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872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872B1
KR950011872B1 KR1019920006576A KR920006576A KR950011872B1 KR 950011872 B1 KR950011872 B1 KR 950011872B1 KR 1019920006576 A KR1019920006576 A KR 1019920006576A KR 920006576 A KR920006576 A KR 920006576A KR 950011872 B1 KR950011872 B1 KR 95001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paper
image forming
conve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87A (ko
Inventor
쇼오지 히로따
히로미쓰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요동프레임을 개방하여 용지통로를 해방시킨 상태의 설명도.
제3도는 요동프레임을 크게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핀치롤러의 지지부재와 그 요동기구의 설명도.
제5도는 요동프레임을 닫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핀치롤러 요동장치의 기어들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제2도에 대응하는 상태에서의 기어들의 관계의 설명도.
제7도는 제3도에 대응하는 상태에서의 기어들의 관계의 설명도.
제8도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구성한 경우의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프린터에 있어서 잼처리시의 상태의 설명도.
제10도는 이동프레임을 더 크게 이동시킨 상태의 설명도.
제11도는 요동프레임을 개방하는 동작을 와이어에 의해서 롤러 보지부재로 전달하는 방식의 장치의 설명도.
제12도는 잼처리시의 요동프레임의 개방동작의 설명도.
제13도는 요동프레임을 크게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상형성수단을 설비한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용지통로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분리 가능한 커버부재를 요동프레임 또는 이동프레임으로서 구성하여 되는 장치 관한 것이다.
전자복사기나 프린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고 그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킨후에 정착 장치를 통과하여 정착시켜 카피를 작성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금지부에 배치한 급지 카세트등의 장치로부터 급지장치를 사용하여 용지를 1매씩 송출하여 감광체 드럼의 화상전사부를 향하여 용지를 반송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소형인 장치에서는 용지통로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프레임을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용지통로내에서 용지가 정지된 경우등에는 한쪽 프레임을 개방하여 용지통로를 해방시키고 용지걸림 즉, 잼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 프레임을 개폐가능하게 설비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형상수단을 점검하는 경우나 각 장치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을 개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행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 화상형성장치 이외에 소형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도 장치 본체에 대해서 화상형성수단을 배치하여 용지통로를 경계로하여 장치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프레임을 설비하여 잼처리나 장치의 정비작업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였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44064 공보등에 나타낸 예에서는 장치 본체에 유니트화한 화상형성 부재를 배치하고 이 장치 본체에 대해서 개폐 프레임을 개폐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개폐프레임에 대해서 용지반송 수단이나 정착장치등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부재에 대한 정비를 행할 경우나 용지통로내에서의 잼처리등을 행할때에는 상기 개폐 프레임을 개방할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프레임에 대해서 용지 통로의 반송롤러 장치가 일체로 설비되어 있다. 따라서 잼된 용지가 강한 찝는 압력 즉 강한 닙압력으로 반송롤러 장치의 사이에 닙된 상태대로 남기 때문에 그 찜된 용지의 처리가 귀찮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개폐프레에 대해서 반송롤러 장치의 한쪽판을 지지시키는 수단등을 설비하는 경우에는 잼된 용지의 처리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나 화상형성부재를 꺼내는 등을 행할때에 그 롤러가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314256호 공부등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지통로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개폐 프레임을 개방할때에 정착 장치의 부분을 본체에 남기고 용지통로의 한쪽 부분만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개폐 프레임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도 용지통로의 반송롤러 장치는 용지를 닙한 상태 그대로 개방되기 때문에 잼된 용지의 처리에 문제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은 종래의 장치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며 용지통로를 경계로 하여 개폐 프레임을 개방할때에 그 개폐 프레임의 개방 각도 또는 이동상태를 2단계로 설정하고 작게 개방한 경우에는 반송롤러 장치의 닙을 해제하고 크게 개방한 경우에는 반송장치를 장치 본체로부터 이간시켜 화상형성부재의 정비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설비하고 이 장치 본체에 화상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수단, 및 급지수단등을 배치하여 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용지통로를 경계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요동프레임을 배치하고 이 요동프레임을 상이한 각도 또는 위상으로 2단계로 개방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설비하고 상기 요동프레임을 크게 개방한 상태에서는 용지통로의 반송롤러등의 반송장치를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시킬수 있게 한 기구를 설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용지통로에 배치하는 반송장치를 반송롤러장치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요동프레임쪽에 구동롤러를 배치하고 이 구동롤러의 구동기구에 대한 중간기어의 지지부재를 거쳐서 상기 반송롤러 장치의 핀치롤러를 요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요동프레임을 크게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롤러 장치의 핀치 롤러를 장치본체쪽에서 분리시켜 장치 본체에 설비한 화상형성 수단에 대응시켜서 큰 개구부를 형성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용지통로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능하게 프레임을 배치하고 이 이동프레임을 장치 본체로부터 수평으로 당겨 떨어뜨리는 개폐수단을 2단계로 설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크게 개방한 상태에서 반송롤러 장치의 핀치롤러를 장치본체로부터 이간시키는 수단을 설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요동프레임 또는 이동프레임을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시켜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와의 사이의 닙을 해제하는 기구를 설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통로를 경계로 하여 개폐프레임을 개방할때에 그 개폐프레임의 개방각도를 2단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개폐프레임을 여분으로 크게 개방하는지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개폐프레임을 작게 개방할 경우에는 반송롤러 장치의 닙을 해제하고 크게 개방할 경우에는 반송롤러장치를 장치본체로부터 이간시켜 화상형성 부재의 정비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각 작업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기구도 간소화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겠다.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프린터를 부호 1로 나타낸 것이며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용지통로(32)를 거쳐서 요동프레임(30)을 개폐가능하게 설비하고 있다. 상기 프린터(1)의 본체프레임(2)에는 일반적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와 같이 기입장치(4)와 유니트로 구성된 화상형성장치부재(10)를 설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입장치(4)에 의해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감광체드럼(11)에 기입을 행하고 그 감광체드럼(11)에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고 정착장치(35)에 의해서 정착시켜 카피를 작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의 본체프레임(2)에 설비되는 기입장치(14)부(3)가 마이크로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등의 화상정보 출력장치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수신하여 기입장치(4)하여 화상정보를 출력하고 기입장치(4) 출력되는 레이저빔에 의해서 기입을 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3)에는 고압전원, 저압전원드의 프린터의 구동이나, 대전기등에 필요한 전원장치등 이외에 프린터의 각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어장치, 기입장치의 화상형성기구에 대한 화상정보처리장치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입장치(4)반적 기입장치의 경우와 같이 레이저 발진기(5)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폴리콘미러(6)에 의해서 반사하고 fθ렌즈(7)를 통하여 결상하고 복수의 미러(8, 8a)를 거쳐서 감광체드럼(11)에 조사한다.
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체드럼(11)은 전자사진방식의 장치를 하나로 종합한 화상형성부재의 유니트(10)에 설비되는 것이며, 이 유니트에는 감광체드럼(11)과 현상장치(12), 클리닝장치, 및 대전코로트론(15)등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화상형성부재유니트를 구성하는 형상장치(12)는 현상롤러(13)와 토너수용부(14)를 갖고 토너수용부(14)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를 교반ㆍ반송수단을 사용하여 현상롤러(13)로 향해서 반송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박층을 형성하여 감광체드럼(11)을 향해서 노출시켜 감광체드럼(11)의 정전잠상에 부착시키게 한다. 또 클리닝 장치로서는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클리닝 블레이드(16)를 사용하고 있고 이 블레이드(16)에 의해서 감광체드럼의 표면으로부터 긁어낸 토너나 종이가루등은 회수토너 호퍼(17)에 수용된다.
또 상기 화상형성부재의 유니트(10)에는 클리닝 장치와 현상장치(12)와의 사이에 매우 소형으로 구성된 대전코로트론(15)을 설비하고 있다. 이 대전코로트론(15)은 그 와이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유니트의 프레임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유니트의 프레임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그에 의해서 일반적 대전기의 경우와 같은 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입장치 화상형성부재를 갖는 토너화상의 형성수단에 대해서 상기 프린터(1)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의 하부에 급지장치를 설비하고 있다. 이 프린터에 사용되는 급지카세트(20)는 저판(21)을 스프링(22)과 밀어올리는 아암(23)에 의해서 지지하는 형식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저판(21)에 지지되는 용지를 대략 수평상태로 보지하여 급지를 행하게 하는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저판(21)의 급지쪽 선단부를 밀어올리기 위한 아암(23)은 스프링(24)를 거쳐서 지지바아(25)에 접속되어 있다.
급지카세트(20)를 급지부에 장착했을때에 지지바아(25)가 상승됨으로써 스프링(24)에 의해서 아암(23)이 요동되어 저판(21)이 상향으로 힘주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판(21)에 지지되어 잇는 용지를 급지롤러(27)를 향해서 힘주고 이 급지롤러(27)가 회전됨으로써 용지를 스나버(26)에 의해서 처리된 상태로 용지통로(32)를 향하여 송출하게 한다.
상기 용지통로(32)는 본체프레임(2)에 설비된 내측 안내판(33)과 요동프레임(30)에 설비된 외측 안내판(34)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용지통로에는 2조의 반송롤러장치(40, 43)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의 반송롤러장치(40)는 급지카세트에 설비된 핀치롤러(42)와 장치본체에 설비된 구동롤러(41)를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고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롤러(27)에 의해서 송출되는 용지를 용지통로(32)에 따라서 반송하는 작용을 행하게 한다. 또 상부의 반송롤러장치(43)는 대직경의 구동롤러(44)와 핀치롤러(45)를 대향시켜 설비되어 있고 이 반송롤러장치(43)에 의해서 용지를 일정한 속도로 반송하고 화상전사부에 배치한 전사코로트론(18)의 방전에 의해서 감광체드럼(1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킨다.
상기 상부의 반송롤러장치(43)를 구성하는 구동롤러(44)는 수동급지부(47)의 급지롤러로서도 사용된다. 상기 수동급지부(47)는 요동프레임(30)의 커버부재를 들어내어 용지를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가이드(48)와 급지롤러(43)에 대향하는 처리패드(4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급지부(47)를 거쳐서 삽입되는 용지를 반송롤러장치(43)에 의해서 용지통로(32)를 향해서 보내 화상을 전사시키도록 한다. 상기 용지통로(32)의 상단부에는 정착장치(35)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정착장치(35)는 열롤로방식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가열롤러(36)와 가압롤러(37)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양롤러 사이에 일정한 닙압력을 설정하고 있다. 또 상기 정착장치의 하류부에는 배출롤러(38)를 배치하여 카피를 배출트레이(39)를 향해서 배출시키도록 한다.
(요동 프레임의 개폐)
상기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된 프린터(1)에 있어서는 용지통로(32)의 부분에서 용지가 정지된 경우에는 그 잼용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요동프레임(30)을 지지축(31)을 중심으로하여 개방하여 용지통로(32)를 해방시킬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잼 제거를 위하여 용지통로(32)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프레임(30)을 개방각도(θ)를 45~60°로 개방하도록 하여 용지통로를 해방시키고 이 용지통로(32)부분에 정지되어 있는 용지를 끌어내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제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프레임(30)을 개방한 경우에는 상부의 반송롤러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롤러(44)는 요동프레임(30)과 함께 핀치롤러(45)로부터 이간되어 용지에 대한 닙이 해제되는 상태로 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요동프레임(30)을 각도(θ1)까지 해방시킨 경우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상기 핀치롤러(45)를 지지하는 부재(50)가 요동프레임(30)의 요동에 추종하여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보지부재(51)에 지지되어 있는 핀치롤러(45)가 본체프레임(2)으로부터 이간되어 이 프레임(2)의 용지통로쪽을 해방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하여 요동프레임(30)을 각도(θ1)로 개방한 경우에는 본체 프레임의 용지통로쪽에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부재(10)를 교환하는 등의 직업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3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요동프레임(30)을 닫으면 모든 요동부재는 제1도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요동프레임(30)의 요동기구에 있어서 반송롤러장치(43)의 핀치롤러(45)를 지지하는 핀치롤러 요동장치(50)는 제4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 요동장치(50)에 있어서 핀치롤러(45)와 패드(49)는 지지축(52)에 대해서 요동가능하게 설비된 롤러 보지부재(51)에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롤러 보지부재(51)의 일체로 기어부재(53)에 지지되는 중간기어(55)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간축(54)에는 중간기어(55)이외에 전도기어(56)를 설비하고 있고 이 전도기어(56)는 본체의 구동계로부터의 전도기어로서 사용되고 지지축(31)에 설비된 기어(57)를 거쳐서 금지롤러(구동롤러)(44)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상기 지지축(31)에 지지되는 톱니부재(59)는 예를들면 프레임(30)의 지지브라켓(58)에 톱니를 일부만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요동프레임(30)을 크게 요동시켰을때에만 톱니부재(59)가 기어(55)에 맞물러 기어(53)을 거쳐서 롤러보지부재(51)를 회전시켜 제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핀치롤러(45)를 본체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요동시키는 작용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전도기어장치에 있어서 요동프레임쪽의 기어장치와 중간부의 기어장치의 관계는 제5도에 나타낸 기어에 대해서 중간부의 기어장치중 작은 기어(55)에 대해서 롤러보지부재를 요동시키기 위한 기어가 맞물리는 상태로 되어있다.
상기 제5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기어(55)와 기어(55)가 맞물려있는 상태는 요동프레임(30)이 본체프레임에 대해서 정상으로 장착되어 양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용지통로내에서 용지의 반송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핀치롤러를 지지하는 롤러보지부재는 제4도에 나타낸 위치에 고정 보지되어 있다.
상기 제5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요동프레임(30)을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θ)만 요동시켜 제2도에 나타낸 상태로 하면 각 기어는 제6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관계로 된다. 즉 요동 프레임에 지지되는 브라켓(58)에 설비한 톱니(59)가 소기어(55)에 맞닿으나 이 기어(55)를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로 정지 보지시킨다. 따라서, 제6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2도와 같이 본체 프레임쪽에 핀치롤러가 남아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된다. 이에 대해서 요동프레임(30)을 더 크게 요동시키는 경우에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브라켓(58)에 설비한 톱니(59)가 소기어(55)에 맞물려 이 기어(55)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어(55)에 맞물려서 기어(53)를 거쳐서 핀치롤러를 지지하는 롤러보지부재(51)가 지지축(52)을 거쳐서 크게 요동되어 제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핀치롤러를 요동프레임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또 제4~7도에 나타낸 핀치롤러 요동장치에 있어서 지지축(31)은 요동프레임(30)을 지지하고 기어(55)를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브라켓(48)은 요동프레임과 일체로 요동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중간축(54)은 본체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이며 이축(54)에 대해서 기어(55)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핀치롤러 요동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4~7도에 나타낸 연동수단 이외에 임의의 연동기구나 핀치롤러의 지지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요동프레임의 이동방식의 다른예)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프레임(30)을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지지축을 거쳐서 요동가능하게 설비하는 이외에 제8~10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프레임 대신에 이동프레임을 사용하여 이동프레임을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간시키는 기구를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 제8도에 나타낸 프린터(1)에서는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이동프레임(60)을 배치하고 있으나, 이 이동프레임(60)은 본체 프레임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프레임(60)에 대해서 수동급지용 트레이(67)를 지지축(68)을 중심으로하여 개폐가능하게 설비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수동급지지급용 트레이로부터 삽입되는 용지를 급지롤러(구동롤러)(44)와 패드(49)사이에서 처리하여 용지통로로 향해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동급지용 트레이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제1도에 나타낸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 제8도에 나타낸 프린터에 있어서 반송롤러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롤러(44)는 전술한 바와같이 이동프레임(60)에 지지되지만 핀치롤러(45)는 롤러보지부재(61)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프레임(60)에 단부가 고정되어 본체프레임(2)의 하부 출몰 가능한 슬라이드레일(62)을 거쳐서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레일(62)은 상부에 돌출된 단부들(63, 64)이 설비되어 있고 그들의 단부중 중간단부(63)가 롤러보지부재(61)에 걸려 맞춰지게 설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프린터에 있어서 용지통로 내에서의 잼 용지의 제거를 행할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이동프레임(60)을 본체프레임으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62)에 설비한 단부(63)가 롤러보지부재(61)의 걸려 멈추는 부재(도시생략)에 걸리는 위치는 도달하면 구동롤러(4)만이 이동프레임과 함께 이동하여 본체프레임쪽에 핀치롤러(45)가 남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양프레임 사이에 큰 극간이 형성되어 용지통로에는 용지가 롤러장치에 닙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용지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제9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동프레임(60)을 도면의 좌측을 향하여 크게 이동시키면 제10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슬라이드레일(62)의 단부(63)에 걸려 멈춰진 롤러보지부재(61)가 슬라이드레일(62)과 함께 이동하고 슬라이드레일(62)의 끝의 단부(64)가 본체프레임(2)의 걸림 부분에 걸려 맞춰져 그 이상 끌어낼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10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양프레임(2, 60)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므로 그 극간에서 화성형성부재(10)를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같이 이동프레임(60)을 본체프레임(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슬라이드레일을 사용할뿐만 아니라 기타의 연통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요동 프레임의 요동방식의 다른예)
상기 제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 프레임을 요동시켜 용지통로를 해방시키는 경우에 핀치롤러의 요동을 기어장치를 거쳐서 행하는 이외에 제1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와이어(73)를 사용하여 핀치롤러를 요동시키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1도에 나타낸 프린터에서는 요동프레임(30)에 대해서 수동급지장치와 전사코로트론(18)을 설비하고 이 프레임(30)을 지지축(31)을 거쳐서 요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핀치롤러(45)를 지지한 롤러보지부재(70)는 지지축(31)을 거쳐서 요동가능하게 설비되고 있고 이 롤러보지부재(70)에 대해서 와이어(73)는 롤러축(71)과 지지축(31)에 설비한 풀리(72), 및 프린터(30)에 설비한 긴구멍(76)에 안내되는 핀(74)에 걸려있다.
상술한 것과같이 구성되는 프린터에 있어서 용지통로내에서의 잼용지를 제거할때에는 제1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요동프레임(30)을 각도(θ)만 요동시키도록 한다. 그때에 상기 와이어(73)를 지지하는 핀(74)은 와이어가 걸리는 경로가 변화됨으로써서 긴구멍(76)에 따라서 스프링(75)의 힘에 대항하여 하부를 향하여 이동되어 스프링에 의해서 와이어에 대해서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2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요동프레임(30)과 함께 구동롤러(44)가 이동되어 핀치롤러(45)가 본체프레임(2)쪽에 남아있으므로 용지통로내에서의 잼지의 제거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2도의 상태로부터 요동프레임(30)을 더 크게 요동시키면 제1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와이어(73)를 거쳐서 롤러보지부재(70)가 요동되어 롤러보지부재(70)에 지지되는 핀치롤러(45)가 요동프레임(30)쪽을 향하여 요동된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의 용지통로쪽에 방해되는 것이 없어지므로 화상형성부재(10)의 정비나 교환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3도에 나타낸 상태로 부터 요동프레임(30)을 닫는 경우에는 롤러보지부재가 요동프레임과 함께 지지축(31)을 거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제11도에 나타낸 위치로 되돌아가 프린터를 사용가능한 샅애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요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잼 용지의 제거의 경우와 화상형성부재를 착탈하는 경우의 2단계로 설정하므로써 용지통로의 해방과 화상형성부재에 대한 정비를 각각의 요동프레임의 개방도를 설정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는 요동프레임을 개방하는 기구를 도시한 것 이외에 다른 임의 수단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린터는 전술한 바와같이 화상형성부재등을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에 대해서 용지통로를 거쳐서 요동프레임을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용지통로의 개폐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용지 통로를 경계로하여 개폐프레임을 개방할때에 그 개폐프레임의 개방각도를 2단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개폐프레임을 여분으로 크게 개방하는지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개폐프레임을 작게 개방한 경우에는 반송롤러장치의 닙을 해제하고 크게 개방한 경우에는 반송롤러장치를 장치본체로부터 이간시켜 화상형성부재의 정비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각 작업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장치의 기구도 간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 프레임과 적어도 감광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자재하게 수납된 화상형성유니트와 적어도 2개의 반송부재를 가지며, 상기 반송부재의 한쪽이 상기 화상형성 유니트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착탈할 때 방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형성 유니트에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자재하게 설치되며, 제1의 개방위치와 상기 제1의 개방위치보다 크게 열리는 제2의 개방위치를 갖는 요동프레임과, 상기 요동프레임이 제1의 개방위치까지 열린 경우에는 상기 한쪽의 반송부재를 요동프레임이 닫힐 때의 위치그대로 하고, 다른쪽의 반송부재를 한쪽의 반송부재로부터 이간시키고, 상기 요동프레임이 제2의 개방위치까지 닫힌 경우에는 상기 한쪽의 반송부재가 상기 화상형성유니트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착탈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은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요동프레임과 상기 반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프레임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반송부재는 상기 요동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어, 요동프레임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반송부재는 대향하는 롤러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제1의 개방위치와 제2의 개방위치간에서 요동프레임의 요동에 따라서 한쪽의 반송부재를 요동시키는 톱니를 갖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재는 한쪽의 반송부재가 핀치롤러로 다른쪽의 반송부재가 구동롤러로 각각 구성된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용지를 쌓아두는 급지카세트를 갖고 있어, 급지카세트로부터 핀치롤러와 구동롤러간에 용지가 반송되며, 또한 상기 반송부재는 구동롤러에 대향하는 처리패드를 갖고 있어 수동으로 급지를 구동롤러와 처리패드간에서 공급하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와 처리패드를 지지하는 롤러보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롤러보지부재를 통해 핀치롤러와 처리패드가 이리체로 요동하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프레임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요동프레임에 설치된 장공과, 이 장공에 안내되는 핀과, 이 핀과 요동프레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 및 한쪽의 반송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갖는 것이 특징인 화성형성장치.
KR1019920006576A 1991-04-30 1992-04-20 화상형성장치 KR950011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6810A JP2576307B2 (ja) 1991-04-30 1991-04-30 画像形成装置
JP91-126810 1991-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87A KR920020287A (ko) 1992-11-20
KR950011872B1 true KR950011872B1 (ko) 1995-10-11

Family

ID=1494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576A KR950011872B1 (ko) 1991-04-30 1992-04-2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7143A (ko)
JP (1) JP2576307B2 (ko)
KR (1) KR950011872B1 (ko)
DE (1) DE4214126C2 (ko)
GB (1) GB2255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1611C2 (de) * 1993-06-21 1999-01-14 Gold Star Co Laserstrahldrucker
US6115106A (en) * 1997-01-30 2000-09-05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DE19749651C2 (de) 1997-11-10 1999-10-14 Oce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traktorlosen Transport eines bandförmigen Aufzeichnungsträgers in einem elektrografischen Aufzeichnungsgerät
JP3614669B2 (ja) * 1998-07-14 2005-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3748777B2 (ja) * 2001-02-01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00763B2 (ja) * 2010-01-19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386A (ja) * 1982-08-20 1984-02-24 株式会社東芝 開閉装置
JPS61130969A (ja) * 1984-11-30 1986-06-18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35217B2 (ja) * 1985-10-30 1995-04-19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3750933T2 (de) * 1986-04-04 1995-05-11 Seiko Epson Corp Gerät zum Erzeugen eines Bildes auf einem Aufnahmematerial.
EP0285139B1 (en) * 1987-03-31 1995-10-11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DE68908915T2 (de) * 1988-03-02 1994-01-20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mit herausnehmbarer Prozesskassette.
JPH02210482A (ja) * 1989-02-10 1990-08-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373971A (ja) * 1989-08-16 1991-03-2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87A (ko) 1992-11-20
DE4214126C2 (de) 1997-01-30
JPH04329558A (ja) 1992-11-18
JP2576307B2 (ja) 1997-01-29
US5287143A (en) 1994-02-15
GB2255935A (en) 1992-11-25
GB2255935B (en) 1994-09-07
DE4214126A1 (de) 1992-11-05
GB9209357D0 (en)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75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air of openable housing sections
EP0353790B1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3614669B2 (ja) シート処理装置
US4412734A (en) Electrophotographic copier with copy paper supply device
JP2011053281A (ja)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950011872B1 (ko) 화상형성장치
JP45364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781196B2 (ja) 画像記録装置
JPS5843742B2 (ja) 静電複写装置
JP200515718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9789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06093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3244064A (ja) 開放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432530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318Y2 (ko)
JP3607801B2 (ja) 画像形成装置
US11835914B2 (en) Apparatus having a replaceable cover
JP300208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2187866A (ja) 電子写真装置
JP3285210B2 (ja) 電子写真装置
JP2020033142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307285A (ja) 画像形成装置の開閉機構
JPH01185669A (ja) 画像記録装置
JPH073115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527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