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011B1 -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 Google Patents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011B1
KR940011011B1 KR1019920007183A KR920007183A KR940011011B1 KR 940011011 B1 KR940011011 B1 KR 940011011B1 KR 1019920007183 A KR1019920007183 A KR 1019920007183A KR 920007183 A KR920007183 A KR 920007183A KR 940011011 B1 KR940011011 B1 KR 94001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ction control
knitting machine
warp knitting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990A (ko
Inventor
헤겔 아돌프
Original Assignee
리바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구나르 리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바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구나르 리브란트 filed Critical 리바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2001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제 1 도는 견인(牽引)제어케이블의 순환에 의해 놓여진, 래킹방향으로의 전진 및 후진이동에 적합한 방출사 안내부 그룹을 구비한 날실편물기계를 나타낸 개략선도.
제 2 도는 견인제어케이블이 인장스프링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 안내봉을 나타낸 개략선도.
제 3 도는 스프링봉을 통해 이동하고, 전진 및 후진이동에 적합한 방출사 안내부 그룹을 구비한 안내봉을 나타낸 부분 절취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봉 2,4 : 지지부
14 : 로커축 22, 23, 42, 43, 50 : 견인제어케이블
26 : 편향수단 27, 28 : 전기서어보모터
29 : 프로그램제어부 39 : 안내부
40, 41 : 인장장치 44, 45 : 인장스프링
22h, 23h, 50h : 전방이동케이블노선
22r, 23r, 50r : 복귀이동케이블노선
48, 49 : 스프링봉 51, 52 : 멈춤부
본 발명은 래킹방향으로의 각기 다른 왕복이동을 위해 개별적인 방출사 안내부가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과, 하나 또는 다수의 그룹으로 결합되어 공통무늬 공동장치에 의해 각각의 그룹으로 이동하는 방출사 안내부를 구비한 날실편물기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날실편물기계는 독일특허 제 27 06 974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날실편물기계는 자카드식 제어에 의한 무제한적인 무늬형성 가능성과 비교하여, 모든 방출사 안내부가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제한된 날실편직물의 무늬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나, 공통무늬 구동장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한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의 선택적인 이동으로도 다수의 바람직한 무늬를 형성하기에 충분하다.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와 공통무늬 구동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자카드식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편물기계와 비교하여, 각각의 날실편물기계의 작동속도는 실질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비용면에서도 상당히 절감할 수가 있다.
방출사 안내부의 구동과 관련하여, 상기 공개된 기술내용에는 방출사 안내부의 그룹내에서 후자의 것은 두 개의 아암레버가 개별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방출사 안내부가 설치되는 공통 푸시로드에 의해 후진 및 전진 이동한다는 사실만이 개시되어 있다. 푸시로드의 구동과 관련한 공개된 기술내용에는 어떤 특정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단지 독일특허 제 277 378 호와 독일특허출원 제 DE-OS 26 01 899호를 유념할 필요가 있는 바, 이들은 푸시로드가 자카드식 제어시스템 또는 각각의 무늬체인의 연결에 의해 후진 및 전진이동한다는 상기 공개된 기술내용에 인용된다.
또한, 개별적인 방출사 안내부의 선택적인 이동은 독일특허출원 제 DE-OS 38 00 381호에 기술된다. 이같은 날실편물기계의 공지된 형태에 있어서, 무늬구동장치는 각각의 안내봉상에서 개별적으로 왕복이동하는 방출사 안내부와 함께 배열된다. 즉, 각각의 안내봉의 질량은 무늬구동장치로 인해 커지며 이 무늬구동장치에는 날실편물기계의 높은 효율성 의미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신속한 안내봉의 이동에 대해 해당관성저항이 발행한다.
본 발명은 작은 공간요건과 무늬변화에 대한 신속한 적응을 요하는 최초에 기술된 날실편물기계의 작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무늬구동장치는 프로그램제어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고, 안내봉과 무관하게 지지되며, 인장상태하에 유지되는 견인제어케이블을 통해 방출사 안내부와 연결되는 서어보모터로서 설계되고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방출사 안내부와 연결된 견인제어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론 방출사 안내구동의 이 부분에 대해 낮은 질량관성을 초래하며, 또다른 한편으로 견인제어케이블의 고유신축성으로 인해 소정의 바람직한 편향이 이루어지면서 작은 공각요건을 충족시키게 되어 날실편물기게의 구조상황에 대해 전기서어보모터의 위치를 적응시킬 수가 있다. 낮은 질량관성으로 인해 상응하여 각각의 날실편물기계의 작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 과정에 있어서, 전기서어보모터가 견인제어케이블을 전후방으로 인장시킴으로써 변하는 무늬에 대해 각각의 날실편물기계가 신속하게 조절된다. 왜냐하면, 서어보모터는 고속으로 제어회로에서 수신한 신호를 공지된 방식으로 진행시키려는 상태에 있게되고 상이한 무늬에 대한 용이하고 신속한 제어스위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적은 설치비용과, 견인제어케이블 및 전기서어보모터의 전체 배치공간에 대한 적응성과 관련한 작은 공간요건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의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그룹으로 결합된 방출사 안내부에 장착되는 다중 안내봉의 날실편물기계를 개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하나 또는 다수의 안내봉을 교체함으로써 이러한 적응성 여부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고 구성된 날실편물기계에는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그룹으로 결합된 방출사 안내부를 구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안내봉이 장착될 수 있고, 무늬형성 가능성과 관련하여 상응하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안내봉은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의 구동에 대해 특히 공간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전체 배치에 대해서 적합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안내봉을 완전히 장착된 표준 안내봉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역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각각의 날실편물기계의 작동을 가장 상이한 필요상황에 대해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견인제어케이블은 서어보모터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면상에서 인장스프링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서어보모터에서 방출사 안내부로(전진이동), 그리고 편향수단을 통해 방출사 안내부에서 서어보모터로(복귀이동) 견인제어케이블을 안내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서어보모터는 각각 동일한 길이로 전진 및 후진이동하는 데 영향을 준다. 후자구성에 있어서, 서어보모터가 상응하여 보다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 힘보다 클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서어보모터는 낮은 출력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견인제어케이블이 전방 및 복귀이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개별적인 방출사 안내부는 견인제어케이블의 전방이동부와 연결시키고, 다른 방출사 안내부는 견인제어케이블의 복귀이동부와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경상(鏡像)무늬를 얻을 수 있다.
안내봉의 진동 및 래킹이동의 결과로서 견인제어케이블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견인제어케이블이 안내봉의 래킹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무늬구동을 향해 편향되도록 견인제어케이블을 안내하는 것이 유용하며, 이때, 견인제어케이블의 편향범위는, 안내봉의 로커축의 전방단부옆으로 연장되어 실제로 이 로커축의 보이지 않는 선을 가로지르게 된다. 안내봉의 특수이동은 실제로 견인제어케이블상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방출사 안내부 속으로 짜맞출 방출사를 잇기 위해, 안내봉을 정상적인 고정지지 상태에서 해체하고 다른 안내봉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일반적인 관향절차를 통해, 해체된 안내봉은 방출사를 잇는데 용이하게 이용된다.
이것은 견인제어케이블이 있음을 고려할 때, 견인제어케이블의 편향수단이 각각 서어보모터에 선행하고, 편향수단의 고정지지는 견인제어케이블의 풀림을 위해 탈착가능하게 배열된다는 점에서 촉진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봉을 해체하기 위해 견인제어케이블을 풀면 이 견인제어케이블은 곧바로 축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상태에서 안내봉을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안내봉을 해체시킨다. 풀림가능한 고정지지부에는 각각 견인제어케이블용 인장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동일한 구조성분으로 인해 견인제어케이블을 풀고, 그들의 필요한 인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의 구동배열을, 특히 정교한 치수로 된 날실편물기계에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해, 견인제어케이블과 방출사 안내부의 연결에 스프링로드가 포함되고, 멈춤부가 방출사 안내부의 왕복이동을 제한하도록 안내봉상에 배열되도록 구동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멈춤부는 서어보모터에서 상응하는 위치설정의 정확도가 요구될 필요없이 방출사 안내부의 왕복이동을 정확히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편물기계의 안내봉(1)은 래킹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이동에 적합하고, 끝에 눈이 달린 바늘처럼 구성된 방출사 안내부(3)의 지지부(2)와, 이 안내봉상에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끝에 눈이 달린 바늘처럼 구성된 방출사 안내부(5)의 지지부(4)로 구성된다. 이들 두 지지부(2,4)는 견고하게 상호 연결됨으로써, 안내봉(1)의 진동시 방출사 안내부(3,5)는 각각의 날실편물기계의 편물바늘 사이 간격을 통해 공동으로 진동한다. 편물바늘의 예시는 제 1 도의 구성에서 생략되었다. 왜냐하면, 날실편물기계가 출현한 이래 날실편물기계의 편물바늘과 방출사 안내부의 상호작용은 이미 공지된 역할이 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같은 이유로 인해, 본 명세서에서 관심의 대상이 아닌 날실편물기계의 또다른 요소들이 또한 생략되었다.
안내봉(1)은 두 개의 운반아암(6,7)밑에 현수되어 있고 이 아암으로부터 안내핀(8,9)이 돌기되어 있으며, 이 안내핀은 축안내베어링(10,11)에 의해 지지된다. 이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안내봉(1)은 그 종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며, 이것에 관해서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축안내베어링(10,11)는 진동아암(12,13)에 설치되는데, 이 진동아암은 안내봉로커축(14)상에서 회전방지용으로 고정배치된다. 안내봉로커축(14)은 날실편물기계의 구동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그 축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동함으로써 방출사 안내부(3,5)에 바늘간격을 통해 상기 언급한 진동을 전달시킨다. 이것 역시 공지된 기능이다.
안내봉(1)은 소위 래킹방향 즉, 그 종방향으로 캠(15)에 의해 안내봉(1)에 부여된 전방 및 후방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캠(15)은 그 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종동절(17)이 래킹방향으로의 운동을 봉상왕복부재(18)에 이어 안내봉(1)에 전달하게 되고 이 캠은 종동절(17)을 전후방으로 밀게된다. 따라서, 래킹방향에서의 이같은 전방 및 후방이동은 봉상 왕복부재(18)을 따라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다. 종동부(17)가 항상 캠(15)과 접촉상태에 있게하기 위해, 안내봉(1)은 스프링(19), 견인줄(20) 및 훅(21)을 통해 캠(15)방향으로 또한 당겨진다. 안내봉(1)이 래킹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으로 인한 그 결과로서, 방출사 안내부(3,5)는 각각 상이한 바늘갭을 통해 인접 바늘사이에서 진동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바람직한 편물이 형성된다. 그러한 과정에 있어서, 방출사 안내부(5)는 실제로 제조될 편물을 형성하는 인레이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방출사 안내부(5)는 안내봉(1)의 전체 길이상으로 배열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사 안내부(3)에 의해 충전(充塡)되는 갭들이 방출사 안내부(5)의 횡열에 형성된다. 방출사(3,5)가 계속해서 예시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조될 편물에서 일정한 외관의 고리가 그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다.
방출사 안내부(5)는 모든 방출사 안내부(5)가 래킹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할 수 있는 그룹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후방 이동시, 방출사 안내부(5)는 정상위치에서 무늬형성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복귀하는데 이것은 제 3 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위치에 있는 경우 방출사 안내부(3)에 의해 놓여진 방출사는 방출사 안내부(5)에 의해 놓여진 방출사 사이에 일정하게 놓임으로써, 상기 언급한 일정한 외관의 고리가 형성된다.
무늬를 기본적인 직물속에, 실질적으로는 방출사 안내부(5)에 의한 니트속에 수놓기 위해 방출사 안내부(3)은 안내봉(1)의 래킹방향으로, 정상위치에서 무늬형성 위치로 이동된다.
이같은 운동은 순환케이블로서 연장된 견인제어케이블(22,23)에 의해 방출사(3a,3b)에 전달된다. 그러한 과정에 있어서, 분절(22h,23h)은 각각의 견인제어케이블의 실질적인 전방이동을 하며, 분절(22r,23r)은 실질적인 후방이동을 하게 된다. 캠방면의 안내봉(1) 단부에서 견인제어케이블(22,23)은 편향롤(24)을 거쳐 이동한다. 이 견인제어케이블은 견인제어케이블(22)이 전기서어보모터(27)을 향해서 그리고, 견인제어케이블(23)은 전기서어보모터(28)를 향하면서, 편향롤(26)에 의해 다시 편향된다.
이들 전기서어보모터(27,28)는 프로그램제어부(29)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 프로그램제어부는 서어보모터(27,28)가 그들 구동휠(30,31)을 전후로 회전시키도록 날실편물기계의 기타 다른 이동과 동기화됨으로서, 전방이동 영역의 견인제어케이블(22,23)에 래킹방향으로의 해당 왕복이동을 전달하게 된다. 케이블분절(22h,23h)를 전방이동시키는 이러한 왕복이동은 케이블분절에 설치된 레버(32,33)에 전달되고, 이 레버는 해당진동을 방출사 안내홀더(34,35)에 전달한다. 결국, 방출사 안내홀더(33,34)는 지지부에 부착된 축(36) 상에서 추축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방출사 안내부(3a, 3b)는, 케이블분절(22h, 23h)을 전방이동시키는 왕복이동에 따라, 해당 왕복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방출사 안내부(3a,3b)는 그 정상위치에서 무늬형성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이전단계로 복귀한다.
방출사 안내부(3a)는 견인제어케이블(22)에 의해 왕복이동하게 되고, 방출사 안내부(3b)는 견인제어케이블(23)에 의해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분리된 두 개의 제어가능한 서어보모터(27,28)는 상이한 방식으로 두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3a,3b)의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상응하는 무늬변형을 달성할 수 있다. 무늬형성과 관련하여 또다른 변형이 요망되는 경우, 보다 많은 서어보모터와 견인제어케이블, 및 이들이 제어하는 방출사 안내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사 안내부(5)를 구비한 지지부(4)는 지지부(2)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운반아암(6,7)과, 적절한 축베어링(10,11)을 구비한 안내핀(8,9)에서 별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지지부(4)는 래킹방향으로 분리캠(15)에 의해 유사하게 제어된다. 도면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이같은 분리지지 상태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1 도에 도시된 두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3a,3b)의 작동장치는 실질적으로 각각의 견인제어케이블(22 또는 23)과 두 개의 서어보모터(27,28)로 구성된다. 견인제어케이블(22,23)과, 이로인해 제어되는 방출사 안내부(22,23)의 왕복이동시 서어보모터(27,28)로부터 필요한 에너지양은 크지 않다. 왜냐하면 이들 요소들의 구조부분의 중량은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이다. 이것은 따라서, 높아질 수 있는 안내봉(1)의 횡속도에 대해 상응하여 바람직하게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안내봉(1)은 상기 이동(축(14)을 중심으로 한 래킹운동 및 진동)의 결과로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방출사 안내부(3a,3b)에 가능한한 적은 영향을 주기 위해, 견인제어케이블(22,23)이 축(14)의 보이지 않는 선(37)을 편향롤(25,26) 사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면서 편향롤(25) 너머로 안내된다. 따라서, 안내봉이 래킹이동을 수행할 경우, 견인제어케이블(22,23)의 이같은 안내로 인해 실질적으로 편향롤(25,26) 사이에서 길이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방출사 안내부(3a,3b)는 안내봉(1)의 래킹이동의 결과로서 축(36)을 중심으로 진동작용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축(14)주위에서 안내봉의 진동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와같은 진동작용중에, 견인제어케이블(22,23)은 편향롤(25,26) 사이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견인제어케이블 영역에서 중요한 길이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같은 진동작용은 전방이동하는 케이블분절(22h 또는 23h) 및 복귀이동하는 케이블분절(22r 또는 23r)상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함으로써, 견인제어케이블(22,23)은 그 종방향에서 결코 변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편향롤(25,26) 사이 영역에서의 길이변형은 실제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두 견인제어케이블(22,23)은 조절된 인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편향롤(26)은 축(38)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안내부(39) 단부에서 지탱된다. 안내부(39)가 선회가능하기 때문에, 견인제어케이블(39)의 인장은 상황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각각의 바람직한 인장은, 안내부(39)의 잠금나사(40)밑에 타원형구멍(41)이 배열되어 이 잠금나사가 안내부(39)를 향해 조여짐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원형구멍(41)과 관련하여 잠금나사(40)의 위치에 따라 두 견인제어케이블(22,23)의 인장조절이 가능해진다. 방출사를 꿰기 위한 목적으로 안내봉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은 편향롤(25)방향으로 잠금나사(40)를 느슨하게 한 다음 안내부(39)를 회전시켜 견인제어케이블(22,23)을 풀고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지지 상태의 안내봉(1)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내봉의 지지와 제어에 관해, 제 2 도상에 도시된 안내봉(1)은 제 1 도의 안내봉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과 관련하여, 제 1 도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제 2 도의 구성에는 두 견인제어케이블(42,43)의 상이한 안내가 제공될 뿐이다. 이러한 경우에, 견인제어케이블은 제 1 도에서와 같이 순환식이 아니다. 그대신, 견인제어케이블은 한쪽에서는 스프링(44,45)에 의해 팽팽해지고, 다른 한쪽에서는 드라이브휠(30,31)에 의해 감기고 풀린다. 이같은 구성에서도 마찬가지로 견인제어케이블(42,43)은 제 1 도의 전방이동하는 케이블분절(22h,23h)과 같이 래킹방향으로 왕복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제 1 도의 구성에서와 같이 방출사 안내부(3a,3b)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면에 있어서, 제 2 도의 구성은 제 1 도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제 3 도는 왕복이동용으로 배열된 두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46,47)를 구비한 안내봉(1)의 지지부(2)만을 도시한 것이다. 방출사 안내부(46,47)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배열에서와 같이 지지부(2)상에 설치된다. 그러나, 제 3 도의 배열에 있어서, 도면부호 48,49로 표시된 봉상부재는 신축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다시말해, 이 봉상부재는 견인제어케이블(50)이 전후이동함에 따라, 상응하여 편향되는 스프링봉이다. 방출사 안내부(46,47)의 전후방 이동을 위해, 멈춤부(51,52)가 제공되며, 방출사 안내부(46,47)는 그 정상위치가 굵은 선으로 도시되고 무늬형성 위치는 점선(도면부호 : 53)으로 도시된다. 이들 멈춤부(51,52)의 결과로서, 방출사 안내부(46,47)는 견인제어케이블(50)의 전후방 이동시, 각각의 한정된 단부위치를 수용함으로써, 바늘작용영역과 관련하여, 분명한 상태가 존재하게 되고 이 바늘작용 영역을 통해 방출사 안내부(46,47)가 진동한다. 견인제어케이블(50)은 약간 쉽게 표시될 수도 있고, 근소한 공차없이 과도한 행정이 스프링봉(48,49)의 해당 휨작용에 의해 연속하여 흡수된다. 방출사 안내부(46,47)에 대해 방출사가 가하는 힘이 스프링봉(48,49)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도록 즉, 방출사 안내부(46,47)가 정지시 스프링봉(48,49)의 인장하에 멈춤부(51,52)에 의해 한정된 위치에 있도록, 스프링봉(48,49)의 강도가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무늬형성이 특수한 특징이 제 3 도에 도시되는데, 이 특징인 전방이동 케이블노선(50h)에 대한 스프링봉(48)의 부착과 복귀이동 케이블노선(50r)에 대한 스프링봉(49)의 부착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많은 목적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방출사 안내부(47) 그룹과 관련한 방출사 안내부(46)그룹의 경상(鏡像) 무늬형성이 이루어진다. 이같은 종류의 경상 무늬형성의 경우, 단지 하나의 서어보모터만이 견인제어케이블(50)의 이동에 필요하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1)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봉 위에서 각각의 방출사 안내부(3,46,47)는 래킹방향으로의 각기 왕복운동을 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방출사 안내부는 하나 또는 다수의 그룹으로 결합되어 예정된 무늬구동장치로 제어되는 전기적 서어보모터(27,28)에 의해 각각의 그룹으로 이동하며, 상기 서어보모터(27,28)는 인장상태로 유지되는 견인제어케이블(22,23: 42,43 : 50)을 통해 한 그룹의 방출사 안내부와 연결되는 날실편물기계에 있어서, 한 그룹의 모든 방출사 안내부(3,46,47)가 안내봉(1)과 무관하게 배열된 서어보모터(27,28)에 의해 견인제어케이블(22,23 : 42,43 : 50)상에 가해지는 래킹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봉(1)의 길이에 걸쳐 각각 연장되고, 안내봉(1)에 걸쳐 혼방되고 전개된 방출사 안내부(3,46,47)와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견인제어케이블(22,23: 42,43: 50)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견인제어케이블(42,43)은 그 단부가 전기서어보모터(27,28)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면서, 인장스프링(44,45)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서어보모터(27,28)가 전방이동(22h,23h)과 복귀이동(22r,23r)에 대해 각각 동일한 길이로 영향을 미치면서, 견인제어케이블(22,23)은 전기서어보모터(27,28)에서 방출사 안내부(3)(전방이동: 22h,23h)로 연장되고, 편향롤(24)을 통해 다시 전기서어보모터(27,28)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방출사 안내부(46)는 전방이동 케이블노선(50h)과 연결되고, 또다른 방출사 안내부(47)는 견인제어케이블(50)의 복귀케이블노선(50r)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견이제어케이블(22,23)은 서어보모터(27,28)를 향해 안내봉(1)의 래킹방향에 대해 약 90도 각도로 편향되며, 견인제어케이블(22,23)의 편향범위는 안내봉 로커축의 전방단부 옆으로 연장되고 실제로 이 로커축의 보이지 않는 선을 가로질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견인제어케이블(22,23)의 편향수단(26)은 각각의 서어보모터(27,28)에 선행하며, 편향수단의 안내부(39)는 견인제어케이블(22,23)의 해제를 위해 풀림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안내부(39)에 각각의 견인제어케이블(22,23)에 대해 인장장치(40,41)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편물기계.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견인제어케이블(50)과 방출사 안내부(46,47)는 스프링봉(48,49)을 포함하며, 멈춤부(51,52)가 안내봉(1)상에 배열됨으로써, 방출사 안내부(46,47)의 왕복이동을 제한함을 특징으로하는 날실편물기계.
KR1019920007183A 1991-04-29 1992-04-28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KR940011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14012A DE4114012C3 (de) 1991-04-29 1991-04-29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P4114012.5 1991-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990A KR920019990A (ko) 1992-11-20
KR940011011B1 true KR940011011B1 (ko) 1994-11-22

Family

ID=643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183A KR940011011B1 (ko) 1991-04-29 1992-04-28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41842A (ko)
EP (1) EP0511580A3 (ko)
JP (1) JPH0665847A (ko)
KR (1) KR940011011B1 (ko)
CN (1) CN1028041C (ko)
DE (1) DE4114012C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3967C2 (de) * 1993-02-10 1995-03-30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4335278C1 (de) * 1993-10-15 1995-01-05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schwenkbar gelagerten Fadenführern
JPH07197358A (ja) * 1993-12-28 1995-08-01 Etsuzou Sasaki ジャカードガイド及びジャカードガイドユニット
DE69513234T2 (de) * 1994-01-14 2000-05-31 Nippon Mayer Co., Ltd. Mustervorrichtung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DE4414876C2 (de) * 1994-04-28 1996-05-30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ettenwirkware, Kettenwirkmaschin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nd Kettenwirkware
DE4444822C2 (de) * 1994-12-15 1998-01-08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CN1057358C (zh) * 1995-01-13 2000-10-11 日本迈耶株式会社 经编机上的提花装置
CH690183A5 (de) * 1995-10-11 2000-05-31 Textilma Ag Kettenwirkmaschine.
DE19605117C2 (de) * 1996-02-12 2001-02-01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US5899095A (en) * 1998-01-21 1999-05-04 Liberty Fabrics Jacquard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R2780989B1 (fr) * 1998-07-08 2000-12-22 Aplix Sa Procede de formation par tricotage de boucles sur une feuille, tissu a boucles realise selon ce procede, et son utilisation
DE19938871C1 (de) * 1999-08-17 2001-05-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DE10035160B4 (de) * 2000-07-19 2004-06-0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Barre
DE10137601B4 (de) * 2001-08-01 2006-09-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Musterlegebarre
US20050257887A1 (en) * 2004-05-24 2005-11-24 Tsotsis Thomas K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bonded materials for tackification of dry fabric preforms
US20080289743A1 (en) 2003-05-02 2008-11-27 Tsotsis Thomas K Highly porous interlayers to toughen liquid-molded fabric-based composites
US8246882B2 (en) 2003-05-02 2012-08-2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preforms for forming composite members with interlayers formed of nonwoven, continuous materials
DE10332235B3 (de) * 2003-07-16 2005-06-1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DE102004031268A1 (de) * 2004-06-29 2006-02-0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trieb in einer Wirkmaschine
US20060048881A1 (en) * 2004-09-08 2006-03-09 Evans Richard B Laser-assisted placement of veiled composite material
KR100767752B1 (ko) * 2006-07-07 2007-10-19 박승헌 라셀 경편기의 가이드바 가동 장치
CN101104979A (zh) * 2006-10-10 2008-01-16 吴宇芯 纱嘴自动升降机构
FR2951664B1 (fr) 2009-10-23 2011-12-16 Hexcel Reinforcements Empilement multiaxial solidarise par des soudures ponctuelles realisees grace a des voiles thermoplastiques intercalaires
EP2615197A1 (de) * 2012-01-10 2013-07-1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a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EP2623653A1 (de) * 2012-02-04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PL2826902T3 (pl) * 2013-07-19 2019-05-31 Kufner Holding Gmbh Sposób wytwarzania tekstylnego, powierzchniowego elementu grzejnego oraz osnowarka lub osnowarka raszlowa z magazynującym systemem podania wątków
CN104652034B (zh) * 2015-02-06 2017-05-31 常州市宏发纵横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经编机铺纬装置和铺纬方法
CN108217332A (zh) * 2018-01-25 2018-06-29 常州市第八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主动送线装置及其控制方法
EP3511460B1 (de) * 2019-04-30 2021-06-02 KARL MAYER STOLL R&D GmbH Kettenwirkmaschine und verfahren zur bedienerunterstützung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CN117107413B (zh) * 2023-10-25 2024-01-12 江苏维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tfe遮阳帘用玻纤基布提花织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7378C (ko) *
US1972609A (en) * 1931-10-03 1934-09-04 Raalte Company Van Warp knitting machine
US3074259A (en) * 1959-08-19 1963-01-22 Bassist Rudolph George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thread-guide element
DE2035750A1 (en) * 1970-07-18 1972-01-27 Liebrandt, Karl, 8674 Naila Knitting machine drop plate motion - at angle to the latch needle axis to increase operating speeds
DE2060101C3 (de) * 1970-12-07 1973-09-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maschine mit schwin gender Nadelbarre
GB1445374A (en) * 1973-02-26 1976-08-11 Sigma Instruments Inc Selective positioning system particularly for onctrolling guide bars of knitting machines
DE2459872A1 (de) * 1974-01-23 1975-07-24 Heidenau Netz & Seil Veb Sa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2706974C3 (de) * 1977-02-18 1979-11-0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teilschuOlegenden SchuBfadenführern
DE3023952A1 (de) * 1980-06-26 1982-01-1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maschine
EP0059168B1 (de) * 1981-02-19 1985-10-02 Ciba-Geigy Ag Organische Elastomere und mineralische und synthetische Schmieröle, enthaltend Phenol-mercaptocarbonsäureester als Stabilisatoren
JPS588793U (ja) * 1981-07-10 1983-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風機の振動監視装置
DE3130555A1 (de) * 1981-08-01 1983-02-17 Karl 6053 Obertshausen Kohl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einrichtung
IT1153279B (it) * 1982-10-21 1987-01-14 Comez Spa Macchina tessile perfezionata per la formazione di tessuti di vari colori e disegni
DE3321733C2 (de) * 1983-06-16 1985-06-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ochnadeln
DE3642523A1 (de) * 1985-03-07 1987-09-10 Textima Veb K Kettenwirkmaschine, insbesondere haekelgalonmaschine
DD256882A1 (de) * 1986-12-31 1988-05-25 Tech Uni Dresen Direkt Forsch Steuersystem fuer kettfaeden
IT211978Z2 (it) * 1987-07-21 1989-05-25 Comez Spa Dispositivo di comando di tubetti guidafilo in telai per galloni ad uncinet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41C (zh) 1995-03-29
KR920019990A (ko) 1992-11-20
DE4114012C2 (ko) 1993-02-18
DE4114012A1 (de) 1992-11-05
EP0511580A2 (de) 1992-11-04
EP0511580A3 (en) 1993-03-24
DE4114012C3 (de) 1996-07-04
CN1066305A (zh) 1992-11-18
JPH0665847A (ja) 1994-03-08
US5241842A (en) 199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011B1 (ko)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JP3560994B2 (ja) 織機用のよこ糸選択給送装置
KR101186226B1 (ko) 직선형 방직 기계의 방직실 분배기
JP3731636B2 (ja) 自由に選択可能なパターンリピートを有する編布の製造方法およびたて編機
KR960003555B1 (ko)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KR100272353B1 (ko) 낙하판 바아를 구비한 경편기
US4145897A (en) Hook needle type knitting machine
US5327750A (en) Warp knitting machine, especially crochet galloon machine
US4395888A (en) Controlled thread guides for a weft thread magazine
US6957671B2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KR100348690B1 (ko)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US4319468A (en) Raschel machine
JP4128328B2 (ja) たて編み機
US3099921A (en) Warp knitting machine
JPH11140753A (ja) ガイドバーを有する経編機
JP2002115157A (ja) 経編機
US4525906A (en) Device for drawing warp threads into readied heddles and drop wires
JPS5819781B2 (ja) たて編機用のジヤカ−ド装置
JP2000504789A (ja) 織機用の耳形成装置
JP7225467B1 (ja) 自動糸巻機
KR20180124139A (ko) 직기용 쉐드 형성 모듈
US2950694A (en) Boring attachment for embroidery machine
JPS5917907Y2 (ja) 多枚筬経編機における地糸テンシヨンの均一化装置
JPH09268453A (ja) 織機における緯糸選択装置
EP0029193B1 (en) Device for producing inlaid or sculptured knitted fabrics particularly in linear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