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14B1 -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14B1
KR950002514B1 KR1019880011429A KR880011429A KR950002514B1 KR 950002514 B1 KR950002514 B1 KR 950002514B1 KR 1019880011429 A KR1019880011429 A KR 1019880011429A KR 880011429 A KR880011429 A KR 880011429A KR 950002514 B1 KR950002514 B1 KR 95000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per
swing arm
roll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69A (ko
Inventor
에이이찌 이소와
히데시 가와이
하루머 가지다
히로끼 마쓰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소와 데꼬오쇼
에이이찌 이소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216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86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9023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8831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소와 데꼬오쇼, 에이이찌 이소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소와 데꼬오쇼
Publication of KR89000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6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5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rotating around an axis
    • B65H2402/351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2Supports for roll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 B65H2405/42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flo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스플라이서의 하측에 배설한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공장에 배설한 경우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이며, 콜게이트라인의 구동측에 공장의 벽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스페이스(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를 표시하며,
제 4 도a-제 4 도d는,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가동시킨 경우의 경시적인 동작순서를 표시한 설명도.
제 5 도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원지공급장치를 가동시킨 경우의 경시적인 플로차아트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배설한 경우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각 예를 표시한 편면도.
제 8 도는, 팔레트를 사용한 리프터 구종의 개략 구성을 표시한 정면도.
제 9 도는, 팔레트를 담지하는 리프터 구조의 개략 구성을 표시한 정면도.
제10도는, 원지로울의 반송용 컨베이어의 레이아우트 패턴을 표시한 평면도.
제11도a는, 터언테이블과 각컨베이어와의 인수 인도 부분의 종단면도.
제11도b는, 터언테이블의 종단면도.
제12도는, 본원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를 공장에 배설한 경우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를 개략적을 표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스플라이서의 하측에 배설한 제13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의 정면도.
제15도a-제15도d는, 제13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가동시킨 경우의 동작순서를 표시한 설명도.
제16도는, 제13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한 요부개략 정면도.
제17도는, 제13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가동시킨 경우의 플로차아트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에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공장에 배설한 경우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1도는, 종래기술에 관한 밀로울스탠드의 개략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에 표시한 밀로울스탠드의 개략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로울스탠드 11,12 : 회동축
13,13 : 스윙암 14,14a14b,14c : 원지로울
15 : 원지로울끼움용관 20 : 대판
21 : 축받이 22 : 키이
23 : 유압실린더 24 : 피스톤로드
25 : 유압실린더 26 : 피스톤로드
27 : 레버 28,29 : 스윙암구조
30 : 스플라이서 30a,30b : 헤드
31 : 제 1 피트 32 : 제 2 피트
33 : 제 3 피트 34 : 리프터
35: 팔레트 35a : 경사면
35b : 돌기부 36 : 스프로킷
37 : 로울러체인 38 : 턴테이블
39,41,43,45 : 스프로킷 40 : 수평회전축
42,45 : 체인 44 : 구동구조
47 : 모우터 48 : 기어
49 : 스프로킷 50 : 구동구조
53 : 대차 54 : 로울재치용 테이블
54a,54b : 대차의 경사면 55 : 안내부재
55 : 경사진 안내면 EX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IN1,IN2: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SY : 스톡야아드
SC : 스톡 컨베이어
본 발명은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개의 스윙암의 외측에 원지로울의 반송 컨베이어를 각각 설치한 밀로울스탠드 방식의 원지 공급장치에 비교하여, 원지로울의 장전 및 반출에 소요된느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원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중심지(中芯紙)에 필요한 피티의 파형을 부혀하며, 이 파형단부와 라이너에 풀칠을 하여 접착하여서 편면(한쪽면)단 보오드시이트를 제조하고, 또한 이편면 단 보오드시이트에 백라이너를 붙쳐 합치는 것에 의하여 양면단 보오드시이트를 제조하도록 구성한 콜게이트머신이 넓게 보급되어 있다.
이 콜게이트머신에서는, 편면 단 보오드시이트를 제조하는 싱글페이서 및 얻어진 편면 단 보오드시이트에 백라이너를 합쳐붙이는 더블페이서가 중요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또한, 그 부대설비보서 중심지나 라이너 기타 백라이너등의 웨이브(이들 웨이브를 이하 "원지"라 한다)를 전기한 싱글 페이서난 더블페이서에 공급하는 원지공급장치가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 왔다.
이 원지는, 중심이 되는 원지로울끼움용관에 일정한 지름이 갖는 원지가 권장한 소정지름의 로울상으로 권치되어 원지공급장치에 장전되며, 여기서 원지의 끌어내는 공급이 행하여진다. 또, 제조중에 관련되는 오더 변경에 수반하여, 전기한 원지로울은 원지공급장치로부터 제거되며 대차등의 반출수단에 재치되어서 소정의 저장장소까지 반출된다.
콜게이트머신에 사용되는 종래의 원지공급장치로서는, 제21도에 표시하는 소위 스윙암식의 밀로울스탠드가 넓게 알려져 있다.
이 밀로울스탠드(10)는, 수평인 회동축(11),(12)에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스윙암(13),(13)을 2개를 가지며, 각 암(13),(13)의 선단에 , 원지로울(14)에 있어서의 지관(15)의 양단부에 삽통이 가능한 센터블록(16),(16)이 각각 대향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 밀러울스탠드(10)를 끼우는 좌우의 공장부지면에는, 원지로울(14)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기 위한 반입·반축로(17)가 형성되어서 있다.
이 반입·반출로(17)는 공장부지면에 필요한 깊이로 파내려가져서 상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는 피트로 구성되어, 이 피트에 주행이 자재롭게 대차(18)가 배설되어 있다.
대차(18)는, 원지로울(14)을 재치하기 위한 테이블(19)을 상부에 비치하여, 이 테이블(19)만을 상기한 피트의 상측에 향하게 하고 있다.
이 밀로울스탠드(10)에 있어서, 우측의 회동축(12)에 지지한 일측의 스윔암(13),(13)에 원지로울(14)의 장전을 행하는 데에는, 원지로울(14)을 재치한 대차(18)을 우측의 반입·반출로(17)에 주행시켜서, 해당 대차(18)를 상기한 스윔암(13),(13)의 요동궤적의 하측에 도래시킨다. 이 양 스윙암(13),(13)은 상호로 이간시켜져 있으며, 이 상태에서 우측의 회동축(1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한 센터블록(16),(16)과 원지로울(14)의 지관(15)과의 중심이 정렬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어서, 양 스윙암(13),(13)을 상호로 근접이동시켜서, 상기한 센터블록(16),(16)에 의하여 원지로울(14)의 지관(15)을 협압(처크로서 잡음)을 행한후, 해당 암(13),(13)을 반대 시게방향 상측에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의 장점("원지걸치는 것"이라고도 한다)이 된다. 또, 좌측의 회동축(11)에 지지한 다른편의 스윙암(13),(13)에도, 동일한 작업을 행아여져 별도의 원지로울(14)가 장전된다.
그리고, 한편의 스윙암(13),(13)에 장전된 원지로울(14)로부터 끌어낸 원지를, 도시하지 않은 콜게이트머신의 필요 장소에 공급한다.
또, 스윙압(13),(13)에 장전한 원지로울(14)을, 그 암으로부터 제거하여 창고에 되돌리던지, 라인의 가동중에 있어서 작업지지시 변경에 수반하여 별도의 규격의 원지로울(14)에 교환하던지 하는 경우는,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윙암(13),(13)을 측에 향하여 요동시켜, 반입·반출로(17)에 대기하고 있는 대차(18)의 직선상에 도래시킨다. 이어서, 양 암(13),(13)을 개방하여, 원지로울(14)에 대하여 처킹을 해제하며, 해당 원지로울(14)을 대차(18)의 테이블(19)에 적재한다.
또, 스윙암(13),(13)은 재차 상측에서 양 암을 상호로 이간시켜서, 다음의 원지로울(14)의 처킹을 대기한다. 그후에 대차(18)는, 적재된 워지로울(14)을 담지하여서 소정의 스톡야아드(저장고)에 향하여서 반입·반출로(17)를 퇴출한다.
계속하여 새로운 원지로울(14)을 장전하는때에는, 그 원지로울(14)을 재치한 대차(18)가, 전기한 반입·반출로(17)를 주행하여 저기한 스윙암(13),(13)의 요동궤적의 하측에 도래한다. 그리고, 먼저 설명한 순서로, 양 스윙암(13),(13)에 대한 원지로울(14)의 장전이 된다.
이와같이, 2개의 스윙암의 외측에 원지로울의 반송컨베이어를 각각 설치한 종래의 밀로울스탠드 방식의 원지공급장치에서는, 먼저 설명한 바와같이, 새로운 원지로울(14)이 반입되고나서, 양 스윙암(13),(13)을 경사진 하측에 이동시켜셔, 각 센터블록(16),(16)과 원지로울(14)의 지관(15)의 중심 맞추는 것을 행하여, 그후에 양 암이 근접 이동하여서 원지로울(14)에 대한 처킹을 행한다. 이어서 재차 양 암(13),(13)이 경사진 상측에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의 장전을 완료한다.
또, 양 스윙암(13),(13)에 유지하여 끌어내는 중인 원지로울(14A)을 별도의 새로운 원지로울(14B)에 교환하는 데에는, 양 스윙암(13),(13)을 경사진 하측에 이동시킨후에, 원지로울(14A)에 대한 처킹의 해방을 행한다.
그리고, 그 암(13),(13)의 경사진 상측에 회동시킨후에, 구원지로울(14A)를 반출하는바, 다음의 새로운 원지로울(14B)의 반입이 죵료할때까지 이 암(13),(13)은 상측에 경사져 움직인 먼저의 자세로 필요시간만을 대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새로운 원지로울(14B)의 반입이 되면, 스윙암(13),(13)은 경사진 하측에 경사지게 움직여 센터블록(16),(16)과 원지로울(14B)의 지관(15)과의 중심 맞추는 것을 행한다. 그후에, 양 암(13),(13)이 근접 접동하여, 원지로울(14B)에 대한 처킹을 행하며, 재차 양 암(13),(13)이 경사진 상측에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새로운 원지로울(14B)에 대한 장전이 된다.
이와같이, 원지로울의 교환을 행하기 위하여는, 스윙암을 왕복 작동시킴과 동시에, 구 원지로울의 반출 및 새로운 원지로울의 반입이 종료할때까지, 스윙암을 상측 경동위치에서 필요시간을 대기시키지 않으면 않되며, 원지를 거는 작업에 많은 시간 손실을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빈번한 작은 단위 생산에 수반하는 오더변경에 대응할 필요가 있는 제조업계에서는, 그 원지로울 교환시에 있어서의 사이클타임의 단축화가 극히 중요한 것이며, 이점에 있어서 종래의 원지공급장치는 그 요청에 충분하게 응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에 태재하고 있는 전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가장 적합하게 해결하도록 창안한 것으로, 빈번한 오더변경에 수반하는 원지로울의 착탈교환에 있어서, 그 사이클타임을 대폭적으로 단축화 할 수 있어서 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겸하여 장치전체의 간략화를 도모하여 제조원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원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에 대하여, 가장 적당한 실시예를 들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 1 도에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실시예에 관한 밀로울스탠드는, 스윙암 형식인 것이다. 단, 이 밀로울스탠드(10)를 구성하는 스윙암(13) 구조는,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을 구비하고 있다. 예로, 대판(20)상세 소정간격을 이간시켜서 대향 배치한 한쌍의 축받이(21)에 회동축(11)의 각 단부가 요동이 자재롭게 지지되어, 이 회동축(11)에 한쌍의 스윙암(13)이 스플라인 접속되어 있다.
즉, 회동축(11)에 그 축심과 평행으로 키이(22)가 돌설되며, 전기한 스윙암(13)의 키이(22)에 의하여 폐지되어서, 회동이 불가능하며, 또한 축방향에서의 근접 및 이간이동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한쌍이 유압실린더(23)가 각각 회동축(11)에 평행으로 고정되어 각 실린더(23)의 피스톤로드(24)의 선단이 스윙암(13)의 하부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양 실린더(23)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한 한쌍의 스윙암(13)이 회동축(11)을 따라 좌우 이동이 용이토록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11)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축받이(21)에는 별도의 유압실린더(25)가 고정되어, 이 실린더(25)의 피스톤로드(26)는 해당 회동축(11)에 고정한 레버(27)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실린더(25)로 압력을 가함에 의하여 회동축(11)은 축설치된 한쌍의 스윙암(13)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회동축(11) 및 스윙암(13)의 회동각도는,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중심선 P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각각 45°로 , 합계 90°의 범위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암(13)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윙암(13),(13) 구조의 양측에 평행으로 연재하는 반출용 컨베이어 및 반입용 컨베이어중 어느하나의 컨베이어를 선택하여서, 그 상측에 경사지게 이동된 상태로 정지가 가능한 것이다.
각 스윙암(13)의 선단부에는, 쌍을 이루는 다른편의 스윙암(13)의 선단부와 대향하여 돌출된 원추형의 센터블록(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양 센터블록(16)에 의하여 원지로울(14)의 끼움용관(15)을 양측으로부터 처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는 전체구조를 , 스윙암구조(28)라고 칭하면, 회동축(11)과 평행인 다른편의 회동축(12)측에도, 완전 동일한 구조가 스윙암구조(29)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에 표시한 밀로울스탠드(10)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원지의 종이이음을 행하는 공지의 스플라이서(30)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플라이서(30)가 고정되고, 또한 전기한 밀로울스탠드(10)가 설치되어 있는 공장부지의 바닥면에는, 스윙암(13)을 각각 축지하는 회동축(11),(12)에 대하여 평행(원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3개의 피트가 필요한 만큼의 깊이로 천설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밀로울스탠드(10)에 있어서의 스윙암 구조(28),(29)를 각각 구성하는 2개의 회동축(11),(12)의 중간위치에, 제 1 피트(31)가 천설되어, 이 제 1피트(31)에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수납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2개의 스윙암 구조(28),(29)에 있어서의 각 회동축(11),(12)의 외측에, 전기한 제 1 피트(31)와는 평행으로 각각 제 2 피트(32) 및 제 3 피트(33)가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피트(32)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가 수납 배치되어, 또 제 3 피트(33)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수납배치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원의 제1발명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에서는, 양 회동축(11),(12)의 중간에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배치되며, 회동축(11)의 좌측에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가 배치되며, 또한 회동축(12)의 우측에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원지로울(14)의 반출용 및 반입용의 컨베이어 EX,IN1,IN2는, 전기한 제1-제3의 피트를 각각 한편의 기점으로서, 상호로 평행으로 공장부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바, 이들 컨베이어의 레이아우트 패턴은, 제 3 도, 제 6 도 및 제 7 도에 표시함과 같이, 여러가지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들의 레이아우트 패턴 중에 가장 전형적인 것은 제 3 도에 표시한 것으로, 콜게이트라인을 설비하고 있는 많은 사용자의 공장 스페이스의 형재상태에 가장 합치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 직렬로 배설되어서 길게 연재하는 콜게이트라인에 있어서, 조작파넬이 설치되는 측을 「조작측」으로 하며, 그 반대측에 위치하여서, 라인샤프트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되는 측을 「구동측」으로한 경우, 많은 공장에서는 한정된 스페이스(공간)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콜게이트머신의 구동측을 벽측부분에 근접시키는 배열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이, 구동측에 많은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공장부지에서는,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제 1 피트(31)로부터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조작측」으로 연출하며, 또 제2피트(32) 및 제3피트(33)로부터 대응적으로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가, 동일하게 「조작측」으로 연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에서는, 밀로울스탠드(10)를 구성하는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사이에 1개의 원지로울 반출 컨베이어 EX가 연재하고, 또 각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각각 원지로울 반입 컨베이어 IN1,IN2가 평행으로 연재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한쌍의 스윙암(13)은, 반입 컨베이어 IN1,IN2상에 공급된 원지로울 (14)을 처킹한후, 이것을 반출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요동시켜, 여기서 원지로울을 행한후, 다음의 오더의 새로운 원지로울(14)과의 교환은, 해당 반출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있어서, 사용이 끝난 구 원지로울(14)를 방출하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저술한 바와같이 스윙암(13),(13)의 회동각도는, 각각 수직선 P를 기준으로 하여서 좌우에 45°회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 2 이상의 각도는 회동이 불가능한 것이다(회동각도를 2 이상으로 크게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물론 가능한 것이나. 이때에는 밀로울스탠드(10)의 가로폭 칫수가 비례적으로 크게되는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스윙암(13),(13)이 수직선 P에 대하여 45°경사진 위치에서 회동을 정지하여도, 각 반입컨베이어 IN1,IN2위에 재치된(올려진) 원지로울(14)에 있어서의 원지로울끼움용관(15)의 중심에 , 상기한 센터블록(16)이 일치하지 않아 처킹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컨베이어 EX,IN1,IN2가 위치하는 피트중에 리프터(34)(후에 설명)가 설치되어, 이 리프터(34)에 의하여 원지로울(14)을 필요거리를 상승시켜서, 스윙암(13)의 서로 대향하는 센터블록(16)과의 중심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이 경우는, 각 컨베이어 EX,IN1,IN2로부터 원지로울(14)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해당 컨베이어로부터 분리가능한 파레트(35)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슬라트 컨베이어는, 적어도 원지로울(14)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 1 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에서는, 원지로울(14)의 반출용 컨베이어 IN1,IN2의 어느것에나,리프터(34)를 배설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리프터(34) 및 팔레트(35)를 사용한 원지로울(14)의 반입용 및 반출용 컨베이어의 구성에 대하여 제 8 도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원지로울(14)의 반출용 컨베이어 EX 및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는 소위 프리이플 컨베이어의 일종을 이루고 있다.
예로, 전술한 각 피트(31),(32),(33)의 내부에, 복수의 스프로킷(36)에 감아걸친 무단 로울러체인(37)이 평행으로 한쌍 설치되어, 필요방향에 연속적으로 순환주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콜게이트머신의 조작측으로부터 연재하는 각 피트(31),(32),(33)에는, 작업자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커버가 덮여지며, 이 커버에 전기한 한쌍의 무단 로울러체인(37)이 움직일 수 있도록 2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팔레트(35)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그 중앙부분에 원지로울 (14)을 안정하게 재치 가능한 2개의 산골짜기 형상의 경사면(35a), 이 형상되어 있으며, 해당 팔레트(35)의 이면에는, 전기한 2조의 로울러체인(37)에 재치 가능한 돌기부(35b)가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을, 그 간격칫수를 상이하게 하여 병렬적으로 2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측의 2조의 로울러체인(37)에 재치되는 돌기부(35b)와 내측의 로울러체인(37)에 재치되는 돌기부(35b)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시켜 놓으면, 가장 적당한 것이다.
그리고, 제 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내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과 외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 또는 내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을 선택적으로 순환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이 각 팔레트(35)는 컨베이어 EX,IN1,IN2의 각 컨베이어 구동계를 이루는 로울러체인(37)에 대하여 분리 자유롭게 가능토록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밀로울스탠드(10)에 인접하여 평행으로 천설한 각 피트(31),(32),(33)에는 각각 대응적으로 팬터그래프식의 리프터(34)가 수납배치되어 있다. 이 리프터(34)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와 같은 필요한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승강동작을 한다.
예로서, 리프터(34)가 상승구동되면, 로울러체인(37)에 재치되어 밀로울스탠드(10)에 인접 위치하고 있는 팔레트(35)에 먼저 하측으로부터 접촉한다. 그리고 해당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로부터 분리시켜서 필요거리만을 상승시킨다.
또 전기한 구동원을 역으로 작동시키면, 리프터(34)는 하강하여서, 재차 팔레트(35)를 전기한 컨베이어 구동계를 이루는 로울러체인(37),(37)에 안정적으로 재치시키고, 이어서 하측의 정위치까지 하강하여 정지한다.
제10도는, 전술한 프리플로 컨베이어 형식의 원지로울 반송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의 공장내의 레이아우트의 일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 8 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외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과 내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이 90°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는, 터언테이블(38)이 배설되어 있다. 즉, 제10도에서는 원지로울(14)을 저장하는 스톡야아드 SY에 있어서, 원지로울(14)가 팔레트(35)에 재치되어 필요한 지령에 의하여서, 외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 또는 내측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의 어느것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의 팔레트(35)들이 송출된다.
그리고 방향전환을 하는 경우는, 터언테이블(38)에 의하여 팔레트(35)의 90°전환시킨후, 다음의 컨베이어에 향하게 송출된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터언테이블(38) 위에 있어서, 원지로울(14)에 팔레트(35)와 동시에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그 상류측에 있는 팔레트(35)는 일시 정지하고 있다. 또 공통인 컨베이어라인 상에 복수의 팔레트(35)가 위치하고 있어도 각 쌍을 이루는 로울러체인(37)을 선택적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일측의 팔레트(35)를 주행시키는 동시에, 다른측의 팔레트(35)는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제11도a,b는, 전술한 터언테이블(38)과 컨베이어 EX,IN1,IN2와의 인수인도 부분의 종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즉, 터언테이블(38)에 배설한 로울러체인(37)의 내측에 스프로킷트(39)가 설치되어 이 스프로킷트(39)은 수평인 회전축(40)의 단부에 고착한 스프로킷트(41)와 체인(42)에 의하여 감겨 결쳐져 있다. 또, 회전축(40)의 중앙부에도 스프로킷트(43)가 고착되어, 이 스프로킷트(43)는 단독의 구동구조(44)에 설치한 스프로킷트(45)에, 체인(46)에 의하여 감겨 걸쳐져 있다. 이들의 구조를 구비한 터언테이블(38) 자체와, 하측에 설치한 모우터(47)로부터 기어이 (48)의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필요방향에의 수평인 회전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 터언테이블(38)에 팔레트(35)를 송치하기 위한 컨베이어라인에는, 전술한 로울러체인(37)으로부터 독립한 별도의 로울러체인(37),(37)이 라인 단부에 배설되어 있다. 이 라인단부에 배설한 로울러체인(37)에도 스프로킷트(49)가 배설되며, 해당 스프로킷트(49)은 구동구조(50)에 설치한 스프로킷트(51)에 체인(52)에 의하여 감겨 걸쳐져 있다.
따라서, 구동구조(50)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로울러체인(37)을 단독으로 구동하여서, 팔레트(35)를 터언테이블(38)에 송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터언테이블(38)로부터 팔레트(35)를 컨베이어라인에 송치할 때에는 전기한 구동구조(50)를 반대로 구동하는 것으로 된다.
다으에, 이와같이 구성한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제 4 도a-d에 표시한 동작설명도 및 제 5 도에 표시한 프로창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밀로울스탠드(10)의 각 스윙암구조(28),(29)에 원지로울(14)를 각각 장전하는 준비단계로부터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작용설명에서는 좌우의 스윙암구조(28),(29)에 지지되는 스윙암(13)의 소속을 명확화 하기 위하여, 좌측의 스윙암을 「좌암」으로 하며,우측의 스윙암을 「우암」으로 구별하기로 한다. 또한, 팔레트(35) 및 리프터(34)에 관하여도, ① 좌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 위치하는 부재는, 「L팔레트」 및 「L리프터」로 하며, ② 중간에 위치하는 반출용 컨베이어 EX에 위치하는 부재는, 「M팔레트」 및 「M리프터」로 하고, ③ 우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2에 위치하는 부재는, 「R팔레트」 및 「R리프터」로 한다.
운전준비상태에서는, 스플라이서(30)에 있어서의 헤드(30a) 및 헤드(30b)는 좌우에 크게 전개되어 있다. 좌측의 스윙암 구조(28)에 설치한 좌암(13)은, 제 4 도a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 우측의 스윙암구조(29)에는 설치한 우암(13)은 동일하게 우측에 경사진 자세로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에 반출용 컨베이어 EX에는, 비워져 있는 M팔레트(35)가 전기한 리프터(34)의 수직상부에 위치하고 있는바,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에는,그 어느것에도 L팔레트(35), R 팔레트(35)가 리프터 배치위치에 도래하여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쌍을 이루는 좌우의 암(13)은 상호로 축바향에 이간하여 센터블록(16)을 개방시키고 있다.
이어서, 원지로울(14a)을 재치한 L팔레트(35)가 반입용 컨베이어 IN1를 주행하여 스윙암구조(28)의 좌측편에 도래하며, L리프터(34)의 위상에서 정지하여 처킹을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스윙암구조(28)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를 가세하여서, 좌암(13)을 시계반대 방향에 회동시켜 좌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입용 컨베이어 IN1의 상측에서 정지시킨다.
또 L리프터(34)를 상승시켜서, L팔레트(35)에 재치한 원지로울(14a)의 원지로끼움용관(15)을 전기한 센터블록(16)의 선단까지 도래시킨다. 또한, 원지로울(14a)을 사용하지 않았던가 또는 원지의 소비가 그다지 되어있지 않은가의 이유에 의하여 로울지름이 클 경우에는 L리프터(34)의 상승정도도 근소하게 된다.
연후에, 전기한 유압실린더(23),(23)를 동시에 작동시켜 좌암(13)을 상호 근접시켜서 센터블록(16)에 의한 원지로울(14a)의 처킹을 행한다.
이와같이, 좌암(13)이 반입용 컨베이어 IN1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 우측의 스윙암구조(29)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의 가세(힘이 가해짐)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반입용 컨베이어 IN2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던 우암(13)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 좌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서 일시 정지한다. 이어서, 원지로울(14b)을 재치한 R팔레트(35)가 반입용 컨베이어 IN2를 주행하여서, 스윙암구조(29)의 우측편에 도래하여, R리프터(34)의 직상에서 정지하여 처킹을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스윙암구조(29)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를 가세하여 우암(13),(1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입용 컨베이어 IN2의 상측에서 정지시킨다.
이 경우에, 원지의 소모에 의하여 원지로울(14b)의 지름이 작게 되어서, 우암(13),(13)의 회동만으로는 원지로울끼움용관(15)에 대한 처킹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에는, 전기한 R리프터(34)를 작동시켜서 R팔레트(35)를 원지로울(14b)과 동시에 필요거리를 상승시켜 해당 원지로울(14b)의 원지로울끼움용관(15)과, 전기한 우암(13)의 센터블록(16)과의 중심 맞추는 것을 행한다. 연후에, 전기한 유압실린더(23)을 동시에 작동시켜 우암(13),(13)을 상호로 근접시켜서 센터블록(16),(16)에 의한 원지로울(14b)의 처킹을 행한다.(제 4 도 a 참조).
또한, 원지로울(14A)의 원지선단을, 스플라이서(30)에 헤드(30a)에 세트하며, 아울러 원지로울(14B)의 원지선단을, 헤드(30b)에 세트한다.
이와같이, 원지로울(14a),(14b)에 대한 처킹이 완료한 시점에서 원지로울(14a)을 유지하고 있는 좌암(13)을 유압실린더(25)의 힘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그 좌암(13)을 우측으로 경사지게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a)을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향하게 한다(제 4 도 b 참조).
따라서, 좌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 있어서의 L팔레트(35)는 비워져 있는 상태로 되므로, L팔레트(35)를 리프터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퇴출시킨다. 도 제 4 도b에 표시된 바와같이, 스플라이서(30)의 각 헤드(30a),(30b)가 상호로 근접이동하여, 원지로울(14a)의 원지가 이어지게(종이이음) 되어서 원지는 콜게이트머신의 싱글페이서(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종이소비구조에 공급된다.
또한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는, 다음다음번의 오더에 사용되는 원지로울(14c)을 재치한 L팔레트(35)가 주행도래하며, 스윙암구조(28)의 좌측에 위치하는 L리프터(34)의 직상위치에서 정지하여 다음번의 처킹을 대기한다.
다음에, 좌암(13)에 장착되어서 사용중인 원지로울(14a)를, 그 좌암으로부터 제거하여 스토크야아드 SY에 되돌리던지, 콜게이트머신의 가동중에 발생하는 오더변경에 수반하여, 별도의 규격에 관한 전기한 원지로울(14b)에 교환하던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지로울(14a)로부터 풀어내어져 있는 원지를, 스플라이서(30)중에서 절단하여 레드(30a)로부터 짤라내어, 우암(13)에 장전되어 있는 원지로울(14b)의 원지를, 스플라이서(30)에 의하여 종이이음을 한다.
이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b)의 원지가, 콜게이트머신의 종이소비구조에 공급된다.
이 종이이음의 직후에, 반출용 컨베이어 EX에 배설한 M 리프터(34)를 상승시켜서, 원지의 소모에 의하여 지름이 감소되어 있는 구원지로울(14a)를 M팔레트(35)에 의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좌암(13),(13)을 이간방향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센터블록(16)에 의한 구원 거로울(14a)의 처킹이 해제된다. 이상태에서 해당 M리프터(34)가 재차 하강하여, 구원지로울(14a)는 M팔레트(35)와 동시에 반출용 컨베이어 EX로부터 반출된다.
다음에, 구원지로울(14a)을 방출한 좌암(13)이 반대시계 방향에 회동하여 정지대기하며, 또 좌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 도래하고 있는 전기한 원지로울(14c)은, 그 대기위치의 하측에 배설한 L리프터(34)의 작동에 의하여 처킹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전기한 센터블록(16)에 원지로울(14c)의 원지로울끼움용관(15)을 합치시킨후, 좌암(13),(13)을 상호로 근접이동시켜서 원지로울(14c)에 대한 처킹을 행한다.
이 원지로울(14c)에 대한 처킹의 종료후는, L리프터(34)는 재차 하강하는 동시에, L팔레트(35)는 이 반입용 컨베이어 IN1로부터 다음의 로울반입준비를 위하여 퇴출한다. 또 다음번 사용예정의 원지로울(14c)의 원지선단은, 스플라이서(30)의 헤드(30a)에 세트되어서 다음의 종이이음을 대기한다. 또한, 구원지로울(14a)의 반출에 의하여,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비워져 있다.
그래서 제 4 도d에 표시함과 같이, 원지공급중의 새로운 원지로울(14b)을 장전한 우암(13),(13)을 시계반대 방향에 회동시켜서, 반입용 컨베이어 IN2측으로부터 반출용 컨베이어 EX측에 전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비운것으로 되므로, 다음다음번에 사용할 예정의 별도의 원지로울(14d)을 R팔레트(35)에 재치하여, 해당 반입용 컨베이어 IN2에 반입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동작이, 제 4 도b→제 4 도→c→제 4 도d→제 4 도b의 순으로 교호 반복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에 의하면, 현재 사용중의 원지로울을 스윙암으로부터 제거하여, 다음의 오더에 관한 원지로울을 처킹할 때까지에 소요되는 총시간이 중앙의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위치로부터 각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의 위치까지 90°회동하는 것만으로 만족하다. 따라서, 제22도에 표시함과 같이 종래의 밀로울 스탠드에서는, 동일한 컨베이어상에 있어서 원지로울의 방출을 행한 스윙암은, 일단 원래위치까지 물러난후에 재차 새로운 원지로울의 공급을 받기 위하여 회동을 행하는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었던바, 이것에 비교하여 극히 큰 시간단축이 도모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 6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공장내에서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변형예를 표시하며, 이것은 콜레이트머싱의 조작축만 아니라, 구동축에도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경우에 채택되는 것이다. 즉, 제 6 도에 표시한 패턴에서는 원지로울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는 어느것이나 조작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구동축에 연재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측은,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의 반송영역으로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원지로울(14)을 저장하는 스톡야아드(저장고) SY를 향하여, 차례로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14)의 공급된다.
또한,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와 정렬시켜서, 반출용 컨베이어 EX축에 스톡컨베이어 SC를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이들의 스톨컨베이어 SC에 구원지로울(14)이며, 또한 현재의 오더 종료후에 게속 사용하는 원지로울을 일시적으로 스토크하는 동시에 즉시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에 되돌릴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신속한 오더 변경에 대용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또 전술한 턴터이블(38)에 의하여 방향전환 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톡야아드 SY에 향하게 하는 일이 없이, 별도의 원지공급장치에 송치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축에서의 반입영 컨베이어 IN1, IN2에의 원지로울(14)의 공급은 예로 포오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작업자에 의하여 적당한 타이밍으로 차례로 이루어진다.
제 7 도는 전기한 공장내에서의 레이아우트 패턴의 또한 별도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제 6 도에 표시한 레이아우트 패턴을 기초로하여 또한 조작축에 스토크용의 컨베이어 SC가 증설된 예이다.
즉, 콜게이트머신의 구동축에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연재하며, 이것과 반대의 조작축에 반출용 컨베이어 EX와 정렬하여서, 종래에 공지인 슬라트 컨베이어로되는 스토크용의 컨베이어 SC가 배설되어 있다. 이 슬라트 컨베이어 SC의 하측에는 원지공급 컨베이어가 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슬파트 컨베이어 SC는, 각종의 오더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원지로울(14)이 스토크 되도록 되어있다. 예로, 일반적으로 사용이 종료한 원지로울(14)은, 전기한 반출용 컨베이어 EX에 의하여 그대로 스토크 야아드 SY에 향하여 반출되는 것인바, 빈번하게 사용하는 규격의 원지로울(14)에 있어서는, 전기한 슬라트 컨베이어 SC축에 반축시켜서 여기서 스토크함이 좋다. 그리고 비집고 들어가 사용할때에는, 해당 원지로울(14)을 슬라트 컨베이어 SC로부터 원지공급 컨베이어까지 이동시켜, 여기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행하게 한다.
또한 스토크하여 놓을 필요가 없는 경우는, 이 슬라트 컨베이어 SC는, 새로운 원지를 반입하는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를 보조하는 컨베이어로서 사용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의 발전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원지로울(14)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를 2개 및 반출용 컨베이어 EX1,EX2를 2개 각각 배설한 예를 표시한다.
즉, 밀로울 스탠드(10)에 있어서의 2개의 스윙암구조(28),(29)는, 종래의 밀로울 스탠드보다도, 그 서로 인접하는 간격이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양 스윙암구조(28),(9)의 사이에 2개의 반출용 컨베이어 EX1,EX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양스윙암(13),(13)의 외측에 각각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와 같이,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가 2개이며, 또한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1개의 방식에서는, 제 5번째의 원지로울(14e) 을 반입하기 위하여는, 제1번째의 원지로울(14a)이 반출된 후에, 제2번째의 원지로울(14b) 및 제3번째의 원지로울(14c)이 종이 이용이 이루어져, 제2번째의 원지로울(14b)이 반출되며, 또한 제3번째의 원지로울(14c)이 반출 라인위에 이동할때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그러나 본 방식에 의하면, 제1번째의 원지로울(14a)를 반출한 후, 제2번째의 원지로울(14b) 및 제4번째의 원지로울(14d)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제3번째의 원지로울(14c)이 반출라인위에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 대부분 설치시간이 필요함이 없이 제5번째의 원지로울(14e)을 반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에 제13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이다. 제 1 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장치에서는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및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어느것에나, 리프터(34)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리프터(34)의 수가 증가되면 그만큼 제작원가도 높아지게 된다.
또 리프터(34)를 사용하는 이상은, 필연적으로 팔레트(35)가 로울러체인(37),(37)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프리플로식 컨베이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13도에 표시한 원지공급징차에서는,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에만 리프터(34)를 설치하는 동시에 컨베이어 IN1, IN2의 구성을 전술한 프리플로식의 구조로하여, 원지로울(14)의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종래의 슬라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단, 이 경우는, 제 1 도에 표시한 형상을 한 스윙암(13)을 사용하면,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14)에 대한 처킹을 해체하여서 해당로울(14)을 슬라트 컨베이어까지 방출하는데에 있어서 그 낙차가 크게 되어 충격이 강하게 되는 난점이 있다. 그래서 각 스윙암(13)의 개방단(13a)은, 반출 컨베이어 EX측에 필요한 오프세트 각으로 굴곡형성되며,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14)을 해체할 때에,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대차(53)의 해당 원지로울(14)와의 방출 낙차를 작게하여서, 큰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3도에 표시한 밀로울 스탠드(10)는,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원지의 종이이음을 행하는 공지의 스플라이서 (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 스플라이서(30)가 고정되며, 또한 전기한 밀로울 스탠드(10)가 설치되어 잇는 공장부지의 바닥면에는, 스윙암(13)을 각각 축지하는 회동축(11),(12)에 대하여 평행(원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는 직교하는 방향)에, 3개의 피트가 필요한 깊이로 천설되어 있다. 즉, 전기한 밀로울 스탠드(10)에 있어서의 스윙암구조(28),(29)를 각각 구성하는 2개의 회동축(11),(12)의 중간위치에 제1의 피트(31)가 천설되어, 제1피트(31)에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수납배치되어 있다.
이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슬라트 컨베이어이며, 피트(31)중에는 대차(53)가 주행 자재롭게 배설되어 있다. 이 대차(53)은, 상면에 2개의 산골짜기 형상의 경사면(54a)(54a)에 형성된 로울 재치용 테이블(54)을 구비하여, 이 테이블(54)만을 전기한 피트의 상측에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54)에 형성된 경사면(54a)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14)을 스윙암구조(28),(29)로부터 방출한때에, 이 대차(53)의 중앙에 원지로울(14)을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또,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에 있어서 각 회동축(11),(12)의 외측에 전기한 제1피트(31)과는 평행으로, 각각 제2피트(32) 및 제3피트(33)이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피트(32)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가 수납배치되며, 또한 제3피트(33)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수납배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원지로울(14)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는, 제 8 도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관한 프리 컨베이어의 일종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 한쌍의 로우러체인(37),(37)에는, 로울러체인(37),(37)로부터 이간이 가능한 팔레트(35)가 반송이 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이 팔레트(35)를 컨베이어 IN1, IN2의 각 컨베이어 구동계를 이루는 로우러체인(37)에 대하여 분리재료로 재치하는 구성 및 각 피트(32),(33)에 각각 대응적 배치한 팬터그래프식의 리프터(34)에 의하여 팔레트(35)의 승강을 행하는 구성은, 제 8 도 및 제 9 도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동작으로서는, 리프터(34)가 상승 구동되면, 로우러체인(37)에 재치되어 밀로울 스탠드(10)에 인접위치하고 있는 팔레트(35)에 먼저 하측으로부터 접촉한다. 그리고 이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로부터 분리시켜서 필요지리만 상승시킨다(제15도a 참조).
또 전기한 구동원을 반대로 작동시키면, 리프터(34)는 하강하여서, 재차 팔레트(35)를 전기한 컨베이어 구동계를 이루는 로우러체인(37)에 안정적으로 재치시켜, 하측의 정위치까지 하강하여서 정지한다(제15도b 참조).
따라서, 스윙암(13),(13)을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가의 상측에 향한때에, 팔레트(35)에 재치된 원지로울 (14)을 필요거리까지 상승시켜서, 원지로울(14)의 원지로울 끼움용관(15)가 스윙암(13)의 센터블록(16),(16) 중심에 맞춰진다.
그리고, 스윙암구조(28),(29)의 각 한쌍의 스윔앙(13)은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상에 공급된 원지로울(14)을 처킹한 후, 이것을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요동시켜, 여기서 원지공급을 행한 후 다음의 오더의 새로운 원지로울(14)과의 교환은, 이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있어서,사용이 끝난 구원지로울(14)을 대차(53)에 방출하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
다음에, 제16도는, 제13도에 표시한 장치의 변형예를 표시한것으로,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수납배치되는 피트(31)와, 양 스윙암구조(28),(29)와의 사이의 공장부지의 바닥면에는, 상면의 반출용 컨베이어 EX 방향에 경사지는 안내면(55a)이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부재(55)가, 반출용 컨베이어 EX와 평행으로 소정길이로 연재하여서 돌설되어 있다. 또 전기한 대차(53)의 테이블(54)은, 양안내부재(55)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칫수로 설정되어 있다. 즉, 사용이 끝난 원지로울(14)을 대차(53)에 방출한때에는, 도면에 표시함과 같이, 그 원지로울(14)이 안내부재(55)의 안내면(55a)에 안내되어서, 대차(53)의 테이블(54)에 적재된다.
다음에 이 구성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제15도a-d에 표시한 동작설명 및 제17도에 표시한 프로차아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준비 상태에서는, 스플라이서(30)에 있어서의 헤드(30a),(30b)는 좌우에 크게 전개하여 있다. 좌측의 스윙암구조(28)에 설치한 좌암(13)은 제15도a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 우측의 스윙암구조(29)에 설치한 우암(13)은 동일하게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써 정지하고 있다.
이때에 반출용 컨베이어 EX에는, 내용물이 비워져 있는 대차(53)가 위치하고 있는바,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에는 그 어느것에도 L팔레트(35),R팔레트(35)가 리프터 배설위치에 도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쌍을 이루는 좌우의 암(13)은 상호로 축방향에 이간하여서 센터블록(16)을 개방시키고 있다. 이어서, 원지로울(14a)을 재치한 L팔레트(35)가 반입용 컨베이어 IN1를 주행하여서, 스윙암구조(28)의 좌측편에 도래하여 L리프터(34)의 상부에서 정지하여 작킹을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스윙암구조(28)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를 작동시켜 좌암(13)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좌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서 반입용 컨베이어 IN1의 상측에서 정치한다. 또 L리프터(34)를 상승시켜서, L팔레트(35)에 재치한 원지로울(14a)의 원지로울 끼움용관(15)을 전기한 센터블록(16)의 선단까지 도래시킨다.
또한, 원지로울(14a)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또는 원지의소비가 그다지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로울지름이 충분히 큰 경우는, L리프터(34)의 상승정도도 근소하게 된다. 연후에, 전기한 유압실린더(23)를 동시에 작동시켜하여, 좌암(13),(13)을 상호로 근접시켜서, 그 센터블록(16)에 의한 워지로울(14a)의 처킹을 행한다.
이와같이, 좌암(13)이 반입용 컨베이어 IN1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우측의 스윙암구조(29)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가 작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반입용 컨베이어 IN2의 상측에서 정지하고 있던 우암(13)은 반대시계방향에 회동하여, 화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써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서 일시정지한다. 이어서, 원지로울(14b)을 재치한 R팔레트(35)가 컨베이어 IN2를 주벙하여서, 스윙암구조(29)의 우측편에 도래하여, R리프터(34)의 바로 상부에서 정지하여 처킹을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스윙암구조(29)에 설치한 유압실린더(25)를 작동시켜, 우암(1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써 반입용 컨베이어 IN2의 상측에서 정지시킨다.
이 경우에 원지의 소모에 의하여 원지로울(14b)의 지름이 작게되어서, 우암(13),(13)의 회동만으로는 원지로울 끼움용관(15)에 대한 처킹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에는, 전기한 R리프터(34)를 작동시켜서, R팔레트(35)를 원지로울(14b)과 동시에 필요한 거리로 상승시켜, 해당 원지로울(14b)의 원지로울 끼움용관(15)과, 전기한 우암(13)의 센터블록(16)과의 중심 맞추는 것을 행한다. 연후에, 전기한 유압실린더(23)를 작동시켜 우암(13),(13)을 상호로 근접시켜서, 그 센터블록(16)에 의한 원지로울(14b)의 처킹을 행한다(제15도a 참조).
또한, 원지로울(14a)의 원지선단을 스플라이서(30)의 헤드(30a)에 세트하고, 또 원지로울(14b)의 원지선단을 헤드(30b)에 세트한다.
이와같이 원지로울(14a) 및 원지로울(14b)에 대한 처킹이 완료한 시점에서 전기한 원지로울(14a)을 유지하고 있는 좌암(13)을 유압실린더(25)로서 반대로 작동시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그 좌암(13)을 우측으로 경사지게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a)을 반출용 컨베이어 EX의 상측에 향하게 한다(제15도b 참조).
따라서, 좌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 있어서의 L팔레트(35)는 허물이 비워진 것으로 됨으로, L팔레트(35)를 그 L리프터 배설위치로부터 퇴출시킨다. 또, 제15도b에 표시함과 같이, 스플라이서(30)의 각 헤드(30a),(30b)가 상호로 근접이동하여, 원지로울(14a)의 원지에 대한 종이이음이 되어서, 해당원지는 콜게이트머신의 싱글페이서(도시하지 않음)등과 같은 종이수비구조에 공급된다. 또한,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는 , 다음 다음번의 오더에 사용되는 우너지로울(14c)을 재치한 L팔레트(35)가 주행도래하여, 스위암구조(28)의 좌측에 위치하는 L리프터(340의 바로위의 위치에서 정지하여서 다음번의 처킹을 대기한다.
다음에, 좌암(13)에 장전되어서 사용중인 원지로울(14a)을 그 좌암으로부터 제거하여서 스톡야아드 SY에 되돌리던지, 콜게이트머신 가동중에 발생하는 오더 변경에 수반하여 별도의 규격에 관한 전기한 원지로울(14b)에 교환하던지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지로울(14a)로부터 끌어내어지고 있는 원지를 스플라이서(30)와 헤드(30a)에 의해 절단하며, 우암(13)에 장전되어 있는 원지로울(14b)의 원지를 스플라이서(30)에 의하여 종이이음을 한다. 이것에 의하여 원지로울(14b)의 원지가 콜게이트머신의 종이 소비구조에 공급된다.
이 종이이음의 직후에, 좌암(1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원지의 소모에 의하여 지름이 감소된 구원지로울(14a)를 대차(53)의 상측에 향하게 한다. 이때에, 암(13)의 개방단(13a)은, 반출용 컨베이어 EX측에 굴곡되어 있으므로, 그 원지로울(14a)와 대차(53)와의 이간거리를 적게할 수 있다(제15도c 참조).
그리고, 좌암(13),(13)을 이간 방향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센터블록(16)에 의한 구원지로울(14a)의 처킹이 해체된다. 구원지로울(14a)은, 대차(53)상에 낙하재치되며, 구원지로울(14a)을 대차(53)와 동시에 반출용 컨베이어 EX로부터 반출된다. 또한, 대차(53)의 테이블(54)에는 경사면(5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이블(54)에 낙하재치된 구원지로울(14a)은, 대차(53)의 중앙부에 안내되어서 안정적으로 재치된다.
다음에, 구원지로울(14a)을 방출한 좌암(13),(1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정치대기하며, 또 좌측의 반입용 컨베이어 IN1에 도래하고 있는 전가한 원지로울(14c)은, 그 대기 위치에 하측에 배설한 L 리프터(34)의 작동에 의하여 처킹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전기한 센터블록(16),(16)에 원지로울(14c)의 원지로울 끼움용관(15)을 합치시킨후, 좌압(13)을 상호로 근접이동시켜서 원지로울(14c)에 대한 처킹을 행한다. 이 원지로울(14c)에 대한 처킹의 종료후는, L리프터(34)는 재차 하강하는 동시에, L팔레트(35)는 이 반입용 컨베이어 IN1로부터 다음의 로울 반입준비를 위하여 퇴출한다.
또, 다음번 사용 예정의 원지로울(14c)의 원지선단은, 스플라이서(30)의 헤드(30a)에 세트되어서 다음의 종이이음을 대기한다. 또한, 고원지로울(14a)의 반출에 의하여,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비워져 있다.
그래서, 제15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지공급중의 새로운 원지로울(14b)을 장전한 우암(13)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반입용 컨베이어 IN2측으로부터 반출용 컨베이어 EX측에 전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비워짐으로, 다음번에 사용할 예정의 별도의 원지로울(14d)을 R팔레트(35)에 재치하여서 해당 반입용 컨베이어 IN2에 반입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동작이, 제15도b →제15도c→제15도d→제15도b의 순서로 교호로 반복된다.
다음에 제18도는, 제13도-제17도에 표시한 장치와 반대의 설치에 관한 장치를 표시한다. 즉,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같에 반입용 컨베이어 IN를 설치하여 ,양측에 반출용 컨베이어 EX1,EX2를 각각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터(34)는, 반입용 컨베이어 IN에만 1기를 설치하여 놓은 것으로 되며, 또, 팔레트(35)가 분리가 가능한 프리플로 타입의 컨베이어도, 이 반입용 컨베이어 IN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전체로서는 제조원가의 감소를 현저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된다.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의 별도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양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설치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를, 각각 스윙암구조(28)(29)의 회동축(11)(12)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한, 스윙암구조(28)(29)의 구성자체는, 제1도 및 제2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즉, 전기한 밀조울 스탠드(10)에 있어서의 스윙암구조(28)(29)를 각각 구성하는 2개의 구동축(11),(12)의 중간위치에, 그 회동축(11),(12)에 대하여 평행 (원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의 피트(31)가 천설되어, 이 제1피트(31)에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수납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에 있어서의 각 회동축(11),(12)의 외측에, 전기한 스윙암(13),(13)의 요동궤적의 하측에 향하는 회동축(11),(12)의 축방향 중간위치로부터, 그 회동축(11),(12)와 직교하는 방향(원지의 공급 방향과 평행)에 소정거리만이 연재하는 제2피트(32) 및 제3피트(33)가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피트(32)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이 수납배치되며 또, 제3피트(33)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2가 수납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2피트(32) 및 제3피트(33)에는, 전기한 제1피트(31)이 평행으로 연제하는 제4피트(56) 및 제5피트(57)가 연동되며, 제4피트(56)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3가 수납배치되며, 또 제5피트(57)에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4가 수납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피트(32) (제3피트(33))와 제4피트(56)(제5피트(57))와의 연통부에는, 공지의 터언 테이블(38)이 배치되며, 반입용 컨베이어 IN3로 반송된 원지로울(14)의 방향을 90°전환하여서, 전기한 반입용 컨베이어 IN1으로 스윙암구조(28)에 반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9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관한 원지공급장치에서는, 밀로울 스탠드(10)를 구성하는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사이에,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인 1개의 반출용 컨베이어 EX가 연재하며, 토각 스윙암구조(28),(28a)의 외측에, 각각 회동축(11),(12)가 직교하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가 연재하는 배치로 구성되어 있다(제20도 참조).
여기서 사용되는 원지로울(14)의 반송용 컨베이어 EX,IN1,IN2는 어느것이나 제 8 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관한 프리플로 컨베이어의 일종을 이루고 있다. 또, 피트(32),(33)에 연통하는 전기 한 피트(56),(57)에 설한 컨베이어 IN3,IN4도 전술한 컨베이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피트 IN3(IN4)로 반송된 팔레트(35)는, 전기한 터언 테이블(38)에 의하여 방향을 90°전환된 후, 피트(32),(33)의 원지로울 반입 컨베이어 IN1(IN2)에 이재되어서 스윙암구조(28)(29)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공급된다. 또한, 적당한 전환장치를 사용하여서 컨베이어 IN3(IN4)로 반송되어 온 팔레트(35)를,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로 반송하는 것에 의하여 터언 테이블(38)에 의하지 않고 반송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전기한 컨베이어 EX, IN1,IN2, IN3,IN4의 각 컨베이어 구동계를 이루는 로울러체인(37)에는 그 로울러체인(37)에 대하여 분리가 자유로운 팔레트(35)가 반송가능하게 재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각 피트(31),(32),(33)의 밀로울 스탠드 그래프식의 리프터(34)에 의하여, 팔레트(35)의 승강을 행하는 구성은 제 8 도 및 제 9 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장치에서는 전기한 양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설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가 반입용이며, 더욱 밀로울 스탠드(10)의 가로폭 칫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전기한 스윙암(13)의 회동각도를 크게 설정하는 동시에, 임의의 각도 위치로 정지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로부터 리프터(34)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스윙암(13)의 회동각도와,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로 반송되는 원지로울(14)의 회동축(11),(12)에 대한 거리와를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센터 블록(16),(16)의 중심과, 원지로울(14)에 있어서의 원지로울 끼움용관(15)의 중심과를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원지공급장치는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서,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이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을 회동축에 지지한 스윙암구조를, 그 회동축이 평행으로 되도록 2개 배열하여서 구성한 밀로울 스탠드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의 중간에 위치하여서, 전기한 회동축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서, 회동축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로부터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지로울의 스윙암에의 장전 및 그 암으로부터의 원지로울의 방출을 행하는 데에는, 이 스윙암을 필요한 방향에 히동시키는 기본 동작만으로 만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밀로울 스탠드에서는, 동일한 목적으로 달성하는데에, 스윙암을 좌우양방향에 왕복회동시킬 필요가 있었던 거셍 비교하여서 사이클 타임의 현저한 단측이 도시된다.
또, 원지로울의 반송 컨베이어 리프터를 설치하여, 이 원지로울의 암에 대한 인수인도에 잇어서, 원지로울을 담지한 리프터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스윙암을 해당 원지로울에 향하여서 근접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층 사이클 타임의 단측이 실현된다.
더욱, 전체로서 구성이 간단함으로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도 저렴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6)

  1.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하여서,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13)을 회동축(11),(12)에 지지한 스윙암구조(28),(29)를 그 회동축(11),(12)이 평행으로 되도록 2개를 배열하여서 구성한 밀로울 스탠드(10)와 상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치하여서,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서,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설치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이며,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설치한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설치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 IN2이며,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설치한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왕복작동이 자재로운 컨베이어 구동계와 이 컨베이어 구동계에 상측에의 분리가 자재로 재치되는 원지로울 재치용의 팔레트(35)로부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에는, 전기한 밀로울 스탠드(1)와 인접하는 위치에, 전기한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로부터 분리하여서 상승시켜, 재차 이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에 하강 복귀시키는 리프터(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6.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하여서,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이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13)을 회동축(11),(12)에 지지한 스윙암구조(28),(29)를 그 회동축(11),(12)이 평행으로 되도록 2개를 배열하여 되는 밀로울 스탠드(10)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차하여서,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는 왕복작동이 자재인 컨베이어 구동계 및 그 컨베이어 구동계에 분리자재로 재치되는 원지로울 재치용의 팔레트(35)로부터 되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와, 각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의 전기한 밀로울 스탠드(10)를 컨베이어 구동계에 대하여 분리상승 및 하상 복귀시키는 리프터(34)를 구비하여, 전기한 스윙암구조(28),(29)에 있어서의 각 스윙암(13)의 개방단은,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를 지향하는 방향에 필요각도만이 굴곡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전기한 반출용 컨베이어 EX도, 원지로울의 재치용 테이블(54)를 구비한 주행이 자유로운 대차(53)로부터 되며, 전기한 테이블(54)의 상면에 반송방향의 중심선에 향하여서 경사지는 산골짜기 형상의 완만한 경사면(54a),(54b)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반출용 컨베이어 EX를 끼운 양스윙암구조(28),(29)의 각 내측에, 상면이 반출용 컨베이어 EX 방향에 경사지는 안내부재(55)가 배설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9.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서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이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13)을 회동축(11),(12)에 지지한 스윙암구조(28),(29)를 그 회동축이 평행으로 되도록 2개 배열하여 되는 밀로울 스탠드(10)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치하여,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는 왕복동작이 자재한 컨베이어 구동계 및 그 컨베이어 구동계에 분리가 자재로 재치되는 원지로울 재치용의 팔레트(35)로부터 되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와 ,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서, 전기한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설치한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와, 전기한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에 있어서의 전기한 밀스탠드(10)와의 인접위치에 배치되어 전기한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에 대하여 분리 상승 및 하강복귀시키는 리프터(34)를 구비하며, 전기한 스윙암구조(28),(29)에 있어서의 각 스윙암(13)의 개방단은,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 필요각도만을 굴곡형성시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반출용 컨베이어 EX는, 원지로울의 재치용 테이블(54)을 구비한 주행 자유로운 대차(53)로부터 되며, 전기한 테이블(54) 상면에 반송방향의 중심선에 향하여서 상호로 경사지는 산골짜기 형상의 완만한 경사면(54a)(5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반출용 컨베이어 EX를 끼워서 양측에는, 상면이 반출용 컨베이어 EX 방향에 경사지는 안내부재(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2. 상측에 연재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서, 좌우에 필요한 각도만이 회동이 가능한 한쌍의 스윙암(13)을 회동축(11),(12)에 지지한 스윙암구조(28),(29)를 그 회동축(11),(12)이 평행으로 되도록 2개 배열하여서 구성한 밀로울 스탠드(10)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치하여, 회동축(11),(12)과 평행으로 연재하는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와,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전기한 회동축(11),(12)과 직교하는 방향에 연재하는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치하는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이며, 전기한 2개의 스윙암구조(28)(29)구조의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2개의 스윙암구조(28)(29)의 중간에 위차하는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입용 컨베이어 IN1,IN2이며, 전기한 2개의 스윙암(28)(29)의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원지로울 반출용 컨베이어 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 원지공급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는, 왕복동이 자유로운 컨베이어 구동계와 이 컨베이어 구동계에 상측에 분리가 자유롭게 재차되는 원지로울 재치용의 팔레트(35)로부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원지로울 반송용 컨베이어에는, 전기한 밀로울 스탠드(10)와 인접하는 위치에 전기한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로부터 분리하여서 상승시켜 재차 해당 팔레트(35)를 컨베이어 구동계에 하강 복귀시키는 리프터(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KR1019880011429A 1987-09-03 1988-09-03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KR950002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21623A JP2618648B2 (ja) 1987-09-03 1987-09-03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装置
JP??62-22163 1987-09-03
JP???62-221623 1987-09-03
JP??63-90237 1988-07-06
JP1988090237U JPH0638831Y2 (ja) 1988-07-06 1988-07-06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装置
JP???63-90237 1988-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69A KR890004969A (ko) 1989-05-10
KR950002514B1 true KR950002514B1 (ko) 1995-03-21

Family

ID=2643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429A KR950002514B1 (ko) 1987-09-03 1988-09-03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19353A (ko)
KR (1) KR950002514B1 (ko)
AU (1) AU604963B2 (ko)
DE (1) DE3829931C2 (ko)
FR (1) FR2622877B1 (ko)
GB (1) GB2209328B (ko)
IT (1) IT1226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6270A (ja) * 1988-04-16 1989-10-24 Mitsuo Fujisawa シート材の超音波加工装置
JP2558495B2 (ja) * 1988-04-16 1996-11-27 株式会社イソワ ウェブ供給装置の制御方法
DE3825673A1 (de) * 1988-07-28 1990-02-01 Will E C H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gelaufenen vorratsrollen aus einer abrollstation
IT1254505B (it) * 1991-03-08 1995-09-25 Isowa Kk Apparecchiatura di trasferimento di rotoli di nastro
CH690328A5 (fr) * 1995-04-28 2000-07-31 Bobst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e bandes metallisees dans une machine de transfert d'images metallisees sur des elements en feuille.
DE19626258A1 (de) * 1996-06-29 1998-01-08 Roland Man Druckmasch Gleis für einen Wagen für Wickelrollen von Rollenrotationsdruckmaschinen
JP2786620B2 (ja) * 1996-08-23 1998-08-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
EP0849201B1 (de) * 1996-12-21 2002-03-06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Lageerfassen und Positionieren einer Vorratsbahnrolle
US5906333A (en) * 1997-04-16 1999-05-2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Center drive unwind system
US6030496A (en) 1997-04-16 2000-0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king a web
US5934604A (en) * 1998-10-13 1999-08-1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Center drive unwind system
DE19919593A1 (de) * 1999-02-12 2000-08-31 Thiessen Papchem Gmbh & Co Kg Transportvorrichtung
GB2334022B (en) * 1999-04-01 2000-01-26 Linpac Containers Int Reel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DE10008612A1 (de) * 2000-02-24 2001-09-13 Bhs Corr Masch & Anlagenbau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Bahnen, insbesondere von Paierbahnen für die Herstellung von Wellpappe
DE10064058A1 (de) * 2000-12-21 2002-07-04 Lamb Ag Switzerland Wettingen Vorrichtung zum Bremsen von Rollen, insbesondere Papierrollen
DE60211299T2 (de) * 2002-03-29 2007-05-24 Fosber S.P.A. Bahnabwickelvorrichtung für Bahnrollen
DE10249949A1 (de) * 2002-10-26 2004-05-13 Voith Paper Patent Gmbh Rollenschneid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ollenschneider-Anordnung
EP1647508A1 (en) * 2004-10-12 2006-04-19 Fosber S.P.A. Method and device for unwinding rolls of web material and lifting device for the rolls
EP2138435A1 (en) * 2008-06-27 2009-12-30 Goss Contiweb B.V. System for conveying paper reels in a rotary press
DE102009054522A1 (de) * 2009-12-10 2011-06-16 Manroland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Bedruckstoffrollen an einer Druckmaschine
ITUA20162470A1 (it) 2016-04-11 2017-10-11 Guangdong Fosber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Dispositivo di giunzione di materiali nastriformi, svolgitor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di giunzione, e metodo di funzionamento
ITUA20164142A1 (it) 2016-06-07 2017-12-07 Guangdong Fosber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Svolgitore di bobine con sistema di carico e scarico delle bobine
CN108483093B (zh) * 2018-03-12 2019-11-15 浙江宝仁和中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自动换卷输送装置
DE102018205292A1 (de) * 2018-04-09 2019-10-10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Wellpappeanlage
JP7087733B2 (ja) * 2018-06-29 2022-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0583A (en) * 1971-03-23 1972-09-12 Canada Steel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p coil transfer in continuous strip processing lines
DE2163180C3 (de) * 1971-12-20 1975-01-23 Eickhoff-Universal Wellpappenmaschinen Gmbh, 4630 Bochum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Papierrollen in eine Abrollvorrichtung
JPS53115308A (en) * 1977-03-04 1978-10-07 Tokyo Kikai Seisakushiyo Kk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rolled paper in rotary press
DE2809955A1 (de) * 1978-03-08 1979-09-13 Bwg Bergwerk Walzwerk Hubbalkenfoerderer
JPS582151A (ja) * 1981-06-23 1983-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ル原紙供給装置
JPS5859144A (ja) * 1981-09-30 1983-04-08 Rengo Co Ltd ミルロ−ルスタンド
NZ202054A (en) * 1981-10-05 1985-03-20 Rengo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unting web roll on mill roll stand
AU550613B2 (en) * 1982-09-03 1986-03-27 Iseki & Co. Ltd. Front power take-off
DE3402582A1 (de) * 1984-01-26 1985-08-08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Fahrbare, insbesondere schienengebundene, hubeinrichtung zum zu- und einbringen von papierrollen in eine abwickelvorrichtung einer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ES8609150A1 (es) * 1985-09-10 1986-07-16 Torres Martinez M Mejoras introducidas en un portabobinas de papel
US4735372A (en) * 1987-02-18 1988-04-05 Mitsubiski Jukogyo Kabushiki Kaisha Rolled web fee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22877A1 (fr) 1989-05-12
DE3829931C2 (de) 1997-03-13
KR890004969A (ko) 1989-05-10
GB2209328B (en) 1991-09-25
US4919353A (en) 1990-04-24
AU2184088A (en) 1989-03-09
DE3829931A1 (de) 1989-03-16
GB2209328A (en) 1989-05-10
IT8821816A0 (it) 1988-09-02
FR2622877B1 (fr) 1992-07-24
IT1226608B (it) 1991-01-25
GB8820179D0 (en) 1988-09-28
AU604963B2 (en) 199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14B1 (ko) 콜게이트머신의 원지공급장치
CN110228635B (zh) 一种砖的无托盘打包生产线及其打包方法
CN204979954U (zh) 巷道式模块化多层堆垛机
EP0438988B1 (en) A system for welding together pressed sheet-metal structures, particularly small subassemblies of the bodywork or mechanical parts of motor vehicles
KR102199633B1 (ko) 반전유닛을 포함하는 박스스택용 피딩장치 및 피딩방법
CN112591401A (zh) 一种用于工件生产线的新型提升机
CN101657305B (zh) 用于传输和摇动坯件的设备
CN116176939A (zh) 一种废铝块码垛输送设备及其输送工艺
CN212917556U (zh) 热送热装系统
EP1203737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iles from roller stillages
CN214022083U (zh) 模块化屏幕光学检测补偿设备
CN211771175U (zh) 一种酿酒自动化生产线
JP2618648B2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装置
JP3655829B2 (ja) 金型自動供給装置に於ける金型本体と補高台の組立・分解を行う受渡システムライン構造
CN209758325U (zh) 复合板坯自动组装系统
JP2657173B2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方法
CN109625482A (zh) 立体送料及燃气灶多产线汇流总装生产系统
JPH0638831Y2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装置
ITMO20010058A1 (it)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e lo scarico di piastrelle da box a rulli
JP2807877B2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方法
JP2564617B2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原紙供給方法
CN215158043U (zh) 一种新型的电池生产线
US5895200A (en) Devices and methods for loading and unloading lumber for drying
CN205346139U (zh) 一种物料自动化转运流水线
CN110040463A (zh) 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