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26B1 -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 Google Patents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26B1
KR970010826B1 KR1019870013107A KR870013107A KR970010826B1 KR 970010826 B1 KR970010826 B1 KR 970010826B1 KR 1019870013107 A KR1019870013107 A KR 1019870013107A KR 870013107 A KR870013107 A KR 870013107A KR 970010826 B1 KR970010826 B1 KR 97001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pipe
hull
submersible
supple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320A (ko
Inventor
푸게트 길레
슈발리에 쟝
햄프톤 젠
Original Assignee
포렉스 네프츈 에스. 아.
헨리 듀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렉스 네프츈 에스. 아., 헨리 듀풍 filed Critical 포렉스 네프츈 에스. 아.
Publication of KR88000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02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E21B19/143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underwater connectors between th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세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추선의 갑판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적인 가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시추선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내부에 파이프가 장착된 상태의 2개의 보충지주들이 부분적으로 파단된 사시도.
제5도는 엘리베이터 램프의 하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선체 4,5,6,7 : 지주
15 : 데리크 16,17 : 보충지주
30 : 경로 31,32 : 레일
33 : 크레인 34 : 조작장치
35,36 : 라이저 37 : 격납용기
40 : 래크 41 : 램프
51 : 가교부재 55 : 프리벤터
58 : 포켓 70 : 트롤리
72 : 피니언 74 : 모터
75 : 프레임 76 : 브래킷
80 : 로울러 트랙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상동선 형태의 해상 시추용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선체와 갑판을 지니고, 상기 선체는 가늘고 간 형태이고, 대략 평행으로, 또한 대략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갑판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으면서 상기 선체에 장착 구조물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부에 개구부를 지니며, 상기 개구부는 2개의 산체 사이의 공간 상부에 돌출한 데리크(derrick)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장착 구조물은 수직 지주들을 지니며, 이들중 최소한 2쌍의 지주들이 선체의 단부를 갑판에 연결시키는 구조의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및 그의 문제점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4,435,1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시추선에는, 더욱이, 각종의 장치, 특히 크레인, 파이프 격납장치 및 파이프 운반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파이프라는 용어는 이러한 시추선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두가지 기본적 타입의 원통형 요소들, 즉, 길이가 약 10m이고 직경이 약 12cm인 시추 파이프 및 길이가 약 15m이고 직경이 1m보다 약간 큰 라이저(riser)들을 의미한다.
이와같은 파이프는, 통상, 수평으로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영국 특허 출원 제1,319,270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운반 장치가 필요하다. 이 운반 장치는, 파이프를 들어을려, 수직으로 한 후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내릴 수 있는 구조이다.
파이프의 자세를 지나치게 변화시키지 않더라도 완료된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추 파이프들을 수직으로 격납할 수 있는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044,895호 또는 영국 특허 출원 제1,494,964호에 개시된 장치는, 시추선의 중력 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시추선의 갑판의 하부의 격납구역의 전면에, 시추 파이프들을 인접 접촉시키도록 격납한다. 격납상의 큰 문제는, 바닥면의 임의위치로 이동하여, 파이프를 상부로 끌어을릴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한, 소요 바닥 면적이 대단히 크게되고, 또한, 다른 시추통에 순차적으로 그와같이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이 때문에, 서추선 전체의 치수가 크게 된다는 점이다.
잡지「Ocean Industry」1985년 8월호에 게재된 논문은 쌍동선 프로젝트에 관해 보고하고 있다. 이 논문에 의하면, 쌍동선의 2개의 선체를 결합하고 있는 부분의 중앙부의 평행 육면체형의 잠함(caisson)의 가운데에, 라이저를 수직으로 격납한다. 그러나, 이 잠함에는 큰 결점이 있다. 그 결점중 하나는, 선체사이에 잠함이 존재하면 템플레이트(template)를 취급하는데 지장이 있는 바(미국 특허 제4,435,108호 참조), 그 템플레이트는 전체의 치수가 약 10×40m가 된다. 다른 결점은, 이 중앙의 잠함이 물의 상당한 홀수(吃水 ; draught)를 발생시키고, 파도에 과도하게 노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횡벽의 유해한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앵커(anchor) 장치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것 이외에, 트렌드세터(Trendsetter)라는 명칭의 시추선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것은, 프리드 및 골드맨(미합중국, 루지애나, 뉴 올리안즈)에 의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데리크의 중앙부의 아래에 원통형 환상의 잠함을 설치하고, 그 주위에 또한, 두께 방향으로, 라이저를 수직으로 격납한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에서도, 이미 설명한 프로젝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앙의 잠함이 있기 때문에, 템플레이트 취급상의 불편이 남는다. 게다가, 이 중앙의 잠함의 용적을 엄하게 제한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이유는, 그러하지 않으면, 파도에 표면적이 과도하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장치에서도 시추파이프들은 수평으로 격납된다. 더욱이, 이 잠함에는, 대단히 큰힘과, 유체정역학적인 힘에 의해 생기는 응력이 가해진다. 이 감함은 브레이스(brace)를 포함한다. 그러나, 브레이스는, 용접부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보통, 시추선의 위크 포인트(weak point)가 된다. 따라서, 브레이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최상의 방법이 아니다. 더군다나, 시추선의 시추 작업중에, 이 시추선의 잠함의 개방된 공간의 가운데까지 물이 상승하고, 이 물이 상기 잠함을 것는 위험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없애고, 라이저와 시추 파이프양자를 수직 격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좋고, 구조적 약점이 없는 신규한 반잠수식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상기 목적은, 2개 이상의 중공(中空) 보충지주를 지니며, 이 중공 보충지주가 잠함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파이프 격납장치를 지니고, 이 파이프 격납장치가 수직 격납을 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충지주가 상호 대향하며, 상호 이격되고, 또한 각 선체의 대략중앙에 있는 구조의, 선체를 갑판에 결합시키는 장착 구조물 또는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시추선의 격납능력을 최대로 하고, 시추선의 중력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파이프의 격납을, 보충지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조직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종류의 길이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구조물의 보충지주를 격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큰 보조 브레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더욱이 보충지주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중앙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템플레이트롤 취급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쌍동선의 선체의 방향으로 향하는 횡벽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보충지주의 형상은, 격납용적, 특히, 지주의 수직한 벽체에 평행한 선형체계의 격납에 적합한 격납 부분의 용적을 크게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 벽체를 반원통형으로 하고, 이 반원통형 부분을 시추선의 외부 방향으로 만곡시켜, 이 만곡된 부분을, 내측에, 2개의 횡방향의 플랜지 또는 측면까지 연장하고, 이것에 의해, 조직적 격납을 행하기 위한 직선적인 순환로를 횡방향의 어느 한 측에 놓고, 파이프의 취출 장치를, 각각의 격납 위치에, 직접적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이 직접 접근하는 취출 장치에, 운반용 집게(tongs)를 구비한 1개 이상의 이동식 크레인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납용의 지주로부터 파이프를 끌어올리는(취출) 때에는, 엘리베이터 램프(elevator ra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는, 기본적으로, 중공 보충지주의 반원형 벽체와 횡방향의 측벽에 평행으로 2열로 격납되기 때문에, 이 중공 보충지주의 중심부에 다른 재료의 격납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남는다. 그래서, 이 공간에, 최대 중량시의 중심을 최대로 낮추기 위해 어느 하나의 입상재료 수납용 사일로(silo)를 설치할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보충지주에 격납하는 양을 1500톤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일로의 설치위치 위쪽에, 각각의 격납용 보충지주는 보충지주들의 상부와 운반용 캐리지 또는 트롤리를 연결하는 레일들에 의해 접근가능한 포켓 또는 공동을 지닌다. 상기 포켓은 분출 방지 장치, 즉, 블로 아웃 프리벤터(blow out preventer)의 격납 공간으로 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른 물품을 격납운반 할 수 있도록 완전히 자동화 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을 보여준다. 이 시추선은 반잠수식 선체(1,2)를 지니고, 이 선체(1,2)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대략 평행이다. 또한, 길이가 약 90m, 폭이 약 17.5m, 높이가 약8.5m이며, 그 선체들 사이의 거리는 약 30m이다. 이 선체(1,2)는, 장착 구조물을 통해, 직사각형의 갑판(3)을 지지한다. 상기 장착 구조물은, 4개의 지주(4,5,6,7)들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이 지주(4.5,6,7)들은 앵글 재로 만들어 지며, 길이가 11m이고, 그의 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이며, 그의 각(angle) 부분이 라운드(round) 처리된 형태이다. 이 지주는 선체(1,2)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지주의 단부는 기본적으로 선체(1,2)의 라운드 처리된 단부의 근방에 부하된다. 이는, 갑판(3)에 최적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 갑판(3)의 하부면은 상기 선체의 약 30m 윗 부분에 있다.
지지부재(buttress ; 8,9,10,11)는, 지주의 각부(foot)의 내측으로의 회전 방지를 목적으로하여, 지주의 각부의 측면을 보강하도록 부하된다. 이 지지부재(8,9,10,11)는,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브레이스(brace ; 12,13)에 의해 결합되고, 이 브레이스(12,13)의 부하에 의해 상기 장착 구조물에 소요되는 강성과 강도가 부여된다.
갑판(3)은 상하에 중첩되는 3층 구조이다. 이 갑판(3)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4)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14)는 데리크(15)에 의해 둘러 싸인다. 이 갑판에는 각종의 시설 설비 및 기구(도시되지 않았음), 예를들면, 각종의 크레인, 격납 장치, 착저(着底) 장치등이 설치된다. 이 갑판의 부속장치, 예를들면 계류장치(mooring system) 등에 관하여는, 본 발명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착 구조물에는, 더욱이 2개의 부가적인 지주, 즉, 보충지주(16,17)들이 설치된다. 이 보충지주(16,17)는 선체(1,2)의 중앙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각각의 보충지주(16,17)는 선체(1,2)에 부분적으로 계합(係合)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갑판의 중앙부에 향하도록 연장한다. 이러한 보충지주의 대향하는 면은 약 20m정도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보충지주(16,17)는 외측부분(18,19)과 내측부분(20,21)을 갖는다. 이러한 외측부분(18,19)은 반원형이고, 기본적으로 선체(1,2)에 계합한다. 상기 내측부분(20,21)은, 그 외측의 선체(1,2)까지 및 그 선체(1,2)의 하부면의 높이까지 연장한다. 횡방향의 결합부, 즉, 지지판(22,23,24,25)은, 산체(1,2)와 동일한 두께이며, 보충지주를 보강하기 위해, 보충지주(16,17)의 내측부분(20,21) 또는 플랜지를, 선체(l,2)의 내측에 결합시킨다.
상기 선체 및 보충지주는, 공지의 조선 방법에 따라 2중선각(二重船殼)을 형성하는 금속판들을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금속판 조립체의 윤곽을, 참고로, 제2도 및 제4도에서 보여준다. 이러한 2중선각 부분의 일례로서, 보충지주(17)의 반원형 외측 부분(19)의 2중선각(19',19)을 제4도에서 보여준다. 보충지주(16,17)는, 모든 형태의 파이프들, 즉 시추파이프 및 라이저를 수직한 상태로 수용한다. 이러한 보충지주의 파이프를 격납하는 부분은, 보충지주(16,17)의 반원형 벽체에 평행한 경로(30)(직선형상 부분과 원형부분으로 이루어짐), 및 이러한 보충지주(16,17)의 측부이다.
2개의 레일(31,32)은 적당한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보충지주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레일(31,32)은, 각각의 보충지주의 상부의 외측을 에워싸고, 이러한 각각의 보충지주의 상부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레일(31,32)과 각각의 보충지주의 상부의 간격의 폭은, 상기 원형의 경로의 어느 한 측부에, 상기 수납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이다. 크레인(33)은, 그 수가 1개 이상이며, 조작장치(34)를 지니며, 레일(31,32)의 상부를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34)는, 크레인(33)을 따라, 경로(3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의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크레인(33)은, 주지된 방법에 의한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조작장치(34)의 하부에 그립(grip) 부재(34')(예컨대, 집게)가 설치되고, 이 그립부재(34')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라이저, 시추 파이프 및 보충지주의 유효 길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치수(즉, 라이저가 15.24m(50피트), 시추파이프가 9.14m(30피트), 보충지주의 유효길이가 약 40m) 이므로, 라이저를 쌍으로 하도록 그룹 분배하며(예컨대, 라이저(35) 라이저(36)를 결합시켜), 시추파이프를, 그의 단부에 장착되는 3개의 파이프의 스트링에 합체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파이프의 직경(12.7cm(5인치))은, 상기 라이저의 직경(116.84cm(46인치))보다도 충분히 작으므로, 원통형의 격납용기(37)의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스트링을, 상기「Ocean Industry」라는 잡지에 공지된 12개의 드럼(Drum)장치에 구분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분 격납된 스트링의 직경은 상기 라이저의 직경에 가깝게 된다.
라이저(35,36)와 격납용기(37)는, 원형의 경로(30)의 어느 한 측에 수용되지만, 이러한 라이저(35,36) 및 격납용기(37)의 수용위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은, 상기 격납용기의 마루(39)에 설치된 위치결정부분(38)(음푹 패여있는 부분, 또는,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 2개의 평행한 래크(rack ; 40)(도면에서는, 그 한측의 래크만을 도시함)의 톱니형상 부분이다. 이러한 래크는 측부에 상기 래크를 끌어 올리는 개구부를 지니며, 또한 이러한 래크에 고정 장치가 장착된다.
보충지주의 마루의 위치결정부분(38)은 원추형이고, 탄력을 지니며, 상부에 돌출하고, 그의 상부면이 내측에 움푹패인 형상 즉 반전된 형상이며, 그러한 위치결정 부분에 라이저(35,36)의 하단부가 삽입 정합된다.(이러한 라이저(35,36)의 하단부도 중공형상이다). 상기 고정장치는, 래크(40)의 개방형 링과, 라이저(35,36) 또는 격납용기(37)의 상부와의 협력으로 형성된다. 라이저(35,36) 또는 격납용기(37)의 상부의 래크(40)의 개방형 링과 협력하는 부분은, 그 저부로부터 정상부까지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이며, 이러한 래크(40)의 개방형 링과 협력하는 부분의 가장 가는 부분의 직경은, 이러한 부분이 상기 개발형링의 개구부(그 각도는 180˚이하)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협력하는 부분의 가장 굵은 부분의 직경은, 이 부분이 상기 개발형 링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기 라이저(35,36)또는 격납용기(37)의 가는 부분이 래크(40)의 1개의 개방형 링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라이저(35,36) 또는 격납용기(37)를, 래크(40)의 1개의 개방형 링의 가운데에 집어넣을 수 있다. 그후에, 그립부재(34')는, 상기 라이저 또는 격납 용기를 충분히 고정할 수 있는 높이가 될 때 까지 하강된다.
라이저(35,36)와 격납용기(37)를, 캐리지 또는 트롤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보충지주의 내부에 장착하거나 이러한 각각의 보충지주의 내부로부터 끌어 올릴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 또는 트롤리의 어느 한측에, 약 20개의 각각 독립된 격납부분이 설치되고, 이러한 격납부분에 직선부분 및 원형부분을 갖는 경로와 직선적인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직선부분 및 원형부분을 갖는 경로와 직선적인 장치와의 작용에 의해, 상기 약 20개의 임의의 격납부분에 대하여, 라이저(35,36)와 격납용기(37)를, 우선순위 없이 자유롭게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리크(15)의 승강장치, 또는, 독립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라이저(35,36) 및 격납용기(37)를, 각각의 보충지주(16,17)의 내부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독립된 승강장치는, 예를들면, 경사진 엘리베이터 램프(41)로 구성되며, 이러한 엘리베이터 램프(41)는 상기 보충지주의 마루(38)로 부터, 갑판(3)의 개구부(14)의 상부까지 연장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램프의 원리는,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379,676호에 기재되어 있고, 주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램프는 1개 이상의 엘리베이터 트롤리(70)를 지니며, 이 엘리베이터 트롤리(70)는 램프(41)상에 안내되어 주행하고, 이 램프(41)는 무단 체인(chain)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피니언9pinion)(72)과 래크(73)로 이루어진 장치에 의해 이동한다. 램프(41)에는, 예컨대(제5도 참조) 2개의 평행한 래크(73)가 장착되고, 이 래크(73)에 트롤리(70)의 피니언(72)이 작용하며, 이 피니언(72)은 모터(74)로 구동된다. 이 모터(74)는 상기 트롤리에 장착된다.
트롤리(70)는 가늘고 긴 형태의 프레임(75)을 지니고, 이 프레임(75)의 지부에 브래킷(bracket)(76)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76)에는 탄력을 갖는 역원추체(77)가 설치되고(이 역원추체(77)는 위치결정부분(38)과 동일 형태임), 이러한 역원추체(77)에 라이저(35)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프레임(75)은 2개의 측면(78)을 지니며, 이러한 2개의 측면(78)사이에 휠(wheel)(79)이 장착되고, 이 휠(79)은 램프(41)의 수평한 로울러 트랙(80)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제2의 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제2의 브래킷은 개방형 링을 지지한다. 이 개방형 링은 래크(40)의 개방형 링과 동일한 형태이다.
상기 라이저 또는 격납 용기는, 다음 요령으로, 상기 중공의 보충지주로 부터 끌어 올린다. 즉, 이동형 크레인(33)은 상기 격납 위치에 있는 라이저(35,36) 또는 격납용기(37)를 찾아, 이 라이저(35,36)(제4도에서는 부호(35',36')로 도시됨) 또는 격납용기(37)를 경로(30)를 따라, 램프(4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라이저(35,36) 또는 격납용기(37)의 이동은, 상기 라이저의 하단이 램프(41)의 트롤리(70)의 역원추체(77)상에 나올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에, 크레인(33)이 램프(41)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램프에 실려진 라이저(제4도에서는 부호(35,36)로 도시된 위치)를 끌어 올리고, 이 라이정의 상부를 엘리베이터 트롤리(70)의 프레임의 상측의 개방형 링의 가운데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조작장치(34)를 약간 하강시켜, 라이저(35)의 하단부를 역원추체(77)에 정합시키고, 라이저(36)의 정상부를 개방형링의 가운데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개방형 링은, 라이저(36)의 정상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후, 크레인(33)을 이동시켜 라이저로부터 떼어내고, 트롤리(70)를 램프(41)를 따라 상승시킨다. 상기 라이저를 갑판(3)으로부터 떼어내면, 이 라이저를 데리크의 승강장치, 또는 그와는 독립된 임의의 장치를 이용하여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보충지주(16,17)를 이용하여 라이저(35,36) 및 격납용기(37)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 라이저(35,36) 및 격납용기(37)의 취출 및 결합을 극히 쾌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충지주(16,17)의 정상부의 레일(31,32)보다 위에 있는 부분을 가교(架橋)부재(51)가 덮고, 이 가교부재(51)를 외피부재(50)가 덮는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보충지주(16,17)의 정상부의 레일(31,32)보다 위에 았는부분이 격납용 가교부재로서의 작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보충지주(16,17)의 정상부에 필요한 강성 및 강도는, 이 보충지주(16,17) 및 지주(4,7)의 정상부에 결합된 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확보된다.
가늘고 긴 환상의 격납용 가교부재(51)는 2개의 평행한 레일(52,53)을 에워싸고, 이 레일(52,53)은 2개의 보충지주(16,17)를 결합함과 아울러,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트롤리(54)를 지지하고, 이 트롤리(54)는 프리벤터(55)를 격납하도록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분출 방지 장치, 즉 프리벤터(55)의 하부(56)는 중량이 크고, 이 하부(56)는, 트롤리(54)에 의해 지지된 채로, 포켓(58)의 가운데에 적당히 격납된다. 이 포켓(58)은, 각각의 보충지주(16,17)의 상부의 레일(52,53)보다 낮은 부분에 설치된다. 이 레일(52,53)은 파이프를 격납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프리벤터의 상부(57)(이 부분에는 상기 라이저의 하부가 장착됨)는, 가교부재(51)에 수평한 상태로 적당히 격납된다.
격납되어 있는 프리벤터(55)를 사용하는 때에는, 트롤리(54)를 사용하여, 프리벤터(55)를 데리크의 축선까지 이동시키고, 데리크의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프리벤터(55)를, 트롤리(54)의 프리벤터 취출용 개구부로부터 끌어 올리며, 이 끌어올린 프리벤터(55)를, 종래의 방법으로 장착한다. 프리벤터를 격납하는 때에는, 상기 순서를 역순으로 행한다.
각각의 보충지주의 내부의 프리벤터 격납용 포켓(58)의 아래 부분은 사일로(59)로서 사용한다. 이 사일로(59)는, 입상 재료(골재, 시멘트 등)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며, 2개의 사일로에, 상기 입상재료를 다른 높이로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충지주(16,17)의 대항하는 면의 기부에는 원추형 또는 각이진 기동 형상의 요(凹)부(60)가 있고, 이러한 요부(60)는 데리크의 승강장치에 매달려진 파이프(61)의 수평이동거리를 증대시키도록 사용된다. 이 파이프(61)는, 파이프의 축선과 데리크에 수직한 중심축선과의 각도가 12˚로 될 때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발명에 따른 반감수식 시추전은 수심 약 24m의 수중에 감기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Claims (9)

  1. 2개의 선체(12)와 갑판(3)을 지니며, 상기 선체(1,2)는 가늘고 긴 형태이고, 대략 평행으로, 또한, 대략 수평으로 이격되며, 상기 갑판(3)은 상기 선체(1,2)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선체에 장착 구조물에의해 결합되고, 중앙부에 개구부(14)를 지니며, 상기 개구부(14)는 2개의 선체의 사이의 공간 상부에 돌출한 데리크(15)에 의해 에워싸이며, 상기 장착 구조물은 수직한 지주(4,5,6,7)를 지니고, 이들중 2쌍이상의 지주가 선체의 단부를, 갑판과, 파이프 격납 장치 및 파이프 운반 장치에 결합시키는 구조의 반잠수식 시추선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물은 또한 2개 이상의 중공 보충지주(16,17)를 지니며, 상기 보충지주(16,17)는 잠함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파이프 격납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격납 장치는 수직 격납을 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충지주(16,17)는 각각 선체의 대략 중앙부에 있고, 상호 이격 대향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격납 장치는 상기 보충지주(16,17)의 수직한 벽체에 평행하게 선형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지주(16,17)의 수직한 벽체는, 반원형 외측부분(19)을 지니며, 상기 반원형 외측부분은 시추선의 외부 및 수평한 측면의 방향으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격납 장지는, 횡방향의 출입부분에 직접 접근하는 장치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되는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를, 중공 보충지주(16,17)의 높이 방향의 전체 부분에 격납시키기 위해, 수직 격납시의 길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장치는 1개 이상의 이동식 크레인(33)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장치는 1개 이상의 엘리베이트 램프(41)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지주(16,17)는 입상 재료를 격납하기 위한 사일로(59)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지주(16,17)는 블로 이웃 프리벤터(55 ;blow out preventer) 격납용 포켓(58)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KR1019870013107A 1986-12-03 1987-11-20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KR970010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6942 1986-12-03
FR8616942A FR2607773B1 (fr) 1986-12-03 1986-12-03 Plate-forme semisubmersible de type catamaran pour le forage en 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320A KR880007320A (ko) 1988-08-26
KR970010826B1 true KR970010826B1 (ko) 1997-07-01

Family

ID=934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107A KR970010826B1 (ko) 1986-12-03 1987-11-20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99682A (ko)
EP (1) EP0273474B1 (ko)
JP (1) JPH086305B2 (ko)
KR (1) KR970010826B1 (ko)
CA (1) CA1300986C (ko)
DE (1) DE3764075D1 (ko)
FR (1) FR2607773B1 (ko)
NO (1) NO1717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401208A (nl) * 1994-07-22 1996-03-01 Heerema Group Services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oren naar olie of gas.
NL1006287C2 (nl) * 1997-06-11 1998-12-14 Workships Contractors Bv Semi-afzinkbaar, mobiel boorvaartuig.
US6378450B1 (en) * 1998-05-01 2002-04-30 Friede & Goldman, Ltd. Dynamically positioned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with slender horizontal braces
US7101118B2 (en) * 2002-02-01 2006-09-05 Ihc Gusto Engineering B.V. Multi hull barge
US6766860B2 (en) * 2002-02-22 2004-07-27 Globalsantafe Corporation Multi-activity offshore drilling facility having a support for tubular string
US8678094B2 (en) * 2004-06-02 2014-03-25 Stena Drilling Ltd. Multiple activity rig
NO322520B1 (no) * 2004-12-23 2006-10-16 Fred Olsen Energy Asa Anordning for lagring av ror, anordning for transport av ror og fremgangsmate for a ta fra hverandre en rorstreng
US8925647B2 (en) * 2006-06-30 2015-01-06 Stena Drilling Ltd. Triple activity drilling ship
SE531718C2 (sv) * 2006-10-19 2009-07-21 Gva Consultants Ab Integrerat borrdäck och hantering av utblåsningssäkring
SE530900C2 (sv) * 2007-04-02 2008-10-14 Gva Consultants Ab Borranordning
KR101510201B1 (ko) * 2008-02-15 2015-04-08 아이티알이씨 비. 브이. 해상 시추 선박
BRPI0803619B1 (pt) * 2008-09-19 2018-06-12 Petroleo Brasileiro S.A. - Petrobras Sistema de execução simultânea de operações em sonda marítima e método
AU2009310624B2 (en) * 2008-10-28 2014-05-22 Piet Ellnor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BR112012006657B1 (pt) * 2009-09-24 2020-01-28 Single Buoy Moorings dispositivo de desdobramento fora da costa, e, método de instalação fora da costa de uma coluna de mangueiras flexível
WO2012036763A1 (en) * 2010-09-13 2012-03-22 Christopher Magnuson Multi-operational multi-drilling system
NL2005912C2 (en) * 2010-12-23 2012-06-27 Itrec Bv Drilling installation and offshore drilling vessel with drilling installation.
SG10201602165RA (en) * 2011-10-05 2016-04-28 Seahorse Equip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multiple subsea wells from an offshore platform at a single site
KR101276130B1 (ko) * 2011-12-02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라이저 브리지와 bop 크레인의 체결장치
KR200469615Y1 (ko) * 2012-03-26 2013-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쌍동선형 시추선
DK178318B1 (en) * 2013-05-20 2015-12-07 A P Møller Mærsk As Drilling fluid pipe handling on a drilling rig
WO2014187816A1 (en) 2013-05-20 2014-11-27 A.P. Møller - Mærsk A/S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and a flip and service machine for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JP5820861B2 (ja) * 2013-10-08 2015-11-24 財團法人船舶▲き▼海洋▲産▼業研發中心 洋上建物の施工方法
US9446825B1 (en) 2013-12-10 2016-09-20 Hugh Francis Gallagher Self-propelled, catamaran-type, dual-application, semisubmersible ship with hydrodynamic hulls and columns
KR20150144486A (ko) 2014-06-17 2015-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일 선체 딥드래프트 반잠수식 시추선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설비
US20210179229A1 (en) * 2016-03-03 2021-06-17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Super e-column on semi-submersible vessel
WO2017186284A1 (en) * 2016-04-27 2017-11-02 Cefront Technology As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petroleum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0847A (en) * 1953-07-15 1954-10-05 Standard Oil Dev Co Device for positioning pipe in a drilling derrick
US3513996A (en) * 1968-07-31 1970-05-26 Lee C Moore Drill pipe handling apparatus
US3559821A (en) * 1969-06-19 1971-02-02 Ralph Edward James Drill pipe handling apparatus
FR2065728B1 (ko) * 1969-10-10 1974-10-31 Chevron Res
US3774780A (en) * 1972-09-07 1973-11-27 W Buffington Portable pipe pick-up, conveying and racking device
DE2336903A1 (de) * 1973-07-20 1975-02-06 Gerhard Rippen Greiferanordnung fuer betonrohre
US3929235A (en) * 1974-11-22 1975-12-30 Byron Jackson Inc System for handling and racking pipe in the hold of a vessel
US3987910A (en) * 1975-02-07 1976-10-26 Siro Brunato Apparatus for racking drill pipes on floater type platforms
US3986619A (en) * 1975-06-11 1976-10-19 Lee C. Moore Corporation Pipe handling apparatus for oil well drilling derrick
NO144976C (no) * 1976-04-01 1981-12-16 Golar Nor Offshore As Oer innretning for haandtering og lagring av stigeroer og borer
US4044895A (en) * 1976-06-04 1977-08-30 Barney Silis Adams, Jr. Pipe racking system
DE2735172C3 (de) * 1977-08-02 1980-07-03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Muldenartige Rohr-Sammelvorrichtung
US4379676A (en) * 1980-02-27 1983-04-12 Ingram Corporation Pipe handling system
US4435108A (en) * 1981-08-11 1984-03-06 Sedco, Inc. Method of installing sub-sea templates
CA1151144A (en) * 1982-02-18 1983-08-02 Kenneth Layton Pipe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NL8303115A (nl) * 1983-09-08 1985-04-01 Marine Structure Consul Paal met een luchtliftsysteem voor het in een bodem onder water laten dringen van het paaluiteinde.
NL8303671A (nl) * 1983-10-25 1985-05-17 Marine Structure Consul Hefinrichting voor een platform met ronde palen.
US4646672A (en) * 1983-12-30 1987-03-03 William Bennett Semi-subersible vessel
NL8402734A (nl) * 1984-09-07 1986-04-01 Schelde Nv Inrichting voor het opslaan van pij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64075D1 (de) 1990-09-06
JPH086305B2 (ja) 1996-01-24
JPS63219720A (ja) 1988-09-13
US4899682A (en) 1990-02-13
EP0273474B1 (en) 1990-08-01
NO171774B (no) 1993-01-25
NO171774C (no) 1993-05-05
EP0273474A1 (en) 1988-07-06
NO875026L (no) 1988-06-06
CA1300986C (en) 1992-05-19
FR2607773A1 (fr) 1988-06-10
NO875026D0 (no) 1987-12-02
KR880007320A (ko) 1988-08-26
FR2607773B1 (fr) 198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826B1 (ko) 쌍동선형 반잠수식 시추선
US6524049B1 (en) Semi-submersible, mobile drilling vessel with storage shaft for tubular drilling equipment
US4108318A (en) Apparatus for offshore handling and running of a BOP stack
KR910000466B1 (ko) 해양석유 채굴용 파이프의 보관장치
CN107416141B (zh) 海上钻探船
US3949693A (en) Partially submerged floating platform
PT82036B (pt) Processo para a instalacao da superestrutura em monobloco de uma plataforma no mar na plataforma continental e equipamento para por em pratica o referido processo
GB2201980A (en) Offshore oil/gas production
JPS59209579A (ja) 浮きモジユ−ル状装置とその構成方法
JPS5927018A (ja) 海洋プラツトホ−ム
MXPA06003907A (es) Plataforma semisumergible que se puede extender.
AU2005319792B2 (en) Device for storage of tubulars, apparatus for handling tubulars and a method for disassembling a pipe string
US4015554A (en) Construction and launch barge and method of producing and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EP3911835A1 (en) Modular riser section storage and handling system
RU2310578C1 (ru) Плавучий передаточный док
GB2170248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mi-submersible vessels
SU1219448A1 (ru) Передаточный плавучий док
SU1117380A1 (ru) Морска бурова платформа
NL7800366A (en) Semi-submersible oil exploration rig - in which float section houses all machinery, tanks, accommodation etc. and derrick comprises structural column between float and supply deck
SU14112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монта корпусов судов секционным методом
JPS60208513A (ja) 塔状海洋構造物の据付方法
NO860515L (no) Fremgangsmaate til plassering av en plattform paa en vannomgitt understoettelse, samt fartoey til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KR820002072B1 (ko) 도크쉽(dockship)
JPS61135891A (ja) 海上構造物運搬船
JPS59190080A (ja) 海上プラツトフオ−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