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785A -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785A
KR20110125785A KR1020100045342A KR20100045342A KR20110125785A KR 20110125785 A KR20110125785 A KR 20110125785A KR 1020100045342 A KR1020100045342 A KR 1020100045342A KR 20100045342 A KR20100045342 A KR 20100045342A KR 20110125785 A KR20110125785 A KR 2011012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mall intestine
cylindrical body
shape memory
memory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민
명병철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4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785A/ko
Publication of KR2011012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장을 수술한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음식물이 봉합부위와 접촉으로 염증발생 및 염증으로 인한 봉합부위의 터짐을 방지되도록 하여 치유 시간을 단출할 수 있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가닥 또는 그 이상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를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되, 양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를 갖으며 다수개의 절곡단이 원주를 따라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와 원통형 몸체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을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의 절곡단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을 연결하며, 상기 확관부는 소장의 수술 부위에 비 접촉되게 내벽면을 지지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는 소장의 구부러진 부분에 시술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소장에 수술을 시행하고 봉합한 후 봉합부위에 음식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봉합부위의 오염방지를 통해 염증발생 및 염증으로 인한 터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Small intestine operation for Non-food contact stent}
본 발명은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장을 수술한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음식물이 봉합부위와 접촉으로 염증발생 및 염증으로 인한 봉합부위의 터짐을 방지되도록 하여 치유 시간을 단출할 수 있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장이란 위와 대장 사이에 있는 길이 6∼7m에 이르는 소화관으로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분을 소화·흡수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소장은 위에서부터 십이지장·공장(空腸)·회장(回腸)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소장 내면의 점막에는 윤상으로 뻗어 있는 수많은 주름이 있고 그 표면에 융모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 융모 사이로 장선이 열려 있어 장액을 이곳으로 분비한다.
더욱 자세하게, 소장은 위액에 의해 암죽처럼 된 음식물은 소장을 통과하는 사이에 소장벽에서 분비되는 장액, 간에서 만들어지는 쓸개즙, 이자에서 나오는 이자액 등과 혼합된다.
그리고, 소장은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분을 소화·흡수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소장은 위에서부터 십이지장·공장(空腸)·회장(回腸)의 세 부분으로 구분한다. 공장과 회장의 길이의 비는 약 2:3 정도며, 십이지장은 후복벽(後腹壁)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으나, 공장과 회장은 복강 속에 길게 퍼져서 장간막에 의하여 복벽에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다 장간막의 길이가 15∼25cm나 되므로, 공장과 회장은 가동성이 크다. 공장과 회장을 합쳐서 유장간막소장(有腸間膜小腸)이라고 한다.
이러한, 공장은 회장보다 약간 굵고 벽이 두꺼우며, 혈관의 분포도 공장에 많다. 시체를 해부했을 경우 공장은 내용물이 비어 있는 경우가 많다. 회장은 복강 속에서 꾸불꾸불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되었다. 소장 내면의 점막에는 윤상(輪狀)으로 벋어 있는 수많은 주름이 있고, 주름의 표면에는 융모(絨毛)라고 하는 길이 0.5∼1mm되는 점막돌기가 빽빽하게 돋아 있다. 융모 사이로 점막조직에 들어 있는 장선(腸腺)이 열려 있어, 장액을 이곳으로 분비한다. 윤상의 주름은 십이지장과 공장에는 많으나 회장에는 적다.
또한, 소장 점막에는 특수한 림프조직이 발달해 있는데, 이것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지름 1∼1.5mm인 고립림프소절이다. 이것은 흰색을 띤 돌출물처럼 보이며, 장 전체에 퍼져 있다. 다른 하나는 지름 2∼10cm인 집합림프소절이다. 이것은 고립림프소절이 밀집한 것으로, 긴장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소절의 장축은 장의 긴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데, 그 수는 약 15∼30개 정도다. 장결핵이나 장티푸스 등에 걸리면, 이 부분에서 궤양(潰瘍)이 생긴다. 소장의 기능에는 운동기능·분비기능·흡수기능의 세 가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소장에는 여러 가지 질병들이 발생되는데 대표적으로 크론병, 장폐색, 장의 게실성 질환, 장결핵, 고래회충증, 여행자설사, 장 중첩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소장 관련 질병은 약물 등을 이용한 비 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을 통하여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수술을 통해 수술을 할 경우 수술부위를 봉합한 후 일정 기간 음식물의 접촉을 방지하며 치유기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소장의 수술을 통한 봉합부위는 치유 시간이 길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음식물이 봉합부위에 접촉하게 되면 봉합부위에 염증이 발생되거나 염증이 심해질 경우 봉합부위가 터져 재 수술을 해야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치료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장에 수술을 시행하고 봉합한 후 봉합부위에 음식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봉합부위의 오염방지를 통해 염증발생 및 염증으로 인한 터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비 접촉되어 봉합부위의 오염 방지 및 염증이 발생되지 않아 치료기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피막을 PTFE이나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음식물의 이탈방지와 지지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가닥 또는 그 이상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를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되, 양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를 갖으며 다수개의 절곡단이 원주를 따라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와 원통형 몸체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을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의 절곡단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을 연결하며, 상기 확관부는 소장의 수술 부위에 비 접촉되게 내벽면을 지지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는 소장의 구부러진 부분에 시술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장에 수술을 시행하고 봉합한 후 봉합부위에 음식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봉합부위의 오염방지를 통해 염증발생 및 염증으로 인한 터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물이 비 접촉되어 봉합부위의 오염 방지 및 염증이 발생되지 않아 치료기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피막을 PTFE이나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음식물의 이탈방지와 지지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의 일측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걸림스텐트에 제거용걸림줄이 연결된 일측 정면도,
도 4의 (a)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서 PTFE 재질의 제1와이어의 내측으로 제1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이며, (b)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서 제1와이어의 외측으로 PTFE 재질의 제1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
도 5는 걸림스텐트의 제2와이어의 표면 및 공간부에 실리콘 재질의 제2,3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가 소장에 시술된 시술 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만 방지 전용 스텐트는 한 가닥 또는 그 이상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11)를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2)를 형성하되, 양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3)를 갖으며 다수개의 절곡단(14)이 원주를 따라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15)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원통형 몸체(15)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15a)을 코팅 처리한다.
즉,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이 내주면에 형성되면 십이지장(300)을 지난 음식물이 와이어(11)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유동 마찰이 감소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면 소장(200)의 내벽면과 와이어(11)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3)와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13a)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확관부(13)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13b)을 코팅처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13c)을 연결할 수 있는데, 상기 제거용걸림줄(13c)은 한 쌍의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용 제2피막(13b)은 확관부(13)를 액상 실리콘에 침적, 소성하면 와이어(11)의 표면 및 이격된 공간을 폐쇄하는 막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은 와이어(11)의 내주면(a 도면참조) 또는 외주면(b 도면참조)에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확관부(13)는 소장(200)의 수술 부위에 비 접촉되게 내벽면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원통형 몸체(15)는 소장(200)의 구부러진 부분에 시술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술장치인 카데터(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시술하게 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카데터의 내부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내부에 삽입되어 수술을 한 소장(200)의 내부로 시술되는데 이때, 상기 원통형 몸체(15)는 수술을 한 소장(200)의 봉합부위에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하며 한 쌍의 확관부(13)는 봉합부위를 벗어난 전,후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한다.
즉,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제1피막(15a)이 연질이며 부드러워 소장(200)이 구부러진 부분에서 유연하게 굴곡되어 시술이 가능하며, 확관부(13)의 제2피막(13b)은 제1피막(15a)보다 강성 및 탄성력이 강하여 소장(200)의 내벽면과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은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과 연결되는 쪽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곡률지게 형성되어 확관부(13)가 소장(200)의 내벽면을 가압하는 주변 내벽면과 걸림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확관부(13)는 곡률단(13a)이 소장(200)의 내벽면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십이지장(300)을 통과한 음식물이 확관부(13)와 소장(200)의 내벽면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치를 완료한다.
이렇게,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면 식도 -> 위 -> 십이지장의 순서를 통해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가 시술된 소장(200)으로 유입되면 확관부(13)의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이 소장(20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유동되는 음식물의 중량이나 속도에 의해 최초 시술 위치를 이탈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은 확관부(13)와 소장(200)의 내벽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두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내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3)의 제2피막(13b)은 소장(200)의 내벽면을 탄성력으로 밀어서 밀착하고,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가 소장(200)의 소화작용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확관부(13)는 제2피막(13b)이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소성이 된 실리콘은 연성이되, PTFE보다 탄성력이 우수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확관부(13)의 내부로 유동된 음식물은 원통형 몸체(15)를 지나 수술을 시행한 봉합부위와 음식물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대장쪽으로 직접 유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소장(200)을 수술받은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음식물이 봉합부위와 접촉되지 않고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통과해 비 수술 소장이나 대장쪽으로 직접 유동하여 봉합부위에 염증발생을 예방하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 시술한 후 소장(200)의 봉합부위 치료가 완료되어 제거하기 위해서는 카데터를 이용하여 확관부(13)에 연결된 제거용걸림줄(13c)을 당기면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길이는 신장하면서 부피는 축소시켜 카데터 내부로 삽입시켜 인체 밖으로 배출, 제거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형상기억합금스텐트 11 : 와이어
12 : 공간부 13 : 확관부
13a : 곡률단 13b : 제2피막
13c : 제거용걸림줄 14 : 절곡단
15 : 원통형몸체 15a : 제1피막
200 : 소장 300 : 십이지장

Claims (3)

  1. 한 가닥 또는 그 이상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11)를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2)를 형성하되, 양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3)를 갖으며 다수개의 절곡단(14)이 원주를 따라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15)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5)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15a)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와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13a)을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13)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13b)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13c)을 연결하며,
    상기 확관부(13)는 소장(200)의 수술 부위에 비 접촉되게 내벽면을 지지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5)는 소장(200)의 구부러진 부분에 시술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은 PTFE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와이어(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제2피막(13b)은 걸림스텐트(20)를 액상 실리콘에 침적, 소성하면 와이어(11)의 표면 및 이격된 공간을 폐쇄하는 막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KR1020100045342A 2010-05-14 2010-05-14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KR20110125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2A KR20110125785A (ko) 2010-05-14 2010-05-14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2A KR20110125785A (ko) 2010-05-14 2010-05-14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85A true KR20110125785A (ko) 2011-11-22

Family

ID=4539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42A KR20110125785A (ko) 2010-05-14 2010-05-14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17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비씨엠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CN107736908A (zh) * 2015-02-04 2018-02-27 M.I.泰克株式会社 用于连接的支架
WO2019198969A1 (ko) * 2018-04-12 2019-10-17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17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비씨엠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CN107736908A (zh) * 2015-02-04 2018-02-27 M.I.泰克株式会社 用于连接的支架
WO2019198969A1 (ko) * 2018-04-12 2019-10-17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KR20190119402A (ko) * 2018-04-12 2019-10-22 (주) 태웅메디칼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46B1 (ko) 위 절제 후 음식물 의한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JP6863833B2 (ja) ストーマ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医療装置
WO2018045795A1 (zh) 管腔支架及管腔支架系统
JP4347705B2 (ja) 腸管手術患者の便迂回のための医療用腸管管理器
US20190015227A1 (en) Luminal stent
JP2019134922A (ja) ステント部材
JP5185987B2 (ja) 前立腺尿道拡張用ステント
WO2017114305A1 (zh) 管腔支架
CN105873547B (zh) 腔内装置
US20120004676A1 (en) Intragastric Implant Devices
JP2012501205A5 (ko)
JP2013532013A (ja) 一時的な胃腸保護装置
JP2003525692A (ja) 医療用具
CN203291065U (zh) 一种器官连接支架
WO2014161446A1 (zh) 一种十二指肠内覆膜
US20220142796A1 (en) Covered stent
WO2019042202A1 (zh) 覆膜支架
WO2015147381A1 (ko) 역류방지 스텐트
KR20110125785A (ko) 소장이나 대장의 수술 및 염증 부위에 음식물 접촉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CN107468388A (zh) 一种可变柱囊消化道扩张支架
WO2017022956A1 (ko) 체중 저감용 스텐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1238719B1 (ko) 비만 치료용 스텐트
CN209474880U (zh) 一种适用于治疗无狭窄或梗阻的食管损伤的食管覆膜记忆支架
US20220134067A1 (en) Medical drainage stent
CN210785934U (zh) 一种医用引流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