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14B1 - 문합술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문합술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14B1
KR101501614B1 KR1020120032375A KR20120032375A KR101501614B1 KR 101501614 B1 KR101501614 B1 KR 101501614B1 KR 1020120032375 A KR1020120032375 A KR 1020120032375A KR 20120032375 A KR20120032375 A KR 20120032375A KR 101501614 B1 KR101501614 B1 KR 10150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organs
stent
hole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413A (ko
Inventor
정문재
송시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문합술용 스텐트는, 양쪽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면과 마주하는 플래어파트(flare part); 및 플래어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 홀 주변의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측을 지지하는 플랩파트(flap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합술용 스텐트{ANASTOMOSIS STENT}
본 발명은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기 위한 수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꿰매거나 별다른 접합제 없이 이종의 장기의 관통 홀을 연결할 수 있는 문합술에 관한 것이다.
섭취한 음식은 식도를 거쳐 위(stomach)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십이지장(duodenum), 공장(jejunum), 및 회장(ileum)으로 구분되는 소장(small intestine), 대장(large intestine) 등의 소화기관(digestive organ)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한편, 일부 소관기관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악성 종양과 같은 병변(lesion)이 발생하여 불가피하게 제거해야 하는 경우, 그 부분을 떼어내고 분리된 소화기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술을 수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십이지장에 염증이나 악성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여, 위에 저장된 음식이 십이지장을 거치지 않도록 하거나, 아예 십이지장 부분이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위와 공장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위와 공장에 구멍을 내고, 구멍 주변을 꿰매는 외과 수술(surgical operation)을 통해서 이종(different kind)의 기관을 서로 연결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은 수술 시간이 길고, 수술 후 회복도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종의 장기를 꿰매거나 접합제 없이 연결하기 위한 문합술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과적 수술 없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이종의 장기를 연결할 수 있는 문합술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장기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관통 홀 주변을 서로 문합하는 문합술에 사용되는 문합술용 스텐트는, 양쪽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면과 마주하는 플래어파트(flare part); 및 플래어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 홀 주변의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측을 지지하는 플랩파트(flap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십이지장에 염증이나 악성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여, 위에 저장된 음식이 십이지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공장으로 보내져야 할 경우에, 위와 공장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복부를 절개하고, 다시 위와 공장에 구멍을 내고, 구멍 주변을 꿰매는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이종의 기관을 서로 연결하여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복부를 절개하는 외과 수술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내에 문합술용 스텐트를 넣어 놓고, 내시경 선단이 2 장기의 관통 홀에 이르면 스텐트를 후방에서 밀어 넣어 문합술용 스텐트의 양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형성된 관통 홀에 배치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복부를 절개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양 단부에 마련된 플래어파트가 문합술용 스텐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파트는 이종의 장기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종의 장기 내벽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두 장기는 서로 자연스럽게 붙게 된다. 따라서, 이종의 장기를 꿰매거나 접합제 없이 연결할 수 있다.
바디파트, 플래어파트, 및 플랩파트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의 외측에는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의 재질로는 금속 혹은 형상을 기억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래어파트는 바디파트의 중심에서 다른 쪽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인접한 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바디파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0° 초과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어파트는 서로 붙이고자 하는 이종의 장기의 관통 홀에 배치되는 문합술용 스텐트가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바디파트 양단에서 펼쳐져 형성된 부분으로서, 60°를 초과하여 벌어지게 되면, 바디파트로부터 굴절된 각이 너무 작아져서 문합술용 스텐트가 관통 홀에서 이동하여 빠지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고, 플래어파트가 마주하는 내벽과 밀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문합술용 스텐트가 위장과 소장을 연결하는 경우, 플래어파트는 위장 쪽 내벽에 밀착되어 위장 내의 음식물이 위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서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장 쪽 내면에 밀착되는 플래어파트는 펼쳐진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져서 플래어파트에 닿을 수 있는 소장 내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플랩파트는 자신이 돌출되는 바디파트의 외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인접한 바디파트의 단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바디파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이상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파트는 서로 붙이고자 하는 이종의 장기를 각각 내면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 그 각이 상기 각도 범위에서 벗어나면 장기 내면을 지지하기 용이치 않다.
또한, 플랩파트는 바디파트의 외주를 따라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고, 여러 개가 제공되는 경우, 그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종의 장기가 각각 위 및 소장에 해당하는 경우, 바디파트의 길이는 20 내지 30㎜인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범위보다 짧으면 위장과 소장의 두께를 고려할 때, 두 장기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짧게 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면 소장의 직경을 고려할 때, 소장 쪽에 배치되는 바디파트의 단부가 소장 내벽에 닿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결통로의 내경은 10 내지 30㎜가 바람직하며, 역시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음식물을 고려하여, 상기 통로의 범위가 적절할 수 있다.
또한, 플래어파트의 외경은 2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며, 플래어파트의 외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플래어파트가 장기 내벽을 마주하는 면적이 너무 좁아지게 되어 문합술용 스텐트가 관통 홀에서 빠져나올 염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시술 시에 장기에 관통 홀로 플래어파트를 집어 넣거나, 추후 문합술용 스텐트를 제거할 때, 장기에 관통 홀로 플래어파트를 빼내는 것이 용이치 않다.
2개의 장기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서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문합술용 스텐트는 서로 붙이고자 하는 장기를 밀착시켜, 이종의 장기를 꿰매는 수술 없이도 시간이 경과하면 관통 홀을 마주하고 배치된 이종의 장기가 서로 자연스럽게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위와 공장에 구멍을 내고, 구멍 주변을 꿰매는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이종의 기관을 서로 연결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내시경 내에 넣어 놓고, 내시경 선단이 2 장기의 관통 홀에 이르면 후방에서 밀어 문합술용 스텐트의 양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형성된 관통 홀들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복부를 절개하는 외과적인 수술 없이 내시경을 통해서 간단하게 문합술을 완성할 수 있다. 이에 수술 후 회복이 매우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합술용 스텐트는 양 단부에 마련된 플래어파트에 의해서 문합술용 스텐트가 관통 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술 후 관통 홀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추가적으로, 플랩파트가 이종의 장기 내벽을 지지함으로써, 이종의 장기가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이종의 장기가 상호 접합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회복도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이종의 장기 위치가 틀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합술용 스텐트의 단부가 펼쳐져 형성된 플래어파트는 혹여 장기 내면에 닿더라도 날카로운 선단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장기 내벽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공장을 직접 연결하는 위공장문합술(gastrojejunostomy)에 사용되는 경우, 위와 비교할 때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공장은 특히 더 문합술용 스텐트의 선단에 닿게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는 펼쳐진 단부를 가져 공장 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합술용 스텐트가 위장과 소장을 연결하는 경우, 위장 쪽 플래어파트가 위쪽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위의 음식물이 위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서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종의 장기를 문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가 인체에 적용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합술용 스텐트의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위장 및 공장에 형성된 관통 홀 주변을 접합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위장 및 공장에 형성된 관통 홀 주변을 접합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이종의 장기를 문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가 인체에 적용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합술용 스텐트의 단면도이며, 도 4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위장 및 공장에 형성된 관통 홀 주변을 접합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위장 및 공장에 형성된 관통 홀 주변을 접합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는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십이지장에 염증이나 악성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여, 위에 저장된 음식이 십이지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공장으로 보내져야 할 경우에, 위와 공장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복부를 절개하고, 다시 위와 공장에 구멍을 내고, 구멍 주변을 꿰매는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이종의 기관을 서로 연결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를 사용하여, 복부를 절개할 필요도 없고, 이종의 장기를 꿰매거나 접합제 없이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내에 문합술용 스텐트를 넣어 놓고, 내시경 선단이 2 장기의 관통 홀에 이르면 스텐트를 후방에서 밀어 넣어 문합술용 스텐트의 양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형성된 관통 홀에 배치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복부를 절개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2 장기의 관통 홀을 마주 댄 상태에서 2개의 장기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시간 경과 후 2 장기가 자연스럽게 붙도록 함으로써, 관통 홀 주변을 서로 꿰매거나 접합제를 사용하여 2 장기를 문합하는 종래의 번잡한 수술방법을 버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문합술용 스텐트(100)는 바디파트(110), 플래어파트(120), 및 플랩파트(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합술용 스텐트(100)는 이종의 장기를 문합(anastomosis)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위(10)와 공장(20)을 직접 연결하는 위공장문합술(gastrojejunostomy)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위(10)와 공장(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술 과정에서 먼저 위(10)와 공장(20)에 각각 관통 홀(30)을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형성된 2개의 관통 홀(30)로는 바디파트(110)의 양단부가 삽입된다. 바디파트(110)는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30)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112)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바디파트(110)의 연결통로(112)를 통해서 위의 음식물이 바로 공장(20)으로 넘어 갈 수 있다.
한편, 바디파트(110)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는 플래어파트(120)는 관통 홀(30) 주변의 장기 내측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래어파트(120)는 설령 문합술용 스텐트(100)가 관통 홀(3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위(10)와 공장(2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문합술용 스텐트(10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고, 문합술용 스텐트(100)가 관통 홀(30)에서 빠져 나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플래어파트(120)는, 도 3을 참조하면, 바디파트(110) 외주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플래어파트(120)는 바디파트(110)의 중심에서 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바디파트(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0° 초과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각은 ‘H’로 도 3에 도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래어파트(120)는 서로 붙이고자 하는 이종의 장기의 관통 홀(30)에 배치되는 문합술용 스텐트(100)가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바디파트(110) 양단에서 펼쳐져 형성된 부분으로서, 60°를 초과하여 벌어지게 되면, 바디파트(110)로부터 굴절된 각이 너무 작아져서 문합술용 스텐트(100)가 관통 홀(30)에서 이동하여 빠지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도 1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면, 위장 쪽 플래어파트(120)가 위쪽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위의 음식물이 위에 형성된 관통 홀(30)을 통해서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랩파트(130)는 플래어파트(120)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 홀(30) 주변의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바디파트(110)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통 홀(30) 주변의 장기 내측을 지지한다. 이에 관통 홀(30)을 마주하고 위아래로 배치되는 위(10)와 공장(20)은 바디파트(110)의 위아래로 배치되는 플랩파트(130)사이에 끼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랩파트(130) 사이에 끼어 있는 두 장기를 누를 수 있도록 그 길이는 대략 2~5㎜가 적당하며, 도 3에서 ‘G’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플랩파트(130)는 바디파트(110)의 단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플랩파트(130)는 바디파트(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이상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언급했듯, 플랩파트(130)는 서로 붙이고자 하는 이종의 장기를 각각 내면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 그 각이 상기 각도 범위에서 벗어나면 장기 내면을 지지하기 용이치 않다. 플랩파트(130)가 기울어진 각은 ‘I’로 도 3에 도시된다.
또한, 플랩파트(130)는 바디파트(110)의 외주를 따라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고, 여러 개가 제공되는 경우, 그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 위로 4개씩 배치되어 총 8개가 제공된다.
즉, 이종의 장기에 형성된 관통 홀(30)들로 각각 바디파트(110)의 양 단부를 집어 넣으면, 양 단부에 마련된 플래어파트(120)가 이종의 장기의 관통 홀(30)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랩파트(130)는 이종의 장기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종의 장기 내벽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두 장기는 서로 자연스럽게 붙게 된다.
또한, 상술한 문합술용 스텐트(100)는 각 부분 별로 따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파트(110), 플래어파트(120), 및 플랩파트(130)는 그물망 구조로 금속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연결통로(112)를 제공하는 바디파트(110)의 외측에는 연결통로(112)의 밀폐를 위하여 얽힌 금속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140)이 제공된다.
또한, 이종의 장기가 각각 본 실시예와 같이 위 및 소장에 해당하는 경우, 바디파트(110)의 길이는 도 3에서 ‘D’로 표시되며, 20 내지 30㎜인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범위보다 짧으면 위장과 소장의 두께를 고려할 때, 두 장기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12)가 짧게 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면 소장의 직경을 고려할 때, 소장 쪽에 배치되는 바디파트(110)의 단부가 소장 내벽에 닿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래어파트(120)가 차지하는 길이 역시 대략 5~6㎜가 적당하며, 도 3에서 ‘C’로 표시된다. 즉, 플래어파트(120) 및 바디파트(110)의 전체적인 길이(F)는 30~42㎜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통로의 내경(A)은 10 내지 30㎜가 바람직하며, 역시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음식물을 고려하여, 상기 통로의 범위가 적절할 수 있다.
또한, 플래어파트의 외경(B)은 2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며, 플래어파트(120)의 외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플래어파트(120)가 장기 내벽을 마주하는 면적이 너무 좁아지게 되어 문합술용 스텐트(100)가 관통 홀(30)에서 빠져나올 염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시술 시에 장기에 관통 홀(30)로 플래어파트(120)를 집어 넣거나, 추후 문합술용 스텐트(100)를 제거할 때, 장기에 관통 홀(30)로 플래어파트(120)를 빼내는 것이 용이치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위 20:공장
30:관통 홀 100:문합술용 스텐트
110:바디파트 112:연결통로
120:플래어파트 130:플랩파트
140:커버필름

Claims (10)

  1. 이종의 장기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홀 주변을 서로 문합하는 문합술에 사용되는 문합술용 스텐트에 있어서,
    양쪽 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
    상기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되, 상기 바디파트의 중심에서 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면과 마주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래어파트; 및
    상기 플래어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바디파트의 단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져,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측을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 홀 주변이 서로 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플랩파트;
    를 포함하여,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며, 상기 바디파트, 상기 플래어파트, 및 상기 플랩파트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어파트는 상기 바디파트의 중심에서 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상기 바디파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0° 초과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파트는 상기 바디파트의 단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상기 바디파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이상 60°이하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파트는 상기 바디파트의 외주를 따라서 복수 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파트는 상기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 주변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장기가 각각 위 및 소장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바디파트의 길이는 2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내경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어파트의 외경은 20㎜ 이상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
KR1020120032375A 2012-03-29 2012-03-29 문합술용 스텐트 KR10150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75A KR101501614B1 (ko) 2012-03-29 2012-03-29 문합술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75A KR101501614B1 (ko) 2012-03-29 2012-03-29 문합술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13A KR20130110413A (ko) 2013-10-10
KR101501614B1 true KR101501614B1 (ko) 2015-03-11

Family

ID=4963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375A KR101501614B1 (ko) 2012-03-29 2012-03-29 문합술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6852A1 (en) * 2017-09-01 2019-03-07 Nasser Rafiee PERCUTANEOUS DERIVA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179156B2 (en) 2015-09-15 2021-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vices and methods for effectuating percutaneous glenn and fontan proced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10B1 (ko)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CA3068965C (en) 2017-07-07 2022-02-15 W. L. Gore & Associates, Inc. Stomach lining patch with central fixation
EP3648684A1 (en) * 2017-07-07 2020-05-13 W. L. Gore & Associates, Inc. Stomach lining funnel with anastomosis
KR102149135B1 (ko) 2018-01-17 2020-08-31 서울대학교병원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EP3741331A1 (en) 2019-05-24 2020-11-25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tent for connecting dissimilar organs with pigtail structure
WO2022187560A1 (en) * 2021-03-03 2022-09-09 BALCOM, Alexis Percutaneous shu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189A1 (en) * 1997-12-09 2001-09-06 Taylor Thomas V. Sutureless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peroral implantation thereof
WO2004087236A2 (en) * 2003-03-28 2004-10-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tent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nastomosis
JP2007517603A (ja) * 2004-01-09 2007-07-0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用ステン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189A1 (en) * 1997-12-09 2001-09-06 Taylor Thomas V. Sutureless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peroral implantation thereof
WO2004087236A2 (en) * 2003-03-28 2004-10-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tent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nastomosis
US20050049675A1 (en) * 2003-03-28 2005-03-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2007517603A (ja) * 2004-01-09 2007-07-0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用ステント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156B2 (en) 2015-09-15 2021-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vices and methods for effectuating percutaneous glenn and fontan procedures
US11871928B2 (en) 2015-09-15 2024-01-16 Transmural System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effectuating percutaneous shunt procedures
WO2019046852A1 (en) * 2017-09-01 2019-03-07 Nasser Rafiee PERCUTANEOUS DERIVA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90231510A1 (en) * 2017-09-01 2019-08-01 Transmural Systems Llc Percutaneous shu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13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614B1 (ko) 문합술용 스텐트
US8828074B2 (en) Stent graft having short tube graft for branch vessel
TW580377B (en) Everting staple devices and methods
JP6162690B2 (ja) 高めた抗遊走性を備える管腔内デバイス及び管腔内の方法
CN100522079C (zh) 用于肥胖症治疗的设备和方法
US66825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multiple sutures
ES2276238T3 (es) Dispositivo de anillo de anastomosis desplegable.
US20040186489A1 (en) Anastomosis device
BRPI0502373A (pt) Prendedor cirúrgico aperfeiçoado
JPH10507650A (ja) 外科用ステープル打ち器具及びその方法
USD912819S1 (en) Suture needle having a rotatable joint
KR20200047761A (ko) 문합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9135B1 (ko)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KR20150102567A (ko) 문합술용 고정기구
USD920512S1 (en) Folded suture needle
JP2004167214A (ja) 血管把持具
JP3425417B2 (ja) 胃の仕切り用クランプ
KR20130110421A (ko) 역류방지 밸브를 갖는 스텐트
JP5960239B2 (ja) 解剖学的管を連結するための人工器官
USD936828S1 (en) Bendable suture needle
JP2020162753A (ja) 医療デバイス
US20210236129A1 (en) Luminal apposition devices
KR101598704B1 (ko) 이중 봉합부를 포함하는 복합이식편
EP2422838B1 (en) Implantable central venous port
KR101810056B1 (ko) 비대칭형 식도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25

Effective date: 2015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