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13B1 - 4륜 구동형 작업차 - Google Patents

4륜 구동형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13B1
KR950004313B1 KR1019920012366A KR920012366A KR950004313B1 KR 950004313 B1 KR950004313 B1 KR 950004313B1 KR 1019920012366 A KR1019920012366 A KR 1019920012366A KR 920012366 A KR920012366 A KR 920012366A KR 950004313 B1 KR950004313 B1 KR 95000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steering
speed
stat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158A (ko
Inventor
나오끼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70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43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58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924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93000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륜 구동형 작업차
본 발명은 전륜과 좌우 1쌍의 후륜 ; 상기 전륜과 후륜에 변속동력을 출력하는 주행용 변속장치 ; 상기 전륜과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상기 전륜이 후륜과 대략 같은 속도로 구동하는 표준상태 및 상기 전륜이 후륜보다도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액튜에이터를 가진 전륜변속장치 ; 상기 좌우의 후륜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좌·우 사이드브레이크 ; 상기 좌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하는 좌액튜에이터와 상기 우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하는 우액튜에이터 ;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수단 ; 상기 전륜 변속장치의 전환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 상기 조향수단의 조향변위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연계수단으로 된 4륜 구동형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 4륜 구동차량에서는 전륜의 조향각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전륜의 구동회전 주속도를 후륜의 구동회전 주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됨과 동시에, 또한 좌우한쪽의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2-175331호 공보로 알려져 있고, 여기서는 각 사이드브레이크의 조작계에 유압액튜에이터를 개장함과 동시에, 전륜증속기구에 있어서의 유압공급로로부터 분기한 유로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이 전자밸브를 설정각 이상의 좌우조향조작이 행하여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의 검출 작동에 의거하여 전환제어하고, 선회안쪽의 사이드브레이크에 대응하는 유압액튜에이터를 구동한다. 이로인하여, 선회시에 전륜증속기구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선회안쪽의 후륜을 제동시킴으로써 소회전 선회가 가능 하게되어, 한쪽제어작동을 위하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조작은 불필요하게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전륜증속기구의 제어계와는 별도로 조향조작변위를 검출하여, 별도로 사이드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전용의 검출장치와 유로전환밸브가 필요하고, 부품개수가 많아 복잡한 구조가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에 대한 조향조작에 따라 전륜이 후륜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쪽의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간단한 기구로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두에 기재한 4륜 구동형 차량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적절한 실시형태 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1개의 유압제어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조향수단의 조향변위를 상기 유압제어밸브의 스풀에 전달하는 변위전달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 1 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전륜변속장치를 표준 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하도록 전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 2 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사이드브레이크중의 선회중심쪽의 브레이크를 구동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전륜증속작동을 위한 조향각 검출기구와는 별도로 사이드브레이크의 조작을 위한 조작변위의 검출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한 것이면서, 조향핸들의 조향조작과 사이드브레이크의 조작이 자동적으로 연계되어, 조향조작만으로 전륜 증속에 대하여 선회안쪽의 후륜을 제동한 상태에서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륜변속장치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좌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 1 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전륜 변속장치를 표준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 2 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사이드브레이크중의 선회중심쪽의 브레이크를 구동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의 작동을 견제할 수 있는 견제수단이 갖추어져 있고, 이 견제수단은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가 고속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제어부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1견제부, 상기 주행용변속장치가 증속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어부의 작동을 허가하고, 상기 제2제어부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2견제부, 및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가 저속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제어부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3견제부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주행용의 변속장치를 소회전선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속역(고속주행상태에 대응)으로 변속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가 표준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다. 반대로 작업자가 주행용의 변속장치를 저속역(저속주행상태에 대응)으로 변속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가 표준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도 제동쪽으로 조작된다. 이에 의하여 전륜변속장치에 의한 증속된 전륜의 선회방향으로의 당기는 작용과, 선회중심쪽의 후륜에 대한 제동작용에 의하여, 선회정심쪽의 후륜을 중심으로한 매우 작은 소회전 선회가 저속주행상태에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작업자가 행하는 변속조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전륜변속장치와 사이드브레이크의 양쪽에 대하여 조작금지상태(고속주행상태시)와 조작허가상태(저속주행상태시)와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주행용의 변속장치를 증속역(증속주행상태에 대응)으로 변속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환장치는 표준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나,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전륜변속장치만을 사용한 선회와 사이드브레이크만을 사용한 선회를 비교하여 보면, 전륜변속장치만을 사용한 선회시에는 전후륜의 4륜 전체가 구동되어 있으므로, 증속된 전륜에 의한 선회방향으로의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지면이 파헤쳐지는 일이 없이 원활한 소회전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사이드브레이크만을 사용한 선회시에는 선회중심쪽의 후륜이 사이드브레이크에 의하여 대략 정지상태가 되므로, 이 선회중심쪽의 후륜을 중심으로 한 소회전 선회가 가능하고, 전륜변속장치만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작게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동이 걸려있는 선회중심쪽의 후륜이 질질 끌려서 지면이 파헤쳐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륜변속장치만을 사용한 선회와 사이드브레이크만을 사용한 선회를 비교한 경우, 주행용의 변속장치의 증속역에서의 선회시에는 전륜변속장치의 증속작용만에 의하여 선회를 행하였으나, 너무 급격한 소회전 선회가 되지는 않고, 또 지면도 파헤쳐지지않으므로 좋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행하는 변속조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전륜변속장치가 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가 조작금지상태로 전환되므로, 조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잇점은 다음의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히 될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4륜 구동형 작업차의 1예인 트렉터를 도시하고 있고, 좌우 1쌍의 전륜(1) 및 좌우 1쌍의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앞부분에 엔진(3), 후부에 미션케이스(4)를 갖추고 있다.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은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미션케이스(4)내의 주변속장치(다단의 기어변속형식)(4a) 및 부속변속장치(고중저 3단의 기어변속형식)(4b)를 통하여 후륜차동기어기구(5)로부터 좌우의 후륜(2)에 전달된다. 그리고, 후륜차동기어기구(5)의 바로앞에서 분기된 동력이 전륜변속장치(6), 전륜출력축(7) 및 전륜차동기구(8)를 통하여 좌우의 전륜(1)에 전달된다. 제2도에 도시한 전륜변속장치(6)는 전륜(1)이 후륜(2)과 대략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상태로 전동하는 표준상태와, 전륜(1)이 후륜(2) 보다도 고속으로 구동되는 상태로 전동하는 증속상태의 2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술한 2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프트부재(9)가 스프링(10)에 의하여 표준기어(20)와의 맞물림쪽으로 가압되어 있고, 통상은 시프트부재(9)가 표준기어(20)에 맞물려 표준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부재(9)와 표준기어(20)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기름실(도시하지 않음)내에 작동유를 공급하면, 시프트부재(9)가 지면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마찰클러치(21)를 압입조작하여 증속상태가 얻어진다.
제2도를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의 후륜(2)에 대하여, 각 후륜(2)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가능한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종부의 바닥면의 오른쪽에 사이드브레이크페달(12R,12L)이 좌우 1쌍의 배치되어 있고, 이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페달(12R,12L)과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실린더(13R,13L) 및 연계로드(14)를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페달(12R,12L)을 밟는 조작함으로써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쪽으로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l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l3R,13L)는 스프링(13a)으로 신장족으로 가압되어 있고, 작동유를 공급하여 실린더(13R,l3L)를 수축조작함으로써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를 제동쪽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전륜(1)의 조향조작을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 및 전륜변속장치(6)와의 연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펌프(15)로부터의 작동유가 블록형상의 밸브유니트(22)내의 유로(28) 및 제어밸브(16)를 통하여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 실린더(13R,13L) 및 전륜변속장치(6)에 공급되어있다. 제어밸브(16)는 전륜변속장치(6)에 있어서의 시프트부재(9)와 표준기어(20)와의 사이의 기름실 및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페달(12R,12L)의 실린더(13R,l3L)를 배유상태로 하는 직진위치(l6N), 펌프(15)로부터의 작동유를 전륜변속장치(6)의 기름실 및 오른쪽의 실린더(13R)에 공급하고, 왼쪽의 실린더(13L)를 배유상태로 하는 우선회위치(16R) 및 작동유를 전륜변속장치(6)의 기름실 및 왼쪽의 실린더(13L)로 공급하고, 오른쪽의 실린더(13R)를 배유상태로 하는 자선회위치(16L)의 3위치 전환식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륜(1)의 조향조작용의 피트맨아암(17)에 부채꼴의 캠판(18)이 고정되어 있고, 제어밸브(16)의 스풀(16a)이 캠판(18)에 맞닿아, 스풀(16a)을 맞닿는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b)이 갖추어져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상태는 전륜(1)을 직진위치로 조작한 상태이고, 제어밸브(16)가 직진위치(16N)에 조작되어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유로(28)로부터의 작동유는 배출유로(33,34) 및 배출부(35)를 통하여 배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비제동상태이고, 전륜변속장치(6)의 시프트부재(9)가 표준기어(20)에 맞물려서 전륜(1)이 후륜(2)과 대략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표준상태로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전륜(1)을 오른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조작하면, 캠판(18)에 의하여 제어밸브(16)의 스풀(16a)이 지면오른쪽으로 미리조작되어, 우선회위치(16R)(제 2도 참조)가 된다. 이에 의하여 유로로 부터의 작동유는 우브레이크포오트(36R)로부터 오른쪽의 실린더(l3R)에 공급됨과 동시에, 전륜변속포오트(37)로부터 전륜변속장치(6)에 공급된다. 따라서, 전륜변속장치(6)의 마찰클러치(2l)가 들어가는 조작되어, 전륜(1)이 후륜(2)보다도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가 됨과 동시에, 오른쪽의 실린더(13R)가 수축되어 오른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가 제동쪽으로 조작된다.
반대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전륜(1)을 왼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 조작하면, 제어밸브(16)의 스풀(16a)이 지면 왼쪽으로 이동하여 좌선회위치(16L)(제2도 참조)가 된다. 이에 의하여 유로(28)로부터의 작동유는 좌브레이크포오트(36L)로부터 왼쪽 실린더(13L)로 공급됨과 동시에, 전륜변속포오트(37)로부터 전륜변속장치(6)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륜변속장치(6)의 마찰클러치(21)가 들어가는 조작되어, 전륜(1)이 후륜(2)보다도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가 됨과 동시에 왼쪽의 실린더(13L)가 수축하여 왼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L)가 제동쪽으로 조작된다.
이 농용트랙터에 있어서는 미션케이스(4)내의 부변속장치의 변속위치에 따라 전술한 바와같은 자동적인 사이드브레이크(11R,11L)의 제동쪽으로의 조작 및 전륜변속장치(6)의 증속상태쪽으로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상태와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로 전환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다음에 이 전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3,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펌프(5)로부터의 작동유가 밸브유니트(22)의 유로(23), 로우터리식의 전환밸브(24), 유로(25,26,27,28)를 통하여 제어밸브(16)에 공급되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로(26)에 압력조절밸브(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압력조절밸브(19)는 밸브체(19a)와, 이 밸브체(19a)를 닫히는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9b) 및 스프링(19b)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9c)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유로(26)내의 압력이 스프링(19b)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을 넘으면, 밸브체(19a)가 지면 오른쪽으로 열려서 작동유가 배출유로(38)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고, 제어밸브(16)에 공급되는 작동유압이 압력조절밸브(19)의 스프링(19b)의 가압력, 즉 스프링(19b)의 지지부재(19c)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환밸브(24)의 스풀(29)은 제3,4,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절결부(29a,29b) 및 배출구멍(29c)을 갖춘 제1랜드부(29A) 및 제1원호면(29d)과 제2원호면(29e)을 갖춘 제2랜드부(29B)를 갖추어 구성되어있고, 압력조절밸브(19)의 지지부재(l9c)의 후단이 제1원호면(29d)에 맞붙여져서, 지지부재(19c)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5,6,7도의 3위치에 있어서, 밸브유니트(22)내의 디텐트볼(43)이 들어가서 스풀(29)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3개의 오목부(29f)가 스풀(29)의 후단에 설치되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유니트(22)의 바깥쪽에 있어서 전환밸브(24)의 스풀(29)의 선단에 조작판(30)이 고정되어 있고, 부변속장치용의 변속레버(31)와 조작판(30)이 와이어(32)에 의하여 접속되고 있다. 또, 스풀(29)을 지면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갖추어져 있고, 이 스프링의 가압력은 스프링(19b)의 가압력 및 디텐트볼(43)이 지지작용보다도 강한 것에 설정되어있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상태는 변속레버(31)를 저속위치(L)에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펌프(15)로부터의 작동유는 유로(23), 전환밸브(24)의 스풀(29)에 있는 제1절결부(29a), 유로(25,26,27,28)를 통하여 제어밸브(16)에 공급된다. 그리고, 압력조절밸브(19)의 지지부재(19c)가 스풀(29)의 제1원호면(29d)에 의하여 지면 왼쪽으로 밀린 상태로 되어 있고, 압력조절밸브(19)의 스프링(19b)이 압축되어 압력조절밸브(19)의 작용에 의하여 제어밸브(l6)에 공급되는 작동유압이 후술하는 제2설정압력(P2)으로 유지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륜변속장치(6)는 비교적 낮은 제l설정압력(P1)에서 표준상태로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나, 이 제1설정압력(P1)에서는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설정압력(P1)보다 높은 제 2 설정압력(P2)에 있어서,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약제동상태가 되어, 전륜변속장치(6)도 표준상태로 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된다. 이 사이드브레이크(11R,11L)의 약제동상태란 제동쪽의 후륜(2)이 기체의 진행에 따라 끌려가는 상태가 된 경우, 이 끌려가는 작용이 사이드브레이크(11R,11L)에 이겨서 제동쪽의 후륜(2)이 회전되도록 되어있는 상태이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레버(31)를 저속위치(L)에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같이 전륜(1)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조작하면, 캠판(18)에 의하여 제어밸브(16)의 스풀(16a)이 슬라이드 조작되어, 유로(28)로부터의 작동유가 오른쪽 또는 브레이크포오트(36R,36L)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l3R,13L)에 공급됨과 동시에, 전륜변속포오트(37)로부터 전륜변속장치(6)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공급되는 작동유압이 압력조절밸브(19)의 작용에 의하여 제2설정압력(P2)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9도의 실선(A2) 및 제10도의 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륜변속장치(6)의 마찰클러치(21)가 들어가는 조작되어, 전륜(1)이 후륜(2)보다도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가 됨과 동시에,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l3R,13L)가 수축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약제동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하여, 증속된 전륜(1)에 의한 선회방향으로의 당기는 작용 임 선회중심쪽의 후륜(2)에 대한 제동작동에 의하여 매우 작은 소회전선회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의 선회에 따라 제동쪽의 후륜(2)이 끌려가는 상태가 되면, 이 제동쪽의 후륜(2)이 회전되므로, 제동쪽의 후륜(2)에 의하여 지면이 파헤쳐지는 일이 적다.
다음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레버(31)를 증속위치(M)에 조작하면, 전환밸브(24)의 스풀(29)이 제5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지면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조작되어, 제6도에 도시한 각도에 위치한다. 이 경우, 스풀(29)의 제1원호면(29d)에 있어서, 압력조절밸브(19)의 지지부재(19c)에 접촉하는 부분이 지면 오른쪽으로 약간 후퇴한다. 그리고, 이에따라 지지부재(19c)도 지면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스프링(19b)의 가압력이 약간 약해져서, 제어밸브(16)에 공급되는 작동유가 제2설정압력(P2)에 의하여 낮은 제1설정압력(P1)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상태에서, 전륜(1)을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조작하여, 유로(28)로부터의 작동유가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13R,13L) 및 전륜변속장치(6)에 공급된 경우, 제9도의 1점쇄선(A1) 및 제10도의 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륜변속장치(6)의 마찰클러치(21)가 들어가는 조작되어, 전륜(1)이 후륜(2)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가 현출된다. 이에 대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13R,13L)는 수축하지 않고, 오른쪽 또는 왼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증속된 전륜(1)에 의한 선회방향으로의 당기는 작용만에 의하여 원활한 소회전선회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의 후륜(2)도 구동되고 있으므로 선회중심쪽의 후륜(2)이 끌려가는 일이 없고, 선회중심쪽의 후륜(2)으로 지면을 파헤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레버(31)를 고속위치(H)에 조작하면, 전환밸브(24)의 스풀(29)이 제6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지면시계방향으로 다시 소정각도만큼 회전조작되어, 제7도에 도시한 각도에 위치한다. 이 경우, 스풀(29)에 있어서의 제1랜드부(29A)에 배출구멍(29c)이 배출유로(39)(제3도의 배출부(35)에 연통)에 연통한다. 이에 의하여 펌프(15)로부터의 작동유가 유로(23), 제1랜드부(29A)의 배출구멍(29C), 배출유로(39)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륜(1)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조작하여도, 제9도의 1점쇄선(A1) 및 제10도의 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13R,13L) 및 전륜변속장치(6)에는 작동유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는 표준상태를 유지하고, 오른쪽 또는 왼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는 일은 없고, 전륜(1) 및 후륜(2)의 4륜이 대략 같은 속도로 구동된 상태에서 선회가 행하여진다.
이상의 구조에서는 부변속장치의 변속위치에 따라 전륜변속장치(6) 및 사이드브레이크(11R,11L)의 3상태를 선택하고 있으나, 이 농용트랙터에서는 전술한 3상태를 전환레버(40)에 의해서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 하고 있고, 다음에 이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환레버(40)는 조종핸들(41)(제1도 참조)의 오른쪽옆에 배치되어 있고, 제1위치(Bl), 제2위치(B2) 및 제3위치(B3)에 조정가능하게 각 위치에 지지가능하다. 그리고, 전환밸브(24)의 스풀(29)에 고정되어 있는 조작판(30)에 조작로드(42)가 연결듸어 있고, 이 조작로드(42)의 상단이 전환레버(40)의 아래면에 맞붙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상태는 전환레버(40)를 제1위치(Bl)에 조작지지하고 있는 상태이고, 부변속장치용의 변속레버(31)의 조작위치에 따라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선회 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약제동상태에 조작되는 상태(제9도의 실선 A2 및 제20도의 표 참조),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의 실선 A2 및 제10도의 표 참조), 및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 및 제8도의 2점쇄선 A4참조)의 3상태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전환레버(40)를 제2위치(B2)에 조작 지지하면, 조작판(30)이 지면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 조작되어, 전환밸브(24)의 스풀(29)이 제6도에 도시한 각도로 회전조작된다. 이에 의하여 변속레버(4)를 저속위치(L)에 조작하고 있어도 중속위치(M)의 경우와 똑같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나,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변속레버(31)를 고속위치(H)에 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전환레버(40)를 제3위치(B3)에 조작지지하면, 조작판(30)이 지면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조작되어, 전환밸브(24)의 스풀(29)이 제7도에 도시한 각도로 회전조작된다. 이에 의하여, 변속레버(40)를 저속위치(L) 및 중속위치(M)에 조작하고 있어도 고속위치(H)의 경우와 똑같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구조에서는, 선회시(변속레버(31)가 저속위치(L)에서, 전환레버(40)가 제 1위치(Bl))에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약제동상태에 조작되도록 구성하고 있고, 이 농업용 트랙터에서는 선회시에 선회중심족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강제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에 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환밸브(24)의 스풀(29)의 제 2 랜드부(29B)에서, 제 1원호면(29d)과는 반대쪽에 제2원호면(29e)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선회시에 사이드브레이크(11R,11L)의 강제동상태를 현출시키는 경우에는, 스풀(29)을 밸브유니트(22)로부터 꺼내어 180도 반전시켜 다시 밸브유니트(22)에 삽입하고,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풀(29)의 제2원호면(29e)을 압력조절밸브(19)의 지지부재(l9c)에 맞닿게 한다.
이 경우, 제8도에 도시한 스풀(29)의 각도에 있어서 제2원호면(29e)의 쪽이 제5도에 도시한 제1원호면(29d)보다 지면 왼쪽에 위치하고 있고, 압력조절밸브(19)의 지지부재(19c)가 제4도에 도시한 상태보다 더 지면왼쪽으로 밀린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압력조절밸브(19)의 스프링(19b)이 제4도의 상태에서 더욱 압축되어, 압력조절밸브(19)의 작용에 의하여 제어밸브(16)에 공급되는 작동유압이 제2설정압력(P2)보다 높은 제 3 설정압력(P3)으로 유지된다. 또, 제6,7,8도의 3위치에서, 밸브유니트(22)내의 디텐트볼(43)이 들어가서 스풀(29)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3개의 다른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제4도에 도시한 오목부(29f)와는 180도 반대쪽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8도에 도시한 상태(변속레버(31)가 저속위치(L)에서 전환레버(40)가 제1위치(Bl)에서, 전륜(1)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설정각도 이상으로 조향조작하면, 제9도의 실선(A3) 및 제10도의 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륜변속장치(6)의 마찰클러치(21)가 들어가는 조작되어, 전륜(1)이 후륜(2)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로 됨과 동시에, 오른쪽 또는 왼쪽의 실린더(13R,13L)가 수축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강제동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하여, 증속된 전륜(1)에 의한 선회방향으로의 당기는 작용 및 선회중심쪽의 후륜(2)에 대한 강한 제동작용에 의하여 매우 작은 소회전 선회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강제동상태로 조작되고 있으므로, 기체의 선회에 따라 제동쪽의 후륜(2)이 끌려가는 상태가 되어도 제동쪽의 후륜(2)이 회전되는 일이 없고, 제9도의 실선(A2)으로 표시한 상태에서의 선회보다 더 작게 소회전 선회를 할 수 있다.
이 제8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도, 변속레버(31)를 중속위치(M)에 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의 I점쇄선 A1 및 제10도의 표 참조)가 되어, 변속레버(31)를 고속위치(H)에 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의2점쇄선(A4) 및 제10도의 표 참조)가 된다.
그리고, 전환레버(40)를 제 l위치(B1)에 조작지지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부변속장치용의 변속레버(3l)의 조작위치에 따라,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강제동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제9도의 실선(A3) 및 제10도의 표 참조),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의 1점쇄선(A1) 및 제]0도의 표 참조), 및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 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제9도의 2점쇄선(A4) 및 제10도의 표 참조)의 3상태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전환레버(40)를 제2위치(B2)에 조작지지하면, 변속레버(40)를 저속위치(L)에 조작하고 있어도 중속위치(M)의 경우와 똑같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변속레버(31)를 고속위치(H)에 조작하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듸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환레버(40)를 제3위치(B3)에 조작지지하면, 변속레버(40)를 저속위치(L) 및 중속위치(M)에 조작하고 있어도 고속위치(H)의 경우와 똑같이,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변시킬 수 있으나,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l6), 전환밸브(24) 및 압력조절밸브(19)를 모두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제어밸브(16) 및 전환밸브(24)를 전자조작식으로 구성하고, 압력조절밸브(19)를 전자비례감압 밸브형식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륜변속장치(6)의 조작과 사이드브레이크(11R,11L)의 조작이 1개의 제어밸브(16)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고, 압력조절밸브(19)의 압력조절에 의하여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선회중심쪽의 사이드브레이크(11R,11L)가 제동쪽으로 조작되는 상태,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 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11R,11L)는 제동쪽으로 조작되지 않는 상태, 및 선회시에 전륜변속장치(6)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지 않고 사이드브레이크(11R,11L)도 제동쪽으로 조작되기 않는 상태의 3상태의 선택을 행하고 있다. 이것을 전륜변속장치(6)용의 제어밸브와 사이드브레이크(11R,11L)용의 제어밸브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주행용의 변속장치의 변속상태에 따라 2개의 제어밸브의 동작을 스토퍼등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견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중저의 3단으로 변속가능한 주행용의 부변속장치의 변속위치에 따라 전술한 3상태의 선택을 하고 있으나, 이 부변속장치를 6단 변속으로하여 6속 및 5속을 고속역, 4속 및 3속을 중속역, 그리고 2속 및 1속을 저속역으로 설정하여, 이들에 의거하여 전술한 3상태의 선택을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형 트랙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좌우의 사이드브레이크, 전륜변속장치, 제어밸브, 전환밸브 및 압력조절밸브의 연계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제어밸브, 전환밸브 및 압력조절밸브를 내장하는 밸브유니트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C-C부근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2도의 지면아래쪽으로부터 읫쪽을 본 도면,
제5도는 변속레버를 저속위치에 조작한 상태에서의 전환밸브 및 압력 조절밸브등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변속레버를 중속위치에 조작한 상태에서의 전환밸브 및 압력 조절밸브등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변속레버를 고속위치에 조작한 상태에서의 전환밸브 및 압력 조절밸브등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5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전환밸브의 각도를 180도 반전시킨 상태에서의 전환밸브 및 압력조절밸브 등의 상태를 도시안 도면,
제9도는 전륜변속장치가 중속상태로 전환조작되는 제1설정압력, 전륜변속장치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가 약제동상태로 조작되는 제2설정압력, 전륜변속장치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어 사이드브레이크가 강제동상태로 조작되는 제3설정압력의 3조의 압력과, 변속레버의 조작위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전륜변속장치가 증속상태로 전환조작되는 상태, 사이드브레이크가 제동측으로 조작되는 상태의 2상태와, 변속레버의 조작위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표,
제11도는 사이드브레이크페달과 사이드브레이크와의 연결상태 및 연결용의 실린더의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 2 : 후륜,
6 : 전륜변속장치, 11R,11L : 좌우사이드브레이크,
16 : 유압제어밸브, 18 : 연계수단,
19 : 견제부, 50 : 주행용변속장치.

Claims (6)

  1. 4륜 구동형 작업차 전륜(1)과 좌우 1쌍의 후륜(2) ; 상기 전륜과 후륜에 변속동력을 출력하는 주행용변속장치(50) ; 상기 전륜과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와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상기 전륜이 후륜과 대략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표준상태 및 상기 전륜(1)이 후륜(2)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로 전환되는 전환액튜에이터를 가진 전륜변속장치(6) ; 상기 좌우의 후륜의 각각에 대응하어 설치된 좌,우 사이드브레이크(11R,11L) ; 상기 좌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좌액튜에이터와 상기 우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우액튜에이터 ;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수단 ; 상기 전륜변속장치의 전환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 상기 조향수단의 조향변위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연계수단으로 구성된 4륜 구동형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1개의 유압제어밸브(16)로 구성되고,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조향수단의 조향범위를 상기 유압제어밸브의 스풀에 전달하는 변위전달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1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전륜변속장치를 표준상태로 부터 증속상태로 전환하도록 전환액튜에이터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2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사이드브레이크등의 선회중심쪽의 브레이크를 구동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각도와 제2설정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에의 공급유의 압력을 설정하는 견제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4. 전륜(1)과 좌우 1쌍의 후륜(2) ; 상기 전륜과 후륜에 변속동력을 출력하는 주행용 변속장치(50) ; 상기 전륜과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와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상기 전륜이 후륜과 대략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표준상태 및 상기 전륜(1)이 후륜(2)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증속상태로 전환되는 전환액튜에이터를 가진 전륜변속장치(6) ; 상기 좌우의 후륜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좌,우 사이드브레이크(11R,11L) ; 상기 좌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하는 좌액튜에이터와 상기 우사이드브레이크를 구동하는 우액튜에이터 ;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수단 ; 상기 전륜변속장지의 전환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 상기 조향수단의 조항변위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연계수단(18)으로 구성된 4륜 구동형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6)은 상기 전륜변속장치를 제어하는 제l제어부와 상기 좌우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l제어부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1설정각도 이상의 조항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전륜변속장치를 표준상태로 부터 증속상태로, 전환조작할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조향수단에 의한 상기 전륜의 제2설정각도 이상의 조향변위가 상기 연계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면, 상기 사이드브레이크중의 선회중심쪽의 브레이크를 구동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할 수 있는,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의 작동을 견제할 수 있는 견제수단이 갖추어져 있고, 이 견제수단은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가 고속단(H)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제어부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1견제부(19,24),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가 중속단(M)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의 작동을 하가하고, 상기 제2제어부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2견제부(19,24),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가 저속단(L)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제어부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3견제부(19,24)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5. 제4항에 었어서, 상기 제1설정각도와 제2설정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레이크용 액튜에이터와 상기 전륜변속장치의 전환 액튜에이터는 유압구동형이고, 전자의 작동압력은 후자의 작동압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계수단에 의아여 스풀조작되는 유압밸브이고, 상기 견제수단은 상기 유압밸브에의 급유라인에 설치된 압력제어수단이고, 이 압력수단은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의변속단에 따라 그 압력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4륜 구동형 작업차.
KR1019920012366A 1991-07-11 1992-07-11 4륜 구동형 작업차 KR950004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70773A JP2804390B2 (ja) 1991-07-11 1991-07-11 農用トラクタ
JP91-170773 1991-07-11
JP4058594A JP2809248B2 (ja) 1992-03-17 1992-03-17 作業車
JP92-058594 1992-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158A KR930002158A (ko) 1993-02-22
KR950004313B1 true KR950004313B1 (ko) 1995-04-28

Family

ID=2639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366A KR950004313B1 (ko) 1991-07-11 1992-07-11 4륜 구동형 작업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93956A (ko)
KR (1) KR950004313B1 (ko)
DE (1) DE4222773C2 (ko)
ES (1) ES2065225B1 (ko)
FR (1) FR2678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09B1 (ko) * 2007-12-03 2009-08-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05056D0 (en) * 1997-03-12 1997-04-30 Massey Ferguson Ltd Vehicle front wheel speed change apparatus
EP0921027A3 (en) * 1997-12-02 2005-11-0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fer clutch control for four-wheel drive vehicle
EP0924117B1 (en) 1997-12-19 2006-06-14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Four-wheel driven vehicle
JP3527091B2 (ja) * 1998-03-18 2004-05-17 株式会社クボタ 農用トラクタ
JP4327284B2 (ja) 1998-04-15 2009-09-09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四輪駆動車両
US7290633B2 (en) * 2005-05-19 2007-11-06 Deere & Company Steering responsive wheel drive system
JP4528238B2 (ja) * 2005-09-30 2010-08-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車速制御構造
DE102008040326A1 (de) * 2008-07-10 2010-01-14 Deere & Company, Moline Lenkbrem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652451B2 (ja) * 2012-09-14 2015-01-1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8591146B (zh) * 2017-05-09 2019-12-13 南京白下高新技术产业园区投资发展有限责任公司 作业方便的车辆选挡自动行车系统及工作方法
KR102279898B1 (ko) 2020-10-15 2021-07-21 이영 금형 냉각 라인 간편 밀폐용 압입 공구를 활용한 냉각 라인 밀폐 또는 개방 방법
KR102246420B1 (ko) 2020-10-15 2021-04-30 이영 금형 냉각 라인 간편 밀폐용 압입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121A (ja) * 1983-03-24 1984-10-05 Kubota Ltd 四輪駆動車輛の前輪駆動制御装置
US4572310A (en) * 1984-07-30 1986-02-25 Ransomes, Inc. Drive system for a vehicle
GB2181395B (en) * 1985-10-12 1988-10-19 Kubota Ltd Wheel drive mode changeover apparatus
GB2195590B (en) * 1986-10-01 1991-03-27 Kubota Ltd Four wheel drive vehicle
DE3633399C1 (de) * 1986-10-01 1987-07-09 Deere & Co Antriebsvorrichtung von Raedern zweier Achsen
JPH0649422B2 (ja) * 1986-12-22 1994-06-29 株式会社クボタ 農用トラクタの走行操作構造
US4862988A (en) * 1987-07-14 1989-09-05 Kubota, Ltd. Four wheel drive working vehicle
JPH0798458B2 (ja) * 1988-12-27 1995-10-25 株式会社クボタ 四輪駆動型農作業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09B1 (ko) * 2007-12-03 2009-08-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78869A1 (fr) 1993-01-15
DE4222773C2 (de) 1996-12-12
ES2065225R (ko) 1997-03-01
ES2065225A2 (es) 1995-02-01
FR2678869B1 (fr) 1995-10-06
ES2065225B1 (es) 1997-11-16
KR930002158A (ko) 1993-02-22
US5293956A (en) 1994-03-15
DE4222773A1 (de)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313B1 (ko) 4륜 구동형 작업차
KR100373584B1 (ko) 작업기의 조향장치
JP3801191B2 (ja) トラクタの操向装置
EP0284022A2 (en) Four-wheel steering system
JP2809248B2 (ja) 作業車
JP3618260B2 (ja) 作業機の操向装置
JP3691129B2 (ja) 作業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2820567B2 (ja)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3146068B2 (ja) 作業車
JPH0655594B2 (ja) スキツドステアリング機構
JP3607936B2 (ja) トレッド変更用油圧シリンダーの油圧制御装置
JP3575064B2 (ja) トラクタの操向装置
JPH05193514A (ja)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3031631B2 (ja) 油圧リモコン弁
JPH10100920A (ja) 操向制御装置
JPH05338454A (ja) 四輪駆動型作業車
JP2680499B2 (ja) 作業車の走行牽制構造
JPH0329640Y2 (ko)
JPH0649496Y2 (ja) 走行作業車の操向装置
JPH0714125Y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2558031Y2 (ja) トラクタの前輪倍速装置用油圧制御装置
JPH0650288Y2 (ja) 操向操作装置
JPH0755404Y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H0646744Y2 (ja) 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JP2535068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