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23373A1 -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23373A1
WO2014123373A1 PCT/KR2014/001029 KR2014001029W WO2014123373A1 WO 2014123373 A1 WO2014123373 A1 WO 2014123373A1 KR 2014001029 W KR2014001029 W KR 2014001029W WO 2014123373 A1 WO2014123373 A1 WO 20141233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opolymer
aromatic vinyl
polymer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0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동철
안병우
신종욱
김종량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EP14749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55204B1/en
Priority to CN201480007654.5A priority patent/CN104968726B/zh
Priority to ES14749357T priority patent/ES2698355T3/es
Priority to JP2015555926A priority patent/JP6378211B2/ja
Priority to US14/765,942 priority patent/US9777151B2/en
Publication of WO20141233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23373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resin 2: proper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ymer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providing a synthetic resin exhibit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roved heat resistance or impact resistance.
  • Polyester resins are widely used as reinforcing plastics, paints, films, molding resins, etc. due to their relatively excellent hea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elastic strength. Recently, due to its characteristic properties, polyester resins are increasingly used in fields such as building interior materials or molded signboards. However, polyester resins have lower heat resistance than other polymer materials, for example, acrylic materials or polycarbonate materials, and thus have a problem of being unsuitable for use as outdoor exterior materials having severe seasonal temperature changes.
  • polycarbonate water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xterior, packaging materials, cases, boxe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d electronic products.
  • These polycarbonate resins are in high demand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but the appearance color of the polycarbonate changes or cracks are generated by various detergents, women's cosmetics, and baby hand sanitizers commonly used in the marke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eterioration of.
  •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polyester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have different melt viscosities and molecular structures, there is a certain limit in improving heat resistance by simply blending them.
  •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to increase the chemical resistance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especially heat resistance,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hemical resistance was not sufficient to be practically applicable to industrial applications, and the appearance of the resin product manufactured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 a method of further blending one or more materials has also been attempted, bu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n appropriate level of chemical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mer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providing a synthetic resin exhibit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roved heat resistance or impact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sidue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residue of a dial component containing dianhydronuclear;
  • the polyester copolymer,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nd alkyl methacrylate- With 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 It may comprise 1 to 80% by weight of one or more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5 to 90% by weight of polycarbonate.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an aromatic vinyl-aromatic maleimide-maleic anhydride copolymer, an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aromatic maleimide copolymer, an aromatic vinyl-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and an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 I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 the polyester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100,000,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0 to 200 ° C.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4 to 20 carbon atoms. have.
  • the dianhydronuclear may be isosorbide in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content of dianhydronucleic acid in the polyester copolymer may be 5 to 60 mol%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otal diol component.
  • the diol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s 1 2 and 3 below.
  • 3 ⁇ 4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carbon number 1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of 5 to 5, and n 2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to 3.
  • Ri, R 2 , 3 ⁇ 4 and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 n is an integer of 1 to 7.
  • the diol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1,4-cyclonucleodiol diol and ethylene glycol.
  •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is in the form of a core-shell rubber (Core-Shell Rubb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5 / / m, the graft rate is 5 to 90%, the core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re) is -20 ° C or less,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hell may be 20 ° C or more.
  • the unsaturated nitrile in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is composed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hacrylonitrile, phenylacrylonitrile, and ⁇ -chloroacrylonitril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 the diene rubber in the graft copolymer may be butadiene rubber or isoprene rubber.
  • the aromatic vinyl in the graft co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 -methylstyrenevinylluene, t-butylstyrene, halogen-substituted styrene, 1,3-dimethylstyrene, 2,4-dimethylstyrene, and ethylstyre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may be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the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may be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the alkyl methacrylate-silicone / alkyl acrylate graft copolymer may be a methyl methacrylate-silicone / butyl acrylate graft copolymer.
  • the polycarbonate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to 20CTC,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200,000.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is a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copolymer, an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 glycidyl methacrylate-based compatibilizer, an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maleic anhydride-based compatibilizer, saturated ethylene-alkyl acrylate It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dyl methacrylate-based compatibilizer, and carbodiimide-based hydrolysis agent.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t least 1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lubricants, light stabilizers, light absorbers, transesterification inhibitors, and hydrolysis agents. have.
  • a polymer resin composition which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can provide a synthetic resin having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roved heat resistance or layer resistance, and a synthetic resin or a resin molded product obtained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sidue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a residue of a dial component containing dianhydronuclear;
  •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nd alkyl methacrylate ⁇ 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 It provides a 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o-polymer.
  • a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sidue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terephthalic acid and a residue of a diol component including dianhydronuclear;
  • a 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opolymer may be provided.
  •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ors proceed with the research on the resin composition,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or layer resistance, specific polyester co-polymer; And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s, Excellent in polymer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s and at least one co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methacrylate-silicone / alkyl acrylate graft copolymers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or impact resistance was completed, and completed the invention.
  • polyester copolymer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conventional methods and apparatuses used to prepare blends or mixtures of polymer resins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polyester copolymers For example, polyester copolymers; And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s,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s, and alkylmethacrylate-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s.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be provided by adding one or more selected copolymers to a conventional mixer, mixer, or tumbler and mixing the same through a twin screw extruder.
  • each of the resins are preferably used in a sufficiently dried state.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comprise 1 to 80% by weight of one or more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s.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5 to 90% by weight of polycarbonate.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is an aromatic vinyl-aromatic maleimide-maleic anhydride copolymer,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aromatic maleimide copolymer, aromatic vinyl-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and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 I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
  • the content of 1 to 8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may be improved heat resistance of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impact strength in the case of general high impact applications and heat resistance of 85 to 90 ° C., and heat resistance of 90 to 100 ° C. for high impact applications.
  • the heat resistance can be designed above 100 ° C.
  • polycarbonate is used for high heat resistance over 100 ° C, but polycarbonate is not used for general high impact and heat resistant high impact applications, and aromatic vinyl-aromatic maleimide-maleic anhydride copolymer, aromatic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unsaturated nitrile-aromatic maleimide copolymers, aromatic vinyl-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s, and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 ⁇ ⁇ methyl aromatic vinyl copolymers.
  • 'residue' means a certain part or unit included in the result of the chemical reaction and derived from the specific compound when the specific compound participates in the chemical reaction.
  • each of the 'residues'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the 'residues' of the diol component is derived from a diol component or part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a polyester formed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ans the derived part.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a dicarboxylic acid such as terephthalic acid, an alkyl ester thereof (monomethyl, monoethyl, dimethyl, diethyl or dibutyl ester) and a lower alkyl ester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 or their It is used to mean acid anhydride, and can react with a diol component to form a dicarboxylic acid nioiety such as a terephthaloyl moiety.
  • the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or weather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produced for example, prevention of molecular weight reduction phenomenon or sulfur change phenomenon by UV), etc.
  •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n be improved.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a mixture thereof as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eans all components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among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is carbon number
  •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8 to 20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4 to 20 carbon atoms.
  •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8 to 14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include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such as isophthalic acid an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phenyl dicarboxylic acid, 4,4'- stilbendicarboxylic acid, 2, 5-furanedicarboxylic acid, 2, 5 ⁇ thiophene dicarboxylic acid, etc., but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having 4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4 to 12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include cyclocarboxylic acid dicarboxylic acid such as 1,4-cyclonucleic acid dicarboxylic acid, 1,3-cyclohexanedicarboxylic acid, phthal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 isodecyl succinic acid, Linear, branched, or cyclic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glutaric acid, azelaic acid,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50 to 100 mol 3 ⁇ 4>, preferably 70 to 100 mol% terephthalic acid; And 0 to 50 mol%, preferably 0 to 30 mol% of at least one dicarboxyl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If the content of terephthalic acid 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too small or too larg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or weather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may be lowered.
  • the diol component (diol component) used in the synthesis of the polyester may include 5 to 60 mol% of dianhydronuclear, 5 to so of cyclohexane dimethan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other diol compounds.
  • the diol component preferably comprises isosorbide (l, 4: 3,6-dianhydroglucitol) as dianhydronuclear. Therefore, not only the heat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produced can be improved, but also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an be improved.
  • the content of cyclonucleodimethanol eg, 1,2-cyclonucleodimethanol, 1,3-cyclonucleodimethane or 1,4-cyclonucleodimethanol
  •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produced may increase significantly.
  • the diol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dio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isosorbide and cyclonucleic acid dimethanol.
  • the 'other diol component' means a diol component except for the isosorbide and cyclohexane dimethane, and may be, for example, an aliphatic diol, an aromatic dio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iol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2) and (3).
  • Ri,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2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to 3.
  • 3 ⁇ 4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 n is an integer of 1 to 7.
  • the diol component of the polyester resin may include 5 to 60 mol% of dianhydronuclear.
  • the content of the diol component increase dianhydronuclear is less than 5 mol%, the heat resistance or chemical resistance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prepared may be unsatisfactory, and the melt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the polyester resin may not appear.
  • the content of the dianhydronucleic acid exceeds 60 mol%, the polyester resin or the product may have a deterioration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or yellowing.
  • the polyester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100,000,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0 to 200 ° C.
  • the polyester resin is dicarboxylic acid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diol component containing 5 to 60 mol% of dianhydronucleoisoisosorbide, 5 to 80 mol% of cyclohexane dimethyl methan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other diol compounds Esterifying the acid component; Adding a phosphorus stabilizer whe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ceeds at least 80%; And it may be provid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resin comprising the step of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containing a zinc compound is used, and at the end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for example, a phosphorus stabilizer i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t a time when the reaction proceeds at least 80%.
  • a polyester resin exhibit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igh heat resistance, flame retardant properties and layer toughness and excellent appearance properties, high transparency and excellent molding properties.
  • the esterification step may be achieved by reacting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diol component at a pressure of 0 to 10.0 kg / cin 2 and a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ndition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polyester to be produced, the molar ratio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glycol, or process conditions. Specifically, preferred examples of the esterification conditions, 0 to 5.0 kg / ciif, more preferably 0.1 to 3.0 kg / cui 2 pressure; A temperature of 200 to 270 ° C, more preferably 240 to 260 ° C can be mentioned.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in a batch or continuous manner, and each raw material may be added separately, but it is preferable to ad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o the diol component in the form of a mixed slurry.
  • the diol component such as dianhydronuclear, which is a solid content at room temperature, can be dissolved in water or ethylene glycol, and then mixed with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terephthalic acid to form a slurry.
  • a slurry may also be prepared by mix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uch as tetephthalic acid and other dial components.
  • water may be added to a slurry in which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 dianhydronuclear and a copolymerized di-component, such as ethylene glycol, are added, to help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slurry.
  • the molar ratio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diol component participating i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1: 1.05 to 1: 3.0.
  • the unbanung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remain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o reduce transparency of the resin, and when the molar ratio exceeds 3.0, the polymerization reaction rate may be It may be lowered or the productivity of the resin may be lowered.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comprises the esterification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di-component.
  • the reaction product may include the step of reacting for 1 to 24 hours at 150 to 300 ° C temperature and reduced pressure conditions of 600 to 0.01 mmHg.
  • Such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the reaction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preferably 200 to 290 ° C, more preferably 260 to 280 ° C; And 600 to 0.1 ° Hg, preferably 200 to 0.05 mmHg, more preferably 100 to 0.1 mmHg.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ccurs outside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to 300 ° C, whe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s to 150 ° C or less,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may not b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system as a glycol by-product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Low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resin can be lowered, and when the reaction proceeds to 300 ° C or more, the appearance of the polyester resin to be produced becomes more likely to become yellow (yellow).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then proceed for the required time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reaches an appropriate level, for example for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1 to 24 hours.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urther adding a polycondensation catalyst.
  • a polycondensation catalyst may be added to the product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fore the initiation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prior to the esterification reaction, di is added to a mixed slurry comprising a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t may be added during the esterification reaction step.
  • a titanium compound, a germanium compound, an antimony compound aluminum compound, a tin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as the polycondensation catalyst.
  • examples of the titanium compound and the germanium compound are as described above.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nd alkyl methacrylate- At least one co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s.
  •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is in the form of a core-shell rubber (Core-She 11 Rubb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5 and a graft ratio of 5 to 90%,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below -20 ° C, the shell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above 20 ° C.
  •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is a core-shell rubber manufactured through a fusion polymerization or a bulk polymerization process, and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5 ⁇ m and a graft ratio of 5 to. 90%,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re is -20 ° C or less, the shell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20 ° C or more, and optionally the glycidyl methacrylate or maleic anhydride in the shell It may or may not include functional groups such as these.
  • the unsaturated nitril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hacrylonitrile, phenylacrylonitrile, and ⁇ -chloroacrylonitril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 the diene rubber in the graft copolymers may be butadiene rubber or isoprene rubber.
  • the aromatic vinyl in the graft co-polymers is a group consisting of styrene Q-methyl styrene vinylluene, t-butyl styrene, halogen-substituted styrene, 1,3- dimethyl styrene, 2, 4- dimethyl styrene, and ethyl styre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 the core-shell rubber (Core-Shell Rubber) is optionally in the form of a monomorphic distribution (Morphology) having a mean particle size of 0.01 to 5) (Morphology) or a multi-particle distribution of a mean particle size of 0.01 to 5 distribution of morphology (Morphology).
  • alkyl methacryl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have.
  • the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may be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the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is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 the alkyl methacrylate-silicone / alkyl acrylate graft copolymer may be a methyl methacrylate-silicone / butyl acrylate graft copolymer.
  • the polycarbonate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to 200 ° C,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200, 000.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may b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copolymer,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 glycidyl methacrylate compatibilizer,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 maleic anhydride compatibilizer, saturated ethylene-alkylacrylate-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dyl methacrylate-based compatibilizer, and carbodiimide-based hydrolysis agent.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copolymer is 80 wt% or less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glycidyl methacrylate compatibilizer is 50% by weight or less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maleic anhydride compatibilizer is 50 wt% or less
  • saturated ethylene-alkylacrylate-glycidyl methacrylate-based compatibilizer may be 50 wt% or less
  • carbodiimide-based hydrolysis agent may be included in 30 wt% or less.
  • the alkyl acryl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butyl acrylate, nucleosil acrylate, octyl acrylate and 2-ethyl nucleo acrylate. have.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 c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to 200 ° C,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10,000 to 5,000,000.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glycidyl methacrylate compatibiliz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to 200 ° C.,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300,000, and optionally an aromatic vinyl-glycidyl methacrylate. Can replace have.
  • the unsaturated nitrile-aromatic vinyl-maleic anhydride-based compatibiliz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to 200 ° C,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300,000, and the saturated ethylene-alk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 the system compatibiliz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50 to 20 CTC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300,000.
  • the carbodiimide-based hydrolysis agent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 to 300,000, and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or (5).
  • 3 ⁇ 4 and 3 ⁇ 4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36 carbon atoms.
  • R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6 to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lubricants, light stabilizers, light absorbers, transesterification inhibitors, and hydrolysis agents,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sidue and a residue of a diol component including dianhydronuclear; And
  • Unsaturated nitril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lkyl methacrylate—diene rubber-aromatic vinyl graft copolymer, and alkylmethacrylate-silicone / alkylacrylate graft copolymer It may comprise less than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base resin consisting of one or more copolymers.
  • the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 to 00,000.
  • the phosphite-based antioxida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ormula (6), (7) and (8).
  • Ri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40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 repeating unit substituted as an integer of 1 or more. .
  • R 2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from 1 to
  • the thioester-based antioxidant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9) or formula (10).
  • R 4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40 carbon atoms.
  • the lubrica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l stearate lubricants, amide lubricants, paraffin lubricants, and ester lubricants.
  • the light stabilizer and the light absorbent may be a Hals light stabilizer, a benzotriazole light absorber or a benzophenone light absorber.
  •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inhibitor may be a phosphorus compound containing a minimum hydroxyl functional group and an alkylester functional group or a hydrazine compound containing a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1).
  • the polym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in extender or a coupling agent including an glycidyl methacrylate unit, an inorganic additive, It may further comprise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ayer agent, a dye, a pigment, and a colorant.
  • a chain extender or a coupling agent including an glycidyl methacrylate unit an inorganic additive
  • It may further comprise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ayer agent, a dye, a pigment, and a colorant.
  • terephthalic acid-iso carbide -1, 4-cyclonucleodiol diol-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is eco-enzyme (EC0ZE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of SK Chemicals HR-181, a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is a core-shell rubber (Core— Shell) product of Kumho Petrochemical's core-shell rubber (Core-She 11 Rubber).
  • Rubber-type graft MBS product, M-511, polycarbonate is made by Samyang 3020PJ, acrylonitrile styrene-glycidyl methacrylate is manufactured by SUNNY FC of China, SAG-001 and phenolic primary oxidation stabilizer of ADEKA of Japan A0-60, a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as used S-9228 manufactured by DOVER, USA.
  • Tg 1301,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40,000
  • Example 3 3% by weight of 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ate, 0.2% by weight of a phenolic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and a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ere respectively added to uniformly extrude the mixture to prepare pellets.
  • a phenolic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and a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ere respectively added to uniformly extrude the mixture to prepare pellets.
  • Terephthalic acid-isosorbide -1, 4-cyclodiamino diol-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Tg: 130 " C,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4) using a biaxial kneading extruder ( ⁇ : 40 kPa, L / D 40)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ate 2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resin consisting of 70% by weight, 15%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nd 15% by weight of polycarbonate 0.2% by weight of the weight%, phenol-based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respectively, was added uniformly to the extrusion extrusion to prepare a pellet.
  • Tg 130 V,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40,000
  • a biaxial kneading extruder ⁇ : 40 k
  • the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was SAN-326 which is a Kumho Petrochemical Bulk SAN product, and the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as used by Igarfos 168 and P-EPQ of Clariant, Switzerland.
  • SAN-326 is a Kumho Petrochemical Bulk SAN product
  •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as used by Igarfos 168 and P-EPQ of Clariant, Switzerland.
  • Terephthalic acid-isosorbide -1, 4-cyclonucleic acid diol- 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Tg: 120 V,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0) using a biaxial kneading extruder ( ⁇ : 40 mm, L / D 40)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a resin consisting of 70% by weight, 15%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silicone / butyl acrylate graft copolymer, and 15% by weight of polycarbonate. 0.2 wt% of a 3 wt% rate, a phenolic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and a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ere respectively added, and uniform extrusion was carried out to prepare pellets. .
  • methyl methacrylate-silicone / butyl acrylate graft The copolymer used S-2001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of Japan, which is a graft MBS product in the form of a core-shell rubber (Core-She 11 Rubber).
  • S-2001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of Japan
  • graft MBS product in the form of a core-shell rubber (Core-She 11 Rubber).
  • the general polycarbonate used Samyang 30 Samy
  • Terephthalic acid-isosorbide-1,4-cyclodiacid di-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Tg: 120 V,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0
  • Tg 120 V,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0
  • Acrylonitrile based on 100% by weight of resin, consisting of 60% by weight,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10% polycarbonate 23% by weight, and 7% by weight styrene-N-phenylmaleimide-maleic anhydride -2 wt% of styrene-maleic anhydride, 0.2 wt% of a phenolic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and a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ere respectively added, and uniform extrusion was carried out to prepare pellets.
  • polycarbonate is 3030PJ of Samyang
  • styrene-N-phenylmaleimide-maleic anhydride is MS-NI of Japan Electrochemistry.
  • Acrylonitrile-styrene-maleic anhydride was used as SAM-002 product of SUNNY FC in China.
  • polycarbonate is 3030PJ of Samyang
  • styrene-N-phenylmaleimide-maleic anhydride MS-NI
  • acrylonitrile-styrene-maleic anhydride of DENKI KAGAKU is a compatibilizer of China SUNNY FC SAM-002 product was used.
  • polycarbonate is 3030PJ of Samyang Corporation
  • styrene-acrylonitrile-N-phenylmaleimide is P-1460
  • acrylonitrile-styrene-maleic anhydride of NIPPON SH0KUBAI Japan Nippon Catalyst (SUNNY FC) SAM-002 product was used.
  • Terephthalic acid-isosorbide -1, 4-cyclodiacid di-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Tg: 95 ° C,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 using a biaxial kneading extruder ( ⁇ : 40 kPa, L / D 40) Only) 50% by weight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nd 100% by weight of acrylonitrile- ⁇ -methylstyrene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0.5% by weight of methacrylate, 0.2% by weight of phenol-based primary oxidative stabilizer and phosphite secondary oxidative stabilizer were respectively added, and uniform extrusion was performed to prepare pellets.
  • acrylonitrile- ⁇ -methylstyrene was used as a compatibilizer for VAG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ate of STYR0LUTI0N in Germany, and SAG-005 of SUNNY FC in China.
  • Example 15 acrylonitrile- ⁇ -methylstyrene was used as a compatibilizer for VAG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ate of STYR0LUTI0N in Germany, and SAG-005 of SUNNY FC in China.
  • Terephthalic acid-isosorbide -1, 4-cyclodiacid di-ethylene glycol copolymer polyester Tg: 110 ° C,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0
  • acrylonitrile- ⁇ -methylstyrene was used as a compatibilizer for VAG acrylonitrile-styrene-glycidyl methacrylate of STYR0LUTI0N in Germany, and SAG-005 of SUNNY FC in China.
  • Melt index tester Melt index was measured using Flow Indexer, Davenport).
  • MA-based compatibilizer maleic anhydride graft ethylene-octene copolymer
  • PLA-g-MA Maleic anhydride graft polylactic acid resin
  • Triaryl Isocyanate Triaryl Isocyanate from Tokyo Chemical Industries, Japan -Talc : Koch KC-3000
  • MMA-Talc Talc coated with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헥시톨을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내층격성또는내열성이 우수한고분자수지 조성물
【기술분야】
본발명은고분자수지 2:성물에 관한 것으로보다상세하게는 향상된 내열성 또는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수지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기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탄성 강도가 갖는 특징으로 인하여 강화 플라스틱, 도료, 필름, 성형용 수지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의복의 섬유 재료로도 쓰여지고 있다. 최근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그 특징적인 물성으로 인하여, 건축 내장재 또는 성형간판 등의 분야에 사용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플리에스테르 수지는 다른 고분자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재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재료에 비하여 내열성이 낮아,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심한 옥외용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수자는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 등의 우수한 특징으로 인하여, 각종 건축자재와 전자제품의 외관, 포장재질, 케이스, 박스,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많은 수요가 있으나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는 각종 세정제, 여성화장품, 유아용 손소독제등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의 외관 색상이 변하거나, 크랙이 발생하고, 여러가지 생활 케미칼에 의해 제품의 변질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블렌딩 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왔다.
또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ABS) 등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블렌딩하여 내층격도와 내열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는 친환경적인 바이오매스 제품이 아니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 점도 및 분자 구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단순히 블렌딩하는 것으로는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의 기계적 물성, 특히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내화학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내화학성의 향상 정도가 실제 산업상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제조되는 수지 제품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하나 이상의 재료를 배합하는 방법도 시도되었으나, 적정 수준의 내화학성을 발현시키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러한 수지들의 블렌드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내열성 또는 내층격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하는과제】
본 발명은 향상된 내열성 또는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수단】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한 디을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 및
불포화니트릴ᅳ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5 내지 90 중량 %, 상기 불포화니트릴ᅳ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8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90 중량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비닐-방향족 말레이미드-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방향족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방향족비닐 -α -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및 방향족비닐- 불포화니트릴 -α -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하나이상을더 포함할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C 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4 내지 20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안히드로핵시를은 아이소소바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안히드로핵시를의 함량은 전체 디을 성분의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60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올 성분은 하기 화학식 1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04_0001
상기에서, , , ¾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및 n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imgf000005_0001
상기에서, Ri, R2, ¾ 및 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imgf000005_0002
상기에서, n 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올 성분은 1,4- 사이클로핵산디올 및 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증합체는 코어-쉘 고무 (Core-Shell Rubber)형태로,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5//m이고 그라프트율이 5 내지 90%이고, 코어 (Core)의 유리전이온도가 -20°C 이하이고, 쉘 (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C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증합체에서 불포화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 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디엔계고무는 부타디엔형 고무 또는 이소프렌형 고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방향족비닐은 스티렌, α- 메틸스티렌비닐를루엔, t- 부틸스티렌, 할로겐치환스티렌, 1,3- 디메틸스티렌, 2 ,4-디메틸스티렌, 및 에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부틸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공중합체일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CT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블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ᅳ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 포화에틸렌- 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전체 조성물 대비 10중량 %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향상된 내열성 또는 내층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합성 수지 또는 수지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실시하가위한구체적인내용】
본발명은다양한변환을가할수있고여러 가지 실시예를가질수있는 바,특정 실시예들을상세한설명에 상세하게설명하고자한다.그러나,이는본 발명을 특정한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생략한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한 디을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 및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ᅳ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증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불포화니트릴-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ᅳ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증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ABS) 등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블렌딩하여 내층격도와 내열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는 친환경적인 바이오매스 제품이 아니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적이고 내열성 또는 내층격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특정 폴리에스테르 공증합체; 및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증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내열성 또는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고분자 수지의 블렌드 또는 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및 장치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통상적인 흔합기, 믹서기 또는 텀블러 등에 넣고 이축흔련압출기를 통해 흔합함으로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수지들 각각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5 내지 90중량 %,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증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8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90중량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비닐ᅳ방향족 말레이미드-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ᅳ방향족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방향족비닐 -α -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및 방향족비닐- 불포화니트릴—α -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1 내지 80중량 % 포함할경우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최종 용도에 따라서 일반 고충격 용도의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내열도는 85 ~ 90 °C, 내열 고충격 용도의 경우에는 내열도는 90 ~ 100°C, 고내열 고층격 용도의 경우에는내열도는 100°C 이상으로설계될수 있다. 이와같은용도에 따라서 100°C 이상의 고내열용도에서는폴리카보네이트를사용하나, 일반고충격 및 내열 고충격 용도의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방향족비닐-방향족 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 불포화니트릴-방향족 말레이미드공중합체, 방향족비닐 -α -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및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 -α ᅳ메틸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군으로부터 선택되는하나이상을더 포함할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 ' 잔기' 는 특정한 화합물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였을 때, 그 화학 반응의 결과물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일정한 부분 또는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 잔기' 또는 디올 성분의 ' 잔기' 각각은, 에스테르화 반웅 또는 축중합 반웅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 또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 디카르복실산 성분' 은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이의 알킬 에스테르 (모노메틸, 모노에틸, 디메틸, 디에틸 또는 디부틸에스테르 둥 탄소수 1 내지 4 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및 /또는 이들의 산무수물 (acid anhydride)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다올 성분과 반웅하여, 테레프탈로일 부분 (terephthaloyl moiety) 등의 디카르복실산 부분 (dicarboxylic acidnioiety)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아 테레프탈산을 포함함에 따라,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 내화학성 또는 내후성 (예를 들어, UV에 의한 분자량 감소 현상 또는 황변화 현상 방지)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기타의 디카르복샬산 성분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 기타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테레프탈산을 제외한 성분올 의미한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4 내지 20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흔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이소프탈산,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4,4' - 스틸벤디카르복실산, 2, 5-퓨란디카르복실산, 2,5ᅳ티오펜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흔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1,4-사이클로핵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사이클로핵산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픽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이산 등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있으나,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50 내지 100 몰 ¾>,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0 내지 50몰%,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테레프탈산의 함량이 너무 작거나 너무 크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 내화학성 또는 내후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 (diol component)은 디안히드로핵시를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핵산디메탄을 5 내지 so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디안히드로핵시를로써 아이소소바이드 (isosorbide, l,4:3,6-dianhydroglucitol )를 포함함에 따라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올 성분 (diol component)에서 사이클로핵산디메탄올 (예를 들어, 1,2- 사이클로핵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핵산디메탄을 또는 1,4- 사이클로핵산디메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층격 강도가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을 성분은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및 사이클로핵산디메탄올 이외로 기타의 디을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 기타의 디올 성분' 은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및 사이클로핵산디메탄을 제외한 디올 성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지방족 디올, 방향족 디을 또는 이들의 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올 성분은 하기 화학식 1,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11_0001
상기에서, Ri, ,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및 n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imgf000011_0002
상기에서, , , ¾ 및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imgf000012_0001
상기에서 , n 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을 성분은 5 내지 60 몰%의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을 성분 증 디안히드로핵시를의 함량이 5 몰% 미만이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 또는 내화학성이 불층분할 수 있으며,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점도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안히드로핵시를의 함량이 60 몰%를 초과하면, 플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제품이 외관 특성이 저하되거나 황변 (yellow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C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안히드로핵시를로 아이소소바이드 5 내지 60 몰%, 사이클로핵산디메탄을 5 내지 80 몰 % 및 잔량의 기타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과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에스테르화 반웅이 80% 이상 진행된 시점에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에 따라,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웅 촉매를 사용하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말기에, 예를 들어 반응이 80% 이상 진행된 시점에서 반응액에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결과물을 중축합 시키면, 높은 내열성ᅵ, 난연 특성 및 내층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외관 특성, 고투명도 및 우수한 성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사이클로헥산디메탄을, 아이소소바이드 및 기타 디을 화합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을 성분을 0 내지 10.0 kg/cin2 의 압력 및 150 내지 300 °C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웅 조건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특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글리콜의 몰비, 또는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의 바람직한 예로, 0 내지 5.0kg/ciif,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kg/cui2 의 압력; 200 내지 270°C,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C의 온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배치 (batch)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원료는 별도로 투입될 수 있으나, 디올 성분에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흔합한 슬러리 형태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고형분인 디안히드로핵시를 등의 디올 성분은 물 또는 에틸렌글리콜에 용해시킨 후,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흔합하여 슬러리로 만들 수 있다. 혹은 60°C 이상에서 디안히드로핵시를이 용융된 후, 테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기타 디을 성분을 흔합하여 슬러리도 만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 디안히드로핵시를 및 에틸렌글리콜 등의 공중합 디을 성분이 흔합된 슬러리에 물을 추가로 투입하여 슬러리의 유동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웅에 참여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을 성분의 몰비는 1:1.05 내지 1: 3.0 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디올 성분의 몰비가 1.05 미만이면, 중합반웅 시 미반웅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잔류하여 수지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몰비가 3.0을 초과할 경우 중합반응속도가 낮아지거나 수지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웅 생성물을 중축합 (poly-condensation) 반웅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을 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150 내지 300 °C 온도 및 600 내지 0.01 mmHg 의 감압 조건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축합 반웅은, 150 내지 300°C,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90 °C,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C의 반웅 온도; 및 600 내지 0.이隱 H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0.05 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0.1 mmHg 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웅의 감압 조건을 적용함에 따라서 중축합 반웅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계외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축합 반응이 400 내지 O.OlmmHg 감압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산물의 제거가 불층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웅이 150 내지 300°C 온도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경우, 축중합 반응이 150°C 이하로 진행되면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효과적으로 계외로 제거하지 못해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낮아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0 °C 이상으로 반응이 진행될 경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외관이 황변 (yellow)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중축합 반웅은 최종 반웅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적절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필요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평균 체류 시간 1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중축합 촉매를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축합 촉매는, 상기 중축합 반응의 개시 전에 에스테르화 반웅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웅의 생성물에 첨가될 수 있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전에 디을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는 흔합 슬러리 상에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화 반웅 단계 도중에 첨가할 수 도 있다.
상기 중축합 촉매로는, 티타늄계 화합물, 게르마늄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화합물 및 게르마늄계 화합물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블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쉘 고무 (Core-She 11 Rubber)형태로,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5 이고 그라프트율이 5 내지 90%이고, 코어 (Core)의 유리전이온도가 -20 °C 이하이고, 쉘 (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C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합중합 또는 벌크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 고무 (Core-Shell Rubber)로서, 평균 입자경이 0.01 ~ 5^m, 그라프트율이 5 ~ 90%, 코어 (Core)의 유리전이온도가 -20°C 이하, 쉘 (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 °C 이상이며, 선택적으로 쉘 (Shell)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말레산무수물 등의 관능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불포화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 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들에서 디엔계고무는 부타디엔형 고무 또는 이소프렌형 고무일 수 있다.
아을러, 상기 그라프트 공증합체들에서 방향족비닐은 스티렌 Q - 메틸스티렌비닐를루엔, t- 부틸스티렌, 할로겐치환스티렌, 1,3- 디메틸스티렌, 2, 4-디메틸스티렌, 및 에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쉘 고무 (Core-Shell Rubber)들은 선택적으로 평균입자경이 0.01 내지 5卿 인 단일입자분포 (Monomodal distribution) 형태의 모폴로지 (Morphology) 또는 평균입자경이 0.01 내지 5 인 다중입자분포 (Multimodal distribution) 형태의 모폴로지 (Morphology)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고,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부틸아크릴레이트그라프트공중합체일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 0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ᅳ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ᅳ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 포화에틸렌- 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는 80증량 ¾> 이하, 불포화니트릴ᅳ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50중량 % 이하,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는 50중량 % 이하, 포화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50중량 % 이하,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30중량 %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핵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0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200°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0이며, 선택적으로 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대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200°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200 내지 300,000 일 수 있으며, 상기 포화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는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20CT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 ,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300,000이고,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 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R1—— N=C=N— R2
상기 식에서, ¾ 및 ¾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6 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5]
Figure imgf000017_0001
상기 식에서, R 은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6 의 아릴기이고, n 은 2 내지 30,000 정수로서 평균중합도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게,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테레프탈산을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기본 수지 전체 대비 10중량 %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 내지 00,0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6, 화학식 7 및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imgf000018_0001
상기 식에서, 및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화학식 7]
Figure imgf000018_0002
상기 식에서, Ri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고, n 은 1 이상의 정수로서 치환된 반복단위를 나타낸다.
[화학식 8]
Figure imgf000018_0003
상기 식에서, ,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한편, 상기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9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일 수 있다.
[화학식 9]
[화학식 10]
Figure imgf000019_0001
상기 식에서,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40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상기 활제는,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활제, 아마이드계 활제, 파라핀계 활제, 및 에스테르계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 및 광흡수제는, 할스계 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 광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광흡수제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반웅 억제제는 최소한의 히드록실 관능기 및 알킬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히드라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imgf000019_0002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크 단위를 포함한 쇄연장제 또는 커플링제, 무기물 첨가제, 층전제, 염료, 안료,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본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를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것으로해석되지는않는다할것이다. 실시예 1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140 °C ,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증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 테레프탈산-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 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는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고충격 친환경수지인 에코젠 (EC0ZEN),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금호석유화학사의 코어-쉘 고무 (Core-She 11 Rubber)형태의 그라프트 ABS 제품인 HR-18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본 KANEKA 사의 코어-쉘 고무 (Core— Shell Rubber)형태의 그라프트 MBS 제품인 M-511,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0PJ , 아크릴로니트릴ᅳ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 사의 SAG-001,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 사의 A0-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이축흔련압출기 (Φ : 40誦,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1301,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ᅳ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증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증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축흔련압출기( Φ : 40瞧,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C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70 중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ᅳ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증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 ¾>,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증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랫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축흔련압출기( Φ : 40醒,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30 "C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4-사이클로핵산디올ᅳ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30 °C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무수물 3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ᅳ말레산무수물은 중국 SUNNY FC 사의 SAM-002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 이축흔련압출기( Φ : 40瞧,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30 °C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무수물 3 증량 %,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5 증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및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독일 Raschig 사의 9000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이축흔련압출기( Φ : 40隱,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30 V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65 중량 ¾,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20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무수물 3 중량 %,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5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및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이축흔련압출기( Φ : 40腿,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40 °C , 중량평균분자량 : 4 만) 7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ᅳ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중량 %,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10 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 2 종류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금호석유화학 Bulk SAN 제품인 SAN-326,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는 스위스 Clariant사의 Igarfos 168 및 P-EPQ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V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7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부틸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15중량 %, 및 폴.리카보네이트 15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
상기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부틸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쉘 고무 (Core-She 11 Rubber)형태의 그라프트 MBS 제품인 일본 Mitsubishi Rayon사의 S-2001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이축흔련압출기( Φ : 40誦,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증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C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70 중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중량 %, 일반 폴리카보네이트 10 중량 %, 및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 5 중량 %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일반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20PJ,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0PJ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V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60 중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폴리카보네이트 23 중량 %, 및 스티렌 -N-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7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ᅳ말레산 무수물 2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0PJ, 스티렌 -N- 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은 일본 전기화학의 MS-NI,.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은 상용화제로 중국 SUNNY FC 의 SAM-002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t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6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폴리카보네이트 23 중량 %, 및 스티렌 -N-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7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증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ᅳ말레산 무수물 2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0PJ, 스티렌 -N- 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은 일본 전기화학 (DENKI KAGAKU)의 MS-NI,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은 상용화제로 중국 SUNNY FC 의 SAM- 002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증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20 °C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60 중량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 폴리카보네이트 23 중량 %,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N-페닐말레이미드 7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 무수물 2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0PJ,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N-페닐말레이미드는 일본 일본촉매 (NIPPON SH0KUBAI)의 P- 146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은 상용화제로 중국 SUNNY FC 의 SAM-002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이축흔련압출기( Φ : 40画,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95 °C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50 중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중량 %, 및 아크릴로니트릴 -α-메틸스티렌 30 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중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 -α-메틸스티렌은 독일 STYR0LUTI0N 의 VL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상용화제로 중국 SUNNY FC 의 SAG-005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아이소소바이드 -1, 4-사이클로핵산디을-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Tg : 110 °C , 중량평균분자량 : 5 만) 50 증량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ᅳ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중량 %, 및 아크릴로니트릴 -α-메틸스티렌 30 중량 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 %에 대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 %, 페놀계 1 차 산화안정제, 포스파이트계 2 차 산화안정제를 각각 0.2 증량 % 첨가하여,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 -α-메틸스티렌은 독일 STYR0LUTI0N 의 VL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상용화제로 중국 SUNNY FC 의 SAG-005 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내지 5 이축흔련압출기 (Φ : 40mm, L/D = 40)를 사용하여, 하기 표 4 의 조성으로 성분들을 각각 첨가한 후, 균일하게 흔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고분자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 측정 >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5 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501 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시험편을 23±2°C, 50±5%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이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하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층격강도측정
ASTM D 256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 (Impact Tester, Toyoseiki)를 사용, 층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인장특성 측정
ASTM. D 63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 11 Z010)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신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 굴곡특성 측정
ASTM D 790 에 의거하여 ,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 11 Z010)를 사용하여 굴곡강도, 굴곡탄성를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 내열성 측정
ASTM D 64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열도시험기 (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5 : 용융지수 측정
ASTM D1238 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용융지수시험기 (Melt Flow Indexer , Davenport)를 사용하여 용융지수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imgf000028_0001
[표 3]
Figure imgf000028_0002
Figure imgf000029_0001
Figure imgf000030_0001
* 주)
- PLA : 미국 NatureWorks LLC사의 펄리유산 수지 3001D
- PLLA : 미국 NatureWorks LLC사의 L 타입 폴리유산 수지 Ingeo 3251D
- PDLA : 네덜란드 Purac 사의 폴리유산 수지
— PP : 호남석유화학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 PC : 저점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PE Elastomer :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 ABS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증합체
- SAN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 S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공중합체 一 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 MA계 상용화제 : 무수 말레인산 그라프트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 PLA-g-MA : 무수 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유산수지
- PE-GMA : 미국 Aldrich 사의 폴리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 PP-g-MA : 호남석유화학사의 폴리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 Nano-Clay : 미국 Southern Clay Products 사의 유기화 클레이 Cloisite 20A
- Triaryl Isocyanate : 일본 도쿄화학산업사의 트릴아릴 이소시아네이트 - Talc : Koch사의 KC-3000
- MMA-Talc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코팅된 Talc
- HI -WAX : 일본 Mitsui Chemicals사의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200P
- 1-245 : 송원산업사의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ganox 245 상기 측정 결과에서 불 수 있듯이, 실시예의 경우는 비교예에 비하여 내열성 또는 내층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그 성분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향상된 내열성 또는 내층격성 등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세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할것이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테레프탈산올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와, 디안히드로핵시를을 포함한 디올 성분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 및
블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ᅳ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증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5 내지 90중량 %,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80중량 ¾>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90중량 %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족비닐-방향족 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방향족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방향족비닐 -α -메틸방향족비닐 공중합체,및 방향족비닐-불포화니트릴 -α - 메틸 방향족비닐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군으로부터 선택되는하나이상을더 포함하는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 ,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0 °C 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6】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안히드로핵시를은 아이소소바이드인 고분자 수자조성물.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안히드로핵시를의 함량은 전체 디올 성분의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60몰%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9】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을 성분은 하기 화학식 1, 2, 및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imgf000033_0001
상기에서, , , ¾ 및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m 및 n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imgf000034_0001
상기에서, , R2, ¾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 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화학식 3]
Figure imgf000034_0002
상기에서, n 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올 성분은 1,4- 사이클로헥산디을 및 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쉘 고무 (Core-Shell Rubber)형태로,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이고, 그라프트율이 5 내지 90%이고, 코어 (Core)의 유리전이은도가 -20 °C 이하이고, 쉘 (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 °C 이상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불포화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 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디엔계고무는 부타디엔형 고무 또는 이소프렌형 고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방향족비닐은 스티렌, α- 메틸스티렌비닐를루엔, t- 부틸스티렌, 할로겐치환스티렌, 1,3- 디메틸스티렌, 2ᅳ 4-디메틸스티렌, 및 에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5】
거 11항에 있어서, 상기 블포화니트릴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엔계고무 -방향족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실리콘 /부틸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공중합체인고분자수지 조성물.
【청구항 18】
거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카보네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 C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19】
제 1항에 있어서,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 공중합체,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불포화니트릴- 방향족비닐—말레무수산계 상용화제, 포화에틸렌ᅳ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상용화제,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청구항 20]
제 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게,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웅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PCT/KR2014/001029 2013-02-06 2014-02-06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WO20141233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49357.1A EP2955204B1 (en) 2013-02-06 2014-02-06 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CN201480007654.5A CN104968726B (zh) 2013-02-06 2014-02-06 具有优良的抗冲击性或耐热性的聚合物树脂组合物
ES14749357T ES2698355T3 (es) 2013-02-06 2014-02-06 Composición de resina de polímero que presenta una resistencia al impacto o una resistencia al calor excelentes
JP2015555926A JP6378211B2 (ja) 2013-02-06 2014-02-06 耐衝撃性または耐熱性に優れた高分子樹脂組成物
US14/765,942 US9777151B2 (en) 2013-02-06 2014-02-06 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50A KR101922246B1 (ko) 2013-02-06 2013-02-06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13-0013450 2013-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3373A1 true WO2014123373A1 (ko) 2014-08-14

Family

ID=5129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029 WO2014123373A1 (ko) 2013-02-06 2014-02-06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7151B2 (ko)
EP (1) EP2955204B1 (ko)
JP (1) JP6378211B2 (ko)
KR (1) KR101922246B1 (ko)
CN (1) CN104968726B (ko)
ES (1) ES2698355T3 (ko)
WO (1) WO20141233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507A1 (en) * 2014-10-31 2016-05-04 Hyundai Motor Company Chemical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for a center fascia
CN105566877A (zh) * 2014-10-31 2016-05-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顶置控制台的耐化学性聚合树脂组合物
CN111225955A (zh) * 2017-10-16 2020-06-02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具有低双酚a含量的耐火的聚碳酸酯-丙烯酸酯-橡胶-组合物
CN111393587A (zh) * 2019-12-20 2020-07-10 赣州能之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元单体接枝abs高胶粉共聚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10B1 (ko) 2013-06-11 2019-11-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KR102049411B1 (ko) * 2013-06-11 2019-11-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WO2016032179A1 (ko) * 2014-08-25 2016-03-03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08846B1 (ko) * 2014-10-31 2021-01-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US10407605B2 (en) 2015-07-31 2019-09-10 Ticona Llc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US9862809B2 (en) 2015-07-31 2018-01-09 Ticona Llc Camera module
TWI708806B (zh) 2015-08-17 2020-11-01 美商堤康那責任有限公司 用於相機模組之液晶聚合物組合物
KR101912985B1 (ko) * 2015-12-10 2018-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FR3054551B1 (fr) * 2016-07-29 2019-08-02 Roquette Freres Composition polymere comprenant un polyester thermoplastique
KR102073762B1 (ko) * 2016-12-09 2020-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633535B2 (en) 2017-02-06 2020-04-28 Ticona Llc Polyester polymer compositions
KR102210030B1 (ko) 2017-12-11 2021-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 수지 조성물
CN111278913B (zh) * 2017-12-11 2022-04-26 株式会社Lg化学 耐热性树脂组合物
EP3749710A1 (en) 2018-02-08 2020-12-16 Celanese Sales Germany GmbH Polymer composite containing recycled carbon fibers
US11084925B2 (en) 2018-02-20 2021-08-10 Ticona Llc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KR20220005536A (ko) * 2019-04-26 2022-01-13 덴카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US20220315755A1 (en) 2019-06-28 2022-10-06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Mineral-reinforced co-polyester blend
CN114316498A (zh) * 2021-11-29 2022-04-1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abs/pl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06A (ko) * 1992-08-21 1994-03-14 최근선 내마모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이형압출 성형된 윤활지지체
JP2000313747A (ja) * 1999-04-30 2000-11-14 Japan Polychem Corp 光輝材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6137888A (ja) * 2004-11-15 2006-06-0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輝材含有樹脂組成物
KR20110028696A (ko) * 2009-09-14 2011-03-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9466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38B2 (ja) * 1989-07-26 1995-02-22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082897A (en) 1989-12-15 1992-01-21 Monsanto Company Polymer blends of polycarbonate, pctg and abs
JP2979615B2 (ja) * 1990-09-26 1999-11-15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塗装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063465A (en) * 1998-04-23 2000-05-16 Hna Holdings, Inc. Polyester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140422A (en) * 1998-04-23 2000-10-31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s including isosorbide as a comonomer blended with other thermoplastic polymers
DE19962841A1 (de) * 1999-12-23 2001-07-05 Basf Ag Schlagzäh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Polymermischungen auf der Basis von SO2-Copolymerisaten mit aliphatischer Hauptkette
US7015261B1 (en) * 2000-11-17 2006-03-21 Arkema Inc. Impact modifier combination for polymers
US6485819B2 (en) * 2000-12-19 2002-11-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ATE374226T1 (de) * 2002-07-29 2007-10-15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widrige polycarbonat-formmassen
EP1838770A1 (en) * 2004-09-14 2007-10-03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es for making low color 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polymers
JP4705822B2 (ja) * 2005-08-17 2011-06-22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TWI355401B (en) *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JP2008115295A (ja) * 2006-11-06 2008-05-22 Mirai Kasei Kk 超加工性高分子材料
US7655737B2 (en) 2006-11-16 2010-02-0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ester blends,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KR101405869B1 (ko) 2007-07-19 2014-06-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의 제조방법
KR20090021716A (ko) 2007-08-28 2009-03-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EP2108673A1 (en) * 2008-04-11 2009-10-14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Plastic film having a high breakdown voltage
JP2009275159A (ja) * 2008-05-16 2009-11-26 Toray Ind Inc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989116B1 (ko) * 2008-09-02 2010-10-20 제일모직주식회사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098126B1 (ko) 2008-09-24 2011-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JP2010077349A (ja) * 2008-09-29 2010-04-08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8796356B2 (en) 2009-09-23 2014-08-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8273849B2 (en) 2009-12-30 2012-09-2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sosorbide-based polycarbonate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5545732B2 (ja) * 2010-06-15 2014-07-09 三菱樹脂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フィルム
JP5664201B2 (ja) * 2010-12-15 2015-02-04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2604360B (zh) * 2012-03-30 2014-06-18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pc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49411B1 (ko) 2013-06-11 2019-11-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49410B1 (ko) * 2013-06-11 2019-11-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KR102046493B1 (ko) * 2013-06-28 2019-11-19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KR102042692B1 (ko) * 2013-06-28 2019-11-0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내열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56154B1 (ko) * 2014-02-07 2019-12-1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리모콘 베젤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119444B1 (ko) * 2014-10-31 2020-06-1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센터페시아용 내화학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US9965513B2 (en) * 2014-11-25 2018-05-08 Sap Se Set-orientated visibility state retrieval sche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06A (ko) * 1992-08-21 1994-03-14 최근선 내마모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이형압출 성형된 윤활지지체
JP2000313747A (ja) * 1999-04-30 2000-11-14 Japan Polychem Corp 光輝材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6137888A (ja) * 2004-11-15 2006-06-0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輝材含有樹脂組成物
KR20110028696A (ko) * 2009-09-14 2011-03-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9466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507A1 (en) * 2014-10-31 2016-05-04 Hyundai Motor Company Chemical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for a center fascia
CN105566877A (zh) * 2014-10-31 2016-05-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顶置控制台的耐化学性聚合树脂组合物
CN105566879A (zh) * 2014-10-31 2016-05-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中心仪表的化学耐腐蚀聚合物组合物
JP2016089162A (ja) * 2014-10-31 2016-05-23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用耐薬品性高分子樹脂組成物
US9580596B2 (en) 2014-10-31 2017-02-28 Sk Chemicals Co., Ltd. Chemical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for a center fascia
CN111225955A (zh) * 2017-10-16 2020-06-02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具有低双酚a含量的耐火的聚碳酸酯-丙烯酸酯-橡胶-组合物
CN111393587A (zh) * 2019-12-20 2020-07-10 赣州能之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元单体接枝abs高胶粉共聚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5204A1 (en) 2015-12-16
US20150368460A1 (en) 2015-12-24
JP6378211B2 (ja) 2018-08-22
EP2955204B1 (en) 2018-08-22
ES2698355T3 (es) 2019-02-04
CN104968726B (zh) 2018-06-26
US9777151B2 (en) 2017-10-03
KR101922246B1 (ko) 2018-11-26
EP2955204A4 (en) 2016-09-07
JP2016505088A (ja) 2016-02-18
KR20140100301A (ko) 2014-08-14
CN104968726A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3373A1 (ko)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49411B1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119444B1 (ko) 센터페시아용 내화학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5737359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2042692B1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내열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6348580B2 (ja) 自動車、電気電子機器、家電機器、事務機器または生活用品用の部品に適した成形品
KR102046493B1 (ko)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JP5092228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5017818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WO2016076666A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20190035780A (ko) 에폭시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그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30014797A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10534A (ko)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과 재생 pet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93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592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493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594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