a8b7)까지 이동하면서 만나게 되는 기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를 첫번째 만나게 되었을 경우에는 그 하단을 통과시켰다면 두번째로 만나게 되는 첫번째 와이어(10)는 그 상단을 통과하는 형태로 교호로 통과하고 이러한 것은 계속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렇게 돌출핀(120; 위치점 a8b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걸어주는것이므로 다음번에는 대각선 길이로 최상단인 돌출핀(120; 위치점 a5b0)까지 이동시켜서 그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걸어주는 작업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첨부한 도면 도 3c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5)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g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2)지점].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2b7)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3)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3c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5)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h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9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4)지점].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6b7)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5)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3c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1)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i를 도 3d의 화살표 i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3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6)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3d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3)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j를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0b7)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7)지점].
이러한 상태(도 3d에서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 도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7b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8)지점].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4b7)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곡을 행한다[(9)지점].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3d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3)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l을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돌출핀(120; 위치점 a1b0)인 최초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10)지점].
이렇게 서로 만나는 두번째 와이어(11)의 끝단을 서로 용접하거나 첨부한 도면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0)의 끝단을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 삽입, 압착하는 것에 의해 양단을 연결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한다.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도 3d에서는 돌출핀(120; 위치점 a0b1)에 걸리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개도 이므로 화살표 m을 따라 이동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두번째 와이어(11)는 기존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가 서로 별개로 작용하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는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돌출핀(120)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와이어를 대각선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도 그 이동 길이는 항상 정비례하는 길이를 유지하면서 이동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제조 과정을 거친 원통형 확장몸체(Z)를 첨부한 도면 도 4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것을 전개하여 도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도 5부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80)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확징기구는 동일하거나 그 정비례하여대각선으로 이동을 행하면서 확장기구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위치에서 교차직선부(70)와 엇걸림부(60)를 형성하면서 가변형 마름모꼴 형상의 공간부(20)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한 이차 확장기구(Y)를 구성하는 두번째 와이어(11)는 기존 설치된 첫번째 와이어(10)와 평행하게 대각선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을 따라 첫번째 와이어(10)의 상부나 하부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한 일차 원통형 확장기구(X)가 형성한 가변형 마름모형 공간을 균일하게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차 원통형 확장기구(Y)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 과정을 거친 후에 시작점(S)의 고정핀(99)과 상기에서와 같이, 용접 또는 상기 와이어(10),(11)의 각각 양끝단(10a),(10b).(11a),(11b)의 매듭연결은 각각 얇은 중공의 파이프(200)내에서 삽입하고 압착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5참조).
이때 상기한 양단을 결합하고 남는 와이어(10),(11)의 끝단부분을 절단한 다음, 기초 지그(100)에서 돌출핀(120)을 분리한 다음 기초 지그(100)에서 완성된 본 발명의 원통형 몸체(Z)를 분리하여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고유의 형상을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완성된 확장기구(80)를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전제하고는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서는 기초 지그(100)을 구성하는 원통체(110)를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a9)과 길이분할선(b0,b1,b2,b3,...b7)까지를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고,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확장기구(80)의 크기 즉, 직경과 길이에 따라 얼마든지 임으로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한 원주분할선(a0,a1,a2,a3,...a9.... )으로 원통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조립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분할선(b0,b1,b2,b3,...b7...)와 같이 설정하여 제조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장치에서는 한줄의 와이어는 물론이고 두개 또는 그이상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예시하고 있는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확장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제조과정을 거친 와이어를 통과하거나 엇걸고자 할 때에도 상기 원통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각의 조립홈(130)을 통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통체(110)의 최상단에 고정핀(99)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에 단지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 흡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하여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의 통로를 넓혀주기 위한 확장기구를 일정하고,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분명하다.

Claims (2)

  1. 사용하려는 확장기구(80)와 동일한 직경(; 원주율)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110)에 조립된 다수의 돌출핀에 의해 와이어를 엮어 확장기구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10)의 원주율(W)을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0,a1,a2,a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조립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체(110)의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길이분할선(b0,b1,b2,b3,..)과 상기 원주분할선(a0,a1,a2,a3,...)이 교차하는 모든 지점에 각각 돌출핀(120)을 착탈 가능하게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원통체(110)의 최상단에는 고정핀(99)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조립홈(130)과 조립홈(130)사이에는 조립관통홈(130')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2. 삭제
KR10-2001-0018027A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42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27A KR100424291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27A KR100424291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29A KR20020078129A (ko) 2002-10-18
KR100424291B1 true KR100424291B1 (ko) 2004-03-24

Family

ID=2769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027A KR100424291B1 (ko) 2001-04-04 2001-04-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31B1 (ko) * 2006-01-26 2007-01-0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EP3284444B1 (en) * 2015-04-15 2022-09-07 M.I.Tech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75B1 (ko) * 2006-10-27 2007-02-02 최옥형 의료용 금속 메쉬 튜브 제조 장치
KR101785042B1 (ko) 2016-02-15 2017-10-12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469A (ja) * 1995-12-27 1997-07-08 Sumitomo Bakelite Co Ltd 管腔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0898A (ko) * 1997-10-07 1999-05-06 송호영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20010030442A (ko) * 1999-09-21 2001-04-16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469A (ja) * 1995-12-27 1997-07-08 Sumitomo Bakelite Co Ltd 管腔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0898A (ko) * 1997-10-07 1999-05-06 송호영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20010030442A (ko) * 1999-09-21 2001-04-16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31B1 (ko) * 2006-01-26 2007-01-0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EP3284444B1 (en) * 2015-04-15 2022-09-07 M.I.Tech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29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8923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KR100664531B1 (ko)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39;s lumen
KR100455975B1 (ko) 팽창 가능한 스텐트
JP5061181B2 (ja) 動脈瘤を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DE60019788T2 (de) Mehrteiliger faserartiger endoluminaler stent
US8671815B2 (en) Self-expanding pseudo-braided intravascular device
CN104411256A (zh) 动脉瘤治疗线圈
KR20170084214A (ko) 스텐트 보철
KR101654861B1 (ko)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100424291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62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1109709B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CN113347948B (zh) 支架及其制作方法
WO2023032905A1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EP1542761B1 (en) A cylindrical stent
KR100240832B1 (ko)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101645629B1 (ko)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JP6985526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20040087492A (ko) 원통형 스텐트
KR20020072698A (ko) 복수조합으로 구성된 내강확장용 스텐트
JP2002355314A (ja) 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425

Effective date: 201607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20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21

Effective date: 201610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