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51456A -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51456A
KR970051456A KR1019950069726A KR19950069726A KR970051456A KR 970051456 A KR970051456 A KR 970051456A KR 1019950069726 A KR1019950069726 A KR 1019950069726A KR 19950069726 A KR19950069726 A KR 19950069726A KR 970051456 A KR970051456 A KR 97005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means
signal generating
mode selection
selection sig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0272B1 (ko
Inventor
이시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272B1/ko
Priority to TW085115637A priority patent/TW308697B/zh
Priority to US08/772,893 priority patent/US5896395A/en
Priority to JP34815596A priority patent/JP3715393B2/ja
Publication of KR97005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48Arrangements in static store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by means external to the store, e.g. using direct memory access [DMA] or using auxiliary access pa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모드레지스터 또는 퓨즈를 이용함으로써 로우레벨(VSS)로 본딩되어 있는 출력신호를 바꿀 수 있으므로 종래 방법에 비해 DQ 채널 수를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스트장치에서는 DQ 채널 수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할 때 DQ 채널 수를 인위적으로 줄여줌으로써, 동시에 많은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스트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하나의 본딩패드에만 로우레벨(VSS)로 본딩하고 나머지 본딩패드에서는 플로팅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도, 구조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x16모드 선택신호 생성기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x4모드 선택신호 생성기의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의 회로도.

Claims (4)

  1.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활성화되는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다수의 구조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에 출력단이 접속되어, 입력신호에 따라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제어신호가 토글링할 때, 상기 모드레지스터 입력신호가 하이레벨이면 상기 모드레지스터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 되어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이 활성화되고,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제어신호가 다시 토글링할 때,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이면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어 원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활성화되는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다수의 구조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에 출력단이 접속되어, 상기 출력단에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레지스터; 상기 모드레지스터에 출력단이 되어, 상기 출력단에 출력되는 퓨즈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출력신호가 결정되는 퓨즈 제어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제어신호 생성수단은 제1퓨즈 및 제2퓨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1퓨즈가 절단되면 상기 퓨즈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이 됨으로써 상기 모드레지스터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 되어 상기 다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중 하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이 활성화되고, 다음에 상기 제2퓨즈시 또 절단되면 상기 퓨즈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이 됨으로써 상기 모드레지스터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어 원래의 모드선택신호 생성수단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69726A 1995-12-30 1995-12-30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017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726A KR0170272B1 (ko) 1995-12-30 1995-12-30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TW085115637A TW308697B (en) 1995-12-30 1996-12-18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08/772,893 US5896395A (en) 1995-12-30 1996-12-24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including temporary data path width override
JP34815596A JP3715393B2 (ja) 1995-12-30 1996-12-26 半導体メモ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726A KR0170272B1 (ko) 1995-12-30 1995-12-30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456A true KR970051456A (ko) 1997-07-29
KR0170272B1 KR0170272B1 (ko) 1999-03-30

Family

ID=1944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9726A KR0170272B1 (ko) 1995-12-30 1995-12-30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96395A (ko)
JP (1) JP3715393B2 (ko)
KR (1) KR0170272B1 (ko)
TW (1) TW308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293B1 (ko) 1998-09-18 2001-03-02 윤종용 마이크로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에 의해서 포장되는 반도체장치
US6701470B1 (en) * 2000-08-29 2004-03-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testing a memory device having different number of data pads than the tester
US6836434B2 (en) * 2002-11-21 2004-12-28 Micron Technology, Inc. Mode selection in a flash memory device
KR100464936B1 (ko) 2003-04-30 2005-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페어회로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TWI223370B (en) * 2003-08-28 2004-11-01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Method of piping defect detection
KR100549871B1 (ko) 2004-10-22 2006-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핀의 상태에 의해서 동작 모드가 결정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모드 결정 방법
US20060203559A1 (en) * 2005-02-28 2006-09-14 Peter Poechmueller Memory device with customizable configuration
KR100827664B1 (ko) 2006-12-26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인 퓨즈, 이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전기적인퓨즈의 프로그래밍과 리딩 방법
US8821518B2 (en) * 2007-11-05 2014-09-02 Ceterix Orthopaedics, Inc. Suture passing instrument and method
US9275699B2 (en) 2012-08-17 2016-03-01 Rambus Inc. Memory with alternative command interfaces
CN111223459B (zh) 2018-11-27 2022-03-08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以及栅极驱动电路
WO2020117700A1 (en) 2018-12-03 2020-06-11 Rambus Inc. Dram interface mode with improved channel integrity and efficiency at high signaling rat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445A (en) * 1986-07-02 1991-12-03 Woodward Thomas R Programmably controlled partially distributed masking mechanism in a programmable unit having variable data path wid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6395A (en) 1999-04-20
JP3715393B2 (ja) 2005-11-09
KR0170272B1 (ko) 1999-03-30
JPH09198897A (ja) 1997-07-31
TW308697B (en) 199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768A (ko) 반도체기억장치
KR870000710A (ko) 동작테스트실행에 적합한 반도체 집적회로
KR880011801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70067348A (ko) 향상된 동기식 판독 및 기록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KR970051456A (ko) Dq 채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970003931A (ko) 출력 전압 레벨 선택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시스템
KR880014482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KR880009373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30005025A (ko) 저전력용 블럭 선택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890007430A (ko) 반도체 장치의 출력회로
KR960012401A (ko) 반도체 집적장치
KR910006241B1 (ko) 복수 테스트모드 선택회로
KR100200692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시분할 워드라인 구동회로
KR93000503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트 셀어레이 배열방법
EP0865042A3 (en) Drive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utilizes same
KR960042745A (ko)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을 가지는 다용도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KR95001536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데이타 출력장치
KR970013737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타 출력 드라이버
KR85000715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06044B1 (ko) 어구성 선택회로
KR970048549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웨이퍼 번-인(Burn-in) 테스트 방법
KR950025781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960038988A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어드레스버퍼
KR970003948A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리던던시장치
KR970012784A (ko) 노말/테스트 겸용 본딩 패드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