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2179A1 -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2179A1
WO2016032179A1 PCT/KR2015/008808 KR2015008808W WO2016032179A1 WO 2016032179 A1 WO2016032179 A1 WO 2016032179A1 KR 2015008808 W KR2015008808 W KR 2015008808W WO 2016032179 A1 WO2016032179 A1 WO 20160321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sulfone copolymer
mole
polysulfone
diol
anhydro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88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종관
노형진
허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783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044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EP15835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70855B1/en
Priority to CN201580046011.6A priority patent/CN106795286B/zh
Priority to JP2017511217A priority patent/JP6662853B2/ja
Priority to US15/504,530 priority patent/US20170240708A1/en
Publication of WO20160321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2179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20Poly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20Polysulfones
    • C08G75/23Polyethersulf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sulfone copolym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oblem of exhaustion of petroleum resources as a finite resource by including a sulfone-based compound and an anhydrosugar alcohol as a biological origin as a repea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sulfone copoly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do not emit carbon dioxide even after disposal after use, and have significantly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polysulfone copolymers.
  • Hydrogenated sugar means a compound obtained by adding hydrogen to a reducing end group of a saccharide, and generally HOCH 2 (CHOH) n CH 2 OH (where n is an integer of 2 to 5). ) An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arbon number to trititol, pentitol, hexitol and heptitol (4, 5, 6 and 7 carbon atoms, respectively). Among them, hexitol having 6 carbon atoms includes sorbitol, mannitol, iditol, galactitol and the like, and sorbitol and mannitol are particularly useful substances.
  • Anhydrosugar alcohols have a diol form having two hydroxyl groups in the molecule, and may be prepared using hexitol derived from starch (eg, Korean Patent No. 10-1079518,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 -2012-0066904). Since anhydrosugar alcohols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derived from renewable natural resourc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with a great deal of interest. Among these anhydrosugar alcohols, isosorbide made from sorbitol has the widest range of industrial applications at present.
  • anhydrosugar alcohols is very diverse, such as treatment of heart and vascular diseases, adhesives of patches, mouthwashes and the like, solvents of the composition in the cosmetic industry, emulsifiers in the food industry.
  • it can also be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olvent of adhesives,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s, biodegradable polymers, water-soluble lacquer.
  • anhydrosugar alcohol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due to their various applicability, and their use in actual industries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 Polysulfone is one of the compounds that is usefully used a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requiring heat resistance, various molding materials or membrane materials requir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 the polysulfon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raw materials derived from petroleum resources,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polysulfones using raw materials obtained from biomass resources such as plants due to the depletion of finite petroleum resources.
  • biomass resources such as plants due to the depletion of finite petroleum resources.
  • carbon-neutral monomers derived from carbon-neutral plants may not be released even after disposal. Development of polysulfone as a raw material is required.
  • the prior patent document discloses a fine filtration membrane comprising a polysulfone-based polym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lysulfone-based polymer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 microfiltration membrane or an ultrafiltration membrane, the shape and siz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t is disclosed that the pore can be properly adjusted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54765).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54765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54765
  • the problem of resource depletion can be solved by including an alternative material, and a polysulfone copolymer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even after disposal after use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including a sulfone-based compound and an anhydrosugar alcohol which is a bio-based material as a repeating unit can solve the problem of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finite resources, disposal after use Even if it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polysulfone copoly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gnificantly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lysulfone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nent containing anhydrosugar alcohol;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 the step of polymerizing a diol component comprising an anhydrosugar alcohol, and a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2) dilu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and then removing alkali metal halide therefrom; And (3) precipitating the diluted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and then washing the diluted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 a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polysulfone copolymer.
  • the polysulfon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s a finite resource by including a sulfone compound and anhydrosugar alcohol which is a bio-based material as a repeating unit, and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even when disposed of after use.
  • a sulfone compound and anhydrosugar alcohol which is a bio-based material as a repeating unit
  • it since it exhibits significantly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polysulfone copolymer, it can be used very suitably for the use of resin processed products such as membranes.
  •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diol component containing anhydrosugar alcohol;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 the anhydrosugar alcohol refers to any substance obtained by removing one or more water molecules from a compound obtained by adding hydrogen to a reducing end group of a saccharide, commonly called hydrogenated sugar or sugar alcohol. do.
  • the anhydrosugar alcohol dianhydrohexitol, which is a dehydration product of hexitol, may be preferably used. More preferably, the anhydrosugar alcohol is isosorbide (1,6-dianhydrosorbitol), iso Mannide (1,6- dianhydromannitol), isoidide (1,6- dianhydroiditol), and mixtures thereof.
  • the diol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sulfone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a diol compound other than the anhydrosugar alcohol, such as an aromatic diol, an alicyclic diol, an aliphatic diol,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s preferable. It may further comprise an aromatic diol.
  • aromatic diol examples include bisphenol A, 4,4'-dihydroxy-diphenyl sulfone, 4,4'-biphenol, hydroquinone, 4,4'-dihydroxy-diphenyl ether, and 3- (4 -Hydroxyphenoxy) phenol, bis (4-hydroxyphenyl) sulfide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preferably used.
  • Examples of the alicyclic diols include 1,4-cyclohexanedimethanol, 1,3-cyclohexanedimethanol, 1,2-cyclohexanedimethanol, tricyclodecanedimethanol, adamantanediol, and pentacyclopentadedecane
  • 1,4-cyclohexanedimethanol, 1,3-cyclohexanedimethanol, 1,2-cyclohexanedimethanol, tricyclodecanedimethanol, adamantanediol, and pentacyclopentadedecan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preferably used.
  • aliphatic diols examples include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2-propanediol, 1,4-butanediol, 1,3-butanediol, 1,2-butanediol, 1,5-heptanediol, 1, It is preferable to use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6-hex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and combinations thereof.
  • R 1 and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ycloalkyl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or a cycloalkoxy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 the diol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sulfone copolymer is preferably a diol compound other than 0.1 to 99 mol% of anhydrosugar alcohol and anhydrosugar alcohol (for example, aromatic) based on 100 mol% of all diol components.
  • anhydrosugar alcohol is less than 0.1 mol% (that is, when the diol compound other than anhydrosugar alcohol is more than 99.9 mol%) of the total diol component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properties of the sulfone resin is insignificant, If it exceeds 99 mol%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molecular weight.
  • dihalogenated diaryl sulfone can be preferably used, and more specifically, 4,4'-dichlorodiphenyl sulfone, 4,4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fluorodiphenylsulfone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preferably used.
  • the amount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sulfon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amount of the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is preferably 50 mol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diol component. It may be 300 mol, more preferably 80 to 150 mol.
  • the amount of dihalogenated sulfone is too small or too large compared to the total diol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sulfone copolymer,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halogen sulfone reaction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which may cause difficulty in obtaining a desired molecular weight.
  • dihalogen compound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 1-50 weight part of other dihalogen compounds other than a dihalogenation sulfone compound can be used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s.
  • 1,4-chlorobenzene, 1,4-diflurobenzene, bis (4-chlorophenyl) sulfide, di, (4-fluorophenyl) sulfide or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Can be.
  •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ucture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 to 6 in the copolymer (in parentheses []) The part indicated is a repeating unit).
  • the step of polymerizing a diol component comprising an anhydrosugar alcohol, and a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 (2) dilu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and then removing alkali metal halide therefrom; And (3) precipitating the diluted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and then washing the diluted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 the alkali metal salt cataly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carbonate, sodium carbonat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mixtures thereof can be preferably used.
  • the amount of catalyst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catalyst used, but when the amount of the catalyst is too small, the reaction rate is slow.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the catalyst is too high, the residual catalyst may discolor the product or degrade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based on 100 moles of the diol component, 80 to 300 moles of catalyst, more preferably 100 to 130 moles may be used.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for example, the reaction solvent N-methyl-2-pyrrolidone (NMP), dimethyl sulfoxide (DMSO), dimethylacetamide (for 5 to 10 hours at a temperature of 160 to 200 °C and atmospheric pressure) DMAc), dimethylformamide (DMF), sulfolane, diphenyl sulfone (DPS), dimethylsulfone (DMS) and the like, solvents such as chlorobenzene, tetrahydrofuran (THF), or mixed solvents thereof It may be per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NMP N-methyl-2-pyrrolidone
  • DMSO dimethyl sulfoxide
  • DMAc dimethylacetamide
  • DMF dimethylformamide
  • sulfolane sulfolane
  • DPS diphenyl sulfone
  • DMS dimethylsulfone
  • solvents such as chlorobenzene, tetrahydrofuran (THF),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is diluted (the same solvent as the polymerization solvent can be used), and from the diluted reaction product, the alkali metal halide (alkali metal salt obtained from the alkali metal salt catalyst) Salts of halogens from the dihalogenated sulfone compounds, such as KCl, are removed by means of decanter centrifuge centrifuges, for example using a celite filter pass or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 the diluted and filtered reaction product can then be precipitated in a solvent (eg alcohol or water such as methanol) and then washed with water or the like to produce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olvent eg alcohol or water such as methanol
  •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lfone-based compound and an anhydrosugar alcohol, which is a bio-based material, as a repeating uni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which are finite resources, and carbon dioxide even if disposed of after use.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does not emit, and since it is remarkably superior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lysulfone copolymer, it can be used very suitably for various molding materials and resin processed products such as membranes.
  • a molded article preferably a membrane, made using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 the molding process include solution spinning, casting (coating), extrusion, injection,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pplications of the membran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ter treatment R / O membranes,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s, Medical hemodialysis membranes, electrical and electronic connectors, automotive part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such as a membrane using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generally use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can be used as it is or as appropriately modified.
  • Isosorbide (ISB) (0.05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isphenol A, BPA) (0.95 mole),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as supplied.
  • the reaction mixture was rapidly heated to a reaction temperature (160 ° C.) under nitrogen purg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chlorobenzene, which was added as a co-solvent, was azeotropically reacted with H 2 O as a reaction by-product over time. . After 9 hours of reaction time at a temperature of 192 ° C., the final reaction mixture turned dark brown, and the viscosity of the reaction mixture was visually confirmed.
  • the final reaction mixture was cooled down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diluted in a pre-prepared solvent NMP.
  • the diluted reaction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celite and then precipitated in methanol.
  • the precipitat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filtered, and then dried to obtain an isosorbide (ISB) -containing polysulfone copolymer.
  • ISB isosorbide
  • Isosorbate 1 L three-necked flask with stirrer, thermometer and condenser isosorbide (ISB) (0.1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PA) (0.9 mole) Isosorbat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ere supplied. Polysulfone copolymers containing beads (ISB) (10 mole%) were obtained.
  • Isosorbate 1 L three-necked flask with stirrer, thermometer and condenser isosorbide (ISB) (0.2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PA) (0.8 mole) Isosorbat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ere supplied. A polysulfone copolymer containing beads (ISB) (20 mole%) could be obtained.
  • Isosorbate 1 L three-necked flask with stirrer, thermometer and condenser isosorbide (ISB) (0.4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PA) (0.6 mole) Isosorbat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ere supplied. A polysulfone copolymer containing beads (ISB) (40 mole%) could be obtained.
  • Isosorbate 1 L three-necked flask with stirrer, thermometer and condenser isosorbide (ISB) (0.5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PA) (0.5 mole) Isosorbat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ere supplied. A polysulfone copolymer containing beads (ISB) (50 mole%) could be obtained.
  • Isosorbate 1 L three-necked flask with stirrer, thermometer and condenser isosorbide (ISB) (0.7 mole), 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 (1.0 mole), bisphenol A (BPA) (0.3 mole) Isosorbat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arbonate (1.1 mole), N-methyl-2-pyrrolidone (NMP) (10.1 mole) and chlorobenzene (1.11 mole) were supplied. A polysulfone copolymer containing beads (ISB) (70 mole%) could be obtained.
  • the polysulfone copolymer is completely dissolved in DMAc at a concentration of 25%.
  • Each polymer solution was cast on a support made of polypropylene (PP) film using a sparger at a thickness of 200 ⁇ m and 0.2 m / min, followed by a temperature of 20 to 30 ° C. and a humidity of 30 to 80
  • the upper layer was exposed for about 2 minutes in% air, followed by primary desolvation for 3 minutes in a MeOH coagulation bath.
  • the polysulfone (PSU) film is peeled off from the PP support.
  • the exfoliated PSU film is immersed in a H 2 O coagulation bath, and then completely desolventized for about 3 hours, and then dried at 80 ° C. for 3 hours to obtain a dried PSU film.
  •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ar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value as the ISB content increases This increased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it was found to hav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in the solvent experiment of DMAc, toluene, THF. Therefore, the polysulfone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conventional polysulfone copolymer, which i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resin molded articles such as membranes, and includes finite resources by containing anhydrosugar alcohol, which is a biological material. It can solve the problem of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even after disposal.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단위로서 술폰계 화합물과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단위로서 술폰계 화합물과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소화 당(“당 알코올”이라고도 함)은 당류가 갖는 환원성 말단기에 수소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HOCH2(CHOH)nCH2OH (여기서, n은 2 내지 5의 정수)의 화학식을 가지며, 탄소수에 따라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및 헵티톨(각각, 탄소수 4, 5, 6 및 7)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 탄소수가 6개인 헥시톨에는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갈락티톨 등이 포함되며, 소르비톨과 만니톨은 특히 효용성이 큰 물질이다.
무수당 알코올은 분자 내 하이드록시기가 두 개인 디올(diol) 형태를 가지며, 전분에서 유래하는 헥시톨을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107951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6904호). 무수당 알코올은 재생가능한 천연자원으로부터 유래한 친환경 물질이라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많은 관심과 함께 그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무수당 알코올 중에서 솔비톨로부터 제조된 이소소르비드가 현재 산업적 응용범위가 가장 넓다.
무수당 알코올의 용도는 심장 및 혈관 질환 치료, 패치의 접착제, 구강 청정제 등의 약제, 화장품 산업에서 조성물의 용매, 식품산업에서는 유화제 등 매우 다양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등 고분자 물질의 유리전이온도를 올릴 수 있고, 이들 물질의 강도 개선효과가 있으며, 천연물 유래의 친환경소재이기 때문에 바이오 플라스틱 등 플라스틱 산업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접착제, 친환경 가소제, 생분해성 고분자, 수용성 락카의 친환경 용매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무수당 알코올은 그 다양한 활용가능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실제 산업에의 이용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내열성이 요구되는 전기절연재료, 치수안정성·내화학성이 필요한 각종 성형 재료나 멤브레인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화합물 중 하나로 폴리술폰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술폰은 일반적으로 석유 자원에서 유도되는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가 되는데, 유한한 석유자원의 고갈 우려 때문에 식물 등의 바이오매스 자원에서 얻어지는 원료를 사용한 폴리술폰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 및 축적에 의한 지구 온난화가 기후 변동 등을 초래하는 것이 우려되고 있는 점에서도,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도록 이산화탄소-중립적인(carbon-neutral) 식물 유래 모노머를 원료로 한 폴리술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특허문헌에는 폴리술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정밀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술폰계 고분자를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의 제조에 사용하면 여과막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태와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된 기공을 얻을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4765호). 그러나, 별도의 대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술폰계 고분자를 합성한다는 점에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체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내열성 및 내화학성도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반복단위로서 술폰계 화합물과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알칼리금속염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2) 중합 반응 결과물을 희석한 후, 그로부터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3) 희석된 중합 반응 결과물을 침전시킨 후, 이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서 술폰 화합물과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멤브레인 등의 수지 가공품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무수당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수소화 당(hydrogenated sugar) 또는 당 알코올(sugar alcohol)이라고 불리우는, 당류가 갖는 환원성 말단기에 수소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 분자를 제거하여 얻은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수당 알코올로는 헥시톨의 탈수물인 디안하이드로헥시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수당 알코올은 이소소르비드(1,6-디안하이드로소르비톨), 이소만니드(1,6-디안하이드로만니톨), 이소이디드(1,6-디안하이드로이디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은, 상기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 예컨대, 방향족 디올, 지환식 디올, 지방족 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로는, 비스페놀 A,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4,4’-비페놀, 하이드로퀴논,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3-(4-하이드록시페녹시)페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디올로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아다만탄디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헵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5-원자 고리 구조 또는 6-원자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지환식 디올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나타내어지는 지환식 디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사이클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에는, 전체 디올 성분 100몰%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무수당 알코올 0.1~99몰% 및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예컨대, 방향족 디올, 지환식 디올 및/또는 지방족 디올) 1~99.9몰%가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수당 알코올 1~90몰% 및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 10~99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무수당 알코올 5~80몰% 및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 20~95몰%가 포함될 수 있다. 전체 디올 성분 중 무수당 알코올이 0.1몰% 미만이면(즉,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이 99.9몰%를 초과하면) 설폰계 수지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 특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 무수당 알코올이 99몰%를 초과하면 원하는 분자량 획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로는 디할로겐화 디아릴 술폰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4,4’-디클로로디페닐술폰, 4,4’-디플루오로디페닐술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과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의 사용량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전체 디올성분 100몰 기준으로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의 사용량이 바람직하게는 50몰 내지 300몰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내지 150몰일 수 있다.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 전체 디올 성분에 비하여 디할로겐화 술폰의 양이 지나치게 적거나 많으면 디올 성분과 디할로겐 설폰 반응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분자량 획득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추가로,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 외에 기타의 디할로겐 화합물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디할로겐화 술폰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 외에 기타의 디할로겐 화합물 1~5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타 디할로겐 화합물로는 1,4-클로로벤젠, 1,4-디플루로로벤젠, 비스(4-클로로페닐)술피드, 디,(4-플루오로페닐)술피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조를 공중합체 내에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괄호 [ ]로 표시된 부분은 반복단위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4
[화학식 5]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5
[화학식 6]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알칼리금속염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2) 중합 반응 결과물을 희석한 후, 그로부터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3) 희석된 중합 반응 결과물을 침전시킨 후, 이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알칼리금속염 촉매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촉매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잔류 촉매가 제품의 색상을 변색시키거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예컨대 디올 성분 100몰 기준으로, 촉매 80 내지 30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예컨대, 160 내지 200℃의 온도 및 상압 압력 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용매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아세타마이드 (DMAc), 디메틸포름아마이드 (DMF), 설포란 (Sulfolane), 디페닐 설폰 (DPS), 디메틸설폰 (DMS) 등과 공용매 클로로벤젠,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 (THF) 와 같은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이 완료된 후, 중합 반응 결과물을 희석하고(희석용매로는 중합반응 용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희석된 반응 결과물로부터, 반응 중에 생성된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알칼리금속염 촉매에서 나온 알칼리금속과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로부터 나온 할로겐의 염, 예컨대 KCl)을, 예컨대 셀라이트 filter 통과 또는 비중차이를 이용해서 경사 분리기 (decanter centrifuge)원심분리기 등의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후, 희석 및 여과된 반응 결과물을 용매(예컨대,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또는 물)에서 침전시킨 후, 물 등으로 세정하여 본 발명의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서 술폰계 화합물과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한 자원인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기존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현저히 우수하므로, 각종 성형 재료 및 멤브레인과 같은 수지 가공품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제품,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성형 공정으로는 용액방사, 캐스팅(코팅), 압출, 사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멤브레인의 적용분야는 수처리 R/O 막, 연료전지 전해질막, 의료용 혈액 투석막, 전기전자 커넥터, 자동차 부품용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멤브레인 등의 성형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성형품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폴리설폰 공중합체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05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4,4’-dichlorodiphenyl sulfone, DCDPS)(1.0 mole),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0.95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하였다. 질소 퍼징 하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빠른 속도로 반응 온도 (160℃)까지 승온하여, 공용매로 넣어준 클로로벤젠이 반응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 부산물인 H2O을 공비시켜 유출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온도 192℃에서 반응시간 9시간 후, 최종 반응 혼합물은 진한 갈색 빛으로 변하였으며, 육안으로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최종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미리 준비된 용매 NMP에 희석하였다. 희석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에 거른 후, 메탄올에 침전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증류수에 세정 및 필터링을 거친 후, 이를 건조시켜 이소소르비드(ISB)-함유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1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0.9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 (10 mole%)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2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0.8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 (20 mole%)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4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0.6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 (40 mole%)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5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0.5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 (50 mole%)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7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0.3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 (70 mole%)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7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8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0.2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8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2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4,4’-dihydroxydiphenyl sulfone, DHDPS)(0.8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9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3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DHDPS)(0.4 mole),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0.3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0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2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4,4’-비페놀(4,4’-biphenol, Biphenol)(0.8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1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이소소르비드(ISB)(0.3 mole),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4,4’-비페놀(Biphenol)(0.4 mole),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0.3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이소소르비드(ISB)를 함유한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표 1] (원료 몰비)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7
[표 2] (원료 몰비)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8
[표 3] (원료 몰비)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09
비교예 1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가 장착된 1L 3구 플라스크에 4,4’-디클로로디페닐 술폰(DCDPS)(1.0 mole), 비스페놀 A(BPA)(1.0 mole), 탄산칼륨(1.1 mole), N-메틸-2-피롤리돈(NMP)(10.1 mole) 및 클로로벤젠(1.11 mole)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2
Solvay사에 제조한 멤브레인용 PSU 제품, SOLVAY350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내열 특성), 내화학성 특성,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여 하기 표 4 내지 표 6에 기재하였다.
유리전이온도(Tg)
Perkin Elmer사의 Diamond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사용하여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H-C-R (~ 300℃); 10.00 ℃/min
내화학성 특성
1. 먼저, 폴리술폰 공중합체를 DMAc에 25%의 농도로 완전히 용해한다.
2. 각 고분자 용액을 살포기(Applicator)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으로 된 지지체 상에 두께 200μm, 0.2m/min의 속도로 캐스팅한 후, 온도 20~30℃, 습도 30~80%의 공기 중에 상층부를 약 2분간 노출시킨 후, MeOH 응고조에서 3분간 1차 탈용매시킨다. 그 후, PP지지체에서 폴리설폰(PSU) 필름을 박리시킨다. 그 후 박리된 PSU필름을 H2O 응고조에 침지시킨 후, 약 3시간 정도를 두어 완전 탈용매시킨 후, 80℃에서 3시간 건조시켜 건조된 PSU 필름을 얻는다.
3. 완전 건조된 필름을 3 X 3cm의 크기로 잘라, 500ml의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톨루엔(Tolue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각각 침지시킨 후, 녹거나 팽윤되거나 하는 정도를 관찰하여 5점법으로 표기한다.
중량평균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D)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2690, PL)를 사용하여 온도 40℃ 및 유속(flow rate) 1ml/min의 조건으로 수평균분자량(Mn)을 측정하였다. (Standard: polystyrene)
[표 4]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10
[표 5]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11
[표 6]
Figure PCTKR2015008808-appb-I000012
상기 표 4 내지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사한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갖는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ISB 함량이 높아질수록 유리전이온도(Tg) 값이 상승하여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DMAc, 톨루엔, THF 용매실험에서 우수한 내화학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술폰 공중합체는 종래의 폴리술폰 공중합체인 비교예에 비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멤브레인 등의 수지 성형품의 제조에 적합하며, 생물기원 물질인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석유자원 고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 처분을 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Claims (11)

  1.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무수당 알코올이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디올 성분이,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이 방향족 디올, 지환식 디올, 지방족 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올이 비스페놀 A,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4,4’-비페놀, 하이드로퀴논,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3-(4-하이드록시페녹시)페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지환식 디올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아다만탄디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지방족 디올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헵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디올 성분이, 전체 디올 성분 100몰%를 기준으로 무수당 알코올 0.1~99몰% 및 무수당 알코올 이외의 디올 화합물 1~99.9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이 4,4’-디클로로디페닐술폰, 4,4’-디플루오로디페닐술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
  8. (1) 알칼리금속염 촉매의 존재하에, 무수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할로겐화 술폰 화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2) 중합 반응 결과물을 희석한 후, 그로부터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3) 희석된 중합 반응 결과물을 침전시킨 후, 이를 세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염 촉매가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술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제품.
PCT/KR2015/008808 2014-08-25 2015-08-24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60321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35779.8A EP3170855B1 (en) 2014-08-25 2015-08-24 Polysulfone copolymer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201580046011.6A CN106795286B (zh) 2014-08-25 2015-08-24 耐热性及耐化学性优异的聚砜共聚物及其制备方法
JP2017511217A JP6662853B2 (ja) 2014-08-25 2015-08-24 耐熱性及び耐化学性に優れたポリスルホン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5/504,530 US20170240708A1 (en) 2014-08-25 2015-08-24 Polysulfone copolymer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0991 2014-08-25
KR10-2014-0110991 2014-08-25
KR10-2015-0078373 2015-06-03
KR1020150078373A KR101704475B1 (ko) 2014-08-25 2015-06-03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179A1 true WO2016032179A1 (ko) 2016-03-03

Family

ID=5540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8808 WO2016032179A1 (ko) 2014-08-25 2015-08-24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321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509A (ko) * 2016-03-15 2018-11-23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설폰 중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R3085040A1 (fr) 2018-08-20 2020-02-21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ethersulfones aromatiques a base d'isohexide
WO2020053078A1 (en) * 2018-09-11 2020-03-19 Basf Se Polyarylene ether copolymer
WO2022128815A1 (en) * 2020-12-18 2022-06-23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Bio-based sulfone copolymers free of bpa and bps
WO2023006830A1 (en) 2021-07-30 2023-02-02 Basf Se Polyarylether copolymers based on diols sugar alcohols
WO2023084062A1 (en) 2021-11-15 2023-05-19 Basf Se Polyarylether copolymers based on diol sugar alcoho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675A (ko) * 1998-02-20 1999-09-27 고오사이 아끼오 방향족폴리설폰수지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성형품
JP2011127108A (ja) * 2009-11-19 2011-06-3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
JP2012166503A (ja) * 2011-02-16 2012-09-06 Teijin Chem Ltd 積層フィルム
JP2014040517A (ja) * 2012-08-22 2014-03-06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
KR20140100301A (ko) * 2013-02-06 2014-08-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675A (ko) * 1998-02-20 1999-09-27 고오사이 아끼오 방향족폴리설폰수지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성형품
JP2011127108A (ja) * 2009-11-19 2011-06-3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
JP2012166503A (ja) * 2011-02-16 2012-09-06 Teijin Chem Ltd 積層フィルム
JP2014040517A (ja) * 2012-08-22 2014-03-06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
KR20140100301A (ko) * 2013-02-06 2014-08-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509A (ko) * 2016-03-15 2018-11-23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설폰 중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386027B1 (ko) * 2016-03-15 2022-04-15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설폰 중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11565217B2 (en) 2016-03-15 2023-01-31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lfone polymer membrane
FR3085040A1 (fr) 2018-08-20 2020-02-21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ethersulfones aromatiques a base d'isohexide
WO2020039127A1 (fr) 2018-08-20 2020-02-27 Roquette Freres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polyéther-sulfones aromatiques à base d'isohexide
WO2020053078A1 (en) * 2018-09-11 2020-03-19 Basf Se Polyarylene ether copolymer
WO2022128815A1 (en) * 2020-12-18 2022-06-23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Bio-based sulfone copolymers free of bpa and bps
WO2023006830A1 (en) 2021-07-30 2023-02-02 Basf Se Polyarylether copolymers based on diols sugar alcohols
WO2023084062A1 (en) 2021-11-15 2023-05-19 Basf Se Polyarylether copolymers based on diol sugar alcoh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475B1 (ko)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6032179A1 (ko)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5703645B2 (ja) 芳香族ポリスルホン樹脂及びその膜
JP6194773B2 (ja) 気体分離膜
WO2011071340A2 (ko) 투명성과 고내열성을 갖는 폴리아릴렌에테르계 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EP3850033B1 (en) Polyarylene ether sulfone
US20220033583A1 (en) Polyarylene ether
KR101704490B1 (ko) 인장특성이 우수한 폴리술폰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084187A1 (ja) 気体分離膜
WO2015141540A1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熱可塑性樹脂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5933B1 (ko) 폴리설폰 중합체의 제조 및 정제
KR102167294B1 (ko) 내열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73671B1 (ko) 폴리술폰 공중합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3d 프린팅용 폴리술폰 공중합체
KR101898909B1 (ko) 아이소헥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EP0445409A2 (de) Estergruppen enthaltende aromatische Polyether
JP2005154742A (ja) 膜状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11601838B (zh) 芳香族聚砜树脂及其膜
US20220251300A1 (en) Bio-based polysulfones and uses thereof
KR102052935B1 (ko) 폴리헤테로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76539A1 (ko)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3553459A (ja) Bpa及びbpsを含まないバイオベースのスルホンコポリマー
JP2022527265A (ja) 半芳香族ポリエーテルの合成プロセス
KR20220021121A (ko) 비결정성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547341A (zh) 不含bpa和bps的生物基砜共聚物
JPS62121724A (ja) 新規なポリカ−ボネ−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57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357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357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0453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1121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