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80B1 - 플렉서블 스텐트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80B1
KR101320480B1 KR1020120027764A KR20120027764A KR101320480B1 KR 101320480 B1 KR101320480 B1 KR 101320480B1 KR 1020120027764 A KR1020120027764 A KR 1020120027764A KR 20120027764 A KR20120027764 A KR 20120027764A KR 101320480 B1 KR101320480 B1 KR 10132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s
valleys
columns
colum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115A (ko
Inventor
김철수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2002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80B1/ko
Priority to PCT/KR2012/003467 priority patent/WO2013141441A1/ko
Publication of KR2013010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스텐트는 원통형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핀을 따라 제1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기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성하여,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핀 중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을 따라 제2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겨 상기 제1와이어와 교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외주면에서 별도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2중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형상이 변형될 경우,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2중공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는 상기 제2중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굴곡진 시술부위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굴곡 상태를 유지하며, 시술과정이 편리한 스텐트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스텐트{FLEXIBLE STEN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는 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통로를 확장하는데 사용되는 내강 확장기구로서, 암 질환 또는 혈관 질환의 치료를 돕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환자의 체내에 시술된 스텐트는 체내에서 작용하는 외력 또는 압력 등에 의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협착된 체내의 혈관 또는 도관과 강한 마찰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병변에 밀착되어 고정된 스텐트의 직경 및 설치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텐트 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일부분에 여분의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꼬아서 나선형의 지주대를 형성시킨 스텐트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스텐트 구조는 스텐트 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에 별도의 와이어를 감아 나선형의 지주대를 형성하기 때문에 스텐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되어 스텐트의 형태가 일직선 상태로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즉, 대장이나 십이지장과 같이 굴곡이 있는 소화기관의 내부에 스텐트가 삽입될 경우, 소화기관의 굴곡으로 인해 스텐트의 형태가 일시적으로 변형되지만, 축력(Axial force)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이 와이어에 작용하게 되어 스텐트 양 끝단이 병변조직을 파고드는 부작용과 최초 삽입 위치를 이탈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했다.
지주대가 형성된 스텐트의 이러한 단점은 스텐트가 일직선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굴곡진 소화기관을 뚫고 나옴으로 인해 시술부위에 따라 천공을 유발시킬 위험성을 갖고 있었다. 아울러, 지주대가 형성된 스텐트는 스텐트의 시술부위가 대장이나 십이지장과 같이 굴곡진 경우, 스텐트의 최초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축력에 의한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증가하여 와이어의 수명이 단축되었다.
한편, 지주대가 형성된 스텐트 이외에도 시술부위의 원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텐트 구조에 대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개발 중인 대부분의 스텐트는 스텐트 와이어의 피크부 및 밸리부가 상호 교차되며, 상호 교차된 와이어가 서로 엮여 결합된 와이어 밴딩 구조가 스텐트 몸체의 원주면의 둘레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텐트의 최초 직경을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했다.
따라서, 와이어 밴딩 구조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기존의 스텐트 구조는 외부 압력에 의해 스텐트의 직경이 잘 변형되지 않아 체내의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시술하기 위해 스텐트 삽입 기구 속에 스텐트를 압축시키는 과정이 힘들고, 시술부위에 스텐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스텐트 삽입 기구로부터 다시 스텐트를 방출시키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시술동작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시술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곡진 시술부위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굴곡 상태를 더 한 층 강화 유지하며, 시술과정이 편리한 스텐트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플렉서블 스텐트는 원통형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핀을 따라 제1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기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성하여,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핀 중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을 따라 제2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겨 상기 제1와이어와 교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외주면에서 별도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2중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형상이 변형될 경우,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2중공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는 상기 제2중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피크부 또는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와이어가 형성한 복수의 피크부 또는 밸리부 사이에 상기 제2와이어가 별도의 피크부 또는 밸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는 제1중공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배열되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하방향으로 교차되어 메쉬(mesh)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중공부는 상기 지그에 구비된 임의의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상기 제1부분과 교차되는 제2부분; 을 포함하고, 제2중공부는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상기 제3부분과 교차되는 제4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분은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첫 번째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는 제1-1열; 상기 제1-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1-1열의 피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1-2열; 상기 제1-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상기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열에 형성된 상기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1-3열; 상기 제1-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는 상기 제1-1열 및 상기 제1-2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각각 교차되어 엮이는 제1-4열; 상기 제1-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1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1-5열; 및 상기 제1-5열이 종료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상기 제1-5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1-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열, 제1-2열 및 제1-3열에서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상기 제1-1열에 형성된 피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피크부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고, 상기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을 상기 제2부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2-1열; 상기 제2-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1열의 밸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복수의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2-2열; 상기 제2-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는 상기 제2-1열 및 상기 제2-2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각각 교차되어 엮이는 제2-3열; 상기 제2-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상기 밸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1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2-4열; 및 상기 제2-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4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2-5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부분은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1열; 상기 제3-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2열; 상기 제3-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3-2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3열; 상기 제3-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3-3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4열; 상기 제3-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4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3-5열; 및 상기 제3-5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5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또는 상기 제3-4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3-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5열 및 제3-6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고, 상기 제3-5열 및 제3-6열은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부분은 상기 제3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을 상기 제4부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1열; 상기 제4-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2열; 상기 제4-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2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3열; 상기 제4-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3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4열; 상기 제4-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4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5열; 및 상기 제4-5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4-4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또는 상기 제4-5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4-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5열 및 제4-6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4-5열 및 제4-6열은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엮여 원통형의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를 형성함에 따라, 굴곡이 심한 시술부위에 적합하도록 굴곡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별도의 지주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축력이 감소되어 시술부위에 삽입된 스텐트는 굴곡진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텐트의 형태가 축력에 의해 스텐트의 최초 형태인 일직선 모양으로 복원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스텐트는 굴곡이 있는 소화기관이나 혈관의 삽입에 적합하며, 스텐트의 형태 복원에 의한 시술부위의 천공을 전혀 일으키지 않으므로, 소화기관의 심한 굴곡이 변형되지 않고 본래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굴곡진 시술부위의 형태에 따라 스텐트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피크부 및 밸리부가 각각 만나 상호 교차되어 엮이는 지점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배열되며, 일직선으로 배열된 피크부 및 밸리부의 양측에는 와이어 메쉬 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스텐트 삽입 기구 속에 스텐트를 압축시키거나 스텐트 삽입 기구의 외부로 스텐트를 방출시키는 과정이 편리하다.
즉,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이 서로 겹치면서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지주대 역할을 모든 와이어가 하게 되므로 스텐트 시술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피크부 및 밸리부가 제2중공부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시술부위에 스텐트의 돌출부로 인한 손상을 주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가 스텐트 삽입 기구 내에 삽입되기 위해 본래 직경보다 압축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의 끝단에 형성된 피크부 및 밸리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10)는 제1중공부(100) 및 제2중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중공부(100)는 원통형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J)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핀(F)을 따라 제1와이어(W1)가 지그재그로 감겨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다. 여기서, 제1와이어(W1)는 지그(J)의 표면상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핀(F)에 감기면서 다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구성한다.
제1중공부(100)는 스텐트 제작용 지그(J)에 구비된 임의의 고정핀(F)으로부터 출발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여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1부분(110) 및 제1부분(110)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으로부터 출발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제1부분(110)과 교차되는 제2부분(120)을 포함한다.
도2 내지 도8은 원통형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J)를 평면에 펼친 전개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지그(J)의 표면에는 복수의 고정핀(F)을 수용할 수 있는 고정핀(F)용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고정핀(F)은 지그(J)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핀(F)의 개수 및 배열된 위치는 도면상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제작되는 스텐트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식별상의 편의를 위해, 도2 내지 도8에서 제1부분(110)은 빨간색, 제2부분(120)은 파란색, 제3부분(210)은 검정색, 제4부분(220)은 분홍색으로 도시되었다.
도2는 제1-1열(111), 제1-2열(112), 제1-3열(113), 제1-4열(114), 제1-5열(115) 및 제1-6열(116)을 포함하는 제1부분(110)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1열(111)은 제1부분(110)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F)인 X1Y1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서 이동하되, X5Y5, X9Y1, X10Y2, X11Y1, X14Y4, X17Y1, X1Y3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3 지점에서 종료된다.
이때, 제1와이어(W1)는 제1-1열(111)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F)인 X1Y1 지점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F)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피크부(P)를 형성한다. 즉, 제1-1열(111)에서는 X9Y1, X11Y1, X17Y1 지점에서 각각 피크부(P)를 형성하게 된다.
제1-2열(112)은 제1-1열(111)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3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1Y3, X3Y1, X5Y3, X7Y1, X10Y4, X13Y1, X14Y2, X15Y1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5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1-2열(112)은 제1-1열(111)에서 형성된 피크부(P)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X3Y1, X7Y1, X13Y1, X15Y1 지점에서 각각 피크부(P)를 형성한다.
제1-3열(113)은 제1-2열(112)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5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5Y1, X14Y2 지점에서 두 개의 피크부(P)를 각각 형성하며, X1Y7 지점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제1-3열(113)은 X14Y2 지점에서 제1-2열(112)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두 열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4열(114)은 제1-3열(113)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7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5Y3, X14Y4 지점에서 두 개의 피크부(P)를 각각 형성하며, X1Y9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1-4열(114)은 X5Y3 지점에서 제1-2열(112)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이고, X14Y4 지점에서 제1-1열(111)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1-1열(111) 및 제1-2열(112)과 결합된다.
제1-5열(115)은 제1-4열(114)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9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5Y5, X14Y6 지점에서 두 개의 피크부(P)를 각각 형성하며, X1Y11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1-5열(115)은 X5Y5 지점에서 제1-1열(111)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1-1열(111)과 결합된다.
제1-6열(116)은 제1-5열(115)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11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5Y7, X14Y8 지점에서 두 개의 피크부(P)를 각각 형성하며, X18Y12 지점에서 종료된다. 이때, 제1-6열(116)은 제1-5열(115)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6열(116)은 제1-5열(115)의 시작점 및 제1-6열(116)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제1-1열(111), 제1-2열(112) 및 제1-3열(113)에서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P) 중 제1-1열(111)에 형성된 피크부(P)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피크부(P)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중공부(100)의 일끝단 외주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제1-2열(112) 및 제1-3열(113)에서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P) 중 제1-1열(111)의 X9Y1, X11Y1, X17Y1 지점에 형성된 피크부(P)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피크부(P)는 X3Y1, X5Y1, X7Y1, X13Y1, X15Y1 지점에 위치하며, 이러한 피크부(P)는 좌우측에 인접한 피크부(P)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제1-1열(111), 제1-2열(112), 제1-3열(113) 및 제1-4열(114)은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교차된다. 다시말해, 제1-1열(111), 제1-2열(112), 제1-3열(113) 및 제1-4열(114)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F) 지점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F)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가 이루어지되, 제1-1열(111), 제1-2열(112), 제1-3열(113) 및 제1-4열(114)은 각 열의 밸리부(V)에서 피크부(P)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P)에서 밸리부(V)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제1-1열(111)이 X5Y5 지점의 밸리부(V)에서 X9Y1 지점의 피크부(P)로 이동하는 경우, 제1-1열(111)은 제1-2열(112), 제1-3열(113) 및 제1-4열(114)의 위로 교차되며, 제1-1열(111)이 X11Y1 지점의 피크부(P)에서 X14Y4의 밸리부(V)로 이동하는 경우, 제1-1열(111)은 제1-2열(112) 및 제1-3열(113)의 아래로 교차된다.
도3은 제2-1열(121), 제2-2열(122), 제2-3열(123), 제2-4열(124) 및 제2-5열(125)을 포함하는 제2부분(120)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2-1열(121)은 제1부분(110)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8Y12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1Y11, X2Y12, X5Y9, X8Y12, X10Y10, X12Y12, X14Y10, X16Y12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9 지점에서 종료된다.
이때, 제1와이어(W1)는 제2-1열(121)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F)인 X18Y12 지점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F)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밸리부(V)를 형성한다. 즉, 제2-1열(121)에서는 X2Y12, X8Y12, X12Y12, X16Y12 지점에서 각각 밸리부(V)를 형성하게 된다.
제2-2열(122)은 제2-1열(121)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9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4Y12, X5Y11, X6Y12, X10Y8, X14Y12, X1Y7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7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2-2열(122)은 제2-1열(121)에서 형성된 밸리부(V)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X4Y12, X6Y12, X14Y12 지점에서 각각 밸리부(V)를 형성한다.
제2-3열(123)은 제1-2열(112)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7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5Y11, X14Y10 지점에서 두 개의 밸리부(V)를 각각 형성하며, X1Y5 지점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제2-3열(123)은 X5Y11 지점에서는 제2-2열(122)의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2-2열(122)과 결합되고, X14Y10 지점에서는 제2-1열(121)의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2-1열(121)과 결합된다.
제2-4열(124)은 제2-3열(123)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5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고 X10Y4 지점에서 한 개의 피크부(P)를 형성하고, X5Y9, X14Y8 지점에서 두 개의 밸리부(V)를 각각 형성하며, X1Y3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2-4열(124)은 X5Y9 지점에서 제2-1열(121)의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두 열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2-5열(125)은 제2-4열(124)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3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5Y7, X14Y6 지점에서 두 개의 밸리부(V)를 형성하고, X10Y2 지점에서 한 개의 피크부(P)를 형성하며, X1Y1 지점에서 종료된다. 이때, 제2-5열(125)은 제2-4열(124)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5열(125)은 제2-4열(124)의 시작점 및 제2-5열(125)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1열(121), 제2-2열(122) 및 제2-3열(123)에서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V) 중 제2-1열(121)에 형성된 밸리부(V)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밸리부(V)는 제1-6열(116)의 밸리부(V)와 함께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1중공부(100)의 타측단 외주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제2-2열(122) 및 제2-3열(123)에서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V) 중 제2-1열(121)의 X2Y12, X8Y12, X12Y12, X16Y12 지점에 형성된 밸리부(V)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밸리부(V)는 X4Y12, X6Y12, X14Y12 지점에 위치하며, 이러한 밸리부(V)는 제1-6열(116)의 X10Y12 지점에 형성된 밸리부(V)와 함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제2-1열(121), 제2-2열(122) 및 제2-3열(123)은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교차된다. 제2-1열(121), 제2-2열(122) 및 제2-3열(123)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F) 지점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F)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가 이루어지되, 제2-1열(121), 제2-2열(122) 및 제2-3열(123)은 각 열의 밸리부(V)에서 피크부(P)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P)에서 밸리부(V)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제2-1열(121)이 X2Y12 지점의 밸리부(V)에서 X5Y9 지점의 피크부(P)로 이동하는 경우, 제2-1열(121)은 제2-2열(122) 및 제2-3열(123)의 위로 교차되며, 제2-1열(121)이 X5Y9 지점의 피크부(P)에서 X8Y12 지점의 밸리부(V)로 이동하는 경우, 제2-1열(121)은 제2-2열(122) 및 제2-3열(123)의 아래로 교차된다.
도4는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의 형성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W1)는 X1Y1 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X18Y12 지점에서 종료됨으로써 제1부분(110)을 형성하고, 다시 X18Y12 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X1Y1 지점까지 올라가 제2부분(120)을 형성함으로써 제1중공부(100)를 완성한다.
이때, 제2부분(120)은 X1Y1 지점에서 제1부분(110)과 접촉하게 되므로, 레이저 웰딩을 이용하여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을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는 제1중공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배열되며, 일직선으로 배열된 피크부(P) 및 밸리부(V)의 양측에는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이 상하방향으로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10)는 피크부(P) 및 밸리부(V)로 구성된 와이어 밴드 구조가 플렉서블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텐트 몸체의 원주면의 둘레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피크부(P) 및 밸리부(V)가 형성된 기존의 스텐트와는 달리, 스텐트의 외형을 굴곡진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스텐트(10)는 스텐트의 최초 형태인 일직선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대장 또는 십이지장과 같이 굴곡진 시술부위의 삽입에 적합하며, 시술부위에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2중공부(200)는 제1중공부(100)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W1)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F)을 따라 제1와이어(W1)와는 별개로 마련된 제2와이어(W2)가 원통형 지그(J)에 지그재그로 감겨 제1와이어(W1)와 교차하고, 제1중공부(100)의 외주면에서 별도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한다.
제2중공부(200)는 제1부분(110)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F)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고정핀(F)으로부터 출발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여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3부분(210) 및 제3부분(210)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으로부터 출발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제3부분(210)과 교차되는 제4부분(220)을 포함한다.
도5는 제3-1열(211), 제3-2열(212), 제3-3열(213), 제3-4열(214), 제3-5열(215) 및 제3-6열(216)을 포함하는 제3부분(210)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3-1열(211)은 제1부분(110)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F)인 X1Y1 지점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고정핀(F)인 X2Y1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3Y2, X4Y1, X6Y3, X7Y2, X9Y4, X11Y2, X12Y3, X13Y2, X15Y4, X16Y3, X18Y5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4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3-2열(212)은 제3-1열(211)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4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3, X3Y4, X4Y3, X6Y5, X7Y4, X9Y6, X11Y4, X12Y5, X13Y4, X15Y6, X16Y5, X18Y7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6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3-3열(213)은 제3-2열(212)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6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5, X3Y6, X4Y5, X6Y7, X7Y6, X9Y8, X11Y6, X12Y7, X13Y6, X15Y8, X16Y7, X18Y9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8 지점에서 종료된다. 이때, 제3-3열(213)은 제3-2열(212)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3-3열(213)은 제3-2열(212)의 시작점 및 제3-3열(213)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4열(214)은 제3-3열(213)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8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7, X3Y8, X4Y7, X6Y9, X7Y8, X9Y10, X11Y8, X12Y9, X13Y8, X15Y10, X16Y9, X18Y11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10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3-4열(214)은 제3-3열(213)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3-4열(214)은 제3-3열(213)의 시작점 및 제3-4열(214)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5열(215)은 제3-4열(214)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10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9, X3Y10, X4Y9, X6Y11, X7Y10, X9Y12, X11Y10, X12Y11, X13Y10, X15Y12, X16Y11, X17Y12, X18Y11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12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3-5열(215)은 X6Y11, X12Y11 지점에서 제3-6열(216)의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3-6열(216)과 결합된다. 또한, 제3-5열(215)은 X18Y11 지점에서 제3-4열(214)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3-4열(214)과 결합된다.
제3-6열(216)은 제3-5열(215)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12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9Y10 지점에서 제3-4열(214)의 밸리부(V)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3-4열(214)과 결합된다.
제3-5열(215) 및 제3-6열(216)은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교차된다. 다시말해, 제3-5열(215) 및 제3-6열(216)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F) 지점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F)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가 이루어지되, 제3-5열(215) 및 제3-6열(216)은 각 열의 밸리부(V)에서 피크부(P)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P)에서 밸리부(V)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제3-5열(215)이 X7Y10 지점의 피크부(P)에서 X9Y12 지점의 밸리부(V)로 이동하는 경우, 제3-5열(215)은 제3-6열(216)의 위로 교차되며, 제3-5열(215)이 X9Y12 지점의 밸리부(V)에서 X11Y10 지점의 피크부(P)로 이동하는 경우, 제3-5열(215)은 제3-6열(216)의 아래로 교차된다.
도6은 제4-1열(221), 제4-2열(222), 제4-3열(223), 제4-4열(224), 제4-5열(225) 및 제4-6열(226)을 포함하는 제4부분(220)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4-1열(221)은 제3부분(210)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3Y12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15Y10, X16Y11, X18Y9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10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4-2열(222)은 제4-1열(221)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10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1Y10, X2Y11, X3Y10, X4Y11, X6Y9, X7Y10, X9Y8, X11Y10, X12Y9, X13Y10, X15Y8, X16Y9, X18Y7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8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4-3열(223)은 제4-2열(222)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8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9, X3Y8, X4Y9, X6Y7, X7Y8, X9Y6, X11Y8, X12Y7, X13Y8, X15Y6, X16Y7, X18Y5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6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4-3열(223)은 제4-2열(222)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4-3열(223)은 제4-3열(223)의 시작점 및 제4-2열(222)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4-4열(224)은 제4-3열(223)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6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7, X3Y6, X4Y7, X6Y5, X7Y6, X9Y4, X11Y6, X12Y5, X13Y6, X15Y4, X16Y5, X18Y3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4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4-4열(224)은 제4-3열(223)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4-4열(224)은 제4-3열(223)의 시작점 및 제4-4열(224)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4-5열(225)은 제4-4열(224)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F)인 X1Y4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5, X3Y4, X4Y5, X6Y3, X7Y4, X9Y2, X11Y4, X12Y3, X13Y4, X15Y2, X16Y3, X18Y1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1Y2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4-5열(225)은 제4-4열(224)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4-5열(225)은 제4-4열(224)의 시작점 및 제4-5열(225)의 시작점 간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4-6열(226)은 제4-5열(225)의 형성이 종료된 X1Y2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그(J)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X2Y3, X3Y2, X4Y3, X6Y1, X7Y2, X8Y1, X9Y2, X10Y1, X11Y2, X12Y1, X13Y2, X14Y1, X15Y2, X16Y1, X18Y3에 위치한 지점을 지나면서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하며, X2Y1 지점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제4-6열(226)은 X9Y2, X15Y2 지점에서 제4-5열(225)의 각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4-5열(225)과 결합되고, X18Y3 지점에서는 제4-4열(224)의 피크부(P)와 교차되어 엮임으로써 제4-4열(224)과 결합된다.
제4-5열(225) 및 제4-6열(226)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F) 지점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F)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가 이루어지되, 제4-5열(225) 및 제4-6열(226)은 각 열의 피크부(P)에서 밸리부(V)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밸리부(V)에서 피크부(P)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제4-5열(225)이 X16Y3 지점의 밸리부(V)에서 X18Y1 지점의 피크부(P)로 이동하는 경우, 제4-5열(225)은 제4-6열(226)의 아래로 교차된다.
도7은 제3부분(210) 및 제4부분(220)의 형성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와이어(W2)는 X2Y1 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X13Y12 지점에서 종료됨으로써 제3부분(210)을 형성하고, 다시 X13Y12 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X2Y1 지점까지 올라가 제4부분(220)을 형성함으로써 제2중공부(200)를 완성한다.
이때, 제4부분(220)은 X2Y1지점에서 제3부분(210)과 접촉하게 되므로, 레이저 웰딩을 이용하여 제3부분(210) 및 제4부분(220)을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제1중공부(100)의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과 제2중공부(200)의 제3부분(210) 및 제4부분(220)의 형성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00)를 구성하는 피크부(P) 및 밸리부(V)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제2중공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크부(P) 및 밸리부(V)의 사이에 제1중공부(100)를 구성하는 피크부(P) 및 밸리부(V)가 위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10)는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중공부(100) 및 제2중공부(200)의 구조가 상이함에 따라, 플렉서블 스텐트(10)가 굴곡진 시술부위에 삽입되어 스텐트의 형태가 변형될 경우에도 피크부(P) 및 밸리부(V)로 구성된 제1와이어(W1)의 밴드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술부위의 병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10)가 스텐트 삽입 기구 내에 삽입되기 위해 본래 직경보다 압축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서로 겹쳐지면서 지주대 역할을 하므로 플렉서블 스텐트(10)의 직경이 압축될 때,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에 가해지는 힘의 배분이 플렉서블 스텐트(10)의 일끝단에서 타끝단까지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플렉서블 스텐트(10)를 병변부위에 시술하는 경우, 스텐트 삽입 기구로부터 플렉서블 스텐트(10)를 방출시키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시술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제1중공부(100) 및 제2중공부(200)의 양 끝단에서 각각 피크부(P) 또는 밸리부(V)를 형성하되, 상기 제1와이어(W1)가 형성한 복수의 피크부(P) 또는 밸리부(V) 사이에 상기 제2와이어(W2)가 별도의 피크부(P) 또는 밸리부(V)를 형성한다.
제2중공부(200)는 제1와이어(W1)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F)을 따라 제2와이어(W2)가 지그재그로 감김으로써, 제1중공부(100)와는 별도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제2와이어(W2)가 제2중공부(2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와이어(W2)는 인접한 제1와이어(W1)와 교차하며, 제2와이어(W2)는 제1와이어(W1)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F)에 감기게 되므로 제1와이어(W1)가 형성한 피크부(P) 및 밸리부(V)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피크부(P) 및 밸리부(V)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제1중공부(100) 및 제2중공부(200)의 일끝단에서 각각 피크부(P)를 형성하며, 제1와이어(W1)가 형성한 복수의 피크부(P) 사이에 제2와이어(W2)가 형성한 피크부(P)가 위치한다. 즉, 제1와이어(W1)에 의해 제1중공부(100)의 형태가 완성된 후, 제2중공부(200)의 제작을 위해 제1와이어(W1)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F)을 따라 제2와이어(W2)가 감긴다. 이때, 제2와이어(W2)는 제1와이어(W1)의 상하방향으로 제1와이어(W1)를 번갈아 통과함으로써, 제1중공부(100) 및 제2중공부(200)의 양끝단은 하나의 원통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스텐트(10)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코팅된 와이어인 식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재는 제1와이어(W1) 또는 제2와이어(W2)의 표면에 코일 형태로 감겨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술자가 환자의 내강에 플렉서블 스텐트(10)를 삽입할 때 엑스레이 또는 내시경을 통해 식별부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스텐트(10)의 삽입 및 제거과정이 용이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플렉서블 스텐트
100 제1중공부
W1 제1와이어
110 : 제1부분
111 : 제1-1열
112 : 제1-2열
113 : 제1-3열
114 : 제1-4열
115 : 제1-5열
116 : 제1-6열
120 : 제2부분
121 : 제2-1열
122 : 제2-2열
123 : 제2-3열
124 : 제2-4열
125 : 제2-5열
200 : 제2중공부
W2 : 제2와이어
210 : 제3부분
211 : 제3-1열
212 : 제3-2열
213 : 제3-3열
214 : 제3-4열
215 : 제3-5열
216 : 제3-6열
220 : 제4부분
221 : 제4-1열
222 : 제4-2열
223 : 제4-3열
224 : 제4-4열
225 : 제4-5열
226 : 제4-6열
J : 스텐트 제작용 지그
P : 피크부
V : 밸리부
F : 고정핀

Claims (15)

  1. 원통형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핀을 따라 제1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기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성하여,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핀 중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지 않은 고정핀을 따라 제2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감겨 상기 제1와이어와 교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외주면에서 별도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2중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부의 형상이 변형될 경우,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2중공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는 상기 제2중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피크부 또는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와이어가 형성한 복수의 피크부 또는 밸리부 사이에 상기 제2와이어가 별도의 피크부 또는 밸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는 제1중공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배열되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상하방향으로 교차되어 메쉬(mesh)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는
    상기 지그에 구비된 임의의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상기 제1부분과 교차되는 제2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중공부는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여 상기 제3부분과 교차되는 제4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첫 번째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첫 번째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는 제1-1열;
    상기 제1-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1-1열의 피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1-2열;
    상기 제1-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상기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열에 형성된 상기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1-3열;
    상기 제1-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는 상기 제1-1열 및 상기 제1-2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각각 교차되어 엮이는 제1-4열;
    상기 제1-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1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1-5열; 및
    상기 제1-5열이 종료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되, 상기 제1-5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1-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열, 제1-2열 및 제1-3열에서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상기 제1-1열에 형성된 피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피크부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고, 상기 제1-1열, 제1-2열, 제1-3열 및 제1-4열은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을 상기 제2부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며 절곡되어 복수의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2-1열;
    상기 제2-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1열의 밸리부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복수의 고정핀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복수의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2-2열;
    상기 제2-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는 상기 제2-1열 및 상기 제2-2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각각 교차되어 엮이는 제2-3열;
    상기 제2-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상기 밸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1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2-4열; 및
    상기 제2-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2-4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2-5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1열, 제2-2열 및 제2-3열은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부분이 시작되는 고정핀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한 또 다른 고정핀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1열;
    상기 제3-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2열;
    상기 제3-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3-2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3열;
    상기 제3-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3-3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3-4열;
    상기 제3-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4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3-5열; 및
    상기 제3-5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5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또는 상기 제3-4열에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3-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5열 및 제3-6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 교차되고, 상기 제3-5열 및 제3-6열은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부분은
    상기 제3부분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을 상기 제4부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1열;
    상기 제4-1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2열;
    상기 제4-2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2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3열;
    상기 제4-3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3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4열;
    상기 제4-4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상기 제4-4열에 형성된 상기 피크부 및 밸리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는 제4-5열; 및
    상기 제4-5열의 형성이 종료된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원주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복수의 피크부 및 밸리부를 형성하되, 형성된 복수의 밸리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4-4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또는 상기 제4-5열에 형성된 복수의 피크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어 엮이는 제4-6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5열 및 제4-6열은 각 열의 시작되는 고정핀으로부터 종료되는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4-5열 및 제4-6열은 각 열의 피크부에서 밸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위로 교차되고, 각 열의 밸리부에서 피크부로 이동할 때는 상호 교차된 다른 열의 아래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스텐트.
KR1020120027764A 2012-03-19 2012-03-19 플렉서블 스텐트 KR10132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64A KR101320480B1 (ko) 2012-03-19 2012-03-19 플렉서블 스텐트
PCT/KR2012/003467 WO2013141441A1 (ko) 2012-03-19 2012-05-03 플렉서블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64A KR101320480B1 (ko) 2012-03-19 2012-03-19 플렉서블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15A KR20130106115A (ko) 2013-09-27
KR101320480B1 true KR101320480B1 (ko) 2013-10-23

Family

ID=4922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64A KR101320480B1 (ko) 2012-03-19 2012-03-19 플렉서블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0480B1 (ko)
WO (1) WO2013141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400B1 (ko) * 2014-04-03 2016-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KR101631491B1 (ko) * 2014-10-06 2016-06-17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1713648B1 (ko) * 2014-12-15 2017-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1696810B1 (ko)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101668373B1 (ko) 2015-06-09 2016-10-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KR101910952B1 (ko) * 2016-10-28 2018-10-23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압착 후 스텐트 지름을 산출하는 방법
KR102089963B1 (ko) * 2019-06-12 2020-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이탈방지용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260848B1 (ko) * 2019-06-14 2021-06-03 박성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N115553972B (zh) * 2022-10-19 2023-10-20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407A (ja) 2007-11-27 2011-02-10 エス アンド ジー バイオテ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円筒形ステント
KR101021615B1 (ko)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KR20110029556A (ko)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4090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186A (en) * 1995-03-30 1996-08-13 Medtronic, Inc. Prioritized rule 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rrhythmias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407A (ja) 2007-11-27 2011-02-10 エス アンド ジー バイオテ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円筒形ステント
KR20110029556A (ko)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4090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021615B1 (ko)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15A (ko) 2013-09-27
WO2013141441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480B1 (ko) 플렉서블 스텐트
US11426293B2 (en) Medical implant
JP7234190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送達装置
US1137601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vascular defects
AU775113B2 (en) Braided branching stent, method for treating a lumen therewith,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633020B1 (ko)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CN102973341B (zh)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JP5061181B2 (ja) 動脈瘤を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6632241B1 (en) Self-expanding, pseudo-braided intravascular device
JP2020526255A (ja) 反転する血栓除去装置および方法
CA2938291A1 (en) Vascular and bodily duct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20018772A (ko) 플렉서블 장치
WO2022179095A1 (zh) 血管支架
JP2023106141A (ja) ステント
KR20110064090A (ko) 스텐트
CN115553972A (zh) 一种胆道支架制造方法及胆道支架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KR101123921B1 (ko) 스텐트
KR20090038209A (ko) 스텐트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JP2006026329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CN115889619A (zh) 一种胆道支架制造夹具及胆道支架制造方法
KR20110029556A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