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23B1 - 경화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경화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23B1
KR940003023B1 KR1019910012882A KR910012882A KR940003023B1 KR 940003023 B1 KR940003023 B1 KR 940003023B1 KR 1019910012882 A KR1019910012882 A KR 1019910012882A KR 910012882 A KR910012882 A KR 910012882A KR 940003023 B1 KR940003023 B1 KR 94000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rotor
curing
co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30A (ko
Inventor
겐끼찌 와다나베
히데시 센도꾸
Original Assignee
로오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오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화선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선별 장치의 상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경화선별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로우터의 제어에 따른 제어표의 실시예.
제4a 내지 c도는 회전루우터와 이송되는 경화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가압수단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화선별 장치 2 : 회전디스크
3 : 경화가이드로 4 : 밸트
5a,5b : 이송롤러 6 : 경화확인장치
7 : 제어회로 8a,8b : 경화선별체
9a,9b : 선별개구 10a,10b : 로우터
10A : 평면부 10B : 대경부
11a,11b : 회전솔레노이드 12,13,14 : 저장소
15a,15b : 가압롤러 16a,16b : 회전중심축
17a,17b : 센서 18 : 스트립
19 : 경사부
본 발명은 경화의 표시가격을 판별하고 경화의 진부를 점검하여 경화를 선별개구로 떨구어 보유하고자하는 판별된 경화와 다른 경화를 선별해내는 경화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두종류의 경화선별장치가 사용되어 왔었다. 그중 하나는, 경화의 외경을 측정하여 원하지 않는 경화는 개구로 떨어뜨리므로써, 원하는 경화를 얻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적당한 확인수단, 즉, 경화의 외경측정 수단 또는 경화의 합금을 감지하는 수단에 의해 표시가격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서, 원하는 경화와 다른 경화를 개구에서 떨어뜨리도록 문을 제어하는 것이다.(예로써, 일본 특개소 제59-17290호와 일본 실개소 제2-18182호 참조)
경화의 외경을 측정함으로써 경화를 선별하는 장치는, 만약 외경이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다면, 경화를 옳바르게 선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 장치는, 경화가 큰직경에서 작은 직경순서로 또는 그 역순으로 선별되므로 매우 불편하다.
한편, 문을 제어하여서 경화를 선별하는 장치는, 문의 개폐작동이 적절히 제어되어야만 경화를 정확히 선별해낸다. 더우기, 이 장치는 조작자가 원하는 어떠한 순서로든 경화의 표시가격에 따라 유리하게 경화를 선별할수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경화선별을 위한 문을 조작하기 때문에 문의 개폐 시간이 정확하여야만 쨈(Jamming : 끼이는것)을 방지하고 경호를 옳바르게 선별할수 있다. 결국, 문을 적절히 조작하기 위해서는, 경화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주어 경화를 이송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특정의 속도 이상으로 이송속도를 증가시킬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공보 59-172090호에 특히 제7도와 제8도에 나와있는 경화선별장치의 문장치는, 경화가이드로에 형성시킨 선별개구에 형성된다. 이 문은 선별개구의 단부에 놓인 축주위를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는 경화 이송방향의 아래쪽에 놓인다. 문이 경화가이드로에 의해 이루어진 평면에 위치할때,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면을 통과하면, 한편, 문이 위쪽으로 선회하여 그곳에서 정지하고 있을때, 이송된 경화는 문의 바닥면에 의해 아래쪽으로 안내되면서 선별 개구속으로 떨어진다. 그리하여 경화는 표시가격에 따라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런 문 시스템은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들면, 경화가 연속적으로 송급되고 그리고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문의 상부면을 통과하려고 할 경우엔, 뒤따라온 이송된 경화가 문의 바닥면을 따라 선별개구 속으로 안내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비록 문은 뒤따라온 이송된 경화를 선별개구속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측으로 작동되려고 하지만,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문의 상면에서 이송되고 경화이송 벨트에 의해 상부면이 눌러져 있기 때문에 문을 위쪽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뒤따라서 이송되는 경화가 선별개구를 통해 떨어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문의 바닥면을 따라 선별개구로 안내되려고 할 경우엔, 그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부면을 통과하려는경향이 있다.
이 경우, 문은 상측으로 유지되어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를 선별개구로 안내한다. 그러면, 문의 상부면에서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가 통과토록 하기 위해 문이 아래쪽으로 작동될때, 만약 문의 하방 작동시간이 너무 이른 경우에는,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문의 바닥면 아래에서 이송되므로 인해,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의 후단이 문의 선단과 선별개구 사이에 가로놓이게 된다. 그리하여, 이것이 경화의 쨈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만약 문을 하방으로 작동시키는 시간이 너무 늦을 경우엔,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뿐만 아니라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 역시 선별개구속으로 도입되어 버린다. 이것 또한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의 전방부가 문의 선단과 선별개구 사이에 끼이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경화의 끼임(쨈)은, 문이 선회되어, 문의 이동경로가 경화가이드로를 가로막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문이 선회하는 동안 경화의 가이드로를 가로막지않는, 문의 이동경로(궤적)에 의한 문시스템이 예를들어 일본 실개소 2-18182호의 제12도에서와 같이 나와있다.
이 문 시스템에서는, 선별개구가 경화가이드로에 주어지고, 문은 선별개구에 설치되어 있다. 문은 선별개구의 단부에 놓여 있는 축 주위를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는 경화이송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놓인다. 문이 경화가이드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 놓여지는 제1위치에 있을때,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부면을 통과한다. 문이, 문의 하측 부분이 경화의 가이드로 아래로 내려오는 제2위치에 있을때,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선별개구속으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이송된 경화들은 두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이와같은 문 시스템은, 문의 궤적이 경화의 가이드로를 가로 막지 않기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문 시스템에서 유리하다. 예를들어, 두개이상의 경화들이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그의 제1위치에 놓인 문의 상면을 따라 선별개구속으로 떨어지려는 경향이 있다. 만약 첫째로 이송된 경화가 선별개구를 거의 통과했다면, 비록 문이 제2위치로 이동한다 할지라도, 경화는 경화 이송밸트에 의해 경화 가이드로에 대해 소정의 힘을 가지고 통과하므로,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선별개구로 떨어지지 않고 후속으로 이송되는 경화를 문의 상면을 따라 선별개구 속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선별개구로 떨어지려고 할경우,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면에서 선별개구를 통과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문이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를 문의 상면에서 선별개구를 통과토록 하기위해 상측으로 선회토록 작동될때,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는 문의 상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만약 문의 상측으로 작동하는 시간이 너무 이른 경우에는,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의 후반부가 문의 선단관 선별개구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는 바로 경화의 쨈을 야기시킨다.
한편, 만약 문의 상측으로의 작동시간이 너무 늦는 경우에는,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뿐만 아니라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까지 선별 개구속으로 도입되어,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의 전반부가 문의 선단과 선별 개구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것 역시 경화의 낌(쨈)을 야기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문 시스템은, 문이 정확한 시간으로 작동되어야만 하기때문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경화들을 항상 바르게 선별할수 있다고는 할수없는 것이다. 또한, 경화를 옳바르게 선별하기 위해서는 경화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송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록 경화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하더라도 경화가 끼이는 쨈이 발생하지 않고 경화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경화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 복수의 여러종류의 경화를 받아들여 이들을 하나씩 송출하는 경화송출 수단 ; 경화 송출수단에서 부터 신장하는 경화 안내로 ; 경화송출 수단에 의해 보재어진 경화를 가이드로에 대해 눌러 경화를 이송시키는 경화이송 밸트 ; 이송밸트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경화의 표시 가격에 따라 제1 및 제 2그룹으로 그룹짓기 위한 경화 확인수단 ; 을 포함하여, 경화를, 경화 확인수단의 확인에 따라 각각의 종류별로 선별토록하는 경화선별 장치에 있어서 : 경화확인수단에서 아래쪽으로 경화가이드로의 표면에 형성시킨 선별개구;선별개구의 중앙바로 아래에 그리고 경화 가이드로 아래에 놓이며 경화 가이드로에는 평행하고 경화 이송방향에는 수직인 축을 가지며, 경화 가이드로 보다는 약간 높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큰 직경부와 경화 가이드로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작은 직경부를 가지며 상기한 축 주위를 회전할수 있는 로우터 ; 그리고, 제1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는 로우터의 큰 직경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고, 제2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는 로우터의 작은 직경부가 로우터와 경화가이드로 사이의 틈을 형성하는,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우터의 큰 직경부가 경화의 가이드로와 정렬할때 경화는 로우터의 큰 직경부(이하 대경부라함)위를 상측 경화 가이드로에서 부터 하측 경화 가이드로로 이송된다. 로우터의 작은 직경부(이하 소경부라 한다)가 하측 경화가이드로와 소경부 사이의 틈을 이룰때, 상측 경화가이드로로 부터 이송된 경화는 소경부를 지나 선별개구속으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경화들은 경화 확인 장치에 의한 확인에 따라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는 선별개구를 지나며, 한편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는 선별개구속으로 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산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으로 이하에서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경화선별 장치(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디스크(2)를 포함한다. 회전디스크(2)는 여러액면 가격을 갖는 복수의 경화를 수용한다. 회전디스크(2)가 회전할때, 원심력이 디스크(2)상에 놓인 경화에 대해 회전디스크(2)에 접선으로 작용한다. 디스크(2)에 놓인 경화들은 원심력에 의해 하나씩, 회전디스크(2)에 대해 접선으로 신장하는 경화 가이드로(3)에 보내진다. 경화를 이송하기 위한 밸트(4)는 경화 가이드로(3)위에 평행하게 놓인다. 밸트(4)는 한쌍의 이송롤러(5a,5b)에 감겨지며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X방향으로 구동된다. 경화이송밸트(4)는 회전 디스크(2)에서 보내진 경화를 경화가이드로(3)에 대해 눌러 경화를 경화가이드로(3)에서 X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경화 확인장치(6)는 경화 이송밸브(4)에 의해 이루어지는 루프내에 설치한다. 경화 확인장치(6)는 이송밸브(4)에 의해 이송된 경화의 외경 및/또는 합금(금속성분)을 감지하여 경화의 표시가격을 확인하고 제어회로(7)에 확인신호 S1를 보낸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회로(7)는 확인신호(S1)를 받아, 신호 S1이 접수됨에 따라 순서로 확인 신호 S1를 포함하는 제1신호열을 형성한다. 이열은 제어회로(7)에 저장된다.
두개의 경화선별체(8a,8b)는 경화확인장치(6)의 하측에 경화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두개의 선별체(8a,8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선별체(8a)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경화 선별체(8a)는 선별개구(9a), 로우터(10a), 그리고 회전솔레노이드(11a)를 포함한다. 선별개구(9a)는 경화 가이드로의 표면에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로우터(10a)는 선별개구(9a)의 아래에 위치하여 주위에서 로우터(10a)가 회전하는 축상의 한 지점이 개구(9a)의 중앙 바로 아래에 놓이도록한다. 제2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로우터(10a)는 둥근 롤러의 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잘러내어 평면부(10aA)를 갖는 형태로 형성시킨다.
이 로우터(10a)는 경화 가이드로(3)에 평행하고 경화이송 방향에 수직인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로우터(10a)는 회전솔레노이드(11a)에 고정되어, 회전 솔레노이드(11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회전 솔레노이드(11a)는 60도 각도 회전 가능하다. 즉, 솔레노이드(11a)가 포지티브 신호를 받으면 시계방향으로 60도 회전하여 그곳에서 정지하고, 네거티브 신호를 받으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60도 회전하여 그곳에서 정지한다. 그리하여, 로우터(10a)는 두위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제1위치는 제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였으며, 제2위치는 쇄선으로 나타냈다. 제1위치에서는 로우터(10a)의 원주는 경화 가이드로(3)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제2위치에서는, 로우터(10a)의 평면부(10A)가, 경화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경화 가이드로(3)에서 경사를 이룬다. 다시말해, 로우터(10a)의 제2위치에서는, 로우터(10a)의 평면부(10A)가 선별개구(9a)의 상단측단부에서 부터 하부 오른쪽으로 직선으로 신장한다. 회전솔레노이드(11a)는 제어회로(7)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택일적으로 회전토록 제어된다.
제1 및 제2경화 저장소(12,13)는 로우터(10a,10b)아래에 각각 설치하여, 경사를 이루는 평면부(10A)를 따라 그 속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경화를 수용한다. 또한, 제3의 경화 지장소(14)를 이송롤러(5b) 아래에 설치하여 이송밸트(4)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수용한다.
가압롤러(15a,15b)는 선별개구(9a,9b)상에 각각 설치한다. 가압롤러(15a,15b) 각각은 동인한 구조를 갖는다. 가압롤러(15a,15b)는 경화 가이드로(3)에 평행하고 경화 이송방향에 수직인 축(16a,16b)주위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평상시의 위치에서는 롤러(15,15b)는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아래쪽으로 편향되어 경화이송뱅트(4)를 누르고 있다.
경화감지센서(17a,17b)는 선별개구(9a,9b)에서 상측으로 경화가이드로(3)에 묻혀있다. 이들 센서(17a,17b) 이송밸브(4)에 의해 이송된 경화가 센서(17a,17b)를 덮을 때마다 제어회로(7)에 감지신호(S2)를 보낸다. 제어회로(7)는 수신된 감지신호(S2)를 포함하는 제2신호 열을 형성(assemble)하여 그 내에 제2열을 저장한다.
상술한 경화선별 장치(1)의 작동관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경화확인 장치(6)는 회전 디스크(2)에서 보내진 경화의 표시가격을 확인하여 경화의 표시가격에 따라 확인 신호 S1를 제어회로 제어회로(7)에 전송한다. 제어회로(7)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호 S1으로 구성되는 제1신호열을 어셈블 한다. 경화감지 센서(17a)는, 경화가 센서(17a)를 지날때 마다 감지신호 S2를 제어회로(7)에 보낸다.제어회로(7)는 신호 S2로 구성되는 제2신호열을 어셈블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경화선별체(8b)에서 상류측으로 놓이는 경화 선별체(8a)를 사용하여, 선별체(8b)가 일본돈 100엔 경화를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동안,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를 선별하는데 사용된다.(일본의 현재 유통되는 경화는 6종류 즉, 1엔, 5엔, 10엔, 50엔, 100엔, 그리고 500엔 경화가 사용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만약 이송된 제3의(3번째) 경화가 외국 주화일 경우에, 제일먼저, 제어회로(7)는, 제2신호열과 경화 확인 장치(6)로 부터 보내진 신호 S1으로 이루어지는 이미 설정된 제1신호열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3의 경화 감지신호가 제2의 신호열에 어셈블될때, 제어회로(7)는 회전솔레노이드(11a)를 구동시켜 경화 선별체(8a)의 로우터(10a)가 제2위치로 선회된다. 따라서, 외국 경화는 제1경화 저장소(12)속으로 떨어진다. 일본 경화가 이송될때, 제어회로(7)는 선별체(8a)의 로우터(10a)를 회전하지 않게하고 그의 제1위치에 머무르도록 하여, 경화가 경화 선별체(8a)를 지나 제2경화선별체(8b)로 나아가도록 한다. 이송밸트(4)에 의해 이송된 경화가 경화감지 센서(17b)를 지나갈때, 센서(17b)는 감지신호 S2를 제어회로(7)에 보낸다. 제어회로(7)는 제2신호열을 어셉블하여 이미 어셉블된 제1신호열과 비교한다. 만약 제어회로(7)가 비교에 의해 이송된 경화가 100엔 경화임을 확인하면, 회로(7)를 회전솔레노이드(16)를 구동시켜, 로우터(10b)가 제2위치로 선회도록 한다. 만약 회전(7)가 비교에 의해 이송된 경화가 100엔이 아닌 다른 것이라며, 제어회로(7)는 회전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로우터(10b)가 제1위치로 선회되도록 한다.
경화선별체(8a,8b)는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되어, 외국 및/또는 위조경화는 제1경화 저장소(12)로 도입되도록 하고 일본돈 100엔 경화는 제2저장소(13)에 보내지도록 하고, 100엔 외의 다른 일본경화들은 제3의 경화저장소(14)에 도입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경화의 바라는 분류가 이행될수 있어, 단지 100엔 경화만을 여러표시가격을 갖는 경화로 부터 분류해 내는 것이다.
제4a 내지 c도를 참조로 이하, 어떻게 경화가 로우터(10a,10b)를 지나가는지, 어떻게 경화가 제1 및 제2저장소(12,12)로 들어가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제4a도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두개의 경화가 저장소로 떨어지지 않고 선별개구(9a)를 통과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경화가 제1위치에 놓인 로우터(10a)를 통과할 경우, 이송밸트(4)의 가압에 의한 경화의 후단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경화표면의 거의 부분이 선별개구(9a)에 도달하기 직전에 저장소속으로 경화를 떨어지려고 하는 중력을 이겨낸다. 따라서, 경화는, 경화가이드로(3)상의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하류측으로, 경화 가이드로(3)과 거의 평행하게 유지되는 경화의 전방부로 이송된다.
경화 표면이 대부분이 선별개구(9a)에 도달했을 때는 경화를 저장소속으로 떨어뜨리려고 하는 중력이 경화의 후단에 작용하는 이송밸트(4)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을 이긴다. 따라서, 경화의 전방부는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 바로 직전에, 경화의 전방부는 로우터(10a)의 대경부(10B)에 얹혀져, 경화 가이드로(3)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되어,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하류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경화가 경화 가이드로(3)를 벗어나, 로우터(10a)의 대경부(10B)에만 얹혀지게 되면, 가압력은 경화의 상면에 균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경화는 경화 가이드로(3)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되어, 경화 이송방향쪽으로 더욱 하류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경화가 로우터(10a)의 대경부(10B)에 의해 그의 후방부가 지지되기 전에 경화의 전방부는 선별개구(9a)를 지나 경화 가이드로(3)에 도달한다. 그리하여, 경화는 선별개구(9a)를 지나 경화 가이드로(3)에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경화가 로우터(10a)의 대경부(10B)로 이송될때, 대경부(10B)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화가 자연스럽게 스므스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제4b도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두개의 경화 가운데 첫번째로 이송된 제1의 경화가 제1의 경화 저장소(12)에 떨어지지 않고 선별개구(9a) 위를 통과하려 하고,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저장소(12)속으로 떨어지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가 로우터(10a)의 대경부(10B)를 지나가, 경화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놓인 경화 가이드로(3)에 도달된 후에는, 이송밸트(4)에 의한 가압력은 경화의 중력을 이긴다.
따라서, 비록 로우터(10a)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하는 것이 약간 너무 이르게 콘트롤 된 경우에도,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는 선별개구(9a)에 떨어지지 않고 이송이 계속된다. 단지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만이 선별개구(9a) 속으로 떨어진다.
한편, 비록 로우터(10a)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약간 너무 늦게 선회할지라도,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의 대부분을 이미 선별개구(9a)에 도달했기 때문에,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로우터(10a)가 선회할때 평면부(10A)의 면을 따라 선별개구(9a) 속으로 즉시 미끄려져 내려간다.
따라서, 첫번째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들은 경화가 쨈되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4c도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두개의 경화 가운데,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는 선별개구(9a) 속으로 떨어지려 하고,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제1경화 저장소(12)에 떨어지지 않고 선별개구(9a)를 지나려고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가 로우터(10a)의 대경부(10B)를 지나도록 하기 위해, 만약 로우터(10a)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선회동작될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로우터(10a)의 선회 이동이 대경부(10B)가 이루는 경사(기울기)를 증가시키므로,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는 대경부(10B)의 면을 따라 더욱 아래로 미끄러지게 한다. 그리하여, 만약 비록 로우터(10a)가 약간 너무 일찍 선회 구동되더라도,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의 후반부가 로우터(10a)의 대경부(10B)와 선별개구(9a) 사이에 끼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로우터(10a)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약간 너무 늦게 선회하더라도,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는 선별개구(9a) 속으로 떨어지지 않고 경화 가이드로(3)에 올라가 선별개구(9a)를 지날 수 있다.
왜냐하면, 대경부(10B)가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의 전방부 또는 중간부분과 접촉하기 때문에,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를 전방부로 들어올리는 두개의 힘이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를 각각 지지토록 협동한다.
여기서 하나의 힘은 로우터(10a)의 선회 이동에 의해 발생하고, 다른 하나의 힘은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의 후반부가 경화이송 밸트(4)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레버와 지레 받침대의 원리에 의해 발생한다.
그리고, 로우터(10a,10b)가 그들의 제2위치에 놓일 경우, 이송된 경화들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선회하려는 것보다 더 일찍 가압롤러(15a,15b)에 의해 아래로 선회된다. 따라서, 경화들은 정확하게 선별개구(9a,9b)속으로 도입된다. 한편, 로우터(9a,9b)가 그들의 제1위치에 놓일 경우, 이송된 경화의 전방부는, 이송밸트(4)와 가압롤러(15a,15b)가 경화의 후방을 누르기 때문에 레버와 지레받침의 원리에 의해 위로 밀어지려고 한다. 그리하여, 경화는 선별개구(9a,9b)에 떨어지지 않고 경화 가이드로(3)로 이송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스트립(18)은 가압롤러(15a,15b) 대신에 사용된다. 스트립(18)은 이송된 경화에 직접적으로 가압을 주어 경화가 선별개구(9a)로 도입토록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평상시에는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택일적으로 스트립(18)은 스트립과 스프링의 조합 대신 하방으로 편향력을 주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화 가이드로(3)에는 선별개구(9a,9b)의 하류측 모서리에 경사부(19)를 준다. 경사부(19)는 로우터(10a,10b)와 경화 가이드로(3) 사이에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화선별 장치(1)는, 복수의 경화선별 장치(1)를 경화 이송방향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여러중류의 경화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화들을 경화의 각 종류로 분류해낼 수 있는 장치로 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종류의 경화를 각 종류마다 선별하기 위해, (N-1)의 장치가 필요하다. 예로써, 일본의 경화통화는 6종류의 경화 즉, 1엔, 5엔, 10엔, 100엔 및 500엔의 경화를 포함하는데 이들을 각각의 종류로 분류하기 위하여는 5개의 경화선별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예에서,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경화 종류와 동일 숫자의 경화선별 장치 즉, 6개의 경화선별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같은 설치는, 제1의 경화선별 장치는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면 좋다. 만약 외국 또는 위조 경화가 제2의 장치 또는 일련의 장치의 선별개구를 통해 제거될 경우, 몇몇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가 로우터와 경화 가이드로 사이에 걸쳐지지 않을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일 때에는 옳바른 선별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비록 경화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더라도, 선별개구로 떨어지거나 통과함에 의해 첫번째로 이송된 경화와 그 후속으로 이송된 경화가 선별개구에서 쨈 현상이 발생함 없이 정확히 선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한 청부범위에 의해 구성되는 발명의 사상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선택적인 것, 변형, 그리고 동일성 있는 것 모든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복수의 여러종류의 경화를 수용하여 그 경화를 하나씩 보내주는 경화 송출 수단과 ; 경화 송출 수단에서 보내진 경화를 가이드로에 대해 가압하여 경화를 이송시키는 경화이송 밸트와 ; 이송밸트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경화의 표시액에 따라 제1 및 제2그룹으로 그룹짓게 하기 위한 경화 확인수단 ; 을 포함하여, 경화 확인 장치의 확인에 따라 각각의 종류로 경화를 분류하는 경화선별 장치에 있어서 : 경화 확인수단에서 하류측으로 경화 가이드로의 표면에 형성시킨 선별개구와 ; 선별개구의 중앙 바로 아래에 그리고 경화 가이드로 아래에 놓이며 경화 가이드로에는 평행하고 경화 이송방향에는 수직인 축을 가지며, 경화 가이드로보다는 약간 높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대경부와 경화 가이드로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한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로우터와 ; 그리고 제1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대경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고, 제2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소경부가 로우터와 경화 가이드로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롤러의 실린더형 표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형성시킨 평면부를 갖는 실린더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로우터를 제어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에 이송되어 올때에는 로우터의 곡면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고,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되어온 경우에는 로우터의 평면부가 선별개구의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져 신장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선별개구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시키고, 상기 모서리는 경화 이송방향 하류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선별개구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시키고, 상기 모서리는 경화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경화이송 밸트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선별개구에 대해 상기 축에서 상류측으로 누르도록 하기 위해 경화 가압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경화이송 밸트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선별개구에 대해 상기 축에서 상류측으로 누르도록 하기 위해 경화 가압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가압수단은 : 경화 가이드로 상에 위치되면 경화 이송방향에 수직이고 경화 가이드로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축 주위를 상하 선회 가능한 스트립과 ; 그리고 상기 스트립을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가압수단은 : 경화 가이드로 상에 위치되며 경화 이송방향에 수직이고 경화 가이드로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축 주위를 상하 선회 가능한 롤러와 ; 그리고 상기 롤러를 경화이송 밸트에 대한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9. 복수의 여러종류의 경화를 수용하여 그 경화를 하나씩 보내주는 경화 송출 수단과 ; 경화 송출 수단에서부터 신장되는 경화 가이드로와 ; 경화 송출 수단에서 보내진 경화를 가이드로에 대해 가압하여 경화를 이송시키는 경화이송 밸트와 ; 이송밸트에 의해 이송된 경화를 경화의 표시액에 따라 제1 및 제2그룹으로 그룹짓기 하기 위한 경화 확인수단 ; 을 포함하여, 경화 확인 장치의 확인에 따라 각각의 종류로 경화를 분류하는 경화선별 장치에 있어서 : 경화 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경화 선별체는 : 경화 확인수단에서 하류측으로 경화 가이드로의 면에 형성시킨 선별개구와 ; 선별개구의 중앙 바로 아래에 그리고 경화 가이드로 아래에 놓이며 경화 가이드로에는 평행하고 경화 이송방향에는 수직인 축을 가지며, 경화 가이드로보다는 약간 높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대경부와 경화 가이드로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 축 주위를 회전가능한 로우터와 ; 그리고 제1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대경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고, 제2그룹의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소경부가 로우터와 경화 가이드로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경화 선별체는 경화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될 경화의 종류수보다 하나 작은수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1경화 선별체는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 제거하도록 설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경화 선별체는, 경화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된 경화의 종류와 동일한 수로 설치하며, 제1경화 선별체는 외국 및/또는 위조 경화를 제거토록 설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롤러의 실린더형 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롤러의 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평면부를 갖는 실린더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로우터를 제어하며,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 로우터의 곡면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며,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평면부가 선별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방향으로 경사져 하측으로 신장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롤러의 실린더 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형성시킨 평면부를 갖는 실린더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로우터를 제어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 로우터의 곡면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며,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평면부가 선별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방향으로 경사져 하측으로 신장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는 롤러의 실린더 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형성시킨 평면부를 갖는 실린더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로우터를 제어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 로우터의 곡면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며,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평면부가 선별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방향으로 경사져 하측으로 신장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를 롤러의 실린더 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형성시킨 평면부를 갖는 실린더형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수단은 로우터를 제어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 로우터의 곡면부가 경화 가이드로와 정렬하며, 제2그룹에 속하는 경화가 선별개구로 이송될때에는 로우터의 평면부가 선별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방향으로 경사져 하측으로 신장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선별개구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는 경화 이송방향에 하류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경화이송 밸트에 이송된 경화를 선별개구에 대해 상기 축에서 상류측으로 가압토록 하기 위한 경화 가압수단을 더 설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가압수단은 : 경화 가이드로 상에 위치되면 경화 이송방향에 수직이고 경화 가이드로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축 주위를 상하 선회 가능한 스트립과 ; 그리고 상기 스트립을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가압수단은 : 경화 가이드로 상에 위치되며 경화 이송방향에 수직이고 경화 가이드로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축 주위를 상하 선회 가능한 롤러와 ; 그리고 상기 롤러을 경화이송밸트에 대해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 장치.
KR1019910012882A 1990-08-10 1991-07-26 경화선별장치 KR940003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2947A JP2557278B2 (ja) 1990-08-10 1990-08-10 硬貨選別装置
JP90-212947 1990-08-10
JP212947/1990 199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0A KR920005030A (ko) 1992-03-28
KR940003023B1 true KR940003023B1 (ko) 1994-04-11

Family

ID=1663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82A KR940003023B1 (ko) 1990-08-10 1991-07-26 경화선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5433A (ko)
JP (1) JP2557278B2 (ko)
KR (1) KR940003023B1 (ko)
DE (1) DE4126466C2 (ko)
GB (1) GB2247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9766B2 (ja) * 1991-04-10 1997-08-1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選別装置
US7028827B1 (en) 1992-09-04 2006-04-18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5620079A (en) * 1992-09-04 1997-04-15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6736251B2 (en) 1992-09-04 2004-05-18 Coinstar, Inc.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6494776B1 (en) 1992-09-04 2002-12-17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5514034A (en) * 1993-09-28 1996-05-07 Cummins-Allison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coin sorting using pressureless exit channels and immediate stopping
JP3175036B2 (ja) * 1994-05-12 2001-06-11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受入・払出装置
US6182811B1 (en) * 1998-11-19 2001-02-06 Tatung Telecom Jam detector system for coin escrow device
US6431342B1 (en) * 1999-09-13 2002-08-13 Andrew Schwartz Object routing system
JP4235723B2 (ja) * 2000-02-15 2009-03-11 旭精工株式会社 転動式コインセレクタ
EP2261866A3 (en) 2000-09-18 2012-06-2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sorting apparatus and coin receiving system
US6602125B2 (en) 2001-05-04 2003-08-05 Coinstar, Inc. Automatic coin input tray for a self-service coin-counting machine
US7214569B2 (en) * 2002-01-23 2007-05-08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small-feature-size and large-feature-size compon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033375B2 (en) 2002-02-15 2011-10-11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EP2521106A1 (en) 2002-02-15 2012-11-07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7865432B2 (en) 2002-02-15 2011-01-04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6739965B2 (en) * 2002-05-14 2004-05-25 Floyd K. String High speed, high volume coin sorter
JP4334192B2 (ja) * 2002-08-22 2009-09-30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US20040074737A1 (en) * 2002-10-21 2004-04-22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Coin differentiating unit of coin dispenser
JP4604155B2 (ja) * 2003-04-24 2010-12-2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分離装置
US7658668B2 (en) *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ES2377930T3 (es) * 2005-09-17 2012-04-03 Scan Coin Ab Equipo de gestión de monedas
US20070187485A1 (en) *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WO2008093420A1 (ja) * 2007-02-01 2008-08-07 Glory Ltd. 硬貨入出金機
US9064268B2 (en) 2010-11-01 2015-06-23 Outerwall Inc. Gift card exchange kiosk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US8874467B2 (en) 2011-11-23 2014-10-28 Outerwall Inc Mobile commerce platfor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consumer coins, cash, and/or other forms of value for use with same
US9129294B2 (en) 2012-02-06 2015-09-08 Outerwall Inc. Coin counting machines having coupon capabilities, loyalty program capabilities, advertising capabilities, and the like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DE102012020154A1 (de) * 2012-10-15 2014-04-17 Crane Payment Solutions Gmbh Münzsortiervorrichtung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378604B1 (en) * 2013-06-27 2016-06-28 Tim E. Rathjen Coi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9443367B2 (en)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9235945B2 (en) 2014-02-10 2016-01-12 Outerwall Inc. Coin input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10346819B2 (en) 2015-11-19 2019-07-09 Coinstar Asset Holdings, Llc Mobile device applications, other applications and associated kiosk-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in saving
JP7294015B2 (ja) * 2019-09-13 2023-06-20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振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786A (ja) * 1982-07-08 1984-01-19 株式会社湊製作所 硬貨自動入出金機
JPS59172090A (ja) * 1983-03-19 1984-09-2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機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DE3627387A1 (de) * 1986-08-13 1988-02-25 Ngz Geldzaehlmasch Gmbh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muenzen
JPH0749577Y2 (ja) * 1987-03-18 1995-11-13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選別通路装置
CH675786A5 (ko) * 1988-05-02 1990-10-31 Stoeckli Rudolf
JPH0671901B2 (ja) * 1988-07-05 1994-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部品の取付装置
JPH0640355B2 (ja) * 1988-07-22 1994-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H0831152B2 (ja) * 1988-09-30 1996-03-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57278B2 (ja) 1996-11-27
US5135433A (en) 1992-08-04
KR920005030A (ko) 1992-03-28
DE4126466C2 (de) 1994-07-28
DE4126466A1 (de) 1992-02-13
JPH0498483A (ja) 1992-03-31
GB2247971A (en) 1992-03-18
GB9116792D0 (en) 1991-09-18
GB2247971B (en)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023B1 (ko) 경화선별장치
US4733765A (en) Cash handling machine for handling mixtures of notes and coins introduced together
JP2518724B2 (ja) 硬貨選別装置
EP2680236B1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US4938082A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4968419A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WO2008010295A1 (ja) 変形硬貨検知装置
AU750849B2 (en) Coin discriminator
EP1107193B1 (en) Coin sorting apparatus and coin handling machine using the same
EP3926592A1 (en) Coin feeding device
JPH0816877A (ja) 硬貨収納繰出装置
JP7236702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処理方法
JPH05120511A (ja) 硬貨選別装置
JP4794063B2 (ja) 紙幣収納装置
JP2682822B2 (ja) 循環式紙幣処理方法
JP2811243B2 (ja) 硬貨選別装置
JPH0388093A (ja) 硬貨選別装置
JP5985715B2 (ja) 硬貨繰出装置、硬貨入出金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JPS60245094A (ja) 硬貨分類装置
JP3299388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送出装置
JP2017117313A (ja) 硬貨処理装置
US3241645A (en) Coin sorting device
GB2412222A (en) Conveying coins using a belt
JP3138501B2 (ja) 硬貨入出金機
JPH03225587A (ja) 硬貨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