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707A - 의료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707A
KR20210123707A KR1020200041195A KR20200041195A KR20210123707A KR 20210123707 A KR20210123707 A KR 20210123707A KR 1020200041195 A KR1020200041195 A KR 1020200041195A KR 20200041195 A KR20200041195 A KR 20200041195A KR 20210123707 A KR20210123707 A KR 2021012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jig
wire
pitche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506B1 (ko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욱 filed Critical 박성욱
Priority to KR102020004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5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와이어를 상하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 사이의 교차에 의해 동일한 형상의 셀이 반복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각 셀은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상기 지그의 축선 방향으로 직선으로 마련되는 평행사변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더라도 셀의 축방향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텐트의 삽입시술 과정에서 스텐트 딜리버리(Stent Deliver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삽입후 팽창되더라도 삽입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스텐트{Medical Stent}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경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시 축방향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텐트의 삽입시술 과정에서 스텐트 딜리버리(Stent Deliver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삽입 후 팽창되더라도 삽입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질병이나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하여 통로가 협착된 인체 내강의 환부를 원래의 상태로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다양한 구조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특정한 방법으로 감아서 둘레를 따라 피크부와 밸리부를 갖도록 형성한 원통 형상의 와이어 구조체와, 상기 와이어 구조체를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커버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고,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킬 수 있고, 이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팽창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종래 와이어 타입 스텐트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이 상호 지지하여 원통형 튜브 형상을 유지하도록 교차하는 2개의 와이어가 상하 연속으로 이루어지며 위 아래로 엇갈리게 엮어 마름모 상의 셀을 구성한다.
스텐트는 삽입 시술시 환부까지 스텐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텐트를 반경방향으로 압축하여 외경을 최소화하여 스텐트 딜리버리(Stent Delivery)의 내부에 삽입하고, 환부에서 스텐트 딜리버리를 제거하여 자연 팽창에 따라 원 형상으로 복원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텐트는 셀 형상이 대개 마름모 형상으로 마련되어 반경방향의 압축시 각 셀의 축방향 길이 변화가 크므로, 그만큼 스텐트 딜리버리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무엇보다 환부에서 스텐트의 길이가 축소되면서 위치가 변하게 되어 정확한 환부위치에의 안착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2023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경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더라도 셀의 축방향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텐트의 삽입시술 과정에서 스텐트 딜리버리(Stent Deliver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삽입 후 팽창되더라도 삽입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와이어를 상하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 사이의 교차에 의해 동일한 형상의 셀이 반복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각 셀은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상기 지그의 축선 방향으로 직선으로 마련되는 평행사변형으로 마련되는 의료용 스텐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은 제1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상단의 제1시작점에서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증가 및 2 수직피치(Pv) 하강 후, 1 수직피치(Pv) 상승을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제1패턴과, 상기 지그의 최하단에서 상기 제1와이어가 1 수직피치(Pv) 상승 후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1 수평피치(Ph) 증가 및 1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1패턴의 상기 제1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2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2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이동되는 각 수평피치(Ph) 및 수직피치(Pv)를 동일한 비율의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셀의 크기 변경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제1셀과, 제2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제2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은 설정된 수평피치(Ph) 만큼 좌우로 교차되며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셀은,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상단의 상기 제1시작점에서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4 수평피치(Ph) 증가 및 4 수직피치(Pv) 하강 후, 2 수직피치(Pv) 상승을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지그의 최하단에서 상기 제1와이어가 2 수직피치(Pv) 상승 후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및 2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1패턴의 상기 제1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4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2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셀은, 제2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하단의 상기 제1와이어가 경유하지 않은 제2시작점에서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4 수평피치(Ph) 감소 및 4 수직피치(Pv) 상승 후, 2 수직피치(Pv) 하강을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3패턴과, 상기 지그 최상단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2 수직피치(Pv) 하강 후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감소 및 2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3패턴의 상기 제2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4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제4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텐트는 반경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더라도 셀의 축방향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텐트의 삽입시술 과정에서 스텐트 딜리버리(Stent Deliver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삽입후 팽창되더라도 삽입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는, 용도에 따라 셀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반경방향 저항력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셀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의료용 스텐트는, 복수의 셀이 설정된 피치만큼 교차하여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각 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제조상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셀을 교차함으로써 반경방향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의료용 스텐트의 셀 요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패턴형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패턴형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의 패턴형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 제작을 위한 지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지그(100)의 원주면을 따라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와이어를 상하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 사이의 교차에 의해 동일한 형상의 셀(C)이 반복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셀(C)은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지그(100)의 축선 방향으로 직선으로 마련되는 평행사변형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C)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축방향으로 직선으로 마련되는 한 5각형 또는 6각형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축방향으로 직선이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은 직선이외에 원호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의 패턴 형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제1와이어(W1)가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으로 제1셀(C1)을 형성한다.
제1와이어(W1)는 지그(100) 최상단의 제1시작점(x1, y1)에서 시작되어 최하단(x1, y22)까지는 제1패턴(P1)으로 진행한 후, 이후 최상단(y1)을 향하여 제2패턴(P2)으로 진행한다.
제1패턴(P1)은, 제1와이어(W1)가 제1시작점(x1, y1)에서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증가 및 2 수직피치(Pv) 하강 후, 1 수직피치(Pv) 상승을 지그(100)의 최하단(y22)까지 진행한다.
이하에서, 상기 수평피치(Ph) 및 수직피치(Pv)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패턴(P2)은 제1와이어(W1)가 지그(100)의 최하단(y22)에 도달한 후 1 수직피치(Pv) 상승(x1, y22) 후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1 수평피치(Ph) 증가 및 1 수직피치(Pv) 하강 (x2, y22)를 반복하다가 제1패턴(P1)의 제1와이어와 중복(즉, (x10,y21)에서 (ㅌ1,y22)로 대각선으로 하강하는 지점이 중복됨)되기 전 지점(x10,y22)에서 2 수직피치(Pv) 상승(즉, (x10, y20)으로 상승)을 반복하면서 1칸씩 제1셀(C1)을 형성하며 지그(100)의 최상단(y1)까지 진행한다.
이후, 제1와이어(W1)는 y20 과 y21사이를 1 상승 및 1 대각선 하강을 반복하다가 (x8,y21)에서 2 수직피치(Pv)만큼 상승하여 제2패턴(P2)을 계속 수행한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에 의해 형성되는 제1셀(C1)은 1 수평피치(Ph)의 폭과 2 수직피치(Pv)의 길이를 가지며, 한 쌍의 변(C1-1, C1-3)이 지그(100)의 축선 방향(a)으로 직선으로 마련된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반경방향(r)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더라도 셀의 축방향 길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제1패턴(P1) 및 제2패턴(P2)은 이동되는 각 수평피치(Ph) 및 수직피치(Pv)를 동일한 비율의 배수로 증가시켜 셀(C)의 크기 변경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의 패턴도로서,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패턴(P1) 및 제2패턴(P2)의 이동 피치 비율은 고정된 채로, 이동 비율을 2 배수로 증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제1실시예(도 3)에서 제1패턴(P1)이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증가 및 2 수직피치(Pv) 하강 후, 1 수직피치(Pv) 상승하였다면, 제2실시예에서는 2 배인, 4 수평피치(Ph) 증가 및 4 수직피치(Pv) 하강 후 2 수직피치(Pv) 상승하는 패턴을 반복하게 된다. 제2패턴(P2)의 경우에도 제1패턴(P1)의 2배수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패턴(P)의 이동 피치 비율은 고정한 채로 이동 비율을 변경하여 셀(C)의 크기를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비율은 3 배수 이상의 다양한 배수로 조절이 가능하며, 수직피치(Pv) 및 수평피치(Ph)의 절대 길이 또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이를 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셀(C)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같이 셀(C)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 셀(C)이 촘촘하게 형성되므로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와이어가 소모되고 작업시간이 늘어나지만 반경방향으로의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스텐트(1)의 용도에 따라 반경방향 저항력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의 셀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복수의 와이어(W)를 이용하여 복수의 셀(C)을 형성하고, 형성된 각 셀이 설정된 피치로 교차되며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셀(C1) 및 제2셀(C2)이 1 수평피치(Ph) 만큼 좌우로 교차되며 마련되는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교차되는 수평피치(Ph)는 2 수평피치(Ph) 또는 3 수평피치(Ph)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수평교차는 물론 수직으로 교차되거나, 수평 또는 수직이 동시에 (예를 들어, 1 수평피치(Ph) 및 1 수평피치(Ph)로 교차) 교차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를 설명한다.
도 5에서, 제1셀(C1)의 형성방법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며, 제2셀(C2)의 형성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2셀(C2)은 제2와이어(W2)를 이용하여 제3패턴(P3) 및 제4패턴(P4)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패턴(P3)은, 제2와이어(W2)가 지그(100) 최하단(y22)에서 제1와이어(W1)가 경유하지 않은 제2시작점(x8, y21)에서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4 수평피치(Ph) 감소 및 4 수직피치(Pv) 상승(즉, (x4, y17)로 이동) 후, 2 수직피치(Pv) 하강(x4, y19)을 지그(100) 최상단(y1)까지 반복한다.
제4패턴(P4)은, 제2와이어(W2)가 지그(100)의 최상단(x10, y1)까지 제3패턴(P3)으로 도달한 후, 2 수직피치(Pv) 하강(x10, y3)하고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감소 및 2 수직피치(Pv) 상승 (즉, (x8, y1)으로 이동)을 반복하다가, 제3패턴(P3)의 제2와이어(W2)와 중복되기 전 지점(x4, y1)에서 4 수직피치(Pv) 하강(x4, y5)을 반복하여 지그(100)의 최하단까지 반복형성된다.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셀(C1)은 제1와이어(W1)에 의해서 생성된 것이고, 제2셀(C2)은 제2와이어(W2)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각 셀(C1, C2)는 1 수평피치(Ph) 만큼 좌우로 교차되어 생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스텐트(1)는, 복수의 셀(C)이 설정된 피치만큼 교차하여 생성됨으로써 각 셀(C)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제조상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셀(C)을 교차하여 형성함으로써 반경방향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 의료용 스텐트
W : 와이어 W1 : 제1와이어
W2 : 제2와이어
C : 셀
C1 : 제1셀 C2: 제2셀
C1-1, C1-2. C1-3. C1-4 : 셀의 각 변
P : 패턴
P1 : 제1패턴 P2 : 제2패턴
P3 : 제3패턴 P4 : 제4패턴
100 : 지그

Claims (5)

  1.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와이어를 상하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 사이의 교차에 의해 동일한 형상의 셀이 반복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각 셀은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상기 지그의 축선 방향으로 직선으로 마련되는 평행사변형으로 마련되는 의료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제1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상단의 제1시작점에서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증가 및 2 수직피치(Pv) 하강 후, 1 수직피치(Pv) 상승을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제1패턴과, 상기 지그의 최하단에서 상기 제1와이어가 1 수직피치(Pv) 상승 후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1 수평피치(Ph) 증가 및 1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1패턴의 상기 제1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2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2패턴으로 마련되는 의료용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이동되는 각 수평피치(Ph) 및 수직피치(Pv)를 동일한 비율의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셀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의료용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제1셀과, 제2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제2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은 설정된 수평피치(Ph) 만큼 좌우로 교차되며 마련되는 의료용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은,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상단의 상기 제1시작점에서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4 수평피치(Ph) 증가 및 4 수직피치(Pv) 하강 후, 2 수직피치(Pv) 상승을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지그의 최하단에서 상기 제1와이어가 2 수직피치(Pv) 상승 후 우측 하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및 2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1패턴의 상기 제1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4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2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셀은, 제2와이어가 상기 지그 최하단의 상기 제1와이어가 경유하지 않은 제2시작점에서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4 수평피치(Ph) 감소 및 4 수직피치(Pv) 상승 후, 2 수직피치(Pv) 하강을 상기 지그 최상단까지 반복하는 제3패턴과, 상기 지그 최상단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2 수직피치(Pv) 하강 후 좌측 상방 대각선으로 2 수평피치(Ph) 감소 및 2 수직피치(Pv) 상승을 반복하다가 상기 제3패턴의 상기 제2와이어와 중복되기 전 지점에서 4 수직피치(Pv) 하강을 반복하여 상기 지그 최하단까지 반복하는 제4패턴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스텐트.
KR1020200041195A 2020-04-03 2020-04-03 의료용 스텐트 KR10239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95A KR102395506B1 (ko) 2020-04-03 2020-04-03 의료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95A KR102395506B1 (ko) 2020-04-03 2020-04-03 의료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707A true KR20210123707A (ko) 2021-10-14
KR102395506B1 KR102395506B1 (ko) 2022-05-06

Family

ID=7815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195A KR102395506B1 (ko) 2020-04-03 2020-04-03 의료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5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312A (ja) * 1997-04-11 1998-10-27 Ube Ind Ltd ステント
KR100320239B1 (ko) 1998-12-28 2002-05-13 김서곤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JP2003088591A (ja) * 2001-09-19 2003-03-25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KR20170047896A (ko)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스텐트
KR20170095574A (ko) * 2016-02-15 2017-08-23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312A (ja) * 1997-04-11 1998-10-27 Ube Ind Ltd ステント
KR100320239B1 (ko) 1998-12-28 2002-05-13 김서곤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JP2003088591A (ja) * 2001-09-19 2003-03-25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KR20170047896A (ko)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스텐트
KR20170095574A (ko) * 2016-02-15 2017-08-23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506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918B2 (ja) ステント製造方法
KR100664531B1 (ko)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5777012B2 (ja)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JP6791974B2 (ja)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
CN107736908A (zh) 用于连接的支架
US20090149943A1 (en) Flexible stent
KR102395506B1 (ko) 의료용 스텐트
KR101713648B1 (ko) 스텐트 제조방법
KR102264476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9709B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01631491B1 (ko) 스텐트 제조방법
KR102260848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N106044527A (zh) 提升软管和操作设备
US20040167608A1 (en) Medical tube-like stent
KR20010085754A (ko) 변압기 코어
JP7326336B2 (ja) インプラント可能なデバイスのための拡張部材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2438975B1 (ko)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6385A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46964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20020072698A (ko) 복수조합으로 구성된 내강확장용 스텐트
JP2020033883A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170108380A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