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964B1 - 스텐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964B1
KR102046964B1 KR1020190011055A KR20190011055A KR102046964B1 KR 102046964 B1 KR102046964 B1 KR 102046964B1 KR 1020190011055 A KR1020190011055 A KR 1020190011055A KR 20190011055 A KR20190011055 A KR 20190011055A KR 102046964 B1 KR102046964 B1 KR 102046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ire
stent
moves
diago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일균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석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Priority to KR102019001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스텐트 제조 방법은 복수의 행과 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행과 열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지그를 이용하되, 상기 지그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교차점과 교차점 간의 거리를 L로 정의한 상기 지그의 외주면을 따라서 와이어를 감아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피크와 밸리를 갖는 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제1스텐트를 만드는 제1스텐트 제조 단계; 및 제2와이어를 이용하여 제2스텐트를 만들되,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제1스텐트에 결합시켜 상기 제1스텐트 및 제2스텐트가 결합된 하나의 스텐트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2스텐트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1스텐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상에는 피크와 밸리가 고리 형태로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경계선 상에 복수개의 제2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체내의 협착 부위에 삽입되면 협착된 부위를 본래의 크기로 확장시켜 장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의료기기로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스텐트의 제조시, 원통 형태의 지그의 외주면 상에 와이어를 감되, 특정한 패턴으로 와이어를 절곡시켜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864호에는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반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체의 원주와 길이를 각각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들과 길이분할선들이 교차하는 모든 교차점에 각각 돌출핀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제조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텐트 제조시, 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된 피크와 밸리가 서로 엮여서 만들어진 후크(hook)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스텐트의 래디얼 포스(radial force)가 커져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생기므로 스텐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스텐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후크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스텐트의 두께가 두꺼워져 스텐트 삽입기구(일 예로, 카테터) 내에 스텐트를 장착하기가 까다롭고,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피로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텐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외력에 의해 스텐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스텐트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스텐트 삽입기구에 의한 스텐트의 설치가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스텐트 제조 방법은 복수의 행과 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행과 열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지그를 이용하되, 상기 지그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교차점과 교차점 간의 거리를 L로 정의한 상기 지그의 외주면을 따라서 와이어를 감아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피크와 밸리를 갖는 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제1스텐트를 만드는 제1스텐트 제조 단계; 및 제2와이어를 이용하여 제2스텐트를 만들되,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제1스텐트에 결합시켜 상기 제1스텐트 및 제2스텐트가 결합된 하나의 스텐트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2스텐트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1스텐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상에는 피크와 밸리가 고리 형태로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경계선 상에 복수개의 제2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후크에 의해 형성된 간격 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패턴을 형성하는 1-A단계; 상기 제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2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패턴의 밸리와 상기 제2패턴의 피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하나 배치되는 1-B단계; 상기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3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3패턴의 피크와 상기 제1패턴의 밸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하나 배치되는 1-C단계; 상기 제1패턴 또는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4패턴을 형성하는 1-D단계; 상기 제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5패턴을 형성하는 1-E단계; 및 상기 제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6패턴을 형성하는 1-F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1-A단계에서,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B단계에서,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C단계에서, 상기 제3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D단계에서, 상기 제4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E단계에서, 상기 제5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F단계에서, 상기 제6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7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7패턴에서 형성된 두개의 밸리가 상기 제5패턴과 제6패턴의 피크와 각각 만나서 제1후크를 형성하는 1-G단계; 상기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8패턴을 형성하는 1-H단계; 상기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8패턴과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제9패턴을 형성하는 1-I단계; 및 상기 제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0패턴을 형성하는 1-J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1-G단계에서, 상기 제7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L만큼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H단계에서, 상기 제8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I단계에서, 상기 제9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J단계에서, 상기 제10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1패턴을 형성하는 2-A단계; 상기 제1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2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1패턴의 밸리와 상기 제12패턴의 피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2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배치되는 2-B단계; 상기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3패턴을 형성하는 2-C단계; 상기 제11패턴 또는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4패턴을 형성하는 2-D단계; 상기 제1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5패턴을 형성하는 2-E단계; 및 상기 제1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6패턴을 형성하는 2-F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A단계에서, 상기 제11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에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B단계에서, 상기 제12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C단계에서, 상기 제13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뒤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D단계에서, 상기 제14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뒤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E단계에서, 상기 제15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다음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F단계에서, 상기 제16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7패턴을 형성하는 2-G단계; 상기 제1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8패턴을 형성하는 2-H단계; 상기 제18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9패턴을 형성하는 2-I단계; 및 상기 제1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20패턴을 형성하는 2-J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G단계에서, 상기 제17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H단계에서, 상기 제18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I단계에서, 상기 제19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J단계에서, 상기 제20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2스텐트를 만드는 과정 중에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1와이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타고 넘는 형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스텐트 및 제2스텐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제1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제1패턴 내지 제10패턴과 제2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제11패턴 내지 제20패턴에 의해 몸체부와 헤드부의 경계선 상에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경계선을 제외한 헤드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별도의 후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헤드부의 직경을 몸체부보다 확장시켜 제조하는 과정이 용이하며, 직경이 확장된 헤드부는 스텐트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스텐트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와 헤드부의 경계선 상에는 복수개의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총 8개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로 인해 경계선 상에 위치한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래디얼 포스가 증가하여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게 발생함에 따라, 스텐트가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의 몸체부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 영역이 형성되므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피로수명을 연장시켜 스텐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스텐트의 두께를 얇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직경이 미세한 스텐트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텐트 제조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텐트 제조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턴 내지 제6패턴이 지그 위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7패턴 내지 제10패턴이 지그 위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턴 내지 제10패턴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1패턴 내지 제16패턴이 지그 위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7패턴 내지 제20패턴이 지그 위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1패턴 내지 제20패턴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턴 내지 제20패턴이 지그 위에서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4 내지 도10은 설명의 편의상 원통 형상인 지그를 2차원 평면으로 전개한 도면이다.
1. 제1스텐트 제조 단계<S101>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피크와 밸리를 갖는 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제1스텐트(110)를 만들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행과 열을 가지며, 복수의 행과 열이 교차되는 교차점(C)에 고정핀(P)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지그(300)를 이용하되, 지그(3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와이어를 감아 스텐트(1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그(300)의 행은 지그(300)의 수평방향(즉, 좌우방향)을 의미하며, 지그(300)의 열은 지그(300)의 수직방향(즉,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지그(30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행과 열에 의해 교차되는 복수의 교차점(C)이 존재하며, 지그(300)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교차점(C)과 교차점(C) 간의 거리는 L로 정의한다. 즉, 1L은 복수의 행과 열에 의해 구획된 사각형 한 칸의 대각선 길이를 의미한다.
본 단계에서 제조되는 제1스텐트(1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11)의 상단에는 상부 헤드부(112)가 형성되고, 몸체부(111)의 하단에는 하부 헤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단계는 1-A단계, 1-B단계, 1-C단계, 1-D단계, 1-E단계, 1-F단계, 1-G단계, 1-H단계, 1-I단계 및 1-J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에서 하 방향으로 제1패턴 내지 제6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하에서 상 방향으로 제7패턴 내지 제10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 만들어진 헤드부(112, 113)와 몸체부(111)의 경계선 상에는 제1와이어(100)의 피크와 밸리가 고리 형태로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121, 123, 125, 127, 131, 133, 135, 137)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크는 와이어의 아래에 고정핀(P)을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절곡시켜 ∧자 형태로 만든 부위를 의미하며, 밸리는 와이어의 위에 고정핀(P)을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절곡시켜 ∨자 형태로 만든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후크는 제1와이어(100)에 형성된 임의의 피크와 밸리가 서로 엮이면서 고리형태로 형성된 지점을 의미한다.
참고로, 도4에서는 각 피크와 밸리마다 고정핀(P)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었으나,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x1,y1)지점과 (x1,y11)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위치한 고정핀은 도시하지 않았고, 도5 내지 도10에는 제1와이어(100) 또는 제2와이어(200)의 절곡된 부분(즉, 피크 또는 밸리)에 위치하는 고정핀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1-1. 1-A단계<S1011>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1패턴은 시작점(x1,y1)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4에서 파란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1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시작점(x1,y1)에서 시작하여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9,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2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7,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되 (x5,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며, 2L만큼 다시 이동하여 (x3, 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2L만큼 아래로 이동하여 (x1, y3)지점에서 제1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패턴 중 (x9,y3)지점에 형성된 밸리는 후술될 제3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되는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고리형태로 제1후크(127)를 형성하게 된다.
1-2. 1-B단계<S1012>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2패턴을 형성하되, 제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2패턴이 제1패턴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1패턴의 밸리 중 하나와 제2패턴의 피크 중 하나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제1경계선(400) 상에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계선(400)은 상부 헤드부(112)와 몸체부(111)를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서, (x1,y3)지점과 (x10,y3)지점을 잇는 선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2패턴은 (x1,y3)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4에서 빨간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2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3)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9,y5)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2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7,y3)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L만큼 이동하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x6,y4)지점과 (x4,y4)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x5,y3)지점과 (x3,y3)지점에서는 피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2L만큼 아래로 이동하여 (x1, y5)지점에서 제2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2패턴 중 (x5,y3)지점에 형성된 피크는 제1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된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1후크(123)를 형성한다.
1-3. 1-C단계<S1013>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3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3패턴의 피크 중 하나와 제1패턴의 밸리 중 하나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제1경계선(400) 상에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3패턴은 (x1,y5)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4에서 연두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3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5)지점에서 왼쪽 위로 2L만큼 이동하며 (x9,y3)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3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6,y6)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4)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1,y7)지점에서 제3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3패턴 중 (x9,y3)지점에 형성된 피크가 제1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된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1후크(127)를 형성하고, (x4,y4)지점에서 제3패턴의 피크와 제2패턴의 밸리가 서로 엮여 제1후크를 형성한다.
한편, 제1와이어(100)는 각 패턴을 형성하면서 제1후크를 형성할 수 있고, 각 패턴을 구성하는 일부의 와이어들이 단순히 교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 제3패턴을 구성하는 와이어 중 일부는 제2패턴을 구성하는 와이어 중 일부와 단순 교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x8,y4)지점과 (x10,y4)지점에서는 와이어가 서로 엮이지 않고 단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4. 1-D단계<S1014>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1패턴 또는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4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4패턴은 (x1,y7)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4에서 파란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4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7)지점에서 왼쪽 위로 2L만큼 이동하며 (x9,y6)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3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6,y8)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6)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1,y9)지점에서 제4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4패턴 중 (x9,y5)지점에서 형성된 제4패턴의 피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2패턴의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1후크를 형성한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제4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스텐트(10)의 상하방향으로 스텐트(1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1-5. 1-E단계<S1015>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5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5패턴은 (x1,y9)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4에서 빨간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5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9)지점에서 왼쪽 위로 2L만큼 이동하며 (x9,y7)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4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5,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3,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1,y11)지점에서 제5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1-6. 1-F단계<S1016>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6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6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6패턴은 (x1,y11)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4에서 연두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6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11)지점에서 왼쪽 위로 2L만큼 이동하며 (x9,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2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7,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3,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1,y9)지점에서 제6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1-7. 1-G단계<S1017>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7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7패턴 중 두 개의 밸리는 제5패턴과 제6패턴의 피크와 각각 만나서 제1후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7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L만큼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7패턴은 (x1,y9)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5에서 파란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7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9)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9,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6,y8)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5,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4,y8)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3,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1,y7)지점에서 제7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7패턴 중 (x3,y9)지점과 (x5,y9)지점에서 형성된 제7패턴의 밸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5패턴과 제6패턴의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제1후크(133, 135)를 형성한다. 즉, 본 단계에서는 제2경계선(500) 상에 두 개의 제1후크(133, 13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경계선(500)은 하부 헤드부(113)와 몸체부(111)를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서, (x1,y9)지점과 (x10,y9)지점을 잇는 선을 의미한다.
1-8. 1-H단계<S1018>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8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8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8패턴은 (x1,y7)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5에서 빨간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8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7)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9,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6,y6)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8)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1,y5)지점에서 제8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8패턴 중 (x4,y8)지점에서 형성된 밸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7패턴의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제1후크를 형성한다.
1-9. 1-I단계<S1019>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8패턴과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제9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9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9패턴은 (x1,y5)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5에서 연두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9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5)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9,y7)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6,y4)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6)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1,y3)지점에서 제9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제9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스텐트(10)의 상하방향으로 스텐트(1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시, 제9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계 S1014에서 형성된 제4패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9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1-10. 1-J단계<S1020>
본 단계에서는 제1와이어(100)를 제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0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0패턴은 제1와이어(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10패턴은 (x1,y3)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5에서 빨간색의 ⓙ로 표기한 부분이 제10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00)는 (x1,y3)지점에서 왼쪽 위로 2L만큼 이동하며 (x9,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1와이어(100)는 2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7,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3,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제1와이어(100)의 최초 시작점인 (x1,y1)지점에서 제10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x1,y1)지점에서 만나는 제1와이어(100)의 일 끝단과 타 끝단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턴 내지 제10패턴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1경계선(400) 상에 제1후크(121, 123, 125, 127)가 4개 형성되고, 제2경계선(500) 상에 제1후크(131, 133, 135, 137)가 4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경계선(400)과 제2경계선(500)을 제외한 몸통부의 영역에는 제1후크가 10개 형성된다.
2. 제2스텐트 제조 단계<S102>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제2스텐트(210)를 만들되, 제2스텐트(210)를 제1스텐트(110)에 결합시켜 제1스텐트(110) 및 제2스텐트(210)가 결합된 하나의 스텐트(10)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 제2와이어(200)가 제2스텐트(210)를 만드는 과정 중에 제2와이어(200)가 제1와이어(100)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타고 넘는 형태로 이동함에 따라, 제1스텐트(110) 및 제2스텐트(2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조되는 제2스텐트(2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211)의 상단에는 상부 헤드부(212)가 형성되고, 몸체부(211)의 하단에는 하부 헤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단계는 2-A단계, 2-B단계, 2-C단계, 2-D단계, 2-E단계, 2-F단계, 2-G단계, 2-H단계, 2-I단계 및 2-J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에서 하 방향으로 제11패턴 내지 제16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하에서 상 방향으로 제17패턴 내지 제20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 만들어진 헤드부(212, 213)와 몸체부(211)의 경계선 상에 제2와이어(200)의 피크와 밸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2후크(122, 124, 126, 128, 132, 134, 136, 138)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후크는 제2와이어(200)에 형성된 임의의 피크와 밸리가 서로 엮이면서 고리형태로 형성된 지점을 의미한다.
2-1. 2-A단계<S3011>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1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1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에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1패턴은 시작점(x2,y1)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7에서 파란색의 ①로 표기한 부분이 제11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시작점(x2,y1)에서 시작하여 왼쪽 아래로 2L만큼 이동하며 (x10,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2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8,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동일한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되 (x6,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며, 2L만큼 다시 위로 이동하여 (x4, 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3L만큼 아래로 이동하여 (x1, y4)지점에서 제11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패턴 중 (x6,y3)지점과 (x10,y3)지점에 형성된 밸리는 후술될 제12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되는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고리형태로 제2후크(124, 128)를 두 개 형성하게 된다.
2-2. 2-B단계<S3012>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2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12패턴이 제11패턴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12패턴의 피크 두 개와 제11패턴의 밸리 두 개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2후크가 제1경계선(400) 상에 두 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2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2패턴은 (x1,y4)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4에서 빨간색의 ②로 표기한 부분이 제12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4)지점에서 왼쪽 위로 L만큼 이동하며 (x10,y3)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9,y4)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L만큼 이동하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x8,y3)지점, (x6,y3)지점, (x4,y3)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x7,y4)지점과 (x5,y4)지점에서는 밸리를 형성한다. (x4,y3)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2,y5)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 후에 왼쪽 위로 이동하며 (x1,y4)지점에서 제12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2패턴 중 (x1,y4)지점에 형성된 피크는 제11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된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를 형성하며, 제12패턴의 (x5,y4)지점과 (x9,y4)지점에 형성된 밸리는 후술될 제13패턴의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를 형성한다.
2-3. 2-C단계<S3013>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3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3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뒤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3패턴은 (x1,y4)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7에서 연두색의 ③으로 표기한 부분이 제13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4)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L만큼 이동하며 (x10,y5)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9,y4)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7,y6)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4)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2,y7)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6)지점에서 제13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3패턴 중 (x5,y4)지점과 (x9,y4)지점에 형성된 피크가 제12패턴의 동일 지점에 형성된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를 형성하고, (x10,y5)지점에서 제13패턴의 밸리와 제14패턴의 피크가 서로 엮여 제2후크를 형성한다.
한편, 제2와이어(200)는 각 패턴을 형성하면서 제2후크를 형성할 수 있고, 각 패턴을 구성하는 일부의 와이어들이 단순히 교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 제13패턴을 구성하는 와이어 중 일부는 후술될 제19패턴을 구성하는 와이어 중 일부와 단순 교차될 수 있다.
2-4. 2-D단계<S3014>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1패턴 또는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4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4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뒤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4패턴은 (x1,y6)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7에서 파란색의 ④로 표기한 부분이 제14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6)지점에서 왼쪽 위로 L만큼 이동하며 (x10,y5)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3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7,y8)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6)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2,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8)지점에서 제14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4패턴 중 (x10,y5)지점에서 형성된 제14패턴의 피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13패턴의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를 형성한다. 또한, (x2,y9)지점에서 형성된 제14패턴의 밸리는 후술될 제16패턴의 피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132)를 형성한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제14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스텐트(10)의 상하방향으로 스텐트(1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2-5. 2-E단계<S3015>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5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5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다음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5패턴은 (x1,y8)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7에서 빨간색의 ⑤로 표기한 부분이 제15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8)지점에서 왼쪽 위로 L만큼 이동하며 (x10,y7)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4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6,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2,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10)지점에서 제15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2-6. 2-F단계<S3016>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6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6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6패턴은 (x1,y10)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7에서 연두색의 ⑥으로 표기한 부분이 제16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10)지점에서 왼쪽 위로 L만큼 이동하며 (x10,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2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8,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6,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2,y9)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10)지점에서 제16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제16패턴 중 (x2,y9)지점에서 형성된 제16패턴의 피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14패턴의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132)를 형성한다.
2-7. 2-G단계<S3017>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7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7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17패턴은 (x1,y10)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8에서 노란색의 ⑦로 표기한 부분이 제17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10)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L만큼 이동하며 (x10,y11)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7,y8)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6,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5,y8)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4,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2,y7)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에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8)지점에서 제17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그리고, (x5,y8)지점에서 형성된 제17패턴의 피크는 동일 지점에서 형성된 제18패턴의 밸리와 서로 엮이면서 제2후크를 형성한다.
2-8. 2-H단계<S3018>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8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8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18패턴은 (x1,y8)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8에서 빨간색의 ⑧로 표기한 부분이 제18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8)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L만큼 이동하며 (x10,y9)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7,y6)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8)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이동하여 (x2,y5)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뒤에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하여 (x1,y6)지점에서 제18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제18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스텐트(10)의 상하방향으로 스텐트(1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시, 제18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계 S3014에서 형성된 제14패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18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2-9. 2-I단계<S3019>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8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9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9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19패턴은 (x1,y6)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8에서 노란색의 ⑨로 표기한 부분이 제19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6)지점에서 왼쪽 아래로 L만큼 이동하며 (x10,y7)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3L만큼 왼쪽 위로 이동하며 (x7,y4)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5,y6)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4L만큼 이동하여 (x1,y2)지점에서 제19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2-10. 2-J단계<S3020>
본 단계에서는 제2와이어(200)를 제1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20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0패턴은 제2와이어(200)를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20패턴은 (x1,y2)지점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한다. 도8에서 연두색의 ⑩으로 표기한 부분이 제20패턴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200)는 (x1,y2)지점에서 왼쪽 위로 L만큼 이동하며 (x10,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한다. 다시, 제2와이어(200)는 2L만큼 왼쪽 아래로 이동하며 (x8,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그 후,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6,y1)지점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다시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x4,y3)지점에서 밸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하여 제2와이어(200)의 최초 시작점인 (x2,y1)지점에서 제20패턴의 형성이 종료된다. (x2,y1)지점에서 만나는 제2와이어(200)의 일 끝단과 타 끝단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1패턴 내지 제20패턴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1경계선(400) 상에 제2후크(122, 124, 126, 128)가 4개 형성되고, 제2경계선(500) 상에 제2후크(132, 134, 136, 138)가 4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경계선(400)과 제2경계선(500)을 제외한 몸통부(211)의 나머지 영역에는 제2후크가 12개 형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턴 내지 제20패턴이 지그(300) 위에서 모두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경계선(400) 상에 제1후크(121, 123, 125, 127)와 제2후크(122, 124, 126, 128)가 총 8개 형성된다. 또한, 제2경계선(500) 상에 제1후크(131, 133, 135, 137)와 제2후크(122, 124, 126, 128)가 총 8개가 형성된다. 즉, 제1경계선(400)과 제2경계선(500) 상에는 수평방향(즉,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제1후크(121, 123, 125, 127, 131, 133, 135, 137)와 제2후크(122, 124, 126, 128, 132, 134, 136, 138)가 형성됨에 따라, 제1경계선(400)과 제2경계선(500)에 위치한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의 래디얼 포스가 증가하여 외력에 매우 강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가 체내의 협착 부위에 설치될 경우, 제1경계선(400)과 제2경계선(5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후크 및 제2후크로 인해 스텐트(10)의 직경이 쉽게 축소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즉, 스텐트(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외력에 의해 스텐트(10)가 변형될 우려가 적고, 스텐트(10)가 최초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으므로 체내의 협착 부위에서 스텐트(10)가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제2후크는 제1후크에 의해 형성된 간격 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경계선(400) 상에서 제1후크(121)와 제1후크 사이(123)에는 제2후크(122)가 배치되고, 제1후크(123)와 제1후크(125) 사이에는 제2후크(124)가 배치되며, 제1후크(125)와 제1후크(127) 사이에는 제2후크(1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경계선(400) 상에는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서로 번갈아가며 총 8개가 배치되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경계선(400) 상에는 제1후크(121), 제2후크(122), 제1후크(123), 제2후크(124), 제1후크(125), 제2후크(126), 제1후크(127) 및 제2후크(128)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경계선(400) 상에서 제1후크와 제2후크가 동일한 간격으로 총 8개가 배치되므로 제1경계선(400) 상에 위치한 와이어들의 래디얼 포스가 극대화되어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갖는다.
또한, 제2경계선(500) 상에는 제1후크(137), 제2후크(138), 제1후크(131), 제2후크(132), 제1후크(133), 제2후크(134), 제1후크(135) 및 제2후크(136)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경계선(400)과 마찬가지로, 제2경계선(500) 상에서 제1후크와 제2후크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총 8개가 배치되므로 제2경계선(500) 상에 위치한 와이어들의 래디얼 포스가 극대화되어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갖게 된다.
한편, 몸체부(111, 211)의 일부 영역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형성되지 않는 공백영역(610, 620, 630, 640, 650, 66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3,y5)지점에서 (x8,y5)지점을 잇는 선 상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형성되지 않는 공백영역(610)이 형성되고, (x1,y6)지점에서 (x3,y6)지점을 잇는 선 상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형성되지 않는 공백영역(620)이 형성된다. 또한, (x8,y6)지점에서 (x10,y6)지점을 잇는 선 상, (x3,y7)지점에서 (x8,y7)지점을 잇는 선 상, (x1,y8)지점에서 (x3,y8)지점을 잇는 선 상, (x8,y8)지점에서 (x10,y8)지점을 잇는 선 상에서 공백영역(630, 640, 650, 66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1, 211)의 일부 영역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형성되지 않는 공백영역(610, 620, 630, 640, 650, 660)이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111, 211)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스텐트(10)가 직경이 미세한 스텐트 삽입기구 내에 장착되는 것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은 제1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제1패턴 내지 제10패턴과 제2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제11패턴 내지 제20패턴에 의해 몸체부와 헤드부의 경계선 상에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경계선을 제외한 헤드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별도의 후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헤드부의 직경을 몸체부보다 확장시켜 제조하는 과정이 용이하며, 직경이 확장된 헤드부는 스텐트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스텐트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특별하게 형성된 제1패턴 내지 제20패턴에 의해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 상에 복수개의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총 8개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로 인해 경계선 위치에 있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래디얼 포스가 증가하여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게 발생함에 따라, 스텐트가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의 몸체부에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 영역이 형성되므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피로수명을 연장시켜 스텐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와이어로만 복수의 후크를 형성할 경우에는 와이어의 피로수명이 짧아져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각각 제1후크와 제2후크를 형성하게 되므로 와이어별로 후크가 형성되는 개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며, 각 와이어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와이어에 비해 후크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절하기가 수월하다.
아울러,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후크 또는 제2후크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스텐트의 두께를 얇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직경이 미세한 스텐트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스텐트
100 : 제1와이어
110 : 제1스텐트
111 : 몸체부
112 : 상부 헤드부
113 : 하부 헤드부
121, 123, 125, 127, 131, 133, 135, 137 : 제1후크
200 : 제2와이어
210 : 제2스텐트
211 : 몸체부
212 : 상부 헤드부
213 : 하부 헤드부
122, 124, 126, 128, 132, 134, 136, 138 : 제2후크
300 : 지그
C : 교차점
L : 지그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교차점과 교차점 간의 거리
P : 고정핀
400 : 제1경계선
500 : 제2경계선
610, 620, 630, 640, 650, 660 : 공백영역

Claims (11)

  1. 복수의 행과 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행과 열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지그를 이용하되, 상기 지그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교차점과 교차점 간의 거리를 L로 정의한 상기 지그의 외주면을 따라서 와이어를 감아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피크와 밸리를 갖는 패턴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제1스텐트를 만드는 제1스텐트 제조 단계; 및
    제2와이어를 이용하여 제2스텐트를 만들되, 상기 제2스텐트를 상기 제1스텐트에 결합시켜 상기 제1스텐트 및 제2스텐트가 결합된 하나의 스텐트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2스텐트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1스텐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상에는 피크와 밸리가 고리 형태로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경계선 상에 복수개의 제2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패턴을 형성하는 1-A단계;
    상기 제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2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패턴의 밸리와 상기 제2패턴의 피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하나 배치되는 1-B단계;
    상기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3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3패턴의 피크와 상기 제1패턴의 밸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1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하나 배치되는 1-C단계;
    상기 제1패턴 또는 제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4패턴을 형성하는 1-D단계;
    상기 제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5패턴을 형성하는 1-E단계; 및
    상기 제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6패턴을 형성하는 1-F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후크에 의해 형성된 간격 내에 하나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A단계에서,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B단계에서,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C단계에서, 상기 제3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D단계에서, 상기 제4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E단계에서, 상기 제5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F단계에서, 상기 제6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7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7패턴에서 형성된 두개의 밸리가 상기 제5패턴과 제6패턴의 피크와 각각 만나서 제1후크를 형성하는 1-G단계;
    상기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8패턴을 형성하는 1-H단계;
    상기 제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8패턴과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제9패턴을 형성하는 1-I단계; 및
    상기 제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0패턴을 형성하는 1-J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G단계에서, 상기 제7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L만큼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H단계에서, 상기 제8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I단계에서, 상기 제9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1-J단계에서, 상기 제10패턴은 상기 제1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1패턴을 형성하는 2-A단계;
    상기 제11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2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1패턴의 밸리와 상기 제12패턴의 피크가 서로 엮이면서 만들어진 제2후크가 상기 경계선 상에 배치되는 2-B단계;
    상기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3패턴을 형성하는 2-C단계;
    상기 제11패턴 또는 제12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4패턴을 형성하는 2-D단계;
    상기 제14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5패턴을 형성하는 2-E단계; 및
    상기 제15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6패턴을 형성하는 2-F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A단계에서, 상기 제11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에 대각선 방향으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B단계에서, 상기 제12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C단계에서, 상기 제13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후, 2L만큼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뒤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D단계에서, 상기 제14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뒤에 3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E단계에서, 상기 제15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다음에 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F단계에서, 상기 제16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는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키면서 제17패턴을 형성하는 2-G단계;
    상기 제17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8패턴을 형성하는 2-H단계;
    상기 제18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9패턴을 형성하는 2-I단계; 및
    상기 제19패턴과 다른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20패턴을 형성하는 2-J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G단계에서, 상기 제17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킨 뒤에 2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H단계에서, 상기 제18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L만큼 하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I단계에서, 상기 제19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3L만큼 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2L만큼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 4L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형성하고,
    상기 2-J단계에서, 상기 제20패턴은 상기 제2와이어를 L만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2L만큼 이동시키되 하부, 상부, 하부, 상부 방향의 순서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제조 단계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2스텐트를 만드는 과정 중에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1와이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타고 넘는 형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스텐트 및 제2스텐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190011055A 2019-01-29 2019-01-29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4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55A KR102046964B1 (ko) 2019-01-29 2019-01-29 스텐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55A KR102046964B1 (ko) 2019-01-29 2019-01-29 스텐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64B1 true KR102046964B1 (ko) 2019-11-21

Family

ID=6869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55A KR102046964B1 (ko) 2019-01-29 2019-01-29 스텐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0930A1 (en) * 2014-10-09 2016-04-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ancreatic stent with drainage feature
KR101616864B1 (ko) * 2014-09-01 2016-04-2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KR101713648B1 (ko) * 2014-12-15 2017-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1844892B1 (ko) * 2015-10-28 2018-04-04 광주과학기술원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864B1 (ko) * 2014-09-01 2016-04-2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US20160100930A1 (en) * 2014-10-09 2016-04-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ancreatic stent with drainage feature
KR101713648B1 (ko) * 2014-12-15 2017-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1844892B1 (ko) * 2015-10-28 2018-04-04 광주과학기술원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918B2 (ja) ステント製造方法
US20040094024A1 (en) Perforated braid with dual core yarns and braiding apparatus
US20130226282A1 (en) Stent 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tent wires and stents
KR102046964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EP1955429A1 (de) Gefaltete schleifenwicklung für einen ständer
KR102428729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3892372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とその製造装置
CA264224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 dimensional frame structure for use as a core structure in a sandwich construction and fram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by
US5511391A (en) Ornamental g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9963B1 (ko) 이탈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101713648B1 (ko) 스텐트 제조방법
JP2010058381A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とその製造方法
US201700148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lattice truss structure using flexible linear bodies
KR102660943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1970998A (zh) 编织结构、尤其支架以及用于编织编织结构的方法
JP3872264B2 (ja) フォトニッククリスタル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1631491B1 (ko) 스텐트 제조방법
TW200909629A (en) Plastic ratta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395506B1 (ko) 의료용 스텐트
JP2005319479A (ja) 異形断面コイルの製造方法
JPH02200854A (ja) 格子状三次元構造物の製造方法
KR102260848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6001056A1 (ja) 網戸用防虫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99963B1 (ko)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의 가설방법
JP2000176583A (ja) 斜め線格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