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648B1 - 스텐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648B1
KR101713648B1 KR1020140180573A KR20140180573A KR101713648B1 KR 101713648 B1 KR101713648 B1 KR 101713648B1 KR 1020140180573 A KR1020140180573 A KR 1020140180573A KR 20140180573 A KR20140180573 A KR 20140180573A KR 101713648 B1 KR101713648 B1 KR 10171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ire
moving
stent
di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51A (ko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장봉석
호 윤
정민영
문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18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6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2Stents in the form of a rolled-up sheet expanding after insertion into the vessel, e.g. with a spiral shape in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2개의 와이어를 동일 길이분할선 상의 다른 시작점에서 시작하여 상호 동일한 방식으로 절곡을 주어 엮음으로써, 구조적 유연성을 가진 패턴으로 마련되는 2개의 엮임구조가 하나의 스텐트로 마련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절곡을 주어 엮음으로써, 우수한 구조적 유연성 및 협착부위에서의 병변 성장에 의한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세밀한 셀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제조방법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 내 각종 기관들의 직경 확장을 통해 협착 부위의 추가 진행을 방지하고 체내 물질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조되는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마련되는 와이어를 일정한 방식으로 엮어서 교차하여 특정한 성질을 나타낸다.
스텐트가 설치되는 각종 기관 및 내강의 크기 및 성질, 환경에 따라 스텐트는 그 용도에 맞게 형성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제조 방법은 다양한 셀의 형태 및 엮기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스텐트는 내강의 확장을 통해 협착 방지 기능을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교차 구조가 견고하고 안정적이여야 하며, 쉽게 확장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단순한 원통형 구조가 아닌 다양하게 휘어있는 내강의 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밀착되어 협착 부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스텐트는 일정한 구조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438742호의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일정한 구조의 셀로 이루어진 스텐트 구조로 내강에 밀착되어 협착 부위의 확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스텐트 제조에 많은 와이어 재료가 필요 시 되고, 이렇게 형성된 스텐트들이 가변적으로 다양하게 굴곡되어 있는 많은 신체 내 내강에 설치되어질 경우, 유연성을 갖추지 못해 내강에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협착 부위에서 병변을 일으키거나 설치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은 내강의 구조에 따른 스텐트 외형의 변형, 즉 최초의 원통형의 스텐트 확장 형태로부터 굴곡진 형태로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협착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된 형태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와이어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엮어서 구조적 초유연성을 갖추며,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은,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C단계;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3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E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F단계; 및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4지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G단계;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H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E-1단계; 및 상기 E-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E-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E-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G-1단계; 및 상기 G-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G-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G-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1시작점 및 제2시작점은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한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이다.
아울러,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지점은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3지점은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D-1단계; 상기 D-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F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F-1단계; 상기 F-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F-2단계; 및 상기 F-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전환점에 위치시키는 F-3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H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H-1단계; 상기 H-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H-2단계; 및 상기 H-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시작점에 위치시키는 H-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각을 일정 방식으로 절곡시켜 엮음으로써 내측 및 외측 구조로 마련되는 스텐트는,
첫째, 높은 수준의 구조적 유연성을 가지고 신체 내 다양한 형태로 굴곡된 내강의 종류에 무관하게 내강 벽에 밀착하여 협착 부위를 밀어낼 수 있다.
둘째, 0에 가까운 수준의 축력(Axial force) 및 높은 수준의 팽창력(Radial force)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여 설치 후 오랜 시간 확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세밀한 구조의 셀을 가짐으로써 협착 부위에 발생한 병변의 증식에 의한 스텐트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 하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 상승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0 및 도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와이어 하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와이어 상승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트의 실물은 촬영한 사진이다.
도18 내지 도20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트에 대한 굽힘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21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5의 흐름도 및 도1 내지 도16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 내지 도9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 중 제1와이어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10 내지 도16은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 중 제1와이어의 진행 완료 후 제2와이어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점선은 기 진행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실선은 각 도면의 해당 단계에서 진해되어 지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지그는 제조되는 스텐트(100)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 a2, a3, …, a14 )과 길이분할선(b1, b2, b3,…, b20)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그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20)을 경유하도록 와이어(10, 15)를 상, 하로 절곡 이동시켜 교차가 일어나게 하여 셀을 형성함으로써 스텐트를 제조한다.
또한,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x=2인 경우의 14개이다.
아울러,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y=6인 경우의 20개이다.
1.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시작점(S1, a2/b4)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지점(F15, a7/b17)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작점(S1)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3/b3)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7/b3)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7/b17)에서 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와이어 하강 단계(S10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지점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1지점(F15)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F1)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2.하부 헤드 형성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S100단계를 통해 하강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1지점(F15)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C1, a9/b17)까지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와이어(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F15)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9/b20)으로부터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
그 후, 그 위치점(a10/b18)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7/b20)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1와이어(10)를 제1전환점(C1)에 위치시킨다.
3.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C1)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지점(F'15, a14/b4)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점(C1)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0/b18)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14/b18)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2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14/b4)에서 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와이어 상승 단계(S30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2지점은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2지점(F'15)은 제1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4.상부 헤드 형성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S300단계를 통해 상승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10) 교차 구조를 완성한 뒤 위치하는 제2지점(F'15)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S1, a2/b4)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와이어(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점(F'15)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2/b1)으로부터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
그 후, 그 위치점(a3/b3)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4/b1)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1와이어(10)를 제1시작점(S1)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다시 제1시작점(S1)에 도착한 제1와이어(1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을 통해 마무리 연결되어 스텐트(100)의 일부 내측 구조를 형성한다.
5.제2와이어 하강 단계<S500>
본 단계에서는 도10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2, a3/b4)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3지점(f15, a8/b17)까지 제2와이어(15)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시작점(S2)은 제1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하여 위치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시작점(S2,a3/b4)과 제1시작점(S1, a2/b4)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핀 간의 간격이 길이분할선(b4) 상에서 한 칸 이동하여 위치하며, 이는 세 칸 또는 다섯 칸과 같이 홀수 칸만큼 이동하여 시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과정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작점(S2)에서 제2와이어(15)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4/b3)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3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7/b3)에서 제2와이어(15)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3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3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3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3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8/b17)에서 제2와이어 하강 단계(S5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와이어 하강 단계(S50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3지점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3지점(f15)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f1)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6.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
본 단계에서는 S500단계를 통해 하강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3지점(f15)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c1, a10/b17)까지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하부 헤드(120)의 와이어(10, 15) 교차 구조를 완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와이어(15)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점(f15)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0/b20)으로부터 제2와이어(15)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
그 후, 그 위치점(a11/b18)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8/b20)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2와이어(15)를 제2전환점(c1)에 위치시킨다.
7.제2와이어 상승 단계<S700>
본 단계에서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c1)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4지점(f'15, a1/b4)까지 제2와이어(15)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환점(c1)에서 제2와이어(15)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1/b18)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1/b18)에서 제2와이어(15)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4이격단계;를 포함한다.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4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1/b4)에서 제2와이어 상승 단계(S70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와이어 상승 단계(S70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4지점은 제4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4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4지점(f'15)은 제2시작점(S2)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8.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
본 단계에서는 S700단계를 통해 상승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와이어(15) 교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몸체(110)의 와이어(10, 15) 교차 구조를 완성한 뒤 위치하는 제2지점(f'15)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2, a3/b4)까지 제2와이어(15)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상부 헤드(130)의 와이어(10, 15) 교차 구조를 완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와이어(15)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지점(f'15)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3/b1)으로부터 제2와이어(15)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
그 후, 그 위치점(a4/b3)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b1)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2와이어(15)를 제2시작점(S2)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다시 제2시작점(S2)에 도착한 제2와이어(15)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을 통해 마무리 연결되어 스텐트(100)의 일부 외측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이렇게 제1와이어(10)에 의해 완성된 내측 구조와 제2와이어에 의해 완성된 외측 구조는 결과적으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텐트(100) 전체를 나타낸다.
<제조된 스텐트의 특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텐트(100)의 경우,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 a2, a8, a9) 상에 위치한 와이어의 교차 방식은 서로 엇갈린 형태의 교차부(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분할선 상의 와어어 교차 방식은 돌출핀(20)의 양쪽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진행되어 원형고리(5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 a2, a8, a9)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A1 및 A2 점에서 와이어가 끼워지듯이 교차되어 두 겹으로 겹쳐지고, 중앙에는 돌출핀(20)에 의해 가운데가 빈 원형고리(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원형고리(50)는 스텐트(100)의 전체 구조 변화 시 셀 형태 변화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 줄뿐만 아니라, 스텐트(100)의 전체 구조가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교차된 와이어 형태가 변형되어 위치 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
즉, 도16에 도시된 전개도의 스텐트(100) 양끝 선을 연결하여 중공의 원통형 스텐트를 구현해 보았을 때, 마주보는 두 쌍의 원주분할선(a1과 a8, a2와 a9)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만이 교차부(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분할선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는 원형고리(50)를 형성하여, 도17과 같은 스텐트(100) 형태가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스텐트(100)는 도18 내지 도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차부(30) 및 원형고리(50)형태의 구성 및 배치에 따라 쉽게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지닌다. 특히 도2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휘어지더라도 스텐트(100)의 셀 간의 어긋남이나 돌출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부드럽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100)는 일정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는 체내 다양한 내강들에서 각각의 형태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을 형성하고, 이렇게 가변성을 가진 스텐트(100)의 구조가 굴곡되어 일정한 형태로 마련되어지면, 마련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확장되어 협착 부위를 밀어내고 일정 직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완성된 스텐트(100)는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기반으로 협착이 발생한 내강의 형태에 적합하게 위치하여, 0에 가까운 수준의 스텐트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력(Axial force) 및 높은 수준의 스텐트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작용력(Radial force)을 가지고 있어 와이어의 피로도가 낮은 우수한 내구성을 마련할 수 있어, 협착 부위의 내강 확보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오랜 시간 확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와이어(10, 15)를 통해 좀 더 세밀한 구조의 셀을 구현해 냄으로써 협착 부위에 발생한 병변의 생장에 따른 암세포의 증식에 의한 스텐트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텐트
110 : 몸체
120 : 하부 헤드
130 : 상부 헤드
10 : 제1와이어
15 : 제2와이어
20 : 돌출핀
30 : 교차부
50 : 원형고리

Claims (12)

  1.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C단계;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3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E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F단계; 및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4지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G단계;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H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E-1단계; 및
    상기 E-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E-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E-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G-1단계; 및
    상기 G-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G-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G-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G단계는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1시작점 및 제2시작점은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작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주분할선을 홀수 칸만큼 이동한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점은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첫번째 마감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E-1단계 및 상기 E-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E-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G-1단계 및 상기 G-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G-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D-1단계;
    상기 D-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F-1단계;
    상기 F-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F-2단계; 및
    상기 F-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전환점에 위치시키는 F-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H-1단계;
    상기 H-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H-2단계; 및
    상기 H-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2시작점에 위치시키는 H-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KR1020140180573A 2014-12-15 2014-12-15 스텐트 제조방법 KR10171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73A KR101713648B1 (ko) 2014-12-15 2014-12-15 스텐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73A KR101713648B1 (ko) 2014-12-15 2014-12-15 스텐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51A KR20160072651A (ko) 2016-06-23
KR101713648B1 true KR101713648B1 (ko) 2017-03-09

Family

ID=5635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573A KR101713648B1 (ko) 2014-12-15 2014-12-15 스텐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64B1 (ko) * 2019-01-29 2019-11-21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스텐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36330A (zh) * 2021-12-07 2023-06-09 微创优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支架及其编织方法
CN115553972B (zh) * 2022-10-19 2023-10-20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08B1 (ko) * 2008-08-05 2010-08-0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330825B1 (ko)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1320480B1 (ko) * 2012-03-19 2013-10-23 주식회사 엠아이텍 플렉서블 스텐트
KR101631491B1 (ko) * 2014-10-06 2016-06-17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64B1 (ko) * 2019-01-29 2019-11-21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스텐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51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319B1 (ko) 스텐트 제조방법
KR101696810B1 (ko)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00477974C (zh) 可自扩展的形状记忆合金支架及其制造方法
KR101713648B1 (ko) 스텐트 제조방법
JP7092734B2 (ja) 減少した短縮および反跳を有するステント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97473B2 (ja) 拡張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JP5777012B2 (ja)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US20100256732A1 (en) Wavily deformable st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30226282A1 (en) Stent 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tent wires and stents
JP6791974B2 (ja)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
KR101631491B1 (ko) 스텐트 제조방법
KR20110051846A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01616864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101708859B1 (ko) 스텐트
KR102395506B1 (ko) 의료용 스텐트
KR20170108380A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492B1 (ko) 혈관확장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