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584B1 - 작업기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84B1
KR100373584B1 KR10-2001-0010265A KR20010010265A KR100373584B1 KR 100373584 B1 KR100373584 B1 KR 100373584B1 KR 20010010265 A KR20010010265 A KR 20010010265A KR 100373584 B1 KR100373584 B1 KR 10037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teering
turned
traveling devic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649A (ko
Inventor
오쿠야마다카시
히라오카미노루
미야노요시타네
나가노후미오
나카무라구니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1009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좌우 한쌍의 크롤러형 조향장치를 구비한 작업기의 조향조작을 충격이 적고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조향장치가 제공된다. 이 조향장치는 사이드클러치(20L, 20R)가 오프된 한쪽의 주행장치(1L, 1R)를 감속 또는 제동하는 선회용 전동수단이 구비되고, 조향조작되면 우선 한쪽의 주행장치(1L, 1R)의 사이드클러치(20L, 20R)가 오프되고, 계속되는 같은 방향의 조향조작에 의해 사이드클러치(20L, 20R)가 오프된 주행장치(1L, 1R)와 선회용 전동수단을 선회용 클러치(90L, 90R)를 통하여 연동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향장치에는 사이드클러치(20L, 20R)의 온 오프에 상관없이 주행장치(1L, 1R)에 낮은 토크를 상시 전달하는 슬립가능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장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기의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형 주행장치를 구비한 작업기(가령 콤바인, 이앙기 등)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조향장치로는 가령 일본 특개평 7-479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었다. 여기에 제안되어 있는 조향장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형 주행장치에 각각 사이드클러치를 장비함과 동시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의 주행장치를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의 작동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그 작동속도 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완선회(soft turn)를 행하는 완선회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 조향장치는 또한 급선회 구동수단으로서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 주행장치를 제어하는 제동기구를 구비한다. 또, 선회내측의 주행장치를 제동상태로하고 행하는 급선회는 신지(信地)선회(pivot turn)라 일컫는다.
이 조향장치는 스티어링 조작도구와 사이드클러치, 완선회 구동수단, 및 제동수단이 다음과 같이 연계된다. 우선, 스티어링 조작도구가 중립위치에서 좌우 한쪽으로 벗어난 제 1 조작역으로 조작되면, 한쪽 주행장치의 사이드클러치를 오프하고, 계속해서 제 2 조작역으로 조작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를 완선회 구동수단에 의해 감속구동하고, 더욱 계속해서 제 3 조작역으로 조작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를 제동기구에 의해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조향장치는 스티어링 조작도구의 조작량이 커짐에 따라 그 선회기능이 차츰 높아지고, 스티어링 조작량에 대응한 기체(機體)선회를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제 1 조작역의 선회모드에서 제 2 조작역의 선회모드(완선회 모드)로 이행함에 있어서는 사이드클러치를 구성하는 사이드클러치 기어가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 다시 시프트되어 사이드 기어에 축심방향에서 맞물림하고, 단번에 감속 구동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사이드클러치 기어가 사이드 기어에 맞물림하는 충격이나 맞물림소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기체선회에 가벼운 충격을 수반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점에 착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주된 목적은 스티어링 조작량에 대응한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묘하고 원활한 기체조향을 행할 수 있는 작업기의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콤바인 전체의 우측면도,
도 2는 주행용 미션케이스의 전동구조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미션케이스의 상반부를 표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4는 미션케이스의 하반부를 표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5는 사이드클러치 주변의 확대 종단 정면도,
도 6은 부변속기구의 조작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부변속기구를 조작하는 시프터의 종단 정면도,
도 8은 부변속기구를 저속으로 전환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9는 부변속기구를 중속으로 전환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부변속기구를 중립으로 전환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1은 부변속기구를 고속으로 전환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2는 조향용의 유압회로와 제어계의 구성도,
도 13은 스티어링 조작부의 정면도,
도 14는 스티어링 조작부의 측면도,
도 15는 조향용 제어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조향전환밸브의 주변을 표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7은 조향전환밸브의 조작부를 표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8은 모드전환밸브 및 가변 릴리프 밸브의 주변을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L, 1R : 주행장치 20L, 20R : 사이드클러치
23L, 23R : 사이드클러치 기어 42 : 스티어링 조작도구
90L, 90R : 선회용클러치 k, m : 연통유로
p, q : 교축 유로부분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의 조향장치는 청구항 1기재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위치에서 좌우 한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우선 한쪽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의 주행장치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 때,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의 주행장치에는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낮은 토크가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한쪽의 주행장치가,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순간에 주행부하에 의해 급히 정지되는 일은 없고, 낮은 토크 구동력을 받는 한쪽 주행장치의 낮은 토크 구동력과,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의 구동력의 차이, 즉 양 주행장치 사이의 작동속도의 차에 의해 기체는 완만하게 선회한다.
또, 계속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같은 방향으로 크게 조작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는 선회용 전달수단에 연동연결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는 감속구동 또는 제동, 아니면 역전구동되고, 기체는 속도차를 가지고 구동되는 좌우 주행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선회되어 간다.
이 경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에서 속도차를 갖는 양쪽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완선회 모드)로의 전환은 선회용 클러치를 온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슬립가능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장비한 것에 의해, 맞물림식 클러치에 비해 전환이 충격 없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으로 되돌려서 직진으로 복귀할 때도,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에는 낮은 토크가 전달되고 있으므로 사이드클러치가 맞물림식의 것이라도 구동측과 종동측의 속도차가 적은 상태에서의 맞물림이 행해진다.
따라서, 스티어링 조작량에 대응한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에 중단이 없는 토크전달을 행하여 충격 없는 미묘하고 원활한 기체조향을 행할 수 있고, 한층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또, 기체선회후, 직진으로 복귀할 때도 원활한 사이드클러치 온 작용이 기대된다.
그리고, 청구항 2기재와 같이, 상기 선회용 클러치에 상기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장비하고 있으면 유리하다. 가령,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위치에서 우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우선, 우측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다. 이 경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있어서는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이 기능하고, 좌측의 주행장치에의 동력의 일부가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역전달된다.
여기서, 좌우의 선회용 클러치의 구동측은, 좌우 어느쪽의 주행장치에 대해서도 병렬관계에 있어 서로 연동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역전달된 동력은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까지 돌아들어서 전달되고, 이 돌아들어 전달된 동력이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장비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클러치가 오프되는 우측의 주행장치에 전달된다.
따라서, 한쪽 주행장치가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순간에 주행부하에 의해 급히 정지되는 일은 없고, 낮은 토크 구동력을 받는 한쪽 주행장치의 낮은 토크 구동력과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의 구동력 차이에 의해 기체는 완만하게 선회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쪽 주행장치에의 동력을 선회용 클러치와 여기에 장비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는 쪽의 주행장치에 돌아들어 전달되기 때문에, 낮은 토크 동력의 돌아들기 전달경로가 본래 장비된 전동계를 이용한 것이 되고, 구조 간단하게 청구항 1의 발명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어 실용상의 편리성이 높게 된다.
상기 구성에 첨가하여 청구항 3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와 같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에서 속도차를 갖는 양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회용 클러치를 온 할 때에 유리하다. 즉, 이 선회용 클러치를 다판(多板) 마찰식으로 함으로써 맞물림식 클러치에 비해 상기 전환이 충격 없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청구항 4기재와 같이 구성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상기 다른쪽(선회 외측)의 주행장치에 대응하는 선회용 클러치에 있어서는 스프링을 통하여 낮은 토크 전달이 행해지고, 이 선회용클러치에 대응하는 사이드클러치 기어의동력 일부가 조향용 사이드 기어에서 전동축을 경유하여 상기 한쪽(선회 내측)의 주행장치에 대응하는 선회용 클러치에까지 우회전달된다. 그리고, 이 우회동력이 스프링을 통하여 가벼운 마찰전동에 의해 클러치 오프위치에 있는 사이드클러치 기어에 전달되는 결과로 선회내측의 주행장치가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 오프측(선회내측)의 크롤러 주행장치는 온측(선회외측) 주행장치의 동력에서 뽑아낸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으면서 사이드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게 된다. 때문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어 주동력의 전달이 차단된 순간에 주행장치가 주행부하에 의해 완전히 정지되어 버리는 일은 없고 사이드클러치 오프 작동에 수반되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면, 압유의 공급에 의해 한쪽 사이드클러치 기어가 시프트되어 한쪽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작동된 시점에서는, 선회용 클러치에는 아직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 후, 사이드클러치에 공급된 압유의 일부가 교축 유로부분을 통하여 선회용 클러치에 서서히 공급되어 선회용 클러치가 완만하게 클러치 온 작동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의 주행장치가 선회용 전동수단에 연동연결되어 감속구동 또는 제동, 아니면 역전구동되고, 기체는 속도차를 가지고 구동되는 좌우의 주행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선회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 오프 작동후의 선회용 클러치의 클러치 온 작동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고, 더욱 클러치 온 오프 충격이 적은 원활한 기체조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구성,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작업기의 1예로서 예취수확기로서의 콤바인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를 표시한다. 이 콤바인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형의 주행장치(1L, 1R)를 구비한 주행기체(2) 전부에, 예취전처리부(3)를 승강자재로 연결함과 동시에, 기체상에 탈곡장치(4), 낟알탱크(5), 엔진(6), 조정부(7) 등을 탑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주행장치(1L, 1R)의 전동구조를 도 2,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설명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기술은 기체 좌우방향에 의거하며, 정면에서 본 이들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과는 반대 관계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6)의 동력은 전후진의 전환이 가능한 주변속장치로서의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 8)에 전달되고, 그 변속출력이 미션케이스(9)에 전달된다. 미션케이스(9)에 입력된 동력은 기어(G1, G2)를 통하여 제 1 축(10)에 전달된 후, 기어(G3, G4)를 통하여 부변속기구(11)에 전달된다. 또, 제 1 축(10)에서 케이스 밖으로 뽑아낸 동력 중, 정전동력만이 원웨이클러치(0C)를 통하여 상기 예취전처리부(3)에 전달된다. 또,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8)는 조종부(7)에 구비한 주변속레버(29)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부변속기구(11)는 콘스턴트메시식으로 3단의 기어변속을 행하는 것이고, 제 2 축(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 장착한 작은 직경기어(G5), 중간직경기어(G6), 큰 직경기어(7)를 제 3 축(13)에 고착한 기어(G8, G9, G10)에 각각 상시 맞물림시켜 상기 제 2 축(12)상에 구비한 2개의 시프트슬리브(S1, S2)를 시프트함으로써 3조의 항상 맞물린 기어 쌍의 어느 1조를 이용하여 제 2 축(12)에서 제 3 축(13)에의 변속전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시프트슬리브(S1, S2)는 미션케이스 내에 수평 지지 가설한 지지축(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시프터(15)에 구비된 한쌍의 시프트포크(15a, 15b)에 각각 결합지지되고, 시프터(15)의 슬라이딩 변위에 따라 양 시프트슬리브(S1, S2)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미션케이스(9)에 전후로 관통 장착한 변속조작축(16)의 선단에는 상기 시프터(15)에 결합하는 조작아암(16a)이 구비되어 있고, 조종부(7)에 구비된 부변속레버(30)를 조작하여 변속조작축(16)을 회전운동함으로써 시프터(15)를 좌우로 슬라이딩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프트슬리브(S1)는 시프트범위의 전체영역에 있어서 제 2 축(12)에 직접 스플라인 맞물림되어 있는데 비해, 상기 스프트슬리브(S2)는 기어(G6)의 보스부, 제 2 축(12)에 스플라인 밖에서 끼워진 스플라인칼라(17) 및 기어(G7)의 보스부에 걸쳐 시프트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하와 같이 하여 3단의 변속이 행해진다.
시프터(15)가 저속「L」위치에 있을 때는 도 8과 같이 시프트슬리브(S1)는 기어(G5)의 보스부와 제 2 축(12)에 걸쳐 맞물림함과 동시에, 시프트슬리브(S2)는 기어(G6)의 보스부에만 밖에서 끼워 지지된 상태가 되고, 제 2 축(12)의 동력은 시프트슬리브(S1), 기어(G5, G8)를 통하여 제 3 축(13)에 저속으로 전달된다.
시프터(15)가 중속「M」위치에 있을 때는 도 9와 같이 시프트슬리브(S1)는 제 2 축(12)에만 지지됨과 동시에, 시프트슬리브(S2)는 기어(G6)의 보스부와 스플라인칼라(17)에 걸쳐 밖에서 끼워 맞물림된 상태가 되고, 제 2 축(12)의 동력은 스플라인칼라(17), 시프트슬리브(S2), 기어(G6, G9)를 통하여 제 3 축(13)에 중속으로 전달된다.
또, 시프터(15)가 중립「N」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0과 같이 시프트슬리브(S1)는 제 2 축(12)에만 지지됨과 동시에, 시프트슬리브(S2)는 스플라인칼라(17)에만 밖에서 끼워 지지된 상태가 되고, 제 2 축(12)에서 제 3 축(13)으로의 동력전달은 차단된다. 또, 시프터(15)가 고속「H」위치에 있을 때는 도 11과 같이 시프트슬리브(S1)는 제 2 축(12)에만 지지됨과 동시에, 시프트슬리브(S2)는 기어(G7)의 보스부와 스플라인칼라(17)에 걸쳐 밖에서 끼워 맞물림된 상태가 되고, 제 2 축(12)의 동력은 스플라인칼라(17), 시프트슬리브(S2), 기어(G7, G10)를 통하여 제 3 축(13)에 고속으로 전달된다.
또, 도 7과 같이, 상기 시프터(15)는 볼디텐트(18)에 의해 쓰러진 곡간(穀稈)의 수확용 속도인 저속「L」, 표준적인 수확용 속도인 중속「M」, 중립「N」및 이동용 속도인 고속「H」에 있어서 위치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기 제 3 축(13)에 전달된 동력은 중앙의 기어(G9)를 통하여 제 4 축(19)의 센터기어(G11)에 전달된 후, 좌우의 사이드클러치(20L, 20R), 차축기어(21L, 21R) 및 차축(22L, 22R)을 통하여 좌우의 주행장치(1L, 1R)에 전달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는 제 4 축(19)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차축기어(21L, 21R)에 상시 맞물림된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를 시프트하여 상기 센터기어(G11)의 중심 기어 이에 옆쪽에서 맞물림 이탈시킴으로써 센터기어(G11)에서 차축(22L, 22R)으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를 시프트하는 수단이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축(19)은 중앙부위가 큰 직경의 단차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는 이 제 4 축(19)의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에 걸쳐 밖에서 끼워지는 단차 내경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의 단차부 사이가 유실(g, h)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평상시는 스프링(24L, 24R)에 의해 센터기어(G11) 측으로 슬라이드 가압되어 클러치 온 위치에 유지되고, 제 4 축(19) 내부에 뚫어 설치된 유로(a, b)를 통하여 유실(g, h)에 압유가 공급되어 각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가 스프링(24L, 24R)에 저항하여 한계까지 시프트되면, 센터기어(G11)에서 벗어나 클러치 오프상태가 초래되게 되어 있다. 또,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가 클러치 오프 위치까지 시프트되면, 유압공급용의 상기 유로(a, b)가 제 4 축(19)의 내부에 뚫어 설치된 유로(d)에 연통된다.
또, 상기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는 센터기어(G11)와의 맞물림이 벗어난 클러치 오프 위치에 도달한 후, 제 4 축(19)의 양단부위에 이동가능하게 끼워 장착된 조향용 사이드기어(25L, 25R)에 다판식의 선회용 클러치(90L, 90R)를 통하여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선회용 클러치(90L, 90R)는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에 일체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큰 직경의 클러치케이스(91L, 91R)에 피스톤(92L, 92R)을 안에서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조향용 사이드기어(25L, 25R)에서 뻗어 나온 스플라인보스부(93L, 93R)와 상기 클러치 케이스(91L, 91R)와의 사이에 마찰판(94L, 94R)을 적층하여 개재한 구조로 되어 있고, 보통은 스프링(95L, 95R)에 의해 피스톤(92L, 92R)을 클러치 오프 측으로 가압하여 클러치케이스(91L, 91R)내의 유실(i, j)에 압유를 공급하여 피스톤(92L, 92R)을 스프링(95L, 95R)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고, 마찰판(94L, 94R)을 압접함으로써 조향용 사이드기어(25L, 25R)에서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로 동력전달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용 클러치(90L, 90R)의 피스톤(92L, 92R)을 작동시키는 유실(i, j)은 사이드클러치 기어(23L, 23R)를 작동시키는 유실(g, h)에 기어내에 뚫어 설치한 연통유로(k, m)를 통하여 연통 접속됨과 동시에, 이 연통유로(k, m)에는 교축 유로부분(p, q)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선회용 클러치(90L, 90R)의 내부에는 피스톤(92L, 92R)을 클러치 온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낮은 토크 전달수단의 1예; 100L, 100R)이 피스톤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100L, 100R)이 피스톤(92L, 92R)을 적당히 가볍게 마찰 전동 부위로 가압함으로써 사이드클러치(20L, 20R)의 조향용 사이드기어(25L, 25R)에서 선회용클러치(90L, 90R)의 클러치케이스(91L, 91R)에 낮은 토크의 회전동력이 항상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조향용 사이드기어(25L, 25R)는 제 5 축(낮은 토크 전동축에 해당; 26)의 양단부위에 고착된 기어(27L, 27R)에 맞물림과 동시에, 제 5 축(26)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기어(G13)가 상기 센터기어(G11)의 측부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기어(G12)에 맞물림되어 감속연동되어 있다.
상기 기어(G13)와 제 5 축(26) 사이에는 완선회(soft turn)를 담당하는 다판식의 클러치(C)가 장비되어 있다. 이 클러치(C)는 평상시는 내장한 스프링(31)에 의해 피스톤(32)이 후퇴복귀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제 5 축(26)의 내부에 뚫어 설치된 유로(c)를 통하여 압유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32)이 스프링(31)에 저항하여 변위되어 클러치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미션케이스(9)의 우측면에 부착된 사이드커버(33)에 제 5 축(26)의 일단이 축받이 지지됨과 동시에, 이 사이드커버(33)에 신지선회(pivot turn)를 담당하는 다판식의 제동기구(B)가 장비되어 있다. 이 제동기구(B)는 링형상의 피스톤(34)이 압유의 인가에 의해 케이스 안쪽으로 진출하여 가압 플레이트(35)를 내장스프링(36)에 저항하여 가압변위시킴으로써 제 5 축(26)에 마찰제동작용이 부가된다. 한편, 제동기구(B)는 이 유압 인가가 해제되어 가압 플레이트(35)가 내장스프링(35)에 의해 복귀후퇴함으로써 제동이 해제하게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4)은 사이드커버(33)의 외측면에 부착한 유압블록(37)에 수용되어 있다.
도 12에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 선회용클러치(90L, 90R), 클러치(C) 및 제동기구(B)를 조작하는 조향용의 유압회로도 및 제어계통도가 표시되어 있다.도면에 있어서 V1은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의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를 택일적으로 시프트 조작하기 위한 조향 전환밸브로서, 미션케이스(9)의 외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SL1)에 의해 중립 및 정역의 3위치가 선택된다. V2는 상기 클러치(C) 또는 제동기구(B)의 어느 하나에 유압을 선택공급하여 선회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 밸브로서, 보통은 클러치(C)로의 유압공급 위치로 가압되어 미션케이스(9)의 외측에 배치된 솔레노이드(SL2)에 의해 제동기구(B)로의 압유공급위치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2중의 V3은 상기 제 4 축(19)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d)에 접속된 시퀀스밸브로서, 그 작동압은 사이드클러치(20L, 20R)의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를 클러치 오프 위치까지 시프트하여 스프링(24)과 밸런스시키는 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퀀스밸브(V3) 아래쪽에 가변 릴리프밸브(V4)가 접속되어 작동유 탱크를 겸용하는 미션케이스(9)에 연통함과 동시에, 시퀀스밸브(V3)와 가변 릴리프밸브(V4) 사이에서 분기한 유로(e)가 상기 모드 전환밸브(V2)의 일차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향전환밸브(V1)를 조작하는 솔레노이드(SL1) 및 모드전환밸브(V2)를 조작하는 솔레노이드(SL2)는 조종부(7)의 핸들탑(41)에 구비한 스티어링레버(스티어링 조작도구의 1예; 42)에 제어장치(4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가변 릴리프밸브(V4)는 스티어링레버(42)에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도 13, 도 14와 같이, 핸들탑(41)의 상부우측(운전자가 보아)에 부착한 브래킷(44)에 지지축(45)이 전후방향 지지점(x) 주위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관통 장착됨과 동시에, 이 지지축(45)의 뒤쪽 끝에 설치한 지지점 금구(46)에 상기 스티어링레버(42)가 수평방향 지지점(y) 주위를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티어링레버(42)가 +자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점 금구(46)에서는 봉재를 L자형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진 제 1 조작아암(47)이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45)의 전단부 가까이에서는 판재의 제 2 조작아암(48)이 돌출 설치되고, 제 1 조작아암(47)은 핸들탑(41)에 부착된 포텐셔메타(49)에 이하와 같이 연계되어 스티어링레버(42)의 조작위치가 전기적으로 검출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포텐셔메타(49)의 조작레버(49a)는 상기 제 1 조작아암(47)에 옆쪽에서 항상 맞닿도록, 내장한 스프링에 의해 도 13 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압되어 있고, 제 1 조작아암(47)이 중립위치(n)에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 조작되더라도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작레버(49a)가 제 1 조작아암(47)에 추종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스티어링레버(42)의 조작위치가 포텐셔메터(49)의 출력변화로서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가 제어장치(43)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조작아암(48)은 상기 가변 릴리프밸브(4)를 조작하는 릴리즈와이어(50)에 이하와 같이 연계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축(45)에는 한쌍의 작동아암(51, 52)이 이동가능하게 끼워 장비되고, 양 작동아암(51, 52)은 비틀림스프링(53)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가압되어 브래킷(44)에 설치한 고정핀(54)을 끼워 접촉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작동아암(51)의 자유단부에는 릴리즈와이어(50)에 있어서의 외부와이어(50a)의 단부가 연결지지됨과 동시에, 다른쪽 작동아암(52)의 자유단부에는 릴리즈와이어(50)에 있어서의 내부와이어(50b)의 단부가 연결 지지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레버(42)에 의해 전후방향 지지점(x) 주위로 요동되는 제 2 조작아암(48)의 자유단부에 설치한 조작핀(48a)이 양 작동아암(51a, 51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령 도 13에 있어서, 스티어링레버(42)를 중립(n)에서 우선회방향(도면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제 2 조작아암(48)이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조작핀(48a)이 한쪽의 작동아암(51)을 반시계방향으로 맞닿음 요동시킨다. 이 때, 다른쪽의 작동아암(52)은 고정핀(54)과의 맞닿음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의 요동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릴리즈와이어(50)의 내부와이어(50b)가 상대적으로 외부와이어(50a)에서 인출된다. 또, 반대로 스티어링레버(42)를 중립(n)에서 좌선회방향(도면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제 2 조작아암(48)이 도면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조작핀(48a)이 다른쪽 작동아암(52)을 시계방향으로 맞닿음 요동시킨다. 이 때, 한쪽의 작동아암(51)은 고정핀(54)과의 맞닿음에 의해 시계방향에의 요동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릴리즈와이어(50)의 내부와이어(50b)가 외부와이어(50a)에서 인출된다. 즉, 스티어링레버(42)를 중립(n)에서 좌선회 방향 또는 우선회 방향의 어느 쪽으로 요동조작하여도, 그 조작량에 따라서 릴리즈와이어(50)의 내부와이어(50b)가 인출조작되고, 그 와이어 인출량이 클수록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V4)의 작동압이 높아지도록 연계되어 있다.
조향전환밸브(V1)와 시퀀스밸브(V3)는 상기 유압블록(37)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모드 전환밸브(V2)와 가변 릴리프 밸브(V4)는 상기 사이드커버(33)에 수용되고, 유압블록(37) 및 사이드커버(33)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서로 연통접속되어 도 11의 유압회로가 형성된다.
이하에, 조향전환밸브(V1), 모드전환밸브(V2) 및 가변 릴리프밸브(V4)의 조작 구조를 도 15 내지 도 1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상기 조향전환밸브(V1)는 유압블록(37)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한 스풀(61)을 지지축(62)을 통하여 외부에서 요동되는 조작아암(63)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축(62)의 바깥 끝에 장착한 레버(64)에 상기 솔레노이드(SL1)가 연동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스티어링레버(42)가 중립(n)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SL1)는 비통전상태에 있고, 스풀(61)은 복귀스프링(65)에 의해 중립에 유지되어 있고, 펌프포트(P)에서 공급된 압유는 드레인유로(D)를 거쳐 미션케이스(9)에 복귀된다.
스티어링레버(42)가 좌선회 방향으로 조작되면 이것이 포텐셔메타(49)로 검출되어 솔레노이드(SL1)가 누름 구동되고, 스풀(61)이 도 15 중의 좌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되고 펌프포트(P)에서 공급된 압유는 유로(a)를 통하여 좌선회용의 사이드클러치(20L)에 공급된다.
한편, 스티어링레버(42)가 우선회 방향으로 조작되면 이것이 포텐셔메타(49)로 검출되어 솔레노이드(SL1)가 당김 구동되고, 스풀(61)이 도 15 중의 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되고, 펌프포트(P)에서 공급된 압유는 유로(b)를 통하여 우선회용의 사이드클러치(20R)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4, 도 18과 같이, 상기 모드 전환밸브(V2)는 사이드커버(33)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한 스풀(66)을 지지축(67)을 통하여 외부에서 요동되는 조작아암(68)으로 맞닿음 가압하여, 스프링(69)에 저항하여 슬라이딩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축(67)의 바깥 끝에 장착한 레버(70)에 상기 솔레노이드(SL2)가 연동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SL2)가 비통전상태로 있을 때는 스풀(66)은 도 18의 표시 위치에 있고, 시퀀스밸브(V3)의 아래쪽 유로(e)는 클러치(C)에 이르는 유로(c)에 연통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SL2)가 통전구동되어 당김 작동하면 레버(70)가 도 18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되고, 스풀(66)이 스프링(69)에 저항하여 전환되고, 상기 유로(e)가 제동기구(B)에 이르는 유로(f)에 연통되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18과 같이, 상기 가변 릴리프밸브(V4)는 사이드커버(33)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포핏(71)과 이 포핏(71)을 밸브시트(72)에 가압하여 상기유로(e)의 드레인유로(D)에의 연통을 차단하는 스프링(73)과 이 스프링(73) 뒤쪽 끝을 지지하는 스프링 받이부재(74)로 구성되고, 이 스프링 받이부재(74)를 상기 지지축(67)에 밖에서 끼워 장착한 통형상의 지지축(75)을 통하여 외부에서 요동되는 조작아암(76)으로 맞닿음 가압하여 슬라이딩 변위 시킴으로써 릴리프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지지축(75)의 바깥 끝에 장착한 레버(77)에 상기 릴리즈와이어(50)의 내부와이어(50b)가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77)는 조작아암(76)을 스프링 받이부재(74)에서 이반시키는 방향으로 비틀림 스프링(78)에 의해 요동 가압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요동한계에서는 조작아암(76)이 사이드커버(33)의 내면에 맞닿고, 이때의 가변 릴리프 밸브(V4)의 릴리프압은 거의 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티어링레버(42)가 좌우로 요동되어 릴리즈와이어(50)의 내부와이어(50b)가 당김 조작되면, 조작아암(76)이 도 18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조작되어 스프링 받이부재(74)가 밀어넣음 변위되고, 스티어링레버(42)의 요동량이 커져서 와이어 당김량이 커짐에 따라 가변 릴리프 밸브(V4)의 릴리프압이 차츰 높아지게 되어 있다.
또, +자조작 가능한 상기 스티어링 레버(42)의 전후요동에 의해 상기 예취 전처리부(3)의 승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3, 도 14와 같이, 수평방향 지지점(y)의 연장선상 좌우에는 스티어링레버(42)의 전후요동을 검출하는 포텐셔메타 또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센서(81)와 스티어링 레버(42)를 전후요동 방향의 중립(n)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82)이 구비되어 있고, 스티어링레버(42)가 중립(n)에서 전방으로 요동된 것이 센서(81)로 검출되면 상기 예취 전처리부(3)를 하강 작동시키고, 후방으로 요동된 것이 센서(81)로 검출되면 상기 예취 전처리부(3)를 상승 작동시키도록 센서(81)와 예취전 처리부(3)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승강기구가 연계되어 있다.
또, 도 2의 83은 상기 제 3 축(13) 단부에 작용하도록 구비된 정지 및 주차용 브레이크이고, 조종부(7)의 발밑에 구비된 페달(84)의 밟기 조작에 의해 엔진(6)에서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8)로의 전동계에 구비된 도시생략된 주클러치가 오프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83)가 제동 조작된다. 또 페달(84)을 밟기 위치에 걸림유지 해둠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향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조향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티어링레버(42)가 중립(n)에 있을 때는 사이드클러치(20L, 20R)는 모두 클러치 온 상태이고,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L, 1R)는 동속으로 구동되고, 기체는 직진주행 한다.
스티어링레버(42)가 중립(n)에서 좌우방향의 한쪽, 가령 우측의 제 1 조작역(Rc)으로 요동조작되면 이것이 포텐셔메타(49)로 검출되어 솔레노이드(SL1)가 통전구동되어 조향전환밸브(V1)가 우선회위치로 전환되고, 압유가 유로(b)를 통하여 유실(h)에 공급되어 사이드클러치기어(23R)가 클러치 오프 위치까지 시프트되고, 우측의 사이드클러치(20R)가 오프된다. 때문에,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만이유전상태가 되고, 좌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L)만의 구동에 의해 기체는 우방향으로 완만하게 선회한다.
이 경우, 사이드클러치(23L)가 오프되지 않은 좌측(선회외측)의 선회용 클러치(90L)에 있어서는 스프링(100L)을 통한 낮은 토크 전달이 행해져서 사이드클러치기어(23L) 동력의 일부가 조향용 사이드기어(25L)에 전달되고, 이것이 기어(27L), 제 5 축(26), 기어(27R) 및 조향용 사이드기어(25R)를 거쳐 우측(선회내측)의 선회용 클러치(90R)까지 우회 전달된다. 그리고, 이 우회동력이 스프링(100R)을 통한 가벼운 마찰전동에 의해 클러치 오프 위치에 있는 사이드클러치 기어(23R)에 전달되고, 우측의 클로러 주행장치(1R)는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게 된다. 따라서,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는 좌측 주행장치(1L)의 동력에서 뽑아낸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으면서 사이드클러치(23R)가 오프조작되게 되고, 사이드클러치(23R)가 오프되어 주동력 전달이 차단된 순간에 크롤러 주행장치(1R)가 주행부하에 의해 완전히 정지되는 일은 없고, 사이드클러치(23R)의 오프 작동에 따른 충격이 완화된다.
또, 우측의 사이드클러치(20R)가 오프되면, 그 다음 유실(h)의 압유가 연통유로(m)를 통하여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90R)의 유실(j)에도 공급되어 선회용 클러치(90R)가 온 되지만, 스티어링레버(42)가 제 1 조작역(Rc)에 있는 동안은 가변 릴리프밸브(V4)의 작동압이 아직 낮기 때문에, 모드전환밸브(V2)를 통하여 압유공급을 받는 상태에 있는 클러치(C)는 클러치 온 작동하는 일은 없고, 조향용사이드기어(25R)는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선회용 클러치(90R)는 온 조작되지만 기체조향에는 관여하지 않게 된다.
스티어링레버(42)가 제 2 조작역(Rs)까지 조작되면 가변 릴리프 밸브(V4)의 릴리프압이 시퀀스밸브(V3)의 작동압을 초과한 크기가 되고, 높은 압유가 유로(e) 및 유로(c)를 통하여 클러치(C)에 공급되고, 클러치(C)가 온 조작되어 조향용 사이드 기어(25R)가 소정의 저속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이 조향용 사이드기어(25R)의 저속동력이 클러치 오프 위치에 있는 사이드클러치(20R)에 선회용 클러치(90R)를 통하여 전달되고,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는 소정의 비율로 감속된 저속상태로 구동되고, 좌우 크롤러 주행(1R, 1L)의 구동속도차에 의거하여 기체는 우방향으로 완만하고 확실하게 선회해 간다.
이 경우, 중립(n)에 있는 스티어링레버(42)를 단번에 제 2 조작역(Rs)에 까지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우측 사이드클러치(20R)가 오프됨과 동시에 신속하게 클러치(C)가 온 작동하고, 또한,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90R)도 클러치 온 작동하지만, 우측 사이드클러치(20R)에 있어서의 유실(h)의 압유는 교축 유로부분(q)을 갖는 연통유로(m)를 통하여 선회용 클러치(90R)에 있어서의 큰 단면적의 유실(j)에 서서히 공급되므로 선회용 클러치(90R)의 클러치 온 작동은 완만하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클러치(C)를 통하여 조향용 사이드기어(25R)에 전달된 동력은 충격 없이 사이드클러치(23R)에 전달되게 되고,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는 원활하게 감속구동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C)에 인가되는 유압은 가변 릴리프 밸브(V4)에 의해 제한되어 있으므로 제 2 조작역(Rs)내의 스티어링레버(42)가 중립(n)측에 가까울수록 클러치(C)에 인가되는 유압은 낮고, 클러치(C)를 통하여 전달되는 토크는 작고, 제 2 조작역(Rs)내의 스티어링 레버(42)가 중립(n)에서 이격될 수록 클러치(C)에 인가되는 유압도 높아지고, 클러치(C)를 통하여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에 전달되는 토크는 차츰 커진다. 그리고, 결국은 클러치(C)가 완전히 연결되어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는 소정비율로 감속된 저속상태로 구동되게 된다.
스티어링 레버(42)가 제 2 조작역(Rs)을 넘어 제 3 조작역(Rb)에 까지 조작되면 이것이 포텐셔메타(49)로 검출되어 솔레노이드(SL2)가 통전구동되고, 모드전환밸브(V2)가 전환되며, 유로(e)가 유로(f)에 이어져서 압유가 제동기구(B)에 공급됨과 동시에 유로(c)가 드레인유로(D)에 연통되어 클러치(C)가 오프된다. 이 경우, 스티어링레버(42)가 크게 조작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릴리프압이 이미 높아져 있으므로 제동기구(B)에 의해 제 5 축(26)은 제동되고, 제 5 축(26)에 연통연결되어 있는 우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R)는 제동정치된 상태로 좌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L)만이 구동되고, 기체는 우방향으로 급선회(신지선회)한다.
또, 기체 조향상태에서 스티어링레버(42)를 중립(n)으로 돌리면 오프되어 있던 우측의 사이드클러치(23R)가 온 작동하여 재차 직진상태로 복귀되는데, 이 경우,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90R)에 있어서는 낮은 토크 전달이 행해져서 우측 사이드클러치(23R)는 조금 회전해 있기 때문에, 센터기어(G11)와사이드클러치기어(23R)와의 속도차가 사이드클러치기어(23R)가 정지되어 있을 경우 보다 작아지고, 맞물림 불량을 초래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사이드클러치기어(23R)가 센터기어(G11)에 다시 맞물림한다.
또한, 말할나위 없지만, 스티어링레버(42)가 좌선회방향으로 조작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제 1 조작역(Lc)에서는 좌측의 사이드클러치(20L)만을 오프한 완만한 좌선회가 행해지고, 제 2 조작역(Ls)에서는 클러치(C)를 온조작하여 좌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L)를 감속구동한 좌선회가 행해지고, 또 제 3 조작역(Lb)에서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장치(1L)를 제동한 좌측으로의 급선회가 행해진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1)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에 낮은 토크를 전달하는 낮은 토크 전달수단으로는 상기와 같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쪽의 주행장치에 전달되는 동력을 좌우의 선회용 클러치(90L, 90R)를 통하여 우회전달하는 외에 별도로 장비한 전용 전동계로부터의 동력을 슬립가능한 클러치 등을 통하여 낮은 토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요동 자유로운 스티어링레버(42)를 스티어링 조작도구로 하고 있으나, 회전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을 스티어링 조작도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3)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의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를 한쌍의 시프트포크로 외부에서 시프트조작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그 시프트포크를 각각 외장한 유압실린더로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4) 제 3 조작역(Lb, Rb)을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선회내측)의 주행장치를 클러치 온 쪽(선회 외측)의 주행장치에 대하여 작동방향을 역전시킨 상태로 감속구동하는 초신지선회모드(spin turn mode)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5) 제 3 조작역(Lb, Rb)을 상기와 같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의 주행장치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선회모드로 함과 동시에, 제 3 조작역(Lb, Rb)의 더 외측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 주행장치를 감속 역전구동하는 초신지선회모드의 제 4 조작역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1 항의 구성에 따르면,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위치에서 좌우 한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우선 한쪽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의 주행장치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 때,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쪽의 주행장치에는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낮은 토크가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한쪽의 주행장치가,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순간에 주행부하에 의해 급히 정지되는 일은 없고, 낮은 토크 구동력을 받는 한쪽 주행장치의 낮은 토크 구동력과,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의 구동력의 차이, 즉 양 주행장치 사이의 작동속도의 차에 의해 기체는 완만하게 선회한다.
또, 계속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같은 방향으로 크게 조작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는 선회용 전달수단에 연동연결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는 감속구동 또는 제동, 아니면 역전구동되고, 기체는 속도차를 가지고 구동되는 좌우 주행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선회되어 간다.
이 경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에서 속도차를 갖는 양쪽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완선회 모드)로의 전환은 선회용 클러치를 온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슬립가능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장비한 것에 의해, 맞물림식 클러치에 비해 전환이 충격 없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으로 되돌려서 직진으로 복귀할 때도,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에는 낮은 토크가 전달되고 있으므로 사이드클러치가 맞물림식의 것이라도 구동측과 종동측의 속도차가 적은 상태에서의 맞물림이 행해진다.
따라서, 스티어링 조작량에 대응한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주행장치에 중단이 없는 토크전달을 행하여 충격 없는 미묘하고 원활한 기체조향을 행할 수 있고, 한층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또, 기체선회후, 직진으로 복귀할 때도 원활한 사이드클러치 온 작용이 기대된다.
그리고, 청구항 2기재와 같이, 상기 선회용 클러치에 상기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장비하고 있으면 유리하다. 가령, 스티어링 조작도구를 중립위치에서 우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우선, 우측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다. 이 경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있어서는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이 기능하고, 좌측의 주행장치에의 동력의 일부가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역전달된다.
여기서, 좌우의 선회용 클러치의 구동측은, 좌우 어느쪽의 주행장치에 대해서도 병렬관계에 있어 서로 연동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좌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좌측의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역전달된 동력은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까지 돌아들어서 전달되고, 이 돌아들어 전달된 동력이 우측의 선회용 클러치에 장비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클러치가 오프되는 우측의 주행장치에 전달된다.
따라서, 한쪽 주행장치가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순간에 주행부하에 의해 급히 정지되는 일은 없고, 낮은 토크 구동력을 받는 한쪽 주행장치의 낮은 토크 구동력과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의 구동력 차이에 의해 기체는 완만하게 선회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쪽 주행장치에의 동력을 선회용 클러치와 여기에 장비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통하여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는 쪽의 주행장치에 돌아들어 전달되기 때문에, 낮은 토크 동력의 돌아들기 전달경로가 본래 장비된 전동계를 이용한 것이 되고, 구조 간단하게 청구항 1의 발명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어 실용상의 편리성이 높게 된다.
상기 구성에 첨가하여 청구항 3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와 같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에서 속도차를 갖는 양쪽 구동에 의한 선회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회용 클러치를 온 할 때에 유리하다. 즉, 이 선회용 클러치를 다판(多板) 마찰식으로 함으로써 맞물림식 클러치에 비해 상기 전환이 충격 없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청구항 4기재와 같이 구성하면,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지 않은 상기 다른쪽(선회 외측)의 주행장치에 대응하는 선회용 클러치에 있어서는 스프링을 통하여 낮은 토크 전달이 행해지고, 이 선회용클러치에 대응하는 사이드클러치 기어의 동력 일부가 조향용 사이드 기어에서 전동축을 경유하여 상기 한쪽(선회 내측)의 주행장치에 대응하는 선회용 클러치에까지 우회전달된다. 그리고, 이 우회동력이 스프링을 통하여 가벼운 마찰전동에 의해 클러치 오프위치에 있는 사이드클러치 기어에 전달되는 결과로 선회내측의 주행장치가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 오프측(선회내측)의 크롤러 주행장치는 온측(선회외측) 주행장치의 동력에서 뽑아낸 낮은 토크의 동력전달을 받으면서 사이드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게 된다. 때문에,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되어 주동력의 전달이 차단된 순간에 주행장치가 주행부하에 의해 완전히 정지되어 버리는 일은 없고 사이드클러치 오프 작동에 수반되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면, 압유의 공급에 의해 한쪽 사이드클러치 기어가 시프트되어 한쪽의 사이드클러치가 오프작동된 시점에서는, 선회용 클러치에는 아직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 후, 사이드클러치에 공급된 압유의 일부가 교축 유로부분을 통하여 선회용 클러치에 서서히 공급되어 선회용 클러치가 완만하게 클러치 온 작동하고,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의 주행장치가 선회용 전동수단에 연동연결되어 감속구동 또는 제동, 아니면 역전구동되고, 기체는 속도차를 가지고 구동되는 좌우의 주행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선회된다.
따라서, 사이드클러치 오프 작동후의 선회용 클러치의 클러치 온 작동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고, 더욱 클러치 온 오프 충격이 적은 원활한 기체조향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좌우 한쌍의 크롤러형 주행장치(1L, 1R)를 가진 작업기의 조향장치로서, 이 조향장치가,
    각 주행장치에 장비된 선회용 클러치(90L, 90R);
    상기 선회용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주행장치에 조향 조작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조작도구(42);
    각 상기 주행장치에 장비된 사이드클러치(20L, 90R); 및
    상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된 한쪽의 주행장치(1L 또는 1R)를 감속 또는 제동 혹은 역전구동하는 선회용 전동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조작도구(42)가 중립위치에서 좌우 한쪽으로 조향 조작됨으로써, 우선 상기 한쪽의 주행장치(1L 또는 1R)에 대응하는 사이드클러치(20L 또는 20R)가 오프되고, 계속하여 상기 스티어링 조작도구(42)가 같은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사이드클러치의 오프된 주행장치(1L 또는 1R)와, 상기 선회용 전동수단이 상기 선회용 클러치(90 L 또는 90R)를 통하여 연동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상기 주행장치에 낮은 토크를 상시 전달하는 슬립가능한 낮은 토크 전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토크 전달수단이 상기 선회용 클러치(90L,90R)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용 클러치(90L, 90R)가 마찰판(94L, 94R)을 구비한 마찰식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낮은 토크 전달수단이 이 마찰판(94L, 94R)을 클러치 온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0L, 100R)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용 클러치가 전동축(26)을 통하여 서로 연동연결되고, 사이드클러치의 오프되지 않은 다른쪽 주행장치(1R 또는 1L)에 대응하는 선회용 클러치에 설치된 상기 낮은 토크 전달수단으로 그 다른쪽 주행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의 일부가 상기 전달축(26)을 통하여 상기 한쪽의 주행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조향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가 변속동력을 좌우의 상기 주행장치에 분배하는 센터기어(G11)와 이 센터기어의 양측에 맞물림 이탈 가능하게 구비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클러치기어(23L, 23R)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클러치기어에의 압유공급에 의해 상기 사이드클러치가 오프방향으로 시프트 조작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선회용 클러치(90L, 90R)가 압유공급에 의해 온조작되는 유압식 클러치이고, 상기 사이드클러치(20L, 20R)에 공급된 압유가 교축유로부분(p, q)을 통하여 상기 선회용 클러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조향장치.
KR10-2001-0010265A 2000-03-29 2001-02-28 작업기의 조향장치 KR100373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1472A JP3541159B2 (ja) 2000-03-29 2000-03-29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0-91472 200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49A KR20010093649A (ko) 2001-10-29
KR100373584B1 true KR100373584B1 (ko) 2003-02-26

Family

ID=1860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265A KR100373584B1 (ko) 2000-03-29 2001-02-28 작업기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41159B2 (ko)
KR (1) KR100373584B1 (ko)
CN (2) CN10041193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752A (zh) * 2015-01-20 2015-04-29 延寿县闪电农业装备有限公司 全液压驱动履带式联合收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8836B (zh) * 2012-05-23 2015-02-18 南通市广益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控车辆行走的传动箱
CN103935399B (zh) * 2014-04-01 2016-08-03 江苏云马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转向制动装置
CN106413379B (zh) * 2014-05-19 2019-03-26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04290813B (zh) * 2014-10-29 2016-11-09 东莞市优势达机械科技有限公司 单兵坦克车用变速发动机
CN107406103B (zh) * 2015-01-19 2019-09-27 株式会社神崎高级工机制作所 车辆转向系统
CN105065614A (zh) * 2015-06-25 2015-11-18 南通黄海药械有限公司 一种履带式喷雾机用液压驱动无机变速的变速箱
JP6616274B2 (ja) * 2016-12-07 2019-12-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
JP6861024B2 (ja) * 2016-12-21 2021-04-2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106828601B (zh) * 2017-02-13 2019-03-26 北京理工大学 一种无人车离合器转向机转向系统
CN106741160B (zh) * 2017-02-13 2019-07-09 北京理工大学 一种无人车离合器转向机转向系统的工作方法
CN109654215B (zh) * 2018-11-30 2023-10-13 浙江云洲科技有限公司 柔性转向变速箱液压控制系统
CN110406374B (zh) * 2019-08-05 2021-11-16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推土机用主离合器和转向离合器联动装置及推土机
KR102232762B1 (ko) * 2020-11-19 2021-03-26 (주)한성티앤아이 스핀턴 기능을 갖춘 고소작업차용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41B1 (ko) * 1992-06-29 1996-03-02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보행형 논 작업기의 클러치 조작구조
JP2945562B2 (ja) * 1993-08-05 1999-09-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H08256542A (ja) * 1995-03-23 1996-10-08 Kubota Corp 田植え機
JP2622107B2 (ja) * 1996-07-24 1997-06-18 株式会社クボタ 四輪駆動形農用トラクタの前輪駆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752A (zh) * 2015-01-20 2015-04-29 延寿县闪电农业装备有限公司 全液压驱动履带式联合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1159B2 (ja) 2004-07-07
CN1660639A (zh) 2005-08-31
CN100411933C (zh) 2008-08-20
KR20010093649A (ko) 2001-10-29
CN1200835C (zh) 2005-05-11
CN1319521A (zh) 2001-10-31
JP2001278100A (ja)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84B1 (ko) 작업기의 조향장치
KR100693977B1 (ko)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JP3708389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4101255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947640B2 (ja) クローラ式走行車両
JP2001193835A (ja) 農作業機のギヤ変速機構
JP3583063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67247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662157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4070737B2 (ja) コンバインの操向装置
JP358306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590313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541160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0344128A (ja) コンバインの走行操向装置
JP3698655B2 (ja) 農作業機の操向操作装置
JP3659897B2 (ja) 農作業機の操向操作装置
JP3717435B2 (ja)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JP2004237981A5 (ko)
JP3084219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装置
JP3751221B2 (ja) 農作業機の操向操作装置
JP3474157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2295719A (ja) スプール弁の操作装置
JP2002295516A (ja) 湿式多板クラッチの冷却装置
JPH1159478A (ja) クローラ式作業車における差動走行装置
JP2003104227A (ja)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