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868A - 선택적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 Google Patents

선택적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868A
KR19980063868A KR1019970066466A KR19970066466A KR19980063868A KR 19980063868 A KR19980063868 A KR 19980063868A KR 1019970066466 A KR1019970066466 A KR 1019970066466A KR 19970066466 A KR19970066466 A KR 19970066466A KR 19980063868 A KR19980063868 A KR 1998006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piezoelectric transducer
transducer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223B1 (ko
Inventor
피셔요아힘
미스타크레시미어
Original Assignee
마이어프리츠페.;마이어울리히
칼마이어텍스틸마쉰넨파브릭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프리츠페.;마이어울리히, 칼마이어텍스틸마쉰넨파브릭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어프리츠페.;마이어울리히
Publication of KR1998006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경편기는, 가이드 제어의 설치부재에 의해 가이드 (7) 가 두 개의 단부 정지구 ( 113, 114 ) 사이에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자카드 ( jacquard ) 안내 바 (102) 를 포함한다. 가이드의 단부 위치는 두 개의 니들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지닌다.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스트라이커 ( striker ; 115, 116 ) 는 정지구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 ( 트랜스듀서 ; 108 ) 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 위치에서, 이는 중앙 위치에서 가이드 (7) 를 유지시킨다. 특히, 니들 제어 장치 및 정지구 제어 장치는 압전 트랜스듀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당히 큰 패터닝 가능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선택적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 ( separation ) 을 지니는 니들, 및 설치 수단상에서 작동하는 가이드 제어 기구에 의해 바 ( bar ) 의 방향으로 외단부 정지구 ( out end stop ) 에 의해 한정되는 두 개의 단부 위치사이에서 앞뒤로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카드 ( jacquard ) 가이드 바를 지니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경편기에서, 각각의 가이드는 한 니들 갭에서 다음 갭으로, 즉 한 니들 간격만큼 변위될 수 있다. 이 두 위치는 가이드가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측 단부 정지구와 접촉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변위는 하니스 코드 작동가능한 ( harness - cord - operable ) 변위 요소 ( DE 40 283 90 A1 ) 를 통해서 압전 트랜스듀서 ( DE 42 268 99 C1 ) 또는 공지된 기타 방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자카드 바 전체의 변위와 관련하여 이 제어가능한 단일 니들 변위는 상당한 패턴 가능성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더 큰 패턴 가능성을 갖는 상기의 일반적인 카테고리의 경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단부 위치가 두배의 니들 갭과 동일한 간격을 지니며 부가적인 정지구를 구비하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부가적인 정지구는 정지구 제어 기구의 설치 수단에 의해 원하는 데로 작동되며 이의 작동위치에서 니들을 중앙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자카드 ( jacquard ) 가이드 바를 사용하는 부분적인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자카드 가이드 바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도 1 의 가이드 바의 변형체인 실시예에 대한 부분적인 측단면도.
도 4 는 한 단부 위치에서 가이드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 3 의 실시예에 대한 부분 저면도.
도 5 는 다른 한 단부 위치에서 가이드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 3 의 실시예에 대한 부분 저면도.
도 6 은 도 1 의 것과 유사한 자카드 가이드 바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실시예에 대한 세부적인 부분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경편기의 가이드 바 외형에 대한 부분 측단면도.
도 9 는 내부에 설치되고 니들 베드 ( needle bed ) 에 관련하여 위치결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적당한 트랜스듀서를 지니는 섹터 ( sector ) 에 대한 정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니들 간격을 지니는 니들 베드 ( needle bed ) 가 있는 경편기가 제공된다. 경편기는 복수개의 가이드를 지니는 적어도 하나의 자카드 가이드 바를 지닌다. 경편기는 바 ( bar ) 를 따르는 방향으로 가이드를 왕복운동시키는 복수개의 설치 수단이 달린 가이드 제어기를 또한 지닌다.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 및 복수개의 외단부 정지구 쌍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정지구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이 외단부 정지구 쌍 각각은 두 개의 니들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이격되어 있고 가이드 중 해당하는 한 바 ( bar ) 를 따라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은 복수개의 부가적인 정지구 및 이 부가적인 정지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복수개의 설치 부재를 지닌다. 작동 위치내의 부가적인 정지구 각각은 가이드 중 하나가 중앙 위치를 지나는 것을 제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조에서, 가이드 각은 3 개의 서로 다른 위치, 즉 2 개의 단부 위치와 중앙 위치를 지니며 따라서 3 개의 이웃한 니들 갭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는, 바의 측방향 변위를 일으키는 캠 플레이트, 패턴 드라이브등과 함께 자카드 가이드 바를 사용하여 상당한 신규 패턴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일 니들의 변위를 달성하기 위해, 선행기술로 알려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 단부 위치로부터 다른 단부 위치로 가이드를 변위시키는 힘이 이동 경로에 배치된 부가적인 정지구에 대하여 가이드를 또한 유지하고 결과적으로 중앙 위치를 한정하기 때문이다.
정지구 제어의 설치 부재가 가이드의 운동 평면에 가로로 변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계적으로 매우 간단한 바람직한 부가적 정지구의 제어를 가능케 한다.
한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정지구는 포크형으로 가이드를 둘러쌓고 두 레버의 단부에 부착되며, 여기서 스트라이커는 설치 부재에 의해 레버의 다른 단부의 경로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유사한 바람직한 대안이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설치부재에 의해 전ㆍ후방 위치로 변위가능한 블록은 (a) 한 단부 정지구와 제 1 의 부가적인 정지구 사이의 전방 경로의 전방부에, (b) 다른 단부 정지구와 제 2 의 부가적인 정지구 사이의 후방 경로의 후방부에, 뿐만아니라 (c) 부가적인 정지구로 구성된 경로 사이의 통로에 제공된다.
가이드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한 단부에서 바 ( bar ) 에 고정되고 다른 한 단부에서 가이드를 전달하는 제 1 압전 트랜스듀서인 것이 유리하다. 이와같은 트랜스듀서는 간격이 비교적 적음으로 정지구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또한 비교적 쉽게 수용될 수 있다.
더우기, 제 1 트랜스튜서가 좌ㆍ우측 편향 위치사이에서 전환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트랜스듀서는 단부 정지구에 대하여 동일한 힘으로 그리고 부가적인 정지구에 대하여 약간 더 큰 힘으로 가압된다.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를 정지구 제어 기구용 설치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 2 트랜스듀서의 한 단부는 바에 고정되고 자유 단부는 부가적인 정지구상에서 작동한다. 이 설치 수단은 매우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또한 제공된다.
특히, 이 제 2 트랜스듀서는 자유 단부에서 앞서 언급된 스트라이커 또는 앞서 언급된 블록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 트랜스듀서의 스트로크 ( stroke ) 는 바에 부착된 가로 정지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로 정지구는 트랜스듀서에 의해 발생된 힘이 가이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재료상에 과도한 변형뿐만 아니라 마찰을 방지한다. 더우기, 제 2 트랜스듀서가 전ㆍ후방의 편향 위치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어시 실질적인 이점이 있다.
제 2 트랜스듀서가 가이드 바의 캐리어와 제 1 트랜스듀서 사이에 제 2 트랜스듀서를 제공하는 것은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제 2 트랜스듀서는 캐리어에 인접한 평편한 측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실제로 부가적인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3 개의 니들 간격은 가이드 각각이 3 개의 개별 위치를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 형성 트랜스듀서의 폭에 이용가능하다.
2 개의 다른 유형의 세그먼트 ( segment ) 가 소정 개수의 제 1 및 제 2 트랜스듀서를 전달하는 가이드 바에 부착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트랜스듀서를 경편기의 외부에 장착한 후 케이블 다발을 통해 나머지 스트라이커 스티어링 ( striker steering ) 수단에 이들을 연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세그먼트는 16 개의 제 1 및 16 개의 제 2 트랜스듀서를 전달시킨다. 이러한 장치들은 디지탈 제어 기구를 통해 만족하게 작동한다.
최적의 패턴 가능성은 적어도 3 개의 자카드 가이드 바를 이용하는 경우에 얻어진다. 이 수단에 의해 모든 다양한 니들 간격은 자카드 제어 가이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인접한 중앙 위치가 4 개의 니들 간격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자카드 가이드의 개수의 절반만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완성된 경편기에 있어서, 4 개의 부분적인 자카드 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뿐만 아니라 상기 간단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지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이지만 않은 바람직한 실시에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캐리어 (2) 를 지니는 자카드 가이드 바 (1) 를 예시한다. 제 1 트랜스듀서 유닛 (3) 은 연결 피스 ( connection piece ; 5 ) 를 통해 캐리어 (2) 에 연결된 각도진 세그먼트 ( angled segment ; 4 ) 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4) 는 자유 단부에서 가이드 (7) 를 각각 전달하는 16 개의 제 1 압전 트랜스듀서 (6) 를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트랜스듀서 장치 (8) 는 나사 (10) 를 통해 캐리어 (2) 에 부착된 각도진 세그먼트 (9) 를 포함한다. 세그먼트는 자유 단부에서 받침 ( abutment ; 12 ) 을 각각 지니는 16 개의 제 2 압전 트랜스듀서 (11) 를 전달한다. 제 2 트랜스듀서 (11) 는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수단으로 칭한다. 케이블 번들 ( 13, 14 ) 은 세그먼트 ( 4, 9 ) 상에 장착후 트랜스듀서 유닛 ( 3, 8 ) 을 적당한 제어 장치와 연결시키는데 이용된다.
좌측 정지구 (13) 및 우측 정지구 (14)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 (7) 가 적당한 트랜스듀서 (6) 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캐리어 (2) 에 제공된 정지구 수단의 일부이다. 부가적인 정지구 ( 15, 16 ) ( 또한 정지구 수단의 일부 ) 는 2 중 레버 (17) 의 하단부에 제공되는데, 이 레버는 바에 부착된 지지점 (18) 주위로 회전가능하고 이의 상단부 (19) 는 받침 (12) 의 영역내로 연장된다.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트랜스듀서 (11 ) 및 이의 받침 (12) 은 레버 (17) 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스듀서 (6) 가 작용하는 경우,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 레버 (17) 를 따라 적당한 가이드 (7) 를 자유로이 전달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 2 트랜스듀서 (11) 의 작용에 의해 받침 (12) 이 레버 단부 (19) 의 운동 경로내로 이동되는 경우, 레버 (17) 는 정지된다. 이 경우에, 부가적인 정지구 ( 15, 16 ) 는 중앙 위치에서 가이드 (7) 를 유지시키도록 작용한다. 가이드가 우측 단부 정지구 (14) 로 부터 좌측 단부 정지구 (13) 로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 ( 도 2 에서의 우측 가이드 (7) ) 를 고정시키는 것은 부가적인 정지구 (15) 이다.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 (7) 가 좌측 단부 정지구 (13) 로 부터 우측 단부 정지구 (14) 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우측의 정지구 (16) 가 작용한다 ( 도 2 에서의 좌측 가이드 (7) ).
도 3 내지 도 5 의 실시예에서, 일치하는 부품에 그리고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번호가 사용되며, 항목 번호는 100 씩 증가된다. 따라서, 제 2 트랜스듀서 (111) 의 자유 단부에서, 트랜스듀서 (111) 에 의해 전방 위치 ( 도 4 ) 및 후방 위치 ( 도 5 ) 로 변위될 수 있는 블록 ( 120 ) 이 각 경우에 제공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블록 (120) 의 전방 위치는 제 1 외단부 정지구 (114) 및 부가적인 정지구 (115) 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전방 경로 (121) 를 포함한다. 더우기, 후방 경로 (112) 는 한 경로에서 다른 경로로의 변이 경로 (112) 뿐만 아니라 단부 정지구 (113) 및 부가적인 정지구 (116) 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다음 3 가지 가능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블록 (120) 이 전방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 (7) 는 단부 정지구 (113) 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적당한 트랜스듀서 (6) 의 작용으로 중앙 위치에서 부가적인 정지구 (116) 에 대하여 놓일 수 있다.
b) 블록 (120) 이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가이드 (7) 는 단부 정지구 (114) 에 대하여 또는 중앙 위치의 부가적인 정지구 (115) 에 대하여 놓일 수 있다.
c) 가이드 (7) 가 두 단부 위치사이를 교번하는 경우, 두 개의 트랜스듀서 ( 6, 111 ) 는 가이드 (7) 가 변이 경로 (123) 를 가로지르도록 작용되어야 한다.
도 6 및 도 7 은 도 3 내지 도 5 에 예시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그렇지만, 여기서 캐리어 (102) 는 교차 플렌지 (126, 127 ) 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슬롯 (125) 을 포함하여 가로 정지구 (124) 가 제공된다. 이 슬롯에서 측면 익스텐더 ( side extender ; 128 ) 는 제 2 트랜스듀서 (111) 의 자유 단부를 구속한다. 이 교차 플랜지 ( 126, 127 ) 에 의해, 앞에서 뒤로 그리고 이와 반대로 블록 (120) 이 가로로 이동하는 것이 한정된다. 블록 (120) 에서 트랜스듀서 (111) 의 어떠한 힘도 가이드 (7) 상에 작용하지 않는데, 이는 긴 작동 수명을 보장한다.
도 8 은 도 3 내지 도 5 에 따라 각각 제조된 3 개의 자카드 가이드 바 (101) 를 예시한다. 이 3 개의 가이드 바는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 가이드 (7) 를 지님으로, 모든 가이드 (7) 가 중앙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는 각각의 니들 공간에 제공된다. 이 3 개의 가이드 바는 브리지 (30) 에 의해 경편기 프레임에 고정 부착되어, 니들을 통한 관련된 회전 운동이 발생된다. 그렇지만, 각각의 가이드 바는 변위 제어 수단에 의해 종방향으로 각기 변위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우기, 바 패키지가 고정 위치에서 니들을 통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9 에 따른 실시예에서, 총 16 개의 제 1 트랜스듀서를 전달하는 적당한 세그먼트 (4) 를 지니는 트랜스듀서 유닛 (3) 이 예시되어 있다. 이들은 케이블 번들 (31) 을 통해 17 핀 플러그 (32) 와 연결된다. 후방향으로는, 블록 (120) 을 제어하는 16 개의 제 2 트랜스듀서 (111) 가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트랜스듀서는 케이블 번들 (33) 을 통해 17 핀 플러그 (34) 와 연결된다. 니들 베드 (35) 는 (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갭 (36) 을 통해 가이드 (7) 가 회전할 수 있다. 모든 가이드 (7) 가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4 개의 갭 (36) 각각에는 가이드 (7) 가 구비된다. 유사하게 배치되었지만 하나의 니들 갭에 의해 변위되는 가이드 (7) 를 이용하는 경우, 여러 니들 갭 (36) 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벗어나지 않고 예시된 실시예로 부터 변경가능하다. 특히 가이드 (7) 는 압전 트랜스듀서 이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 변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변위 로드 또는 싱커 ( sinker ) 또는 귀환 스프링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더우기 부가적인 정지구의 제어는 또한 순전히 기계적인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상기 내용에 비추어 볼때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에 달리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더 큰 패턴 가능성을 갖는 상기의 일반적인 카테고리의 경편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는, 단부 위치가 두배의 니들 갭과 동일한 간격을 지니며 부가적인 정지구를 구비하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부가적인 정지구는 정지구 제어 기구의 설치 수단에 의해 원하는 데로 작동되며 이의 작동위치에서 니들을 중앙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복수개의 가이드를 지니는 적어도 하나의 자카드 ( jacquard ) 가이드 바 ;
    상기 바를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를 왕복시키는 복수개의 설치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 제어기 ; 및
    복수개의 정지구 수단
    을 지니는 소정의 니들 간격이 있는 니들 베드 ( needle bed ) 를 지니는 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 수단은
    (a) 상기 가이드 중 해당하는 가이드의 바를 따라 운동을 제한하는 두개의 니들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각각 이격된 복수쌍의 외단부 정지구 ; 및
    (b) 복수개의 부가적 정지구 및 상기 부가적인 정지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복수개의 설치 부재를 지니는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 위치내의 상기 부가적인 정지구 각각은 가이드 중 하나가 중앙 위치를 지나는 것을 제한하도록 작동가능한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경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운동 평면에서 왕복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운동 평면에 가로로 변위할 수 있는 경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은 복수개의 2 중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레버의 한 단부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복수개의 받침을 지니며, 레버의 다른 한 단부는 가이드에 걸쳐지도록 포크형으로 배열되는 부가적인 스트라이커를 지니는 경편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 수단은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에 의해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사이에서 각각 변위가능한 복수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각쌍의 단부 정지구는 (a) 전방 위치에 대하여, 부가적인 정지구 중 해당하는 제 1 정지구와 단부 정지구 중 하나 사이의 전방 경로, (b) 단부 정지구 중 다른 한 정지구와 해당하는 한쌍의 부가적인 정지구 중 해당하는 제 2 정지구사이의 후방 경로, 및 (c) 상기 전방 경로와 상기 후방 경로 사이에, 부가적인 정지구 중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어의 설치 수단은 가이드 중 하나를 전달하는 한 단부 및 바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를 지니는 제 1 압전 트랜스듀서
    를 각각 포함하는 경편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어의 설치 수단은 가이드 중 하나를 전달하는 한 단부 및 바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를 지니는 제 1 압전 트랜스듀서
    를 각각 포함하는 경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전 트랜스듀서는 좌측 및 우측 편향 위치로 전환가능한 경편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전 트랜스듀서는 좌측 및 우측 편향 위치로 전환가능한 경편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부가적인 정지구상에 작동하도록 배열된 자유단부 및 바에 고정 단부를 지니는 제 2 압전 트랜스듀서
    를 각각 포함하는 경편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부가적인 정지구상에 작동하도록 배열된 자유단부 및 바에 고정 단부를 지니는 제 2 압전 트랜스듀서
    를 각각 포함하는 경편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는
    부가적인 정지구상에 작동하도록 배열된 자유단부 및 바에 고정 단부를 지니는 제 2 압전 트랜스듀서
    를 각각 포함하는 경편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는 자유 단부로 부터 돌출한 받침을 포함하는 경편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블록은 스트라이커 제어 수단의 설치 부재중 해당하는 하나의 제 2 압전 트랜스듀서의 자유 단부상에 장착되는 경편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스듀서의 스트로크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바에 고정된 복수개의 가로 정지구를 포함하는 경편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스듀서의 스트로크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바에 고정된 복수개의 가로 정지구를 포함하는 경편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는 전ㆍ후방 편향 위치사이에서 전환가능한 경편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는 전ㆍ후방 편향 위치사이에서 전환가능한 경편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는 전ㆍ후방 편향 위치사이에서 전환가능한 경편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가이드를 지지하는 캐리어를 지니며, 상기 제 2 압전 트랜스듀서는 상기 가이드 바의 캐리어와 상기 제 1 트랜스듀서 사이에 장착되는 경편기.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트랜스듀서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에 부착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편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트랜스듀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상에 각각 16 개의 그룹으로 장착되는 경편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적어도 3 개의 자카드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경편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정지구 수단 중 인접한 수단은 4 개의 니들 간격만큼 효과적으로 이격된 중앙 위치를 지니는 경편기.
KR1019970066466A 1996-12-09 1997-12-06 선택적정지구를지니는경편기 KR10025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51053A DE19651053C1 (de) 1996-12-09 1996-12-09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egebarre
DE19651053.8 199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68A true KR19980063868A (ko) 1998-10-07
KR100255223B1 KR100255223B1 (ko) 2000-05-01

Family

ID=781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466A KR100255223B1 (ko) 1996-12-09 1997-12-06 선택적정지구를지니는경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8485A (ko)
EP (1) EP0846797B1 (ko)
JP (1) JP2930567B2 (ko)
KR (1) KR100255223B1 (ko)
CN (1) CN1153860C (ko)
DE (2) DE19651053C1 (ko)
ES (1) ES2156329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99B1 (ko) * 2000-08-23 2004-03-09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갖는 경편기
US9677209B2 (en) 2014-06-26 2017-06-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nitted fabric,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and warp knitt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540C1 (de) * 1997-09-09 1999-03-04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Wirkware
DE19740200C1 (de) * 1997-09-12 1999-04-01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Legeschienen
DE19801601C1 (de) * 1998-01-17 1999-03-25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Kettenwirkware und gemusterte Kettenwirkware
DE19821845C2 (de) 1998-05-15 2000-05-04 Mayer Textilmaschf Vorrichtung an Kettenwirkmaschinen zum Positionieren eines Fadenführers
IT1391729B1 (it) * 2008-11-26 2012-01-27 Santoni & C Spa Barra guidafilo jacquard per macchine tessili per maglieria in catena
IT1391730B1 (it) * 2008-11-26 2012-01-27 Santoni & C Spa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attuatori piezoelettrici di barre jacquard di macchine tessili
IT1391728B1 (it) * 2008-11-26 2012-01-27 Santoni & C Spa Attuatore piezoelettrico per barre guidafilo jacquard di macchine tessili
EP2428602B1 (de) * 2010-09-10 2015-08-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nadelanordnung für eine Jacquard-Legebarre und Jacquard-Legebarre
CN102108600B (zh) * 2011-03-21 2012-05-02 孙嘉良 经编机贾卡针块
CN107557987B (zh) * 2017-09-27 2022-11-15 福建佶龙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经编机成圈元件热变形控制装置
CN108978022B (zh) * 2018-09-17 2019-11-15 武汉纺织大学 一种多挡位贾卡导纱针系统
CN109881355B (zh) * 2019-03-28 2024-04-19 江苏明朗星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大针距贾卡
CN111172667B (zh) * 2020-01-16 2022-06-14 广东天海花边有限公司 双衬纬贾卡提花多梳经编织物及其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384C (ko) *
DE2707015A1 (de) * 1977-02-18 1978-08-24 Mayer Fa Karl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kopf
IT1153279B (it) * 1982-10-21 1987-01-14 Comez Spa Macchina tessile perfezionata per la formazione di tessuti di vari colori e disegni
DE3321733C2 (de) * 1983-06-16 1985-06-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ochnadeln
EP0157813A1 (de) * 1983-10-05 1985-10-16 Textilma AG Vorrichtung zum antrieb und gesteuerten vorschub-hub von schuss-stangen längs des nadelbetts auf wirk-, häkelgalon- und ähnlichen maschinen.
DD299384A7 (de) * 1989-10-20 1992-04-16 Chemnitzer Webmaschinenbau Gmbh,De Vorrichtung zur elektromagnetischen mustersteuerung an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doppelteppichwebmaschinen
DE4028390C2 (de) * 1990-09-07 1994-06-09 Mayer Textilmaschf Elektromagnetisch arbeitende Jacquard-Steuervorrichtung
DE4226899C1 (de) * 1992-08-14 1994-01-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4337265C1 (de) * 1993-11-02 1995-03-0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Legebarre
DE4414876C2 (de) * 1994-04-28 1996-05-30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ettenwirkware, Kettenwirkmaschin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nd Kettenwirkware
DE4418714C1 (de) * 1994-05-28 1995-06-22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wenigstens einer Legebarre und Austauschelement für eine solche Kettenwirkmaschine
DE4442555C2 (de) 1994-11-30 1997-03-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DE4444823C2 (de) * 1994-12-15 1998-01-08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99B1 (ko) * 2000-08-23 2004-03-09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갖는 경편기
US9677209B2 (en) 2014-06-26 2017-06-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nitted fabric,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and warp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6797B1 (de) 2001-04-04
DE59703288D1 (de) 2001-05-10
CN1153860C (zh) 2004-06-16
EP0846797A1 (de) 1998-06-10
DE19651053C1 (de) 1998-06-10
KR100255223B1 (ko) 2000-05-01
CN1189549A (zh) 1998-08-05
JP2930567B2 (ja) 1999-08-03
ES2156329T3 (es) 2001-06-16
US5918485A (en) 1999-07-06
JPH10168720A (ja) 199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3868A (ko) 선택적 정지구를 지니는 경편기
US5241842A (en) Warp knitting machine with individually movable yarn guides arranged on a guide bar
US7073355B2 (en)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striping attachment
KR101395172B1 (ko) 편물 기계용 얀 공급 장치
KR20100019466A (ko) 래치 니들을 구비한 싱커리스 편물기
US6276174B1 (en) Method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knitted fabric having a freely selectable pattern repeat
EP0597548B1 (en) Knitted fabric presser of flat knitting machine
RU2088709C1 (ru) Уточный тормоз для бесчелночного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EP3303671B1 (en) Support and control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3143873B2 (ja) 編機用糸締付け兼切断装置
SU1621813A3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борочной подачи уточной нити к средству прокладки утка бесчелночного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JPH05214644A (ja) 円形編成機の、特にソックスおよびストッキングを製造する二重シリンダ編成機の糸送給装置
KR19990023692A (ko) 낙하판 바아를 구비한 경편기
KR100348690B1 (ko)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US5491989A (en) Yarn guide and yarn guide unit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JP2584548B2 (ja) 経編機のジャカードガイドバー
KR100272352B1 (ko)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US3099921A (en) Warp knitting machine
US5095721A (en) Needle section device having rocker levers in a circular machine
KR100373907B1 (ko) 패턴수단을 갖는 경편기
US6328076B1 (en) Thread controlling device with control element supported independently from the lifting device
JP2002115157A (ja) 経編機
US4361017A (en) Pattern mechanism
KR101226417B1 (ko) 횡편기용 실 공급기
EP1354089A1 (e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