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418B1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418B1
KR950013418B1 KR1019910001715A KR910001715A KR950013418B1 KR 950013418 B1 KR950013418 B1 KR 950013418B1 KR 1019910001715 A KR1019910001715 A KR 1019910001715A KR 910001715 A KR910001715 A KR 910001715A KR 950013418 B1 KR950013418 B1 KR 95001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recording apparatus
latent image
electrostatic laten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509A (ko
Inventor
마사히로 호소야
슈이쯔 사또
미쯔나가 사이또
요시미쯔 오다까
미쯔하루 엔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도교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마꼬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3278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34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도교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마꼬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2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64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the developing unit, e.g. cleanerless or multi-cycl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9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corona discharge devices, e.g. wires, pointed electrodes, means for cleaning the corona discharg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1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 G03G2215/02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using a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In Electrophotograph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서로 다른 기록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 제 4 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각각 다른 기록장치의 주요부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잠상유지체 2 : 토너입자
2' : 전사후 남은 토너 3 : 현상장치
4 : 토너 담지체 5 : 전사장치
6 : 화상지지체 8 : 전계제거램프
9 : 코로나대전기 10 : 노광수단
13 : 브러시 롤러 14 : 브러시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사후 남은 토너를 회수하는 크리닝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화상기록을 행하는 크리너(cleaner)없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의 기록장치에 현상장치(수단)에 의해 현상과 동시에 전사후 남은 토너를 현상장치내에 회수하는 기록장치(이후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라 부른다)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9-133573호 공보, 일본 특개소 59-157661호 공보등에 의해서 알려져 있다.
이들 공보에는 크리너없는 기록장치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골자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제 1 도에 주요부 구성을 단면적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레이저 프린터로 대표되는 전자사진 프린터에서는 반전현상법을 사용할 경우가 많다.
이 반전현상법에서는 정전잠상유지체(감광체)(1)와 같은 극성으로 대전되고 있는 토너입자(2)를 사용하여,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혹은 전하량이 작은 부분)에 토너입자(2)를 부착시키고, 전하가 존재하는 부분에는 토너입자(2)를 부착시키지 않는다.
이와같은 선택적인 토너의 부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상장치(현상수단)(3)내의 토너담지체(4)에 전술한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대부분의 전위(Vo)와 비대전 부분의 전이(Ve)사이의 전압
Vb( | Ve | 〈 | Vb | Vo | )
을 인가하여,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대전부분과 토너담지체(4)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정전잠상 유지체(1)로의 토너 부착을 억제한다.
한편,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비대전 부분과 토너담지체(4)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정전잠상 유지체(1)에 토너(2)를 부착시킨다.
정전잠상유지체(1)에 부착된 토너(2)는 전사장치(5)에 의해서 화상지지체(6)에 전사된다.
이 전사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모든 토너가 전사되는 것은 아니고 전사후의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에는 전사후 남은 토너(2')가 화상모양으로 분포하고 있다.
통상의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크리너(7)에 의해서 상기 전사후 남은토너(2')를 회수한다.
뒤이어 전계제거램프(8)에 의해서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전하를 제거하고, 다시금 대전기(9)에 의한 균일 대전과정과 광비임(10)에 의한 노광과정으로 이루어진 정전 잠상형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면에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에서는, 크리너(7)를 부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사후 남은 토너(2')를 현상과정에 이르게하여, 정전잠상의 현상과 동시에 현상장치(3)내에서 전술한 전사후 남은 토너(2')를 회수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광비임(10)의 노광에 의해서 형성된 잠상중 대전부분(즉, 미노광부 혹은 비화상부)에 존재하는 전사후 남은 토너(2')는 대전기(9)에 의해서 잠상과 같은 극성으로 확실히 대전되고 있다.
이 때문에 토너담지체(4)에서 정전잠상유지체(1)로 토너입자(2)가 옮겨지는 것을 억제하는 전계(즉 Vo와 Vb의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서 토너담지체(4)측으로 옮겨진다.
동시에 비대전부분(즉, 노광부 혹은 화상부)에 존재하는 전사후 남은 토너(2')는 토너담지체(4)에서 정전잠상유지체(1)로 향하는 힘을 받아 정전잠상유지체(1)면상에 잔류한다.
이 전사후 남은 토너(2')가 잔류하는 비대전 부분에는 토너담지체(4)에서 새로운 토너입자(2)가 옮겨지며 현상과 동시에 크리닝(cleaning)이 행해진다.
이와같이 크리너없는 기록장치에서는 크리너(7)와 크리닝된 토너(즉 폐토너)를 수납하는 폐토너 박스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와 간략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 전사후 남은 토너(2')는 현상장치(3)에 회수되어 재차 사용되기 때문에 폐토너가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이다는 것, 크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를 미끄럼 마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전잠상유지체(1)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등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 크리너없는 기록장치에서는 다음 이유에 의해 고스트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첫째, 습도가 높은 환경하에서는 상(像)지지체(6)로서의 종이가 습기를 흡수하고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사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다량의 토너가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에 잔류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전사후 남은 토너(2')량이 과대하게 되면 현상장치(현상수단) (3)에서 완전히 크리닝할 수 없게 되어 비화상부에 전사후 남은 토너(2')가 잔류해버리고 전사화상의 백지부에 포지티브(positive)고스트가 나타난다(이후, 포지티브 고스트 혹은 포지티브 메모리라 부른다).
둘째, 전사 후 남은 토너(2')량이 과대하게 되면 광비임(10)에 의한 노광과정에서 전사후 남은 토너(2')가 광비임(10)을 차광하기 때문에 정전잠상유지체(1)의 표면전위감쇠가 불충분하게 되고 대전부분의 전위(Vo)와 비대전부분의 전위(Ve)의 중간 전위상태(Ve'로 한다)로 되어 버린다.
이러한 중간전위 상태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는 현상전압이 Vb-Ve'로 되고 주위노광부의 현상전압(Vb-Ve)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기 때문에 토너담지체(4)에서 정전잠상유지체(1)로의 토너 이동량이 주위에 비해서 적게 된다.
따라서 전사화상의 화상부에 전사후 남은 토너상이 테두리만 나오고 안쪽은 하얀상(이하 네가티브 고스트(negative ghost)또는 네가티브 메모리라 부른다)로 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현상은 망점화상과 라인화상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프톤(halftone)화상에서 특히 현저하다.
이것에 대해서 일본특개소 62-203183호 공보에는 제 2 도에 단면으로 나타낸 형상의 도전성 브러시(brush) (11)에 전압을 인가하고 정전잠상유지체(1)면에 가볍게 접촉시킴으로써 고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즉 도전성 브러시(11)에서 직류전원(12)에 의해 토너의 대전극성과는 역의 극성 전압을 인가하고 전사후 남은 토너(2')를 전기력에 의해서 일단 브러시(11)에 흡인시킨다.
이에따라, 정전잠상유지체(1)표면상 전사후 남은 토너(2')의 량은 대폭 감소하고 전술한 고스트 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에 있어서는 다음 2개의 문제가 발생한다.
① 크리너를 필요로하지 않는 대신에 전술한 브러시와 같은 균일화수단(11)의 별도설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와 저가격화을 꾀하여도 반드시 큰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특히 도전성 브러시(11)는 제조시에 전기저항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과 섬유가 구부러지기 쉽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나쁘며 고가의 것이 되기 쉽다. 더구나 이 도전성 브러시(1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원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② 정전잠상유지체(1)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수단(9)으로서 전술한 제 1 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코로나 대전기를 이용하면 코로나 방전생성물로서 오존이 다량 발생한다. 이 발생하는 다량의 오존은 인체에 대해서 유희할 뿐만 아니라 대전잠상유지체(1)등 구성부품의 악화를 초래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에서는 장치의 소형화와 저가격화 내지 유해한 방전 생성물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용상 충분한 만족을 얻는 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와 저가격화가 가능한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과정에서 유해한 방전 생성물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기록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잠상유지체(1)등 구성부품의 악화도 해소되어 내구성이 높은 기록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기능을 가진 크리너 없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대전수단에 소요된 대전기능외에 잔류토너상의 균일화 기능을 부여한 것을 골자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정전잠상유지체와 이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수단과, 이 대전수단에서 대전된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의 전하 일부를 감쇠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수단과,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서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수단과, 이 형성된 토너상을 상지지체상에 전사하는 전사수단과, 이 전사후에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상에 남아있는 잔류토너상을 흐트려서 토너의 분포를 균일화하는 잔류토너상의 균일화 수단을 구비하고 전술한 현상수단에 의해서 토너를 현상수단 내부로 흡인회수하는 동시에 정전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대전수단에서 종래의 대전기능 외에 잔류토너상을 균일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에서는 대전수단이 잔류 토너상을 균일화하는 기능도 가지기 때문에 잔류토너용 크리너 설치와 잔류토너상을 균일화하는 수단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참된 크리너 없는 기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결국 대전수단이 전압 인가된 접촉자등에 의해서 구성됨에 따라 대전수단에 의해서 정전잠상유지체가 균일하게 대전될 때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상에 잔류하고 있는 전사후 남은 토너가 미끄럼 운동하게되는 한편 소요전압이 인가된다.
이 전압인가에 의해서 전사후 남은 토너분포는 어지럽고 전체적으로 전사후 남은 토너 분포가 균일화된다.
따라서 전사후 남은 토너가 다음의 화상에서 고스트를 초래할 수 없게 된다. 또 정전잠상유지체에 대한 대전은 이른바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은 아니고 주지된 전기장방사(Field Emission) 혹은 이온 전도로 하는 메카니즘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방전 생성물이 거의 없고 인체와 정전잠상유지체등에 악영향을 줄 수도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장치에 대해서 그 주요부를 단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잠상유지체(감광체) (1)에 대해서 이 정전잠상유지체(1)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3)가 배치설치되어 있다.
이 현상장치(3)는 토너담지체(4)를 내장하여 이 토너담지체(4)에 의해서 정전잠상유지체(1)와 같은 극성으로 대전하고 있는 토너입자(2)가 정전잠상유지체(1)면에 공급되어,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혹은 전하량이 적은부분)에 토너입자(2)를 부착시키지 않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 선택적인 토너입자의 부착은 전술한 현상장치(현상수단) (3)내의 토너담지체(4)에 전술한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대전부분 전위(Vo)와 비대전부분의 전위(Ve)사이의 전압
Vb( | Ve | 〈 | Vb | 〈 | Vo | )
을 인가하여, 정전잠상유지체(1) 표면의 대전부분과 담지체(4) 사이의 전계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로의 토너 부착을 억제하고 정전잠상유지체(1)표면의 비대전 부분과 담지체(4)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정전잠상유지체(1)에 토너(2)의 부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에 대해서 이 정전잠상유지체(1)에 부착된 토너입자(2)를 상지지체(6)에 전사하는 전사장치(5), 전계제거램프(8), 도전성 브러시 롤러(13) 및 노광수단(10)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전사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든 토너가 전사되지는 않으며, 전사후의 정전잠상유지체(1)면상에는 전사후 남은 토너(2')가 화상으로 잔류하고 있다.
또 상기 전사후, 전계제거램프(8)에 의해서 정전잠상유지체(1)면상의 전하는 제거되고 재차 도전성 브러시롤러(13)에 의한 균일대전과 노광수단(10)에 의한 노광에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에서는 전사후 남은 토너(2')를 현상공정에 이르게하여 대전잠상의 현상과 동시에 현상장치(3)내로 전술한 전사후 남은 토너(2')가 회수된다.
엄밀하게 말하면 노광수단(10)의 노광에 의해서 형성된 잠상중대전부분(즉, 미노광부 혹은 비화상부)에 존재하는 전사후 남은 토너(2')는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에 의해서 잠상과 같은 극성에서 확실하게 대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너담지체(4)에서 정전잠상유지체(1)로 토너입자(2)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전계(즉 Vo와 Vb의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서 토너담지체(4)측으로 옮겨진다.
동시에 비대전부분(즉, 노광부 혹은 화상부)에 존재하는 전사후 남은 토너(2')는 토너담지체(4)에서 정전잠상유지체(1)로 향하는 힘을 받아서 정전잠상유지체(1)표면에 잔류한다.
이 전사후 남은 토너(2')가 잔류하는 비대전부분에는 토너담지체(4)에서 새로운 토너입자(2)가 옮겨지고 현상과 동시에 크리닝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장치에 제 2 도에 나타낸 구성의 기록장치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양상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잔류 토너상을 균일화하는 수단(11)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코로나 대전기(9) 대신에 전압이 인가된 대전성 브러시 롤러(13)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특징지어진다.
전술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는 체적저항값이 102내지 1010Ω·㎝ 바람직하게는 103내지 108Ω·㎝의 도전성 섬유(브러시) (14)를 바깥둘레에 심어 이루어진 것으로, 브러시(14)가 심어지는 롤러 기판(15)은 금속과 같은 강성의(rigid)도전체나 도전성 고무 내지 도전성 포옴등의 탄성도전체가 이용된다.
브러시(14)를 이루는 섬유의 두께는 0.5 데니어(denier) 내지 10데니어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심는 모의 밀도는 5000개/㎠ 내지 10만개/㎠의 범위가 양호하고 또 섬유의 길이는 0.5mm 내지 5.0mm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들값은 주로 후술하는 대전기능에서의 요구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도전기판(롤러기판) (15)에는 전류계(16)를 통해서 교류전원 혹은 직류전원 또는 이들을 접속한 전원(17)에 의해 교류 내지 직류의 전압이 인가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정전잠상유지체(1)를 균일하게 부(-)대전할 때에는 도전성 브러시롤러(13)에 부(-)의 전압 혹은 부(-)로 편위된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회전방향은 정전잠상유지체(1)의 회전방향과 동방향·역방향의 어느쪽이어도 좋지만 둘레의 선속도는 정전잠상유지체(1)의 표면 속도와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선속도는 정전잠상유지체(1)의 선속도보다도 빠르거나 혹은 약간 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전잠상유지체(1)에 대해서 1.2 내지 5.0배의 속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와 정전잠상유지체(1)의 접촉폭은 0.5mm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정전잠상유지체(1)의 선속도를 40mm/sec,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바깥직경 25mm, 도전성브러시(13)를 이루는 섬유의 저항값이 105Ω·㎝, 섬유의 길이 2.5mm, 섬유의 두께 3 데니어, 심은 모 밀도가 4만개/㎠의 조건을 구성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선속도를 60㎝/sec, 인가전압으로서 피크값 800V의 교류전압에서 -5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하고,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와 정전잠상유지체(1)와의 접촉폭을 3mm로 설정한 경우의 결과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전술한 조건하에서는 유지감광체(정전 잠상유지체) (1)의 표면은 -450V 내지 -500V로 균일 대전된다.
이 대전면에 레이저 노광을 행하고 2성분 현상법 혹은 1성분 비자성 현상법으로 현상한 후 주지된 전사장치(5)에서 전사용지(6)로 토너상을 전사했다. 전사후에는 유기감광체(정전잠상유지체) (1) 상에는 화상 위에 전사후 남은 토너(2')가 생긴다.
잔류토너(2')가 부착된 유기 감광체(1)표면은 전계제거램프(8)에 의해서 대전된 후 재차 도전성 브러시롤러(13)의 위치에 도달한다.
전술한 전사 후 남은 토너(2')는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미끄럼 마찰력에 의해서 균일화되는 동시에 교류전계에 의해서 미끄럼운동을 행하기 때문에 보다 한층 균일화가 행하여진다.
동시에 유기감광체(1)표면에 접촉하는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의 도전섬유(14)에 의해서 전술한 유기감광체(1)표면에 부(-) 전하가 부여되어 유기감광체(1)에 대해서 균일한 대전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에서 -500V 내지 -800V 정도의 직류전압만을 인가했을때에도 같은 양상의 균일화 및 대전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교류를 중첩함에 따라 한층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류전압은 피크값과 300V 내지 2000V 주파수는 200Hz 내지 5KHz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중첩하는 직류전압의 절대값은 소정의 정전잠상유지체(1) 전위 혹은 이것보다도 큰값(특히 200-500V 정도 큰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용 섬유(14)의 재료는 레이논 폴리아미드, 아크릴, 테트라플로로폴리에틸렌등을 도전 처리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도전성 브러시 롤러(13)에 의해서 잔류토너(2')의 균일화와 유기감광체(1)의 대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경우에서의 도전성 브러시 롤러(13)를 대신하여 제 4 도에 나타낸 고정형의 도전성 브러시(13a)를 이용해도 좋다. 또 이 고정형의 도전성 브러시(13a)는 고정기체편(15a)이 오목면에 도전성섬유(14)를 심어 설치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전기적으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동일 조건으로 함으로써 같은 양상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브러시(13a), 즉 대전기능 및 잔류토너상을 균일화하는 기능등 양 기능을 나타내는 수단과 정전잠상유지체(1)와의 접촉폭은 3mm이상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경우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 롤러(13)대신에 제 5 도에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 도전 롤러(13b)를 이용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전잠상유지체(1)가 강체로 될 때에는 도전롤러(13b)를 탄성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도에서는 금속 샤프트(15)의 바깥둘레에 도전성 고무층(18), 그 표면에 도전성수지 혹은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되는 표면층(18a)을 설치한 것을 예시했다.
물론 표면층(18a)없는 단층형이어도 좋다.
전술한 기록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도전롤러(13b)로 표면 거칠기 0.3μmRz, 1.2μmRz 혹은 15μmRz의 도전 롤러를 이용하여 각각 실험을 행한 결과, 어느 것의 경우에도 양호한 소요대전과 균일한 기능의 발현이 인정되었다.
또 전술한 도전 롤러(13b)의 구성 재료는 도전 샤프트(15)를 제외하고 도전성 고무층(18) 및 표면층(18a)은 103내지 1010Ω·㎝의 것이 적당하고 또 전기적, 기계적 조건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의 도전성 브러시 롤러(13) 대신에 제 6 도에서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 자기 브러시(19)를 이용해도 좋다.
이 자기 브러시(19)의 구조는 고정형 혹은 회전형의 자성체 롤러(20)의 둘레에 비자성체로 되는 고정형 혹은 회전형 슬리브(21)를 갖추고, 그 주위에는 자성입자 함유층(22)를 부착시킨 것이다.
자성입자로서는 체적저항이 102-1010Ω·㎝, 평균입자 직경이 10μm 내지 200μm이 철가루, 페라이트등이 이용된다.
이 경우에서도 전기적으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동일 조건으로 함에 따라서 같은 양상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외의 전기적 조건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동등하게 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기록장치에 의하면 대전 수단 내지 잔류토너상을 균일화하는 수단이 정전잠상유지체의 대전과 전사후 남은 토너의 균일화를 동시에, 또 확실하게 실행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더구나 장치의 소형화와 저가격화가 용이하고 방전 생성물에 의한 오염도 없고 항상 고스트가 없는 양호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크리너 없는 기록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정전잠상유지체와, 이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수단과, 이 대전수단으로 대전시킨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측을 노광함으로써 표면전하의 일부를 감쇠시켜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수단과, 이 정점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토너상을 형성하는 반전현상수단과, 이 형성된 토너상을 상지지체 위에 전사하는 전자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전현상수단에 의해 전류토너를 현상수단내부로 흡인회수함과 동시에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수단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동시에 상기 잔류토너의 분포를 균일화하는 도전성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에 직류전압이 인가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면에 접하는 도전성롤로의 단면폭이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0.5mm이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이 부(-) 전압 또는 부(-)에 치우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성롤러가 적어도 롤러기본체 및 이 롤러기본체 둘레면에 형성하여 설치된 도전성 탄성체층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도전성탄성체층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정전잠상유지체와, 이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 대전수단과, 이 대전수단으로 대전시킨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측을 노광함으로써 표면전하의 일부를 감쇠시켜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수단과,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토너상을 형성하는 반전형상수단과, 이 형성된 토너상을 상지지체위에 전사하는 전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전현상수단에 의해 잔류토너를 현상수단 내부로 흡인회수함과 동시에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수단은 현상에 기여하는 토너의 대전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직류전압에 교류전압을 중첩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 표면의 대전과 상기 토너의 대전 및 분포의 균일화를 동시에 행하는 도전성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자의 정전잠상유지체면에 접하는 단면폭이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0.5mm이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축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부전압 또는 부(-)에 치우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자가 도전성 브러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가 롤러기본체와 이 롤러기본체 둘레면에 심어진 도전성 섬유군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롤러기본체가 강성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롤러기본체가 탄성의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롤러기본체 둘레면에 심어진 도전성 섬유의 저항값이 102∼101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롤러기본체 둘레면에 심어진 도전성 섬유의 두께가 0.5∼1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롤러기본체 둘레변에 심어진 도전성 섬유의 밀도가 5000∼10만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가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속도와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도전성 브러시롤러의 회전속도가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속도에 대해서 1.2∼5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9.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자가 적어도 롤러기본체 및 이 롤러기본체 둘레면에 형성하여 설치된 도전성 탄성체층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도전성 탄성체층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1.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자가 자기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2. 제 7 항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자가 도전성 고정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도전성 고정브러시가 오목면을 가지는 도전성 기본체와 이 도전성 기본체의 오목면에 심어진 도전성 섬유군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KR1019910001715A 1990-05-31 1991-01-31 기록장치 KR950013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142970 1990-05-31
JP??02-142970 1990-05-31
JP2142970A JP2856506B2 (ja) 1990-05-31 1990-05-31 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509A KR910020509A (ko) 1991-12-20
KR950013418B1 true KR950013418B1 (ko) 1995-11-08

Family

ID=1532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715A KR950013418B1 (ko) 1990-05-31 1991-01-31 기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59607B1 (ko)
JP (1) JP2856506B2 (ko)
KR (1) KR950013418B1 (ko)
DE (1) DE6911228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30523T2 (de) * 1990-09-07 1999-05-20 Konishiroku Photo Ind Aufladevorrichtung
JPH05346751A (ja) 1992-06-16 1993-12-27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651612A (ja) * 1992-07-30 1994-02-25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426488A (en) * 1992-10-19 1995-06-20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charging a built-in electrophotographic charge member
JPH07114311A (ja) * 1993-10-15 1995-05-02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2232A (ja) * 1994-07-06 1996-01-2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3100838B2 (ja) * 1994-07-20 2000-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54771A (ja) * 1994-08-11 1996-02-27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US5659852A (en) * 1994-10-31 1997-08-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EP0709746B1 (en) 1994-10-31 2001-0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use of developer material for said method
JP3113803B2 (ja) * 1994-11-08 2000-12-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55915B2 (ja) * 1994-11-18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256462B1 (en) * 1998-10-09 2001-07-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567625B1 (en) * 1999-05-27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with delayed rotation of photosensitive member
JP2001100592A (ja) * 1999-09-30 2001-04-1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835986B2 (ja) 2011-07-27 2015-1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693A (en) * 1982-01-11 1984-09-11 Pitney Bowes Inc. Self-cleaning xerographic apparatus
CA1214502A (en) * 1982-11-01 1986-11-25 Lloyd F. Bean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xer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JPS6142669A (ja) * 1984-08-06 1986-03-01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帯電装置
JPS61107357A (ja) * 1984-10-31 1986-05-26 Fuji Xerox Co Ltd ブラシ帯電装置
JPS62175780A (ja) * 1986-01-30 1987-08-01 Mita Ind Co Ltd 非晶質シリコン感光体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US4769676A (en) * 1986-03-04 1988-09-0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removing residual toner
JPS63187267A (ja) * 1987-01-30 1988-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帯電装置
JPS63221366A (ja) * 1987-03-11 1988-09-14 Fujitsu Ltd 導電ブラシ帯電装置
JP2633686B2 (ja) * 1989-05-31 1997-07-2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2281D1 (de) 1995-09-28
EP0459607A2 (en) 1991-12-04
JPH0434566A (ja) 1992-02-05
EP0459607B1 (en) 1995-08-23
DE69112281T2 (de) 1996-02-15
EP0459607A3 (en) 1992-09-02
KR910020509A (ko) 1991-12-20
JP2856506B2 (ja)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418B1 (ko) 기록장치
KR100192689B1 (ko)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US5970285A (en) Cleanerless image forming apparatus
JP3279990B2 (ja) 画像形成装置
JP3119431B2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875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9084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6118855A (ja) 画像形成装置
JPH0211911B2 (ko)
JP3466840B2 (ja) 画像形成装置
JP3201613B2 (ja) 画像形成方法
JP3437288B2 (ja) 帯電装置
JP3054885B2 (ja) 導電ブラシ帯電器
JP3246306B2 (ja)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01612B2 (ja) 画像形成方法
JP3157155B2 (ja) 画像形成方法
JP3359202B2 (ja) 画像形成装置
JP3157154B2 (ja) 画像形成方法
JP330227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6095A (ja) 帯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010846A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325564A (ja) 帯電装置
JPH0850392A (ja) 帯電装置
JPH096096A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6094A (ja) 帯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