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783B1 -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783B1
KR950011783B1 KR1019920011109A KR920011109A KR950011783B1 KR 950011783 B1 KR950011783 B1 KR 950011783B1 KR 1019920011109 A KR1019920011109 A KR 1019920011109A KR 920011109 A KR920011109 A KR 920011109A KR 950011783 B1 KR950011783 B1 KR 95001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insulating layer
semiconductor layer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257A (ko
Inventor
이노베 야수오
니시무라 타다시
아시다 미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65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after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01L29/78624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the source and the drain regions being asymmet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42Vertical transis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1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2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4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3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5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4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6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5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7도는 종래의 제1의 예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1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9도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2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10도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3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11도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4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12도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의 제5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13도는 제10도에 표시하는 제조공정에 있어 마스크의 위치 맞춤버서남이 발생한 경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조공정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제2도에 예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
제15도는 제14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주요한 제조공정을 표시하는 단면구조도.
제16도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고, (a)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고, (b)는 제14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성기판(또는 절연층) 5 : 게이트전극
6 : 상부절연층 7 : 게이트절연막
8 : 반도체층 9 : 측벽절연층
11 : 소스 드레인영역(11a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 11b는 저농도 불순물 영역)
12 : 채널영역
14 : 소스 드레인영역(14a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 14b는 저농 불순물 영역)
본 발명은 채널층에 박마다결정 실리콘층을 사용한 박막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전계완화에 관한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연성 기판상에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고, 이 박막내에 채널 영역을 설정하여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구성한 것에 소위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있다. 제7도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이다.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절연성기판 또는 절연층 1의 표면상에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되는 게이트 전극 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절연성기관 1 및 게이트전극 5의 표면상에는 산화막등으로 되는 게이트절연층 7이 형성되어 있다. 다ㅓ욱, 게이트 절연층 7의 표면상에는 다결정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되는 반도체층 8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 8에는 1쌍의 소스. 드레인영역 14, 14가 형성되어 있고, 더욱 소스드레인영역 14,14상이에 채널영역 12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 8의 표면은 층간절연층 15에 덮혀 있다. 그리고, 층간절연층 15중에 형성된 콘택트홀을 통하여 배선층 16이 각각의 소스·드레인영역 14, 1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채널영역 12의 밑에 게이트전극 5가 형성된 형식의 것을 보턴캐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라 한다.
제16a도는 이 보턴게이트 박막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다음은, 제7도에 표시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8도 내지 제13도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제1공정 내지 제6공정)을 손으로 표시하는 단면구조이다. 우선, 제8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층기판 1의 표면상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층 2를 형성한다.
다결정 실리콘층 2의 표면상에 포토리토그래프(photolithography)법 및 에칭(etching)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트패턴(resitst pattern)4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패턴 4를 마스크로서 다결정 실리콘층 2를 에칭하고, 게이트전극 25를 형성한다. 다음은 제9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웨이프(wafer)전면에 게이트 절연막 7 및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되는 반도체층 8을 형성한다. 더욱, 반도체층 8의 표면상에 포토리층 그래피법을 사용하여 활성영역의 형상을 규정하는 레지스트패턴 24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레지스터 패턴 24를 마스크로서 반도체층 8을 패터닝 한다. 그리고 레지스트패턴 24를 제거한 후 반도체층 8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도즈(dose)량 0∼5x1013/cm2로 이온주입한다. 더욱, 제10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반도체층 8의 채널영역으로 되어야 할 표면상에 포토리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터 패턴 25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패턴 25를 마스크로서 반도체층 8층에 제2도전형의 불순물 이온 33을 도즈량 5x1014∼1x1016/cm2로 이온주입한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층 8중에 1쌍의 소스.드레인영역 14,14가 형성된다. 더욱, 제11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면에 층간절연막 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층간절연층 15의 표면상에 콘택트홀을 형성하기 위해 레지스터패턴 26을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패턴 26을 마스크로서 층간절연막 15를 에칭하여, 소스.드레인영역 14,14에 달하는 콘텍트홀을 형성한다. 더욱 제1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레지스트패턴 26을 제거한 후, 콘택트홀의 내부 및 층간절연막 15의 표면상에 배선층 16을 형성하고, 소정의 배선 패턴으로 패터닝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12도(제7도에 대응)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보턴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는 제10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소스, 드레인영역은 레지스트 25를 마스크로 한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지스트패턴 형성용으로 마스크의 위치합침 오차에 의해 게이트전극 5와 소스, 드레인영역형성용의 레지스트 패턴이 위치버서남을 이르키는 문제가 있었다. 제13도는 마스크의 위치합침오차가 발생한 경우의 레지스트 패턴 25와 소스, 드레인영역 14,14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단면구조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은 위치버서남이 발생하면, 한쪽의 소스.드레인영역 14가 게이트전극 5에서 떨어진 소위 오프세트구조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오프세트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면, 트랜지스터 특성이 설정치보다도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장치의 미세화가 진전하여 채널길이 1μm이하로 되는데 수반하여, 이 마스크 벗어남의 문제가 현저하게 되었다. 이 마스크의 위치합침의 버서남을 회피하기 위해, 셀프어라인 기술로 개이트전극과 소스.드레인영역의 위치합침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고안되었다. 제14도는 셀프어라인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영역을 가지는 보턴케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박막트랜지스터는 가령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p8, 1984에 표시되어 있다. 또, 제16(b)도는 제14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제14도 및 제16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이 박막트랜지스터는 절연성기판 1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8중에 형성된 1쌍의 소스.드레인영역 14,14와, 더욱 게이트전극 5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8에 형성된 소스.드레인영역 14를 구비하고있다. 채널 영역 12,12는 게이트전극 2의 측벽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8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측벽에 형성된 2개의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접속한 형으로 되어 있다. 다음은, 제14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 종래의 제1의 예에 있어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하는 제조공정은 제14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하는 공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제9도에 표시하는 공정에 계속하여, 제15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불순물 이온 34를 반도체층 8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온주입한다. 이 이온주입에 의해, 반도체층 8에는 절연성기관 1의 표면상에 늘어나는 영역과 게이트전극 2의 상부에 있는 영역에 불순물이 주입되어 소스.드레인영역 14,14,14가 형성되는 동시에, 게이트전극 2의 측벽상의 영역에는 불순물이 주입되지 않고, 채널영역 12,12가 형성된다. 이후, 종래의 제1예와 동일하게 층간절연막 15 및 배선층 16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14도에 표시하는 종래의 보턴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는 소스.드레인영역 14과 게이트전극 2과의 겹치는 영역이 반도체층 8내에 고전계를 이르켜, 리크전류 A의 레벨을 증가되게 하는 문제가 생겼다. 또 채널영역 12,12가 게이트전극 2의 측벽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채널길이가 짧게되어, 소스.드레인영역 14,14간의 내압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소스.드레인영역이 셀프어라인 기술로 구성되는 보턴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에 있어, 드레인 근방에서 발생하는 고전계를 완화하는 구조를 구비한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박막전계효과소자는 절연성을 가지는 기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게이트전극과, 게이트전극의 표면상 및 기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절연층과, 절연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반도체층을 가지고 있다. 게이트전극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중에는 채널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반도체층중에는 채널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저농도 불순물 영역과, 이 저농도불순물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고농도 불순물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박막전계효과소자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절연성기층의 표면상에 도전층 및 제1절연층을 형성하고, 패터닝 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전극층 및 게이트전극층의 상부표면에 제1절연층을 형성한다. 더욱, 게이트전극층의 표면상 및 제1절연층의 표면상에 제2절연층을 형성한다. 더욱, 제2절연층의 표면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더욱, 반도체층측면에 측벽절연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측벽절연층을 마스크로서 반도체층중에 불순물이온을 기층의 표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이온주입하는 것에 의해, 측벽절연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층중에 늘어나는 저종도 불순물 영역을 형성한다. 더욱, 측벽절연층 마스크로서 불순물 이온을 기층의 표면에 대략 수직으로 이온주입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층 중에 저농도 불순물 영역에 인접하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에 형성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박막전계효과 소자는, 채널영역의 양단에 저농도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위 LDD(Lightly Doped Drain)구조의 소스.드레인영역을 구성하였으므로, 특히 드레인영역 근방에서의 전계집중을 완화하고, 리크전류의 발생을 저감하고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박막전계효과소자의 제조방법은, 게이트 전극의 측벽상의 반도체층측면에 측벽절연층을 형성하고, 이측벽절연층을 마스크로서 경사이온주입법 및 수직이온주입법을 사용하여 저농도영역과 고농도영역으로되는 LDD구조의 소스.드레인영역이 자기정합적수법(셀프어레인수법)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이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보턴게이트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이다. 제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성기판 또는 층간절연막(이하 절연성 기판 1이라 한다.)의 표면상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되는 게이트전극 5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전극 5의 상면에는 같은 쪽을 가지는 상부 절연층 6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산화막등으로 7은 게이트전극 5의 측벽 및 상부절연층 6의 표면 및 절연성기판 1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 게이트절연막 7의 표면상에는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되는 반도체층 8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 8중에는 3개의 소스.드레인영역 11,14,14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소스.드레인영역은, 저농도의 불순물영역 11b, 14b와 고농도의 불순물영역 11a, 14a로 되는 소위 LDD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1개의 소스, 드레인영역 11은 게이트전극 5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8의 영역에 형성되어, 2개의 소스.드레인영역 14,14는 절연성기판 1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8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드레인영역 11과 타의소스.드레인영역 14사이에 있는 반도체층 8의 영역에 채널영역 12, 12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 8의 단치 측벽에는 측벽절연층 9,9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반도체층 8등의 상명은 두꺼운 층간절연층 15에 덮혀있다. 그리고, 배선층 16이 층간절연층 15중에 형성된 콘택트홀을 통하여 소스.드레인영역 14,1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 5의 상면에 상부절연막 6을 형성한 것에 의해, 게이트 전극 5에 특히 상면각부와 소스.드레인영역 11사이에 개재하는 절연층의 두께가 증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전극 5의 각부에 생기는 전계집중이 완화되어, 게이트절연 내압이 증대한다. 또, 소스, 드레인영역 11,14를 LDD구조로 구성했으므로 특히 드레인 근방에 생기는 전계집중을 완화하여, 리크전류의 발생을 저감한다.
닫음은, 제조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6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제1공정 내지 제5공정)을 순으로 표시하는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절연성기판 1의 표면상에 CVD법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막두께 500nm 형성하고, 더욱 그 표면상에 절연막 3을 막두께200nm 형성한다. 그리고 포토리토그래프법을 사용하여 절연층 3의 표면상에 레지스트패턴 4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레지스트패턴 4를 마스크로서 절연층 3 및 다결정 실리콘층 2를 패터닝 한다. 이것에 의해 전극 5 및 상부절연막 6이 형성된다. 다음은, 제3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예를들면 실리콘 산화막등으로 되는 게이트 절연막 7을 전면에 형성한다. 더욱, 게이트절연막 7의 표면상에 예를들면 CVD법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층 8을 막두께 100nm 이하로 형성한다. 그리고 경사회전 이온주입법을 사용하여 예를들면 보턴이온 31을 도즈량 1x1012/cm2정도 다결정 실리콘층 8을 주입한다. 이것에 의해 채널영역의 한계치가 소정의 값에 설정된다. 더욱, 제4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전면에 예를들면 CVD법을 사용하여 실리콘 산화막을 막두께 200nm정도 퇴적한다. 그리고 이 실리콘 산화막을 이방성 에칭하는 것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층 8의 단차측면에 측벽절연층 9,9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시 경사회전 이온주입법을 사용하여 인이온 32를 도즈량 1x1013/cm2로 다결정 실리콘층 8중에 이온주입한다. 이 이온주입공정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층 8중에 저농도의 불순물영역 11b, 14b가 형성된다. 절연성 기판 1표면상의 다결정 실리콘층 8중에 형성된 저농도 불순물 영역 14b는 인이온 32가 다결정 실리콘층 8 표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주입되어서, 측벽 절연층 9의 하부에 침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더욱,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이번은 비소이온 또는 인이온 33을 다결정 실리콘층 8의 표면에 대해 대략수식으로 도즈량 1x1015/cm2(비소의 경우)로 이온주입하고, 고농도불순물 영역 11a, 14a를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저농도의 불순물 영역 11b, 14b의 고농도의 불순물영역 11a,14a로 되는 LDD구조의 소스.드레인영역 11, 14가 형성된다. 그후,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전면에 층간절연막 15를 형성하고, 소정위치에 콘택트홀을 연다. 그리고 콘택트홀의 내부 및 층간절연층 15의 표면상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소정형으로 패터닝 한다. 이것에 의해, 배선층 16,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상의 공정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가 완성한다. 더욱,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n채널 MOS형 박막트랜지스터에 대해 설명했으나, P채널 MOS형의 박막트랜지스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이 발명의 구조를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소스.드레인 영역을 LDD구조로 구성한 것에 의해 특히 드레인근방의 전계집중을 완화하여, 리크전류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반도체층의 단차 측면에 측벽절연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마스크로서 경사회전 이온주입과 수진이온주입을 사용하여 자기정합적으로 LDD구조의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마스크프로세스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LDD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절연성을 가지는 기층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게이트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의 표면상 및 상기 기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게이트전극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상기 반도체층중에 형성된 채널영역과, 상기 채널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반도체층중에 형성된 저농도불순물 영역과, 상기 저농도 불순물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반도체층중에 형성된 고농도 불순물 영역을 구비한 박막 전계효과소자.
  2. 절연성기층의 표면상에 도전층 및 제1절연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전극층 및 상기 게이트전극층의 상부표면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전극층의 표면상 및 상기 제1절연층의 표면상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절연층의 표면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층의 단자층에 측벽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측벽절연층을 마스크로서 상기 반도체층중에 불순물 이온을 상기 기층의 표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이온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측벽절연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반도체층중에 늘어나는 저농도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측벽절연층을 마스크로서 불순물이온을 상기 기층의 표면에 대략수직으로 이온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중에 상기 저농도 불순물영역에 인접하는 고농도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박막전계 효과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20011109A 1991-08-09 1992-06-25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11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99717 1991-08-09
JP3199717A JP2602132B2 (ja) 1991-08-09 1991-08-09 薄膜電界効果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257A KR930005257A (ko) 1993-03-23
KR950011783B1 true KR950011783B1 (ko) 1995-10-10

Family

ID=1641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109A KR950011783B1 (ko) 1991-08-09 1992-06-25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83455A (ko)
JP (1) JP2602132B2 (ko)
KR (1) KR950011783B1 (ko)
DE (1) DE422479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396A (en) * 1989-01-18 1998-09-01 Stmicroelectronics, Inc. Inverted field-effect device with polycrystalline silicon/germanium channel
US5770892A (en) * 1989-01-18 1998-06-23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Field effect device with polycrystalline silicon channel
KR100292767B1 (ko) * 1992-09-25 2001-09-17 이데이 노부유끼 액정표시장치
GB2285334A (en) * 1993-12-30 1995-07-05 At & T Corp Thin film transistor having increased effective channel width
KR0136931B1 (ko) * 1994-05-12 1998-04-24 문정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0166797B1 (ko) * 1994-05-12 1999-01-15 구본준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0132490B1 (ko) * 1994-07-21 1998-04-16 문정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5716879A (en) * 1994-12-15 1998-02-10 Goldstar Electron Company, Ltd.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transistor
US5700727A (en) * 1995-07-24 1997-12-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US5640023A (en) * 1995-08-31 1997-06-1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Spacer-type thin-film polysilicon transistor for low-power memory devices
US5658806A (en) * 1995-10-26 1997-08-19 National Science Council Method for fabricating thin-film transistor with bottom-gate or dual-gate configuration
JPH09153624A (ja) * 1995-11-30 1997-06-10 Sony Corp 半導体装置
US5918122A (en) * 1997-02-11 1999-06-2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DRAM cells and capacitors
US5981333A (en) * 1997-02-11 1999-1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and DRAM arrays
US6214727B1 (en) * 1997-02-11 2001-04-10 Micron Technology, Inc. Conductive electrical contacts, capacitors, DRAMs, and integrated circuitry, and methods of forming conductive electrical contacts, capacitors, DRAMs, and integrated circuitry
US5905280A (en) 1997-02-11 1999-05-18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or structures, DRAM cell structures,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methods of forming DRAM cells, and integrated circuits incorporating capacitor structures and DRAM cell structures
US6238971B1 (en) 1997-02-11 2001-05-29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or structures, DRAM cell structures, and integrated circuitry, and methods of forming capacitor structures, integrated circuitry and DRAM cell structures
US6140684A (en) * 1997-06-24 2000-10-31 Stmicroelectronic, Inc. SRAM cell structure with dielectric sidewall spacers and drain and channel regions defined along sidewall spacers
US6359302B1 (en) 1997-10-16 2002-03-19 Micron Technology, Inc. DRAM cells and integrated circuitry, and capacitor structures
KR100298438B1 (ko) * 1998-01-26 2001-08-07 김영환 박막트랜지스터및이의제조방법
EP1041641B1 (en) 1999-03-26 2015-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optical device
US6777254B1 (en) 1999-07-06 2004-08-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E19950362C1 (de) * 1999-10-19 2001-06-07 Infineon Technologies Ag DRAM-Zellenanordnung, Verfahren zu deren Betrieb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6297132B1 (en) * 2000-02-07 2001-10-02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Process to control the lateral doping profile of an implanted channel region
US6888198B1 (en) * 2001-06-04 2005-05-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Straddled gate FDSOI device
KR100758156B1 (ko) * 2001-08-21 2007-09-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674952B1 (ko) * 2005-02-05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277532B2 (ja) * 2006-11-02 2013-08-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素子
JP5121475B2 (ja) * 2008-01-28 2013-01-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8803227B2 (en) * 2011-09-29 2014-08-12 Eastman Kodak Company Vertical transistor having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CN103219366B (zh) * 2012-01-20 2017-09-05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鳍状场效晶体管结构及其制作方法
CN104779300B (zh) * 2015-04-16 2016-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晶硅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JP6889074B2 (ja) 2017-09-15 2021-06-18 キオクシア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
CN112640130A (zh) * 2018-08-08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5721A (en) * 1981-05-19 1985-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of stacked, complementary MOS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US4554572A (en) * 1983-06-17 1985-1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f-aligned stacked CMOS
US4502202A (en) * 1983-06-17 1985-03-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fabricating overlaid device in stacked CMOS
US4757361A (en) * 1986-07-23 1988-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morphous thin film transistor device
JPS63237559A (ja) * 1987-03-26 1988-10-04 Nec Corp 相補型mos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60162A (ja) * 1987-04-17 1988-10-27 Nec Corp 積層型cmos半導体装置
JPH0714009B2 (ja) * 1987-10-15 1995-02-15 日本電気株式会社 Mos型半導体記憶回路装置
JPH01231376A (ja) * 1988-03-11 1989-09-14 Nec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30147A (ja) * 1988-07-19 1990-01-31 Nec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37149A (ja) * 1989-03-10 1990-09-19 Sony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369168A (ja) * 1989-08-08 1991-03-25 Sharp Corp 薄膜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5173754A (en) * 1992-02-03 1992-12-22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gate in side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83455A (en) 1994-02-01
JPH0547788A (ja) 1993-02-26
KR930005257A (ko) 1993-03-23
JP2602132B2 (ja) 1997-04-23
DE4224793C2 (de) 1998-07-09
DE4224793A1 (de) 199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783B1 (ko) 박막 전계효과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920010829B1 (ko) 필드쉴드소자 절연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14112B1 (ko) 고밀도 집적에 적합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구조와 그의 제조방법
KR10025557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74076B1 (ko) 평면형 절열게이트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제법
US20070212842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voltage MOS transistor
US20010000074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9980053390A (ko) 듀얼 게이트(dual-gate)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23219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6004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2004016922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67338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51980A (ja) 高耐圧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17247A1 (en)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s with contacts self-aligned to active areas
KR10024425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59853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21757B1 (ko) 이중채널을갖는트랜지스터및그제조방법
KR100242378B1 (ko)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제조방법
JPH09237897A (ja) 絶縁ゲイ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
KR10024302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950006490B1 (ko)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9990003214A (ko) 비대칭형 씨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19254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14077B1 (ko) 모스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0156116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