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55B1 -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Google Patents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3555B1 KR960003555B1 KR1019940002461A KR19940002461A KR960003555B1 KR 960003555 B1 KR960003555 B1 KR 960003555B1 KR 1019940002461 A KR1019940002461 A KR 1019940002461A KR 19940002461 A KR19940002461 A KR 19940002461A KR 960003555 B1 KR960003555 B1 KR 960003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cable
- pull control
- knitting machine
- guide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그룹양식으로 배치된 실안내부를 가진 경편기의 안내봉과 알려진 경편기의 공통구성요소를 도시하지 아니한 같은것을 구동하는 제어모터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어모터가 없는 제1도에 따른 당김제어케이블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유도기계장치로 된 당김제어케이블에 필요한 인장롤러를 도시한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와 클램핑상태에서 당김제어케이블을 정지시키기 위한 케이블클램프를 각기 도시한 도면.
제5도는 훅커플링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동작상태에서 복수라인 케이블커플링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복수라인커플링에 대한 제6도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공정을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봉 3 : 실안내부
5,14 : 당김스프링 7-12 : 편향롤러
22 : 당김제어케이블 23,24,64 : 블레이드 스프링
27-32 : 제어모터 35 : 텅
37 : 케이블클램프 39 : 정지롤러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독립항 제1항에 따른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경편기는 독일특허 DE-OS 41 14 012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봉의 진동으로 움직이는 양을 최소로 유지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재인용된 바와 같은 특징으로 성취된다.
단지 안내봉의 기본변화운동을 따르는 캐리어위의 케이블안내부의 배치는 각각의 케이블안내부가 대응하는 안내봉의 진동에 관계하지 않으며 혹은 그와함께 움직이지 않고 따라서, 그것이 가진 질량으로서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안내봉의 운동속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실안내부로 부터 비교적 매우 떨어진 거리에 케이블안내부를 배치하기 때문에, 실안내부의 진동운동으로 인한 당김제어케이블의 운동은 당김제어케이블의 편향각도를 아주 적게 변화시킴으로서 대응하는 운동의 크기는 큰 직경으로된 원의 매우 짧은 부채꼴과 비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동운동을 하는 동안, 실안내부와 그 대응케이블 안내부사이에서 측정된 길이는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음으로써 실안내부의 진동으로 인한 당김제어케이블의 패턴변화운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더욱이, 케이블안내부의 레이아웃을 완화하는 것은 개별적인 제어모터에 당김제어케이블의 안내를 또한 쉽게 수행하는 대응하는 유연성을 초래하며, 이것은 다수의 모터의 부가를 늘린다.
케이블안내부는 방향이 변화하거나 편향롤러의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당김제어케이블은 각기 스프링장력의 영향하에 있다. 스프링장력은 효과적으로 그 단부모두위의 당김제어케이블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패턴변동운동사이클동안 중간부분을 취한다. 당김스프링은 평형상태를 취하여 그로부터 제어모터는 전후운동 즉, 모드로 당김제어케이블을 조정할 수 있으며, 작은 조정크기 때문에 매우 적은 에너지가 필요함으로써 즉, 당김스프링의 당김은 가까스로 앞서 언급한 평형상태를 방해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당김제어케이블은 케이블안내부와 제어모터사이에 제공된 요구된 인장롤러위에 안내된다. 인장롤러는 조정가능한 접합부에 대하여 당겨짐으로써 당김스프링의 영향하에 있다. 조정가능한 접합부에 의하여,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과 이에 연결된 실안내부의 계속적인 미세조정이 성취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은 제어모터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적어도 그것이 가진 효과적인 범위에서의 제어모터는 당김제어케이블에 대해 정지함으로써 접합부에서 변화하는 동안, 제어모터와 실안내부사이에 당김제어케이블의 길이는 무시해도 좋게 변화할 수 있다. 이로써, 무시해도 좋은 장력이 제어모터상에 존재한다. 그러나, 보통 작은 조정범위에 대해서는 사실상 무시할 수 있다.
안내봉을 수동으로 거는 경우에 당김제어케이블을 케이블안내부와 제어모터와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위하여, 케이블클램프가 당김제어케이블을 정지시키는데 효과적인 안내봉에 필요한 누름로드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당김제어케이블의 어레이는 케이블클램프와 제어모터사이에 장력하에 유지됨으로써 이 영역에서, 당김제어케이블의 어떠한 엉클어짐도 발생할 수 없다.
안내봉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훅커플링이 당김제어케이블에, 바람직하게는 케이블클램프와 안내봉사이에서 확장한 영역에 제공되며, 커플링은 코넥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안내봉이 기계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에, 훅커플링은 벗겨진다. 안내봉을 재설치할때까지, 훅커플링은 단지 재연결되며 케이블클램프는 느슨해진다. 이로써, 당김제어케이블의 전체배치는 다시 기능을 한다.
제1도는 세로편물기의 다른 알려진 소자가 생략된 경편기의 안내봉(1)을 도시한 것이다. 안내봉(1)은 개구된 바늘과 같이 형성된 실안내부(3)용 캐리어(2)를 포함한다. 안내봉은 전후 변동방향으로 움직인다. 실 안내부(3)은 휘감긴 경편기의 편물바늘사이에 바늘공간을 통해 알려진 방식으로 흔들어 움직인다. 안내봉(1)을 전후로 움직이는 변동방향은 여기서, 기본변동운동으로 설계되며, 누름로드(18)에 인접한 도시된 화살표로 나타난다. 누름로드(18)의 기능은 이하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실안내부(3)의 진동운동은 곡선화살표(4)로 예시되며, 이 화살표는 안내봉(3)의 우측단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도면에서 편물바늘의 예시는 경편기가 존재한 이래 알려진 경편기의 편물바늘과 실안내부사이에 협조때문에 생략되었다.
안내봉(1)과 그 위에 장착된 실안내부(3)의 진동운동을 실행하는 경우에, 캐리어암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사용된다. 안내봉(1)의 매달림에 대하여, 앞서 인용된 독일특허 DE-OS 41 14 012의 설명을 참고한다. 안내봉(1)의 기본변동운동은 누름로드(18)에 의해 일어나며, 누름로드는 한 단부에서 안내봉(1)을 향해 누르며 그 다른 단부로서 편심륜(15)을 향해 누른다. 편심륜(15)이 그 축(16)주변에서 회전함에 따라, 편심륜은 롤러(17)를 앞뒤로 누르며, 이에 따라 롤러(17)는 변동방향으로의 운동을 누름로드(18)에 그 다음 안내봉(10)에 전달한다. 편심륜(15)에 의해 유도된 안내봉(1)(기본변동운동)의 전후운동이 일어나는 동안에, 실안내부(3)는 상이한 바늘공간(양방향화살표(4)에 따른)을 통해 흔들거리는 효과적인 공정을 경험한다. 이로써, 예정된 소정의 모양 즉 편물재료의 짜임새가 얻어진다.
실안내부(3)는 6개의 예시된 당김제어케이블(22)중에서 적어도 하나에서 무리지어 연결됨으로써 이후 설명된 당김제어케이블(22)중 한 케이블의 전후운동에 있어서, 이러한 특수당김제어케이블에 연결된 모든 실안내부(3)는 유사하게, 대응하는 패턴변동운동을 의미하는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이는 결국 기본변동운동을 초과하여 더해진다. 이러한 패턴변동운동이 영향을 받을 때, 실안내부(3)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패턴위치로 이동하여 독일특허 DE-OS 41 14 012에 상세히 설명된 것처럼 후퇴한다. 정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 실안내부(3)는 편물조직에서 고른 스티치패턴(stitch pattern)을 초래하는 고른 방식으로 실을 놓는다. 그러나, 편물재료에 패턴을 전하기 위하여, 실안내부(3)는 그 정상적인 위치에서 패턴위치(패턴변동운동의 실행하에)로 이동하게 된다.
실안내부(3)위에 부과된 패턴변동운동은 당김스프링(5)에 의해 한단부위에서 앵글철(6)에 연결된 당김제어케이블(22)에서 나온다. 앵글철은 안내봉(1)에 차례대로 연결된 캐리어(2)와 단단히 연결된다. 그로부터, 각각의 당김제어케이블은 안내봉(1)의 길이를 따라 대응하는 편향롤러(7-12)로 안내되고 여기서, 당김제어케이블은 대응하는 제어모터(27-32)로 편향된다. 인장롤러기기(13)는 편향롤러(27-32)와 제어모터(27-32)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모터(27-32)는 모터안에 기억된 패턴프로그램을 가진 프로그램제어(33)로 부터 알려진 방식으로 제어되며, 이 패턴은 어떠한 바람직한 요구의 패턴과 조화할 수 있거나 혹은 재배치될 수 있다. 제어모터(27-32)는 제어모터의 축에 대해 각기 조정할때까지 진동하는 예컨대, 약간의 각도로 진동암(34)의 각각의 축위에서 수행된다. 암은 그 단부에서 조여진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을 가지고 갈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김제어케이블(22)은 예컨대, 클램핑에 의해 진동암(34)의 각 단부에서 조여진다. 당김제어케이블(22)은 진동암(34)에서 계속하여 앵글철(19)에 차례대로 연결된 당김스프링(14)에서 끝난다.
제어모터(27-32)와 앵글철(19)은 정지된 방식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기계프레임의 어느 소자(20)에 단단히 조여진다. 이는 판 혹은 어떤 방식으로 기계프레임에 조여진 더욱 커진 앵글철의 형태로 취해진다. 기계소자(2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편향롤러(27-32)는 캐리어(21)위에 지지된다. 캐리어(21)는 그 자신이 한면에서 블레이드스프링(23)에 의해, 나머지면에서 블레이드스프링(24)에 의해 수행된다. 두 블레이드스프링(23, 24)의 기계소자(20)에 교대로 지지된 정지 스터드(25, 26)위에서 지지된다. 더욱이, 캐리어(21)는 봉(2)의 변동운동을 캐리어(21)위에 완전히 전달하는 텅(35)에 의해 봉(2)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양단부는 종방향변동의 영향을 받는 방식으로 블레이드스프링(23, 24)에 의해 정지된다. 여기에 포함된 것은 불과 몇밀리미터의 크기로의 운동임으로써, 블레이드스프링(23, 24)의 길이를 고려할 때, 사실상 편향롤러(7-12)와 제어모터(27-32)사이에 공간을 둔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양방향화살표를 보면, 안내봉(1)에 가해진 부가적인 진동운동은 스스로 캐리어(21)에 전달될 수 없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캐리어(21)는 한편으로는 블레이드스프링(23, 24)에 의해 수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텅(3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텅(35)은 안내봉(2)의 진동운동으로 유도된 휨운동의 영향을 받으며, 그 고유탄성때문에, 부가적으로 단부표면봉(2)에서의 최소 뒤틀림에 좌우된다. 500mm와 같은 텅(35)의 길이와 예컨대, 텅(35)의 대응단부의 영역에서 대략 20mm 길이의 봉(2)의 진동운동을 고려할 때, 텅(35)의 최소 뒤틀림이 일어날 것이다. 사실상, 안내봉(2)의 진동운동에도 불구하고 캐리어(21)는 실질적으로 단지 캐리어의 종방향으로 전후동작의 선형운동을 실행함으로써 변동운동 및 안내봉(1)의 진동운동과 캐리어(21)의 거의 선형인 전후운동을 하는 동안, 암(36)과 당김제어케이블연결부 영역에서 당김제어케이블(22)의 식별가능한 변동은 관측할 수 없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별적인 당김제어케이블(22)은 실안내부(3)의 복수암(36)에 각기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컨대, 클램핑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로써, 안내봉(1)의 전체길이를 따라 당김제어케이블에 대한 개별적인 암(36)의 분배가 마음대로 가능하고, 그래서, 실안내부(3)의 그룹을 초래하는 것을 제외하고 암(36)을 하나의 당김제어케이블에 고정하는 것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혼합되고 안내봉(1)의 전체위에 마음대로 분배한다. 이것은 재료에 패터닝에 대하여 또 다른 가능한 변화를 가져온다. 물론, 부가적으로, 패터닝은 프로그램콘트롤러(33)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두 당김스프링(5, 14)은 인장력이 서로 상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조정된다. 이로써, 모터에 연결된 당김제어케이블을 가진 제어모터(27-32)의 암(34)은 제어모터에서 어떠한 힘에 의존함이 없이 정지위치로 유지되어 정지위치에서 동일한 것을 지킨다. 이는 초기조정방식으로 성취되며, 여기서, 두 스프링(5, 14),의 조정된 장력에 대한 사전조정이 우선 성취되고 나서 암(34)이 정지위치에 있는 동안 당김제어케이블에 클램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스프링(5, 14)은 또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조정하여 조정될 수 있다. 암(34)의 운동이 프로그램제어(33)로 부터 제어모터(27-32)의 대응하는 영향을 근거로 할 때까지, 암(34)은 예컨대, 정지위치밖으로의 당김제어케이블(22)과 불과 몇 밀리미터에 의해 평형상태밖으로의 스프링(5, 14)을 단지 최소로 움직이기 위해서 비교적 적은 힘을 가해야한다. 이로써, 최소인장력은 단지 확장된 스프링의 한면위에서 극복되어 진다.
앞선 설명은 실질적인 기계구조의 존재가 패턴변동운동의 점에서 실안내부(3)의 조정이 요구되는 패턴에서 사용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안내봉(1)은 부가적인 기계소자 즉, 앵글철(6)에의해 최소하게 부과될 뿐이며, 암(36)은 그에 부속물인 제어케이블과 텅(35)을 당길 것이므로, 안내봉(1)의 진동운동에 대하여 사실상 어떤 부가적인 질량 관성도 일어나지 않는다. 안내봉(1)의 진동운동에 대하여, 어떠한 실질적인 기계속도 고유팩터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1도는 제어모터(27-32)와 당김제어케이블(22)의 그물그룹을 도시한것으로, 이는 더욱 많은 수의 제어모터를 설비하는 장점을 입증한다.
제1도에서는 또한 케이블클램프(37)를 도시하였다. 케이블클램프는 제4a도 및 제4b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배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나, 제어모터(27-32)와 인장롤러기기(13)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봉(2)이 기본변동운동에 있을때, 블레이드스프링(23, 24)은 비스듬히 휘어져 점선으로 나타난 위치를 취하며, 이 위치는 스터드(25, 26)에 대한 캐리어(21)의 공간을 사실상 변화시키지는 못하는 것이 명백하다. 봉(2)이 진동운동을 하는동안, 양방향화살표(4)로 나타난 바와같이, 텅(35)의 최소휨이 다시 일어나며, 이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휨은 실제적으로 어떠한 텅(35)의 흔들림도 봉(2)이 조여진 영역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하여 확대된 방식으로 예시된다.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진동운동의 길이는 실안내부에 대해 접하여 측정될 때, 불과 몇 밀리미터에 해당하며, 이로써, 텅(35)의 길이는 대략 500mm로 측정된다.
제3도는 제1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당김제어케이블(22)을 통해 안내된 인장롤러배치(13)를 도시하였다. 인장롤러배치(13)는 인장롤러(38)와 정지프레임소자(20)에 고정된 정지롤러(39)로 이루어진다. 인장롤러(38)는 축(41)에 의해 교대로 지지되는 각진 레버(40)위에 지지된다. 축(41)은 또한 프레임소자(20)위에 정지상태로 지지된 캐리어소자(42)에 위치한다. 각진 레버(40)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분동(weight)(44)에 의해 그 암(43)에 부과됨으로써 인장롤러(38)는 분동의 영향하에 정지롤러(39)에서 떨어져서 당겨진다. 정상적인 위치에 있어서, 인장롤러(38)는 제1도에 예시된 스프링(5, 14)에 의해 접합 나사(45)에 대하여당겨지며, 대응관계를 통해 접합나사는 정지롤러(39)에 대하여 인장롤러(38)의 조정을 허용한다. 접합나사(45)의 조정의 영향하에 인장롤러(38)를 정지롤러(39)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모터(27-32)와 편향롤러(7-12)사이에 영역에서 당김제어케이블(22)의 단축 및 연장이 성취된다. 이는 스프링(5, 14)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단축시킬 것이며, 이로써, 동시에 안내봉(1)의 영역에서 당김제어케이블(22)의 위치변동이 일어난다. 접합나사(45)의 조정에 의한 이러한 방식으로, 봉(2)위의 암(36)이 위치조정이 이루어져 예시하지않은 편물바늘에 대한 개별적인 실안내부와 그 사이에 공간의 미세한 조정이 성취된다.
제3도에 있어서, 인장롤러(38)의 다른 위치가 점선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각진 레버(40)는 접합나사(45)에서 멀리있다. 이것은 편물기가 작업모드에 없을때, 예컨대, 조정 혹은 다른 동작이 수행될때 대응하는 세로편물기의 동작상태이다. 예를들면, 어느 수동조정을 하는동안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의 느슨함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로써, 케이블은 안내부 혹은 대응편향롤러(7-12)의 밖으로 미끌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거나 피하기 위하여, 분동(44)의 영향하에서, 인장롤러(38)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조차도 대응당김제어케이블에서의 정지장력하로 유지된다.
암(43)위에서 움직이는 분동(44)은 앞서 예시한 바와같이, 스프링(5, 14)에 의해 극복할 수 있으며, 동작상태에서 각진 레버(40)가 접합나사(45)에 대하여 접하도록 하기위한 크기이다. 필요한 바와같이, 암(43)위의 분동(44)은 대응하여 조정가능하다. 물론, 분동(44)은 다른 어떤 인장스프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턴기기 즉, 안내봉(1)과 같은, 어떤 수동작업을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배치로 수행하기 위하여, 당김제어케이블의 장력을 어떤 크기로 유지하기 위하여, 장치한 케이블클램프(37)를 제4a도와 제4b도에 예시하였다. 제4a도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장되지 않은 당김제어케이블)를 도시하며, 제4b도는 클램프위치를 도시한다. 케이블클램프(37)는 가요성 클램핑층(48)에 제공된 두개의 조오(jaw)(46, 47)를 포함한다. 제4a도에 도시한 동작하지 않는 상태의 케이블클램프(37)는 샤프트(49)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텅(35)의 위치위로 안내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을 조오(46, 47)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클램핑을 얻기 위하여, 너트(50)는 샤프트(49)에 제공되어 두 조오(46, 47)가 서로 충분히 접근할때까지 회전된다. 케이블클램프(39)의 샤프트(49)는 캐리어(21)에 고정된 지지구(52)에 의해 지지부(51)에서 끝난다.
당김제어케이블(22)을 클램핑함으로써, 편향롤러(7-12)와 제어모터(27-32) 사이를 확장하는 케이블이 장력하에 유지되어, 안내봉(1)의 영역에 있어서, 어떤 수동작업은 안내봉의 걸림을 나타내는 책임을 진다.
안내봉(1)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블클램프(37)와 안내봉(1)사이의 영역에서 확장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은 걸림커플링(53)으로 제공되어진다. 제5도에 따라서, 걸림커플링은 당김제어케이블 일부의 대응하는 한단부를 수용하는 아릴릿(eyelet)(54)의 한단부와 훅(55)에 제공된 단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당김제어케이블의 나머지 대응하는 단부가 수용되거나 제거된다. 앞서 예시한 바와같이, 안내봉(1)을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에, 케이블클램프(37)는 그 클램프위치로 이동하여 그로부터, 걸림커플링(53)이 벗겨지게 된다. 안내봉(1)은 패터닝배치로 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전체시스템에서 걸림커플링(53)의 위치는 제1도에서의 53과 같이 나타난다.
걸림커플링(53) 대신에, 다중케이블커플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몇몇 당김제어케이블의 커플링 및 분리를 동시에 성취한다. 안내봉의 측면을 마주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의 일부는 훅판(56)에 고정된다. 제어모터를 향해 마주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의 일부는 홀판(57)에 고정된다. 이 동작위치에 있어서, 훅판(56)은 홀판(57)안으로 잠기고 나서 견인력의 전달을 성취한다. 두 판은 각기 안내부(59, 59)와 (60, 61)사이로 안내되어 단지 축방향으로의 운동각도를 가진다.
분리공정을 하는동안에, 세트나사(67)는 처음에 헐거워진다(화살표(71). 따라서, 슬레드(sled)(68)는 안내로드(6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텅(35)을 제거한 후에(화살표 72), 당김제어케이블(22)은 당김스프링(5)에 의해 왼쪽으로 당겨진다. 훅판위의 접합부(65)는 이 공정을 제한한다. 따라서, 모든 훅판이 사실상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슬레드(68)는 왼쪽(화살표 74)으로 손으로 제거될 수 있다. 홀판위의 접합부는 홀판의 위치를 평평하게 한다. 조정가능한 접합부(63)가 도달한 후에, 안내판(60)은 블레이드스프링(64)를 정지시키는 바, 아래로 눌러진다(화살표 75), 슬레드(68)를 오른쪽(화살표 76)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내판(60)은 또한 아래로 눌러지며 두 판의 완전한 분리가 일어난다. 슬레드(68)는 안내로드에서 곧 제거된다. 안내봉(2)은 당김제어케이블에서 막 분리되어 기계구조로 부터 제거된다. 재커플링이 역순으로 성취된다.
Claims (8)
- 경편기로서, 진동운동과 기본변동운동을 실행하고 실안내부(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1)을 가지며, 상기 실안내부(3)는 상기 안내봉(1)위에 지지되어 상기 기본변동운동에서 전후동작으로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정가능하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제어된 제어모터(27~32)위에 프로그램제어(28)에 의해 패턴변동운동에서 한 그룹으로 이동하며, 상기 모터는 장력하에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제어케이블(22)에 의해 상기 그룹 혹은 그룹들의 상기 실안내부(3)에 연결되며, 적어도 두개의 당김제어케이블(22)이 제공되어 상기 안내봉(1)의 길이 위로 확장하고 상기 실안내부(3)에 연결되어 상기 한 그룹 혹은 그룹들의 모든 상기 실안내부(3)는 상기 제어모터(27~32)에 의해 상기 당김제어케이블(22)에 영향을 받는 동일패턴변동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어모터는 상기 안내봉(1)에서 구조적으로 자주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당김제어케이블(22)은 상기 제어모터(27~32)를 향해 상기 안내봉(1)의 변동방향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케이블안내부에 의해 편향되고, 결편기 캐리어(21), 상기 캐리어(21)에 장착된 상기 케이블안내부와 상기 캐리어(21)를 상기 안내봉(1)의 경한면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텅(35)으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봉(1)과 상기 캐리어(21)사이에 캐라어(21)가 상기 안내봉(1)의 기본변동운동만을 따르며 그 진동운동은 따르지 않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케이블 안내부(7-12)는 상기 실안내부(3)에서 거리를 두고 배치됨으로써 변동운동을 하는동안, 대응하는 당김제어케이블(22)의 어레이에서 사실상 어떤 패턴변동운동도 일어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안내부(7-12)는 편향롤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당김제어케이블은 스프링장력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력은 상기 당김제어케이블이 패턴변동운동 주기안내서 평형상태를 취하는 방식으로 상기 당김제어케이블(22)의 양단부위에서 유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당기제어케이블(22)은 상기 케이블안내부(7-12)와 상기제어모터(27-32)사이에 위치된 인장롤러(38)위로 안내되며, 상기 안내롤러(38)은 당김스프링(5, 14)의 영향하에 조정가능한 접합나사(45)에 대하여 당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35)의 영역에 상기 당김제어케이블(22)을 클램프하기 위한 케이블클램프(37)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클램프(37)와 상기 안내봉(1)사이에 확장하는 영역에서, 상기 당김제어케이블은 걸림커플링(53)에 의해 관통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안내부(7-12)와 상기 안내봉(1)사이에 확장하는 영역에서, 상기 당김제어케이블(22)은 모든 당김제어케이블을 동시에 커플링하고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다중케이블커플링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P4303967.7 | 1993-02-10 | ||
DE4303967A DE4303967C2 (de) | 1993-02-10 | 1993-02-10 |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3555B1 true KR960003555B1 (ko) | 1996-03-15 |
Family
ID=648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2461A KR960003555B1 (ko) | 1993-02-10 | 1994-02-08 |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390513A (ko) |
JP (1) | JPH06294048A (ko) |
KR (1) | KR960003555B1 (ko) |
CN (1) | CN1111692A (ko) |
DE (1) | DE4303967C2 (ko) |
GB (1) | GB227593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8690B1 (ko) * | 1994-01-14 | 2002-11-14 | 니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
WO1996022412A1 (fr) * | 1995-01-19 | 1996-07-25 | Nippon Mayer Co., Ltd. | Dispositif production de motifs pour metier chaine et procede associe |
CH690183A5 (de) * | 1995-10-11 | 2000-05-31 | Textilma Ag | Kettenwirkmaschine. |
DE19605117C2 (de) * | 1996-02-12 | 2001-02-01 | Liba Maschf |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
CN1080782C (zh) * | 1997-02-26 | 2002-03-13 | 日本迈耶株式会社 | 经编机的导纱器驱动装置 |
DE10137601B4 (de) * | 2001-08-01 | 2006-09-07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Musterlegebarre |
DE10332234B4 (de) * | 2003-07-16 | 2008-05-21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Kettenwirkmaschine |
DE102004031268A1 (de) * | 2004-06-29 | 2006-02-02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Legebarrenantrieb in einer Wirkmaschine |
KR100985506B1 (ko) * | 2008-09-10 | 2010-10-05 | 주식회사티엔에스 | 경편기의 가이드바 구동장치 |
EP2565310B1 (de) * | 2011-08-30 | 2014-03-26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Kettenwirkmaschine |
EP2623653A1 (de) * | 2012-02-04 | 2013-08-07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
EP2728045B1 (de) * | 2012-11-06 | 2014-10-01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Kettenwirkmaschine |
CN105887308A (zh) * | 2016-07-02 | 2016-08-24 | 福建省鑫港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多梳栉经编机使用的梳栉箱 |
EP3511459B1 (de) * | 2019-04-30 | 2021-06-02 | KARL MAYER STOLL R&D GmbH | Kettenwirkmaschine |
EP3511460B1 (de) * | 2019-04-30 | 2021-06-02 | KARL MAYER STOLL R&D GmbH | Kettenwirkmaschine und verfahren zur bedienerunterstützung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
CN113026194B (zh) * | 2021-03-04 | 2022-06-21 | 常州市鑫辉网具有限公司 | 一种捆草网经编机梳栉运动方法和装置及捆草网经编机 |
CN114232198A (zh) * | 2021-12-11 | 2022-03-25 | 绍兴舒涛针纺有限公司 | 一种便于调整的经编机纱线张力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3375C (ko) * | ||||
DE1287727B (ko) * | 1969-01-23 | |||
DE1079266B (de) * | 1954-03-25 | 1960-04-07 | Jardine John Ltd | Durch eine Jacquardvorrichtung gesteuerte Spitzenmaschine |
US3006170A (en) * | 1958-07-17 | 1961-10-31 | H & F Binch Inc | Selective positioning system |
DE2002568A1 (de) * | 1970-01-21 | 1971-08-05 | Harald Schneider | Steuervorrichtung fuer Wirkmaschinen |
GB1445374A (en) * | 1973-02-26 | 1976-08-11 | Sigma Instruments Inc | Selective positioning system particularly for onctrolling guide bars of knitting machines |
DD113375A1 (ko) * | 1974-03-25 | 1975-06-05 | ||
DE3006637A1 (de) * | 1979-05-18 | 1980-11-20 | Sulzer Ag | Jacquard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kettenwirkmaschinen |
DE3023952A1 (de) * | 1980-06-26 | 1982-01-14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 Kettenwirkmaschine |
IT1206450B (it) * | 1983-04-28 | 1989-04-27 | Antonio Bonaschi | Selezione dei fili di trama in una dispositivo di comando dellamacchina tessile. |
FR2660330B1 (fr) * | 1990-03-27 | 1994-03-18 | Pierre Fougere | Dispositif reproducteur de dessins pour machines textiles. |
DE4114012C3 (de) * | 1991-04-29 | 1996-07-04 | Liba Maschf |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
DE4127344A1 (de) * | 1991-08-19 | 1993-02-25 | Mayer Textilmaschf |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legebarre |
-
1993
- 1993-02-10 DE DE4303967A patent/DE4303967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2-07 CN CN94101228A patent/CN1111692A/zh not_active Withdrawn
- 1994-02-08 KR KR1019940002461A patent/KR960003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1994-02-09 JP JP6015413A patent/JPH06294048A/ja active Pending
- 1994-02-10 GB GB9402582A patent/GB227593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2-10 US US08/194,252 patent/US539051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390513A (en) | 1995-02-21 |
DE4303967C2 (de) | 1995-03-30 |
DE4303967A1 (de) | 1994-08-11 |
GB9402582D0 (en) | 1994-04-06 |
GB2275932B (en) | 1996-06-12 |
JPH06294048A (ja) | 1994-10-21 |
CN1111692A (zh) | 1995-11-15 |
GB2275932A (en) | 1994-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3555B1 (ko) |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실안내부로 된 안내봉을 가진 경편기 | |
KR940011011B1 (ko) |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 |
JP3560994B2 (ja) | 織機用のよこ糸選択給送装置 | |
JP3309321B2 (ja) | 平形横編機 | |
US6283397B1 (en) | Variable and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 |
GB2027070A (en) | Yarn feeder | |
JPH05214644A (ja) | 円形編成機の、特にソックスおよびストッキングを製造する二重シリンダ編成機の糸送給装置 | |
US3950966A (en) | Demand responsive positive feed device for knitting machine | |
US4145897A (en) | Hook needle type knitting machine | |
JPH11140744A (ja) | 制御可能なよこ糸給糸把持装置及び織機特にグリッパ織機で製織するときのよこ糸屑を最小にするための装置 | |
US5201199A (en) | Warp knitting machine with differently resonant springs | |
KR19980063868A (ko) | 선택적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 |
WO2003057959A1 (fr) | Dispositif de modification de l'espacement des plaques de peigne pour metiers rachel doubles | |
US4403630A (en) | Apparatus for tensioning the warp thread sheet of a loom | |
US4344307A (en) | Thread control means in a textile machine | |
GB2233674A (en) | Fabric presser for a v-bed flat knitting machine | |
CN111032938B (zh) | 纬线给送器装置 | |
JP2002115157A (ja) | 経編機 | |
US6135377A (en) | Yarn brake for looms | |
JP3443079B2 (ja) | 経編機 | |
JPH06280141A (ja) | 横編機 | |
US6098670A (en) | Apparatus for tensioning warp threads for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with an apparatus of this kind | |
GB2253862A (en) | A thread deliver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 |
US1981511A (en) | Mechanism for effecting the lapping movement of the thread-guides of warp knitting machines | |
JP2000220062A (ja) | 織機の経糸張力調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